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8502A - 진공 청소기의 배기장치 - Google Patents

진공 청소기의 배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8502A
KR20010018502A KR1019990034470A KR19990034470A KR20010018502A KR 20010018502 A KR20010018502 A KR 20010018502A KR 1019990034470 A KR1019990034470 A KR 1019990034470A KR 19990034470 A KR19990034470 A KR 19990034470A KR 20010018502 A KR20010018502 A KR 200100185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cleaner
air
dust
various
contamina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4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주한
최용복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900344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18502A/ko
Publication of KR200100185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850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36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Suction cleaners for fixing on staircases; Suction cleaners for carrying on the back
    • A47L5/362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Suction cleaners for fixing on staircases; Suction cleaners for carrying on the back of the horizontal type, e.g. canister or sledge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061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adapted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2Dry filters
    • A47L9/122Dry filters fl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 청소기의 위생 배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배기장치가 진공 청소기를 통과하여 실내로 배출되는 공기 내의 미세먼지나 미생물을 원활히 제거할 수 있도록 함과 함께 각종 냄새의 배출 역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흡입력을 발생하여 공기와 함께 외부 오염물을 흡입한 후 상기 공기는 배출하고 오염물만 집진하는 진공 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진공 청소기의 공기 배출측에 자외광의 조사에 따라라디칼을 생성시키도록 광촉매()가 코팅(coating)된 촉매 필터(210)를 구비하여 배기되는 공기에 함유된 각종 미세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의 배기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은 흡입력을 발생하여 공기와 함께 외부 오염물을 흡입한 후 상기 공기는 배출하고 오염물만 집진하는 진공 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진공 청소기의 공기 배출측에 고전압을 방전하는 전리부(220)와, 상기 전리부에서 하전된 입자들을 포집함과 함께 자외광의 조사에 따라라디칼을 생성시키도록 광촉매(

Description

진공 청소기의 배기장치{device for exhaust in vacuum cleaner}
본 발명은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진공 청소기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내의 오염물질을 위생적으로 제거하는 진공 청소기의 배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 청소기는 집안이나 차안 또는 기타의 장소를 청소함에 있어서 일반 빗자루나 기타 청소도구로는 청소가 곤란한 구석진 곳 및 기타 장소의 청소를 위해 흡입력을 발생시켜 상기 흡입력에 의해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기기이다.
이와 같은 진공 청소기는 도시한 도 1과 같이 하부커버(1a)와 상부커버(1b)에 의해 본체(1)를 이루고 있고, 상기 상부커버(1b)의 삽입공(2)에는 흡입호스(3)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흡입호스(3)의 타단에는 콘트롤러부(도시는 생략함)를 갖는 손잡이(4)가 부착되어 있고, 상기 손잡이(4)에는 연장관(5)이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연장관(5)에는 사용 용도에 따라 교체 가능한 흡입구체(6)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도 2와 같이 본체(1)를 구성하는 하부커버(1a) 내에는 모터(7)의 구동력을 받아 회전하면서 흡입력을 발생시키도록 팬(8)이 설치되어 있고, 상부커버(1b)의 전방 내면에는 공기와 함께 흡입된 먼지 및 이물질을 대부분 집진하도록 집진봉투(9)가 분리 가능하게 끼워져 있으며, 상기 하부커버(1a)에 설치된 팬(8)의 전방에는 모터보호필터(1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하부커버(1a)의 후면에는 흡입된 공기가 배출되도록 배출공(11)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흡입구체(6)의 종류를 선택하여 상기 연장관(5)의 끝단에 연결한다.
이후, 상기 진공 청소기에 전원을 공급시킨 상태에서 흡입호스(3)의 타단에 부착된 손잡이(4)를 잡고 상기 손잡이(4)에 구비된 콘트롤러부의 흡입모드를 선택하게 되면 본체(1)의 하부커버(1a)에 부착된 모터(7)가 구동하여 팬(8)을 회전시켜 주므로 흡입력이 발생된다.
이와 같이 하여 흡입력이 발생되면 사용자는 손잡이(4)를 이용하여 청소를 원하는 위치에 흡입구체(6)를 위치시켜 청소를 행하게 된다.
