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7713A - 유체펌프 - Google Patents

유체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7713A
KR20010017713A KR1019990033375A KR19990033375A KR20010017713A KR 20010017713 A KR20010017713 A KR 20010017713A KR 1019990033375 A KR1019990033375 A KR 1019990033375A KR 19990033375 A KR19990033375 A KR 19990033375A KR 20010017713 A KR20010017713 A KR 200100177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discharge
fluid pump
hopper
blocking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3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27843B1 (ko
Inventor
박경서
Original Assignee
박경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경서 filed Critical 박경서
Priority to KR10199900333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7843B1/ko
Priority to JP2000181508A priority patent/JP3338696B2/ja
Publication of KR200100177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77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78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78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9/00Piston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or driven means to or from their working members
    • F04B9/14Pumps characterised by muscle-power ope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17/00Pump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 F04B17/03Pump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driven by electric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10/00Working fluid
    • F05B2210/10Kind or type
    • F05B2210/11Kind or type liquid, i.e. incompressib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7/00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 Details And Applications Of Rotary Liquid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체펌프에 관한 것으로, 소정의 폭과 크기를 갖고 형성되며, 몸체 상부 내측으로는 일정 깊이를 갖는 공간부(11)가 위치되고, 몸체 중앙 일측과 몸체 하부로는 연통되게, 배출부(12)와 유입부(13)가 구비되며, 상기 유입부(13)의 일측으로는 잔유배출부(14)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11)의 바닥면 중앙으로는 배출부(12)와 공간부(11)를 상호 연통시키는 장착부(15)가 구비되며, 상기 장착부(15)의 일측으로는 잔유배출부(14)와 연결된 이동홈(16)이 위치된 몸체부(10)와, 상기 몸체부(10)의 하부에 형성된 유입부(13)에 장착되어, 용기에 담겨진 유체를 흡입하여 배출부(12)를 통해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부에는 모터(M)의 구동에 의해 작동되는 흡입팬(21)이 위치된 흡입관(20)과, 상기 몸체부(10)의 중앙부 일측에 형성된 배출부(12)에 장착되어 흡입관(20)을 통해 유입된 유체를 배출부(12)를 통해 외부로 인출시키는 배출호스(30)와, 상기 몸체부(10)의 공간부(11) 상부에 장착되며, 상부에는 조작스위치(41)가 형성되고, 내측으로는 건전지(B)가 내재되는 건전지 장착부(40)와, 상기 몸체부(10)의 내측 중앙에 형성된 장착부(15)에 끼워져 위치되며, 몸체 상부로는 개폐판(51)이 형성되고, 개폐판(51)의 중앙에는 끼움돌기(52)가 구비된 차단캡(50)과, 상기 차단캡(50)이 끼워진 장착부(15) 외부에 고정되며, 몸체 상부로는 바닥면에 유입홈(61)이 구비된 유체 잔류부(62)가 소정의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유체 잔류부(62)의 일측으로는 몸체부(10)의 이동홈(16)에 끼워져 잔유배출부(14)로 연결되는 안내구(63)가 형성된 호퍼부(60)로 구성되므로, 펌핑작업중 발생될 수 있는 오버 플로우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여 유체가 몸체부(10)의 상부로 유입되어 발생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품성 및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유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유체펌프 {Pump for fluid}
본 발명은 유체펌프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모터를 동력원으로 유체를 흡입하여 배출시키는 자동 유체펌프의 몸체 내측에 모터 구동과 동시에 자동으로 작동되는 오버 플로우 방지수단을 형성하여, 펌핑작업중 오버 플로우 현상으로 발생되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 유체펌프는 모터의 구동에 의한 흡입팬의 회전으로 발생되는 흡입력을 이용하여 용기내부의 유체를 흡입한 후 타측의 배출구를 통해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장치로써, 이러한 자동 유체펌프는 용기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선단부에 가늘고 긴 흡입관이 장착되고, 상기 흡입관의 상부에는 건전지가 내재될 수 있도록, 건전지 장착실이 구비됨과 아울러, 일측에는 배출구가 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 내부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스위치 조작에 의한 모터의 구동에 의해서 흡입관 내부에 설치된 흡입팬을 회전시켜 이의 흡입력으로 유체를 몸체부 내부로 흡입시킬 수 있도록, 하는 흡입펌핑부와, 상기 몸체부와 흡입관 사이의 중간부에 위치되어 몸체부를 용기의 입구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고정부와 유체를 배출시키는 배출호스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자동 유체펌프는 펌핑작업 후 유체펌프의 흡입관과 배출관에 잔류되어 있는 유체를 제거하기 위해 흡입관의 일측부에 에어홀을 형성하여 사용하고 있다.
