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8287A - 번식우 발정 검출기 - Google Patents

번식우 발정 검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8287A
KR20010018287A KR1019990034178A KR19990034178A KR20010018287A KR 20010018287 A KR20010018287 A KR 20010018287A KR 1019990034178 A KR1019990034178 A KR 1019990034178A KR 19990034178 A KR19990034178 A KR 19990034178A KR 20010018287 A KR20010018287 A KR 200100182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estrus
cow
estrous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4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25306B1 (ko
Inventor
양보석
박성재
임기순
오성종
양현석
이성준
Original Assignee
김강권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강권,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filed Critical 김강권
Priority to KR10199900341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5306B1/ko
Publication of KR200100182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82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53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53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DVETERINARY INSTRUMENTS, IMPLEMENTS, TOOLS, OR METHODS
    • A61D17/00Devices for indicating trouble during labour of animals ; Methods or instruments for detecting pregnancy-related states of animals
    • A61D17/002Devices for indicating trouble during labour of animals ; Methods or instruments for detecting pregnancy-related states of animals for detecting period of heat of animals, i.e. for detecting oestr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DVETERINARY INSTRUMENTS, IMPLEMENTS, TOOLS, OR METHODS
    • A61D17/00Devices for indicating trouble during labour of animals ; Methods or instruments for detecting pregnancy-related states of animals
    • A61D17/004Devices for indicating trouble during labour of animals ; Methods or instruments for detecting pregnancy-related states of animals for detecting mating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DVETERINARY INSTRUMENTS, IMPLEMENTS, TOOLS, OR METHODS
    • A61D19/00Instruments or methods for reproduction or fertilis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regnancy & Childbirth (AREA)
  • Biophysic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번식우 발정 검출기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발정난 소를 검출하여 이를 무선으로 전달하여 외부에서 소의 발정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번식우 발정 검출기는 소의 발정 상태를 검출하여 소마다 다른 코드로 외부에 번식우 발정 검출 송신기와, 이 신호를 수신하여 표시장치를 통해 운용자에게 보여주는 발정 검출 수신기와, 발정 검출 수신기가 검출한 발정난 소의 정보를 외부에서 입력 받을 수 있는 호출기나 이동 전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번식우 발정 검출기{COMPUTERIZED ESTRUS DETECTION SYSTEM}
본 발명은 번식우 발정 검출기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발정난 소를 검출하여 이를 무선으로 전달하여 외부에서 소의 발정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발정 검출 방법 중 하나는 직접 육안으로 확인하는 것이다. 이 방법은 하루 2회이상 관찰하여야 90%이상의 발정관찰율을 얻을 수 있으나 발정 지속 기간이 짧은 개체 등에서는 관찰이 곤란하며 개체의 수가 많을 경우 많은 시간과 노동력이 필요한 문제점이 상존하고 있었다.
다른 발정 검출 방법 중 하나는 번식우의 승가허용 발정 증상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번식우의 미근부에 잉크가 들어있는 튜브를 장착하여 승가 허용시 잉크가 터져 이를 확인하여 발정여부를 검출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방법은 정확도는 높지만 발정 개시 시간을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다른 발정 검출 방법 중 하나는 번식우에 스위치를 장착하여 승가를 허용하면 이를 기록하는 장치였으나 소의 고유 개체 코드가 없어서 발정난 소를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동작되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주 목적은 번식우의 승가 시간과 횟수를 확인하여 정확한 발정 시간을 확인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소의 발정 상태를 외부에서도 확인하려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발정 검출 송신기의 블럭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발정 검출 수신기의 블럭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스위치 110:인코더
120:무선 송신기 200:무선 수신기
210:디코더 220:제어기
230:표시 장치 240:외부 연결 장치
250:원격지 컴퓨터 260:호출기·이동전화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을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번식우 발정 검출기 중 송신부는 첨부된 도면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가축을 키우는 축산 농가의 발정 검출에 있어서, 암소의 미근부에 부착되어 다른 소가 올라타면 작동하는 스위치(100)를 구비한다. 이때의 스위치는 누름 단추식 스위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스위치가 켜지면 작동하며, 소마다 다른 코드를 발생시키는 인코더(110)를 구비한다.
인코더에서 만들어진 신호를 무선으로 외부에 전달하는 무선 송신기(1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번식우 발정 검출기 중 수신부는 첨부된 도면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가축을 키우는 축산 농가의 발정 검출에 있어서, 발정난 소의 인코딩된 무선 신호를 검출하는 무선 수신기(200)를 구비한다.
무선 수신기의 신호를 디코딩하여 발정난 소의 인식 코드를 검출하는 디코더(210)를 구비한다.
디코더의 인식 코드를 입력 받아 발정난 소의 신호가 입력된 시간과 횟수를 기록하고, 이를 표시장치가 인식할 수 있는 신호로 변환하는 제어기(220)를 구비한다.
제어기에서 변환된 신호를 입력 받아 발정난 소의 인식 코드와 발정 횟수와 발정 시간을 표시하는 표시장치(230)를 구비한다.
제어기가 인식한 발정난 소의인식 코드와 발정 횟수와 발정 시간 정보를 외부로 전달하는 외부 연결 장치(240)를 구비한다. 이때의 외부 연결 장치는 유선으로 전화국(242)에 소의 발정여부 신호를 송신하여 사용자가 호출기나 이동전화(260)로 확인할 수 있게 하는 유선 송신기를 추가로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전화국은 이동 통신 기지국(244)을 통하여 호출기 또는 이동 전화에 연결한다. 또한 외부 연결 장치는 무선으로 원격지의 컴퓨터(250)가 소의 발정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무선 송신기를 추가로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하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중 번식우 발정 검출기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수의 가축을 키우는 축산 농가에서 번식우가 발정을 시작하면 다른 암소가 발정을 시작한 암소에 올라타게 된다. 그러면 암소의 미근부에 부착된 스위치가 켜지게 된다.
스위치가 작동되면 인코더는 스위치가 작동된 소의 식별 코드와 스위치가 작동되었음을 나타내는 신호를 발생한다.
이렇게 인코더에서 만들어진 신호는 무선 송신기를 통하여 외부의 컴퓨터나 관제실에 신호를 송신한다.
이처럼 송신된 신호는 외부의 컴퓨터나 관제실의 무선 수신기에 전달된다.
무선 수신기에 전달된 신호는 디코더에서 디코딩되어 발정난 소의 식별 코드와 승가가 있었음을 나타내는 신호로 변환된다.
이후 제어기는 디코더에서 나온 신호를 입력 받아 승가 허용 시간과 번식우의 식별 코드와 승가 허용 횟수를 기록하여 표시 장치에 보낸다.
표시 장치는 이를 운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
또한 제어기에서 만들어진 승가 시간, 승가 횟수, 개체 식별 코드는 외부 연결 장치에 전해지고, 이 신호들은 무선 송신기와 유선 송신기에 전달된다.
유선 송신기는 전화국에 상기 신호를 전달하게 되고, 이는 이동 통신 기지국에 전달되어 사용자는 호출기나 이동전화로 번식우의 발정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무선 송신기는 원격지의 컴퓨터에 상기 신호를 전달하게 되고, 원격지에서는 직접 축사까지 가지 않더라도 번식우의 발정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번식우의 발정 시간과 횟수를 정확히 확인할 수 있으며 원격지에서도 축사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게 되는 매우 유익한 발명임이 명백하다.

