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7845A - 다이캐스팅용 열간공구강 - Google Patents

다이캐스팅용 열간공구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7845A
KR20010017845A KR1019990033568A KR19990033568A KR20010017845A KR 20010017845 A KR20010017845 A KR 20010017845A KR 1019990033568 A KR1019990033568 A KR 1019990033568A KR 19990033568 A KR19990033568 A KR 19990033568A KR 20010017845 A KR20010017845 A KR 200100178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tool steel
steel
resistance
die ca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35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남철
원종철
김동수
Original Assignee
윤영석
한국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영석, 한국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영석
Priority to KR10199900335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17845A/ko
Publication of KR200100178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7845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2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molybdenum or tungste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2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vanad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In, Mg, or other elements not provided for in one single group C22C38/001 - C22C38/60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aluminium

Abstract

본 발명은 다이캐스팅용 열간공구강에 관한 것으로서, 경도, 담금질성, 연화저항성, 내열충격성, 질화경도 및 내마모성 등을 개선시키기 위해 탄소(C)가 0.3∼0.5%, 규소(Si)가 0.2∼0.4%, 망간(Mn)이 0.4∼0.7%, 불순물인 인(P)과 황(S)이 0.03% 이하, 크롬(Cr)이 4.5∼5.5%, 몰리브덴(Mo)이 1.5∼2.5%, 바나듐(V)이 0.7∼0.9%, 알루미늄(Al)이 0.02∼0.03%, 칼슘(Ca)이 0.001∼0.006% 함유되고 나머지는 철(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구성된 다이캐스팅용 열간공구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다이캐스팅용 열간공구강{Hot-working tool steel for die-casting }
본 발명은 다이캐스팅용(Die Casting用) 열간공구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자동차 엔진케이스등 복잡한 형상의 제작 및 용융금속의 가혹한 주입조건하에서 고온강도, 인성 및 연화저항성이 부족해서 발생되는 초기 열체크(heat-check) 및 마모현상을 최소화하여 금형수명의 향상 및 품질의 안정화를 현저히 개선시킨 다이캐스팅용 열간공구강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와 전자 관련산업 등에서의 새로운 요구에 따라 다이캐스팅 산업은 크게 발전하고 있으며, 그 연관기술이 계속 고도화 및 다양화 되고 있다. 금형의 소재개발, 제조기술 및 열처리기술의 가속적 발전이 그 한 예이다.
다이캐스팅용 열간공구강은 사용조건에 따라 부가되는 온도 및 응력이 상이하여 파손양상도 다양하므로 용도에 적합한 특성을 가질 것이 요구된다.
일반적으로, 고성능, 장수명용 다이캐스팅용 열간공구강에 요구되는 특성은 다음과 같다.
1) 담금질성이 우수하고, 열처리변형이 작을 것
2) 내열체크(HEAT-CHECK)성이 우수할 것
3) 인성이 클 것
4) 연화저항성이 크고, 내마모성이 우수할 것
5) 가공성(피삭성, 방전가공성 등)이 양호할 것
특히, 전륜구동형 자동차에 적용되는 대형금형에는 담금질성이 우수한 금형재가, 형상이 복잡하고 제품표면이 우수하며 고정밀성이 요구되는 OA기기 부품용 정밀 다이캐스팅 금형에는 고온강도, 인성, 내열충격성 및 내용손성(耐溶損性)이 우수한 금형재가 요구된다.
다이캐스팅용 소재로 KS STD61이 통상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종래 강종인 STD61보다 우수한 고온강도, 인성, 연화저항성, 내열충격성 및 내마모성을 갖는 고품질의 다이캐스팅용 열간공구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이캐스팅용 열간공구강의 제조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이캐스팅용 열간공구강의 제강 및 조괴 공정도,
도 3은 본 발명의 열간공구강의 단조작업 조건을 도시하는 선도,
도 4는 본 발명의 열간공구강의 구상화 열처리 조건을 도시하는 선도,
도 5는 본 발명의 열간공구강 및 STD61을 구상화 열처리 및 담금질한 후 각기 다른 온도에서 템퍼링처리 했을 경우 경도치를 도시한 선도,
도 6은 본 발명의 열간공구강 및 STD61의 담금질 및 템퍼링 한 후 600℃에서 시간에 따른 경도변화를 비교 도시한 선도,
도 7은 본 발명의 열간공구강의 연속냉각곡선을 도시한 선도,
도 8은 본 발명의 열간공구강 및 STD61의 급열, 급냉 반복시 크랙의 길이 및 빈도수를 비교 도시한 선도,
도 9는 본 발명의 열간공구강 및 STD61의 이온질화처리 후 단면경도를 비교 도시한 선도,
도 10은 본 발명의 열간공구강 및 STD61의 내마모시험 결과를 비교 도시한 선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열간공구강은, 탄소(C)가 0.3∼0.5%, 규소(Si)가 0.2∼0.4%, 망간(Mn)이 0.4∼0.7%, 불순물인 인(P)과 황(S)이 0.03% 이하, 크롬(Cr)이 4.5∼5.5%, 몰리브덴(Mo)이 1.5∼2.5%, 바나듐(V)이 0.7∼0.9%, 알루미늄(Al)이 0.02∼0.03%, 칼슘(Ca)이 0.001∼0.006% 함유되고 나머지는 철(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구성되어 있다.