이 때, 상기 흡입구체(6)를 통해 흡입되는 먼지 등의 이물질이 본체내 집진봉투(9)로 유입되어 먼지만이 집진되고, 공기는 본체 외부로 배출되는 과정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체(1)내 팬(8)의 흡입력에 의해 흡입구체(6)내로 먼지 등의 이물질이 공기와 함께 흡입되고 이 흡입된 먼지 등의 이물질은 연장관(5)과 흡입호스(3)를 계속해서 통과하여 본체(1) 내부로 들어가게 된다.
이 때, 본체(1)를 이루는 상부커버(1b) 내에는 입구부가 상기 상부커버의 삽입공(2) 형성부분과 접촉된 상태로 집진봉투(9)가 끼워져 있으므로 본체(1) 내부로 들어가는 대부분의 이물질이 상기 집진봉투(9)에 집진되고 나머지 미세먼지를 포함한 공기만이 계속되는 팬(8)의 회전에 따른 흡입력에 의해 집진봉투(9)를 빠져나와 본체(1)의 후방 쪽으로 이동한다.
상기 본체(1)의 후방 쪽으로 이동하는 공기는 하부커버(1a)의 후면에 형성된 배출공(1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청소가 수행된다.
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배출공을 통해 본체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에는 인체에 유해한 성분을 포함한 미세먼지가 함께 배출될 수 있고, 또한, 오염물의 부패에 따라 발생하는 악취 역시 함유된 상태로써 배출될 수 있음에 따라 결국, 청소가 완료된다 하더라도 쾌적한 실내 환경을 유지할 수는 없게 되었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진공 청소기를 구성하는 본체의 배출공에 별도의 위생 배기장치를 구비하여 배출되는 공기에 함유된 미세먼지 및 오염취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배기장치에 관해 도시한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배기장치(20)는 본체(1)내 배출공(11)의 전방에 구비된 상태로써 탈취필터(21)와 집진필터(22)가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 때, 상기 탈취필터(21)는 활성탄 등의 다공성 소재로 구성되어 공기에 함유된 냄새를 제거하도록 되어 있고, 집진필터(22)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수지 및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수지 등과 같은 소재의 섬유로 이루어진 정전 부직포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체(1)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가 탈취필터(21)를 지나는 과정에서 상기 공기 내에 함유된 오염취가 제거되고, 집진필터(22)를 지나는 과정에서 미세 먼지의 집진이 재차 이루어지게 된다.
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은 형태 역시 후술하는 바와 같은 각종 문제점을 유발하게 되었다.
첫째, 배출되는 공기에 포함된 냄새를 제거하기 위해 구비되는 탈취필터는 활성탄 등의 소재로 이루어져 있음에 따라 일정 이상의 냄새가 상기 탈취필터에 흡착될 경우 포화가 이루어지게 되어 더 이상의 냄새를 제거하지 못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탈취필터를 수시로 교환해 주어야만 함에 따라 사용자의 불편함을 유발시키게 된 문제점을 발생하게 되었다.
둘째, 배출되는 공기에 포함된 미세 먼지를 제거하기 위해 구비되는 집진필터는 PP 혹은 PE 등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져 소재 자체의 미소한 정전력과 필터 구조의 기계적 포집기능에 의해 통과먼지를 제거함에 따라 그 집진효율이 다소 떨어지게 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집진필터로는 알레르기(allergy) 등을 유발하는 진드기 등과 같이 인체에 유해한 미생물의 제거를 행할 수 없음에 따라 실내로 배기되는 공기의 위생확보에 따른 문제점을 유발하게 되었다.
상기한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한국 등록 특허 제042378호에서는 먼지 집진실 내에 열풍을 공급함으로써 유해성분 즉, 진드기 등의 해충을 박멸하도록 개진하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발명은 비록 해충 등을 박멸하여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것을 방지할 수는 있으나, 상기 해충 찌꺼기 등이 진공 청소기의 외부인 실내로 배출되는 것까지 완전히 방지할 수 없으며, 종이 필터와 같은 먼지 집진통 내에서 발생하는 악취 등은 제거할 수 없다.
