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4710A - 캠필로박터 백신 - Google Patents

캠필로박터 백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4710A
KR20010014710A KR1020000018491A KR20000018491A KR20010014710A KR 20010014710 A KR20010014710 A KR 20010014710A KR 1020000018491 A KR1020000018491 A KR 1020000018491A KR 20000018491 A KR20000018491 A KR 20000018491A KR 20010014710 A KR20010014710 A KR 200100147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pylobacter
vaccine
strain
campylobacter jejuni
jejun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8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곱안토니우스아놀두스크리스티안
보쉬요하네스프란시스커스반덴
누즈텐페트루스요하네스마리아
Original Assignee
에프.지.엠. 헤르만스
악조 노벨 엔.브이.
이.에이치. 리링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프.지.엠. 헤르만스, 악조 노벨 엔.브이., 이.에이치. 리링크 filed Critical 에프.지.엠. 헤르만스
Publication of KR200100147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471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02Bacterial antigens
    • A61K39/105Delta proteobacteriales, e.g. Lawsonia; Epsilon proteobacteriales, e.g. campylobacter, helicobac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2Antidiarrhoe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19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bacteria
    • C07K14/20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bacteria from Campylobacter (G)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12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bacteria
    • C07K16/1203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bacteria from Gram-negative bacteria
    • C07K16/121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bacteria from Gram-negative bacteria from Helicobacter (Campylobacter) (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02Bacterial antigens
    • A61K2039/106Vibrio; Campylobacter; Not used, see subgrou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0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omprising antibod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1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omprising whole cells, viruses or DNA/RNA
    • A61K2039/525Virus
    • A61K2039/5252Virus inactivated (kil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4/00Drug, bio-affecting and body treating compositions
    • Y10S424/826Bacterial vaccine for avian species, e.g. poultry or other bir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Immu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Onc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물 중의 캠필로박터(Campylobacter) 정착 예방에 사용하기 위한 무편모성 캠필로박터 균주에 대해 유발된 항혈청을 포함하는 백신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캠필로박터 제주니 단백질의 웨스턴 블롯을 캠필로박터 제주니의 무편모성 변이주에 대한 항체와 항온처리한 후에는 관찰되고 상기 블롯을 야생형 캠필로박터 제주니에 대한 항체와 항온처리한 후에는 관찰되지 않는 캠필로박터의 항원성 단백질 및 백신과 이의 제조 방법에 사용되는 용도에 관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이러한 캠필로박터 단백질의 용도 및 백신 제조에 사용되는 캠필로박터 항원에 대하여 유발된 항혈청 및 항체에 관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이러한 백신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캠필로박터 백신{Campylobacter vaccine}
본 발명은 캠필로박터(Campylobacter) 정착에 대한 백신, 이러한 백신의 제조에 사용하기 위한 캠필로박터 단백질 및 항캠필로박터 항체의 용도, 및 이러한 백신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캠필로박터 속의 박테리아는 세포의 한쪽 극이나 양극에 편모를 보유하여 운동성이 왕성한 그람 음성의 나선상 병원성 박테리아이다. 캠필로박터에는 몇몇 종이 밝혀져 있다. 캠필로박터 제주니(Campylobacter jejuni)는 가금류 중에서 흔히 발견된다. 종종, 캠필로박터 콜리(Campylobater coli) 및 최근 발견된 캠필로박터 히오일레이(Campylobacter hyoilei; 콜리보다는 낮은 빈도로)가 돼지 중에서 발견된다.
이 중에서, 캠필로박터 제주니는 인간의 설사병과 관련하여 가장 흔히 분리되는 캠필로박터 종이다. 인간에 대한 캠필로박터 감염의 수가 살모넬라 감염 수 이상이라는 것이 많은 문헌을 통해 점점 분명해지고 있다.(Griffiths et al., Journ. of Applied Bacteriology 1990, 69:281-301, Walker et al., Microbiological reviews 1986, 50:81-94, Butzler, J-P., ISBN 0-8493-5446-3, RIVM Report No. 216852002, Bilthoven, the Netherlands). 무엇보다도 캠필로박터는 건강하거나 질병이 있는 야생 및 축산용의 많은 동물들이 저장소로서 역할을 하는 식품계의 동물기생체 박테리아이다. 또한, 이 박테리아의 전파(transmission) 경로에는 여러 경로가 있다. 박테리아는 사체의 표면 및 수중과 같은 장소에서 수주 동안 휴지의 구균 형태로 생존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박테리아는 동물에 직접 접촉하거나 오염수 또는 식품(예, 우유 또는 고기)에 의해 인간에게 쉽게 전파될 수 있다. C.제주니는 칠면조 및 닭과 같은 조류 종, 소, 양, 말 및 설치류와 같은 건강한 많은 동물에 존재한다. 전세계 많은 나라에서 주요 영양원의 역할을 하는 닭고기는 캠필로박터로 흔히 오염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Shane(1992), S.M., Avian Pathology 21:189-213]. 