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0608A - 비-단일 서비스 시스템용 자원 제어기 - Google Patents

비-단일 서비스 시스템용 자원 제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0608A
KR20010020608A KR1019997012622A KR19997012622A KR20010020608A KR 20010020608 A KR20010020608 A KR 20010020608A KR 1019997012622 A KR1019997012622 A KR 1019997012622A KR 19997012622 A KR19997012622 A KR 19997012622A KR 20010020608 A KR20010020608 A KR 200100206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ource
service
connection request
state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126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앤드류에스. 라이트
헬렌알. 뉴우튼
칼 맨스필드
Original Assignee
오프스웨이브 네트워크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프스웨이브 네트워크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오프스웨이브 네트워크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100206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0608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22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 H04M3/36Statistical metering, e.g. recording occasions when traffic exceeds capacity of trun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3/00Selecting arrangements
    • H04Q3/0016Arrangements providing connection between exchanges
    • H04Q3/0062Provisions for network management
    • H04Q3/0091Congestion or overload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7/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 H04M7/12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for working between exchanges having different types of switching equipment, e.g. power-driven and step by step or decimal and non-decim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4Backbone network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동일한 네트워크 라우터/스위치를 공유하는 네트워크 지원된 제 2 서비스에 의해서 네트워크 지원된 제 1 서비스의 블록킹을 제어하는 장치이다. 네트워크 라우터/스위치에 있는 제어기(1601)는 각각의 제 2 서비스 접속 요구에 대하여 라우터/스위치 서버에 할당되면, 후속적인 제 1 서비스 접속 요구가 봉쇄(1604)될 가능성을 인식한다. 제어기는 제 2 서비스 접속 요구를 할당하는 것이 후속의 제 1 서비스 접속 요구를 봉쇄시킬 것 같지 않다고 결정하면 유휴 서버를 제 2 서비스 접속 요구에 할당한다. 제어기는 제 2 서비스 접속 요구를 할당하는 것이 후속의 제 1 서비스 접속 요구를 봉쇄시킬 것 같다고 결정하면 어떠한 현재의 제 2 접속 요구도 그 시간에 서버에 할당되지 못하도록 한다.

Description

비-단일 서비스 시스템용 자원 제어기{Resource controller for use in a non-unitary service system}
본 발명의 분야는 텔레커뮤니케이션에 속하며, 텔레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를 포함하는데 그것은 다른 서비스들과 결합하여 제 1 회로 스위치된 서비스를 사용한다.
이상적인 전화 스위치 시스템에서, 착신 접속 요구들, 즉, 호출(call)들은 즉시 전화 라인에서 할당된다. 즉, 착신 접속 요구들은 "서버", 즉, 접속 경로가 이용 가능할 때 즉시 제공된다; 그렇지 않으면, 접속 요구는 거부된다.
전화 스위치 시스템의 활용은 임의로 100%(즉, 이상적인 전화 스위치 시스템)에 가깝게 추진될 수 있다. 이 때, 접속 요구들이 스위치로 놓여지는 속도는 스위치에서 진행중인 어느 한 접속기간과 같거나 더 크다. 첫눈에 보기에는, 이것은 시스템이 레비뉴-베어링 트래픽(revenue-bearing traffic)으로 가득 차서 유지되기 때문에 바람직한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그러한 시나리오에 대해서 지불되는 페널티는 연관된 "콜 블로킹 비율(call blocking ratio)", 즉, 접속 요구 거부율이 받아들여질 수 없을 정도로 높을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런 상황은, 이용 가능한 서버 용량의 활용 제고를 얻기 위하여, 서비스 제공자는 단지 호출 요구들의 평균 또는 최하 비율을 만족시키기에 충분한 접속 자원들을 제공하여, 현재 진행중인 콜 접속의 종료시에 새로운 접속 요구가 지금 이용 가능한 접속 자원을 활용하는 것을 확실히 하므로 일어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서비스 시간은 보통 "착신간 시간(inter-arrival)", 즉, 스위치에서 연결 요구 착신 사이의 시간보다 상당히 더 길다. 상기 높은 활용화 상황은 본질적으로 시스템 사용자의 전망으로부터 받아들여질 수 없다. 왜냐하면, 만약, 착신간 시간이 서비스 시간보다 크거나 같다면, 서비스 요구들은 즉시 서비스되지 않아서 이제 모두에게 친숙한 "모든 회로들이 사용중이니 나중에 다시 전화하세요" 메시지가 나올 것이기 때문에, 높은 이용화는 대응적으로 더 높은 블록킹 비율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만족스러운 고객 서비스를 하기 위해서, 서비스 제공자는 과량의 접속 자원들을 제공하여, 접속이 거부되는 가장 나쁜 경우가 적도록, 전형적으로 0.1 내지 1% 단위가 되도록 한다. 예시적인 25 서버 시스템에 대해서, 이것은 시스템의 통신량(traffic)의 서비스 시간에 따라서, 40 내지 60%에 이르는 이용 가능한 시스템 용량의 평균 이용에 대응한다.
작은 서버 시스템에 대해서 이용 가능한 시스템의 평균 이용이 40 내지 60% 있다는 관찰이 "사용되지 않은(unused);" 즉, 이용 가능한 시스템 용량의 사용방법을 구하는 동기를 제공하였다. 이것은, 또한, 같은 스위치/루터를 제 1, 즉, 회로 스위치된 서비스와 공유하는 제 2 패킷 데이터 서비스의 도입으로 귀결되었다.
제 2 서비스의 도입은 상기 제 2 서비스가 제 1 서비스의 그것보다 상당히 짧은 서비스 시간을 가지고 있고, 게다가, 제 2 서비스 시간이 제 1 서비스 접속 요구들의 착신율에 필적하거나 더 짧다는 생각에 기초를 두고 있다. 이러한 조건들 하에서, 제 2 서비스는 제 1 서비스의 사용자에게 분명해 보일 것이다. 왜냐하면, 사용되지 않은 시스템 용량이 제 2 서비스에 의해서 활용되어진다 할지라도, 제 2 서비스에 의해서 사용된 접속 자원들은 블록킹 이벤트, 즉, 제 1 서비스 접속 거부가 발생하기 전에 사용되고 해제되어야만 한다. 그러나, 실제로는, 이것은 단지 몇 개의 고도로 최적화된 시나리오들에서 사실이고, 일반적으로, 제 2 서비스의 도입은 제 1 서비스 블로킹 비율을 증가시킬 것이다.
제 1 서비스에 대해서 고 블록킹 비율을 감소시키려는 시도에서, 서비스 제공자들은 서버가 그들이 할당되어질 곳에 이용 가능하게 될 때까지 짧은 시간 간격 동안 제 1 접속 요구들을 유지하였다. 상기 짧은 시간 간격은 진행 중인 제 2접속을 서비스하는 시간과 바람직하게는 비교된다. 그러나, 이 해결책은 제 2 서비스의 평균 서비스 시간이 충분히 작아서, 서버가 사용 가능하게 되는데 요구되는 대기 시간을 제 1 서비스 서버 사용자가 지각하지 못할 때에만 완전히 성공적이다. 그러나, 제 1 서비스에 대하여 다이얼 톤(dial tone)에 대한 최대 허용 대기 시간이 일반적으로 선호되는 최대 대기 시간인 0.25초보다 적으면, 제 2 서비스 시간들에 대한 제한들은 비정상적으로 심하게 되어 매우 짧은 제 2 서비스 데이터 패킷들을 필요케 한다.
따라서, 제 2 서비스의 도입이 시스템 이용도를 증가시키는 반면, 그것은 또한, 제 1 서비스 접속 요구가 봉쇄될 가능성도 상당히 증가될 것이다. 이 바람직하지 않은 특성은 비록 제 1 서비스 접속 요구들이 선호되는 방식으로 조작된다 해도 시스템에서 고유한 것이다.
따라서, 낮은 제 1 서비스 블록킹 비율을 제 2 서비스 블록킹 비율보다 낮게 유지시키는 한편, 제 1 및 제 2 서비스 모두를 다루는 고활용성을 가지는 통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
도1은 전형적으로 공지된 스위치/루터의 블록도이다.
도2a는 25 서버 시스템에 대한 얼랑-비(Erling-B) 블록킹 곡선 그래프이다.
도2b는 25 서버 시스템에 대한 얼랑-비(Erling-B) 이용 곡선 그래프이다.
도3은 공지된 듀얼 서비스 스위치/루터의 블록도이다.
도4는 듀얼 서비스 서버 시스템에 대한 제 1 서비스 블록킹 이벤트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5는 듀얼 서비스 네트워크의 블록도이다.
도6은 랜덤 액세스 시그널링을 지원하는 듀얼 서비스 서버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7은 듀얼 서비스 네트워크에서 기지국의 블록도이다.
도8은 듀얼 서비스 네트워크에서 종래기술의 서버의 상태도이다.
도9a는 종래의 서버 제어기를 이용하여 기지국의 OTA 자원이용예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9b는 종래의 서버 제어기를 이용하여 기지국에서 제 1 및 제 2 서비스 접속 요구 블록킹 퍼센트의 예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10은 기지국에서 콜 사이 지연의 예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11은 듀얼 서비스 서버에 채용된 본 발명에 따른 자원 임계값 제어기의 블록도이다.
도12는 듀얼 서비스 서버에 채용된 자원 임계값 제어기의 상태도이다.
도13a는 본 발명에 따라 자원 임계값 제어기를 사용하여 기지국의 자원 이용예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13b는 본 발명에 따라 자원 임계값 제어기를 사용하여 기지국에서 서비스 접속 요구 블록킹 퍼센트의 예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14는 본 발명에 따라 자원 임계값 제어기를 사용하여 기지국에서 보류된 헤드룸을 변화시킨 결과를 도시하는 도표이다.
도15는 제 1 서비스 접속 요구 착신율과 보류된 헤드룸에 기초하여 기지국에서 자원 이용예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16은 듀얼 서비스 시스템에 채용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확률적인 자원 제어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17은 본 발명에 따라 채용된 "probability_of_N_terminating" 서브루틴의 의사 부호이다.
도18은 본 발명에 따라 채용된 "Resource_estimator" 루틴의 의사 부호이다.
도19는 듀얼 서비스 서버 시스템에 채용된 양호한 확률적인 자원 제어기의 상태도이다.
도20은 과중한 부하 조건 및 가벼운 부하 조건을 가진 기지국의 블록킹 도표 그래프예이다.
본 발명은 높은 이용도를 가지며 제 1 서비스 접속 블록킹 비율을 낮게 유지하는 한편 제 1 서비스 및 기타 서비스를 다루는 통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제 1 서비스 접속 요구의 블록킹 비율을 최소화 하면서 네트워크가 제 1 서비스 및 기타 서비스를 지원하는 네트워크 스위치 혹은 루터에서 제어기를 채용하는 장치 및 방법으로 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어기는 유휴서버에 제 2 서비스 요구를 할당하기 전에 현재의 제 1 서비스 요구를 유휴 서버에 할당하여 제 1 서비스 접속 요구에 우선을 둔다. 상기 제어기가 제 2 서비스 접속 요구를 진행할 것을 결정하면, 제 2 서비스 접속 요구에 대한 서버의 할당이 제 1 서비스에 의해 사용하기 위한 보류된 서버의 임계값을 감소시키는 지를 먼저 점검한다. 보류된 서버의 임계값은 제 1 서비스 사용을 위해서 보유한 서버의 수이다. 제 2 서비스 접속 요구에 대한 서버 할당이 보류된 서버의 임계값을 감소시키지 않는다면, 제어기는 제 2접속 요구에 유휴 서버를 할당한다. 그러나, 만약, 제 2접속 요구에 대한 서버 할당이 보류된 서버의 임계값을 감소시키면, 제어기는 제 2 서비스 접속 요구에 대한 서버 할당을 거부하고 제 2 서비스 접속 요구를 블록킹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반적인 목적은 제 1 및 제 2 서비스를 모두 취급하는 네트워크 상에서 낮은 제 1 서비스 블록킹 비율을 지원하는 것이다. 기타 목적 및 본 발명의 특징, 장점은 첨부된 도면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이하에서 자세히 이해하게 될 것이다.