또한, 한국 실용공보 92-4786호에서는 진공청소기의 배기필터에 관한 것으로써 여과용 필터에 의해 배기공기를 정화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기술은 단순히 먼지만을 제거할 수 있을 뿐 인체에 유해한 미생물이나 악취 등은 제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진공 청소기를 통과하여 실내로 배출되는 공기 내의 미세먼지나 미생물을 원활히 제거할 수 있도록 함과 함께 각종 냄새의 배출 역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종래 일반적인 진공 청소기를 나타낸 종단면
도 2 는 종래 일반적인 배기장치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배기장치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따른 배기장치를 적용한 진공 청소기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5 은 본 발명 제2실시예에 따른 배기장치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 제2실시예에 따른 배기장치를 적용한 진공 청소기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 제2실시예의 배기장치에 따른 집진 과정을 나타낸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0. 촉매 필터 211. 알루미늄 망목 네트
212. 법랑 다공층 213. 하이브리드 촉매
220. 전리부 221. 포집부
222. 방전극 230. 집진 필터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흡입력을 발생하여 공기와 함께 외부 오염물을 흡입한 후 상기 공기는 배출하고 오염물만 집진하는 진공 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진공 청소기의 공기 배출측에 자외광의 조사에 따라라디칼을 생성시키도록 광촉매()가 코팅(coating)된 촉매 필터를 구비하여 배기되는 공기에 함유된 각종 미세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의 배기장치가 제공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에 따르면, 흡입력을 발생하여 공기와 함께 외부 오염물을 흡입한 후 상기 공기는 배출하고 오염물만 집진하는 진공 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진공 청소기의 공기 배출측에 고전압을 방전하는 전리부와, 상기 전리부에서 하전된 입자들을 포집함과 함께 자외광의 조사에 따라라디칼을 생성시키도록 광촉매()가 코팅(coating)된 촉매 필터를 순차적으로 각각 구비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의 배기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 3 내지 도 7 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배기장치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따른 배기장치를 적용한 진공 청소기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며, 도 5 은 본 발명 제2실시예에 따른 배기장치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 은 본 발명 제2실시예에 따른 배기장치를 적용한 진공 청소기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며, 도 7 은 본 발명 제2실시예의 배기장치에 따른 집진 과정을 나타낸 구성도로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중 종래의 구성 및 작용과 중복되는 부분은 그 설명중 일부를 생략하고, 동일한 구조에 한해서는 종래와 동일한 부호를 부여키로 한다.
우선,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기장치를 설명하면 후술하는 바와 같다.
본 발명 제1실시예의 배기장치는 진공 청소기의 공기 배출측인 공기 배출공(11)에 자외광의 조사에 따라라디칼을 생성시키도록 미세 다공 형상의 알루미늄 망목 네트(211)에 광촉매()가 코팅(coating)된 촉매 필터(210)를 구비함으로써 배기되는 공기에 함유된 각종 미세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촉매 필터에는 이산화규소()가 주성분으로 이루어진 법랑 다공층(212)을 형성하여 광촉매의 코팅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상기 촉매 필터의 법랑 다공층에 코팅되는 광촉매는 그 혼자만의 코팅이 이루어져도 상관은 없으나, 그 효과를 보다 향상시키기 위하여 별도의 첨가물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광촉매에 제올라이트()로 이루어진 무기물질 및 산화구리(CuO)등의 첨가물을 추가하여 형성된 하이브리드(Hybrid) 촉매(213)를 상기 법랑 다공층에 코팅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한 것이다.
이 때, 상기 제올라이트는 촉매 필터(210)에 오염물질의 흡착이 보다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행하게 되고, 상기 산화구리에 의해 촉매 필터(210)가 항균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함과 함께 제올라이트 및 광촉매의 활성을 더욱 촉진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따른 작용에 관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후술하는 바와 같다.
우선, 사용자의 필요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구동 중 본체 내로 흡입된 먼지 등의 이물질은 일차적으로 집진 봉투(9)에 집진 된다.
이 때, 상기 집진 봉투가 허용할 수 있는 최소 크기의 먼지입자보다 작은 미세 먼지 및 상기 집진 봉투로부터 발생하는 각종 냄새와 미생물 등은 상기 집진 봉투를 벗어나서 본체(1)내 공기 배출공(11)을 통해 공기와 함께 배출된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상기한 바와 같은 각 오염물은 본체(1)의 공기 배출공(11)에 구비된 촉매 필터(21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상기 촉매 필터에 집진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는, 상기 촉매 필터에 제올라이트 성분이 코팅되어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
즉, 일반적으로 제올라이트는 세공(細孔)이 균일하게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흡착성의 우수하여 주로 흡착제의 주성분으로 사용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전술한 바와 같이 촉매 필터(210)에 흡착성이 우수한 제올라이트 성분을 코팅함으로써 진공 청소기를 구성하는 본체(1)내의 공기 배출공(11)을 통과하는 각종 오염물이 비록 그 통과 유속이 빠르다 하더라도 상기 촉매 필터에 원활한 집진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에서 제올라이트 성분은 무기물질로써 재생이 가능한 성분으로 이루어져 있음에 따라 촉매로써의 기능도 동시에 행할 수 있음은 이해 가능하다.