탄소(C)는 열간공구강에서 담금질성을 증가시키고 탄화물을 석출시켜 고온강도와 경도를 향상시키는 중요한 원소로서, 0.3% 미만에서는 상기 특성(담금질성, 고온강도, 경도)이 충분히 얻어지지 않으며 0.5%를 초과하면 탄소(C)량을 증가시켜도 담금질성이 증가하지 않으므로 0.3∼0.5%의 범위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규소(Si)는 결정립성장의 억제와 내산화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으나, 0.4%를 초과하면 소재를 취화(脆化)시키거나 단조성을 저하시키며, 함량이 낮을수록 인성은 향상되지만 0.2% 미만에서는 상기 장점(결정립성장의 억제, 내산화성 향상)을 충분히 발휘할 수 없어 0.2∼0.4%가 적당하다.
망간(Mn)은 베이나이트(Bainite) 변태온도를 장시간측으로 이동시켜 소재의 담금질성을 개선하는 효과가 큰 원소로서, 0.4% 미만에서는 원하는 상기 효과를 얻을 수 없고, 0.7%를 초과하게 되면 재질이 지나치게 경해지므로 가공성이 악화될 수 있으므로 0.4∼0.7%가 적당하다.
크롬(Cr)은 내산화성을 향상시키고, 탄화물을 형성하여 인성을 향상시키며 결정립의 성장을 억제하고, 베이나이트 변태온도를 장시간측으로 이동시켜 담금질성의 향상에 기여하는 원소로서, 4.5% 미만이면 상기 역할을 충분히 수행할 수 없고 5.5%를 초과하면 경화(硬化)되어 가공성이 나빠지므로 4.5∼5.5%의 범위가 적당하다.
인(P)과 황(S)은 그 함유량이 적을수록 소재의 충격특성과 내열충격성이 현저하게 향상되고 소재의 이방성이 현저히 감소하므로 0.03%이하로 설정한다.
몰리브덴(Mo)은 몰리브덴 카바이드(Mo Carbide)를 형성하여 인성의 향상에 기여하므로 몰리브덴(Mo) 함유량을 1.5%이상으로 한다. 그러나 지나치게 커지면 가공성이 악화되므로 2.5%이하로 유지한다.
바나듐(V)은 불용성(不溶性) 탄화물을 형성하여 내마모성을 향상시키고 결정립 미세화에 의해 연화저항성을 향상시키며 고온경도를 높이는 요소로서, 0.7%이상에서 효과를 발휘한다. 그러나 지나치게 함유량이 많으면 담금질성을 저하시키므로 0.9%이하로 유지한다.
알루미늄(Al)은 강력한 탈산작용을 하기 때문에 강(鋼)중의 산소함량을 감소시키고, 결정립을 미세화시켜 인성을 향상시키므로 0.02% 이상 함유하도록 한다. 그러나 과도하면 강중에 산화알루미늄(Al2O3)이 잔류하여 열간가공성을 해칠 수 있으므로 0.03%이하가 적당하다.
칼슘(Ca)은 열간가공성을 해치는 상기 알루미늄 탈산생성물(Al2O3)을 산화칼슘(CaO)으로 결합시켜, 열간소성가공시 형상이 변화하지 않는 구상(球狀)의 복합산화물인 칼슘알루미네이트(xCaOyAl2O3:12CaOㆍ7Al2O3, 3CaOㆍAl2O3, CaOㆍAl2O3)를 생성하여 강도와 인성의 이방성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므로 0.001%이상 포함되도록 한다. 그러나 지나치게 많으면, 가공저항성이 높아지기 쉬우므로 0.006% 이하로 유지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조공정 및 물리적 특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1. 제조공정
가) 제강 및 조괴
도 1에서 첫째 공정인 제강공정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로(EAF, Electric Arc Furnace) ⇒ 2차정련로(LRF, Ladle Refining Furnace) ⇒ 강괴주입 의 공정을 거친다.
