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6708A - 네임 서버를 이용한 네트워크 트래픽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네임 서버를 이용한 네트워크 트래픽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6708A
KR20010016708A KR1019990031737A KR19990031737A KR20010016708A KR 20010016708 A KR20010016708 A KR 20010016708A KR 1019990031737 A KR1019990031737 A KR 1019990031737A KR 19990031737 A KR19990031737 A KR 19990031737A KR 20010016708 A KR20010016708 A KR 200100167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base
information
internet
name server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1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정훈
Original Assignee
문정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정훈 filed Critical 문정훈
Priority to KR10199900317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16708A/ko
Publication of KR200100167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6708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45Network directories; Name-to-address mapping
    • H04L61/4505Network directories; Name-to-address mapping using standardised directories; using standardised directory access protocols
    • H04L61/4511Network directories; Name-to-address mapping using standardised directories; using standardised directory access protocols using domain name system [D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12Network monitoring prob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50Address allocation
    • H04L61/5038Address allocation for local use, e.g. in LAN or USB networks, or in a controller area network [CA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개시된 네임 서버를 이용한 네트워크 트래픽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은 인터넷 상의 도메인 네임 서비스(DNS) 서버들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로 구축하고, 각 정보 제공자에 설치된 네임 서버에서 인터넷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판단하여 사용자와 제일 근접된 호스트를 통해 접속하고자 하는 사이트를 연결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복수의 사용자가 복수의 ISP를 통해 복수의 정보 제공자에 접속하는 인터넷에 있어서, 인터넷 상의 DNS 서버들의 IP 어드레스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로 구축하고, 인터넷의 주요 ISP에 설치된 각각의 프로브를 통해 데이터 베이스에 기록되지 않은 IP 어드레스에 대한 경로 추적, 인터넷 연결 상태, 속도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데이터 베이스를 자동으로 업데이트하며, 구축된 데이터 베이스 사용자들과 각 프로브의 프로그램 정보를 관리하는 메인 서버와; 메인 서버에서 구축한 데이터 베이스를 사용하여 인터넷 사용자의 DNS 요청시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판단하고, 초기에 설정된 속도 및/또는 지리적 정보에 따라 사용자와 제일 근접된 ISP를 통해 해당 정보 제공자에 접속하도록 하며, 메인 서버와 주기적으로 교신하여 데이터 베이스를 최적으로 유지하는 네임 서버가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정보 제공자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네트워크 자원의 효율성이 크게 증대됨은 물론 단위시간당 접속회수가 크게 증대되며, 네트워크 트래픽의 분산 및 경로 단축에 의한 접속 속도와 데이터 전송 속도가 크게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네임 서버를 이용한 네트워크 트래픽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Controlling apparatus for network traffic using a name server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네임 서버를 이용한 네트워크 트래픽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인터넷 상의 도메인 네임 서비스(Domain Name Service ; 이하, DNS라 약칭함) 서버들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로 구축하고, 각 정보 제공자(Information Provider)에 설치된 네임 서버(Name Server)에서 인터넷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판단하여 사용자와 제일 근접된 호스트를 통해 접속하고자 하는 사이트를 연결하도록 하는 네임 서버를 이용한 네트워크 트래픽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컴퓨터의 폭발적인 보급과 더불어 전세계의 사용자가 시간과 공간을 공유할 수 있는 영역인 인터넷을 통해 전세계가 하나의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추세에 있으며, 인터넷 상에 자신의 웹 사이트를 개설하여 전세계의 네티즌들에게 자신을 홍보하거나 또는 자신의 정보를 제공함은 물론 원하는 정보를 쉽게 찾을 수 있게 되었다.
즉, 사용자가 컴퓨터에 설치된 인터넷 익스플로러(Internet Explorer) 또는 넷스케이프 네비게이터(Netscape Navigator) 등의 웹 브라우저(web browser)를 구동시켜 인터넷에 접속한 후 특정한 URL(Universal Resource Locator)을 입력시키면 웹 브라우저는 해당 웹 페이지가 있는 서버에 접속하고, 사용자는 이 웹 페이지에 있는 텍스트 또는 그래픽으로 된 각종 정보를 이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인터넷을 이용하여 사용자들은 전세계의 수많은 컴퓨터들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들을 공유할 수 있으며, 텔넷(Telnet), 전자 우편(E-mail), 파일 전송 서비스(File Transfer Protocol), 월드 와이드 웹(World Wide Web) 등의 각종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상술한 바와 같은 인터넷 이용시 일반적인 네트워크 연결상태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세계의 컴퓨터 사용자들이 인터넷(10) 상에 개설된 여러 정보 제공자(웹 사이트)(12)들중 어느 하나의 특정한 정보 제공자(12)가 제공하는 각종 정보를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모뎀(modem), ISDN(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PPP(Point to Point Protocol) 등의 각종 통신 수단을 통해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Internet Service Provider ; 이하, ISP라 약칭함)(11A∼11D)에 연결하여 특정 ISP(11D)에 연결되어 있는 해당 정보 제공자(12)와 접속하여야 한다.