도1을 참조하면, 전형적인 M/M/m 서버 시스템(101)이 도시되어 있고 다수의 접속 요구(102)가 스위치 제어기(103)에 의해서 수신되고 있다. 접속 요구(102)는 서버(104)가 이용 가능하다면, 스위치 제어기(103)에 의해서 접속 요구가 각 서버(104), 즉, 접속 경로에 할당된다. 접속 요구(102)가 각 서버(104)에 할당되면, 진행(105) 중인 접속이 된다. 서버(104)가 사용될 수 없으면, 스위치 제어기(103)는 접속 요구(102)를 거부한다.
M/M/m 서버 시스템(101)의 M/M/m 용어는 서버 시스템(101)의 특성을 나타낸다. 첫 번째 글자 "M"은 수신 과정의 성질을 포함하며, "M"이 'poisson'을 가리키고 "G"는 일반을 가리킨다. 두 번째 "M"은 착신 서버 시스템 접속 요구와 관련된 서비스 시간의 통계적인 분포를 포함하고 "M"은 지수적임을 나타내고, "G"는 일반적인 것을 나타내고 "D"는 결정적임을 나타낸다. 마지막 글자 "m"은 스위치 제어기(103)에서 사용 가능한 서버(104)의 최대수를 포함한다.
접속 요구(102)의 착신율은 프와송(poisson) 진행으로 특징되고 진행(105)중에 각각의 접속이 지수분포에서 이끌어 지는 서비스 시간을 가지면, 얼랑-B(Erlang-B) 블록킹 및 이용 곡선은 스위치 제어기(103)의 서버(104)의 이용가능한 용량의 이용과 접속 요구(102)가 거부되는 비율을 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도2a는 소형, 최대 25 서버, 서버 시스템에 대한 얼랑-B 블록킹 곡선(205)의 예를 도시하고 도2b는 최대 25 서버로 구성된 소형 서버에 대한 얼랑-B 이용 곡선(210)예를 도시한다.
도2b의 얼랑-B 이용 곡선(210)에 의하면, 접속 요구가 각각의 스위치 제어기와 위치되는 속도가 상대적으로 높을 때, 서버 이용은 100%에 가깝게 임의로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런 상황에 대하여 지불되는 대가는 도2a의 얼랑-B 곡선(205)에서 보듯이, 서비스 접속 요구의 관련된 블록킹 비율은 받아들일 수 없을 정도로 높다. 따라서, 만족할 만한 가입자 서비스를 확실히 하기 위해서 공지의 시스템은 접속요구가 거부되는 최악의 가능성, 즉, 봉쇄됨이 대략 0.1% 내지 1%가 되도록 한다. 일예로 25 서버 시스템에서, 이것은 사용가능한 서버 용량의 40 내지 60 퍼센트의 평균 이용에 해당한다.
소형 서버 시스템에서 40 내지 60 퍼센트의 이용은 상기 서버 시스템에 제 2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부가하는 동기를 제공하였는데, 상기 제 2서비스는 제 1 회로 스위치된-서비스와 동일한 스위치/루터를 공유한다. 도3을 참조하면, 듀얼 서비스 스위치/루터(301)는 서버 제어기(306)로 이루어진다. 다수의 제 1 서비스 접속 요구(302)는 서버 제어기(306)에 의해서 수신된다. 제 1 서비스는 회로 스위치된 서비스로 음성, 즉, 전화 ,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비교적 낮은 접속 요구 착신율 및 진행 서비스 횟수에서 비교적 긴 접속으로 특징지어진다.
제 1 서비스 접속 요구(302)는 서버 제어기(306)에 의해 각 서버(304)에 할당되고 서버(304)가 이용 가능하면, 진행(305)중인 접속이 된다. 서버(304)가 이용가능하지 않으면, 서버 제어기(306)는 제 1 서비스 접속 요구(302)를 봉쇄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서버 제어기(306)는 잠정적으로 제 1 서비스 접속 요구(302)를 보류하고, 즉, 서버(304)가 사용 가능하지 못하므로 그것을 버리기로 결정하기 전에 서버가 서비스 할 수 있게 되는 경우에, 특정한 수명, 시간동안 제 1 서비스 접속 요구(302)를 보류한다.
다수의 제 2 서비스 접속 요구(303)는 서버 제어기(306)에 의해서 역시 수신된다. 제 2 서비스는 패킷 데이터 서비스인데, 데이타 메시지로 구성될 수 잇고, 상대적으로 높은 접속 요구 착신율과 진행 서비스 횟수에서 상대적으로 짧은 접속으로 특징된다. 제 2 서비스 접속 요구(303)는 서버(304)가 사용가능하고 서버 제어기(306)에 현재 제 1 서비스 접속 요구(302)가 없다면 서버 제어기(306)에 의하여 각 서버(304)에 할당된다. 제 1 서비스 접속 요구(302)에서 처럼, 제 2 서비스 접속 요구(303)가 각 서버(304)에 할당되면, 진행(305) 중인 접속이 된다. 그러나, 서버(304)가 이용 가능하지 않다면, 서버 제어기(306)에 현재 적어도 하나의 제 1 서비스 접속 요구가 있다면, 서버 제어기(306)는 제 2 서비스 접속 요구(303)을 봉쇄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서버 제어기(306)는 임시로 제 2 서비스 접속 요구(303)를 보류하며, 즉, 즉, 서버(304)가 사용 가능하지 못하므로 그것을 버리기로 결정하기 전에 서버가 서비스 할 수 있게 되는 경우에, 특정한 수명, 시간동안 제 1 서비스 접속 요구(303)를 보류한다.
도4를 참조하면, 음성으로 이루어진 제 1 서비스와 데이터로 이루어진 제 2 서비스는 동시에 예로 든 5-서버 시스템에서 제공된다. 시간(405)에서, 진행(410) 중인 두 가지 제 1 서비스 접속, 진행(410) 중인 두 가지 제 2 서비스 접속(411) 및 한 가지 나머지 "idle", 즉, 사용되지 않는 서버(412)가 있다. 첫 번째 시간 간격동안(415), 상기 시스템은 하나의 제 2 서비스 접속 요구(420)를 수신한다. 사용하지 않는 하나의 서버(412)가 있고 현재 제 1 서비스 접속 요구도 없으므로, 서버 제어기는 사용되지 않는 서버(412)를 제 2 서비스 접속 요구(420)에 할당한다. 따라서, 시간(425)에서 진행(426) 중인 두 개의 제 1 서비스 접속, 진행(427) 중인 3 개의 제 2 서비스 접속이 있으므로 유휴 서버는 남지 않는다.
두 번째 시간 간격(430) 동안, 진행 중인 하나의 제 1 서비스 접속과 진행 중인 하나의 제 2 서비스 접속이 착신되고 제 1 혹은 제 2 서비스 접속 요구는 시스템에 의해서 수신되지 않는다. 따라서, 시간(435)에서 진행(440) 중인 제 1 서비스 접속, 진행(441) 중인 제 2 서비스 접속 및 두 개의 유휴 서버(442)가 남게 된다.
셋째 시간 간격(445) 동안, 상기 시스템은 두 개의 제 1 서비스 접속 요구(450) 및 3 개의 제 2접속 요구(455)를 수신한다. 제 1 서비스 접속 요구에는 우선권이 주어지므로, 각각의 서버 제어기는 2 개의 각각의 제 1 서비스 접속 요구(450)를 유휴 서버에 할당한다. 시스템에서 최대 5 개의 서버가 있고 모두 지금 할당되어 있으므로, 서버 제어기는 3 개의 제 2 서비스 접속 요구(455)를 봉쇄한다. 따라서, 시간(460)에서 진행(465) 중인 3 개의 제 1 서비스 접속, 진행(466) 중인 두 개의 제 2 서비스 접속이 있고 유휴 서버는 남지 않는다.
마지막, 네 번째 시간 간격(470) 중에, 시스템은 하나의 제 1 서비스 접속 요구(475) 및 4 개의 제 2 서비스 접속 요구(480)를 수신한다. 이용 가능한 유휴 서버가 없으므로 시스템은 제 1 서비스 접속 요구(475) 및 4 개의 제 2접속 요구(480)를 봉쇄한다. 따라서, 시간(485)에서, 진행(490) 중인 3 개의 제 1 서비스 접속, 진행(491)인 2 개의 제 2 서비스 접속이 있고, 유휴 서버는 남지 않는다. 그러나, 시스템이 제 2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는다면, 시간(460)에서 진행(466) 및 시간(485)에서 진행(491) 중인 두 개의 제 2 서비스 접속에 할당된 2 개의 서버가 유휴가 되므로 제 1 서비스 접속 요구(475)는 서버에 할당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시스템에 제 2 서비스의 도입은 제 1 서비스 접속 요구를 봉쇄하는 결과를 가져온다.
본 발명에 따른 듀얼 서비스 서버 시스템의 현재의 양호한 실시예는 도5의 네트워크(501)로 제 1 , 스위치된, 서비스 및 2차,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모두 지원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네트워크(501)는 무선 네트워크이다. 또 다른 네트워크 실시예는 근거리 통신망("LAN") 및 광역망("WAN")을 포함하는 유선 혹은 무선/유선을 포함한다. 또한, 네트워크가 단지 두 가지 서비스를 지원할 요구조건도 없다. 예를들면, 트라이-서비스(tri-service) 서버 시스템 기지국은 예를 들면 음성, 데이터 및 필요에 따라서는 화상을 지원하는 네트워크에 사용될 수 있다.
네트워크(501)는 공중(over-the-air) 통신 링크(545), 즉, 공중전파(radio airwave)를 통해서 다수의 네트워크 가입자(503)와 통신하는 다수의 기지국(502)으로 이루어져 있다. 각 기지국(502)은 통신링크(506)를 통해서 기지국(502)과 기지국 제어기(555)를 연결하는 제 1 서비스 인터페이스(도시안됨)을 가지고 있다. 각각의 기지국(555)은 통신 링크(560)를 통해서 회로 스위치된 네트워크(505)에도 역시 연결되어 있다. 회로 스위치된 네트워크(505)는 GSM 혹은 POTS 네트워크가 될 수도 있다. 통신 링크(506)는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디지털 전파 링크 혹은 전화선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링크(560)는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디지털 전파 링크 혹은 전화선을 포함할 수 있다.
각 기지국(502)은 통신 링크(509)를 통해서 기지국(502)을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508)에 접속하는 제 2 서비스 인터페이스(도시안됨)도 가지고 있다. 또한, 각각의 기지국(502)은 통신 링크(506)를 통해서 기지국 제어기(555)와 통신할 수 있으며; 또한, 각각의 기지국 제어기(555)는 통신링크(506)를 통해서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508)와 통신할 수 있다. 통신 링크(509)는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디지털 전파 링크 혹은 전화선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링크(550)는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디지털 전파 링크 혹은 전화선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기지국(502)은 현재의 제 1 및 2차의 서비스 접속 요구를 유지하기 위하여 네 개의 큐(queue)(도시안됨)를 사용한다. 첫째 큐는 가입자-개시 제 1 서비스 접속 요구를 위한 것이고 두 번째 큐(queue)는 스위치된 네트워크(505)에서 전송된 제 1 서비스 접속 요구에 대한 것이다. 셋째 큐는 접속자-개시 제 2 서비스 접속 요구에 대한 것이고 넷째 큐는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508)에서 전송된 제 2 서비스 접속 요구에 대한 것이다.