이것은 개발도상국에서 뿐만 아니라 유럽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캠필로박터는 가금류의 위에 존재한다. 육류 오염은 캠필로박터로 심하게 오염되어 있는 장관을 동물에서 분리할 때 도살장에서 흔히 일어난다. 특히 도살 중의 오염은 피하기가 매우 어렵다. 네덜란드의 경우, 육류 산업에 적용되고 있는 높은 위생 기준에도 불구하고 닭고기의 약 50%가 오염되어 있다. 최근 가금류 중의 캠필로박터 전염병학(Epidemiology of Campylobacter)에 대한 개론이 C.M.Karssen(ISBN 90-71463-72-9)의 논문에서 발표되었다. 이러한 높은 오염률의 결과로 네덜란드(총 인구 15,000,000)에서만 해마다 약 300,000명이 요리가 덜된 가금육의 섭취나 취급으로 인해 유발되는 캠필로박터 감염에 걸린다. 이러한 양상은 다른 유럽 국가에서도 크게 다르지 않다. 전세계적으로 해마다 400,000,000 이상의 사례가 일어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Pace et al., Vaccine 1998, 16:1563-1574). 캠필로박터는 인간에 대해 장 감염을 일으키고, 때로 유산, 뇌막염, 충수염, 요관 감염과 같은 보다 심각한 질병을 일으킨다[Blaser et al., New Engl. J. Med. 1981, 305:1444-1452, Butzler et al., Clinics in Gastroenterol. 1979, 8: 737-765]. 또한, 질레인-바레(Guillain-Barre) 증후군 및 밀러-피셔(Miller-Fisher) 증후군과 같은 심각한 신경학적 합병증이 때로 관찰되기도 한다[Schwerer et al., 1995, J.Endotox. Res. 2:395-403 및 Salloway et al., 1996, Infect.Immun. 64:2945-2949]. 캠필로박터 제주니로 인한 설사는 보통 약 2 내지 7일간 지속되는 자기 한정성 감염이다. 하지만, 소아, 노인 및 면역타협성 환자에 대해서는, 이 질환이 자기 한정적이지 않아서 항생제 치료를 필요로 한다. 캠필로박터에 대한 인간용의 잠재적 백신이 유용할 수만 있다면 사람이 감염되지 않도록 예방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한 사실이다. 하지만, 이 예방에는 볼거리와 홍역과 같은 예방접종과 비슷한 표준 예방접종이 필요하다. 이것은 분명히 실질적이지 못하다. 보다 논리적인 접근은 동물로부터 인간으로, 구체적으로 가금류으로부터 인간으로의 전파를 피하는 방법이다. 이를 수행할 수 있는 가장 용이한 방법은 가금류에게 캠필로박터 감염에 대한 예방접종을 실시하는 것이다. 하지만, 가금류의 예방접종(뿐만 아니라 인간 예방접종)은 처음 예상했던 것보다 상당히 복잡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이는, 캠필로박터가 위에 정착함에도 불구하고 가금류에 대해서는 병원성이 아니기 때문이다. 시험된 대부분의 백신은 때로 보조제와 조합하여 사용하기도 하는 전신 투여 또는 경구 투여되는 불활성화 전세포 제제이다. 일부 경우, 위에서의 정착은 어느 정도 감소될 수 있지만 정착을 예방할 수 있는 백신에 대한 실례는 없다. 캠필로박터의 분계(分界; shedding)는 이러한 백신 중 어떤 백신에 의해서도 중단되지 않는다. 전세포 사백신은 서브유닛 백신에 비하면, 기본적으로 모든 잠재적 면역원성 결정인자를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최상의 백신 후보로 생각된다. 전세포 백신의 개발에 이어, 편모에 기초한 서브유닛 백신의 개발에 많은 노력이 기울여졌다. 편모는 감염동안 인식되는 면역우성 항원으로 알려져 있고, 많은 연구를 통해 예방에 있어 이 단백질의 역할이 제안되었다[Martin et al., Inf. And Immun. 1989, 57:2542-2546, Wenman et al., J.Clin.Microbiol. 1985, 21:108-112]. 무편모 변이주는 위에 정착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야생형 박테리아가 위에 계속 존재하는데 반해 1주 또는 2주 내에 감염 동물로부터 사라졌다. 따라서, 편모는 특히 위 정착에 있어 단독 작용은 아니지만 주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기 때문에 백신 제조에 단연코 가장 유망한 후보로 간주되고 있다. 정착이 방지될 수 있다면 가금류에 대한 오염 제거에 제일보가 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캠필로박터의 편모에 기초한 잠재적 백신은 허용되는 수준의 예방 작용을 제공하지 못하였다.
전술한 능동 예방접종에 이어, 캠필로박터 감염을 저하시키는 수단으로서 수동 예방접종이 시험되었다. 츠보쿠라 등[Tsubokura et al., 1997, Clin. Exp. Immunol. 108:451-455]은 캠필로박터 제주니 전세포에 대한 항체를 경구 투여한 다음, 캠필로박터 제주니를 항원투여하였다. 그 결과, 이와 같이 예방접종된 닭의 분변에서 발견되는 박테리아의 수가 1 내지 2 로그 감소되었다고 주장한다. 지금까지 기울인 모든 노력에도 불구하고, 정착률 및 분변 중의 분계된 박테리아의 양을 유의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생백신, 불활성화 백신 또는 서브유닛계 백신 중 어떤 백신도 얻지 못하였다. 따라서, 믿을 수 있고 안전한 백신이나 대안 치료법이 요구된다는 것이 명백하다.
원칙적으로, 가금류가 살아있는 동안에는 캠필로박터 감염에 대하여 가금류를 보호할 필요가 없다. 그 이유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가금류는 감염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도살 직전에 박테리아의 양을 감소시켜 감염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처치가 도살장에서의 육류의 후속적인 오염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적인 처치일 것이다. 결과적으로, 이와 같이 하여 육류 전파성 인간 캠필로박터 감염을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정착률 및 분계의 정도를 감소시키거나 심지어 가금류 맹장으로부터 캠필로박터를 제거할 수 있는 백신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백신은 도살 중의 육류의 캠필로박터 오염을 방지하고 후속적으로 인간 감염도 예방한다.
놀랍게도, 이와 같은 특징의 백신이 캠필로박터의 무편모 변이주에 대한 항체를 기초로 하여 만들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전술한 바와 같이 편모는 부착과 정착에 관계하는 주 단백질로 간주되고 있기 때문에 더욱 예상치 못한 것이었다. 보다 더 놀라운 것은 이러한 백신이 야생형 편모성 캠필로박터의 정착과 분계를 감소시킨다는 점이다. 이와 같이 맹장 유래의 캠필로박터를 검출 수준 이하로 제거할 수 있는 백신에 대한 보고는 본 발명이 최초이다.
도 1은 야생형 캠필로박터 균주 81116의 총 항원을 포함하는 웨스턴 블롯(좌측) 및 무편모성 캠필로박터 균주 81116-2R의 항원을 포함하는 웨스턴 블롯. 레인 1과 7, 레인 2와 8 및 레인 3과 9는 야생형 캠필로박터 균주 81116에 대한 항혈청의 20 배, 200 배 또는 400 배 희석물과 항온처리하였다. 레인 4와 10, 레인 5와 11 및 레인 6과 12는 무편모성 캠필로박터 균주 81116-2R에 대한 항혈청의 20 배, 200 배 또는 400 배 희석물과 각각 항온처리하였다.
도 2는 야생형 캠필로박터 균주 81116의 총 항원의 2D 겔.
도 3a는 무편모성 캠필로박터 균주 81116-2R에 대한 항혈청과 항온처리한 2D 겔의 웨스턴 블롯. 화살표 1은 60 kD 단백질을, 화살표 2는 13 kD 단백질을 나타낸다.
도 3b는 야생형 캠필로박터 균주 81116에 대한 항혈청과 항온처리한 웨스턴 블롯.
