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8709A - 블루투스로 이루어진 리모트 콘트롤러를 갖는 이동무선 전화기 - Google Patents

블루투스로 이루어진 리모트 콘트롤러를 갖는 이동무선 전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8709A
KR20010018709A KR1019990034772A KR19990034772A KR20010018709A KR 20010018709 A KR20010018709 A KR 20010018709A KR 1019990034772 A KR1019990034772 A KR 1019990034772A KR 19990034772 A KR19990034772 A KR 19990034772A KR 20010018709 A KR20010018709 A KR 200100187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flip
wireless telephone
mobile wireless
mob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47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30047B1 (ko
Inventor
박영식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900347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0047B1/ko
Publication of KR200100187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87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00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00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54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comprising one or a plurality of mechanically detachable modules
    • H04M1/0256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comprising one or a plurality of mechanically detachable modules wherein the modules are operable in the detached state, e.g. one module for the user interface and one module for the trans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33Hand-held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Bluetooth inte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무선 단말기에서 블루투스모듈을 플립에 장착하여 이동 시 플립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통화를 할 있는 기술이다.
이동무선 전화기를 부피가 작은 리모트콘트롤러를 구비하여 주머니에 놓고 있다가 호출이 있을 시 그 리모트 콘트롤러를 통해 통화할 수 있는 이동통신 전화기는 리모트의 부피가 크게 되어 휴대하기 불편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블루투스모듈을 장착한 플립을 갖는 이동무선 전화기에서 이동시나 운전중에 플립을 분리하여 사용자의 주머니나 옷깃에 꼽거나 차량의 선바이져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통화를 할 수 있으므로, 이동무선 전화기를 사용하고자 할 때 가방등에서 꺼내지 않고서도 통화가 가능하도록 한다.

Description

블루투스로 이루어진 리모트 콘트롤러를 갖는 이동무선 전화기{MOBILE WIRELESS TELEPHONE HAVING REMOTE CONTROLLER BY BLUE TOOTH}
본 발명은 리모트 콘트롤러를 갖는 이동무선 전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블루투스모듈로 이루어진 플립을 리모트 콘트롤러로 구성하여 이동시 리모트 콘트롤러에 의해 통화를 할 수 있는 이동무선 전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무선 전화기는 기지국과 단독으로 RF신호를 송수신하면서 통화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이동통신 전화기는 내부에 송수신기 및 신호처리부등을 구비하며, 상기 기지국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면서 무선링크를 형성한 후 음성통화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이동통신 전화기는 부피가 크므로 주머니에 넣고 다니기가 불편하므로 가방등에 넣고 다니게 된다. 상기 이동통신 전화기를 가방에 넣은 후 호가 발생되거나 전화를 걸고자하는 경우 가방에서 이동무선 전화기를 꺼내어 통화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해 부피가 작은 리모트콘트롤러를 구비하여 주머니에 놓고 있다가 호출이 있을 시 그 리모트 콘트롤러를 통해 통화할 수 있는 이동통신 전화기가 개발되었다. 그런데 이러한 리모트콘트롤러를 갖는 이동통신 전화기는 리모트의 부피가 크게 되어 휴대하기 불편한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블루투스모듈로 이루어진 플립을 갖는 이동무선 전화기에서 이동 시 플립을 분리하여 리모트 콘트롤러로 사용하여 통화할 수 있는 이동무선전화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블루투스 모듈을 갖는 이동무선 전화기에 있어서, 상기 이동무선전화기에 장착 및 탈착이 가능하며, 블루투스모듈을 갖는 플립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터측인 근거리무선 통신 모듈을 내장하는 이동통신 전화기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무선 통신 모듈을 내장하는 이동통신 전화기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이 장착된 플립의 구성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이동무선 전화기는 본체와 플립을 포함하며, 본체는 상기 이동통신 전화기에서 기지국과 무선통신기능을 수행하는 장치이고, 플립은 분리시에 상기 본체와 근거리통신(블루투스)을 수행하면서 음성통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가 장착된 플립을 갖는 이동무선 전화기의 구성도이다.
이동무선 전화기(200)에 플립(100)을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보통때는 이동무선 전화기(200)에 플립(200)을 장착하고, 이동시에는 플립(200)을 분리하여 주머니나 차량등의 선바이저등에 걸어 두어 리모트 콘트롤러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터측인 근거리무선 통신 모듈(BLUETOOTH)을 내장하는 이동통신 전화기의 구성도이다.
