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1210A - 공급 모듈용 압력 조절밸브 - Google Patents

공급 모듈용 압력 조절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1210A
KR20010021210A KR1020000045157A KR20000045157A KR20010021210A KR 20010021210 A KR20010021210 A KR 20010021210A KR 1020000045157 A KR1020000045157 A KR 1020000045157A KR 20000045157 A KR20000045157 A KR 20000045157A KR 20010021210 A KR20010021210 A KR 200100212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pressure regulating
regulating valve
throttle opening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51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슈렉켄베르거디터
Original Assignee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Publication of KR200100212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1210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9/00Low-pressure fuel-injection apparatus ; Apparatus with both continuous and intermittent injection; Apparatus injecting different types of fuel
    • F02M69/46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covered by groups F02M69/02 - F02M69/44
    • F02M69/54Arrangement of fuel pressure regulato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6/00Control of fluid pressure
    • G05D16/04Control of fluid pressure without auxiliary power
    • G05D16/10Control of fluid pressure without auxiliary power the sensing element being a piston or plung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afety Valves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밸브 챔버(21) 및 압력원을 연결하기 위한 유동부(1)를 갖는 압력 조절 밸브에 관한 것이다. 압력 조절 밸브는 설정 가능한 탄성력을 가지는 밸브 스프링(14)에 의해 시트에 장착되는 밸브 요소(10)를 포함한다. 밸브 몸체(4) 내에 드로틀 개구(7)가 제공된다. 압력 조절 밸브는 밸브 요소(10)가 엔진의 부하 상태에 상응하게, 귀환 파이프(8)로의 드로틀 개구(7)를 드로틀 개구의 행정 높이(h)에 상응하게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급 모듈용 압력 조절밸브 {PRESSURE REGULATING VALVE FOR SUPPLY MODULE}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시스템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공급 모듈용 압력 조절밸브에 관한 것이다.
이미 공지된 압력 조절밸브(독일 특허 196 34 899호)에서 밸브 챔버에는 유입구가 장착되어 있으며, 밸브 개구를 통해 밸브 챔버와 연결되는 차단 챔버와 연결되어 있다. 밸브 요소는 탄성력이 조정 가능한 밸브 스프링에 의해 구동된다. 밸브 스프링에 의해 밸브 요소는, 밸브 개구를 둘러싸는 밸브 시트 상으로 밀착되어 있다. 유동량이 증가하는 경우 스프링 탄성력을 보상하기 위해 밸브 개구 하류에 드로틀 면이 배치된다. 드로틀 면은, 밸브 요소와 차단 챔버 사이에서 밸브 요소 의 밸브 폐쇄 스프링의 탄성력에 영향을 미치며 압력 흐름에 따르는 압력이 형성되도록 배치된다.
공지된 장치는 비교적 큰 구성 공간을 요구하고, 드로틀 면은 많은 비용으로 제조된다. 이러한 점은 비용이 많이 드는 제조 방법을 초래하며, 이로써 생산 비용도 상당히 상승하게 된다.
연료 공급 모듈의 압력 조절장치를 저렴한 비용으로 완성함에 추가로, 본 발명에 따른 해결책에 의해 특성 곡선은 평편함으로부터 음의 특성 곡선에 이르기까지 압력 조절밸브의 개방 시점에 따라 달성될 수 있다. 밸브 몸체 내의 드로틀 개구의 구성에 따라, 고객의 개별 요구사항을 고려한 평편한 특성 곡선 또는 음의 특성 곡선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해결책의 유익한 구성에 따라 밸브 요소를 구동하는 밸브 스프링은 밸브 요소 상에 실행되는 유동 압력의 함수로서 스프링 탄성력 특성 곡선을 가진다. 밸브 스프링은 한편으로 밸브 몸체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한 커버 요소를 지지하고, 다른 한편으로 용기 형태로 형성되는 밸브 요소에 의해 둘러 싸여 있다. 밸브 요소 자체에서는 상기 몸체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컵 형태의 밸브 몸체 내에 포함된다.