각각의 기지국(502)은 또한 랜덤 액세스 신호, 즉, 네트워크 가입자(503)로부터 시그널링 접속 요구를 수신하는 데, 상기 시그널링 접속 요구는 가입자 액세스를 네트워크(501)로 요청한다. 그 다음, 각 기지국(502)은 현재의 시그널링 접속 요구를 유지하기 위하여 다섯 번 째 큐 혹은, 기타 메모리 저장 할당을 가질 수 있다.
현재의 양호한 실시예에서, 각 기지국(502)은 각 기지국(502)의 공중("OTA") 자원을 포함하는 32 업링크/다운 링크(uplink/downlink) "슬롯 쌍"(도시되지 않음)을 가지고 있다. 특히, 기지국(502)의 슬롯쌍은 기지국(502)과 가입자(503)간의 통신을 위한 서버이다. 기지국(502) 상의 서버는 기지국(502)에 의하여 수신된 시그널링 접속 요구에 대해서 영구히 보류된다; 상기 서버는 그럴 필요는 없지만 항상 동일한 기지국 서버이다. 따라서, 베이스 서버 스테이션(502) 상에 31-서버는 제 1 및 제 2 서비스 접속 요구를 지원할 수 있다. 다른 실시에에서, 하나 이상의 서버는 시그널링 접속 요구에 보류될 수 있고/또는 가능하면, 한번에 하나의 서버 이상으로 진행 중인 시그널링 조건으로 할당될 수 있다.
도6을 참조하면, 각각의 기지국(502)은 다수의 가입자-개시 제 1 서비스 접속 요구(605), 다수의 네트워크-개시 제 1 서비스 접속(606), 다수의 가입자-개시 제 2 서비스 접속 요구(607), 다수의 네트워크-개시 제 2 서비스 접속 요구(608) 및 다수의 시그널링 접속 요구(609)를 수신한다. 어떤 접속 요구(605, 606, 607, 608, 609)가 각 기지국 서버(615)에 할당될 때, 상기 접속 요구는 진행(620) 중인 접속이 된다.
제 1 서비스 접속 요구(605, 606)의 착신율과 각 기지국(502)에서 진행(620) 중인 제 1 서비스 접속의 서비스 횟수는 일반적으로, 꼭 그렇지는 않지만, 발신 소스(source), 즉, 네트워크-발신 혹은 가입자-발신에 관계없이 동일하다. 제 2 서비스 접속 요구(607, 608)의 착신율과 각 기지국(502)에서 진행(620) 중인 제 2 서비스 접속의 서비스 횟수는 또한 꼭 그렇지는 않지만, 발신 소스(source)에 관계없이 동일하다. 그러나, 접속 요구 착신율과 각 서비스, 즉, 제 1 및 2차에 관계된 진행 서비스 횟수에서 접속은 다르다. 특히, 제 1 서비스는 일반적으로 제 2 서비스보다 진행 서비스 횟수에서 보다 긴 접속이 되고 보다 늦은 접속 요구 착신율로 특징이 된다.
도7을 참조하면, 도6의 기지국(502)은 기지국의 OTA 자원(715)를 관리하기 위한 종래 기술의 서버 제어기(710)가 장착되어 있다. 특히, 각 기지국의 서버 제어기(710)는 제 2 서비스 접속 요구보다 우선하여 제 1 서비스 접속 요구를 서브하도록 하고 시그널링 접속 요구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의 각 기지국을 할당하기 위하여 서버 배분기(apportioner) 부속체(sub entity)(720)와 서버 검사기(surveyor) 부속체(725)로 구성되어 있다. 서버 겁사기(725)는 각 기지국의 OTA 자원(715)을 검사하고 하나 이상의 서버가 유휴 중인지 따라서, 접속 요구를 지원할 수 있는지 결정한다. 현재의 양호한 실시예에서, 각 기지국은 32-업링크/다운링크 슬롯쌍, 즉, 기지국의 OTA 자원(715)를 포함하는 서버를 가지며; 이러한 32-슬롯 쌍(740)의 16예가 설명되어 있다. 서버 분배기(720)는 현재의 제 1 및 제 2접속 요구(730, 731, 732, 733)과 랜덤 액세스 시그널링(735)의 한 큐, 즉, 현재의 시그널링 접속 요구를 검사하고 유휴 서버, 즉, 진행 중인 접속에 할당되지 않은 슬롯 쌍(740)을 우선순위의 방식으로 현재의 접속 요구에 할당한다. 특히, 서버 분배기(720)는 시그널링 접속 요구를 적어도 한 서버에 할당하고 제 2 서비스 접속 요구에 우선하여 제 1 서비스 접속 요구를 서브한다.
도8은 종래의 서버 제어기(도시안됨)의 상태도를 도시한다. 서버 제어기는 각 기지국에 현재 접속 요구가 없다면 유휴 서버 상태(801)가 된다. 하나 이상의 접속 요구가 걸려 있다면, 서버 제어기는 각각의 서버 분배기(820)의 자원을 요구하고 유휴를 요구 전이(830), 검사 요구 상태(802)로 만든다.
유휴에서 요구 전이(830)일 때, 서버 제어기는 각 서버 검사기(825)의 서비스를 요구하고, 자원 전이(835)가 검사 자원 상태(806)로 되게 한다. 검사 자원 상태(806)에서, 서버검사기(825)는 각 기지국(도시 안됨)의 OTA 자원을 검사하고 접속 요구를 지원하는 데 현재 사용될 수 있는 모든 가능한 서버에 대한 포인터 혹은 지수, 혹은 주소를 결정하거나 또 다르게는 OTA 자원이 완전히 이용되어 있다는 것, 즉, 현재의 접속 요구에 할당할 사용 가능한 서버가 없으므로 블록킹 조건이 존재한다는 것을 결정하다. 그러면, 서버 검사기(825)는 상기 정보를 서버 분배기(820)에 전달하여, 서버 제어기가 요구 전이(840)자원을 검사 요구 상태(802)로 되돌린다.
자원이 요구 전이(840)일 때, 서버 분배기(820)는 서버 제어기가 각각의 기지국 서버, 혹은 서버를, 현재의 접속 요구에 할당할 수 있는지를 결정하는 데 서버 검사기(825)에 의해 공급되는 정보를 사용한다. 서버 분배기(820)가 각각의 기지국에 현재 접속 요구가 없다고 결정하면, 서버 제어기는 유휴 전이(845)에 대한 요구를 유휴 서버 상태(801)로 만든다.
서버 분배기(820)는 서버 검사기(825)가 블록킹 조건을 인식했다고 결정하면 서버 제어기는 유휴 전이(845)에 대한 요구를 유휴 서버 상태(801)로 만든다.
서버 분배기(820)가 하나 이상의 시그널링 접속 요구가 각각 기지국에 걸려있고 서버 검사기(825)는 이용 가능한 기지국 서버가 있다고 식별하면 서버 제어기는 시그널링 배분 전이(855)에 대한 요구를 시그널링 상태(803)에 대한 분배 자원으로 만든다. 서버 분배기(820)가 하나 이상의 제 1 서비스 접속 요구가 걸려있고 다른 시그널링 접속 요구가 각 기지국에 걸려 있지 않고 서버 검사기(825)가 이용 가능한 기지국 서버가 있다고 인식하면 서버 제어기는 음성 분배 전이 (860)에 대한 요구를 음성 상태(804)에 대한 분배 자원으로 만든다. 서버 분배기(820)는 하나 이상의 서비스 접속 요구가 걸려 있고 각 기지국에 시그널링 접속 요구 혹은 제 1 서비스 접속 요구가 걸려 있지 않고, 서버 검사기(825)는 이용 가능한 기지국 서버가 있다고 인식하면, 서버 제어기는 데이터 분배 전이(865)에 대한 요구를 데이터 상태(805)에 대한 데이터 분배 전이(865)로 만든다.
시그널링 상태(803)에 대한 분배 자원에서, 서버 분배기(820)는 각 기지국에 걸려 있는 모든 시그널링 접쇽 요구를 검사하고 서브될 시그널링 접속 요구를 선택한다. 선택된 시그널링 접속 요구의 수명시간, 즉, 접속 요구가 각 스테이션에 걸려 있는 때로부터 일정한 시간 제한이 만료되지 않았고, 서버 분배기(820)는 서버 검사기(825)에 의해 식별된 사용 가능한 서버로부터 선택된, 기지국 서버, 혹은 서버를 할당하면, 서버 제어기는 요구 전이에 대한 시그널링 분배를 겁사 요구 상태(802)로 되돌린다. 그러나, 선택된 시그널링 접속 요구의 수명이 끝났다면, 서버 분배기(820)는 각 큐에서 버리고 서버 제어기는 요구 전이(870)에 대한 시그널링 분배를 검사 요구 상태(802)로 되돌린다.
음성 상태(804)에 대한 분배 자원에서, 서버 분배기(820)는 각 기지국에서 모든 현재의 제 1 서비스 접속 요구를 검사하고 서브될 제 1 서비스 접속 요구를 선택한다. 선택된 제 1 서비스 접속 요구의 수명 시간이 만료되지 않고, 서버 분배기(820)는 서버 검사기(825)에 의해서 식별된 사용 가능한 서버에서 선택된 기지국, 혹은, 서버를 할당하면, 서버 제어기는 요구 전이(875)에 대한 음성 분배를 검사 요구 상태(802)로 되돌린다. 그러나, 선택된 제 1 서비스 접속 요구의 수명이 만료되면, 서버 분배기(820)는 각 큐에서 그것을 버리고 서버 제어기는 요구 전이(875)에 대한 음성 분배를 검사 요구 상태(802)에 되돌린다.
데이터 상태(805)에 대한 분배에서 서버 분배기(820)는 각 기지국에서 모든 현재의 제 2 서비스 접속 요구를 검사하고 서브될 제 2 서비스 접속 요구를 선택한다. 선택된 제 2 서비스 접속 요구의 수명 기간이 만료되지 않고, 서버 분배기(820)는 서버 검사기(825)에 의해서 식별된 사용 가능한 서버에서 선택된 기지국, 혹은, 서버를 할당하면, 서버 제어기는 요구 전이(880)에 대한 데이터 분배를 검사 요구 상태(802)로 되돌린다. 그러나, 선택된 제 2 서비스 접속 요구의 수명이 만료되면, 서버 분배기(820)는 각 큐에서 그것을 버리고 서버 제어기는 요구 전이(880)에 대한 데이터 분배를 검사 요구 상태(802)로 되돌린다.
도9a를 참조하면,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 제어기(710)가 있는 각 기지국에 대한 OTA 자원 이용에 대한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1.0의 착신율은 총 제 1 서비스, 즉, 회로 스위치된, 매 10초당 하나의 접속 요구의 착신율과 총 제 2 서비스, 즉, 패킷 데이터, 초당 2개의 착신율에 해당한다. (도9a 및 도9b는 단순 스케일링 팩터(factor)에 의해서 상기 베이스 비율에 관련된다. 평균 서비스 시간, 즉, 진행 시간 중인 접속은 제 1 서비스에 대해서는 120초이고 제 2 서비스에 대해서는 2초이다. 각 기지국의 총 OTA 자원 이용(901)은 기지국의 네트워크-발신 및 가입자-발신 제 1 서비스 OTA 자원 이용(902), 해당 네트워크-발신 제 2 서비스 OTA 자원 이용(903) 및 가입자-발신 제 2 서비스 OTA 자원 이용(904)의 총합이다. 도9a의 이용곡선은 가입자-발신 제 2 서비스 트래픽은 네트워크-발신 제 2 서비스 트래픽을 위하여 희생된다; 즉, 접속 요구의 착신율이 증가할수록, 제 2 서비스 가입자-발신 트래픽(904)에 의한 각 기지국 OTA 자원 이용은 감소되고 한편 제 2 서비스 네트워크-발신 트래픽(903)에 의한 OTA 자원 이용은 증가한다.
