KR20010022044A - 다기능 제어 핸들 - Google Patents

다기능 제어 핸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2044A
KR20010022044A KR1020007000613A KR20007000613A KR20010022044A KR 20010022044 A KR20010022044 A KR 20010022044A KR 1020007000613 A KR1020007000613 A KR 1020007000613A KR 20007000613 A KR20007000613 A KR 20007000613A KR 20010022044 A KR20010022044 A KR 200100220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handle
control device
shaft
slo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06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05523B1 (ko
Inventor
버그만브렌트에이.
트레고알렌티.
Original Assignee
추후제출
크라운 이큅먼트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후제출, 크라운 이큅먼트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추후제출
Publication of KR200100220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20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55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55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9Details of operating station, e.g. seats, levers, operator platforms, cabin suspen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20Means for actuating or controlling masts, platforms, or fork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9/00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 G05G9/02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 G05G9/04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 G05G9/047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by hand about orthogonal axes, e.g. joysti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5Fork lift trucks, Industrial truck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9/00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 G05G9/02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 G05G9/04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 G05G9/047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by hand about orthogonal axes, e.g. joysticks
    • G05G2009/04703Mounting of controlling member
    • G05G2009/04733Mounting of controlling member with a joint having a nutating disc, e.g. forced by a spring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9/00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 G05G9/02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 G05G9/04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 G05G9/047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by hand about orthogonal axes, e.g. joysticks
    • G05G2009/04766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by hand about orthogonal axes, e.g. joysticks providing feel, e.g. indexing means, means to create counterforc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9/00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 G05G9/02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 G05G9/04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 G05G9/047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by hand about orthogonal axes, e.g. joysticks
    • G05G2009/04774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by hand about orthogonal axes, e.g. joysticks with additional switches or sensors on the hand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 Fishing Rod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Steering Devices For Bicycles And Motorcycles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트럭의 전후방 이동 속도를 제어하고 포크를 승하강시키기 위하여 포크 리프트 트럭상에 일반적으로 수평으로 장착된 핸들(35)은 제어 장치(100)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제어 장치는 지지 부재(170)내의 소켓(172,176)내에 포함된 중심적으로 위치된 구형부(160)을 가진 축(150)을 포함한다. 상기 축은 상기 구형부의 중심(177) 주위로 자유 회전된다. 램프 캠(200)은 상기 축을 둘러싸는 지지 부재 상에 장착된다. 상기 축상에 장착된 슬라이더(180)는 스프링(190)의 작용에 의해 캠에 대하여 눌려진다. 이러한 배치는 축 및 제어 핸들이 트럭의 운전사에 의해 작동될 때 까지 여전히 중심에 위치하는 것을 보장한다. 2개의 선형 포텐셔미터(270,290)는 제어 핸들에 대향되는 축의 단부의 X(수평) 및 Y(수직)위치를 나타내는 전기적 출력 신호를 발생시킨다. 상기 캠에는 4개의 상이한 복합 표면(201 내지 204)가 구비된다. 상기 핸들의 수직 이동을 위하여, 상기 2개의 하부 표면(202,203)의 기울기는 2개의 상부 표면(201,204)의 기울기보다 크다. 각 표면의 기울기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 상이하다. 이러한 배치는 어떠한 방향으로도 상기 핸들을 이동시키는데는 동일한 힘이 필요하다라는 것을 암시한다. 상기 캠의 중심에서의 멈춤쇠(215)는 중심 위치로부터 상기 핸들을 이동시키기에 조금 더 큰 힘을 필요로 하게 한다.

Description

다기능 제어 핸들{MULTI-FUNCTION CONTROL HANDLE}
몇 타입의 포크 리프트 트럭의 제어 핸들은 수직으로 배향되어 있다.그러나, 예컨데 라이더 리치 트럭(rider reach trucks) 과 같은 어떤 트럭상엔, 제어 핸들이 일반적으로 수평으로 배향되어 있다. 전형적으로, 수평으로 배향된 다기능 제어 핸들은 연장된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트럭의 이동 방향 및 속도를 제어하는 센서 및 스위치를 조절하기 위하여 전후방으로 이동되고, 트럭의 포크의 승하강을 제어하는 센서를 조절하기 위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된다. 추가적인 제어 센서 및 스위치는 포크 경사, 리치 및 측면 이동을 제어하는 것과 같은 트럭의 보조 기능을 제어하기 위하여 핸들의 단부에 위치될 수 있다. 혼 버튼(horn button) 및 실렉터 스위치(selector switch) 또한 상기 제어 핸들의 단부에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보조 스위치는 일반적으로 운전사의 엄지 및 집게 손가락에 의해 조정된다.