밸브 요소에 영향을 미치는 스프링 탄성력을 가변적으로 조정하도록 커버 요소는 밸브 몸체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다. 그렇게 함으로써 밸브 스프링의 초기 응력은 커지거나 혹은 작아진다. 커버 요소와 밸브 몸체 사이의 결합 영역에서, 커버 요소와 밸브 몸체간의 회전식 결합을 가능하게 제공 가능한 나사와 더불어, 삽입 결합도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삽입 결합은 커버 요소 또는 밸브 몸체의 영역 내 다양한 맞물림 위치에서 맞물림이 가능하다. 결합 영역 내에서 높은 또는 낮은 나사 산을 갖는 나사 형성에 추가로, 밸브 몸체와 밸브 요소 사이에서 임의의 상대적 위치 설정을 가능케 하는 클램핑 결합이 또한 가능하다.
바람직한 방법에 있어서 드로틀 개구는 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구는 또한 밸브 몸체 내에 구멍으로서 형성될 수도 있다. 홈 내지 구멍으로서 드로틀 개구의 구성에 추가로, 드로틀 개구는 또한 서로 인접하여 놓이는 두 개 이상의 홈 또는 구멍으로 구성될 수 있다. 압력 조절밸브의 유동 영역 내 드로틀 개구에는 연료를 다시 저장 탱크로 복귀 시키는 귀환 파이프가 연결된다.
본 발명을 기초로하는 해결책의 유익한 구성에서, 밸브 몸체는 밸브 요소를 용기 형태로 둘러싸면서 형성되어 압력 조절 밸브가 매우 간단한 방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연료 공급모듈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라 제안된 방법에 의해 밸브 요소가 유동 압력에 따라 작동됨으로써, 밸브 요소의 행정 높이는 드로틀 개구의 단면이 엔진의 부하 상태에 따라 개방되고, 압력 조절밸브의 개방 시점에 따라 초과되며, 그로 인해 평펀한 특성 곡선 내지(드로틀 개구의 구성에 따라서) 또한 음의 특성 곡선이 달성되도록 다양할 수 있다.
드로틀 개구의 교축(throttling)이 더욱 낮게 이루어질수록, 공회전시 압력 조절장치에 의한 공급량은 더욱 높게 측정된다. 드로틀 개구에서의 교축이 더욱 강할수록, 엔진의 총 부하(full load)시 압력 조절밸브에 의한 공급량은 더욱 적어지는데, 이는 단지 적은 량의 연료만이 드로틀 개구를 통해 저장 탱크 내로 유동되기 때문이다.
제1도는 압력원과 연결된 본 발명에 따르는 압력 조절밸브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유동부 10: 조정 부재
2: 유동 도관 11: 피스톤 벽
3: 유동 압력 15: 커버 요소
4; 밸브 몸체 18: 개구
5: 시트 21: 밸브 챔버
이하,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된다.
도1은 압력원과 연결된, 본 발명에 따르는 압력 조절밸브의 단면을 도시한다.
본원에서 자세히 설명되지 않은 압력원은 연료를 유동부(1)를 통해 압력 조절밸브로 공급한다. 유동 압력(3) 이하인 연료는 유동 도관(2)을 통해 압력 조절밸브 내로 유입된다. 압력 조절밸브는 이동 가능한 커버 요소(15)에 의해 폐쇄된 밸브 몸체(4)를 포함한다. 컵 형태로 구성된 밸브 몸체(4)는 예를 들어 피스톤으로서 형성되는 조정 부재(10)를 포함한다. 밸브 몸체(4) 내에서, 조정 부재(10)를 위한 시트면(5) 상부의 방출 영역에 드로틀 개구(7)가 배치된다. 드로틀 개구(7)로부터 상세히 설명되지 않는 귀환 파이프(8)가 측면에서 연장된다.