도9b를 참조하면, 제 1 서비스 네트워크-발신(910) 및 가입자-발신(911) 접속 요구에 대한 블로킹 비율, 또한 제 2 서비스 네트워크-발신(915) 및 가입자-발신(916) 접속 요구에 대한 블로킹 비율의 예는 도7에 도시된 것처럼 서버 제어기(710)가 있는 각 기지국에 대하여 설명되어 있다. 0.8 이상의 모든 착신율에 대하여, 가입자-발신 제 1 접속 요구(곡선 911)는 해당 가입자-발신 제 2 서비스 접속 요구(곡선 916)보다 높은 비율로 봉쇄되고 네트워크-발신 제 1 접속 요구(곡선 910)는 해당 네트워크-발신 제 2 서비스 접속 요구(곡선 915)보다 높은 비율로 봉쇄된다. 따라서, 블록킹 곡선(910, 911, 915, 916)의 예는 2차, 즉, 패킷 데이터, 서비스는 제 1 , 즉, 스위치된, 서비스 접속 요구를 봉쇄할 가능성을 크게 증가시킬 것이다. 그러므로, 도7의 서버 제어기(710)는 각 기지국서버를 제 2 서비스 접속 요구에 우선하여 현재의 제 1 서비스 접속 요구에 할당한다는 사실에도 불구하고, 제 1 서비스의 블록킹은 여전히 일어날 수 있다.
도10은 기본적인 문제점을 설명한다; 대단히 많은 제 2 서비스 접속 요구, 즉, 제 2 서비스 접속 착신(1005)이 있고 제 1 서비스 접속 요구(착신)(1010)보다 더욱 자주 일어나므로 마지막 이용 가능한 각 기지국 슬롯 쌍, 즉, 서버가 제 2 서비스 접속 요구에 할당될 가능성이 제 1 서비스 접속 요구에 할당될 가능성을 초과하여, 결과적으로, 관련된 제 1 서비스 블록킹 비율은 증가한다.
따라서, 도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기지국(도시안됨)에는 자원 임계값 제어기(1101)가 장착되어 있다. 자원 임계값 제어기(1101)는 기지국 서버가 제 2 서비스 접속 요구에 할당된 후에 베이스 서비스 스테이션에서 일어날 수 있는 제 1 서비스 접속 요구의 소정의 수 즉, 보류된 헤드룸을 기지국 OTA 자원(1115)이 지원할 수 없다면 제 2 서비스 접속 요구가 각 기지국에 할당되지 못하도록 하는데 사용되는 보류된 헤드룸 제어 규칙을 수행한다.
상기 자원 임계 제어기(1101)는 자원 분배기(1120) 및 자원 판단기(determinor)(1125)로 구성된다. 자원 임계값 제어기(1101) 접근은 제 1 서비스에 의해 사용되기 위해서 보류된 각 기지국의 보류된 헤드룸을 프리세팅(pre-setting)하여서 제어되는 제 2 서비스 접속 요구에 대한 서버 할당으로 인해서 제 1 서비스 블록킹 비율을 허용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서버의 보류된 헤드룸의 수는 기지국에 대한 적절한 명령으로 서비스 공급자에 의해서 설정될 수 있다. 자원 임계값 제어기(1101)는 현재의 제 2 서비스 접속 요구에 대한 각 기지국의 할당이 사용 가능한 유휴 서버의 수를 보류된 헤드룸 이하가 되도록 하는 경우, 제 2 서비스 접속 요구를 봉쇄한다.
보류된 헤드룸이 자원 임계값 제어기(1101)가 제 1 서비스 접속 요구에 대한 가능한 유휴 서버의 최대수를 유지하면, 제 2 서비스 접속 요구가 서버에 할당되지 않을 것이므로 제 1 서비스 블록킹은 제 2 서비스 때문에 일어나지는 않을 것이다. 그러나, 상기 상황에서, 제 1 서비스 접속 요구 착신율이 각 기지국의 OTA 자원(1115), 즉, 기지국의 집합적인 서버를 강요할 정도로 충분히 높다면, 제 1 서비스 블록킹은 여전히 일어날 것이다. 역으로, 보류된 헤드룸이 영으로 설정되면, 보류된 헤드룸 제어는 효과적으로 디스에이블되고(disabled) 도4를 참조하여, 특히 이미 언급된 것처럼 제 2 서비스는 제 1 서비스를 봉쇄할 것이다. 따라서, 제 1 서비스 블록킹 비율은 보류된 헤드룸을 신중하게 설정하여 서비스 제공자에 의하여 설정될 수 있다. 보류된 헤드룸 제어 규칙의 도입은 특정한 수의 기지국 서버가 제 1 서비스에 의하여 사용되기 위하여 보류된다는 것을 확신해 준다.
도12는 도11의 자원 임계값 제어기(1101)의 상태도를 나타낸다. 자원 임계값 제어기(도시안됨)는 각 기지국에 현재 접속 요구가 없다면 유휴 영역 상태(1201)에 있다. 하나 이상의 접속 요구가 각 기지국에 현재 있다면, 자원 임계값 제어기는 각 자원 분배기(1215)의 자원을 요구하고, 체크 요구 전이(1225)에 대한 유휴를 체크 요구 상태(1202)로 만든다.
체크 요구 전이(1225)에 대한 유휴일 때, 자원 임계값 제어기는 자원 판단기(1220)의 서비스를 요구하고 체크 자원 전이(1230)에 대한 체크 요구를 체크 자원 상태(1203)로 만든다. 체크 자원 상태(1203)에서, 자원 판단기(1220)는 각 기지국의 OTA 자원을 검사하고 지원될, 즉, 서브될 부가적인 접속 요구의 현재 수를 결정하고, 접속 요구를 지원하기 위하여 현재 사용될 수 있는, 모든 가능한 서버에 대한 포인터, 지수, 어드레스를 결정하고 즉, 현재의 접속 요구에 할당될 이용 가능한 서버가 없고 따라서, 블록킹 조건이 존재한다. 자원 판단기(1220)는 그 다음 상기 정보를 자원 분배기(1215)에 공급하고, 자원 임계값 제어기는 체크 요구 전이(1231)에 체크 자원을 체크 요구 상태(1202)로 되돌린다.
체크 요구 전이(1231)에 대한 체크 자원일 때, 자원 분배기(1215)는 자원 임계값 제어기가 각 기지국 서버, 혹은, 서버가 현재의 접속 요구에 할당될 수 있는지를 결정하기 위하여 자원 판단기(1220)에 의해 제공된 정보를 사용한다. 자원 분배기(1215)가 각 기지국에 현재 접속 요구가 없다고 결정되면, 자원 임계값 제어기는 유휴 전이(1226)에 대한 체크 요구를 유휴 영역 상태(1201)로 만든다. 자원 분배기(1215)는 자원 판단기(1220)가 블록킹 조건이 존재한다고 확인되었다고 결정하면, 자원 임계값 제어기(1226)는 유휴 전이(1226)에 대한 체크 요구를 유휴 영역 상태(1201)로 만든다.
자원 분배기(1215)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시그널링 접속이 각각의 기지국에서 고정되면 자원 판단기(1220)는 이용 가능한 기지국 서버를 인식하고, 이때 자원 임계 제어기는 시그널링 분배 변환기(1235)가 시그널링 상태를 가지는 분배 자원(1204)으로 출력되는 점검 요구를 생성한다.
자원 분배기(1215)가 결정되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제 1 서비스 접속 요구가 고정되거나 시그널링이 없거나 또는 제 1 서비스 접속 요구는 각각의 기지국에서 고정되며, 자원 판단기(1220)는 이용 가능한 기지국 서버를 인식하고, 제 2 서비스 접속 요구에 의한 기지국 서버의 할당은 서버의 보류된 헤드룸 수를 감소되지 않는다.
이때 자원 임계 제어기는 제 2 분배 변환(1237)을 제 2 서비스 상태가 있는 분배 자원(1206)으로 보내어 검사 요구를 생성한다.
그러나 자원 배분기(1215)가 정해지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제 2 서비스 접속 요구는 고정 및 신호가 없거나 제 1 서비스 접속 요구가 각각의 기지국에서 고정되지만 비록 자원 판단(1220)이 인식하지만 서버가 이용가능하고, 그것은 제 2 서비스 접속 요구하는 서버의 할당이 서버의 보류된 헤드룸 수를 감소시킨다. 이때 자원 임계 제어기는 고정된 제 2 서비스 접속 요구를 블록하고 유휴 변환(1226)을 유휴 지배 상태(1201)로 출력하여 검사 요구를 생성한다.
시그널링 상태가 있는 배분 자원(1204)에서 자원 분배기(1215)는 각각의 기지국에서 고정된 신호 접속 요구를 모두 시험하고, 신호 접속 요구를 수행하도록 선택한다. 전체적인 선택된 신호 접속 요구가 종료되면 자원 분배기(1215)는 기지국 서버나 또는 서버들을 할당하고, 이용 가능한 서버가 자원 판단기(1220)에 의해 인식되는 것으로부터 선택되며, 이때 자원 임계 제어기는 검사 요구 변환(1240)에서 검사 요구 상태(1202)로 백업하여 시그널링 배분을 생성한다.
그러나 전체적인 선택된 시그널링 접속 요구가 종료되면 자원 배분기(1215)는 각각의 대기행렬을 포기하고, 자원 임계 제어기는 검사 요구 변환(1240)을 검사 요구 상태(1202)로 백업하여 시그널링 배분을 생성한다.
첫 번째 실시예에서 선택된 시그널링 접속 요구는 각각의 기지국에서 가장 늦은 현재의 시그널링 접속 요구이다.
실시예에서 선택된 시그널링 접속 요구는 우선 설계된 것을 기초로 한다.
제 1 서비스 상태를 가지는 배분 자원(1205)에서 자원 분배기(1215)는 각각의 기지국에서의 고정된 제 1 서비스 접속 요구 모두이고, 제 1 서비스 접속 요구가 수행되도록 선택한다.
전체적인 선택된 제 1 서비스 접속 요구가 종료되면 자원 분배기(1215)는 기지국 서버 또는 서버들을 할당하고, 자원 판단기(1220)에 의해 인식된 이용 가능한 서버에서 선택되며, 이때 자원 임계 제어기는 검사 요구 변환(1241)에서 검사 요구 상태 (1202)를 백업하여 제 1 배분을 생성한다.
그러나 전체적인 선택된 제 1 서비스 접속 요구가 종료되면 자원 배분기(1215)는 각각의 대기를 포기하고, 자원 임계 제어기는 검사 요구 변환(1241)을 검사 요구 상태 1202로 백업하여 제 1 배분을 생성한다.
첫 번째 실시예에서, 선택된 제 1 서비스 접속 요구는 개별 기지국에서의 가장 늦은 현재의 제 1 서비스 접속 요구이다.
실시예에서, 선택된 제 1 서비스 접속 요구는 우선 설계된 것을 기초로 한다.
제 2 서비스 상태를 가지는 배분 자원(1206)에서 자원 분배기(1215)는 개별 기지국에서의 고정된 제 2 서비스 접속 요구를 모두 검사하고, 제 2 서비스 접속 요구를 수행하도록 선택한다.
전체적인 선택된 제 2 서비스 접속 요구가 종료되지 않으면 자원 배분기(1215)는 기지국 서버 또는 기지국들을 할당하고, 자원 판단기(1220)에 의해 인식된 이용 가능한 서버를 선택하며, 이때 자원 임계 제어기는 검사 요구 변환(1242)에서 검사 요구 상태(1202)를 백업하는 제 2 배분을 생성한다.