포크 리프트 트럭이 작동되는 일반적인 거친 작업환경에서 내구성 및 긴 수명을 위하여, 상기 제어 핸들은 튼튼한 구조체여야만 한다. 보조 제어 기능을 가진 그러한 튼튼한 구조체는 상당한 무게를 지니는 핸들일 수 밖에 없다. 운전사의 손의 무게가 상기 제어 핸들의 무게에 추가될 때, 종래의 지지된 제어 핸들은 중력때문에 쉽게 아래방향으로 움직이는 경향이 있었다. 종래의 제어 핸들은 핸들을 중립이나 또는 중심위치에 되돌려놓는 다양한 지지 장치를 포함하며, 종종 핸들을 바어어스시키는 스프링의 형태를 취하여 상기 핸들이 중립 위치로부터 이탈될 때 스프링은 중심 위치로 핸들을 되돌려놓기 위하여 바이어스된다.
일반적으로 수평으로 탑재된 제어 핸들에 대하여, 종래의 접근방법은 중립 위치로 핸들을 바이어스시키는 스프링의 탄성력을 증가시키는 것이었다. 불행히도, 그러한 증가된 스프링 탄성력은 측방향으로 뿐만아니라 상측으로 핸들을 이동시키는 것을 더욱더 어렵게 만들어 결과적으로 제어 핸들의 이동의 용이함과 상기 핸들을 포함하는 트럭의 조정의 용이함을 감소시킨다.
핸들을 포함하는 트럭의 운전사가 쉽고 정확하게 핸들과 핸들을 포함하는 트럭을 조정할 수 있도록 거의 동일한 힘으로 어떠한 방향으로도 이동될 수 있는 개선된 수평으로 배향된 제어 핸들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포크 리프트 트럭(fork lift truck)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평으로 배향되어 적어도 본 발명을 포함하는 트럭의 운전사가 느낀 바와 같은 거의 동일한 힘으로 어떠한 방향으로도 이동될 수 있는 다기능 제어 핸들의 장착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장치에 의해 지지된 제어 핸들을 포함하는 라이더 리치 포크 리프트 트럭의 사시도.
도 2는 포크 리프트 트럭의 측면도.
도 3은 제어 핸들 및 스티어링 틸러를 포함하는 운전사의 조정실을 도시하는 포크 리프트 트럭의 평면도.
도 4는 포크 리프트 트럭의 운전사 조정실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어 장치에 의해 지지되고 운전사의 조정실내로 연장되고 운전사의 우측손에 의해 잡혀지도록 위치된 제어 핸들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어 장치에 부착된 도1 내지 도5의 제어 핸들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어 장치의 전방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제어 장치의 후방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제어 장치의 정면도.
도 10은 도 9의 제어 기구의 바닥의 절반을 도시하는 도 9의 선 10-10을 따른 단면도.
도 11은 도 9의 제어 기구의 좌측의 절반을 도시하는 도 9의 선 11-11을 따른 단면도.
도 12는 램프 캠 및 스프링이 단면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부착된 제어 핸들이 완전한 전진 위치로 이동된 경우에 위치될 도9의 제어 장치의 측면도 .
도 13은 램프 캠 및 스프링이 단면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부착된 제어 핸들이 완전히 아래 위치로 이동된 경우에 위치될 도9의 제어 장치의 측면도 .
도 14는 램프 캠의 평면도.
도 15 내지 도 20은 도 14의 선 15 내지 20을 따른 도 14의 램프 캠의 단면도.
도 21 내지 도 26은 도 14의 선 21 내지 26을 따른 도 14의 램프 캠의 단면도.
도 27 및 도 28은 램프 캠 또는 베어링 표면의 사시도.
도 29는 이동 제한 판을 도시하는 제어 장치의 지지부재의 전방 사시도.
도 30은 상기 제한 판을 도시하는 제어 장치의 지지부재의 정면도.
도 31은 부착된 축 위치 감지 기구를 도시하는 제어 장치의 사시도.
상기 요구는, 일반적으로 수평으로 배향된 제어 핸들이 탑재되어 종래 장치보다 쉽게 이동되고 제어 핸들을 이동하기 위하여 필요하다고 느낀 힘이 어떠한 방향으로도 거의 동일한 본원의 본 발명에 의해 만족된다. 본 발명은 스프링 로드 캠 종동자가 작동되는 램프 캠(ramp cam)을 포함한다. 상기 램프 캠 표면의 형상 및 경사는 상기 제어 핸들의 하방향 이동에 대한 추가적인 저항을 제공하여 제어 핸들상에 중력의 효과를 보상해준다. 본 발명의 개선된 제어 핸들 또는 탑재 기구를 사용한다면, 운전사는 핸들을 위로, 아래로, 앞으로 또는 뒤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동일한 힘이 필요하다는 것을 느낀다. 그러나, 실제로 4 개 이상의 상이한 힘이 요구된다.