즉, 흡입관의 외측부에 외부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는 에어홀을 형성하여 오버 플로우 현상시나, 펌핑작업 후 유체제거 작업시 유체가 에어홀을 통해 유입된 에어에 의해 흡입관을 타고 낙하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이다.
그리고, 유체펌프가 수동 펌핑작업으로 작동되는 경우에는 몸체부의 상부에 에어벤트캡을 형성하여 펌핑작업이 종료된 후 이 에어벤트캡을 개방시켜 외부공기가 몸체부의 내부로 공급되도록 하여 잔류된 유체를 제거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바와 같이 국내특허출원(제 99 - 21609호)에서와 같이 유체펌프의 몸체 내측에 에어홈을 형성하여, 펌핑작업중이나 오버 플로우 현상시 유체가 흡입관을 타고 낙하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장치도 제안된 바 있다.
상기와 같이 종래 유체펌프중 자동 유체펌프는 펌핑작업 후 몸체부의 내부에 잔류된 유체 제거와 펌핑작업시 발생될 수 있는 오버 플로우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흡입관의 일측부에 에어홀을 형성하여 외부공기를 유입시켜 사용하고 있으나, 펌핑작업중에도 유체게 흡입관을 타고 흘러내리므로, 외관미가 저하되고, 흡입관이 쉽게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외부공기의 유입이 흡입관의 일측에 형성된 에어홀을 통해 공급되므로, 잔류된 유체를 제거하거나 오버 플로우 현상시 유체를 배출시키는 작업시간이 증대되는 폐단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오버 플로우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유체펌프의 몸체 내측에 에어홈을 형성하는 경우는 일단 역압등에 의한 오버 플로우 현상시 유체를 몸체 내측에 잔류시킨 후 배출이 이루어 지도록 형성하므로, 장시간 사용후에는 건전지 장착실 등으로 습기등이 유입되어 시스템 전체의 작동에 많은 영향을 끼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모터를 동력원으로 유체를 흡입하여 배출시키는 자동 유체펌프의 몸체 내측에 모터 구동과 동시에 자동으로 작동되는 오버 플로우 방지수단을 형성하여, 펌핑작업중 오버 플로우 현상으로 발생되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 유체펌프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체펌프의 펌핑작업시 역압등이나 이물질의 유입등으로 발생되던 오버 플로우 현상을 모터의 구동과 동시에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유체펌프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품성 및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유체펌프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유체펌프의 내부 형상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유체펌프의 내부 형상을 도시한 요부 확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인 유체펌프의 작동시 흡입력에 의해 차단캡이 호퍼부의 유입홈을 차단시키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요부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인 유체펌프의 내부 형상을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인 유체펌프의 장착부에 차단캡과 호퍼부가 순차적으로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요부 확대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인 유체펌프의 작동시 호퍼부 유입홈을 차단캡이 용이하게 차단하지 못할 경우 유체를 모아 외측으로 배출시키는 상태를 도시한 요부확대 단면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몸체부 11 - 공간부
12 - 배출부 13 - 유입부
14 - 잔유배출부 15 - 장착부
16 - 이동홈 17 - 지지턱
20 - 흡입관 21 - 흡입팬
30 - 배출호스 40 - 건전지 장착부
41 - 스위치 조작부 50 - 차단캡
51 - 개폐판 52 - 끼움돌기
53 - 가이드 돌기 60 - 호퍼부
61 - 유입홈 62 - 유체 잔류부
63 - 안내구 100 - 유체펌프