그러나 전체적인 선택된 제 2 서비스 접속 요구가 종료되면 자원 배분기(1215)는 개별 대기신호를 포기하고, 자원 임계 제어기는 검사 요구 변환(1242)에서 검사 요구 상태(1202)를 백업하는 제 2 배분을 생성한다.
첫 번째 실시예에서, 선택된 제 2 서비스 접속 요구는 개별기지국에서의 가장 늦은 고정된 제 2 서비스 접속 요구이다.
실시예에서, 선택된 제 2 서비스 접속 요구는 우선 설계된 것을 기초로 한다.
도 13a을 참조하면, 도 11에서 설명한 자원 임계 제어기(1101)을 가지는 개별 기지국의 모든 OTA 자원 이용 1301은 4개 서버의 전형적인 보류된 헤드룸을 사용하는데, 기지국의 네트웍 발신과 가입자 발신 제 1 서비스 OTA 자원 이용(1303)으로 구성되고 기지국의 네트웍 발신 제 2 서비스 OTA 자원 이용(1304)과 가입자 발신 제 2 서비스 OTA 자원 이용 1305로 구성된다.
이용 곡선 (1302)와 (1303)은 자원 임계 제어기를 이용한 것을 나타내고, 개별 기지국 서버는 제 2 서비스 접속 요구를 선호하는 제 1 서비스 접속 요구를 할당하며, 제 1 서비스 접속 요구 속도가 증가하므로 제 2 서비스 접속 요구를 할당하는 개별 기지국 서버의 수는 전형적으로 감소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4개 서버의 전형적인 예비 헤드룸을 사용하여, 도 11에서 설명한 자원 임계 제어기(1101)을 갖는 기지국에 대한 제 1 서비스 네트워크과 가입자 접속 요구(1320)의 전형적인 블록킹 속도는 제 2 서비스 네트워크와 가입자 접속 요구(1325)에 대한 전형적인 블록킹 속도보다 훨씬 낮다.
도 13a의 제 1 서비스 사용 곡선 1302와 도 13b의 제 1 서비스 블록킹 속도 곡선은 제 1 서비스 OTA 자원 사용 속도가 40%-60%가 될 때 제 1 서비스 접속 요구 블록킹 속도는 0.1%-1%가 된다.
이 결론은 제 1 서비스 접속 요구 블록킹 속도가 이상적인 동작점으로서 제 2 서비스는 제 1 서비스와 관련이 적거나 충돌이 없다.
도 14를 설명하면 각각 제 1, 제 2 서비스가 로드하는 동안 도 11에서 설명한 자원 임계 제어기(1101)을 사용하여 각각의 기지국에 대한 예비 헤드룸이 변화하는데, 즉 접속 요구 도착 속도와 진행 서비스 시간 접속은 일정하고 제 1 서비스 블록킹 속도가 높아질 때 요구하는 수준으로 정해진다. 그러나 제 2 서비스 블록킹 속도는 증가한다.
부가적으로, 예비 헤드룸이 매우 크면 제 1 서비스 블록킹 속도는 낮게 유지되고, 이때 각각의 OTA 자원의 이용 가능은 최대가 된다. 즉 서버는 제 2 서비스에 의해 일반적으로 얻을 수 없다.
이 상태는 예비 헤드룸의 최적 선택이 일반적으로 정해진 시스템 로딩 조건만 정정하므로서 악화된다. 즉 각각의 시스템 공급 서비스을 진행하는 정해진 연결 번호는 서비스 특성 연결 요구 도착 속도와 진행 서비스 시간의 연결을 갖는다.
도 15를 참조하면, 각각의 기지국에서 제 1 서비스 연결 요구 도착 속도(1501)이 특히 낮으면 예비 헤드룸 (1503)이 낮게되며, 그것에 의하여 각각의 기지국의 OTA 자원 이용(1502)가 최대가 되는 제 2 서비스를 허용한다.
이 상태에서 로우(low) 예비 헤드룸은 일반적으로 복합 제 1 서비스 연결 요구가 어는 한 시점에서 매우 낮게 되는 도달되는 가능성을 허용한다.
반대로, 각각의 기지국에서 제 1 서비스 연결 요구 도착 속도 1501이 상대적으로 높으면 예비 헤드룸 (1503)은 또한 높으며, 각각의 기지국의 제 2 서비스 OTA 자원 이용 (1502)를 최소화 한다. 그러나 정해진 제 1 서비스 블록킹 속도는 유지되는 것이 보장된다.
유지를 바라지만 하이(high) 제 1 서비스 연결 요구 도착 속도를 가지며, 정확히 예비 헤드룸을 정하므로 제 2 서비스는 각각의 기지국의 최대 OTA 자원 이용(1502)을 갖는다.
그러므로 도 16을 참조하면, 현재 관현된 구현은 기지국이 각각의 기지국의 제 1과 제 2 서비스 연결 요구와 시그널링 연결 요구 및 기지국의 OTA 자원(1607)을 운영하는 4개의 서브(sub)로 구성된 자원 제어기(1601)을 사용한다.
자원 제어기(1601)은 고정되어 이용되지 않고, 서버의 예비 헤드룸 수를 예측하며, 대신에 각각의 기지국을 이용하는 최적의 예비 헤드룸을 재평가하거난 업데이트하는 예비 헤드룸 제어 규칙을 이용한다.
최적 예비 헤드룸은 제 1 서비스 연결 요구를 예비한 각각의 기지국 서버의 번호이고, 각각의 기지국에서 제 1 서비스 블록킹 속도가 원하는 값일 때 유지되는 것이 보장되며, 이 동안에 제 2 서비스는 기지국 서버의 이용을 최대로 허용한다.
현재 관련된 구현은, 각각의 기지국에 대한 제 1 서비스 블록킹 속도는 기지국으로 적절한 명령이 서비스 공급자에 의해 정해진다.
자원 제어기(1601)의 첫 번째 서브는 자원 모니터(1603)이다.
자원 모니터(1603)은 제 1,제 2 서비스에 대한 각각의 기지국의 4개의 고정된 연결 요구 대기(1617)으로 구성된 입력 1606의 첫 번째 그룹이다. 즉 기지국의 서버이다.
자원 모니터(1603)은 각각의 기지국의 제 1,제 2 서비스 연결 요구와 이들의 평균 도착 속도를 측정하는 것을 테스트 한다.
특히 자원 모니터(1603)은 제 1 서비스 연결 요구 도착 속도 λP와 제 2 서비스 접속 요구 도착 속도 λS이다. 즉 제 1,제 2 서비스 접속 요구 번호는 초당 각각의 기지국에 의해 수신된다.
자원 모니터(1603)은 또한 진행중 제 1,제 2 서비스 접속의 평균 서비스 시간이 측정된다.
즉 각각의 서버(1607)의 평균시간은 서비스에 대한 접속 요구가 서버(1607)에 있을 때 이용된 것이다.
특히 자원 모니터(1603)은 각각의 기지국에 대한 평균 제 1 서비스 시간과 평균 제 2 서비스 시간을 측정한다.
자원 모니터(1603)에 의해 구해진 통계는 정확한 것이 보장되는데, 이는 각각의 OTA 자원(1607)을 직접 모니터하며, 입력(1614)에 대하여 적절한 모니터링 기술을 이용한다.
자원 모니터(1603)에 의해 구해진 파리미터 값의 측정, 즉 λP, λS, μPS는 자원 모니터 출력(1613)을 포함한 정확한 표본이나 이용가능한 기술로부터 구해진다.
확률 자원 제어기(1601)의 제 2 서브는 자원 인식기 1605이다. 자원 인식기(1605)는 각각의 기지국의 OTA 자원(1607)로부터 상태정보를 구성하는 제 1 입력(1610)을 가진다.
자원 인식기(1605)는 각각의 기지국의 OTA 자원(1607)을 테스트하고, 진행상 접속된 현재 신호 ηP, ηS의 번호를 측정한다(도시되지 않음).
진행상 접속된 수는 자원 인식기(1605)의 제 1 출력(1611)를 포함한다. 각각의 기지국 서버(1607)이 부가 접속 요구 공급하는 것이 현재 이용가능하면 자원 인식기 (1605)는 또한 측정한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각각의 서버 (1607)이 이용 가능하면 자원 인식기(1605)는 정확한 포인터 또는 인덱스 또는 어드레스를 측정한다.
각각의 서버(1607)이 이용가능하지 않으면 인식기(1605)는 블록킹 조건 여부를 측정한다. 즉 비접속 요구가 수행된다.
각각의 이용 가능한 서버 요구 또는 인덱스 또는 어드레스 또는 블록킹 조건 상태는 자원 인식기의 제 2 출력(1615)를 포함한다.
확률 자원 컨트롤러(1601)의 제3 서브는 자원 할당기(1602)이다. 자원 할당기(1602)는 제 1, 제 2 서비스에 대한 각각의 기지국의 4개 고정 접속 요구 대기 1617을 구성하는 입력(1620)의 제 1 그룹을 가지고 제 2 입력 1609는 현재의 시그널링 접속 요구를 포함하는 신호 대기(1616)으로 구성된다. 즉 랜덤 억세스 신호는 각각의 기지국에 의해 수신된다(도시되지 않음). 자원 할당기 1602는 각각의 자원 인식기 출력(1615)으로 포함하는 제3 입력(1615)를 가진다.
특히 자원 할당기의 제3 입력(1615)는 이용가능한 서버 포인터 또는 인덱스 또는 어드레스이거나 또는 블로킹 조건 상태는 자원 인식기(1605)에 의해 측정된다.
자원 할당기(1602)는 각각의 자원 측정기 출력(1618)으로 구성된 4개의 입력(1618)을 가진다.
특히 자원 할당기의 제 4 입력(1618)은 각각의 자원 측정기(1604)에 의해 계산된 예비된 헤드룸이다. 자원 할당기(1602)는 수행되고 각각의 기지국의 OTA 자원(1607)에 할당된다. 그러므로 자원 할당기(1602)는 각각의 기지국의 접속 요구로 서버(1607)의 할당을 포함하는 OTA 자원(1607)로 출력(1608)을 보낸다.
자원 할당기(1602)는 서비스 공급자의 서비스 방향이 부가되는 것이 보장되며, OTA 자원(1607)의 전반적인 이용은 최대가 된다.
특히 자원 할당기(1602)는 고정된 제 1 또는 제 2 서비스 접속 요구중에서 선택하여 고정된 시그널링 접속 요구를 진행하고, 고정된 제 2 서비스 접속 요구를 선택한 제 1 서비스 접속 요구를 진행한다. 할당시 예비 헤드룸 서버가 감소되면 자원 할당기 (1602)는 기지국 서버(1607)로 고정된 제 2 서비스 접속 요구가 할당되지 않는다.
자원 할당기(1602)는 또한 제 1, 제 2 서비스에 대한 네트워크와 가입자 접속 요구간에 서버 할당을 균등히 유지한다.
확률 자원 제어기(1601)의 제 4, 최종 서브는 자원 측정기(1604)이다. 자원 측정기 (1604)는 각각의 자원 모니터의 출력(1613)에 연결된 제 1 입력(1613)을 입력받는다.
특히 자원 측정기의 제 1 입력(1613)은 자원 모니터(1603)에 의해 구해진 파라미터 λP, λS, μPS의 측정치이다.
자원 측정기(1604)는 각각의 자원 인식기의 출력(1611)에 연결된 제 2 입력(1611)이 입력된다. 특히 자원 측정기의 제 2 입력(1611)은 각각의 자원 인식기(1605)에 의해 측정된 ηP에서의 제 1 서비스 접속번호, ηS에서의 제 2 서비스 접속번호와 각각의 기지국상에서 진행하는 시그널링 접속번호이다.