상기 블루투스 모듈(210)은 RF 송신부(211), RF 수신부(212), 기저대역(BASEBAND) 처리부(213) 및 링크 제어부(214)로 구성되며, 상기 블루투스 모듈(210)의 상기 기저대역 처리부(213) 및 상기 링크 제어부(214)는 HCI(HOST CONTROL INTERFACE)에 의해 이동무선 전화기 제어부(221)에 연결되어 HCI 패킷(Packet)을 송/수신하므로써 제어명령과 그 결과, 사용자의 송수신 데이터가 오고 간다. 상기 HCI로는 RS232C를 비롯하여 USB, 표준 PC 인터페이스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HCI 패킷은 Command, Event, Data 패킷으로 구분된다.
상기 RF 송신부(211)는 상기 기저대역 처리부(213)에서 생성한 무선 송신용 데이터 패킷을 설정된 주파수 대역으로 변조 증폭시켜 송신한다.
상기 RF 수신부(212)는 수신되는 신호를 받아 주파수 신호의 잡음의 증폭을 최대한 억제하고, 설정된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증폭한 후 낮은 주파수 대역으로 낮추어 상기 기저대역 처리부(213)로 인가한다.
상기 기저대역 처리부(113)는 호스트인 상기 이동무선 전화기 제어부(221)로부터 인가되는 각종 HCI 데이터 패킷에 억세스 코드 및 헤더를 부가하는 패킷 포맷으로 변경하고, 이를 다시 무선 송신을 위한 소정의 데이터 패킷으로 변경하여 상기 RF 송신부(211)를 통해 설정된 주파수 대역으로 무선 송신하고, 상기 RF 수신부(212)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 패킷을 상기 HCI 패킷으로 변경하여 호스트인 상기 이동무선 전화기 제어부(221)로 인가한다.
링크 제어부(214)는 상기 이동무선 전화기 제어부(221)로부터 인가되는 Command 패킷의 명령에 의거 상기 블루투스 모듈(210)을 제어하며, 상기 기저대역 처리부(213)로부터 상기 기저대역 처리부(213)로부터 들어오는 리모트 콘트롤러측의 요구 및 결과정보를 이동무선 전화기 제어부(221)에 HCI 패킷으로 전달한다.
또한, 이동무선 전화부(220)는 이동무선 전화기 제어부(221), 메모리(222), 키 입력부(223), 표시부(224), BBA(225), RF 송신부(226), RF 수신부(227) 및 듀플렉서를 구비한다.
무선통신 대역 주파수를 1차적으로 처리하고, 이를 다시 낮은 주파수 대역으로 낮추는 중간주파수 처리와, 이를 다시 상기 제어부(120)에서 처리 가능한 주파수 대역으로 낮추어서 비트열로 만든다. 또한, 상기 RF부(110)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수신부와 송신부로 구분할 수 있는데, 상기 RF부(110)의 수신부는 잡음의 증폭을 최대한 억제하고 원하는 신호를 증폭하며, 중간주파수를 거쳐서 디지털 신호를 생성시키며, 이 디지털 신호는 상기 제어부(120)에서 분석되고 처리된다. 또한 상기 RF부(110)의 송신부는 상기 제어부(120)에서 생성된 신호를 원하는 주파수 대역으로 변조시켜 증폭시키며, 최종적으로 도시하지 않은 듀플렉서를 거쳐 안테나로 방사된다.
상기 이동무선 전화기 제어부(221)는 이동무선 전화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본 발명에 따른 브루투스를 이용한 슬레이브측인 플립과 무선 데이터 통신에 의해 통화를 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상기 메모리(222)는 상기 이동무선 전화기 제어부(221)의 제어 시 필요한 제어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있는 롬(ROM)과, 각종 전화번호 및 이름 등을 저장하는 비휘발성 메모리(NVM: Non-Volatile Memory; Flash 메모리 또는 EEPROM)와, 상기 프로그램 제어 시 발생되는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여 처리하는 램(RAM)으로 구성된다.
상기 키 입력부(223)는 키 매트릭스 구조(도시하지 않음)를 가지며 다이얼링을 위한 숫자키와 각종 기능키를 구비하며, 사용자가 입력하는 키에 대응하는 키입력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이동무선 전화기 제어부(221)로 출력한다.
상기 표시부(224)는 예를 들어 LCD(액정표시장치)를 사용하며, 상기 이동무선 전화기 제어부(221)의 제어에 의해 상기 이동무선 전화기의 상태 및 동작과정 등을 표시한다.