따라서, 본 발명의 일 구체예는 무편모성 캠필로박터 균주에 대한 항혈청을 포함하는 동물 중의 캠필로박터 정착을 예방하기 위한 백신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백신은 가장 단순한 형태로 캠필로박터에 대하여 바로 분리된 항혈청 및 경우에 따라 희석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희석제는 항체 역가 양이 지나치게 높은 경우 항혈청을 희석하기 위해 첨가할 수 있다. 희석제는 증류수 또는 생리학적 염 용액과 같은 단순물일 수 있다. 사실상 모든 약학적 허용성 희석제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가금류, 돼지 및 기타 다른 동물 중의 캠필로박터 오염에 균등하게 적용할 수 있다. 하지만, 닭고기의 오염도가 매우 높은 경우에, 본 구체예의 바람직한 형태는 캠필로박터 제주니 종의 무편모성 캠필로박터 균주 및 가금류에 관한 것이다.
항혈청의 유발에는 모든 무편모성 캠필로박터 균주를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증식 속도가 야생형 균주와 비슷한 무편모성 캠필로박터 균주가 바람직하다. 항체 유발에 매우 적합한 무편모성 캠필로박터 균주에 대해서는 문헌[Wassenaar, T.M., Bleumink-Pluym, N.M.C. 및 van der Zeijst, B.A.M. 1991, in the EMBO Journal 10:2055-2061]에 개시되어 있다. 따라서, 항체가 유발되는 무편모성 캠필로박터 제주니 균주로서 바람직한 형태는 R2 균주이다.
본 발명에 기재된 백신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항체는 폴리클로널 혈청, 단일특이성 혈청 또는 모노클로널 항체 배양물로부터 얻을 수 있다. 폴리클로널 혈청은 표준 기법에 따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는 잇점이 있다. 폴리클로널 혈청을 제조하고 가공하는 기법에 대해서는 당해 기술 분야에 충분히 공지되어 있다[예, Mayer and Walter, eds. Immunochemical Methods in Cell and Molecular Biology, Academic Press, London, 1987]. 항체 유발에 적합한 동물로는, 예컨대 소, 토끼, 마우스 및 닭이 있다. 캠필로박터에 대한 소의 항체를 얻는데 효과적인 방법은 문헌[Hilpert et al., 1987, J.Inf.Diseases 156: 158-166]에 설명되어 있다. 난황을 이용한 생산과 같이 다량의 항체를 생산하는데 바람직한 또 다른 방법은 문헌[Hatta et al., 1993, Biosci. Biotech. Biochem. 57:450-454]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는 캠필로박터 제주니 정착에 대한 백신의 제조에 사용되는 무편모성 캠필로박터 제주니 균주에 대한 항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보다 흥미롭게도, 무편모성 캠필로박터 제주니 변이주에 대하여 유발된 항혈청은, 총 캠필로박터 제주니 단백질의 웨스턴 블롯에 대해 야생형 캠필로박터 제주니에 대한 항혈청의 사용시에는 나타나지 않는 3종의 주요 단백질 밴드, 97 kD(+/- 5 kD), 60 kD(+/- 5 kD) 밴드 및 13 kD(+/- 3 kD) 밴드를 인식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 현상은 야생형 캠필로박터와 무편모성 캠필로박터의 웨스턴 블롯시에도 마찬가지로 관찰되었다. 즉, 상기 3종의 단백질은 야생형 및 무편모성 캠필로박터 균주에도 동일하게 존재한다. 따라서, 면역계에 의한 상기 특정 단백질의 인식은 편모의 부재시에만 일어나는 것으로 결론지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무편모성 캠필로박터 변이주에 대한 항혈청은 맹장으로부터 캠필로박터를 검출 수준 이하로 제거할 수 있다. 이 항혈청은 야생형 캠필로박터에 대한 항혈청(캠필로박터를 제거할 수 없음)과는, 97 kD, 60 kD 및 13 kD 단백질에 대한 항체를 더 포함한다는 점에서 상이하다. 이 3종의 단백질은 편모가 부재시에만 항체를 유도하는 것이 분명한 바, 상기 3종의 단백질이 맹장으로부터 캠필로박터를 제거하는데 필수 역할을 하는 항체를 유도할 수 있다는 결론을 지었다. 따라서, 97 kD, 60 kD 또는 13 kD 단백질이나 이의 혼합물에 대하여 유발되는 항체는 맹장 유래의 캠필로박터 균주를 균등하게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는 캠필로박터 제주니 단백질의 웨스턴 블롯을 캠필로박터 제주니의 무편모성 변이주에 대한 항체와 항온처리한 후 그 웨스턴 블롯에서 관찰되지만, 이 웨스턴 블롯과 야생형 캠필로박터 제주니에 대한 항체와의 항온처리 후에는 관찰되지 않는 분자량이 97 kD, 60 kD 또는 13 kD인 항원성 단백질에 관한 것이다.
60 kD 단백질 및 13 kD 단백질은 추가 분석하여 그 아미노산 서열을 결정하였다.
60 kD 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은 하기 제시하여 서열 번호 1로 표시하였다.
60 kD 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은 다음과 같다.
MAKEIIFSDEARNKLYEGVKKLNDAVKVTMGPRGRNVLIQKSFGAPSITKDGVSVAKEVELKDSLENMGASLVREVASKTADQAGDGTTTATVLAHAIFKEGLRNITAGANPIEVKRGMDKACEAIVAELKKLSREVKDKKEIAQVATISANSDEKIGNLIADAMEKVGKDGVITVEEPKSINDELNVVEGMQFDRGYLSPYFITNAEKMTVELSSPYILLFDKKITNLKDLLPVLEQIQKTGKPLLIIAEDIEGEALATLVVNKLRGVLNISAVKAPGFGDRRKAMLEDIAILTGGEVISEELGRTLESATIQDLGQASSVIIDKDNTTIVNGAGEKANIDARVNQIKAQIAETTSDYDREKLQERLAKLSGGVAVIKVGATTETEMKEKKDRVDDALSATKAAVEEGIVIGGGAALIKAKAKIKLDLQGDEAIGAAIVERALRAPLRQIAENAGFDAGVVVNSVENAKDENTGFDAAKGEYVNMLESGIIDPVKVERVALLNAVSVASMLLTTEATISEIKEDKPTMPDMSGMGGMGGMGGMM
13 kD 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은 하기에 기재하며 서열 번호 2로 표시하였다. 이 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은 다음과 같다.