즉, 진공 청소기의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 하에서도 진공 청소기를 구성하는 본체(1) 외부로의 냄새 및 오염물 배출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 때, 상기 촉매 필터에는 산화구리(CuO)가 함께 코팅되어 있음에 따라 항균성이 크게 향상되어 상기 촉매 필터를 통과하는 공기 중의 각종 미생물 등과 같은 인체에 유해한 해충의 박멸 역시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CuO는 전술한 효과 이외에도 제올라이트 및 광촉매의 활성을 더욱 촉진시키게 된다.
즉, 진공 청소기의 본체 내에서 배출되는 각종 냄새 및 미생물의 제거를 위해 저온활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진 CuO촉매를 혼합함으로써 촉매 활성층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결국, 전술한 바와 같은 각 과정에 의해 진공 청소기의 공기 배출공(11)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 및 각종 집진 작업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사용한 진공 청소기를 햇볕이 비치는 위치에 보관하게 되면, 상기 진공 청소기를 구성하는 배기장치중 촉매 필터는 상기 햇볕에 포함된 자외광의 영향을 받아 자연적인 살균 및 각종 오염물질의 산화분해를 수행하게 된다.
이는, 상기 촉매 필터에 코팅된 성분 중 광촉매 성분이 상기와 같은 자외광의 영향을 받게 되어라디칼을 생성시킴에 따라 상기와 같이 생성된라디칼에 의해 각종 오염물의 산화분해가 수행될 수 있게 된다.
결국, 상기와 같은 광촉매에 따른 작용에 의해 진공 청소기의 재사용을 위한 준비가 완료되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계속적인 재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진공 청소기를 구성하는 본체 내부로부터 공기의 배출이 이루어지는 배기장치는 굳이 전술한 제1실시예와 같이 광촉매로 이루어진 촉매 필터로만 구성한 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도시한 도 5 및 도 6과 같이 진공 청소기의 공기 배출측인 공기 배출공(11)에 고전압을 방전하는 전리부(220)와, 상기 전리부에서 하전된 입자들을 포집하는 포집부(221)와, 전술한 제1실시예로 제시되었던 촉매 필터(210)를 각각 순차적으로 구비하여 여러 가지 필터로써의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도록 별도의 배기장치를 구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한 형태이다.
이 때, 상기 전리부는 다수의 방전극(222)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각 방전극은 별도의 고전압 인가장치(도시는 생략함)로부터 진공 청소기의 동작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고전압을 인가 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포집부는 촉매 필터(210)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도 있으나 각각의 역할에 따른 작용을 순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더욱 원활한 미세먼지 및 미생물의 제거를 행하기 위해서는 개별적으로 그 구성을 행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전리부(220)와 함께 작용을 행하는 별도의 포집부(221)가 있는 상태의 배기장치가 제공된다.
상기에서 포집부는 통상의 섬유필터를 사용하여도 상관은 없으나 하전된 입자의 원활한 포집을 위해서는 정전 섬유필터로써 구성하거나 혹은 금속 망으로써 구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에서 촉매 필터는 기 전술한 제1실시예에서와 같이 이산화규소()가 주성분으로 이루어진 법랑 다공층에 광촉매()와, 제올라이트() 및 산화구리(CuO)가 각각 첨가된 하이브리드 촉매를 코팅하여서 된 것이 사용된다.
한편, 본 발명 제2실시예에 따른 배기장치의 공기 유입측 즉, 전리부(220)의 공기 유입측에는 정전 부직포로 이루어진 집진 필터(230)를 추가로 구비하여 더욱 원활한 집진 효율을 얻을 수 있도록 배기장치를 구성한다.
이 때, 상기 집진 필터를 이루는 정전 부직포는 보다 넓은 집진 면적을 가질 수 있도록 부채의 형태로써 다수번 절곡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작용을 도시한 도 7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사용자의 필요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구동 중 본체 내로 흡입된 먼지 등의 이물질은 일차적으로 집진 봉투(9)에 집진 된다.