상기 램프 캠은 제어 핸들에 대하여 홈(home) 및 중립 위치를 제공하며, 운전사가 중립위치로 부터 어떠한 위치로 핸들을 이동시키기 위하여는 적극적인 힘이 필요하지만 과잉 조정을 일으킬 만큼은 아니다. 수직 및/또는 수평 슬롯의 형태를 취하는 램프 캠의 추가적인 구성은 수직 및/또는 수평 평면내에서 선택적으로 핸들을 이동시키는데 도움이된다. 그래서, 포크를 의도와 무관하게 승하강시키는 경향이 없이 상기 제어 핸들은 전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어서 전후방으로 트럭을 이동시킬 수 있고, 트럭이 의도와 무관하게 움직이는 경향이 없이 상기 제어 핸들은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어서 포크를 승하강 시킬 수 있다. 물론, 상기 제어 핸들은 운전사의 선택에 따라서 어떠한 방향으로도 움직일 수 있으므로 상기 트럭은 포크를 승하강시키는 동시에 양 방향으로 이동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어 핸들이 일반적으로 수평으로 탑재되고 핸들의 이동방향에 관계없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힘을 사용하여 어떠한 방향으로도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컨데 포크 리프트 트럭에 사용되는 제어 핸들이 고정될 수 있는 개선된 조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며, 아랫 방향으로의 핸들의 이동이 다른 방향으로의 핸들의 이동보다 더욱 작은 힘을 필요로하게하는 중력을 거스르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적으로 수평으로 탑재된 제어 핸들을 지지하는 개선된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며, 램프 캠이 핸들의 하방향 이동을 보조하는 중력을 거스르도록 구성되고 수직 및/또는 수평면내에서 핸들의 이동을 용이하게하기 위하여 4분원으로 분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적으로 수평으로 탑재된 제어 핸들을 지지하는 개선된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은 하기 상세한 설명, 도면, 특허청구의 범위로부터 명백하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특히 라이더 리치 포크 리프트 트럭(10)을 도시하는 도 1 내지 도 4에 참조부호가 기입되어 있으며, 상기 라이더 리치 포크 리프트 트럭(rider reach fork lift truck,10)은 조정 가능한 휠(20)에 연결된 견인 모터(traction motor, 도시되지 않음)및 몇개의 상이한 시스템에 파우어를 공급하는 유압 모터(hydraulic motor,도시되지 않음)에 파워를 공급하는 배터리(도시되지 않음)를 수납하는 파우어 유닛(12)을 포함한다. 캐스터 휠(caster wheel,21)은 트럭(10)의 우측 후미에 장착되며, 한쌍의 아웃리거(outrigger, 22)는 트럭(10)의 앞 부분에 장착된다.
상기 파우어 유닛(12)내의 조정실(25)에는 트럭(10)의 이동 방향을 제어하는 스티어링 틸러(steering tiller,30)와, 포크 높이, 뻗음, 경사 및 측면 이동뿐만아니라 이동 속도 및 방향(전방/후방)을 제어하는 제어 핸들(35)이 구비된다. 팔 받침대(37)는 운전사의 우측 팔을 지지하고, 본 발명의 제어 장치(100)이 장착되고 제어 핸들(35)를 수용하는 확장부 또는 암(38)을 포함한다. 뒷 받침대 또는 시트(40)는 조정실내의 운전사를 지지한다. 머리 위의 보호장치(45)는 운전사의 조정실(25)위에 위치된다.
한쌍의 포크(50)는 수직 운반 어셈블리(70)상의 리치 기구(60)상에 차례로 탑재된 포크 운반 기구(55)상에 장착된다. 본원에 참조문헌으로 관련된 U.S 특허 제 5,586,620에 개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어셈블리(70)는 확장가능한 기둥 어셈블리(80)에 부착되며, 상기 기둥 어셈블리(80)는 고정된 저부 기둥 부재(82) 및 포개어 넣어진 이동가능한 기둥 부재(84,86)를 포함한다.
