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7060A - 로터리 킬른 소각 시스템 - Google Patents

로터리 킬른 소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7060A
KR20010017060A KR1019990032372A KR19990032372A KR20010017060A KR 20010017060 A KR20010017060 A KR 20010017060A KR 1019990032372 A KR1019990032372 A KR 1019990032372A KR 19990032372 A KR19990032372 A KR 19990032372A KR 20010017060 A KR20010017060 A KR 200100170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ustion chamber
incineration
exhaust gas
burner
rotary kil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2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39484B1 (ko
Inventor
진형찬
Original Assignee
장기종
동국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기종, 동국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장기종
Priority to KR10199900323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9484B1/ko
Publication of KR200100170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70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94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94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08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having supplementary heating
    • F23G5/14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having supplementary heating including secondary combustion
    • F23G5/16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having supplementary heating including secondary combustion in a separate combustion cha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2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having rotating or oscillating dru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202/00Combustion
    • F23G2202/10Combustion in two or more stages
    • F23G2202/106Combustion in two or more stages with recirculation of unburned solid or gaseous matter into combustion cha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900/00Special features of, or arrangements for incinerators
    • F23G2900/50214Separating non combustible mat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cineration Of Waste (AREA)

Abstract

연소 효율을 증대시킴은 물론 일반연료와 대체 연료의 병행 사용이 가능하고, 간단한 설비로 이루어지는 로터리 킬른(Rotary kiln) 소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제1 연소실(로터리 킬른)에 일반 연료 및 대체 연료를 사용할 수 있는 2중 버너 장치를 구비하고, 제1 연소실 출구 상부 측에 제2 연소실을 플랜지 이음으로 직결하여 구성하고, 2차 연소실에서 배출된 배기가스를 급냉시키는 급냉 수단 및 집진기(백필터) 그리고 송풍기로 이루어짐으로서,
연료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소각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고, 단지 미연가스와 비회 만이 제2 연소실로 이동하여 재 연소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2차 연소 및 후처리 공정을 간소화시킬 수 있으며, 1차 연소실 하부에 구성된 재(ash) 자동 배출수단을 통하여 재의 자동배출이 이루어져 소각 물질 투입구에 투입되는 소각물질을 별도로 분류하지 않고 투입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2차 연소실을 컴팩트한 자립형 쳄버로 제작함으로서 공장에서 제작하여 현장에서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어 로터리 킬른 소각로의 제작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급냉 수단을 이용하여 고온의 배기가스(대략 850℃ 이상)를 짧은 시간 내에 냉각(약 200℃ 내외)시켜 다이옥신의 2차 발생을 억제하며, 집진 처리에 있어 백 필터를 사용하여 건식으로 처리함으로써 폐수의 발생을 억제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로터리 킬른 소각 시스템{Rotary kiln incineration system}
본 발명은 로터리 킬른 소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연소 효율을 증대시킴은 물론 일반 연료와 대체 연료의 병행 사용이 가능하고, 간단한 설비로 이루어지며 후 공정이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로터리 킬른(Rotary kiln) 소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로터리 킬른 소각 시스템은, 1차 연소실(로터리 킬른 본체) 및 2차 연소실로 이루어져 있으며, 1차 연소실의 입측에는 소각 물질 투입구가 배치되어 있고, 착화 및 조연 버너가 배치되어 있으며, 1차 연소실은 모터 등의 구동원에 의하여 횡형 원통로가 회전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 1차 연소실의 출구 측에는 2차 연소실이 직결 관통되어 있으며, 1차 연소실에서 연소된 불연성 잔재와 미연분이 2차 연소실로 인입되어 또 다른 버너에 의하여 연소가 이루어지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2차 