MAISKEDVLEYISNLSVLELSELVKEFEEKFGVSAAPVMVAGGAVAGGAVAAAEEKTEFDIVLTDGGAKKIEVIKIVRALTGLGLKEAKDAVEQTPSTLKEGVAKAEAEEAKKQLEEAGAKVELK
60 kD 및 13 kD 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에는 약간의 변형이 있을 수 있다. 아미노산 서열의 변형은 기능적 균등물에 의한 1 이상의 아미노산이 치환된 결과일 수 있다. 기능적 균등물에 의한 치환은 흔히 관찰된다. 문헌[Neurath et al., The Proteins, Academic Press, New York(1979), page 14, figure 6]에 기재된 예는 아미노산 알라닌의 세린으로의 치환, 즉 Ala/Ser 또는 Val/Ile, Asp/Glu 등이다. 전술한 기능적 균등 아미노산으로의 치환을 유도하는 변형외에도, 기능적 균등 역할을 하지 않는 다른 아미노산으로의 치환에 의한 변형이 관찰되기도 한다. 이와 같은 유형의 변형은 공간적 폴딩에 약간의 변형이 있는 단백질을 생성하기도 한다는 점에서 기능적 균등물로의 치환과는 상이한 것이다. 이와 같은 두 유형의 변형은 단백질 중에서 종종 관찰되는 것으로 생물학적 변형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이 폴리펩티드의 면역원성 활성이 보유되는 한 60 kD 및 13 kD 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의 변형체 역시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이라는 점은 당연한 것이다.
97 kD, 60 kD 또는 13 kD 단백질은 폴리클로널, 단일특이성 또는 모노클로널 (또는 이의 유도체)일 수 있는 항체를 생성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이 97 kD, 60 kD 및 13 kD 단백질은 당해 기술 분야에 공지된 다수의 표준 단백질 분리 절차에 따라 분리할 수 있다. 가장 쉬운 방법 중 1가지는 이 단백질을 정제용 겔로부터 절제 분리하는 것이다. 폴리클로널 항체가 필요하다면, 당해 기술 분야에 공지된 폴리클로널 혈청의 생성 및 가공 기법을 사용할 수 있다(예, Mayer and Walter, eds., 상기 문헌 설명 참조). 본 발명에 기재된 97 kD, 60 kD 또는 13 kD 단백질에 대하여 반응성이 있는 모노클로널 항체(또는 이의 변형체 또는 단편)는 당해 기술 분야에 공지된 기법에 따라 동종 마우스를 면역화시켜 제조할 수 있다[Kohler and Milstein, Nature, 256, 495-497, 1975]. 총 무편모성 캠필로박터에 대한 항혈청 대신에 상기 3종의 단백질 중 임의의 단백질에 대한 항체 사용시의 잇점 중 1가지는 상기 3종의 단백질에 대한 특이적인 모노클로널 항체를 발효기를 이용한 대량 하이브리도마 배양물로부터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는 점이다. 즉 동물의 이용 없이도 저비용과 노력으로 다량의 항체를 생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는 캠필로박터의 97 kD, 60 kD 또는 13 kD 단백질에 대한 항체를 포함하는 백신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본 발명의 구체예는 캠필로박터 제주니 정착에 대한 백신 제조에 사용되는 본 발명에 기재된 97 kD 및/또는 60 kD 및/또는 13 kD 단백질에 대한 항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기재된 백신을 제조하는 방법은 복잡할 필요가 없다. 원칙적으로, 무편모성 변이주에 대한 항체 또는 97 kD 및/또는 60 kD 및/또는 13 kD 단백질에 대한 항체를 동물 등에서 유발시킨 다음, 혈액을 수거하여 표준 기법에 따라 항혈청을 분리하기만 하면 제조 방법으로 충분하다. 이러한 항체를 유발시키기에 적합한 동물은, 예컨대 토끼와 닭이다. 닭이 사용되는 경우, 항체는 대안적으로 전신 면역화된 닭의 난황으로부터 얻을 수도 있다. 항체는, 원칙적으로 희석될 필요는 없다. 항체는 그 자체로 제공되거나 또는 필요한 경우 농축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항체 농도가 매우 높은 경우에는, 이와 같이 얻어진 항혈청을, 예컨대 투여하기 전에 희석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는 본 발명에 기재된 백신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방법은 무편모성 캠필로박터 제주니 균주의 항원성 물질에 대한 항체를 숙주 동물 중에서 유발시키고, 그 다음 항체를 분리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 방법은 원칙적으로 숙주 동물로부터 혈액을 채혈하는 단계 및 그 다음 항혈청을 원심분리 또는 여과 등의 방법으로 정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97 kD, 60 kD 및 13 kD 단백질에 대해 지향성인 목적 항체를 생성하는 세포를 얻고, 이 세포를 발효기 등에서 증식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 후, 항체는 수거하여, 필요에 따라 약학적 허용성 담체와 혼합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의 잇점은 항체 제조에 동물이 사용될 필요가 없다는 점이다.
본 발명은 도살 전 브로일러 닭을 처리하는데 특히 적합하다. 이러한 브로일러는 보통 6주령째 도살한다. 따라서, 도살 하기 약 1주전에 본 발명의 기재된 백신으로 처리하면 캠필로박터 오염도가 유의적으로 감소된다. 백신의 투여량은 주로 백신 중의 항체 농도에 좌우된다는 점은 분명한 사항이다. 일예로서, 매우 적합한 항체 양을 미정제 항혈청의 0.1 내지 1 ㎖ 중에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난황 제조물 중의 항체 역가는 당해 기술 분야에 공지된 표준 기법, 예컨대 ELISA 기법에 따라 측정할 수 있다.