M - 모터 B - 건전지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소정의 폭과 크기를 갖고 형성되며, 몸체 상부 내측으로는 일정 깊이를 갖는 공간부(11)가 위치되고, 몸체 중앙 일측과 몸체 하부로는 연통되게, 배출부(12)와 유입부(13)가 구비되며, 상기 유입부(13)의 일측으로는 잔유배출부(14)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11)의 바닥면 중앙으로는 배출부(12)와 공간부(11)를 상호 연통시키는 장착부(15)가 구비되며, 상기 장착부(15)의 일측으로는 잔유배출부(14)와 연결된 이동홈(16)이 위치된 몸체부(10)와;
상기 몸체부(10)의 하부에 형성된 유입부(13)에 장착되어, 용기에 담겨진 유체를 흡입하여 배출부(12)를 통해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부에는 모터(M)의 구동에 의해 작동되는 흡입팬(21)이 위치된 흡입관(20)과;
상기 몸체부(10)의 중앙부 일측에 형성된 배출부(12)에 장착되어 흡입관(20)을 통해 유입된 유체를 배출부(12)를 통해 외부로 인출시키는 배출호스(30)와;
상기 몸체부(10)의 공간부(11) 상부에 장착되며, 상부에는 조작스위치(41)가 형성되고, 내측으로는 건전지(B)가 내재되는 건전지 장착부(40)와;
상기 몸체부(10)의 내측 중앙에 형성된 장착부(15)에 끼워져 위치되며, 몸체 상부로는 개폐판(51)이 형성되고, 개폐판(51)의 중앙에는 끼움돌기(52)가 구비된 차단캡(50)과;
상기 차단캡(50)이 끼워진 장착부(15) 외부에 고정되며, 몸체 상부로는 바닥면에 유입홈(61)이 구비된 유체 잔류부(62)가 소정의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유체 잔류부(62)의 일측으로는 몸체부(10)의 이동홈(16)에 끼워져 잔유배출부(14)로 연결되는 안내구(63)가 형성된 호퍼부(60)로 구성되어 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인 유체펌프(100)는 작동과 동시에 모터(M)의 흡입력에 의해 차단캡(50)이 부상되면서, 차단캡(50)의 상부 중앙에 형성된 끼움돌기(52)가 호퍼부(60)의 유입홈(61)에 끼워지면서 유체가 상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펌핑작업중 발생될 수 있는 오버 플로우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여 유체가 몸체부(10)의 상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품성 및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인 유체펌프의 내부 형상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유체펌프의 내부 형상을 도시한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유체펌프의 호퍼부 유입홈을 차단캡이 용이하게 차단하지 못할 경우 유체를 모아 외측으로 배출시키는 상태를 도시한 요부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유체펌프의 내부 형상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유체펌프의 장착부에 차단캡과 호퍼부가 순차적으로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요부 확대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인 유체펌프의 작동시 흡입력에 의해 차단캡이 호퍼부의 유입홈을 차단시키고 있는 상태를 요부 확대 단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즉, 도 1 ∼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유체펌프(100)의 몸체부(10)는 소정의 폭과 크기를 갖고 형성되며, 몸체 상부 내측으로는 일정 깊이를 갖는 공간부(11)가 위치되고, 몸체 중앙 일측과 몸체 하부로는 연통되게, 배출부(12)와 유입부(13)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10)의 유입부(13) 일측으로는 잔유배출부(14)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11)의 바닥면 중앙으로는 배출부(12)와 공간부(11)를 상호 연통시키는 장착부(15)가 구비되며, 상기 장착부(15)의 일측으로는 잔유배출부(14)와 연결된 이동홈(16)이 위치된다.
상기 몸체부(10)의 공간부(11) 바닥면 형성되는 장착부(15)는 몸체의 내부가 관통되게 형성되고, 소정의 높이를 갖고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장착부(15)의 내측에는 몸체 상부로는 개폐판(51)이 형성되고, 개폐판(51)의 중앙에는 끼움돌기(52)가 구비된 차단캡(50)이 끼워져 고정된다.