조정 부재(10)의 피스톤 헤드(12)와 시트(5) 사이에는, 유동 압력(3)에 의해 유동 도관(2)을 통해 유입되는 연료에 의해 충전되는 간극(6)이 도시된다. 연료는 피스톤 벽(11)을 따라 밸브 챔버(21) 내로 유입되고, 그로부터 개구(18)를 통해 다시 방출된다.
컵 형상의 밸브 몸체(4) 내에 삽입되어 조정 부재(10)로서 형성되는 피스톤은 용기 형태로 구성된다. 피스톤 벽(11)은 상기 피스톤의 내측에서 스프링 특성이 압력의 함수, 즉 F = f(p)가 되는 밸브 스프링(14)을 위한 가이드로서 역할을 수행한다. 밸브 스프링(14)은 자체 확장된 길이의 대부분이 조정 부재(10)의 피스톤 벽(11)으로 둘러 싸여 있다. 그럼으로써 상기 스프링은 측면적으로 일탈되지 않으며 그리고 파단의 위험도 감소한다. 밸브 스프링(14)은 한 편으로는, 조정 부재(10)의 바닥에 의해 지지되며, 다른 한편으로는 스프링 시트(16) 내 커버 요소(15)에 포함되어 있다. 커버 요소(15)는 상부 방향쪽으로 밸브 몸체(4)를 차단하고, 밸브 몸체(4)의 상부 끝에 있는 결합 영역(9) 내에 상기 몸체에 대해 상대 이동이 가능하도록 포함된다. 커버 요소(15) 내에는 예를 들어 구멍으로서 실행된 개구(18)가 포함된다. 커버 요소(15) 내측에 스프링 시트(16)가 배치된다. 커버 요소(15)는 우산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이때 커버 벽(17)은 밸브 몸체(4)의 상부 끝 부분 정도까지 양측면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커버 요소(15)는 예를 들어 밸브 몸체(4)의 결합 영역(9) 내에서 수나사와 함께 결합되는 암나사를 이용하여 장착 가능하다. 그로 인한 커버 요소(15)의 비틀림은, 밸브 스프링(14)이 매우 강하게 혹은 약간 강하게 사전에 맞물려져 스프링 특성을 변하게 한다. 이러한 점은 연료 압력(3)의 작용 시에 조정 부재(10)에 의해 피스톤 영역 상에 놓이게 될 행정 높이(h)에 영향을 준다. 이로써 드로틀 개구(7)는 그 단면에 있어서 다소 원위치로 돌아가게 되는 조정 거리에 따라 유격을 가진다. 한 쌍의 암/수나사에 추가로, 커버 요소(15)와 밸브 몸체(4) 사이의 결합 영역(9) 내에 삽입 결합이 형성되고, 커버 요소(15)와 밸브 몸체(4)의 주연의 결합 영역(9) 내에 다수의 맞물림 위치가 설정될 수 있다. 커버 요소(15)와 밸브 몸체(4) 사이에서 선택된 각 맞물림 위치에 따라 밸브 스프링(14)은 맞물리는데, 그럼으로써 스프링 탄성력은 가변적으로 조정가능하게 된다. 이동 가능한 커버 요소(15)와 밸브 몸체(4)의 조합을 위해 도시된 실시 형태와 더불어 클램핑 결합도 생각해 볼 수 있는데, 이런 결합 방법은 커버 요소(15)의 선택된 위치에 따라 밸브 몸체(4)에 대해 상대적으로 더욱 단단히 맞물리게 할 수 있다.
밸브 몸체(4) 내에 드로틀 개구(7)가 장착되는데, 이런 개구를 통해 압력 조절 밸브의 유동 영역 내에서 유동되는 연료가 저장 탱크 내로 다시 유입된다. 드로틀 개구(7)는 홈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개구에 귀환 파이프(8)가, 설명되지 않은 저장 탱크 방향으로 연결될 수 있다. 홈 형태의 개구로서 드로틀 개구(7)의 실시예에 추가로, 개구는 하나 이상의 인접하여 놓인 구멍으로서, 고객의 사전 제안에 따라 밸브 몸체(4)의 측벽에 형성될 수도 있다.