상기 BBA(BaseBand Analog)(225)는 수신부에 대하여 중간 주파수 신호를 베이스 밴드로 하향 변환하고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를 디지털 형태로 전환시키며, 송신부에 대하여 디지털 데이터를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로 변환시키고 상기 베이스 밴드를 중간 주파수로 변환시킨다.
상기 RF 송신부(226)는 통화모드시 상기 이동무선 전화기 제어부(221)의 제어에 의해 도시하지 않은 음성 처리부로부터 수신되는 음성신호와 상기 BBA(225)로부터 수신되는 캐리어 신호를 합성하여 상기 듀플렉서(228)로 출력한다.
상기 RF 수신부(227)는 데이터 수신시 이를 상기 BBA(225)로 출력한다.
상기 듀플렉서(228)는 안테나(ANT)로부터 수신되는 수신 주파수 대역의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무선 수신부(113)로 출력하며, 상기 무선 송신부(115)로부터 수신되는 송신 신호를 송신 주파수 대역으로 상기 안테나를 통해 출력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BLUETOOTH)이 장착된 플립의 구성도로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이동무선 전화기(200)를 마스터(MASTER)로 하고, 플립(100)을 슬레이브(SLAVE)로 구성한다. 상기 플립(100) 및 이동무선 전화기(200)에는 각각 블루투스 모듈이 장착된다.
상기 블루투스 모듈을 장착한 상기 플립(100) 및 이동무선 전화기(200)의 세부 구성을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모듈(BLUETOOTH)을 내장하는 플립(100)의 블록구성도를 상기 도 3을 통해 설명하면;
링크 제어부(114)는 상기 기저대역 처리부(113)로부터 들어오는 이동무선 전화기(200) 요구 및 결과정보를 처리하며, 키입력부(116)로부터 수신되는 키신호를 받아 해당 동작을 수행하도록 처리하며, 상기 기저대역 처리부(113)를 통해 사용자의 송수신 데이터가 오고 가도록 제어한다.
상기 RF 송신부(111)는 상기 기저대역 처리부(113)에서 생성한 무선 송신용 데이터 패킷을 설정된 주파수 대역으로 변조 증폭시켜 송신한다.
상기 RF 수신부(112)는 수신되는 주파수 신호의 잡음의 증폭을 최대한 억제하고 설정된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증폭한 후 낮은 주파수 대역으로 낮추어 상기 기저대역 처리부(113)로 인가한다.
상기 기저대역 처리부(113)는 링크 제어부(114)로부터 인가되는 각종 HCI 데이터 패킷에 억세스 코드 및 헤더를 부가하는 패킷 포맷으로 변경하고, 이를 다시 무선 송신을 위한 소정의 데이터 패킷으로 변경하여 상기 RF 송신부(111)를 통해 설정된 주파수 대역으로 무선 송신하고, 상기 RF 수신부(112)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 패킷을 상기 HCI 패킷으로 변경하여 상기 링크 제어부(114)로 인가한다.
오디오부(115)는 링크 제어부(114)의 제어에 의해 마이크(MIC)(118)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신호로 변조하여 기저대역 처리부(113)로 출력하고, 기저대역 처리부(113)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하여 스피커(SP)(119)에 음성신호로 송출한다.
키 입력부(223)는 키 매트릭스 구조(도시하지 않음)를 가지며 다이얼링을 위한 숫자키와 각종 기능키를 구비하며, 사용자가 입력하는 키에 대응하는 키입력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링크제어부(114)로 출력한다.
상기 표시부(117)는 예를 들어 LCD(액정표시장치)를 사용하며, 상기 링크 제어부(114)의 제어에 의해 상기 이동무선 전화기의 상태 및 동작과정 등을 표시한다.
상술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블루투스기능을 내장하는 이동무선 전화기(200)의 플립(100)에 블루투스기능을 갖는 리모트 콘트롤러를 장착하여, 이동무선 전화기(20)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플립기능으로 사용하고, 운전중이나 이동시에는 플립(100)을 리모트 콘트롤러로 사용하도록 한다.
