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8414A - 창문형 에어컨의 공기 유입구조 - Google Patents

창문형 에어컨의 공기 유입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8414A
KR20010018414A KR1019990034373A KR19990034373A KR20010018414A KR 20010018414 A KR20010018414 A KR 20010018414A KR 1019990034373 A KR1019990034373 A KR 1019990034373A KR 19990034373 A KR19990034373 A KR 19990034373A KR 20010018414 A KR20010018414 A KR 200100184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outdoor
heat exchanger
casing
f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43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훈
박병일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900343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18414A/ko
Publication of KR200100184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8414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2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omprising a compressor cycle
    • F24F1/027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omprising a compressor cycle mounted in wall openings, e.g. in windo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in or close to a wind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Conditioning Room Units, And Self-Contained Unit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문형 에어컨의 공기 유입구조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케이싱의 내부에 장착된 실외측 열교환기를 냉각시키기 위하여 케이싱내부에 설치된 실외측 팬의 회전력에 의해 외부의 공기가 케이싱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입 면적이 토출되는 토출 면적보다 작아 실외측 팬의 저항이 크게 될 뿐만 아니라 풍량이 감소되어 실외측 열교환기의 열교환 효율을 저하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는 바, 본 발명은 실외측 열교환기가 장착되는 케이싱의 양측면 및 상하면의 각면에 공기가 유입되는 복수개의 유입공을 형성하여 실외측 열교환기를 열교환시키기 위하여 실외측 팬의 회전력에 의해 외부의 공기가 케이싱내부로 유입되는 공기 유입 면적을 극대화함으로써 실외측 팬의 회전 저항을 감소시킴과 아울러 풍량을 증가시켜 실외측 열교환기의 열교환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창문형 에어컨의 공기 유입구조{STRUCTURE FOR GUEIDING AIR IN AIR-CONDITIONER}
본 발명은 창문형 에어컨의 공기 유입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열교환기를 열교환시키기 위하여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키는 팬의 저항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상기 팬의 회전에 의한 풍량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한 창문형 에어컨의 공기 유입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컨디셔너(Air-conditioner; 이하, 에어컨이라 함)는 내부에 냉동사이클장치가 장착되어 냉동사이클장치를 구성하는 열교환기에서 발생되는 냉기 및 열기를 이용하여 실내를 쾌적한 상태로 유지시키게 된다. 상기 냉동사이클장치는 냉매를 고온 고압 상태로 압축하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가 응축되면서 잠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응축기와 상기 응축된 냉매의 압력을 저하시키는 팽창수단과 상기 압력 저하된 냉매가 증발되면서 외부의 열을 흡수하는 응축기로 구성되며, 상기 응축기와 증발기는 외부와 열 교환을 이루는 열교환기의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에어컨은 냉동사이클장치가 하나의 케이싱내에 장착되어 창문에 장착되는 창문형 에어컨과, 상기 냉동사이클장치의 구성 부품이 실내기와 실외기로 분리 장착되어 실내,외에 각각 설치되는 분리형 에어컨으로 구분된다.
도 1a, 1b는 상기 창문형 에어컨의 일예를 도시한 것으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창문형 에어컨은 소정 형상으로 형성된 케이싱(10)의 내부에 구획판(11)이 형성되어 실내측과 실외측으로 구획되고 상기 케이싱(10)의 실내측과 실외측에 증발기인 실내측 열교환기(20)와 응축기인 실외측 열교환기(30)가 각각 장착되며 상기 실내,외측 열교환기(20)(30)의 옆에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키는 실,내외측 팬(40)(50)이 각각 설치된다. 상기 실내측 팬(40)은 실내의 공기가 실내측 열교환기(20)를 거쳐 실내로 토출되도록 유동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시로코팬이 주로 사용되고, 상기 실외측 팬(50)은 외부의 공기가 실외측 열교환기(30)를 거쳐 외부로 토출되도록 유동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축류팬이 주로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실외측 열교환기(30)가 장착되는 케이싱(10)의 하면에 실내측 열교환기(20)에서 형성되는 응축수가 고이도록 하는 응축수 받이수단(12)이 구비된다.
미설명 부호 M은 구동모터이다.
상기 창문형 에어컨은 케이싱(10)의 실내측이 실내에 위치하고 실외측이 실외에 위치하도록 설치된 상태에서 스위치를 온(ON)시킴에 의해 전원이 공급되어 냉동사이클장치 및 실,내외측 팬(40)(50)이 회전하게 된다. 상기 실외측 팬(50)의 회전력에 의해 외부의 공기가 케이싱(10)내로 유입되어 실외측 열교환기(30)를 거쳐 외부로 토출되면서 실외측 열교환기(30)를 냉각시키게 되고, 상기 실내측 팬(40)의 회전력에 의해 실내 공기가 실내측 열교환기(20)를 거쳐 케이싱(10)내부로 유입되면서 열교환되어 실내로 토출된다. 그리고 작동 중 온도차에 의해 상기 실내측 열교환기(20)에 응축수가 고이게 되며 그 고인 응축수는 아래로 흘러 응축수 받이수단(12)에 고이게 된다.