불순물원소(Cu,As,Sb,Sn 등)가 적은 고품질의 고철을 선별하여 전기로에서 용해작업, 탈인작업 및 산화정련을 거쳐 불순물을 제거한 후, 레이들(ladle)에 출강하여 ASEA-SKF 2차정련로에서 비금속개재물을 부상시켜 제거하고, 균일한 화학조성 및 온도로 조절하며, 진공탈가스 조업으로 가스성분(H2, N2, O2)을 최대한 낮춘 상태로 강괴를 제조한다.
이 때, 상기 화학조성은 탄소(C)가 0.3∼0.5%, 규소(Si)가 0.2∼0.4%, 망간(Mn)이 0.4∼0.7%, 불순물인 인(P)과 황(S)이 0.03% 이하, 크롬(Cr)이 4.5∼5.5%, 몰리브덴(Mo)이 1.5∼2.5%, 바나듐(V)이 0.7∼0.9%, 알루미늄(Al)이 0.02∼0.03%, 칼슘(Ca)이 0.001∼0.006% 함유되고 나머지는 철(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구성되도록 한다.
특히, 상기 2차정련로의 진공탈가스 처리에 있어서, 가스함량을 낮추어 고온인성을 증가시키고 용강의 산소함량을 낮춤(Free Oxygen)과 동시에, 아르곤(Ar)가스의 취입과 자기교반(Magnetic Stirring)의 작업을 실시함으로써 비금속개재물을 부상 및 분리시킨다. 또한 칼슘선 공급작업(Ca-wire feeding)을 통해 잔존하는 비금속개재물의 형성을 제어하고, 적정 탈산으로 청정도를 높이기 위해 규소(Si)와 알루미늄(Al) 함량을 상한치 쪽으로 조정한다.
이와 같이, 진공탈가스 처리하여 제조된 다이캐스팅용 열간공구강은 재질의 청정도가 높고, 기공이나 편석 및 유해결함이 최대한 저감된다.
나) E.S.R 공정
특히, 본 발명의 공구강은 고청정강 제조에 최적의 공정인 E.S.R(Electro-Slag-Remelting) 공정을 거치도록 함으로써 청정도, 내마모성, 내열충격성에 있어서 종래 강종(STD61)보다 우수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공구강은 E.S.R 공정의 장점을 최대한 이용하여 전극표면의 산화스케일(scale)이 제거된다. 또한, 금속-슬래그(slag) 사이의 계면반응에 의한 정련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해서, 형석(CaF2) 40∼60%, 생석회(CaO) 20∼30%, 알루미나(Al2O3) 20%, 규사(SiO2) 2∼5% 의 슬래그 조성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 단조
품질의 균일성 및 기공(氣孔)등의 내부결함을 제거하기 위해 E.S.R 강괴를 도 3과 같은 형식으로 가열하여 강괴의 중심부까지 충분한 단련효과가 미치도록 1차와 2차로 구분하여 단조작업을 실시한다.
라) 열처리
단조상태에서의 조직 불균일을 제거하고, 결정립 미세화 및 가공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고온강도, 인성, 연화저항성, 담금질성, 내열충격성 및 내마모성 등이 우수한 성질을 얻기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상화 열처리를 실시한다. 도면에서 U+30 분/인치는, 내부와 외부의 온도를 같게 유지한 상태에서 두께 인치당 860∼880℃에서 30분간 유지한다는 의미이다.
2. 제반특성의 비교예
가) 화학조성
다음 표 1에 본 발명강과 종래 공구강(STD61)의 화학조성을 나타내었다.