항체는 다소 미정제 제조물로서 제공되는 것이 용이하다. 가능한 투여 방법은, 예컨대 닭에게 미정제 항혈청을 공급하는 것이다. 대안적인 투여 경로는, 예컨대 음료수와 혈청을 혼합하는 것이다. 또한, 항체는 닭의 사료에 직접 혼합할 수도 있다. 이러한 용도를 위하여, 항체를 동결건조시키는 방법이 있는데, 이 방법은 항체를 사료 또는 물과 혼합하기 전까지의 장기간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닭의 사료에 항체를 첨가하기 전에 항체를 캡슐화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는 예방 접종용으로 본 발명에 기재된 항혈청 또는 항체를 사용하는 대안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대안적으로, 본 발명에 기재된 97 kD, 60 kD 또는 13 kD 단백질을 예방접종용으로 직접 사용할 수도 있다. 97 kD, 60 kD 또는 13 kD 단백질을 가금류에 직접 투여하면 97 kD, 60 kD 또는 13 kD 단백질에 대한 항체를 직접 유도 생성할 수 있다. 그 후, 그 동물은 캠필로박터에 대한 자신의 예방적 항체를 생산하게 된다. 또한, 놀랍게도 야생형 캠필로박터 전균주를 투여하여도 맹장으로부터 캠필로박터가 제거되지 않았는데, 그 이유는 야생형 캠필로박터 균주가 97 kD, 60 kD 또는 13 kD 단백질에 대한 항체의 유도를 억제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97 kD, 60 kD 또는 13 kD 단백질이 분리형으로 제공되지 않고, 야생형 캠필로박터 전세포의 일부로서 제공된다면 어떤 효과도 나타내지 않는다. 따라서, 또 다른 구체예는 캠필로박터 제주니 단백질의 웨스턴 블롯과 캠필로박터 제주니의 무편모성 변이주에 대한 항체의 항온처리시 관찰되지만, 상기 웨스턴 블롯과 야생형 캠필로박터 제주니에 대한 항체와의 항온처리후에는 관찰되지 않는 특이적인 항원성 97 kD, 60 kD 또는 13 kD 단백질을 포함하는 백신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백신은 상기 단백질을 약학적 허용성 담체와 혼합하여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약학적 허용성 담체는 예방접종될 동물의 건강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고, 최소한 악영향이 예방접종되지 않은 동물에서 관찰되는 악영향 보다 더 심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화합물인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약학적 허용성 담체는, 예컨대 멸균수 또는 멸균 생리학적 염 용액일 수 있다. 또 다른 착물로서, 담체는 예컨대 완충액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는 백신 용도의 본 발명에 기재된 항원성 97 kD, 60 kD 또는 13 kD 단백질에 관한 것이다.
본 구체예의 바람직한 형태는 캠필로박터 제주니 정착을 퇴치하기 위한 약학 조성물을 제조하는데 있어 본 발명에 기재된 항원성 97 kD, 60 kD 또는 13 kD 단백질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백신 제조에 적합한 단백질 양은 투여 경로에 따라 다르다. 전신 투여의 경우에는, 1 내지 1000 ㎍ 사이의 양이 매우 적합하다. 경구 투여용 백신의 경우 그 양 역시 상기 범위일 수 있다. 하지만, 음료수를 통한 경구 예방 접종의 경우에는, 물의 유출 때문에 보다 다량의 단백질을 투여해야만 할 것이다.
본 발명에 기재된 백신은 바람직한 양태로 보조제를 더 포함하기도 한다. 보조제는 일반적으로 비특이적 방식으로 숙주의 면역 반응을 추가항원자극하는 물질을 포함한다. 보조제로는 다수의 종류가 당해 기술 분야에 알려져 있다. 보조제의 예로는 프로인트 완전 보조제 및 불완전 보조제, 비타민 E, 비이온성 블록 중합체 및 덱스트란설페이트, 카르보폴 및 피란과 같은 폴리아민이 있다. 또한, Span, Tween, 헥사데실아민, 리소레시틴, 메톡시헥사데실글리세롤 및 사포닌(즉, Quil A(R))과 같은 계면 활성 물질도 매우 적합하다. 또, 뮤라밀디펩디드, 디메틸글리신, 터프트신(tuftsin)과 같은 펩티드도 종종 사용된다. 이러한 보조제 외에도, 면역 자극 복합체(ISCOMS), 광유(예, Bayol(R)또는 Markol(R)), 식물유나 이것의 유탁액 및 Diluvac(R)Forte도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 백신에는 또한 소위 "부형제"가 포함되기도 한다. 부형제는 폴리펩티드가 공유 결합되지는 않으면서 부착하는 화합물이다. 종종 사용되는 부형제 화합물로는, 예컨대 수산화알루미늄, 인산알루미늄, 황산알루미늄 또는 산화알루미늄, 실리카, 카올린 및 벤토나이트가 있다. 항원이 부분 매립되는 이러한 부형제의 구체적인 형태로는 소위 ISCOM(EP 109.942, EP 180.564, EP242.380)이 있다. 종종 백신은 안정화제와 혼합되어, 예컨대 분해 용이한 폴리펩티드의 분해를 방지하거나, 백신의 보존 기간을 향상시키거나 또는 동결 건조 효율을 증가시키기도 한다. 안정화제로는, 예컨대 SPGA[Bovarnik et al; J.Bacteriology 59: 509(1950)], 스킴 밀크, 젤라틴, 소 혈청 알부민, 탄수화물(예, 소르비톨, 만니톨, 트레할로스, 전분, 슈크로스, 덱스트란 또는 글루코스), 단백질(예, 알부민 또는 카세인) 또는 이것의 분해 생성물 및 완충액(예, 알칼리 금속 인산염)이 유용하다. 동결 건조는 보존에 효과적인 방법이다. 동결 건조된 물질은 수년 동안 안정하게 저장될 수 있다. 동결 건조된 물질의 저장 온도는 물질에 유해 영향이 없다면 0 ℃ 이상이어도 좋다. 동결 건조는 모두 공지된 표준 동결 건조 절차에 따라 실시할 수 있다.
97 kD, 60 kD 또는 13 kD 단백질을 포함하는 백신은 점막으로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음료수와 백신의 혼합을 통해 경구 투여할 수 있다. 특히, 가금류의 경우에는, 안내 예방접종 및 비내 예방접종과 같은 다른 방법도 점막 예방 접종에 매우 적합한 방법이다.
실시예 1 : 97 kD, 60 kD 또는 13 kD 단백질의 검출
박테리아 균주
야생형 81116 : 캠필로박터 제주니, 야생형, 인체 분리물, 편모 표현형 A+B+, 운동성 및 체내 침입성[Wassenaar, T.M., Bleumink-Pluym, N.M.C. and van der Zeijst, B.A.M. 1991, EMBO Journal 10:2055-2061].
변이주 81116-R2 : flaA 및 flaB 결실 변이주(+카나마이신 삽입체), 편모 표현형 A-B-, 비운동성 및 체내 비침입성[Wassenaar, T.M., Bleumink-Pluym, N.M.C. and van der Zeijst, B.A.M. 1991, EMBO Journal 10:2055-2061].