이 때, 상기 집진 봉투가 허용할 수 있는 최소 크기의 먼지 입자보다 작은 미세 먼지 및 상기 집진 봉투로부터 발생하는 각종 냄새와 미생물 등은 상기 집진 봉투를 벗어나서 본체(1)내 공기 배출공(11)을 통해 실내로 배출된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상기 각 오염물은 본 발명에 따른 배기장치를 통과하게 된다.
즉, 최초 정전 부직포로 이루어진 집진 필터(230)를 통과하는 각종 오염물 중 미세 먼지는 상기 집진 필터에 의해 1차적인 집진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 때에는, 상기 정전 부직포의 형상이 각종 오염물과의 접촉면적이 넓을 수 있도록 부채형상으로 절곡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집진 필터를 통과하는 각종 오염물의 1차 집진이 원활히 수행될 수 있음은 이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집진 필터에 의해 집진되지 않은 나머지 오염물 즉, 초 미세 먼지와 미생물 및 각종 냄새성분 등은 계속해서 배출되고, 이와 같은 과정에서 전리부(220)를 통과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전리부에 구비된 각 방전극(222)에는 진공 청소기의 동작과 함께 고전압 인가장치로부터 계속해서 고전압이 인가되고 있는 상태임에 따라 상기 각종 오염물 및 공기가 전리부(220)의 각 방전극(222)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코로나 방전에 의해 발생된 전자와 대전되어 +극을 띄게되는 하전이 이루어진다.
또한, 이 때에는 상기 전리부의 공기 유출측에 설치된 포집부(221)가 상기 전리부에서 발생된 전계에 의해 대전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전기를 띠게 된다.
이에 따라 전리부(22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극으로 하전된 먼지입자는 포집부(221)에 부착된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포집부(221)가 -전기를 띠게 되는 방전 대응극이기 때문에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하여 배출되는 공기 및 각종 오염물은 2차적인 집진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1차 집진 및 2차 집진에 의해서도 그 집진이 수행되지 않은 미생물과 각종 냄새 및 공기는 계속해서 배출되는 과정 중 촉매 필터(210)를 마지막으로 통과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촉매 필터에는 제올라이트 및 CuO와 같은 성분이 함침되어 있음에 따라 공기만이 상기 촉매 필터를 통과하여 진공 청소기를 구성하는 본체(1) 외부로 배출되고, 각종 냄새 및 미생물 등은 촉매 필터(210)에 의해 3차적인 집진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이 때에는 본 발명에 따른 배기장치 중 전리부(220)의 각 방전극(222)이 고전압을 인가받는 과정에서 자외광을 발생하게 되며, 이와 같은 자외광에 의해 촉매 필터(210)에 코팅된 광촉매의 반응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촉매 필터에 집진된 각종 냄새 및 미생물의 산화 분해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광촉매의 반응에 의한 각종 냄새 및 오염물질의 산화분해 작용은 기 전술한 바 있음에 따라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결국, 전술한 바와 같이 3단계에 걸친 집진 작용에 의해 모든 오염 성분들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 내부에서 제거되고, 상기 진공 청소기로부터 배출된 공기는 오염되지 않은 정화된 공기가 되어 쾌적한 실내 환경을 유지한 상태로써 청소의 수행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청소의 수행 후인 전원이 꺼진 상태에서 오랜 기간 미사용으로 인해 각종 냄새나 인체에 유해한 미생물이 청소기 본체 내에서 발생된다 하더라도 공기 배출측에 구비된 촉매 필터(210)는 계속적인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즉, 약간의 자외광만 있으면, 상기 촉매 필터에 코팅된 광촉매에 의해 각종 오염물의 산화분해가 이루어짐과 함께 자외광이 없더라도 상기 촉매 필터에 코팅된 제올라이트는 무기질로 이루어져 있음에 따라 재생이 가능하여 계속적인 집진을 수행할 수 있음은 이해 가능하다.
또한, 상기와 같이 집진된 각종 오염물질은 이후, 청소기의 재사용시 광촉매의 동작으로 인해 원활히 제거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배기장치는 굳이 진공 청소기를 구성하는 본체의 공기 배출측에만 구비하여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즉, 그 자체만으로도 집진 봉투의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등 그 다양한 응용이 가능할 수 있다.