나) 열처리 특성
구상화 열처리상태로 출하되는 제품을 금형 가공후 품질 열처리로서 담금질과 템퍼링(tempering)처리한다. 담금질은 1030℃에서 30min/inch 유지시킨 후 가스냉각시키고 다시 템퍼링처리로서 400∼700℃ 에서 1hour/inch로 유지하고 공냉한 후, 경도변화를 조사하여 이를 도 5에 나타내었다. 본 발명강은 전형적인 2차경화를 일으키는 열간공구강으로서 550℃부근의 템퍼링온도에서 최대 경도값을 나타내며, 종래 공구강(STD61)보다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다) 연속냉각곡선(CCT)
도 7은 열간가공 재현시험기(Thermac Master-Z, HUJI 전파, JAPAN)를 사용하여 측정한 본 발명강의 연속냉각곡선(Continuous Cooling Transformation Diagram)이다. 시험편으로 본 발명강의 구상화 어닐링(annealing) 열처리상태의 소재를 사용하여 열간가공 재현시험기에서 2℃/sec의 가열속도로 1030℃ 까지 가열하여 오스테나이징(austenizing)을 15분간 실시한 후, 5∼0.005℃/sec 범위의 다양한 냉각속도로 시편을 냉각하여 연속냉각곡선을 구하였다. 여기서 AC1온도는 약 845℃이고, AC3온도는 924℃이며, 또한 마르텐사이트 변태가 개시되는 MS온도는 292℃인 것으로 나타났다.
금형이 대형화됨에 따라, 담금질 냉각속도의 차이에 의해 내외부를 통해 균일한 기계적, 물리적 특성을 갖지 못하게 되어 최종적으로 금형수명이 단축된다. 이러한 문제가 해결되기 위해서는 소재의 담금질성이 개선되어야 한다. 본 발명강의 연속냉각곡선은 베이나이트의 형성시간이 STD61의 것보다 장시간측으로 이동되어져서 담금질성이 향상됨을 알 수 있다.
라) 열팽창계수
본 발명강의 가열시 열팽창계수를 열간가공 재현시험기로 시험하여 측정한 값을 다음 표 2에 나타내었다. 열간공구강은 실제 금형사용 중, 고온에서 반복적인 기계적, 열적 응력을 받게 되므로 열팽창계수가 높으면 재료의 표면에 열균열등의 결함이 발생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표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공구강은 매우 우수한 열팽창계수의 범위를 갖고 있다.
마) 연화저항성
STD61과 본 발명강을 담금질 및 템퍼링하여 경도를 일정하게 유지한 후, 600℃에서 시간에 따른 경도변화를 측정하였다. 도 6의 측정결과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STD61보다 본 발명강이 약 1.5배 정도 우수한 연화저항성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바) 내열충격성
열체크(Heat-Check)는 반복적인 가열/냉각으로 인해 금형의 표면에 발생되는 거북이 등모양의 크랙(crack)이다. 열체크는 적합한 금형재의 선택, 금형구조, 금형냉각 및 주조조건등, 여러 인자에 의해 영향을 받아 발생된다.
시험방법으로서, 통전가열방식으로 급가열(600℃)⇒급수냉(상온)을 반복적으로 실시한 경우, 크랙의 길이와 갯수를 측정하였다. 도 8에 그 시험결과를 나타내었는데, 본 발명강이 STD61에 비해 크랙길이가 작고 그 갯수가 적으므로 내열충격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사) 질화특성
질화처리는 내마모성, 내부식성, 피로강도 및 내소착성 등을 부여하기 위해 실시하는 표면처리의 한 방법으로서, 그 특징으로는 다른 표면경화법에 비해 변형이 적고, 우수한 내마모성과 내식성을 부여하며, 침탄법보다 낮은 온도에서 처리하여도 높은 표면강도를 얻을 수 있고, 질화처리 후 열처리가 필요없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담금질 및 템퍼링처리한 강재에 대하여 N2:H2=1:1, 530℃ ×5시간 동안 이온질화한 시편의 단면 경도분포가 나타나 있다. 본 발명강이 STD61보다 이온질화능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아) 내마모성
내마모성 시험은 본 발명강과 STD61을 디스크(disk) 및 핀(pin) 형태로 만든 핀 온 디스크 형식(pin-on-disk type)의 내마모시험기를 사용하였다. 각 강종에 대하여 플라즈마 이온질화처리를 한 것과 하지 않은 것에 대해서 시험하였으며, 동일 경도의 STD61 핀을 사용하였다. 하중을 430N, 최대속도(Vmax)를 0.3mm/sec의 시험조건에서 600초간 시험하였다.