연소실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는 유해 물질인 다이옥신 등이 포함되어 있어 이러한 유해 물질을 줄이는 후 처리 공정이 복작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로터리 킬른 소각 시스템은, 소각 물질이 인입되는 입구측에 착화 및 조연 버너가 배치되어 있어 내부 대류와 같은 방향으로 불꽃이 방사되어 연료의 소모량이 많고, 연소 효율이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1차 연소실의 출구 측에 설치되는 2차 연소실은 1차 연소실에서 완전 연소된 소각재(fixed ash)와 불연성 잔재 등이 제거되지 않은 상태로 인입되어 불필요한 부하량 증대와 연소효율 저하 및 분진 배출량 증대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으며, 소각재, 불연성 잔재 등과 미연분을 처리하기 위하여 복잡한 구조를 갖게 되어 현장에서 시설을 해야 하므로 작업성이 떨어져 제조 원가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2차 연소실로 인입된 불연성 잔재와 미연분이 2차 연소실에서 불완전 연소되거나 하부로 배출이 잘 되지 않으면, 배기가스의 함진 농도가 높아지고 불티(특히 석면) 등이 다음 공정으로 이동하여 화재의 위험과 과다한 분진으로 인하여 싸이클론 등의 프리 더스터(pre duster) 설비를 추가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배기가스 처리에 있어서도 고온의 배기가스를 약 400℃ 내외로 냉각시킨 후, 집진을 위해 싸이클론, 세정탑, 전기 집진기 등 다수의 처리장치를 사용하고 있어, 설비가 복잡하고 시설규모도 커지며, 특히, 맹독성 유해 물질인 다이옥신의 2차 발생량이 크게 증가함으로써, 고가의 다이옥신 제거설비를 추가로 설치해야 하는 등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또한 세정탑 등 습식 반은장치 등에서 발생하는 폐수의 처리를 위해 별도의 처리 설비를 설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의 대류가 같은 방향으로 버너의 불꽃이 방사되는 동시에, 내부의 대류와 반대 방향으로 버너의 불꽃이 방사되도록 하여 연소 효율을 증대시키며, 소각재와 불연성 잔재 등을 재(ash) 배출구로 2차 연소실 인입 전에 자동으로 배출하고, 미연 가스와 회분 만을 2차 연소실로 유입되도록 하여 2차 연소실에서 배기가스 중의 비회를 재 연소하여 배기가스를 줄임으로서 후처리 공정의 컴팩트화가 가능하도록 하고, 고온의 배기가스를 급랭시켜(약 200℃내외) 다이옥신의 생성을 억제시키면서 건식 집진장치로 유해물질을 제거하도록 한 로터리 킬른 소각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소각 물질을 공급하는 소각 물질 공급 수단과;
상기 소각물질 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소각 물질을 연소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며, 서로 대향하는 위치로 배치되는 제1, 2 버너를 구비하고 있는 제1 연소실과;
상기 소각 물질 공급방향의 반대측에 연결되며 제1 연소실로부터 나오는 미연가스와 비회 물질을 연소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제2 연소실과;
상기 제1 연소실에 배치되며 제1 연소실에서 발생되는 소각재와 불연성 잔재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재 배출수단과;
상기 제2 연소실로부터 나오는 고온의 배기 가스를 급냉시키기 위한 배기가스 급냉 수단과;
상기 배기가스 급냉 수단과 연결되어 있으며, 분말의 유해 물질 제거제를 배기가스 이송관로 내로 투입하는 분사장치와 함께 상기 배기가스 급냉 수단을 통과한 배기가스에 포함되어 있는 더스트를 제거하는 건식 집진기와;
상기 집진기를 통과한 배기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송풍기;
를 포함하고 있는 로터리 킬른 소각 시스템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 킬른 소각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로터리 킬른 소각로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형 불연물 배출구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
도 4는 도 3의 재 배출구의 주요 부분을 도시하고 있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로터리 킬른 소각로에서 버너의 작동에 따른 분진 및 공기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도 2의 쓰레기 투입기 측을 도시하고 있는 좌측면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로터리 킬른 소각 시스템의 구성도로서, 소각 물질 공급수단(101)과, 로터리 킬른 소각로(103)와, 배기가스 급냉수단(105)과, 집진기(107) 그리고 송풍기(109)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소각 물질 공급수단(101)은 폐기물 벙커에서 파쇄된 소각 물질과 슬러지 벙커에 저장되어 탈수기를 통하여 발생되는 케이크(cake) 등을 소각 물질 투입구(1)로 투입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상기 로터리 킬른 소각로(103)는 상기 소각 물질 투입구(1) 측에 배치되는 제1 버너(15)와, 상기 제1 버너(15)와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2 버너(17)를 구비하고 있는 제1 연소실 및 상기 제1 연소실의 제2 버너(17)가 결합되어 있는 부분의 상측에 플랜지 이음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제3 버너(17)를 구비하고 있는 제2 연소실을 포함하고 있다. 한편 상기 제1 연소실에는 제1 버너(15)의 인접한 위치에, 도 6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쓰레기 연소를 위한 또 다른 버너(16)를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배기가스 급냉수단(105)은 상기 로터리 킬른 소각로(103)를 통하여 배출되는 고온의 배기 가스를 급냉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로터리 킬른 소각로를 통과한 배기가스를 급냉하기 위한 수냉식 열 교환기(111)와, 상기 수냉식 열 교환기(111)를 통과한 배기가스를 공기에 의하여 냉각시키는 공기식 열교환기(113)가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상기 공기식 열교환기(113)는 배기가스를 공기에 의하여 냉각시키고, 배기가스에 의하여 냉각되는 과정에서 데워진 더운 공기는 제1 연소실(로터리 킬른 소각로)로 인입되어 쓰레기 소각을 위한 공기를 공급한다.