세포 증식 : 캠필로박터 제주니 81116 균주는 블레이저(Blaser) 캠필로박터 아가에 접종하고, 캠필로박터 제주니 81116-R2 균주는 블레이저 캠필로박터 아가 + 40 ㎍/㎖ 카나마이신 상에 접종하였다. 평판을 미호기성 조건하에서 41 ℃하에 48 시간 동안 항온배양하였다. 아가 평판에서 소수의 집락을 취해, 81116 균주의 경우에는 브루셀라 브로스 + 1% 효모 추출물에 접종하고 81116-2R 균주의 경우에는 브루셀라 브로스 + 1% 효모 추출물 + 40 ㎍/㎖ 카나마이신에 접종하였다. 미호기성 조건하에 41 ℃에서 24 시간 동안 항온처리한 후, 배양물의 총 박테리아수를 조사하고 불활성화시키기 위하여 0.2% 포르말린을 첨가하였다(실온에서 24 시간). 불활성화된 박테리아는 원심분리로 수거하였다. 세포 펠릿을 단백질 농도가 0.1 ㎎/㎖가 되게 0.01 M Tris(pH 7.4) 중에 재현탁시켰다.
그 다음, 표준 PAAGE를 위하여 상기 현탁액 20 ㎕를 슬롯 마다 장입하고 NuPage 겔 4 내지 12% Bis-Tris 상으로 진행시켰다. NuPage 전이 완충액/10% 메탄올을 사용하여 웨스턴 블롯팅을 실시하였다.
2D 겔 전기영동은 문헌[Adessi, C., Electrophoresis 1997, 18 127-135 및 Gorg, A., Electrophoresis 1995, 16, 1079-1086] 및 파마시아의 지침 매뉴얼 18-1038-63에 기재된 표준 방법을 사용하였다.
닭 항혈청의 제조
4주령의 닭에게 81116 또는 81116-R2 균주의 전세포 백신(하기 참조) 1 ㎖를 IM 예방접종하였다. 1군의 닭은 예방접종하지 않은채 방치하였다. 예방접종 후 4 주째, 모든 닭이 사멸할 때까지 방혈시켰다. 그룹 당 혈청을 모아 4일령의 닭에게 예방접종하였다.
이와 같이 얻어진 혈청은 20 배, 200 배 또는 400 배 희석하고 표준 방법에 따라 웨스턴 블롯과 항온처리하였다.
결과
도 1에 도시된 좌측 웨스턴 블롯은 야생형 캠필로박터 균주 81116의 총 항원을 포함하고, 우측 웨스턴 블롯은 무편모성 캠필로박터 균주 81116-2R의 항원을 포함한다. 레인 1 및 7, 레인 2 및 8, 레인 3 및 9는 각각 야생형 캠필로박터 균주 81116에 대한 항혈청의 20 배, 200 배 또는 400 배 희석물과 항온처리하였다. 레인 4 및 10, 레인 5 및 11, 레인 6 및 12는 각각 무편모성 캠필로박터 균주 81116-2R에 대한 항혈청의 20 배, 200 배 또는 400 배 희석물과 항온처리하였다.
그 결과, 레인 4 내지 6 및 레인 10 내지 12에서 분명하게 관찰할 수 있듯이, 레인 1 내지 3 및 레인 7 내지 9에서는 관찰되지 않는 분자량 97 kD 및 60 kD의 2개의 밴드가 관찰된다(이 레인 사이에 다소 희미하고 확산된 밴드는 분자량 마커이다).
도 2는 야생형 캠필로박터 균주 81116의 총 항원을 포함하는 2D 겔을 도시한 것이다. 2D 겔은 보다 작은 단백질을 검출하는데 보다 적합한 바, 13 kD 단백질의 존재(이 단백질에 대한 항체의 존재)를 검출하는데 있어 표준 1D PAAGE 보다 더 적합하다. 도 3은 이 겔의 웨스턴 블롯을 도시한 것이다. 블롯팅/항온처리 절차는 도 1에 사용된 것과 비슷한 표준 절차이다. 도 3a는 무편모성 캠필로박터 균주 81116-2R에 대한 항혈청과 항온처리된 2D 겔의 웨스턴 블롯을 도시한 것이다. 도 3b는 야생형 캠필로박터 균주 81116에 대한 항혈청과 항온처리한 동일한 웨스턴 블롯을 도시한 것이다. 도 3a 중의 웨스턴 블롯은 60 kD(화살표 1) 및 13 kD 단백질(화살표 2)에 대한 항체가 무편모성 캠필로박터에 대하여 유발된 혈청에는 존재하지만, 야생형 캠필로박터에 대하여 유발된 혈청에서는 발견되지 않음을 보여주고 있다(도 3b).
이 웨스턴 블롯은 분명하게 무편모성 캠필로박터 균주가 97 kD, 60 kD 및 13 kD 단백질에 대한 면역 반응을 유도할 수 있는 반면, 야생형 캠필로박터 균주는 이 현상을 나타내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실시예 2 : 백신 제조
박테리아 균주
야생형 81116 : 상기 참조.
변이주 81116-2R : 상기 참조.
수동 면역에 대한 닭 항혈청의 제조
4주령의 닭에게 81116 또는 81116-R2 균주의 전세포 백신(하기 참조) 1 ㎖를 IM 예방접종하였다. 1군의 닭은 예방접종하지 않고 방치하였다. 예방접종 후 4 주째, 모든 닭이 사멸할 때까지 방혈시켰다. 그룹 당 혈청을 모아 4일령의 닭에게 예방접종하였다.
불활성화된 전세포 백신의 제조
캠필로박터 제주니 81116 균주는 블레이저(Blaser) 캠필로박터 아가에 접종하고, 캠필로박터 제주니 81116-R2 균주는 블레이저 캠필로박터 아가 + 카나마이신 40 ㎍/㎖ 상에 접종하였다. 평판을 미호기성 조건하에서 41 ℃하에 48 시간 동안 항온배양하였다. 아가 평판에서 집락을 취해, 81116 균주의 경우에는 브루셀라 브로스 + 1% 효모 추출물에 접종하고 2R 균주의 경우에는 브루셀라 브로스 + 1% 효모 추출물 + 카나마이신 40 ㎍/㎖에 접종하였다. 미호기성 조건하에 41 ℃에서 24 시간 동안 항온처리한 후, 배양물의 총 박테리아수를 조사하고 불활성화시키기 위하여 0.2% 포르말린을 첨가하였다(실온에서 24 시간). 불활성화된 박테리아는 원심분리로 수거하고, PBS에 현탁시킨 뒤, 유중수 현탁액인 프로인트 불완전 형태와 세포를 혼합하여 백신을 제조하였다. 이 백신 유탁액은 약 109박테리아/㎖를 포함한다.