자원 측정기(1604)는 명시된 접속 요구로 기지국 서버(1607)의 할당을 우선적으로 사용하여 최적의 예비 헤드룸을 계산하여 응답한다. 출력(1618)을 구성하는 자원 측정기(1604)에 의해 계산된 예비 헤드룸은 자원 할당기(1602)로 입력되고, 자원 할당기(1602)는 정확히 제 2 서비스 접속 요구를 각각의 서버(1607)을 할당을 유지하며, 그것에 의하여 OTA 자원 이용을 최소화하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제 2 서비스 서버 할당을 정확히 받지 않고 이에 따라 제 1 서비스 블록킹 속도를 유지한다.
각각의 기지국의 자원 측정기(1604)는 현재 시스템 동작점이 주어진 최적의 예비 헤드룸을 계산한다.
시스템의 동작점은 파라미터 λP, λS, μPS, ηP, ηS,에 의해 명시된다. 각각의 자원 인식기(1605)와 자원 모니터(1603)으로부터 이 파라미터 값이 구해지며, 자원 측정기(1604)는 확률이 계산되는데, 이는 N 제 1 서비스 접속 요구는 포이즌 도착 10 공식에서 관측시간 tobs내에서 도착된다.
(1)
자원 측정기(1604)는 또한 확률을 계산하는데, 진행중 k 제 2 서비스 접속은 관측 시간 tobs동안 종료되고, 진행중 ηS제 2 서비스 연결이 주어지며, 평균 서비스 시간 μS가 있는 지수로부터 그려진다.
(2)
이 확률은 (2)식으로 표현된다.
(3)
L은 대략적인 큰 번호이다.
같은 방법으로 자원 측정기(1604)는 또한 확률을 계산하는데, k 제 1 서비스 접속은 관측 시간 tobs동안 종료되고, 진행 중 ηp제 1 서비스 연결이 주어지며, 평균 서비스 시간 μS가 있는 지수로부터 그려진다.
(4)
확률은 다음 식으로 표현된다.
(5)
L은 대략적인 큰 번호이다.
같은 방법으로 자원 측정기(1604)는 또한 확률을 계산하는데, k 제 1 서비스 접속은 관측 시간 tobs동안 종료되고, 진행중 ηp제 1 서비스 연결이 주어지며, 평균 서비스 시간 μp가 있는 지수로부터 그려진다.
확률은 다음식으로 표현된다.
(6a)
여기서,
(6b)
상기 명시된 1 - 5식은 각각의 제 1 및 제 2 서비스 시간이 길이에서 지수적으로 분포되고, 각각의 제 1 및 제 2 서비스 도착 속도는 포이즌 분포임을 가정한다.
2 - 5식은 각각의 제 1 및 제 2 서비스에 대한 진행중의 접속의 최대 번호를 계산하는데 사용하는데, 시간 간격 tobs에서 종료되는 변화는 95% 또는 그 이상이 된다.
명시된 시간 간격 내에서 각각의 기지국이 고정되는 제 1 서비스 접속 요구의 희망하는 수가 각각의 서버의 수를 초과하면 지수 제 1 서비스 블록킹 조건 존재는 동시간 간격동안 이상적이다.
상기 1 - 6 식 이용하여 자원 측정기(1604)가 제 1 서비스 블록킹 이벤트 측정기를 계산하며, 이것은 N 제 1 서비스 연결 요구가 어떤 연속 시간 간격 동안 각각의 기지국에서 고정되는 확률이다.
즉, tobs하나 또는 그 이상 블록이다.
(7)
(8a)
(8b)
(8c)
자원 측정기(1604)는 블록킹 확률을 결정하는데, 즉 P(블록킹)는 각각의 기지국의 서비스 공급자에 의해 정의된 제 1 서비스 블록킹 속도 초과를 제7식에 의해 계산하는데, 이때 이용 가능한 헤드룸의 현재 레벨은 불충분 한 것으로 추측되며, 각각의 자원 할당기(1602)는 동시간 제 2 서비스 접속 요구로 각각의 기지국 할당기 (1607)가 할당되지 않는 정보이다.
부가적인 서버는 기지국에서 제 1, 제 2 서비스 접속이 존재하는 결과로 인해 이용 가능할 때 까지 기지국에서 고정된 제 2 서비스 접속 요구가 각각의 서버에 할당되지 않는다.
확률 자원 제어기(1601)에서 기지국 증가시 제 1 서비스 접속 요구 도착 속도 또는 기지국 증가시 서비스 시간 진행중 평균 제 2 서비스 접속과 같은 연관 확률은 고정된 제 2 서비스 접속 요구가 각각의 서버 감소로 할당된다.
또한 확률 자원 제어기(1601)에서 기지국 감소시 진행중 제 2 서비스 접속 수 이용가능한 각각의 기지국 서버 감소 수로서 연관 확률은 고정된 제 2 서비스 접속 요구가 또한 감소되어 각각의 서버에 할당된다.
도 17을 참조하면 도 16에서 설명한 각각의 자원 제어기(1601)의 자원 측정기(1604)는 상기 6a - 6b 식을 계산하는 유사 코드 서브루틴(1701) "probability_of_N_terminating"의 관련 코드 명령을 실행하며, 명시된 시간 간격에서의 결과 변화율이 95% 또는 그 이상을 갖는 각각의 기지국에서 제 1 또는 제 2 서비스 접속의 최대 수를 계산하는데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도 16에서 설명한 각각의 자원 제어기(1601)의 자원 측정기(1604)는 상기 1 - 8식에서 계산되는 "Resource_estimator" 유사 코드 루틴(1801)의 관련 코드 명령을 실행하며, 서비스 공급자가 "블록킹 임계값(blocking_threshold)" 파라미터 (1802)에 관련되는 제 1 서비스 블록킹 속도를 정의한 각각의 기지국에 대한 예비 헤드룸을 계산하는데 있다.
도 19는 도 16의 자원 컨트롤러(1601)의 상태 다이어그램을 설명한다.
각각의 기지국에서 고정된 접속 요구가 없다면 자원 제어기는 이상적인 제어기 상태(1901)이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접속 요구가 각각의 기지국에서 고정되면 자원 제어기는 시험 OTA 자원 변환(1940)이 시험 OTA 자원 상태(1902)로 출력되는 이상적인 것이다.
시험 OTA 자원 변환(1940)이 이상적인 경우 자원 제어기는 각각의 자원 인식기 (1915)의 서비스를 요구한다. 자원 인식기(1915)의 측정 가능한 OTA 자원 요소 (1925)는 각각의 기지국의 OTA 자원의 현재 상태를 측정하며, 서버의 이용 가능한 수를 결정하는데, 진행상 새로운 접속, 제 1, 제 2 접속의 수와 포인터 또는 인덱스 또는 어드레스를 공급하며 가능한 서버 전부와 서버 조합은 진행상 새로운 접속을 쉽게 공급한다.
측정 이용 가능한 OTA 자원 요소(1925)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각각의 기지국 서버을 인식하면 이용가능한데, 자원 제어기는 검사 접속 요구 변환(1942)에서 검사 접속 요구 상태(1903)으로 시험 OTA 자원을 생성한다.
그러나 검사 가능한 OTA 자원 요소(1925)는 현재 이용가능한 각각의 기지국 서버가 없으면 자원 제어기는 모든 고정된 접속 요구는 블록킹 조건과 대립되는데, 즉 아무것도 이 시간에 서버가 할당되지 않고 이상변환(1941)이 이상 제어 상태(1901)로 검사 OTA 자원을 생성한다.
검사 OTA 자원이 시험 접속 요구 변환(1942)를 생성시 자원 제어기는 각각의 기지국의 고정된 접속 요구를 시험하는 자원 할당기(1910)의 서비스를 요구한다.
먼저 자원 제어기는 자원 할당기(1910)가 전체의 접속 요구가 모두 종료되는 것을 결정할 때 각각의 대기로부터 모든 접속 요구가 해제된다.
이때 자원 할당기(1910)이 각각의 기지국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 고정된 시그널링 접속 요구되는 것이 결정되면 자원 컨트롤러는 시그널링 할당 변환(1646)에서 시그널링 상태(1905)로 할당 OTA 자원에 대한 시험 접속 요구를 생성한다.
다른 방법으로, 자원 할당기(1910)는 하나 또는 그 이상 고정된 제 1 서비스 접속 요구와 각각의 기지국에서의 고정되지 않은 신호 접속 요구를 결정하면 자원 제어기는 제 1할당 변환 1947을 제 1 서비스 상태(1906)로 할당 OTA 자원을 발생하는 검사 접속 요구를 생성한다.
다른 방법으로, 자원 할당기(1910)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고정된 제 2 서비스 접속 요구와 각각의 기지국에서의 제 1 서비스 접속 요구가 결정되면 자원 제어기는 검사 헤드룸 변환(1948)이 검사 예비 헤드룸 상태(1904)로 출력하여 검사 접속 요구를 생성한다.
그러나 자원 할당기(1910)는 각각의 기지국에서 고정되지 않는 접속 요구가 결정되면 자원 제어기는 이상적인 변환기(1945)에서 이상적인 제어기 상태(1901)로 시험 접속 요구를 생성한다.
할당 OTA 자원이 시그널링 상태(1905)로 보내지는데, 자원 할당기(1910)는 각각의 기지국에서의 고정된 신호 접속 요구를 검사하고 신호 접속 요구가 수행되도록 선택한다.
자원 할당기(1910)는 이때 서버 또는 서버들로 할당되고, 각각의 자원 인식기(1915)의 측정 이용 가능한 OTA 자원 요소(1925)로 인식된 가능한 서버들로부터 선택되며, 선택된 신호 접속요구로 가능 자원 제어기는 이때 이상 변환(1955)에서 이상 컨트롤러 상태(1901)로 할당 시그널링을 생성한다.
첫 번째 실시예에서 선택된 시그널링 접속 요구는 각각의 기지국에서 가장 오래되고 고정된 시그널링 접속 요구이다.
실시예에서 선택된 신호 접속 요구는 먼저 설계된 것을 기초로 한다.
제 1 서비스 상태로 가는 할당 OTA 자원(1906)에서 자원 할당(1910)은 각각의 기지국에서 고정된 제 1 서비스 접속 요구를 검사하고 제 1 서비스 접속 요구가 수행하도록 선택한다.
자원 할당기(1910)는 이때 서버 또는 서버들을 할당하고, 선택된 제 1 서비스 접속 요구가 있는 각각의 자원 인식기(1915)에 의해 인식된 이용가능한 서버를 선택하며, 자원 제어기는 이때 이상적인 변환기(1956)에서 이상적인 제어기 상태(1901)로 우선적으로 할당을 생성한다.
첫 번째 실시예에서 선택된 제 1 서비스 접속 요구는 각각의 기지국에서의 가장 오래되고 고정된 제 1 서비스 접속 요구이다.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선택된 제 1 서비스 접속 요구는 우선적으로 설계된 것을 기초로 한다.
검사 보류 헤드룸 상태 1904에서 자원 컨트롤러는 개별 자원 인식기(1915), 자원 모니터(1930)과 자원 측정기(1920)의 서비스를 요구한다.
자원 인식기(1915)의 측정 가능한 OTA 자원 요소(1925)는 각각의 기지국의 OTA 자원의 현재 상태를 결정하고, 이용 가능한 서버의 수를 결정하는데, 제 1의 현재 수 ηP, 제 2 ηS를 진행 중 새로운 접속에 공급하고 진행중 서비스 접속은 포인터 또는 인덱스 또는 어드레스가 있으며 가능한 서버와 서버 조합 모두는 진행 중 현재 새로운 접속을 공급한다.
각각의 자원 모니터(1930)의 측정 접속과 서비스 통계 요소(1931)은 각각의 새로운 제 1, 제 2 서비스 접속 요구와 각각의 기지국에서 진행되는 각각의 제 1 서비스 시간과 제 2 서비스 접속을 모니터하고, 이때 각각의 제 1, 제 2 서비스에 대한 평균 착신율 λP, λS와 평균 서비스 시간 μPS를 계산한다.