하지만, 진공 청소기를 구성하는 본체 내부에서도 미세 먼지 혹은 각종 미생물이 발생할 수 있음에 따라 상기와 같은 각종 오염물질을 모두 제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에서와 같이 공기 배출측에 배기장치를 구비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배기장치는 진공 청소기의 본체 내부나 외부 중 어느 곳에 위치하여도 상관은 없으며, 필요에 따른 적절한 구성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기재된 각 실시예의 형태에만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가장 바람직한 형태중의 하나일 뿐 그 자체가 본 발명의 사상 자체가 되지는 않는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그 변형이나 수정이 다양하게 가능할 수 있는 유용할 발명이라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진공 청소기의 공기 배출측에 위생적인 배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광촉매가 코팅된 촉매 필터를 사용하여 각종 냄새 및 오염물질의 산화 분해를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필터의 포화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 효과가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필터의 교체를 행하지 않아도 됨에 따라 더욱 편리한 사용을 수행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제품에 대한 신뢰감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촉매 필터에 의해 알레르기(allergy) 등을 유발하는 진드기 등과 같은 인체에 유해한 미생물의 제거가 더불어 수행될 수 있음에 따라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는, 병원 등과 같은 위생상 주의를 요하는 장소에서도 원활한 사용이 가능하게 되어 그 적용이 광범위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촉매 필터 이외에 플라즈마를 이용한 방전 대응 방식으로 우선적인 미세 먼지의 집진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그 집진효율이 상당히 상승될 수 있는 효과 역시 있다.

Claims (3)

  1. 흡입력을 발생하여 공기와 함께 외부 오염물을 흡입한 후 상기 공기는 배출하고 오염물만 집진하는 진공 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진공 청소기의 공기 배출측에 자외광의 조사에 따라라디칼을 생성시키도록 광촉매()가 코팅(coating)된 촉매 필터를 구비하여 배기되는 공기에 함유된 각종 미세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의 배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촉매 필터에 이산화규소()가 주성분으로 이루어진 법랑 다공층을 형성하여 광촉매의 코팅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의 배기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촉매 필터의 법랑 다공층에 제올라이트()로 이루어진 무기물질을 추가로 코팅하여 상기 제올라이트에 의해 오염물질의 흡착이 보다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의 배기장치.
KR1019990034470A 1999-08-19 1999-08-19 진공 청소기의 배기장치 KR200100185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4470A KR20010018502A (ko) 1999-08-19 1999-08-19 진공 청소기의 배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4470A KR20010018502A (ko) 1999-08-19 1999-08-19 진공 청소기의 배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8502A true KR20010018502A (ko) 2001-03-05

Family

ID=19607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4470A KR20010018502A (ko) 1999-08-19 1999-08-19 진공 청소기의 배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1850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82213A1 (en) * 2012-11-28 2014-06-05 Esd Technology Consulting & Licensing Co.,Ltd Moist air controller and system for static charge reduc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82213A1 (en) * 2012-11-28 2014-06-05 Esd Technology Consulting & Licensing Co.,Ltd Moist air controller and system for static charge reduc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49473B2 (ja) 脱臭装置
KR20040056134A (ko) 공기 정화기
JP2003275291A (ja) 空気清浄装置
WO2005108137A1 (en) Automobile air filter
KR101352776B1 (ko) 실내 공기 정화 장치
JP3445468B2 (ja) 空気清浄装置及び同装置用の集塵電極
JPH06165910A (ja) 空気清浄器
JPH1151430A (ja) テーブル型空気清浄機
CN217887545U (zh) 一种有机易腐蚀垃圾处理设备用除臭装置
KR100509356B1 (ko) 공기청정기의 공기 정화방법 및 장치
KR20010018502A (ko) 진공 청소기의 배기장치
KR100725156B1 (ko) 공기청정기용 필터장치 및 공기청정기 및 공기청정기필터링방법
JP3321539B2 (ja) 空気調和機
JP2000005631A (ja) 空気清浄装置
JP2001054558A (ja) 空気清浄機
JP4513141B2 (ja) 空気清浄器
KR100259289B1 (ko) 진공청소기의항균/탈취장치
CN215412374U (zh) 一种智能新风杀毒治理器
JPH1190262A (ja) 空気清浄装置
KR100439682B1 (ko) 청소기의 플라즈마 살균탈취장치
JP3118531U (ja) 空気清浄機能を有するパーティションその他間仕切りパネル
KR100195941B1 (ko) 진공청소기
KR200322005Y1 (ko) 공기청정기
JP2010240630A (ja) 脱臭装置
KR200154613Y1 (ko) 음이온발생 공기청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