상기한 내마모성시험의 결과를 도 10에 나타내었다. 어느 경우에도 본 발명강이 STD61보다 우수하고, 질화처리한 시편이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월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한 바와 같은 화학조성을 갖는 본 발명의 다이캐스팅용 열간공구강에 의하면, 경도, 담금질성, 연화저항성, 내열충격성, 질화경도 및 내마모성 등이 종래 다이캐스팅용 열간공구강에 비해 현저히 우수하므로, 우수한 제품표면 및 고정밀도의 제품을 얻을 수 있고 금형자체의 수명이 길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다이캐스팅용 열간공구강에 있어서, 탄소(C) 0.3∼0.5%, 규소(Si) 0.2∼0.4%, 망간(Mn) 0.4∼0.7%, 인(P)과 황(S) 0.03% 이하, 크롬(Cr) 4.5∼5.5%, 몰리브덴(Mo) 1.5∼2.5%, 바나듐(V) 0.7∼0.9%, 알루미늄(Al) 0.02∼0.03%, 칼슘(Ca) 0.001∼0.006% 함유되고 잔부는 철(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구성되는 다이캐스팅용 열간공구강.
KR1019990033568A 1999-08-16 1999-08-16 다이캐스팅용 열간공구강 KR200100178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3568A KR20010017845A (ko) 1999-08-16 1999-08-16 다이캐스팅용 열간공구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3568A KR20010017845A (ko) 1999-08-16 1999-08-16 다이캐스팅용 열간공구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7845A true KR20010017845A (ko) 2001-03-05

Family

ID=19607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3568A KR20010017845A (ko) 1999-08-16 1999-08-16 다이캐스팅용 열간공구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1784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70917A1 (ja) * 2018-10-05 2020-04-09 日立金属株式会社 熱間工具鋼および熱間工具
CN113549841A (zh) * 2021-07-16 2021-10-26 鞍钢股份有限公司 1200MPa免热处理低成本屈氏体工具钢及生产方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70917A1 (ja) * 2018-10-05 2020-04-09 日立金属株式会社 熱間工具鋼および熱間工具
JPWO2020070917A1 (ja) * 2018-10-05 2021-02-15 日立金属株式会社 熱間工具鋼および熱間工具
CN112601832A (zh) * 2018-10-05 2021-04-02 日立金属株式会社 热作工具钢及热作工具
JP2021095630A (ja) * 2018-10-05 2021-06-24 日立金属株式会社 熱間工具鋼および熱間工具
CN114000059A (zh) * 2018-10-05 2022-02-01 日立金属株式会社 热作工具钢及热作工具
CN113549841A (zh) * 2021-07-16 2021-10-26 鞍钢股份有限公司 1200MPa免热处理低成本屈氏体工具钢及生产方法
CN113549841B (zh) * 2021-07-16 2022-06-14 鞍钢股份有限公司 1200MPa免热处理低成本屈氏体工具钢及生产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983178B (zh) 一种滚珠丝杠轴承用钢及其制造方法
CN110846580B (zh) 一种高Mo高性能Mn-Cr系风电输出齿轮用钢及其生产方法
CN114134411B (zh) 一种耐低温高强度滚珠丝杠用球化退火钢及其制造方法
CN110863158A (zh) 一种高性能Mn-Cr系风电输出齿轮用钢及其生产方法
CN112981237B (zh) 一种球笼式万向节保持架用钢及其生产方法
CN110484837A (zh) 一种滚珠丝杠用钢及其制造方法
CN114134409A (zh) 一种滚珠丝母轴承用钢及其制造方法
JPH05214484A (ja) 高強度ばね用鋼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4134397B (zh) 一种适用于冷挤压滚珠丝母用钢及其生产方法
CN112143970B (zh) 高强高韧非调质前轴用钢及其生产方法
JP2000144334A (ja) 耐溶損性に優れたAlダイカスト金型用鋼
JP2001158937A (ja) 熱間加工用工具鋼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熱間加工用工具の製造方法
KR20010017845A (ko) 다이캐스팅용 열간공구강
JP7229827B2 (ja) 高炭素鋼板の製造方法
CN113667900A (zh) 一种高淬透性渗碳钢、制造方法及应用
JP3579558B2 (ja) 耐焼割れ性に優れた軸受鋼
KR19980073737A (ko) 압력용기용 고인성 크롬-몰리브덴 강
JP3409275B2 (ja) 熱処理歪の少ない肌焼鋼
CN115449703B (zh) 一种适用于冷锻加工的等温退火齿轮钢棒材及其制造方法
CN115582678B (zh) 一种重型万向节十字轴的制作方法
JP4778626B2 (ja) 熱処理歪の少ない鋼部品の製造方法
KR950003053B1 (ko) 초경면 스텐레스 금형소재
JP2009270160A (ja) 軟窒化用鋼材の製造方法
CN115852261A (zh) 一种截面硬度均匀的镜面塑料模具钢及其制造方法
CN117701996A (zh) 贝氏体非调质钢和由其制备的型材和制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