각각의 자원 측정기(1920)의 계산된 보류 헤드룸 요소(1921)은 측정 이용 가능한 OTA 자원 요소(1925)(즉 ηP, ηS)에 의해 구해진 파라미터 값을 이용하고, 측정 접속과 서비스 통계 요소 1931(즉 λP, λS, μPS)이 명시된 제 1 서비스 블록킹 속도는 초과되지 않도록 최적 보류 헤드룸을 계산한다.
검사 보류된 헤드룸 상태(1904)에서 자원 할당(1910)은 각각의 자원 측정기(1920)이 인식되는 것이 결정되면 제 2 서비스 접속 요구로 각각의 기지국 서버의 할당은 보류 헤드룸 서버를 감소하고, 이때 가능 자원 제어기는 제 2 할당 변환(1950)이 제 2 서비스 상태(1907)로 할당 OTA 자원을 통해 검사 헤드룸을 생성한다.
자원 할당기(1910)는 각각 자원 측정기(1920)이 인식되는 것이 결정되면 제 2 서비스 접속 요구로의 각각의 기지국 서버의 할당은 예비 헤드룸 서버가 감소되고, 이때 자원 제어기는 고정된 제 2 서비스 접속 요구 블록, 즉 고정된 제 2 서비스 접속 요구가 거부되고 이상적인 변환(1949)가 이상적인 컨트롤러 상태(1901)로 입력되어 검사 헤드룸을 생성한다.
제 2 서비스 상태(1907)로의 할당 OTA 자원에서 자원 할당기(1910)는 각각의 기지국에서 고정된 제 2 서비스 접속 요구를 모두 검사하고, 제 2 서비스 접속 요구를 수행하도록 선택한다.
자원 할당기(1910)는 이때 서버 또는 서버들로 할당되고, 선택된 제 2 서비스 접속 요구가 있는 각각의 자원 인식기(1915)의 측정 가능한 OTA 자원 요소(1925)에 의해 정의된 이용 가능한 서버로부터 선택되고, 자원 제어기는 이때 이상적인 변환(1957)이 이상적인 제어기 상태 (1901)로 제 2 할당이 생성된다.
첫 번째 실시예에서 선택된 제 2 서비스 접속 요구는 각각의 기지국에서 가장 오래 고정된 제 2 서비스 접속 요구이다.
실시예에서 선택된 제 2 서비스 접속 요구는 선호하는 설계를 기초로 하였다.
도 20을 참조하면 기지국에서의 과부하 조건을 각각의 전형적인 블록킹 테이블 (2001)의 빗금 친 기재 (2003)과 (2004)이고, 기지국에서의 가벼운 로딩 조건이 (2002)로 되는데, 기지국에서 진행되는 제 1 서비스와 제 2 서비스 접속의 수의 조합을 설명하며, 이는 지수적인 제 1 서비스 블록킹에서의 결과이다.
그러므로 이 조합은 기지국의 자원 제어기에 의해 발생되는 것으로부터 방지한다.
실제로 제 2 서비스 접속 요구의 도착 속도는 종종 상대적으로 하이가 되는데, 전형적으로 초당 한 개 또는 두 개의 요구는 각각의 기지국에 의해 수신된다.
결과적으로 계산된 요지는 각각의 자원 컨트롤러(1601)의 자원 측정기(1604)는 도 13에서 설명되는데, 제 1, 제 2 서비스 도착 속도와 서비스 시간의 변화율이 상대적으로 낮으면 경감된다.
그러므로 명시된 베이스 상태 동작점에 대한 실시예는 가능 도표화 자원 제어기의 도표화 측정기가 상기 1 - 8식을 이용하여 진행중 제 1, 제 2 접속의 각각의 가능한 조합에 대한 최적 보류 헤드룸을 계산하고 검사 테이블에 결과를 저장한다. 즉 "블록킹" 테이블이다.
이것은 자원 제어기의 각각의 할당기를 허용하고, 고정된 제 2 서비스 접속 요구를 프로세싱하는데, 진행상 제 1, 제 2 접속의 현재 수의 간단한 함수로 원하는 정보를 즉시 검사하며, 오히려 기다릴 때 필요한 계산을 완성하는 각각의 자원 측정기에 대한 자원 할당기가 필요하다.
블록킹 테이블은 각각의 기지국의 트래픽 통계로서 좌표 측정기에 의해 배경 테스크에 업데이트되며, 즉 제 1, 제 2 서비스의 도착 속도와 서비스 시간이 변화된다.
모든 다른 양상에서, 자원 제어기는 도 16의 자원 제어기(1601)과 비슷한 방법에서의 일반적인 구조와 기능이다.
이중 서비스 네트워크의 제 1, 제 2 서비스의 도착 속도와 서비스 시간은 이상 포이즌과 지수 분포가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7식의 상기 정의된 측정치 P(블록킹)는 양호하거나 그렇치 않다.
그러므로 실시예에서 적합한 자원 제어기는 각각의 기지국에 의해 반복되는 제 1 서비스 블록킹 속도를 모니터하고, 하중은 제 1 서비스 블록킹 속도에 의해 측정되는 P(블록킹)에 있는 OTA 자원 할당에 관하여 결정한다.
특히 도 16에서 설명한 각각의 적절한 자원 제어기의 적절한 모니터의 응답은 각각의 자원 컨트롤러(1601)의 자원 모니터(1603)으로부터 확장되는데, 각각의 기지국에서 제 1 서비스에 의해 반복되는 실제 블록킹 속도는 또한 모니터되고 저장된다.
실제 제 1 서비스 블록킹 속도가 서비스 공급자에 의해 명시된 블록킹 속도보다 높으면 이때 블록킹 임계이다. 즉 도 18의 "블록킹 임계값( blocking_threshold)" 파라미터(1802)는 정해진 적절한 자원 제어기에 의해 이용되거나 또는 제 2 서비스 접속 요구를 각각의 기지국 서버로 할당되지 않을 때 감소된다.
반대로 실제 제 1 서비스 블록킹 속도는 서비스 공급자가 명시한 값보다 작고, 이때 블록킹 임계값(blocking_threshold) 파라미터(1802)는 증가된다. 그러나 제어 루프는 적절한 자원제어기의 알고리즘 계산에서 안정을 유지하도록 장시간 상수를 갖는다.
특히 실제 블록킹 속도의 측정 계산과 그 결과 블록킹 임계값(blocking_threshold) 파라미터(1802)가 확장된 시간 주기후에 수행되어 업데이트 된다. 예로서 결과인 블록킹 임계값(blocking_threshold) 파라미터 업데이트 사이의 시간 주기는 여러 시간이다.
실시예에서의 모든 다른 상황에서 적절한 자원 컨트롤러는 좌표화 자원 제어기를 같은 방법으로 한 일반적인 구조와 기능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각각의 기지국에서 제 1, 제 2 서비스 도착 속도와 서비스 시간과 제 1 서비스 블록킹 속도에서의 데이터는 일, 주, 월의 다른 시간으로부터 구해지거나 또는 다른 사용 시간 프레임은 진행중 제 1, 제 2 서비스 접속의 조합에 대한 최적의 보류 헤드룸을 계산하는 기지국의 적절한 자원 제어기를 사용한다.
실시예에서 각각의 기지국은 프로세서를 가지며, 상기 설명한 자원 임계 제어기, 자원 제어기, 자원 제어기와 적절한 자원 제어기 기능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명령을 실행하는 메모리에 관계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20)

  1. 할당 후 이용 가능한 자원의 수가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을 때면 제 2 서비스 접속에 자원을 할당하고,
    할당 후 이용 가능한 자원의 수가 상기 임계값보다 작을 때면 제 2 서비스 접속에 자원을 할당하지 않는 것을 수행하는 코드로 구성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비하는 매체를 판독할 수 있는 기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값은 고정된 소정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값은 가변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값을 적응성 있게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코드를 더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값을 제 1 서비스 접속 요구에 대응하여 자원 할당을 최대화 하고 자원이 할당되지 않는 제 2 서비스 접속 요구의 수를 최소화 하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값은 자원이 할당된 제 1 서비스 접속의 수와 자원이 할당된 제 2 서비스 접속의 수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7. 제 4 항에 있어서,
    제 1 서비스 접속 요구가 자원 할당이 되지 않는 비율을 모니터링하고;
    상기 비율이 설정된 비율보다 작을 때는 상기 임계값을 감소시키고;
    상기 비율이 상기 설정된 비율보다 클 때에는 상기 임계값을 증가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코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비율은 작동자 입력에 의해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9. 제 4 항에 있어서,
    다수의 엔트리(entry)를 포함하고, 상기 엔트리는 상기 임계값을 나타내고 제 2 서비스 접속에 자원을 할당할 것인지를 결정하기 위하여 데이터 베이스에 표(table)를 액세스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코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표의 상기 엔트리를 업데이트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코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11. 하드웨어 인터페이스에서부터 제 1 세트의 스테이터스(status) 정보를 구비하는 입력과 제 1 출력과 제 2 출력을 구비하는 자원 인식기;
    다수의 큐(queue)를 구비하는 제 1 입력, 상기 하드웨어 인터페이스에서 제 2 세트의 스테이터스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입력, 하나의 출력을 포함하는 자원 모니터;
    상기 자원 인식기의 상기 제 1 출력을 포함하는 제 1 입력, 상기 자원 모니터의 상기 출력을 포함하는 제 2 입력, 하나의 출력을 포함하는 자원 평가기; 및
    상기 다수의 큐를 포함하는 제 1 입력, 상기 자원 평가기의 상기 출력을 포함하는 상기 제 2 입력, 상기 자원 인식기의 상기 제 2 출력을 포함하는 제 3 입력, 상기 하드웨어 인터페이스에 대한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출력을 구비하는 자원 할당기를 구비하는 자원 제어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진행 중인 제 1 서비스의 수를 결정하고;
    진행 중인 제 2 서비스의 수를 결정하고;
    할당되지 않은 상기 하드웨어 인터페이스의 자원이 있는 경우에 할당되지 않은 상기 하드웨어 인터페이스의 자원을 어드레스(address) 하기 위한 파라미터 값을 결정하는 것을 구비하는 자원 제어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모니터는,
    제 1 서비스 접속 요구의 평균 착신율을 계산하고;
    제 2 서비스 접속 요구의 평균 착신율을 계산하고;
    진행 중인 제 1 서비스 접속 요구에 자원이 할당된 평균 시간을 평가하고;
    진행 중인 제 1 서비스 접속 요구에 자원이 할당된 평균 시간을 평가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자원 제어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평가기는 임계값을 계산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 제어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할당기는,
    상기 할당 후에 이용 가능한 자원의 수가 상기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을 때면 제 2 서비스 접속에 대하여 자원을 할당하고,
    상기 할당 후에 이용 가능한 자원의 수가 상기 임계값보다 작을 때면 제 2 서비스 접속에 대하여 자원을 할당하지 않는 것을 더 포함하는 r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자원 제어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평가기는,
    진행 중인 제 1 서비스 접속과 진행 중인 제 2 서비스 접속의 가능한 조합에 대해서 임계값을 계산하고, 상기 적절한 표 엔트리에 상기 임계값을 저장하는 것을 포함하는 도표 작성(tabulation) 평가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자원 제어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모니터는 제 1 서비스 접속 요구가 자원이 할당되지 않는 비율을 모니터링 하는 것을 포함하는 적응적인 모니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자원 제어기.