상기 분사장치는 급랭수단과 집진기 사이에 위치하며, 급랭 수단에서 집진기로 배기가스를 이송하는 관로 내에 분말의 유해 물질 제저제를 투입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상기 집진기(107, 백 필터 라고도 함)는 상기 배기가스 급냉 수단(105)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배기가스 급냉 수단(105)을 통과한 배기가스에 포함되어 있는 더스트를 제거하는 필터 구조를 가지고 있다.
상기 송풍기(109)는 상기 집진기(107)에서 나오는 배기가스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로터리 킬른 소각로의 외형 및 부분 단면을 나타내고 있는 도면으로서, 소각 물질 투입구(1)와, 제1, 2 연소실(3, 5)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제1 연소실(3)은 상기 소각 물질 투입구(1)가 결합되는 제1 측판(7)과, 상기 제1 측판(7)으로부터 일정한 거리가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측판(9) 및 상기 제1, 2 측판(7, 9) 사이에 배치되어 회전하는 횡형 원통 회전로(11) 내부의 공간에 형성된다. 상기 소각 물질 투입구(1)는 통상의 것으로 이루어지며 쓰레기 또는 소각하기 위한 재료를 투입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소각 물질 투입구(1)는 제1 측판(7)의 일측에 결합되어 제1 연소실(3) 내로 소각 물질을 인입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상기 회전로(11)는 외부에 별도로 설치된 로울러형, 기어형, 체인형 구동장치(13) 등에 의해 축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상기 제1 측판(7)의 일측에는 대체 연료를 사용할 수 있는 제1 버너(15)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1 버너(15)는 연료 절감을 위하여 대체 연료인 정제 폐유 또는 건류 가스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 대체 연료 공급 수단과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2 측판(9)의 중간부를 기준으로 상측에는 제2 연소실(5)이 플랜지 이음(flange coupling)으로 직결되어 있다. 그리고 제2 측판(9)의 하측, 즉 상기 제2 연소실(5)이 결합되는 하측에는 제2 버너(17)가 결합된다. 상기 제2 버너(17)는 일반 연료 즉, 경유 또는 도시가스 등이 사용된다. 상기 제2 버너(17)는 일반 연료를 공급할 수 있는 일반 연료 공급수단과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2 버너(17)는 제1 연소실(3) 내부의 대류가스가 소각 물질이 유입되는 입구측에서 배출되는 출구측(도면 기준으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대류의 이동이 일어나게 되며, 이와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연소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배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2 연소실(5)은 일측에 제1 연소실(3)에서 이동하는 불연가스와 불완전 연소된 비회를 연소시킬 수 있도록 제3 버너(19)를 구비하고 있다.