이때, 상술한 ISP(11A∼11D)는 도면에 도시된 4개 이외에 매우 많은 수의 ISP가 있으며, 상술한 정보 제공자(12)는 특정 ISP(11D)에서 계정(account)을 제공 받아 인터넷 사용자들이 접속하여 정보를 이용할 수 있도록 웹 사이트를 개설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인터넷 사용자들이 해당 정보 제공자(12)로 접속을 진행하는 도중에는 매우 많은 수의 호스트를 거치게 되는데, 경우에 따라 많은 수의 호스트로 인하여 접속 속도가 매우 늦어질 수 있다.
도 2는 상술한 설명과 같이 사용자에 의한 접속 진행중 호스트의 수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네트워크 연결상태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정보 제공자(23)는 ISP(21A∼21D)들중 어느 하나의 특정 ISP(21D)에 서버(22)를 제공한다.
따라서 인터넷 사용자들은 특정 ISP(21D)에 연결된 정보 제공자(23)와 접속하지 않고 바로 특정 ISP(21D)에 설치된 서버(22)를 통해 해당 정보 제공자(23)가 제공하는 각종 정보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즉, 인터넷 사용자들이 해당 정보 제공자(12)로 접속을 진행하는 도중 매우 많은 수의 호스트를 거치게 되는 도 1과는 다르게 그 호스트의 수가 줄어들게 되어 접속 속도가 다소 향상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인터넷 접속방법들로는 사용자의 기하급수적인 증가와 한정된 네트워크로 인하여 어느 하나의 사이트에 세계 각 지역의 수많은 사용자가 동시에 접속을 시도하는 경우 접속 속도 및 데이터 전송 속도가 매우 느려짐은 물론 접속이 진행되지 않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시스템이 다운되는 등 네트워크 트래픽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인터넷 상에 개설된 특정 사이트 접속시 수많은 호스트를 거치는 경우에는 인터넷 상에서 이루어지는 디지털 방송, 영화, 화상 전화, 온라인 게임 등의 고품질 서비스에 필요한 고속 접속 및 대용량의 데이터 전송을 효율적으로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인터넷 상의 DNS 서버들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로 구축하고, 각 정보 제공자에 설치된 네임 서버에서 인터넷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판단하여 사용자와 제일 근접된 호스트를 통해 접속하고자 하는 사이트를 연결함으로써, 네트워크 트래픽의 분산 및 경로 단축에 의한 접속 속도와 데이터 전송 속도의 향상을 이루도록 하는 네임 서버를 이용한 네트워크 트래픽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네트워크 연결상태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네트워크 연결상태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네임 서버를 이용한 네트워크 트래픽 제어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도 3의 메인 서버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네임 서버를 이용한 네트워크 트래픽 제어에 사용되는 데이터 베이스 구축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네임 서버를 이용한 네트워크 트래픽 제어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7은 도 3의 정보 제공자에 설치되는 네임 서버의 동작과정을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
도 8은 도 3의 메인 서버의 데이터 베이스 업데이트 과정을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
도 9는 도 3의 각 프로브의 동작 과정을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연결상태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메인 서버
110 : 제어부
120 : 프로그램 저장부
130 : 데이터 베이스부
140, 150 : 인터페이스부
160 : 표시부
200 : 정보 제공자
210, 220 : 네임 서버
300 : 프로브
400A∼400D : ISP
410A∼410D : 서버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네임 서버를 이용한 네트워크 트래픽 제어장치는, 복수의 사용자가 복수의 ISP를 통해 복수의 정보 제공자에 접속하는 인터넷에 있어서, 인터넷 상의 DNS 서버들의 IP 어드레스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로 구축하고, 인터넷의 주요 ISP에 설치된 각각의 프로브를 통해 데이터 베이스에 기록되지 않은 IP 어드레스에 대한 경로 추적, 인터넷 연결 상태, 속도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데이터 베이스를 자동으로 업데이트하며, 구축된 데이터 베이스 사용자들과 각 프로브의 프로그램 정보를 관리하는 메인 서버와; 메인 서버에서 구축한 데이터 베이스를 사용하여 인터넷 사용자의 DNS 요청시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판단하고, 초기에 설정된 속도 및/또는 지리적 정보에 따라 사용자와 제일 근접된 ISP를 통해 해당 정보 제공자에 접속하도록 하며, 메인 서버와 주기적으로 교신하여 데이터 베이스를 최적으로 유지하는 네임 서버가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정보 제공자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네임 서버를 이용한 네트워크 트래픽 제어방법은, 메인 서버에서 인터넷 상의 DNS 서버들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로 구축하는 과정과; 복수의 정보 제공자에 네임 서버를 설치하고, 인터넷 상의 주요 ISP에 프로브를 설치하는 과정과; 네임 서버가 설치된 각 정보 제공자에게 구축된 데이터 베이스를 제공하는 과정과; 인터넷 사용자에 의한 특정 정보 제공자 접속이 요청되면 네임 서버에서 사용자의 위치를 판단하고, 사용자와 가장 근접한 ISP를 통해 특정 정보 제공자로의 접속을 진행하는 과정과; 각 네임 서버에서 전송되는 데이터 베이스에 포함되지 않은 IP 어드레스 정보를 각 프로브의 정보를 