상기 실외측 팬(30)의 회전에 의해 외부의 공기가 케이싱(10)의 실외측내부로 유입되어 실외측 열교환기(30)를 통해 외부로 토출되는 구조는 상기 케이싱(10)은 육면체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케이싱(10) 실외측 부분의 상면(a) 및 양측면(b)(b')의 각면에 복수개의 유입공(H)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소정의 면적을 갖는 실외측 열교환기(30)가 대면되는 일면(c),즉 실외에서 보았을 때 정면에 해당되는 면에 상기 실외측 열교환기(30)를 거쳐 외부로 토출되는 토출구(h)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는 실외측 팬(50)의 회전력에 의해 케이싱(10)의 유입공(H)으로 유입된 공기가 실외측 열교환기(30)를 거쳐 토출구(h)로 토출되면서 실외측 열교환기(30)를 냉각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구조는 상기 실외측 팬(50)의 회전력에 의해 외부의 공기가 케이싱(10)의 실외측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입 면적이 토출되는 토출 면적보다 작아 실외측 팬(50)의 회전 저항이 크게 될 뿐만 아니라 풍량이 감소되어 실외측 열교환기(30)의 열교환 효율을 저하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목적은 열교환기를 열교환시키기 위하여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키는 팬의 저항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상기 팬의 회전에 의한 풍량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한 창문형 에어컨의 공기 유입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는 종래 창문형 에어컨의 일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2는 상기 창문형 에어컨의 일부분을 도시한 평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창문형 에어컨 공기 유입구조의 일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창문형 에어컨 공기 유입구조의 일예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창문형 에어컨 공기 유입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실내측 열교환기 30 ; 실외측 열교환기
70 ; 케이싱 a ; 케이싱의 상면
b,b' ; 케이싱의 측면 d ; 케이싱의 하면
H ; 유입공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내부에 실내측 열교환기 및 실외측 열교환기가 각각 장착되는 실내측과 실외측이 구획된 케이싱의 실외측 양측면 및 상면의 각면에 공기가 유입되는 복수개의 유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싱의 하면에 공기가 유입되는 복수개의 유입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형 에어컨의 공기 유입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창문형 에어컨의 공기 유입구조를 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a, 2b는 본 발명의 창문형 에어컨 공기 유입구조의 일예를 도시한 것으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창문형 에어컨 공기 유입구조는 상기 케이싱(70)이 육면체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며 그 내부가 구획판(71)에 의해 실내측 열교환기(20)가 장착되는 실내측과 실외측 열교환기(30)가 장착되는 실외측으로 구획된다. 상기 케이싱(70)의 실외측 상면(a) 및 양측면(b)(b')에 각각 복수개의 유입공(H)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싱(70)의 실외측 하면(d)에 소정의 면적을 갖도록 단차부(72)가 형성되고 그 단차부(72)에 공기가 유입되는 복수개의 유입공(H)이 형성된다. 상기 케이싱(70)의 하면에 응축수가 고이는 응축수 받이수단(73)이 형성되고 상기 단차부(72)는 상기 응축수 받이수단(73)에 고이는 응축수의 수면보다 높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70)의 실내측에 실내측 열교환기(20)가 장착되고 실외측에 실외측 열교환기(30)가 장착되며 상기 실내,외측 열교환기(20)(30)의 옆에 실내,외측 팬(40)(50)이 각각 설치되고 상기 실내,외측 팬(40)(50)은 구동모터(M)에 연결된다.