한편, 상기 제1 버너(15)가 배치되는 제1 측판(7)에는 일반연료가 공급될 수 있는 또 다른 버너(16)를 더 구비할 수 있다(도 6에 도시하고 있음). 상기 버너(16)는 대체연료의 공급이 불가능할 때 지속적으로 제1 연소실 내의 쓰레기를 소각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 한편, 상기 제1 연소실(2)의 하부에는 소각재와 불연성 잔재를 배출하기 위한 재 배출수단(21)이 제2 측판(9)의 하부를 연장하여 마련되어 있다. 상기 재(ash) 배출수단(21)은 제1 연소실(3)에서 완전 연소된 소각재(fixed ash)와 연소되지 않는 불연성 잔재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것으로, 도 2 및 도 3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호퍼(31)와 고형물 분리부재(33) 및 공기 유입 차단 및 고형물 배출부재(35)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호퍼(31)는 제1 연소실(3)과 상부가 연통되어 있으며, 제1 연소실 출구측인 제2 측판(9)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호퍼(31)의 중간부에는, 도 3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고형물 분리부재(33)가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고형물 분리부재(33)의 일측은 호퍼(31)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또 다른 일측은 호퍼(31) 내에 배치된다. 상기 고형물 분리부재(33)는, 도 4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호퍼(31) 내에 배치되는 부분이 일정한 크기의 소각재와 불연성 잔재(강제, 돌이나 모래, 유리 등 무기물)를 선별할 수 있도록 스크린(스테인레스 철망)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제1 연소실(3)에서 호퍼(31)로 낙하하는 소각재와 불연성 잔재는 일정한 크기 이하의 것은 아래로 낙하하고, 일정한 크기 이상의 것은 상기 고형물 분리부재(33)의 경사면을 타고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상기 호퍼(31)는 하단 배출구 부분에 공기 유입 차단 및 고형물 배출부재(35)가 배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공기 유입 차단 및 고형물 배출부재(35)는 평상시에는 폐쇄되어 제1 연소실(3) 내부로 외부의 공기가 인입되지 않도록 하며, 상부에 일정한 량의 고형물이 쌓이면 오픈시켜 쌓인 고형물을 제거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로터리 킬른 소각 시스템은, 구동장치(13)의 작동에 의하여 회전로(11)가 회전하고 있는 상태에서 제1 버너(15)측으로는 대체 연료를 주입하여 작동시키고, 제2 버너(17)는 일반 연료를 주입하여 작동시킨다. 이와 같은 2중 연소버너의 장착으로 제1, 2 버너(15, 17)를 동시에 가동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 버너에 사용되는 대체 연료의 공급이 중단되더라도 제2 버너(17)와 제3 버너(19)를 통한 정상적인 연속운전이 가능하게 된다. 만일 제1 버너(15)가 대체연료의 부족으로 작동이 중단되는 경우에는 상술한 또 다른 버너(16)로 일반 연료를 공급하여 쓰레기 투입구 측에서 버너가 연속적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폐기물 벙커에 있는 쓰레기는 쓰레기 공급 크레인으로 파쇄기에 투입시켜 적절한 크기로 파쇄한 후 컨베이어 등으로 소각 물질 투입구로 투입하며, 슬러지 벙커에 있는 슬러지는 탈수기로 탈수시킨 후, 발생된 케이크를 벨트 컨베이어 등을 이용하여 소각 물질 투입구(1)로 투입하여 제1 연소실 내부로 인입시킨다. 이때 소각 물질 투입구(1)를 통하여 투입되는 소각 물질은 불연물의 선별이나 절개 없이 투입하여도 무방하다. 그러면 소각 물질의 소각이 이루어지고, 대류가 입구측에서 출구 측으로 이동되므로(도 5에 도시하고 있음) 제2 버너(17)에 의한 연소 효율은 극대화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미연가스와 불완전 연소된 비회는 제2 연소실(5)로 이동하여 제3 버너(19)를 통하여 재 연소에 의한 완전연소가 이루어지고 후처리 공정으로 배출된다. 그리고 소각재와 불연성 잔재는 호퍼(31)로 배출되어 일정한 크기 이상의 것은 고형물 분리부재(33)의 경사면을 따라 외부로 배출되고, 일정한 크기 이하의 것은 스크린을 통하여 공기 유입 차단 및 고형물 배출부재(35)의 상부에 쌓이게 된다. 따라서 일정한 양의 고형물이 공기 유입 차단 및 고형물 배출부재(35)의 상부에 쌓이게 되면, 상기 공기 유입 차단 및 고형물 배출부재(35)를 오픈하여 쌓인 고형물을 외부로 배출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로터리 킬른 소각 시스템의 구조는 구조적 특성상 불연물의 선별이나 캔류 등의 절개 없이 소각 물질 투입구로 소각 물질을 투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후처리 공정으로 배출되는 배기 가스는, 수냉식 열교환 수단(111)을 통과하면서 급냉을 시키고, 공기식 열교환기(113)를 통과하면서 역시 냉각이 이루어진다. 상기 공기식 열교환기(113)를 통과하면서 배기가스는 냉각되고, 이 배기가스에 의하여 데워진 더운 공기는 제1 연소실(로터리 킬른)로 인입되어 소각에 필요한 공기를 공급한다. 이때 연소실의 온도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뜨거운 공기가 인입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뜨거운 공기는 배기가스의 열을 이용하므로 더욱 효율적이다.