유압 모터(도시되지 않음)는 도 2에 상승되어 도시된 포크(50)의 높이를 제어하는 제어 핸들(35)에 의해 작동된다. 포크(50)는 포크(50) 및 포크 운반 기구(55) 사이에 위치된 유압 실린더(95)에 의하여 화살표(90)에 의해 도시된 범위에 걸쳐 경사질 수 있다. 또한, 포크는 측방향 이동 기구(도시되지 않음)에 의하여 측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5와 관련하여, 상기 제어 핸들(35)은 제어 장치(100)상에 장착된다. 전후방으로 트럭(10)의 이동은 운전사가 상기 핸들(35)를 각각 앞으로 밀거나 또는 뒤로 당기는 것에 의해 이루어진다. 그래서, 상기 핸들(35)이 화살표 F 의 방향으로 밀리면, 트럭(10)은 앞으로 이동할 것이다. 상기 핸들이 화살표 R 방향으로 뒤로 이동되면, 트럭(10)은 뒤로 움직일 것이다. 비슷하게, 포크를 올리거나 내리는 것은 핸들을 화살표 U 및 화살표 D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서 이루어진다.
트럭(10)의 다른 기능은 핸들(35)의 단부에 위치된 보조 스위치 기구(120)에의해 제어되며, 스위치 기구(120)는 운전사의 손가락 및 엄지에 의해서 작동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 스위치 기구(120)는 엄지 작동 나브 스위치(125)를 포함하며, 상기 엄지 작동 나브 스위치(125)가 상측으로 이동될 땐 포크(50)는 상측으로 경사지며, 하측으로 이동될 땐 포크(50)는 하측으로 경사진다. 상기 스위치(125)가 화살표 F 방향으로 움직일 때, 포크(50)는 기둥으로부터 멀리 외측으로 이동되고 화살표 R방향으로 움직일 때, 포크(50)는 내부로 또는 기둥을 향해 당겨진다. 측방향 이동 선택 스위치(130)가 운전사의 손가락에 의해 눌려질 때, 측방향 이동 선택 스위치(130)는 스위치의 기능을 변화시켜 화살표 F 및 R의 방향으로 나브(125)의 이동은 포크를 옆으로 , 우측 및 좌측으로 이동시킨다. 혼 버튼(horn button,135)은 운전사의 엄지에 의해 작동되는 핸들(35)상에 위치된다.
도 6내지 도 13 및 도 31에 도시된 제어 장치(100)는 지지 부재(170)내의 회전 이동용으로 장착된 축(150)을 포함한다. 상기 축(150)은 제어 핸들내로 연장되는 제 1 또는 외부 단부(152), 축 위치 센서를 제어하는 내부 단부(153), 축(150)에 제어 핸들(35)을 고정시키는 지지 슬롯(154)과 구형부(160)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 부재(170)에는 축의 구형부(160)를 수용하는 소켓(172)이 구비되며, 이로 인해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 및 소켓 피벗 또는 힌지 어셈블리를 형성한다. 또한, 소켓(176)이 구비된 유지판(retaining plate,175)은 축(150)의 구형부(160)를 잡아서 적소에 유지시키며, 축(150)이 구형부(160)의 중심(177) 주위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축의 종축 주위로 축(150)의 회전은 핀(163)에 의해서 방지되며, 상기 핀(163)은 수평면내에서 구형부(160)의 회전축을 따라서 형성된 개구(162)내로 연장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핀(162)의 외부 단부는 수직면내에서의 회전을 허용하는 지지부재(170)내에 형성된 슬롯(178)내로 연장된다.
축(150)의 구형부(160)의 중심(177) 주위로 축(150)의 자유 이동은, 동축관계로 장착되고 축(150)을 둘러싸고 있는 슬라이더(180), 스프링(190), 도시된 실시예에서의 와셔(194)의 형태를 취하는 스프링 리테이너, 및 램프 캠(200)을 포함하는 스프링 바이어싱 기구 또는 캠 종동자에 의해 방지된다. 상기 슬라이더(180)는 캠(200)과 마주보는 단부에서 플랜지(184)가 구비된 원통형 본체(182)를 포함한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두-원뿔형 캠 접촉 또는 지지 표면(186)은 플랜지(184)의 외부상에 형성되고 램프 캠(200)과 맞물린다. 상기 스프링(190)은 슬라이더(180)의 플랜지(184)와, 축(150)상의 슬롯내로 끼워마추어진 스냅 링(196)에 의해 적소에 유지되는 와셔(194) 또는 리테이너 사이에서 압축된다. 제어 핸들(35)상의 중력을 극복하기 위하여,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램프 캠(200)은 중심선(C/L) 아래의 일반적인 제 1 기울기와 중심선(C/L) 위의 일반적인 제 2 기울기를 가지며, 제 2 기울기는 제 1 기울기보다 작다.