통해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하여 각 네임 서버에 제공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네임 서버를 이용한 네트워크 트래픽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네임 서버를 이용한 네트워크 트래픽 제어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4는 도 3의 메인 서버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서버(100)는 인터넷 상의 DNS 서버들의 IP 어드레스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로 구축하여 후술되는 정보 제공자(200)에 설치되는 네임 서버(210)에 제공하며, 인터넷의 주요 ISP에 설치된 프로브(probe)(300)를 통해 데이터 베이스에 기록되지 않은 IP 어드레스에 대한 경로 추적, 인터넷 연결 상태, 속도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한 후 데이터 베이스를 자동으로 업데이트하여 각 네임 서버(210)에 제공한다.
또한, 메인 서버(100)는 IP 어드레스에 대한 정보가 구축된 데이터 베이스를 사용하는 정보 제공자(100)들과 각 프로브(300)의 프로그램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로 구축하여 관리한다.
상술한 메인 서버(100)는 프로그램 저장부(120)의 각종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각 프로브(300)와 네임 서버(210)의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 베이스와 DNS 서버들의 IP 어드레스에 대한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고, IP 어드레스에 대한 데이터 베이스에 기록되지 않은 IP 어드레스에 대한 정보를 자동으로 업데이트하고, 각 프로브(300)와 네임 서버(210)와의 통신을 제어하며, 관리자가 메인 서버(100)의 동작상태를 확인하도록 표시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110)와, 데이터 베이스 업데이트 프로그램, 네임 서버(210)가 설치된 각 정보 제공자(200)들의 관리 프로그램, 인터넷의 주요 ISP에 설치된 프로브(300)의 관리 프로그램, 메인 서버(100)와 연결된 각 프로브(300)와 네임 서버(210)의 통신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 저장부(120)와, 제어부(110)에서 구축된 각종 데이터 베이스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부(130)와, 제어부(110)와 각 프로브(300)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제 1 인터페이스부(140)와, 제어부(110)와 각 정보 제공자(200)에 설치된 네임 서버(210)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제 2 인터페이스부(150)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메인 서버(100)의 전반적인 동작상태를 관리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표시부(160)로 구성되어 있다.
정보 제공자(200)는 메인 서버(100)에서 구축한 데이터 베이스를 사용하여 인터넷 사용자의 DNS 요청시 데이터 베이스를 통해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판단하고, 초기에 설정된 속도 및/또는 지리적 정보에 따라 사용자와 제일 근접된 ISP를 통해 해당 정보 제공자(200)에 접속하도록 하며, 메인 서버(100)와 주기적으로 교신하여 데이터 베이스를 최적으로 유지하는 네임 서버(21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정보 제공자(200)에는 네임 서버(210) 이외에 네임 서버(210)에 오류가 발생되는 경우를 대비하여 백업용 네임 서버(220)가 추가로 구비되어 있다.
프로브(300)는 인터넷의 주요 ISP에 설치되어 있으며, 메인 서버(100)의 요청에 따라 메인 서버(100)의 데이터 베이스에 기록되지 않은 IP 어드레스에 대한 경로를 추적하고, 인터넷의 연결 상태를 확인하며, 속도에 대한 정보를 측정한 후 메인 서버(100)에 실시간으로 제공한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네임 서버를 이용한 네트워크 트래픽 제어에 사용되는 데이터 베이스 구축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정보 제공자(200)들에 설치된 각 네임 서버(210)에서 네트워크 트래픽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하는 데이터 베이스는 ARIN(American Registry for Internet Numbers), RIPE(Reseaux IP Europeans), APNIC(Asia Pacific Network Information Centre), KRNIC(Korea Network Information Centre) 등의 인터넷 레지스트리 기관들을 통해 등록된 DNS 서버들의 정보와, BGP(Border Gateway Protocol)를 이용한 인터넷 각지의 룩킹-글래스(Looking-Glass) 프로그램을 통해 제공되는 정보와, RADB(Routing Arbiter DataBase) 등의 퍼블릭 라우팅 정보와, 인터넷 사용자가 현재 사용중인 IP 어드레스에 대한 정보가 데이터 베이스에 기록되지 않은 경우 각 프로브(30)에서의 트래이스라우트(traceroute)를 이용한 마지막 라우터 위치의 실시간 판단 정보 등을 통해 구축된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네임 서버를 이용한 네트워크 트래픽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의 작용을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네임 서버를 이용한 네트워크 트래픽 제어의 흐름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7은 도 3의 정보 제공자(200)에 설치되는 네임 서버(210)의 동작과정을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이며, 도 8과 도 9는 도 3의 메인 서버(100)의 데이터 베이스 업데이트 과정과 각 프로브(300)의 동작과정을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이다.