단지 몇몇의 구성 부품으로 구성되어 매우 단순하게 형성된 압력 조절밸브의 기능이 다음에서 설명된다. 예를 들어, 엔진의 공회전시에 연료의 많은 공급량이 유동 압력(3)에 의해 유동 도관(2)을 통해 밸브 챔버(21) 내로 유입되면, 조정 부재(10)의 피스톤 헤드(12)는 이중 화살표(h)의 상부 방향으로 밀려 올라간다. 커버 요소(15)의 비틀림 위치를 미리 선택함으로써 밸브 몸체(4)에 대해 상대적으로 조정되는 밸브 스프링(14)의 탄성력에 따라, 조정 부재(10)는 상부 방향으로 추진되고, 피스톤 벽(11)는 드로틀 개구(7)를 다소 개방시킨다. 엔진의 부하 상태, 즉 공회전시에 드로틀 개구(7)에서 적은 드로틀 작용이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비교적 낮은 시스템 압력이 제공되고, 비교적 많은 연료량이 드로틀 개구(7)를 통해 귀환 파이프(8)를 거쳐 리저버 탱크로 유입된다.
엔진의 총 부하시에 비교적 적은 연료의 공급량이 밸브 챔버(21) 내로 유입되며, 조정 부재(10)는 단지 약간 위로 이동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드로틀 개구(7)의 적은 단면 영역만이 개방되며, 그럼으로써 더욱 강력한 드로틀 작용이 발생되어, 그로 인해 시스템 내에 상기에 도시된 공회전 상태와 비교하여 더욱 높은 시스템 압력이 형성된다.
드로틀 개구(7)의 설계에 따라 고객 요구 사항에 상응하도록 특성 영역이 평편하게 실행될 수 있다. 고객에 의한 특성 영역 요구에 따라 음의 특성 곡선도 야기될 수 있다. 이러한 점은 드로틀 개구(7)의 설계 및 차원화(dimensioning) 등을 통해 달성된다.
엔진의 각 하중 상태에 상응하게 연료 공급모듈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는 방법에 있어서, 압력 조절 밸브의 유동 영역 내 드로틀 개구(7)의 단면 영역이 압력 조절 밸브의 개방 시점에 따라 평평한 특성 곡선 또는 음의 특성 곡선이 발생되도록 개방하는 방법으로 유동 압력(3)에 따라 밸브 요소(10)는 제어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압력 조절 밸브의 제어 작동을 결정하기 위한 또 다른 변수는 예를 들어 피스톤 벽(11)으로부터 스프링 시트(16) 내부 표면의 정지면 까지의 길이일 수 있거나, 또는 조정 부재(10)의 피스톤 헤드와 스프링 시트(16) 사이에 내장된 밸브 스프링(14)의 길이가 될 수도 있다.
스프링 특성 F=f(p), 즉 피스톤 벽(11)의 길이 및 밸브 몸체(4)에 상대적인 커버 요소(15)의 위치 등을 이용하여 각 요구사항에 따라 완전 상이한 스프링 특성이 설정된다. 평편하거나 또는 음의 특성 곡선은 고객 요구 사항에 따라 드로틀 개구(7)의 차원화를 통해 설계되고, 이러한 점은 본 발명에 따른 압력 조절 밸브의 높은 사용 가능성을 허용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밸브 요소는 유동 압력에 따라 작동됨으로써, 드로틀 개구의 평편한 특성 곡선 내지 음의 특성 곡선이 달성되고, 압력 조절 밸브가 매우 간단한 방법으로 구성되는 생산 비용이 저렴한 연료 공급용 압력 조절밸브가 제공된다.