캠필로박터 항원투여 균주의 제조
캠필로박터 제주니 81116 균주는 블레이저(Blaser) 캠필로박터 아가 평판에 접종하여 미호기성 조건하에서 41 ℃하에 48 시간 동안 증식시켰다. 한 평판에서 증식된 균주를 브루셀라 브로스 + 1% 효모 추출물에 현탁시키고 밀폐 병 중에서 41 ℃ 하에 48 시간 동안 항온배양하였다. 배양물 0.2 ㎖를 닭에게 경구 투여하였다. 항원투여 배양물의 생균수는 평판 계수법으로 측정하였다.
실시예 3 : 예방접종 실험
본 실험에서는 야생형 캠필로박터 및 무편모성 캠필로박터에 대한 항혈청의 수동 예방접종과 불활성화된 야생형 캠필로박터 전세포 제조물의 능동 예방접종 간의 비교 실험을 실시하였다.
4일령 또는 2주령의 SPF 닭
실험 디자인 실험 1
4일령 닭 10마리로 구성된 4 그룹에게, 야생형 캠필로박터 균주 81116에 대한 닭 항혈청 0.8 ㎖ 또는 무편모성 변이주 81116-R2에 대한 닭 항혈청 0.8 ㎖ 또는 예방접종되지 않은 대조 닭 혈청 0.8 ㎖를 경구 처치하거나(1일 1회) 또는 대조군은 처리않은 채 방치하였다. 첫날(즉, 4일령째)에는 닭에게 3.2 x 107CFU/㎖을 항원투여하기 바로 전 및 항원투여 후 6시간 경과후 항혈청을 투여하였다. 처치는 부검 전까지 계속하였다. 각 그룹의 5 마리 닭에게 항원투여한 후 5일 또는 10일째 죽이고 맹장 함유물 g 당 CFU를 측정하였다(하기 사후 및 박테리아학 참조).
실험 디자인 실험 2
4일령 닭 10마리로 구성된 4 그룹에게, 야생형 캠필로박터 균주 81116에 대한 닭 항혈청 0.8 ㎖ 또는 무편모성 변이주 81116-R2에 대한 닭 항혈청 0.8 ㎖ 또는 예방접종되지 않은 대조 닭 혈청 0.8 ㎖를 경구 처치하거나(1일 1회) 또는 대조군으로 처리않은 채 방치하였다. 첫날(즉, 4일령째)에는 닭에게 1.4 x 108CFU/㎖을 항원투여하기 바로 전 및 항원투여 후 6시간 경과후 항혈청을 투여하였다. 처치는 부검 전까지 계속하였다. 닭에게 항원투여한 후 5일째 죽이고 맹장 함유물 g 당 CFU를 측정하였다.
실험 디자인 실험 3
2주령의 닭 10 마리로 구성된 3 그룹에게, 야생형 캠필로박터 균주 81116의 불활성화된 세포 또는 무편모성 돌연변이 균주 81116-R2를 함유하는 유중수 유탁액인 프로인트 불완전 형태 중의 전세포 백신 1 ㎖를 IM 예방접종하거나, 예방접종하지 않은채 방치하였다. 5주째, 모든 닭에게 야생형 캠필로박터 균주 81116, 1.4 x 108CFU/㎖를 경구 투여하였다. 항원 투여 후 1주째 닭을 죽이고 맹장 함유물 g 당 CFU를 측정하였다.
사후 및 박테리아학
닭을 죽이고 각 맹장의 함유물을 조심스럽게 취하여 무게를 달고, 0.04 M PBS 중에 0.1 g/㎖로 희석하였다. 그 다음, 10배 연속 희석물을 선택성 블레이저 캠필로박터 아가 평판에 평판배양하였다. 41 ℃에서 48 시간 동안 미호기성 조건하에 항온처리한 후, 맹장 함유물 g 당 CFU를 측정하였다.
결과
실험 1
표 1로부터, 야생형 캠필로박터에 대한 혈청 또는 예방접종되지 않은 닭 대조 혈청으로 매일 반복 수동 면역화하는 경우, 처리하지 않은 대조 닭과 비교해 볼 때(항원 투여 후 5일 및 10일째) 맹장 정착에 대하여 야생형 캠필로박터가 미치는 영향이 전혀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모든 3 그룹은 캠필로박터에 의한 높은 맹장 정착률을 나타내었다(맹장 함유물 g 당 최대 > 108CFU). 이와 정반대로, 본 발명에 따른 항혈청(즉, 편모 음성 돌연변이에 대하여 유발됨)으로 수동 면역화한 경우에는, 맹장으로부터 야생형 캠필로박터를 제거하였다(또는 정착을 방지하였다). <3의 수준은 맹장 함유물 g 당 CFU 수가 검출 농도 이하임을 의미한다.
실험 2
이 실험은 반복 시험(표 2)으로, 본 발명에 따른 항혈청(즉, 편모 음성 변이주에 대하여 유발됨)으로 수동 예방접종된 닭에서 맹장 정착의 상당한 감소가 또 다시 관찰되었다: 6/10 닭은 완전 음성이었고 평균 >3 로그의 감소가 관찰되었다.
실험 3
문헌에서는 야생형 캠필로박터로의 능동 면역 시 캠필로박터 정착이 최대 2 로그 감소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기 때문에[Widders, P.R., Perry, R., Muir, W.I., Husband, A.J., and Long, K.A., 1996, Br.Poultry Sci. 37:765-778], 본 명세서에서는 능동 예방 모델로 야생형과 R2 계 백신을 시험 비교하였다. 그 결과(표 3), 어떤 백신도 맹장에서의 정착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항원투여후 5일째 C.제주니 81116의 재분리
Log CFU/맹장 함유물 g
항혈청 C.제주니 81116 C.제주니 R2 예방접종하지 않음 항혈청 처리하지 않음
닭12345 8.15.98.55.58.6 <3.0<3.0<3.0<3.0<3.0 7.88.78.17.77.6 7.65.69.17.28.8
평균편차 7.31.5 <3.0 8.00.4 7.71.4
항원투여 10일 후의 C.제주니 81116의 재분리
Log CFU/맹장 함유물 g
항혈청 C.제주니 81116 C.제주니 R2 예방접종하지 않음 항혈청 처리하지 않음
닭12345 9.09.19.09.18.5 3.5<3.0<3.0<3.0<3.0 7.88.99.37.08.7 8.17.67.47.88.2
평균편차 8.90.3 <3.10.2 8.30.9 7.80.3
항원투여 5일후의 C.제주니 81116의 재분리
Log CFU/맹장 함유물 g
항혈청 C.제주니 81116 C.제주니 R2 예방접종하지 않음 항혈청 처리하지 않음
닭12345678910 7.5<3.07.47.56.09.18.97.6<3.0<3.0 3.89.18.96.0<3.0<3.0<3.0<3.0<3.0<3.0 9.57.97.68.47.37.06.69.17.59.4 <3.07.57.98.59.05.89.07.09.09.8
평균편차 <6.3a2.4 <4.6b2.5 8.01.0 <7.72.0
ap≤0.05 예방접종하지 닭의 항혈청을 투여한 그룹과 비교시(2개의 시료 t검정)
bp≤0.001 예방접종하지 닭의 항혈청을 투여한 그룹과 비교시(2개의 시료 t검정)
항원투여 6일 후 C.제주니 81116의 재분리
Log CFU/맹장 함유물 g
C.제주니 81116 예방접종 C.제주니 R2 예방접종 예방 접종되지 않음
12345678910 8.38.77.18.18.47.78.59.17.5 5.28.08.78.57.87.88.88.37.4 8.38.77.18.18.47.78.59.17.5
평균편차 8.20.6 7.81.1 8.20.6
결론
무편모 캠필로박터에 대하여 유발된 항체를 주성분으로 하는 백신은 맹장으로부터 야생형 캠필로박터를 제거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야생형 캠필로박터에 대하여 유발된 항체를 주성분으로 하는 백신과 정반대의 결과이다. 또한, 야생형 캠필로박터 세포를 포함하는 백신과도 상반되는 결과이다.