우선, 메인 서버(100)에서는 인터넷 상의 DNS 서버들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로 구축한다(S100).
또한, 복수의 정보 제공자(200)에 네임 서버(210)를 설치하고, 인터넷 상의 주요 ISP에는 프로브(300)를 설치한다(S200).
그리고 메인 서버(100)는 네임 서버(210)를 설치하는 각 정보 제공자(200)에게 네트워크 트래픽 제어를 위한 데이터 베이스를 제공한다(S300).
이처럼 모든 시스템이 구비되어 있는 상태에서 인터넷 사용자에 의해 특정 정보 제공자(200)로의 접속이 요청되면, 해당 정보 제공자(200)의 네임 서버(210)에서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판단하고, 사용자와 가장 근접한 ISP를 통해 접속할 수 있도록 한다(S400).
상술한 과정(S400)을 도 7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각 정보 제공자(200)의 네임 서버(210)는 초기 환경설정 파일을 읽어들이고, 메인 서버(100)와 초기 교신하여 새로운 버전의 데이터 베이스가 있는지를 확인하여 데이터 베이스를 최적화 상태로 유지하도록 한다(S410).
이때, 초기 환경설정은 각 정보 제공자(200)측에서 속도에 따라 인터넷 사용자들의 DNS 요청을 처리할 것인지 아니면 지리적 정보에 따라 인터넷 사용자들의 DNS 요청을 처리할 것인지를 설정하는 것이다. 물론, 상술한 2가지 경우를 혼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지리적 정보에 따라 IP 어드레스를 할당하는 경우 어느 하나의 정보 제공자(200)측에 접속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대한민국에 위치하고 있다면, 네임 서버(210)에서는 해당 사용자와 가장 근접되어 있는 대한민국 내의 ISP를 통해 접속을 진행하도록 제어한다.
이와 같이 상술한 단계(S410)에서 초기 환경설정 파일을 읽어들인 후 네임 서버(210)는 인터넷 사용자에 의한 DNS 요청이 수행되는지를 판단한다(S420).
판단 결과 인터넷 사용자에 의해 DNS 요청이 수행되면 사용자가 현재 위치한 IP 어드레스를 확인하고, 데이터 베이스에서의 검색을 진행한다(S430).
그리고 데이터 베이스 검색을 통해 사용자가 현재 위치한 IP 어드레스가 데이터 베이스에 존재하는지를 판단하여(S440), 사용자가 현재 위치한 IP 어드레스가 데이터 베이스에 존재하면 속도 및/또는 지리적 정보에 대한 정보 제공자의 초기 설정에 따라 제공할 IP 어드레스를 준비하고(S450), 준비된 IP 어드레스와 SOA(Start Of Authority)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S460).
그러나, 상술한 단계(S440)의 판단 결과 사용자가 현재 위치한 IP 어드레스가 데이터 베이스에 존재하지 않으면 모르는 IP 어드레스 정보를 저장하고, 기본 제공용(default) IP 어드레스를 준비하며(S470), 준비된 IP 어드레스와 SOA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S480).
이에 따라 인터넷 사용자는 네임 서버(210)에서 제공되는 IP 어드레스와 SOA를 통해 자신과 가장 근접된 ISP를 통해 해당 정보 제공자(200)로 접속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네임 서버(210)는 모르는 IP 어드레스들을 주기적으로(예를 들어, 1시간 간격) 메인 서버(100)로 전송하고, 메인 서버(100)에서 업데이트된 새로운 데이터 베이스와 프로그램을 제공받는다(S490).
이제, 인터넷 사용자에 의해 특정 정보 제공자(200)로의 접속이 요청되어 사용자와 가장 근접한 ISP를 통해 접속하도록 하는 상술한 과정(S400) 이후, 메인 서버(100)에서는 각 네임 서버(210)에서 전송되는 데이터 베이스에 포함되지 않은 IP 어드레스 정보를 인터넷 상의 주요 ISP에 설치되어 있는 각 프로브(300)를 통해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하여 데이터 베이스에 새롭게 추가한 후 각 네임 서버(210)에 제공한다(S500).