이러한 냉각 과정은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급냉 온도는 대략 200℃ 이하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상기 배기가스가 냉각되는 시간이 길어지거나 대략 300℃ 이상이 되는 경우에는 배가가스 중에 포함되어 있는 유해 가스들이 재결합하여 다이옥신 등을 기준치 이상으로 다량 배출하기 때문에 이를 막기 위한 것이다. 또한 이와 같이, 대략 200℃의 온도로 급냉을 시키 후 종래와 같은 여러 가지 처리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곧바로 집진기로 건식처리가 가능한 것은 제1 연소실(3)에서 제2 버너(17)의 역할로 소각 물질이 연소가 충분히 이루어진 후, 미연분(미연가스)과 불완전 연소된 비회 만이 제2 연소실(5)로 인입되어 제3 버너(19)에 의하여 연소됨으로 연소효율이 높아지고, 재 배출장치에서 사전에 소각재와 불연물질이 제거되어 유해물질과 분진의 발생량이 최소화되기 때문이다. 계속해서 냉각된 배기가스는 분말분사기(106)를 통하여 분사되는 활성탄 및 소석회와 혼합되어 유해가스 성분이 제거되고, 집진기(백 필터)를 통하여 배기가스 중에 포함되어 있는 유해 물질이 재차 제거된 후 송풍기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러한 로터리 킬른 소각 시스템은 보조 연료 소모가 많은 액상 폐기물, 슬러지 등 저질 폐기물 소각에 고질 폐기물을 거류시켜 생성된 연소 가스를 제1 버너에 전용으로 공급하여 대체연료를 사용할 수 있어 연료비를 절감하고, 비상시 즉, 대체 연료 중단시에는 일반연료가 공급되는 제2 버너 및 제3 버너를 이용하여 소각로를 정지시키지 않고 연속 운전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제1 연소실 출구 상부 측에 제2 연소실을 플랜지 이음으로 직결하고, 소각 물질 투입구 측에는 대체 연료를 사용할 수 있는 버너를 설치하여 연료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출구측 하부에는 일반 연료를 사용하는 버너를 설치하여 내부 대류가 이동하는 반대 방향에서 불꽃이 분사되어 소각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단지 미연가스와 비회 만이 제2 연소실로 이동하여 재 연소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후처리 공정을 간소화시킬 수 있고, 소각재와 불연성 잔재를 배출하기 위한 재 배출수단이 마련되어 소각 물질 투입구에 투입되는 소각 물질을 분류하지 않고 투입할 수 있어 로터리 킬른 소각로 운영시 경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2차 연소실을 컴팩트한 자립형 쳄버로 제작함으로서 공장에서 제작하여 현장에서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어 로터리 킬른 소각로의 설비규모와 제작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소각 과정에서 유해가스와 분지 발생을 최소화하고, 고온의 배기가스를 급랭시켜 다이옥신의 2차 생성을 억제하면서 곧바로 건식 집진장치(백 필터)로 배기가스 처리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후 처리 공정을 최소화시키고, 운전 및 유지 관리가 용이토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소각 물질을 공급하는 소각 물질 공급 수단과;
    상기 소각물질 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소각 물질을 연소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며, 서로 대향하는 위치로 배치되는 제1, 2 버너를 구비하고 있는 제1 연소실과;
    상기 소각 물질 공급방향의 반대측에 연결되며 제3 버너를 구비하고 제1 연소실로부터 나오는 미연가스와 비회 물질을 연소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제2 연소실과;
    상기 제1 연소실에 배치되며 제1 연소실에서 발생되는 소각재와 불연성 잔재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재 배출수단과;
    상기 제2 연소실로부터 나오는 고온의 배기 가스를 급냉시키기 위한 배기가스 급냉 수단과;
    상기 배기가스 급냉 수단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배기가스 급냉 수단을 통과한 배기가스에 포함되어 있는 유해물질과 더스트를 제거하는 집진기와;
    상기 집진기를 통과한 배기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송풍기;