상기 차단캡(50)은 유체펌프(100)의 작동시 모터(M) 작동 유무에 따라 선택적으로 승,하강되면서, 오버 플로우 현상시 유체가 상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시키는 역활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차단캡(50)이 끼워진 장착부(15) 외부에는 몸체 상부로는 바닥면에 유입홈(61)이 구비된 유체 잔류부(62)가 소정의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유체 잔류부(62)의 일측으로는 몸체부(10)의 이동홈(16)에 끼워져 잔유배출부(14)로 연결되는 안내구(63)가 형성된 호퍼부(60)가 장착된다.
상기 호퍼부(60)는 유체펌프(100)의 작동중 발생될 수 있는 오버 플로우 현상시 유체가 상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하는 역활을 수행할 수 있도록, 몸체 상부의 유체 잔류부(62)의 바닥면에는 유입홈(61)이 구비된다.
즉, 상기 몸체부(10)의 공간부(11) 바닥면에 형성된 장착부(15)에는 차단캡(50)이 끼워져 위치되고, 그 외부로는 호퍼부(60)가 다시 장착되므로, 유체펌프(100)의 모터(M)를 작동시키는 것과 동시에 모터(M)의 흡입력에 의해 차단캡(50)은 상부로 부상되어 호퍼부(60)의 유입홈(61)의 차단캡(50)의 끼움돌기(52)가 끼워져 고정되어 유입홈(61)의 입구를 차단시키는 것이다.
이는 결국, 상기 유체펌프(100)의 작동과 동시에 차단캡(50)은 모터(M)의 흡입력에 의해 상부로 부상되면서, 호퍼부(60)의 유입홈(61)을 차단시키므로, 유체펌프(100)의 작동중 역압등에 의해 발생되는 오버 플로우 현상시 유체가 몸체부(10)의 상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차단캡(50)의 몸체 상부에 형성된 개폐판(51)은 차단캡(50)의 부상시 호퍼부(60)의 유입홈(61) 저면에 형성된 지지턱(17)과 밀착되면서, 차단캡(50)의 끼움돌기(52)가 호퍼부(60)의 유입홈(61)에 견고히 밀착될 수 있도록 하는 보조적인 역활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차단캡(50)은 모터(M)의 흡입력에 의해 상부로 부상하여 호퍼부(60)의 유입홈(61)을 차단시키므로, 모터(M)의 흡입력 등을 감안하여 비교적 가벼운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차단캡(50)의 몸체 외측부에는 차단캡(50)이 장착부(15)의 내측에서 모터(M)의 작동 유뮤에 따라 용이하게 승,하강 될 수 있도록, 가이드돌기(53)를 형성하여 사용한다.
즉, 상기 장착부(15)의 내측에서 선택적으로 승,하강되는 차단캡(50)이 면접촉이 아닌 선접촉에 의해 용이하게 승,하강 될 수 있도록 차단캡(50)의 외측부에는 가이드돌기(53)를 다수개 형성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한편, 상기와 같이 모터(M)의 작동과 동시에 호퍼부(60)의 유입홈(61)을 차단시키는 차단캡(50)은 모터(M)의 작동이 종료되면, 자중에 의해 하부로 낙하되어, 호퍼부(60)의 유입홈(61)에서 끼움돌기(52)가 이탈된다.
이때에는 몸체부(10)의 공간부(11)에 있던 에어가 호퍼부(60)의 유입홈(61)을 통해 하부로 이동되면서, 잔류되어 있던 유체가 하부로 낙하되도록 하는 역활을 수행하므로, 에어벤트의 역활까지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몸체부(10)의 장착부(15)에 끼우지는 차단캡(50)과 호퍼부(60)는 모터(M)의 작동 유,무에 따라 승,하강 되면서, 호퍼부(60)의 유입홈(61)을 개폐시킬 수 있으므로, 유체펌프(100)의 작동중 발생될 수 있는 오버 플로우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유체펌프(100)의 작동후에는 잔류된 유체를 하부로 낙하시키는 에어벤트의 역활까지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호퍼부(60)의 몸체 상부에 형성되는 유체 잔류부(62)의 일측으로는 몸체부(10)의 이동홈(16)에 끼워져 잔유배출부(14)로 연결되는 안내구(63)가 형성된다.