상술한 과정(S500)을 도 8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메인 서버(100)는 각 정보 제공자(200)에 설치된 네임 서버(210)의 메인 서버 특정 포트 접속에 의해 데이터 베이스 업데이트 프로그램을 시작하고(S510), 접속된 각 정보 제공자(200)의 인증 절차를 수행한다(S520).
그리고 상술한 단계(S520)를 통해 인증이 완료되면, 각 정보 제공자(200)에 설치되어 있는 네임 서버(210)의 프로그램과 데이터 베이스가 새로운 버전인지를 판단한다(S530).
상술한 단계(S530)의 판단 결과 새로운 버전이 아닌 경우 새로운 버전의 프로그램과 데이터 베이스를 제공하고(S540), 상술한 단계(S530)의 판단 결과 새로운 버전인 경우 각 네임 서버(210)에서 전송되는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되지 않은 IP 어드레스들의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한다(S550).
이처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되지 않은 IP 어드레스들의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한 후에는 주기적으로 데이터 베이스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되지 않은 IP 어드레스들을 확인한다(S560).
그리고, 인터넷의 주요 ISP에 설치된 각 프로브(300)에 질의하여 해당 IP 어드레스에 대한 정보를 수집함과 동시에(S570), 인터넷 각지의 룩킹-글래스 프로그램에 질의하여 정보를 수집한다(S580).
이때, 상술한 단계(S570)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도 9 참조), 인터넷의 주요 ISP에 설치된 각 프로브(300)는 메인 서버(100)의 요청으로 프로그램을 시작한다(S571).
이처럼 프로그램이 시작되면 각 프로브(300)는 초기 환경설정 파일을 읽어들이고, 메인 서버(100)와 초기 교신을 수행한 후(S572), 메인 서버(100)에서 질의하는 해당 IP 어드레스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각 객체로의 트래이스라우트를 시도하고, 라우터간의 대기 시간(Latency)을 측정하여 메인 서버(100)의 데이터 베이스에 기록되지 않은 IP 어드레스에 대한 경로 추적, 인터넷 연결 상태, 속도에 대한 정보를 검출한다(S573).
그리고 검출된 해당 IP 어드레스에 대한 각종 정보를 메인 서버(100)로 전송하고 프로그램을 종료한다(S574).
이제, 상술한 단계(S570)(S580)를 통해 각 프로브(300)에서 전송되는 해당 IP 어드레스에 대한 정보와 룩킹-글래스 프로그램을 통한 정보를 수집한 후에는 해당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에 추가하고, 최적화한 후 메인 서버 관리자에 작업 완료를 알린다(S590).
이에 따라 메인 서버(100)에서는 각 네임 서버(210)에서 전송되는 모르는 IP 어드레스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에 추가하여 업데이트하게 되며, 업데이트된 데이터 베이스를 각 네임 서버(210)로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마지막으로,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연결상태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정보 제공자(200)에는 메인 서버(100)에서 제공되는 네임 서버(210)가 설치되어 있으며, 인터넷 상의 ISP(400A∼400D)들 각각에 서버(410A∼410D)를 제공한다.
따라서 인터넷 사용자들은 각각의 ISP(400D)에 연결된 정보 제공자(200)와 접속하지 않고 바로 각각의 ISP(400A∼400D)에 설치된 서버(410A∼410D)를 통해 해당 정보 제공자(200)가 제공하는 각종 정보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어느 특정 ISP(400A)에 연결된 인터넷 사용자가 접속하기를 원하는 정보 제공자(200)의 DNS를 요청하면, 정보 제공자(200)에 설치된 네임 서버(210)에서는 사용자의 현재 IP 어드레스 위치를 확인한 후 사용자와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는 ISP(400A)에 있는 해당 정보 제공자(200)의 서버(410A)를 통해 바로 접속이 진행되도록 한다.
즉, 인터넷 사용자들이 해당 정보 제공자(200)로 접속을 진행하는 도중 전술한 종래 기술과는 다르게 가장 근접된 ISP를 통해 접속을 진행하여 접속 속도가 크게 향상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대형 정보 제공자의 경우 전세계의 여러 사용자가 접속을 하더라도 해당 지역의 서버로 접속할 수 있어 대표 URL 하나만 있으면 지역 URL에 대한 별도의 홍보가 필요하지 않게 된다.
즉, 어느 정보 제공자가 대한민국에 있는 ISP를 사용하는 경우 정보 제공자 측에 본 발명에 따른 네임 서버를 설치하고 대한민국 이외의 전세계의 주요 ISP에 서버를 분산하면, 전세계의 여러 사용자가 접속을 진행할 때 대표 URL만 입력하면 사용자가 위치한 해당 지역 또는 국가와 가장 근접되어 있는 ISP를 통해 해당 정보 제공자와 접속이 진행되므로 지역 URL이 별도로 필요하지 않게 된다.