운전중이나 이동시에 이동무선 전화기(200)의 플립(100)을 분리하여 전화를 걸고자 하는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면, 사용자가 플립(100)의 키입력부(116)를 조작하여 전화번호를 입력하면 링크제어부(114)는 키입력부(116)로부터 입력되는 전화번호를 표시부(117)에 표시한다. 그런 후 사용자가 플립(100)의 키입력부(116)에 구비되어 있는 센드키를 누르게 되면 링크제어부(114)는 기저대역 처리부(213)를 제어하여 이동무선 전화기(200)으로 채널연결요구신호(Connection request)를 보낸다. 그러면 이동무선 전화기 제어부(221)는 RF수신부(212) 및 기저대역 처리부(213)을 통해 HCI패킷 데이터로 채널연결요구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이동무선 전화기(200)과 플립(100)간에 통화채널이 형성되며, 이때 링크제어부(114)는 전화번호에 대한 데이터를 이동무선 전화기(200)으로 송출한다. 이동무선 전화기 제어부(221)는 RF수신부(212) 및 기저대역 처리부(213)를 통해 HCI패킷 데이터로 전화번호를 수신한다. 이때 이동무선 전화기 제어부(221)는 BBA(225) 및 RF송신부(226)과 듀플렉서(228)를 통해 기지국과 통상적인 무선 발호절차를 수행하여 플립(100)의 블루투스모듈을 이용하여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블루투스모듈을 장착한 플립을 갖는 이동무선 전화기에서 이동시나 운전중에 플립을 분리하여 사용자의 주머니나 옷깃에 꼽거나 차량의 선바이져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통화를 할 수 있으므로, 이동무선 전화기를 사용하고자 할 때 가방등에서 꺼내지 않고서도 통화가 가능하며, 운전중에 사용자가 손을 사용하지 않고 통화가 가능하므로 운전 시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블루투스 모듈을 갖는 이동무선 전화기에 있어서,
    상기 이동무선전화기에 장착 및 탈착이 가능하며, 블루투스모듈을 갖는 플립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로 이루어진 리모트 콘트롤러를 갖는 이동무선 전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립은,
    기저대역 처리부(113)로부터 들어오는 이동무선 전화기(200) 요구 및 결과정보를 처리하며, 키입력부(116)로부터 수신되는 키신호를 받아 해당 동작을 수행하도록 처리하며, 상기 기저대역 처리부(113)를 통해 사용자의 송수신 데이터가 오고 가도록 제어하는 링크제어부와, 상기 기저대역 처리부(113)에서 생성한 무선 송신용 데이터 패킷을 설정된 주파수 대역으로 변조 증폭시켜 송신하는 상기 RF 송신부(111)와, 수신되는 주파수 신호의 잡음의 증폭을 최대한 억제하고 설정된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증폭한 후 낮은 주파수 대역으로 낮추어 상기 기저대역 처리부(113)로 인가하는 상기 RF 수신부(112)와, 상기 링크 제어부(114)로부터 인가되는 각종 HCI 데이터 패킷에 억세스 코드 및 헤더를 부가하는 패킷 포맷으로 변경하고, 이를 다시 무선 송신을 위한 소정의 데이터 패킷으로 변경하여 상기 RF 송신부(111)를 통해 설정된 주파수 대역으로 무선 송신하고, 상기 RF 수신부(112)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 패킷을 상기 HCI 패킷으로 변경하여 상기 링크 제어부(114)로 인가하는 상기 기저대역 처리부(113)와, 상기 링크 제어부(114)의 제어에 의해 마이크(118)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신호로 변조하여 기저대역 처리부(113)로 출력하고, 기저대역 처리부(113)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하여 스피커(119)에 음성신호로 송출하는 오디오부(115)와, 키 매트릭스 구조를 가지며 다이얼링을 위한 숫자키와 각종 기능키를 구비하며, 사용자가 입력하는 키에 대응하는 키입력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링크제어부(114)로 출력하는 키 입력부(223)와, 상기 링크 제어부(114)의 제어에 의해 상기 이동무선 전화기의 상태 및 동작과정 등을 표시하는 상기 표시부(117)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로 이루어진 리모트 콘트롤러를 갖는 이동무선 전화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무선 전화기의 블루투스모듈은,
    상기 기저대역 처리부(213)에서 생성한 무선 송신용 데이터 패킷을 설정된 주파수 대역으로 변조 증폭시켜 송신하는 RF 송신부(211)와,
    수신되는 신호를 받아 주파수 신호의 잡음 증폭을 최대한 억제하고, 설정된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증폭한 후 낮은 주파수 대역으로 낮추어 상기 기저대역 처리부(213)로 인가하는 상기 RF 수신부(212)와,
    상기 이동무선 전화기로부터 인가되는 각종 HCI 데이터 패킷에 억세스 코드 및 헤더를 부가하는 패킷 포맷으로 변경하고, 이를 다시 무선 송신을 위한 소정의 데이터 패킷으로 변경하여 상기 RF 송신부(211)를 통해 설정된 주파수 대역으로 무선 송신하고, 상기 RF 수신부(212)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 패킷을 상기 HCI 패킷으로 변경하여 상기 이동무선 전화기로 인가하는 상기 기저대역 처리부(113)와,
    상기 이동무선 전화기로부터 인가되는 Command 패킷의 명령에 의거 기저대역 처리부(213)을 제어하며, 상기 기저대역 처리부(213)로부터 상기 기저대역 처리부(213)로부터 들어오는 상기 플립측의 요구 및 결과정보를 이동무선 전화기로 HCI 패킷으로 전달하는 링크 제어부(214)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로 이루어진 리모트 콘트롤러를 갖는 이동무선 전화기.