    를 포함하고 있는 로터리 킬른 소각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가스 급냉 수단은
    상기 제2 연소실을 통과한 배기가스를 급냉하기 위한 수냉식 열 교환기와;
    상기 수냉식 열 교환기를 통과한 배기가스를 냉각시키고, 상기 배가가스의 냉각에 의하여 다른 공기를 예열하는 공기식 열교환기가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로터리 킬른 소각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버너는 대체 연료를 공급하기 위한 대체 연료 공급 수단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2 버너는 일반 연료를 공급하기 위한 일반 연료 공급 수단과 연결되어 있는 로터리 킬른 소각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 배출수단은
    상기 제1 연소실에 유입되어 소각 후 발생된 소각재와 불연성 잔재가 배출되는 호퍼와;
    상기 호퍼의 일측에 관통되어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으며, 호퍼의 내측으로 배치되는 부분에는 일정한 크기 이하의 소각재와 불연성 잔재를 호퍼의 출구측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스크린이 형성되어 있는 고형물 분리부재와;
    상기 고형물 분리부재 아래 측의 상기 호퍼 하단부에 선택적으로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며 외부의 공기가 제1 연소실 내로 인입되는 것을 차단함과 동시에 사기 고형물 분리부재의 스크린을 통하여 배출된 불연성 잔재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공기 유입 차단 및 고형물 배출부재;
    를 구비하고 있는 로터리 킬른 소각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버너의 일측에는 일반연료를 사용하기 위한 또 다른 버너를 더 설치하는 로터리 킬른 소각 시스템.
  6. 소각을 위한 재료를 투입하는 소각 물질 투입구와;
    상기 소각 물질 투입구가 고정되는 제1 측판과, 상기 제1 측판으로부터 일정한 거리를 이격하여 배치되는 제2 측판과, 상기 제1, 2 측판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소각 물질 투입구로부터 인입된 소각 물질이 수용되는 공간을 가지고 있는 회전로를 구비하고 있는 제1 연소실과;
    상기 제1 연소실의 제2 측판 상부에 플랜지 이음으로 직결되는 제2 연소실과;
    상기 제1 측판에 설치되며, 제1 연소실 내의 소각 물질을 연소시키기 위한 제1 버너와;
    상기 제2 측판의 하부측에 설치되며 제1 연소실 내의 소각물질을 연소시키기 위한 제2 버너와;
    제2 연소실에 설치되며 제2 연소실로 인입되는 비회를 소각하기 위한 제3 버너와;
    상기 제1 연소실 출구측 하부에 배치되며 제1 연소실에서 발생한 불연성 잔재를 배출하기 위한 재 배출수단;
    을 포함하고 있는 로터리 킬른 소각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버너는 대체 연료를 공급하기 위한 대체 연료 공급 수단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2 버너는 일반 연료를 공급하기 위한 일반 연료 공급 수단과 연결되어 있는 로터리 킬른 소각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재 배출수단은
    상기 제1 연소실에 유입되어 소각 후 발생된 소각재와 불연성 잔재가 배출되는 호퍼와;
    상기 호퍼의 일측에 관통되어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으며, 호퍼의 내측으로 배치되는 부분에는 일정한 크기 이하의 소각재와 불연성 잔재를 호퍼의 출구측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스크린이 형성되어 있는 고형물 분리부재와;
    상기 고형물 분리부재 아래 측의 상기 호퍼 하단부에 선택적으로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며 외부의 공기가 제1 연소실 내로 인입되는 것을 차단함과 동시에 사기 고형물 분리부재의 스크린을 통하여 배출된 불연성 잔재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공기 유입 차단 및 고형물 배출부재;
    를 구비하고 있는 로터리 킬른 소각 시스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버너가 설치되는 제1 측판에는 일반연료를 사용하기 위한 또 다른 버너를 더 설치하는 로터리 킬른 소각 시스템.