또한, 광고적인 측면에 있어, 인터넷 사용자와 제일 근접된 ISP를 통해 정보 제공자와 접속을 진행할 때 해당 지역의 언어 또는 지역적인 이슈(예를 들어, 기후에 따른 상품 안내)를 통한 소정의 광고를 제공할 수 있어 지역 광고사들의 연합이 가능하며, 하나의 통합된 정보 제공자를 구심으로 한 초대형 국제 광고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인터넷 사용자들을 적극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인터넷 방송국의 경우, 인터넷 사용자들이 가장 가까운 방송서버에 연결되어 방송전달시 불안한 요소가 감소되므로 각종 영상과 음성신호의 끊김이 줄어들게 되어 고품위 방송이 가능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네임 서버를 이용한 네트워크 트래픽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에 의하면, 인터넷 사용자의 지리적 위치, 로드 정보, 연결 상태에 따라 IP 어드레스를 할당되어 로드가 비교적 작은 서버로 분산하게 되어 매우 빠르게 접속이 진행되기 때문에(이때의 반응속도는 최대 5ms 정도) 네트워크 자원의 효율성이 크게 증대됨은 물론 단위시간당 접속회수가 크게 증대되며, 네트워크 트래픽의 분산 및 경로 단축에 의한 접속 속도와 데이터 전송 속도가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네임 서버의 데이터 베이스에 존재하지 않는 IP 어드레스를 메인 서버에서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하여 제공함으로써 인터넷 환경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7)

  1. 복수의 사용자가 복수의 ISP를 통해 복수의 정보 제공자에 접속하는 인터넷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 상의 DNS 서버들의 IP 어드레스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로 구축하고, 인터넷의 주요 ISP에 설치된 각각의 프로브를 통해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기록되지 않은 IP 어드레스에 대한 경로 추적, 인터넷 연결 상태, 속도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데이터 베이스를 자동으로 업데이트하며, 상기 구축된 데이터 베이스 사용자들과 각 프로브의 프로그램 정보를 관리하는 메인 서버; 및
    상기 메인 서버에서 구축한 데이터 베이스를 사용하여 인터넷 사용자의 DNS 요청시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판단하고, 초기에 설정된 속도 및/또는 지리적 정보에 따라 사용자와 제일 근접된 ISP를 통해 해당 정보 제공자에 접속하도록 하며, 상기 메인 서버와 주기적으로 교신하여 데이터 베이스를 최적으로 유지하는 네임 서버가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정보 제공자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임 서버를 이용한 네트워크 트래픽 제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서버는,
    데이터 베이스 업데이트 프로그램, 네임 서버가 설치된 각 정보 제공자들의 관리 프로그램, 인터넷의 주요 ISP에 설치된 프로브 관리 프로그램, 메인 서버와 연결된 각 프로브와 네임 서버의 통신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 저장부;
    상기 프로그램 저장부의 각종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각 프로브와 네임 서버의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 베이스와 DNS 서버들의 IP 어드레스에 대한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고, IP 어드레스에 대한 데이터 베이스에 기록되지 않은 IP 어드레스에 대한 정보를 자동으로 업데이트하고, 상기 각 프로브와 네임 서버와의 통신을 제어하며, 관리자가 메인 서버의 동작상태를 확인하도록 표시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구축된 각종 데이터 베이스가 저장되는 데이터 베이스부;
    상기 제어부와 각 프로브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제 1 인터페이스부;
    상기 제어부와 각 정보 제공자에 설치된 네임 서버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제 2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메인 서버의 전반적인 동작상태를 관리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표시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임 서버를 이용한 네트워크 트래픽 제어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서버에서 각 정보 제공자에게 제공되는 데이터 베이스는,
    ARIN, RIPE, APNIC, KRNIC 등 전세계의 인터넷 레지스트리 기관들을 통해 등록된 DNS 서버들의 정보와, BGP(Border Gateway Protocol)를 이용한 인터넷 각지의 룩킹-글래스(Looking-Glass) 프로그램의 정보와, RADB 등의 퍼블릭 라우팅 정보와, 각 프로브의 트래이스라우트(traceroute)를 이용한 마지막 라우터 위치의 실시간 판단 정보를 통해 구축됨을 특징으로 하는 네임 서버를 이용한 네트워크 트래픽 제어장치.