상기 안내구(63)의 역활은 호퍼부(60)의 유입홈(61)에 이물질 등에 의한 고착등에 의해 유입홈(61)을 차단캡(50)의 끼움돌기(52)가 밀착되게 끼워지지 않고 오버 플로우 현상시 유체가 상부로 이동되면, 먼저, 호퍼부(60)의 유체 잔류부(62)에서 일정량의 유체를 보관한 후 수위를 넘어가면 호퍼부(60)의 일측에 형성된 안내구(63)를 통해 몸체부(10)의 하부에 위치된 잔유배출부(14)로 이동시켜 오버 플로우 현상으로 발생되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차단캡(50)이 호퍼부(60)의 유입홈(61)을 차단시키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되어, 유체가 호퍼부(60)의 유체 잔류부(62)에서 일정량 만큼 응집되어 규정수위를 초과하면, 유체 잔류부(62)의 일측에 형성된 안내구(63)를 통해 유체가 이동되어 몸체부(10)의 하부에 형성된 유체 잔류부(62)를 통해 하부로 이동시켜, 오버 플로우 현상으로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인 유체펌프(100)는 몸체부(10)의 장착부(15)에 모터(M)의 흡입력에 의해 부상되는 차단캡(50)이 설치되고, 그 외측에는 유입홈(61)을 구비한 호퍼부(60)가 구비되므로, 유체펌프(100)의 작동과 동시에 모터(M)의 흡입력에 의해 차단캡(50)은 승강되어 호퍼부(60)의 유입홈(61)을 차단시켜 오버 플로우 현상시 유체가 상부로 유입되어 발생되던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유체펌프(100)의 작동이 종료되면, 상기 차단캡(50)은 자중에 의해 하부로 낙하되고, 이때, 호퍼부(60)의 유입홈(61)이 개방되면서, 상부에 있던 에어가 하부로 이동되어, 잔류되어 있던 유체는 하부로 낙하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종래의 유체펌프와는 달리 펌핑작업중 발생될 수 있는 오버 플로우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첫째, 유체펌프(100)의 작동중 발생될 수 있는 오버 플로우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제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유체펌프(100)의 작동후에는 차단캡(50)이 호퍼부(60)의 유입홈(61)에서 이탈되어 잔류된 유체를 하부로 낙하시키므로, 에어벤트의 기능까지 수행할 수 있다.
셋째, 유체펌프(100)의 작동중 차단캡(50)이 호퍼부(60)의 유입홈(61)을 차단하지 못하는 상황에서는 호퍼부(60)에서 유체를 응집시킨 후 안내구(63)를 통해 잔유배출부(14)로 이동시켜 사용하므로,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유체펌프(100)의 상품성 및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2)

  1. 소정의 폭과 크기를 갖고 형성되며, 몸체 상부 내측으로는 일정 깊이를 갖는 공간부(11)가 위치되고, 몸체 중앙 일측과 몸체 하부로는 연통되게, 배출부(12)와 유입부(13)가 구비되며, 상기 유입부(13)의 일측으로는 잔유배출부(14)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11)의 바닥면 중앙으로는 배출부(12)와 공간부(11)를 상호 연통시키는 장착부(15)가 구비되며, 상기 장착부(15)의 일측으로는 잔유배출부(14)와 연결된 이동홈(16)이 위치된 몸체부(10)와;
    상기 몸체부(10)의 하부에 형성된 유입부(13)에 장착되어, 용기에 담겨진 유체를 흡입하여 배출부(12)를 통해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부에는 모터(M)의 구동에 의해 작동되는 흡입팬(21)이 위치된 흡입관(20)과;
    상기 몸체부(10)의 중앙부 일측에 형성된 배출부(12)에 장착되어 흡입관(20)을 통해 유입된 유체를 배출부(12)를 통해 외부로 인출시키는 배출호스(30)와;
    상기 몸체부(10)의 공간부(11) 상부에 장착되며, 상부에는 조작스위치(41)가 형성되고, 내측으로는 건전지(B)가 내재되는 건전지 장착부(40)와;
    상기 몸체부(10)의 내측 중앙에 형성된 장착부(15)에 끼워져 위치되며, 몸체 상부로는 개폐판(51)이 형성되고, 개폐판(51)의 중앙에는 끼움돌기(52)가 구비된 차단캡(50)과;
    상기 차단캡(50)이 끼워진 장착부(15) 외부에 고정되며, 몸체 상부로는 바닥면에 유입홈(61)이 구비된 유체 잔류부(62)가 소정의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유체 잔류부(62)의 일측으로는 몸체부(10)의 이동홈(16)에 끼워져 잔유배출부(14)로 연결되는 안내구(63)가 형성된 호퍼부(6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펌프.