Claims (14)

  1. 밸브 챔버(21) 및 압력원을 연결하기 위한 유동부(1) 및 설정 가능한 탄성력을 가지는 밸브 스프링(14)에 의해 시트에 장착되는 밸브 요소(10)를 가지며, 밸브 몸체(4) 내에 드로틀 개구(7)가 제공되는 압력 조절밸브에 있어서, 밸브 요소(10)는 엔진의 부하 상태에 상응하게, 귀환 파이프(8)로의 드로틀 개구(7)를 드로틀 개구의 행정 높이(h)에 상응하게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조절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밸브 스프링(14)의 탄성력 F = f(p)이 유동 압력(3)의 함수로서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조절밸브.
  3. 제1항에 있어서, 조정 가능한 커버 요소(15)와 밸브 몸체(4) 내에서 작용하는 밸브 요소(10) 사이에 밸브 스프링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조절밸브.
  4. 제3항에 있어서, 커버 요소(15)는 밸브 몸체(4)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조절밸브.
  5. 제4항에 있어서, 커버 요소(15)와 밸브 몸체(4)는 결합 영역(9)에서 나사를 통해 상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조절밸브.
  6. 제4항에 있어서, 커버 요소(15)와 밸브 몸체(4) 사이의 결합 영역(9)에 삽입 결합을 위한 다수의 맞물림 위치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조절밸브.
  7. 제4항에 있어서 커버 요소(15)와 밸브 몸체(4) 사이에 여러 위치에서 맞물림 가능한 클램핑 결합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조절밸브.
  8. 제1항에 있어서, 드로틀 개구(7)는 홈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조절밸브.
  9. 제1항에 있어서, 드로틀 개구(7)는 구멍으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조절밸브.
  10. 제8항 및 9항에 있어서, 드로틀 개구(7)는 서로 인접하여 놓이는 홈 내지 구멍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조절밸브.
  11. 제1항에 있어서, 밸브 몸체(4)는 밸브 요소(10)를 용기 형태로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조절밸브.
  12. 압력 조절밸브의 분사 시점에 따라 압력 조절밸브의 특성 곡선이 평편한 특성 곡선으로부터 음의 특성 곡선에 이르기까지 조정되도록, 밸브 요소(10)가 유동 압력(3)에 따라서 압력 조절밸브의 방출 영역 내 드로틀 개구(7)의 단면을 가변적으로 개방하는 행정 높이(h)를 복귀시키는, 엔진의 각각의 부하 상태에 상응하게 연료 공급모듈을 조절하기 위한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드로틀개구(7)에서의 교축이 낮게 구성될수록, 엔진의 공회전시 공급량은 압력 조절장치에 의해 더욱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드로틀 개구(7)에서의 교축이 더욱 강하게 형성될수록, 엔진의 총 부하시 공급량은 압력 조절장치에 의해 더욱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00045157A 1999-08-05 2000-08-04 공급 모듈용 압력 조절밸브 KR2001002121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936843.0 1999-08-05
DE19936843A DE19936843C2 (de) 1999-08-05 1999-08-05 Druckregelventil für ein Fördermodu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1210A true KR20010021210A (ko) 2001-03-15

Family

ID=7917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5157A KR20010021210A (ko) 1999-08-05 2000-08-04 공급 모듈용 압력 조절밸브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378500B1 (ko)
JP (1) JP2001082271A (ko)
KR (1) KR20010021210A (ko)
DE (1) DE19936843C2 (ko)
FR (1) FR279731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0373B1 (ko) * 2004-12-01 2013-02-06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유에스, 인코포레이티드 침지식 연료 압력 조절기 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26150B2 (en) * 2001-04-04 2003-09-30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Electronically controlled continuous fuel pressure regulator
US6981490B2 (en) * 2003-03-13 2006-01-03 Denso Corporation Fuel feed apparatus having sub tank and jet pump
AT7374U1 (de) * 2003-09-30 2005-02-25 Tesma Motoren Getriebetechnik Kraftstoffrücklaufventil
KR100773382B1 (ko) 2006-11-29 2007-11-05 현담산업 주식회사 가이드밸브를 이용한 자동차용 연료 압력 조정기