  4. (1) 메인 서버에서 인터넷 상의 DNS 서버들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로 구축하는 과정;
    (2) 복수의 정보 제공자에 네임 서버를 설치하고, 인터넷 상의 주요 ISP에 프로브를 설치하는 과정;
    (3) 네임 서버가 설치된 각 정보 제공자에게 구축된 데이터 베이스를 제공하는 과정;
    (4) 인터넷 사용자에 의한 특정 정보 제공자 접속이 요청되면 네임 서버에서 사용자의 위치를 판단하고, 사용자와 가장 근접한 ISP를 통해 특정 정보 제공자로의 접속을 진행하는 과정; 및
    (5) 각 네임 서버에서 전송되는 데이터 베이스에 포함되지 않은 IP 어드레스 정보를 각 프로브의 정보를 통해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하여 각 네임 서버에 제공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임 서버를 이용한 네트워크 트래픽 제어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과정(4)은,
    (4-1) 초기 환경설정파일을 읽어들이고, 메인 서버와 교신하여 데이터 베이스를 최적화하는 단계;
    (4-2) 인터넷 사용자에 의한 DNS 요청이 수행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4-3) 사용자에 의해 DNS 요청이 수행되면, 사용자가 현재 위치한 IP 어드레스를 확인하여 데이터 베이스에서 검색을 수행하는 단계;
    (4-4) 사용자가 현재 위치한 IP 어드레스가 데이터 베이스에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4-5) 상기 단계(4-4)의 판단 결과 사용자가 현재 위치한 IP 어드레스가 데이터 베이스에 존재하면 속도 및/또는 지리적 정보에 대한 정보 제공자의 초기 설정에 따라 제공할 IP 어드레스를 준비하고, 준비된 IP 어드레스와 SOA(Start Of Authority)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4-6) 상기 단계(4-4)의 판단 결과 사용자가 현재 위치한 IP 어드레스가 데이터 베이스에 존재하지 않으면 모르는 IP 어드레스 정보를 저장함과 동시에 기본 제공용 IP 어드레스를 준비하고, 준비된 IP 어드레스와 SOA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및
    (4-7) 모르는 IP 어드레스를 주기적으로 메인 서버로 전송하고, 새로운 데이터 베이스와 프로그램을 자동으로 업데이트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임 서버를 이용한 네트워크 트래픽 제어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과정(5)은,
    (5-1) 정보 제공자의 메인 서버 특정 포트 접속에 의해 업데이트 프로그램을 시작하는 단계;
    (5-2) 정보 제공자의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5-3) 인증이 완료된 정보 제공자에 설치된 네임 서버의 프로그램과 데이터 베이스가 새로운 버전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5-4) 상기 단계(5-3)의 판단 결과 새로운 버전이 아닌 경우 새로운 버전의 프로그램과 데이터 베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5-5) 상기 단계(5-3)의 판단 결과 새로운 버전인 경우 각 네임 서버에서 전송되는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되지 않은 IP 어드레스들의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단계;
    (5-6) 데이터 베이스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되지 않은 IP 어드레스들을 확인하는 단계;
    (5-7) 인터넷의 주요 ISP에 설치된 각 프로브에 질의하여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5-8) 인터넷 각지의 룩킹-글래스 프로그램에 질의하여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및
    (5-9) 프로브와 룩킹-글래스 프로그램을 통해 수집된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에 추가하고, 최적화한 후 메인 서버 관리자에 작업 완료를 알리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임 서버를 이용한 네트워크 트래픽 제어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5-7)는,
    (5-7-1) 메인 서버의 요청으로 프로그램을 시작하는 단계;
    (5-7-2) 초기 환경설정파일을 읽어들이고, 메인 서버와 초기 교신을 수행하는 단계;
    (5-7-3) 각 객체로의 트래이스라우트를 시도하고, 라우터간의 대기 시간을 측정하여 데이터 베이스에 기록되지 않은 IP 어드레스에 대한 경로 추적, 인터넷 연결 상태, 속도에 대한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및
    (5-7-4) 메인 서버로 그 결과를 전송하고 프로그램을 종료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임 서버를 이용한 네트워크 트래픽 제어방법.