  2. 청구항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캡(50)의 몸체 외측부에는 차단캡(50)이 장착부(15)의 내측에서 모터(M)의 작동 유뮤에 따라 용이하게 승,하강 될 수 있도록, 가이드돌기(53)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펌프.
KR1019990033375A 1999-08-13 1999-08-13 유체펌프 KR1003278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3375A KR100327843B1 (ko) 1999-08-13 1999-08-13 유체펌프
JP2000181508A JP3338696B2 (ja) 1999-08-13 2000-06-16 流体ポンプ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3375A KR100327843B1 (ko) 1999-08-13 1999-08-13 유체펌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7713A true KR20010017713A (ko) 2001-03-05
KR100327843B1 KR100327843B1 (ko) 2002-03-09

Family

ID=19607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3375A KR100327843B1 (ko) 1999-08-13 1999-08-13 유체펌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338696B2 (ko)
KR (1) KR10032784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5211B1 (ko) 2019-11-27 2020-03-31 주식회사 덕신양행 자동 유체펌프
KR102142373B1 (ko) 2019-11-20 2020-08-07 주식회사 덕신양행 유체펌프
KR20230065566A (ko) 2021-11-05 2023-05-12 김경식 수동 유체 핸드펌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2373B1 (ko) 2019-11-20 2020-08-07 주식회사 덕신양행 유체펌프
US11225952B2 (en) 2019-11-20 2022-01-18 Tera Pump Fluid pump
KR102095211B1 (ko) 2019-11-27 2020-03-31 주식회사 덕신양행 자동 유체펌프
KR20230065566A (ko) 2021-11-05 2023-05-12 김경식 수동 유체 핸드펌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338696B2 (ja) 2002-10-28
JP2001073981A (ja) 2001-03-21
KR100327843B1 (ko) 2002-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842041B (zh) 地面清洗机
WO2008023513A1 (fr) Dispositif de trop-plein pour un réservoir d'eau
CA2503908A1 (en) Method for filtering water in an aquarium, a water cultivation tank and similar water bonds, and corresponding filtering system
CN217266430U (zh) 一种洗衣机
JP4659039B2 (ja) 水を使用する家庭用器具における排水導管用の導管換気装置
US6912757B2 (en) Vacuum cleaner with continuous liquid pick-up
KR100327843B1 (ko) 유체펌프
KR100800641B1 (ko) 워터필터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KR102095211B1 (ko) 자동 유체펌프
WO2023124084A1 (zh) 自清洁维护站及自清洁系统
KR100309598B1 (ko) 유체펌프
JPH09479A (ja) 床面清掃機
KR200151726Y1 (ko) 진공청소기(버큠펌프)의 오물자동 배출장치
KR102438529B1 (ko) 배관 뚫기용 장치
KR200257526Y1 (ko) 저수물통
JP5106176B2 (ja) 便器排水路の吸気装置
KR101098291B1 (ko) 악취 제거용 양변기
CN217365728U (zh) 自清洁集尘座及集尘系统
KR100281290B1 (ko) 물흡입진공청소기덮개의잔수제거장치
KR100595576B1 (ko) 습식 업라이트 청소기의 집수통
JP4994177B2 (ja) 便器排水路の吸気装置
JPH0377415B2 (ko)
JP5383992B2 (ja) 便器排水路の吸気装置
US7273544B2 (en) Sludge extractor
KR100553166B1 (ko) 충전식 진공탱크를 구비한 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21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