상기 램프 캠(200)이 지지 부재(170) 상에 형성될 수 있지만, 도시된 바와 같이, 독립적으로 형성되어 지지 부재(170)에 부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도 14 내지 도 28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램프 캠(200)은 4개의 특별히 형성된 지지 표면(201 내지 204) 또는 램프를 포함한다. 램프 캠(200)내에 형성된 4개의 슬롯(206 내지 209)은 지지 표면들을 분리시킨다. 그래서, 슬롯(206)은 지지 표면(201) 및 지지 표면(204) 사이에 위치되며, 슬롯(207)은 지지 표면 (201) 및 지지 표면(202) 사이에 위치고, 슬롯(208)은 지지 표면(202) 및 지지 표면(203) 사이에 위치되며, 슬롯(209)은 지지 표면(203) 및 지지 표면(204) 사이에 위치된다. 상기 4개의 슬롯(206 내지 209)는 슬롯(207,209)으로 구성된 수평 슬롯 및 슬롯(206,208)으로 구성된 수직 슬롯으로 구상될 수 있다. 램프 캠(200)의 각각의 지지 표면(210 내지 204)은, 축(150)이 어떠한 방향으로도 한계 위치까지 이동될 때 축(150)과 조화되는 경감된 면적(212)을 포함한다.
각각의 지지 표면 또는 램프는 슬라이드(180)의 지지 표면(186)이 얹혀 있는 2 개의 상이한 램프 구성을 포함한다. 도 7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램프 구성은 제 3 기울기를 규정하며, 상기 제 3 기울기는 중심잡기 기능을 제공하고 운전사가 축(150)을 중립 또는 중심 위치로부터 이동시키기 위하여 양의 힘을 적용할 것을 필요로 하게 한다. 즉, 제 1 램프 구성은 멈춤쇠를 제공한다. 도 14 내지 도 28에 있어서, 제 1 램프 구성은 램프(215)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램프(215)의 외부 엣지의 직경은 일반적으로 플랜지(184)의 직경에 상응한다. 도 14 내지 도 28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램프 캠(200)의 복잡한 형상은 운전사가 제어 핸들(35)를 사용할 때 소정의 느낌을 제공하도록 경험적으로 결정된다.
각각의 지지 표면은 또한 특정 필요에 맞게 만들어진 제 2 램프 구성을 또한 포함한다. 그래서, 중심선(C/L) 아래에 위치된 2개의 저부 램프(202,203)의 제 2 램프 구성은 2개의 상부 램프(201,204)의 제 2 램프 구성의 제 2 기울기보다 큰 제 1 기울기를 가진다. 이 구성에 대하여, 운전사가 느끼는 힘은 거의 동일할 지라도, 제어 핸들(35)를 위로 움직일 때 보다 아래로 움직일 때 운전사에 의해 제어 핸들(35)에 가해진 힘이 더욱 커다는 것은 틀림이 없다. 또한, 제 2 램프의 기울기는 앞뒤로 변한다. 더우기, 핸들(25)이 중심위치로부터 이동될 때 균일한 노력이 핸들(25)을 이동시키는데 필요하다는 느낌을 운전사에게 제공하고자 하는 소정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각각의 제 2 램프의 전체 형상은 유일하며 표면에 걸쳐 변한다. 램프 캠(200)상의 다양한 위치에서의 표면의 기울기는 도 14 내지 도 28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핸들(35)은 슬롯(207,209)과 일직선으로 정렬된 수평면내에서 앞뒤로 이동될 수 있으므로, 포크(50)를 우연히 들어 올리거나 또는 낮추는 어떠한 경향도 없이 트럭(10)은 앞뒤로 이동된다. 비슷하게, 핸들(35)이 슬롯(206,208)과 일직선으로 정렬된 수직면내에서 위아래로 이동될 수 있으므로, 트럭(10)을 이동시키는 어떠한 경향도 없이 포크가 올려지거나 낮추어질 수 있다. 물론, 상기 제어 핸들(35)은 운전사의 선택에 의해서 어떠한 방향으로도 이동될 수 있으므로, 트럭(10)은 포크(50)를 동시에 올리거나 또는 낮추면서 양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수평면 또는 수직면중 어느 한 면에서의 이동의 안정성은 슬라이더(180)의 플랜지(184)의 외부상에 형성된 절두-원뿔형 캠 접촉 또는 지지 표면(186)의 2개의 지점이 이동동안에 슬롯(206 내지 209)과 접촉하게 함으로서 제공된다. 그래서, 지지 표면(186)은 제어 핸들(35)의 수평 이동 동안에 슬롯(207,209)과 2개의 점접촉을 하고, 지지 표면(186)은 제어 핸들(35)의 수직이동 동안에 슬롯(206,208)과 2개의 점접촉을 한다. 슬롯(206 내지 209)에 의해 규정된 수평 및 수직면 이외에서의 이동 동안엔, 지지 표면(186)은 단지 하나의 점접촉을 한다.