  18. 확률적인 자원 제어기에 있어서,
    유휴 제어기 상태를 포함하여 상기 확률 자원 제어기가 현재 접속 요구가 없는 상기 유휴 제어기 상태로 전이하고;
    검사 OTA 자원 상태를 포함하여 상기 확률적인 자원 제어기는 현재 접속 요구가 있을 때 상기 유휴 제어기 상태에서 상기 검사 OTA 상태로 전이하고, 상기 현재 접속 요구에 할당되는 이용 가능한 자원이 없을 때 상기 확률적인 자원 제어기가 상기 검사 OTA 자원 상태에서 상기 유휴 제어기 상태로 전이되고;
    검사 접속 요구 상태를 포함하여, 상기 확률적인 자원 제어기는 현재 접속 요구가 있을 때 상기 현재 접속 요구에 할당되는 이용 가능한 자원이 있을 때 상기 확률적인 자원 제어기는 상기 검사 OTA 자원 상태에서 상기 검사 접속 상태로 전이되고, 상기 현재 접속 요구가 없을 때 상기 확률적인 자원 제어기가 상기 검사 접속 요구 상태에서 상기 유휴 제어기 상태로 전이되고;
    제 1 서비스에 대한 할당 OTA 자원 상태를 포함하여, 상기 확률적인 자원 제어기는 상기 현재 접속 요구가 현재 제 1 서비스 접속 요구이면 상기 검사 접속 요구에서 상기 제 1 서비스 상태에 대한 할당 OTA 자원으로 전이하고, 상기 확률적인 자원 제어기가 상기 현재 제 1 서비스 접속 요구에 대응하여 자원을 할당할 때 상기 확률적인 자원 제어기는 제 1 서비스에 대한 상기 할당 OTA 자원 상태로 전이하고;
    검사 보류 헤드룸 상태를 포함하여, 상기 현재 접속 요구가 현재 제 2 서비스 접속 요구이면, 상기 검사 접속 요구 상태에서 상기 검사 보류 헤드룸 상태로 전이하고, 상기 현재 제 2 서비스 접속 요구에 대응한 자원의 할당이 이용 가능한 자원의 수가 임계값 이하로 떨어질 때는 상기 겁사 보류 헤드룸 상태에서 상기 유휴 제어기 상태로 전이하고;
    제 2 서비스에 대한 할당 OTA 자원 상태를 포함하여, 상기 현재 제 2 서비스 접속 요구에 대응한 상기 자원의 할당이 이용 가능한 자원의 수가 상기 임계값 이하로 떨어질 때, 상기 검사 보류 헤드룸 상태에서 상기 제 2 서비스에 대한 상기 할당 OTA 자원 상태로 전이하고, 상기 확률적인 자원 제어기가 상기 현재 제 2 서비스 접속 요구에 대응하여 자원을 할당할 때 제 2 서비스에 대한 상기 할당 OTA 자원 상태에서 상기 유휴 제어기 상태로 전이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확률적인 자원 제어기.
  19. 제 18 항에 있어서,
    시그널링(signalling)에 대한 할당 OTA 자원 상태를 더 포함하여, 상기 현재 접속 요구가 현재 시그널링(signalling) 접속 요구이면 상기 확률적인 자원 제어기는 상기 검사 접속 요구 상태에서 시그널링에 대한 상기 할당 OTA 자원 상태로 전이하고 상기 확률적인 자원 제어기가 상기 현재 시그널링 접속 요구에 대응하여 자원을 할당할 때 상기 시그널링에 대한 할당 OTA 자원 상태로 전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률적인 자원 제어기.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확률적인 자원 제어기는 상기 현재 접속 요구가 현재 제 1 서비스 접속 요구이고 현재 시그널링 접속 요구가 없다면 상기 검사 접속 요구 상태에서 상기 제 1 서비스에 대한 할당 OTA 자원 상태로 전이하고;
    상기 확률적인 자원 제어기는 상기 현재 접속 요구가 현재 제 2 서비스 접속 요구이고 현재 시그널링 접속 요구가 없고 현재 제 1 서비스 접속 요구가 없다면 상기 검사 접속 요구 상태에서 상기 검사 보류 헤드룸 상태로 전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확률적인 자원 제어기.
KR1019997012622A 1997-07-01 1998-06-25 비-단일 서비스 시스템용 자원 제어기 KR2001002060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886,853 US6282424B1 (en) 1997-07-01 1997-07-01 Resource controllers for use in a non-unitary service system
US8/886,853 1997-07-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0608A true KR20010020608A (ko) 2001-03-15

Family

ID=25389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12622A KR20010020608A (ko) 1997-07-01 1998-06-25 비-단일 서비스 시스템용 자원 제어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6282424B1 (ko)
EP (1) EP1025727A4 (ko)
JP (1) JP2002508135A (ko)
KR (1) KR20010020608A (ko)
CN (1) CN1269109A (ko)
AU (1) AU8268698A (ko)
WO (1) WO19990020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114542B1 (en) * 1998-09-18 2008-03-12 Harris Corporation Distributed trunking mechanism for a vhf network
FI108391B (fi) * 1998-10-27 2002-01-15 Nokia Corp Sijaintipalvelut pakettiradioverkossa
US6754714B1 (en) * 1999-10-05 2004-06-22 Cisco Technology, Inc. Multilink point-to-point protocol network access server channel allocation method and apparatus
US6470003B1 (en) * 1999-12-07 2002-10-22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in a two-way radio messaging unit for limiting a total transmission duration within a sliding time window
US6898425B1 (en) * 1999-12-16 2005-05-2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in a communication network
US6757257B1 (en) * 2000-04-26 2004-06-29 Ericsson Inc. Traffic based dimensioning method for determining the throughput of an edge router in a data network
GB2372175B (en) * 2001-02-13 2004-06-23 Vodafone Ltd Provision of services via a mobile telecommunications network
US20030050070A1 (en) * 2001-03-14 2003-03-13 Alex Mashinsky Method and system for dynamic spectrum allocation and management
AU2002254215A1 (en) * 2001-03-14 2002-09-24 Mashinsky A method and system for dynamic spectrum allocation and management
US20020181419A1 (en) * 2001-06-01 2002-12-05 Tao Zhang Method for handoff in multimedia wireless networks
US6941378B2 (en) * 2001-07-03 2005-09-0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ethod for assigning a streaming media session to a server in fixed and mobile streaming media systems
US7330735B2 (en) * 2002-01-31 2008-02-12 Qualcomm Incorporated Timing transitions betwe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20060160543A1 (en) * 2002-03-14 2006-07-20 Alex Mashinsky Method and system for dynamic spectrum allocation and management
US6931251B2 (en) * 2002-12-05 2005-08-16 Motorola, Inc. System and method of call admission control in a wireless network
US7917364B2 (en) * 2003-09-23 2011-03-2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ystem and method using multiple automated speech recognition engines
ATE367071T1 (de) * 2004-04-19 2007-08-15 Telecom Italia Spa Verfahren und system zur dienstzuteilung in kommunikationsnetzen, diesbezügliches netz und computerprogrammprodukt dafür
FR2899054B1 (fr) * 2006-03-27 2008-09-12 Thales Sa Procede et systeme d'allocation de ressources
US7650406B2 (en) * 2006-04-26 2010-01-19 Microsoft Corporation Termination of a security association between devices
CN101155346B (zh) * 2006-09-27 2012-11-07 华为技术有限公司 多播广播系统中终端移动的方法和基站
WO2008090414A2 (en) * 2006-10-16 2008-07-31 Bridgewater Systems Corp. Systems and methods for subscriber-centric dynamic spectrum management
TW200919203A (en) 2007-07-11 2009-05-01 Ibm Method, system and program product for assigning a responder to a requester in a collaborative environment
US9282151B2 (en) * 2008-09-11 2016-03-0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Flow control in a distributed environment
ATE553624T1 (de) * 2008-10-20 2012-04-15 Koninkl Kpn Nv Verfahren und system für dienstabhängige ressourcenzuweisung
US20130067093A1 (en) * 2010-03-16 2013-03-14 Optimi Corporation Determining Essential Resources in a Wireless Network
US9195511B2 (en) * 2012-03-05 2015-11-24 Accenture Global Services Limited Differentiated service-based graceful degradation layer
US8930948B2 (en) * 2012-06-21 2015-01-06 Vmware, Inc. Opportunistically proactive resource management using spare capacity
US8909559B1 (en) * 2013-03-28 2014-12-09 Linkedin Corporation Techniques to facilitate recommendations for non-member connections
US10412662B2 (en) * 2014-04-24 2019-09-10 Telefonaktiebolget Lm Ericsson (Publ) Normalized access barring
CN106598737A (zh) 2016-12-13 2017-04-26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实现硬件资源分配的方法及装置
CN108206856B (zh) * 2017-09-30 2021-11-3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信息反馈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55516A (en) * 1990-09-28 1994-10-11 Motorola, Inc. Method for reducing superfluous channel allocation in a cellular radiotelephone communication system
US5224099A (en) * 1991-05-17 1993-06-29 Stratacom, Inc. Circuitry and method for fair queuing and servicing cell traffic using hopcounts and traffic classes
US5363427A (en) 1992-02-26 1994-11-08 Motorola, Inc. Telephone resource allocation method in a communication system
CA2104753C (en) * 1992-10-29 1999-02-16 Kotikalapudi Sriram Bandwidth allocation, transmission scheduling, and congestion avoidance in broadband atm networks
US5355616A (en) 1993-11-01 1994-10-18 Parker Michael H Fishing lure
US5570355A (en) * 1994-11-17 1996-10-29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enabling synchronous transfer mode and packet mode access for multiple services on a broadband communication network
US5579372A (en) 1994-12-12 1996-11-2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Flow control method for short message service - busy subscriber
US5802456A (en) 1996-02-16 1998-09-01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to mitigate interference caused by an overlay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025727A1 (en) 2000-08-09
CN1269109A (zh) 2000-10-04
AU8268698A (en) 1999-01-25
US6282424B1 (en) 2001-08-28
US20020019234A1 (en) 2002-02-14
EP1025727A4 (en) 2002-03-20
WO1999002000A1 (en) 1999-01-14
JP2002508135A (ja) 2002-03-12
WO1999002000A8 (en) 1999-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20608A (ko) 비-단일 서비스 시스템용 자원 제어기
US7796551B1 (en) Parallel adaptive quantile wireless scheduler
EP1107557B1 (en) System for automatically routing calls to call center agents in an agent surplus condition based on delay probabilities
EP1107556B1 (en) System for automatically predicting call center agent work time in a multi-skilled agent environment
KR20010020607A (ko) 비-단일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자원 제어 방법
CA2326857C (en) System for automatically routing calls to call center agents in an agent surplus condition based on agent occupancy
CN1126384C (zh) 允许无线数据网中新业务的方法和系统
US758071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oad balancing in a wireless network
US7477659B1 (en)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admission control functions in a data network
US6535600B1 (en) System for automatically routing calls to call center agents in an agent surplus condition based on service levels
JPH04223646A (ja) リアル タイム 網ルート割当て
JP2002223239A (ja) 呼受付制御方法、通信システム、及び基地局装置
JP2004528765A (ja) 移動体通信機器用ネットワークの特性評価方法
US697317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otating auto reserve agents
JP2002539693A (ja) 遠隔通信網の加入者局で遠隔通信チャネルへのアクセス権限を付与する方法および加入者局
US7139830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ngestion regulation control method
US7376738B2 (en) Method of dynamically allocating usage of a shared resource
EP086368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ed call control scheduling in a distributed system with dissimilar call processors
JP2002064524A (ja) 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タイムスロット割当てシステム及び方法並びに網側装置
US8059616B1 (en) Parallel wireless scheduler
Burgin Management of capacity and control in broadband ISDN
JP2692212B2 (ja) 帯域予約方式
KR100960659B1 (ko) 무선자원 기반의 자원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20070014238A1 (en) Load equalization method for new connections in a wireless environment supporting shared access for multiple terminals in a QoS controller manner
JPH11331190A (ja) 回線群選択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