KR1019990034772A 1999-08-21 1999-08-21 블루투스 모듈을 갖는 이동무선 전화기 KR1006300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4772A KR100630047B1 (ko) 1999-08-21 1999-08-21 블루투스 모듈을 갖는 이동무선 전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4772A KR100630047B1 (ko) 1999-08-21 1999-08-21 블루투스 모듈을 갖는 이동무선 전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8709A true KR20010018709A (ko) 2001-03-15
KR100630047B1 KR100630047B1 (ko) 2006-09-27

Family

ID=19608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4772A KR100630047B1 (ko) 1999-08-21 1999-08-21 블루투스 모듈을 갖는 이동무선 전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004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8104A (ko) * 2001-09-27 2003-04-08 인포뱅크 주식회사 블루투스 칩이 내장된 원격 제어기 및 이를 이용한 호전환 방법
KR100504800B1 (ko) * 2002-06-26 2005-08-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블루투스 기능을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착신 전환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4871B1 (ko) * 2000-08-17 2007-06-04 삼성전자주식회사 블루투스를 이용한 휴대 전화기 원격 제어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8104A (ko) * 2001-09-27 2003-04-08 인포뱅크 주식회사 블루투스 칩이 내장된 원격 제어기 및 이를 이용한 호전환 방법
KR100504800B1 (ko) * 2002-06-26 2005-08-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블루투스 기능을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착신 전환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30047B1 (ko) 2006-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53215B1 (ko)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휴대폰의 분실방지 장치 및제어방법
RU2000118328A (ru) Портатив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вязи дл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KR20000062086A (ko) 휴대폰에서 스피커폰 모드시 음성신호의 송/수신 상태 표시방법
KR100735217B1 (ko) 블루투스를 이용한 통신 장치
KR200194768Y1 (ko) 배경화면 선택이 가능한 카메라 일체형 휴대폰
KR101745910B1 (ko) 모바일폰용 블루투스 헤드셋
KR100630047B1 (ko) 블루투스 모듈을 갖는 이동무선 전화기
KR100594017B1 (ko) 이동무선 단말기에서 잠금기능 구현방법
KR100594053B1 (ko) 블루투스 무선 이어폰을 운용하는 휴대폰에서 무선 이어폰의 통화권 이탈시 경고음 발생방법
KR200218536Y1 (ko) 이동 단말기의 무선 핸즈프리시스템
KR100661548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무선마이크 장치 및 그 구현방법
KR100584453B1 (ko) 무선 스피커폰 기능 구현된 휴대용 무선 단말기 및 그 방법
KR20020000394A (ko) 단말기 상호간에 직접 무선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이동통신 단말기
KR100374565B1 (ko) 이동 통신 단말의 이어 마이크 장치 및 제어 방법
KR100663537B1 (ko) 블루투스 이동통신시스템 및 동작 방법
KR20010092042A (ko) 이어폰 리모콘을 이용한 이동 전화 통화 장치 및 방법
JP2983326B2 (ja) 携帯無線電話装置
KR100820549B1 (ko) 블루투스를 이용한 통화 장치
KR200218557Y1 (ko) 이동 단말기 보조 통화 시스템
KR20040099636A (ko) 다기능 키패드 장치를 갖춘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78278B1 (ko) 차량용 라디오 수신기를 이용하여 이어 마이크로폰 장치를 통해 핸즈프리 통화가 가능한 휴대폰의 통화방법 및 그 장치
JP2000049927A (ja) セルラー無線通信端末機のハンドフリー装置
KR20010011056A (ko) 원격 키패드를 사용하는 휴대용 전화기
KR100247045B1 (ko) 통화장치와 무선 송,수신장치로 분리된 이동통신 단말기
KR200258286Y1 (ko) 음성스위치를 구비한 영상휴대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