도 10, 11,29 및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150)은 제한판(230)을 통해 연장된다. 상기 제한판내의 개구(231)는 핸들(35)이 극한 위치까지 이동될 때 축(150)의 이동의 한계를 규정하도록 만곡되어 있다. 특히, 핸들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한계까지 밀리거나 또는 당겨질 때마다, 그리고 핸들이 포크를 올리거나 또는 낮추기 위하여 위아래로 이동될 때마다, 상기 제한판(230)은 비선형 경로내에서 핸들(35)를 안내하기 위하여 만곡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취하는 이유는 아래에서 설명될 축 위치 감지 장치(260)의 선형 작동을 보장하기 위해서 이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패슨너(238,239)를 수용하는 2개의 개구(235,236)가 도 29 및 도 30에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패슨너(238,239)는 지지 부재(170)에 램프 캠(200)을 부착하기 위하여 램프 캠(200)내의 개구(218,219)를 통해 연장된다. 제 3 개구(237)는 램프 캠(200)의 배면으로부터 돌출되어 나온 정렬 핀(도시되지 않음)을 수용하므로, 램프 캠(200)이 조립동안에 부착될 때 적합하게 정렬되는 것을 보장한다.
축(150) 또는 핸들(35)의 X,Y 또는 수평 위치 및 수직 위치는 축 위치 감지 장치(260)에 의해서 전기적 신호로 변환된다. 본발명에 있어서,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치(260)는 수평 및 수직 위치 신호을 각각 제공하기 위하여 2개의 선형 포텐셔미터(potentiometer,270,290)를 포함한다.
상기 위치 감지 장치(260)는 지지 부재(170)의 상부 및 하부로부터 연장되는 핀(266,267)에 의해서 회전가능하게 부착된 브라킷(265)을 포함한다. 제어 핸들(35)이 수평방향으로 이동될 때, 도 8,9 및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라킷(265)은 핀(266,267)에 의해서 규정된 피벗포인트(pivot point)주위로 회전한다. 선형 포텐셔미터(270)는 272에서 브라킷(265)에 연결된 하나의 단부와 273에서 지지 부재(170)에 부착된 나머지 단부를 가진다. 그래서, 축(150) 및 제어 핸들(35)의 위치는 선형 포텐셔미터(270)의 출력신호에 의해 결정된다. 또한,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라킷(265)은 한쌍의 슬롯(277,278)을 포함하는 브라킷(275)을 지지한다. 상기 슬롯(277,278)은 선형 포텐셔미터(270)으로부터 분리된 지시를 제공하고 축(150) 및 핸들(35)이 중립위치에 있을 때를 지시하는 광 센서(280,281)를 통과한다.
상기 축(150)의 단부(153)는 브라킷(265)내의 슬롯(285)을 통해 연장되며, 상기 슬롯(285)은 축(150)이 브라킷(265)에 관하여 수직으로 이동되는 것을 허용한다. 제 2 선형 포텐셔미터(290)는 하나의 단부(291)에서 축(150)에 부착되고 나머지 단부에서 브라킷(265)에 부착되어 축(150)의 위치에 비례한 출력신호를 발생시킨다.
본원에 개시된 장치의 형상은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으며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규정된 본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면 변경이 가능하다.