EP1975758A1 (en) * 2007-03-26 2008-10-01 Innas B.V. Device for controlling fluid flow
US9328836B2 (en) * 2009-11-12 2016-05-03 Schrader Electronics Ltd. Pressure regulator valve seals, systems and methods
US8302622B2 (en) * 2010-02-24 2012-11-06 Continental Automotive Systems Us, Inc. Unbalanced inlet fuel tube for a fuel pressure regulator
JP2015206329A (ja) * 2014-04-23 2015-11-19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スクロール圧縮機
WO2021201110A1 (ja) * 2020-04-02 2021-10-07 愛三工業株式会社 流量制御弁
JP7305598B2 (ja) * 2020-04-02 2023-07-10 愛三工業株式会社 流量制御弁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85471B2 (ja) * 1992-02-04 1999-11-29 株式会社デンソー 燃料圧力調整装置
US5279327A (en) * 1992-08-31 1994-01-18 Orbital Walbro Corporation Pressure regulator
US5394900A (en) * 1992-12-15 1995-03-07 Nippondenso Co., Ltd. Pressure regulating valve
JP2557799B2 (ja) * 1993-12-29 1996-11-27 京三電機株式会社 圧力制御弁
US5458104A (en) * 1994-01-14 1995-10-17 Walbro Corporation Demand fuel pressure regulator
DE19618707C2 (de) * 1996-05-09 1998-12-17 Siemens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Regelung eines Kraftstoffvolumenstromes
DE19634899A1 (de) * 1996-08-29 1998-03-05 Bosch Gmbh Robert Druckregelventi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0373B1 (ko) * 2004-12-01 2013-02-06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유에스, 인코포레이티드 침지식 연료 압력 조절기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1082271A (ja) 2001-03-27
DE19936843A1 (de) 2001-02-22
FR2797310A1 (fr) 2001-02-09
DE19936843C2 (de) 2002-08-14
US6378500B1 (en) 2002-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21210A (ko) 공급 모듈용 압력 조절밸브
US20070272217A1 (en) Fuel Supply Device
US6447273B1 (en) Variable-delivery high-pressure fuel pump
US20190049026A1 (en) Pneumatic valve
US5967119A (en) Electronically variable pressure control
JPH0583747B2 (ko)
JP2003510504A (ja) 液体を制御する弁
US5667730A (en) Float bowl attachment for carburetor
US6167905B1 (en) Diaphragm-type gas pressure regulator with drop-in valve subassembly
US6837219B2 (en) Ported pressure relief valve
KR20010101059A (ko) 유체 제어 밸브
EP2093410A1 (en) A fuel injector with an improved valve control arrangement
KR100703921B1 (ko) 고압 저장기를 갖는 내연기관용 연료분사기 및 내연기관
US6296012B1 (en) Fuel pressure regulator with fuel temperature responsive shape memory calibration
KR20020069266A (ko) 내연 기관, 특히 디젤 엔진용 연료 분사 펌프
US6382183B1 (en) Fuel system pressure regulator
KR20020061614A (ko) 유체 제어용 밸브
US6688537B2 (en) Injector loaded from collecting chamber and provided with cascade-shaped control device
EP0309468B1 (en) Variable actuator for a valve
ITMI20012551A1 (it) Iniettore cr pilotato dalla pressione, con comportamento di apertura e di chiusura scalare
US4475514A (en) Fuel injection pump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NZ233664A (en) Boost modified, droop compensated direct acting pressure regulator
JP4025476B2 (ja) インジェクタ
KR200226820Y1 (ko) 디젤연료분사펌프의실내압력조정장치
GB2324336A (en) I.c. engine fuel-injection unit with electromagnetic control val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