KR1019990032372A 1999-08-06 1999-08-06 로터리 킬른 소각 시스템 KR1003394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2372A KR100339484B1 (ko) 1999-08-06 1999-08-06 로터리 킬른 소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2372A KR100339484B1 (ko) 1999-08-06 1999-08-06 로터리 킬른 소각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7060A true KR20010017060A (ko) 2001-03-05
KR100339484B1 KR100339484B1 (ko) 2002-05-31

Family

ID=19606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2372A KR100339484B1 (ko) 1999-08-06 1999-08-06 로터리 킬른 소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948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3095B1 (ko) * 2001-01-31 2004-05-28 한국기계연구원 가동 화격자식 열분해 장치
KR100488901B1 (ko) * 2003-02-12 2005-05-17 (주)한국환경기술 소각로의 고온 배기가스의 다이옥신 냉각분해시스템
KR100502826B1 (ko) * 2002-04-11 2005-07-25 주식회사 지앤씨 폐기물 소각 장치
KR100693939B1 (ko) * 2005-11-01 2007-03-12 요업기술원 유리연마 슬러지를 사용한 경량소재 제조용 로터리형 킬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1143B1 (ko) * 2010-07-06 2012-10-15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가연성 폐자원 폐기물 연소장치
CN107120659B (zh) * 2017-05-16 2019-03-05 镇江新宇固体废物处置有限公司 一种危险废物焚烧系统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45571A (en) * 1978-04-05 1981-01-20 T R Systems, Inc. Thermal reductor system and method for recovering valuable metals from waste
BR9101206A (pt) * 1990-03-29 1991-11-05 Union Carbide Ind Gases Tech Forno rotativo aceso em lados opostos
JPH0674821U (ja) * 1993-03-25 1994-10-21 正志 小池 回転式乾留ガス化燃焼装置
JPH0828841A (ja) * 1994-07-12 1996-02-02 Katsuhiro Ito 横転式焼却装置
KR0128985B1 (en) * 1994-12-13 1998-04-16 Kang Jae Won Low pollution rotary kil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3095B1 (ko) * 2001-01-31 2004-05-28 한국기계연구원 가동 화격자식 열분해 장치
KR100502826B1 (ko) * 2002-04-11 2005-07-25 주식회사 지앤씨 폐기물 소각 장치
KR100488901B1 (ko) * 2003-02-12 2005-05-17 (주)한국환경기술 소각로의 고온 배기가스의 다이옥신 냉각분해시스템
KR100693939B1 (ko) * 2005-11-01 2007-03-12 요업기술원 유리연마 슬러지를 사용한 경량소재 제조용 로터리형 킬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39484B1 (ko) 2002-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37915A (ko) 비산재 분리 기능을 갖는 원심형 연속 연소장치
KR100339484B1 (ko) 로터리 킬른 소각 시스템
KR100917928B1 (ko) 쌍방향 투입 연소 복합형 소각로
CN206055638U (zh) 用于危废物处理的裂解气化焚烧炉
KR100743641B1 (ko) 준연속식 소각시스템
JP3623751B2 (ja) 灰溶融装置を備えた竪型ごみ焼却施設とその運転方法
JP2006023030A (ja) 一次燃焼装置を備えた竪型ごみ焼却炉及びその運転制御方法
KR101547796B1 (ko) 소각 장치
JP2950754B2 (ja) ごみ焼却灰の溶融処理方法及び溶融処理設備
KR200189422Y1 (ko) 폐기물 처리 시에 발생되는 소각회를 처리할 수 있는장치를 구비하는 소각로
JPH11270816A (ja) 溶融炉におけるダイオキシン類低減方法及び装置
KR100647269B1 (ko) 소각겸용 폐기물 열분해 용융시스템
JP3789872B2 (ja) 乾燥汚泥を利用する廃棄物焼却炉の運転方法
KR102210782B1 (ko) 회전식 소각장치
KR200166171Y1 (ko) 로터리 킬른 소각로
JP4010773B2 (ja) 焼却炉
KR960007915Y1 (ko) 고속 소각기
KR102077820B1 (ko) 연소효율이 향상된 수소 소각로
KR20110119924A (ko) 폐타이어 소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온수장치
KR100230188B1 (ko) 복합형 소각장치
JP2000220815A (ja) 汚泥混焼装置
JP2001027410A (ja) 別置型焼却灰溶融設備及びその運転制御方法
CN110296416B (zh) 一种处理固废物料的炭化焚烧炉及其工作方法
KR200249669Y1 (ko) 소각장치
JP2004169955A (ja) 廃棄物焼却炉及びその操業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23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