Claims (15)

  1. 일반적으로 수평방향으로 제어 핸들(35)을 지지하는 제어 장치(100)에 있어서,
    지지 부재(170)와,
    상기 지지 부재상의 램프 캠(200)과,
    자유롭지만 제한된 이동을 위해 상기 지지 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축(150)과,
    플랜지(184) 및 절두-원뿔형 지지 표면(186)을 포함하고 상기 축과 동축관계로 장착된 슬라이더(180)와,
    상기 축상의 리테이너(194)와,
    상기 절두-원뿔형 지지 표면이 상기 램프 캠과 접촉하도록 상기 축을 둘러싸고 상기 플랜지 및 상기 리테이너 사이에서 연장되는 스프링(190)을 포함하며,
    상기 램프 캠(200)은 운전사가 상기 제어 핸들을 사용함에 있어서 어떠한 방향으로도 상기 핸들을 이동시키는데 균일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느끼도록 윤곽형성된 지지 표면을 규정하는 제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캠(200)은 상기 지지 부재(170)상에 장착된 제어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캠(200)은 그 중심선(C/L) 아래의 제 1 기울기와 상기 제 1 기울기 보다 작은 상기 중심선 위의 제 2 기울기를 가지도록 구성된 제어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캠(200)은 상기 축(150)에 대한 중립, 중심 위치를 규정하는 제 3 기울기를 규정하는 제어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캠(200)은 상기 램프 캠내에 형성된 수평 슬롯(207,209) 및 수직 슬롯(206,208)에 의해 규정된 4개의 지지 표면(201 내지 204)을 형성하는 4개의 4분원으로 나누어지며, 상기 수평 슬롯 및 수직 슬롯은 수평면내에서 상기 축의 이동을 위한 전후방 경로(F,R)와 수직면내에서 상기 축을 위한 상하 경로(U,D)를 각각 규정하기 위하여 상기 램프 캠상에 일반적으로 중심맞춤된 제어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캠(200)은 상기 핸들(35) 및 상기 운전사의 손 상에 중력의 효과를 보상하기 위하여 상기 4개의 4분원(201 내지 204)중 2개의 하부 4분원(202,203)에서 더 큰 기울기를 가지는 제어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캠(200)은 2개의 상이한 기울기 구성을 가지며, 상기 2개의 상이한 기울기 구성(215)중 제 1 기울기 구성은 상기 핸들이 중심위치에 있을 때를 결정하고 상기 핸들(35)이 상기 중심 위치로부터 이동될 때 보다 극복하기에 더욱 큰 힘을 필요로하는 제어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상이한 기울기 구성중 제 2 기울기 구성은 상기 램프 캠(200)의 중심선(C/L)에 의해 분할되고 상기 중심선 아래의 제 1 기울기와 제 1 기울기 보다 작은 상기 중심선 위의 제 2 기울기를 포함하는 제어 장치.
  9. 일반적으로 수평방향으로 제어 핸들(35)을 지지하는 제어 장치(100)에 있어서,
    지지 부재(170)와,
    상기 지지 부재내에서 회전 이동되도록 장착되며 상기 핸들을 수용하는 상기 하우징의 제 1면으로부터 일반적으로 수평으로 연장되는 제 1단부(152)을 가지는 축(150)과,
    상기 지지 부재상에 일반적으로 수직으로 배향된 환형 램프 캠(200)과,
    상기 축의 제 1 단부와 결합되고, 상기 램프 캠과 결합되게 바이어서된 스프링인 캠 종동자(180,182,184,186,190,194)를 포함하며,
    상기 축의 상기 제 1 단부는 상기 환형 램프 캠을 통해 연장되며, 상기 램프 캠은 상기 제어 장치에 결합된 핸들을 사용하는 운전사가 수평면내에 양 방향으로 또는 수직면내에서 양 방향으로 상기 핸들을 이동시키는데 균일한 힘이 요구된다는 것을 느끼도록 윤곽형성된 지지 표면을 규정하는 제어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캠(200)은 상기 지지 부재(170)상에 장착된 제어 장치.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캠 종동자(180,182,184,186,190,194)는
    상기 축(150)을 둘러싸고, 절두-원뿔형 램프 캠 접촉 표면(186)을 규정하는 플랜지(184)를 가지는 슬라이더(180)와,
    상기 램프 캠 접촉 표면이 상기 램프 캠과 접촉하도록 상기 축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축을 둘러싸는 스프링(190)을 포함하는 제어 장치.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캠(200) 지지 표면은 그 중심선(C/L) 아래의 제 1 기울기와 상기 제 1 기울기보다 작은 상기 중심선 위의 제 2 기울기를 가지도록 구성된 제어 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캠(200)은 상기 축(150)에 대하여 중립, 중심 위치를 규정하는 제 3 기울기를 규정하는 제어 장치.
  14.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캠(200)은 상기 램프 캠내에 형성된 수평 슬롯(207,209)과 수직 슬롯(206,208)에 의해 규정된 4개의 지지 표면(201 내지 204)으로 분할되며, 상기 수평 슬롯 및 수직 슬롯은 상기 축(150)을 위하여 전후방 경로(F,R) 및 상기 램프 캠을 위한 상하 경로(U,D)를 각각 규정하기 위하여 상기 램프 캠상에 중심 맞춤되는 제어 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캠(200)의 상기 4개의 지지 표면(201 내지 204)은 상기 축을 위한 중립, 중심위치를 규정하는 제 3 기울기(215)를 규정하는 제어 장치.