Claims (5)

  1. 다수의 가축을 키우는 축산 농가의 발정 검출에 있어서,
    암소의 미근부에 부착되어 다른 소가 올라타면 작동하는 스위치;
    상기 스위치가 켜지면 작동하며, 소마다 다른 코드를 발생시키는 인코더;
    상기 인코더에서 만들어진 신호를 무선으로 외부에 전달하는 무선 송신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번식우 발정 검출 송신기.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누름 단추식 스위치인 번식우 발정 검출 송신기.
  3. 다수의 가축을 키우는 축산 농가의 발정 검출에 있어서,
    발정난 소의 인코딩된 무선 신호를 검출하는 무선 수신기;
    상기 무선 수신기의 신호를 디코딩하여 발정난 소의 인식 코드를 검출하는 디코더;
    상기 디코더의 인식 코드를 입력 받아 발정난 소의 신호가 입력된 시간과 횟수를 기록하고, 이를 표시장치가 인식할 수 있는 신호로 변환하는 제어기;
    상기 제어기에서 변환된 신호를 입력 받아 발정난 소의 인식 코드와 발정 횟수와 발정 시간을 표시하는 표시장치;
    상기 제어기가 인식한 발정난 소의인식 코드와 발정 횟수와 발정 시간 정보를 외부로 전달하는 외부 연결 장치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번식우 발정 검출 수신기.
  4. 청구항 3 에 있어서,
    상기 외부 연결 장치는 유선으로 전화국에 소의 발정여부 신호를 송신하여 사용자가 호출기나 이동전화로 확인할 수 있게 하는 유선 송신기를 추가로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번식우 발정 검출 수신기.
  5. 청구항 3 에 있어서,
    상기 외부 연결 장치는 무선으로 원격지의 컴퓨터가 소의 발정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무선 송신기를 추가로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번식우 발정 검출 수신기.
KR1019990034178A 1999-08-18 1999-08-18 번식우 발정 검출기 KR1003253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4178A KR100325306B1 (ko) 1999-08-18 1999-08-18 번식우 발정 검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4178A KR100325306B1 (ko) 1999-08-18 1999-08-18 번식우 발정 검출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8287A true KR20010018287A (ko) 2001-03-05
KR100325306B1 KR100325306B1 (ko) 2002-02-25