KR1019990031737A 1999-08-02 1999-08-02 네임 서버를 이용한 네트워크 트래픽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200100167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1737A KR20010016708A (ko) 1999-08-02 1999-08-02 네임 서버를 이용한 네트워크 트래픽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1737A KR20010016708A (ko) 1999-08-02 1999-08-02 네임 서버를 이용한 네트워크 트래픽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6708A true KR20010016708A (ko) 2001-03-05

Family

ID=19606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1737A KR20010016708A (ko) 1999-08-02 1999-08-02 네임 서버를 이용한 네트워크 트래픽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16708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5234A (ko) * 2000-11-04 2002-05-11 문옥석 인텔리전트 네임서버
KR100426316B1 (ko) * 2002-01-19 2004-04-0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그룹통신의 메시징 순서를 이용한 즉시 갱신 중복기법에서 전역 직렬성 검사 방법
KR100426399B1 (ko) * 2001-04-06 2004-04-08 니트젠테크놀러지스 주식회사 무선망을 통한 씨디엔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0477653B1 (ko) * 2002-06-22 2005-03-23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망에서의 dns 서버 검색 장치 및 방법
KR100636114B1 (ko) * 1999-11-27 2006-10-18 삼성전자주식회사 인터넷 접속장치 및 그 방법
US7756065B2 (en) 2003-08-11 2010-07-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Domain name service system and method thereof
CN114726592A (zh) * 2022-03-21 2022-07-08 中国电信股份有限公司广州分公司 宽带属性的检测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5611A (ko) * 1989-08-17 1991-03-30 정용문 종합 디지탈 네트워크 시스템의 최적 경로 설정방법
US5408619A (en) * 1987-09-08 1995-04-18 Digital Equipment Corporation Naming service database updating technique
US5862331A (en) * 1996-06-21 1999-01-19 Sun Microsystems, Inc. Name service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updating on interconnected hosts
JPH1117726A (ja) * 1997-06-26 1999-01-22 Hitachi Ltd Dns機能を内蔵したipネットワークの結合制御装置
KR19990047122A (ko) * 1997-12-02 1999-07-05 정선종 디에취씨피서버와 디엔에스서버 간의 연동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08619A (en) * 1987-09-08 1995-04-18 Digital Equipment Corporation Naming service database updating technique
KR910005611A (ko) * 1989-08-17 1991-03-30 정용문 종합 디지탈 네트워크 시스템의 최적 경로 설정방법
US5862331A (en) * 1996-06-21 1999-01-19 Sun Microsystems, Inc. Name service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updating on interconnected hosts
JPH1117726A (ja) * 1997-06-26 1999-01-22 Hitachi Ltd Dns機能を内蔵したipネットワークの結合制御装置
KR19990047122A (ko) * 1997-12-02 1999-07-05 정선종 디에취씨피서버와 디엔에스서버 간의 연동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6114B1 (ko) * 1999-11-27 2006-10-18 삼성전자주식회사 인터넷 접속장치 및 그 방법
KR20020035234A (ko) * 2000-11-04 2002-05-11 문옥석 인텔리전트 네임서버
KR100426399B1 (ko) * 2001-04-06 2004-04-08 니트젠테크놀러지스 주식회사 무선망을 통한 씨디엔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0426316B1 (ko) * 2002-01-19 2004-04-0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그룹통신의 메시징 순서를 이용한 즉시 갱신 중복기법에서 전역 직렬성 검사 방법
KR100477653B1 (ko) * 2002-06-22 2005-03-23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망에서의 dns 서버 검색 장치 및 방법
US7756065B2 (en) 2003-08-11 2010-07-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Domain name service system and method thereof
CN114726592A (zh) * 2022-03-21 2022-07-08 中国电信股份有限公司广州分公司 宽带属性的检测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4726592B (zh) * 2022-03-21 2024-04-05 中国电信股份有限公司广州分公司 宽带属性的检测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47436B2 (ja) ネットワークサイトへのアクセスを試みるユーザをリダイレクト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US9391946B2 (en)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identification of network users having similar interests and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them
US8239779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plurality of applications
EP1175767B1 (en) Methods for determining, collecting, and using geographic locations of internet users
US9430517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esenting online content elements based on information known to a service provider
US7962569B2 (en) Embedded DNS
US7685311B2 (en) Geo-intelligent traffic reporter
JP4592184B2 (ja) 静的な識別子が付され、かつネットワークに断続的に接続される装置へのアクセス方法および装置
US20020059378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on-line assistance through the use of interactive data, voice and video information
US20100106854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non-existing domain traffic
US20060146820A1 (en) Geo-intelligent traffic manager
WO2004100429A2 (en) Network download system
US20050022013A1 (en) Method for customized data output on a web site
EP0848339A1 (en) Server with automatic loading of menus
US7844729B1 (en) Geo-intelligent traffic manager
CN109617780A (zh) 接入网络的方法、装置、终端设备及机器可读存储介质
JP2000181849A (ja) ネットワ―ク上の周辺機器用サ―バ発見方法
US20020099832A1 (en) Method for accessing the internet
KR20010016708A (ko) 네임 서버를 이용한 네트워크 트래픽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JP2002033773A (ja) Webオンデマンドシステム
EP0848336A1 (en) Server with automatic update tracking
US20020143968A1 (en) Insuring the proper return of queries requested by world wide web client stations from web sources when dynamic IP addresses are assigned to client stations
WO2002013025A1 (en) An access system for use with lans
JP3709558B2 (ja) ウェブサーバの公開方法、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2351913A (ja) ポータルサイト作成方法およびポータルサイト作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