KR10-2000-7000613A 1997-07-25 1998-07-20 다기능 제어 핸들 KR1005055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5372297P 1997-07-25 1997-07-25
US5373997P 1997-07-25 1997-07-25
US60/053,722 1997-07-25
US60/053,739 1997-07-25
US6028897P 1997-09-29 1997-09-29
US60/060,288 1997-09-29
PCT/US1998/014969 WO1999005060A1 (en) 1997-07-25 1998-07-20 Multi-function control hand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2044A true KR20010022044A (ko) 2001-03-15
KR100505523B1 KR100505523B1 (ko) 2005-08-04

Family

ID=27368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0613A KR100505523B1 (ko) 1997-07-25 1998-07-20 다기능 제어 핸들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1015378B1 (ko)
KR (1) KR100505523B1 (ko)
AT (1) ATE216351T1 (ko)
AU (1) AU727809B2 (ko)
CA (1) CA2295805C (ko)
DE (1) DE69804980T2 (ko)
NZ (1) NZ501738A (ko)
WO (1) WO199900506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2056A (ko) * 2020-02-03 2021-08-19 모토다기켄 가부시키가이샤 하중 취급 장치의 조작부 유닛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25729B1 (en) 2000-03-24 2002-07-30 Caterpillar Inc. Arrangement for controlling a work machine
GB0603925D0 (en) * 2006-02-28 2006-04-05 Penny & Giles Controls Ltd Joystick controller
FR3133605B1 (fr) * 2022-03-17 2024-03-01 Manitou Bf Machine de manutention comprenant un dispositif de commande sollicitable manuellement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736312C3 (de) * 1977-08-12 1980-06-26 Ing. Alfred Schmidt Gmbh, 7822 St Blasien Anordnung zum Betätigen der Funktionen eines Schneepflugs
DE3117414C2 (de) * 1981-05-02 1984-12-20 bso Steuerungstechnik GmbH, 6603 Sulzbach Steuergeber
US4646582A (en) * 1983-06-27 1987-03-03 Mitsubishi Jidosha Kogyo Kabushiki Kaisha Operating device for transmission
DE4017696A1 (de) * 1990-06-01 1991-12-05 Bosch Gmbh Robert Steuergeb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2056A (ko) * 2020-02-03 2021-08-19 모토다기켄 가부시키가이샤 하중 취급 장치의 조작부 유닛
CN113498369A (zh) * 2020-02-03 2021-10-12 元田技研株式会社 载荷处理装置的操作部单元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015378B1 (en) 2002-04-17
CA2295805C (en) 2006-05-16
KR100505523B1 (ko) 2005-08-04
EP1015378A1 (en) 2000-07-05
AU727809B2 (en) 2000-12-21
CA2295805A1 (en) 1999-02-04
AU8413698A (en) 1999-02-16
WO1999005060A1 (en) 1999-02-04
DE69804980T2 (de) 2002-11-28
DE69804980D1 (de) 2002-05-23
NZ501738A (en) 2001-05-25
ATE216351T1 (de) 2002-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44408B1 (en) Swivel seat with adjustable swivel resistance
US7347299B2 (en) Rotating and/or swiveling seat
EP2066580B1 (en) Joystick deactivation
US4763100A (en) Joystick with additional degree of control
KR20010023167A (ko) 3 위치 시트 조립체를 구비한 리프트 트럭용 운전자스테이션
KR100505523B1 (ko) 다기능 제어 핸들
US6082212A (en) Multi-function control handle
EP1354781A2 (en) Position depend tilt and telescoping steering column
US4523488A (en) Single lever control device for multiple functions
EP1323615B1 (en) Steering device at industrial truck
KR100449371B1 (ko) 포크리프트의 조작 레버 및 포크리프트
JPH059856Y2 (ko)
US5361644A (en) Combination control grip for two-hand operation or guided-surface industrial trucks
EP1064832B1 (en) Hitch control unit
MXPA99011853A (en) Multi-function control handle
JP3690732B2 (ja) ローリフトトラック
KR970004799B1 (ko) 리모콘 스위치
GB2347181A (en) Releasably preventing movement of a gear lever into reverse gear
JPH081607Y2 (ja) トラクタ搭載作業機具の昇降制御スイッチ
JPH0617073U (ja) 操縦杆式入力装置
EP4341764A1 (en) Pedal device and vehicle having such a pedal device
JPH0515139Y2 (ko)
JPH06156288A (ja) 車両のステアリング調整装置
JPH081606Y2 (ja) トラクタ搭載作業機具の昇降制御スイッチ
JPH08116719A (ja) ステアリン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3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