Family

ID=19607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4178A KR100325306B1 (ko) 1999-08-18 1999-08-18 번식우 발정 검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530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7453B1 (ko) * 2001-06-11 2004-09-07 연성찬 소의 발정 감지 장치
KR100810812B1 (ko) * 2007-01-09 2008-03-06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발정 개시 표시기
CN106989777A (zh) * 2017-05-09 2017-07-28 中国农业大学 一种远程奶牛场环境监控系统及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2187B1 (ko) * 2015-10-22 2017-07-27 (주)바스온커뮤니케이션즈 발정 암소 감지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70049A (ja) * 1991-06-19 1992-12-22 Kubota Corp 乗駕行動計測装置
JPH1132609A (ja) * 1997-07-18 1999-02-09 Kyoritsu Denki Seisakusho:Kk 雌牛の発情管理装置
JPH11332411A (ja) * 1998-05-29 1999-12-07 Komutec:Kk 雌牛の発情確認により人工授精を行う雌牛の増殖飼育方法とそれに用いる電波信号・発光信号発信装置内蔵装着鞍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7453B1 (ko) * 2001-06-11 2004-09-07 연성찬 소의 발정 감지 장치
KR100810812B1 (ko) * 2007-01-09 2008-03-06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발정 개시 표시기
WO2008084905A1 (en) * 2007-01-09 2008-07-17 Republic Of Korea(Management :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An indicator of sexual excitement starting time for cattle
CN106989777A (zh) * 2017-05-09 2017-07-28 中国农业大学 一种远程奶牛场环境监控系统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25306B1 (ko) 2002-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67018A (en) Lost pet notification system
US6870484B1 (en) Patient monitoring systems having two-way communication
US962685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beacon tethering in a monitoring system
US5305370A (en) Personal emergency response communications system
US7076236B2 (en) Portable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and call center apparatus
CN102760341B (zh) 健康信息监测系统及方法
FI980819A (fi) Ihmisen fysiologisilla signaaleilla ohjautuva ympäristön ohjausjärjestelmä
US20080039699A1 (en) Medical Measuring Device
AU2005200956A1 (en) Patient monitoring apparatus
MXPA05007633A (es) Metodo y aparato para comunicar informacion de emergencia usando dispositivos inalambricos.
WO2001046927A3 (fr) Procede et dispositif pour la surveillance de personnes, d'animaux ou d'objets
JP2007029371A (ja) ナースコールシステム及び点滴報知機
US6236318B1 (en) Systems for identification and estrus state detecting in cattle
WO2004111748A2 (en) Automated surveillance monitor of non-humans in real time
US9129502B2 (en) Remote unit link quality monitoring
KR100325306B1 (ko) 번식우 발정 검출기
US4589132A (en) Emergency synthesized voice generator method and apparatus
JP2011035438A (ja) センサ機能を有する無線端末機器、該端末機器の省電力化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203520575U (zh) 体域网环境下的无线指纹报警器
JP4064938B2 (ja) 家畜や動物の出産予告の報知方法及びその装置。
KR100387226B1 (ko) 무인 자동 정보 시스템
JP2001523870A (ja) 警備および非常警報システム
CN103785155B (zh) 智能化匍匐前进训练系统及控制方法
JPS6226999A (ja) センシング機能付きトランスポンデイングカ−ド
KR900007196A (ko) Id-코드 전송기능을 갖는 페이징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