상기 케이싱(70)의 하면 일측에 실내측 열교환기(20)에서 형성되는 응축수가 응축수 받이수단(73)으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응축수 안내부(74)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싱(70)의 하면 일측에 공기가 유입되는 다수개의 유입공(H)이 형성되고 상기 다수개의 유입공(H)이 형성되는 부분의 측부에 응축수 받이수단(73)에 채워진 응축수가 유입공(H)측으로 유입되지 안도록 돌출부(75)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싱(70)의 하면 일측에 실내측 열교환기(20)에서 형성되는 응축수가 응축수 받이수단(73)으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응축수 안내부(74)가 형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창문형 에어컨 공기 유입구조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창문형 에어컨은 전원이 공급됨에 의해 냉동사이클장치가 운전되고 동시에 구동모터(M)의 작동에 의해 실,내외측 팬(40)(50)이 회전하게 된다. 상기 실외측 팬(50)의 회전력에 의해 외부의 공기가 케이싱(70)의 실외측 상면(a)과 하면(d) 그리고 양측면(b)(b')에 각각 형성된 복수개의 유입공(H)을 통해 케이싱(70)의 실외측으로 유입되고 그 유입된 외부의 공기는 실외측 열교환기(30)를 거쳐 케이싱(70)의 일측면에 형성된 토출구(h)를 통해 토출된다. 이와 같은 과정이 지속되면서 열을 발생시키는 실외측 열교환기(30)가 열교환, 즉 냉각된다. 그리고 상기 실내측 팬(40)의 회전력에 의해 실내 공기가 실내측 열교환기(20)를 거쳐 케이싱(70)내부로 유입되면서 열교환되고 그 열교환된 공기는 실내로 토출된다. 그리고 작동 중 온도차에 의해 상기 실내측 열교환기(20)에 응축수가 고이게 되며 그 고인 응축수는 아래로 흘러 응축수 안내부(74)를 통해 응축수 받이수단(12)에 고이게 된다.
본 발명은 실외측 열교환기(30)를 열교환, 즉 냉각시키기 위하여 실외측 팬(5)의 회전력에 의해 케이싱(70)내부로 유입되는 외부의 공기가 케이싱(70)의 상하면(a)(d) 그리고 양측면(b)(b')에 형성된 유입공(H)을 통해 유입되어 실외측 열교환기(30)를 거쳐 토출구(h)를 통해 외부로 토출되므로 케이싱(70)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입 면적이 증가하게 되어 유입되는 풍량이 많아지게 됨으로써 열교환 효율을 높이게 된다. 뿐만 아니라 케이싱(70)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입 면적 증가로 인하여 공기의 유입 면적과 토출 면적이 대응되도록 하게 됨으로써 실외측 팬의 회전 저항을 감소시킴에 의해 풍량이 증가되어 열교환 효율을 보다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창문형 에어컨의 공기 유입구조는 실외측 열교환기를 열교환시키기 위하여 실외측 팬의 회전력에 의해 외부의 공기가 케이싱내부로 유입되는 공기 유입 면적이 극대화되어 실외측 팬의 회전 저항을 감소시킴과 아울러 풍량을 증가시키게 됨으로써 실외측 열교환기의 열교환 효율을 높여 에어컨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내부에 실내측 열교환기 및 실외측 열교환기가 각각 장착되는 실내측과 실외측이 구획된 케이싱의 실외측 양측면 및 상면의 각면에 공기가 유입되는 복수개의 유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싱의 하면에 공기가 유입되는 복수개의 유입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형 에어컨의 공기 유입구조.
KR1019990034373A 1999-08-19 1999-08-19 창문형 에어컨의 공기 유입구조 KR200100184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4373A KR20010018414A (ko) 1999-08-19 1999-08-19 창문형 에어컨의 공기 유입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4373A KR20010018414A (ko) 1999-08-19 1999-08-19 창문형 에어컨의 공기 유입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8414A true KR20010018414A (ko) 2001-03-05

Family

ID=19607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4373A KR20010018414A (ko) 1999-08-19 1999-08-19 창문형 에어컨의 공기 유입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1841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7294B1 (ko) * 2022-09-28 2023-04-03 (주)동아풍력 고효율 송풍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7294B1 (ko) * 2022-09-28 2023-04-03 (주)동아풍력 고효율 송풍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4358B1 (ko)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컨트롤박스
KR100315774B1 (ko) 창문형슬림에어컨
CN215001918U (zh) 空调器室内机
CN215001915U (zh) 空调器室内机
CN212901780U (zh) 空调室外机
KR20050058136A (ko) 열효율이 개선된 창문형 에어컨
KR20010018414A (ko) 창문형 에어컨의 공기 유입구조
KR100544716B1 (ko) 수냉식 공기조화기
KR102458497B1 (ko) 이동형 공기조화기
CN219913243U (zh) 空调室内机
CN220065786U (zh) 空调
CN220021312U (zh) 空调
CN219457760U (zh) 空调
CN219435970U (zh) 空调
CN220042032U (zh) 空调
CN220065844U (zh) 空调
CN219476819U (zh) 空调
KR20010000831U (ko) 창문형 에어컨의 열교환기 냉각구조
KR100626455B1 (ko) 멀티형 공기조화기
JP2013050234A (ja) ヒートポンプ装置の室外ユニット
CN220209067U (zh) 空调
CN215808849U (zh) 空调器室内机
CN219350380U (zh) 空调
CN214536548U (zh) 空调器
CN213300296U (zh) 窗式空调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