Claims (14)

  1. 무편모성 캠필로박터(Campylobacter) 균주에 대하여 유발된 항혈청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동물의 캠필로박터 정착 예방용 백신.
  2. 제1항에 있어서, 무편모성 캠필로박터 균주가 캠필로박터 제주니(Campylobacter jejuni)인 것이 특징인 백신.
  3. 제2항에 있어서, 무편모성 캠필로박터 제주니 균주가 균주 R2인 것이 특징인 백신.
  4. 캠필로박터 제주니 단백질의 웨스턴 블롯을 캠필로박터 제주니의 무편모성 변이주에 대한 항체와 항온처리한 후에는 관찰되고 상기 블롯을 야생형 캠필로박터 제주니에 대한 항체와 항온처리한 후에는 관찰되지 않는 것이 특징인, 97 kD(+/- 5 kD)의 분자량을 가진 캠필로박터의 항원성 단백질.
  5. 캠필로박터 제주니 단백질의 웨스턴 블롯을 캠필로박터 제주니의 무편모성 변이주에 대한 항체와 항온처리한 후에는 관찰되고 상기 블롯을 야생형 캠필로박터 제주니에 대한 항체와 항온처리한 후에는 관찰되지 않는 것이 특징인, 60 kD(+/- 5 kD)의 분자량을 가진 캠필로박터의 항원성 단백질.
  6. 캠필로박터 제주니 단백질의 웨스턴 블롯을 캠필로박터 제주니의 무편모성 변이주에 대한 항체와 항온처리한 후에는 관찰되고 상기 블롯을 야생형 캠필로박터 제주니에 대한 항체와 항온처리한 후에는 관찰되지 않는 것이 특징인, 13 kD(+/- 3 kD)의 분자량을 가진 캠필로박터의 항원성 단백질.
  7.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백신용인 것이 특징인 항원성 단백질.
  8. 캠필로박터 제주니 정착을 퇴치하기 위한 약학 조성물 제조에 사용되는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항원성 단백질의 용도.
  9.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항원성 단백질에 대한 항체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가금류 중의 캠필로박터 제주니 정착을 예방하기 위한 백신.
  10.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항원성 단백질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가금류 중의 캠필로박터 제주니 정착을 예방하기 위한 백신.
  11. 동물 중에서의 캠필로박터 정착에 대한 백신 제조에 사용하기 위한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항원성 단백질에 대한 항체 또는 무편모성 캠필로박터 균주에 대한 항체의 용도.
  12. 숙주 동물 중에서 무편모성 캠필로박터 균주의 항원성 물질에 대한 항혈청을 유발시키는 단계, 그 후 숙주 동물로부터 항혈청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1항 내지 제3항 및 제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백신의 제조 방법.
  13. 항체 생산 세포를 증식시키는 단계 및 항체를 수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제9항에 기재된 백신의 제조 방법.
  14.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단백질과 약학적 허용성 담체를 혼합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제10항에 기재된 백신의 제조 방법.
KR1020000018491A 1999-04-09 2000-04-08 캠필로박터 백신 KR2001001471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99201086.8 1999-04-09
EP99201086 1999-04-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4710A true KR20010014710A (ko) 2001-02-26

Family

ID=8240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8491A KR20010014710A (ko) 1999-04-09 2000-04-08 캠필로박터 백신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2) US6787137B1 (ko)
JP (1) JP2000351735A (ko)
KR (1) KR20010014710A (ko)
CN (1) CN1170594C (ko)
AU (1) AU775752B2 (ko)
BR (1) BR0001559A (ko)
CA (1) CA2303722A1 (ko)
HU (1) HUP0001423A3 (ko)
MX (1) MXPA00003427A (ko)
PL (1) PL339513A1 (ko)
TW (1) TW20041887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395022T3 (es) 2003-09-19 2013-02-07 Epitopix, Llc Polipéptidos de Campylobacter y sus métodos de uso
DE602004030824D1 (de) * 2003-11-21 2011-02-10 Ace Biosciences As An der oberfläche befindliche campylobacter jejuni-polypeptide
WO2008146830A1 (ja) * 2007-05-28 2008-12-04 The Kitasato Institute パラ百日咳菌全菌体ワクチン組成物
PT2579901T (pt) * 2010-06-09 2019-11-05 Univ Arkansas Vacina e métodos para reduzir infeção por campylobacter
WO2017199094A1 (en) 2016-05-20 2017-11-23 Novobind Livestock Therapeutics Inc. Antibodies against microorganisms and uses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48018A (en) * 1984-02-07 1988-05-31 Stolle Research & Development Corp. Method of passive immunization of mammals using avian antibody
US5200344A (en) * 1990-11-13 1993-04-06 Blaser Martin J Diagnostic testing for campylobacter jejuni or campylobacter coli infections using novel antigens
AU7482694A (en) * 1993-08-27 1995-03-21 Enteric Research Laboratories, Inc. (campylobacter jejuni) antigens, and methods for their production and use
US5897475A (en) * 1994-10-05 1999-04-27 Antex Biologics, Inc. Vaccines comprising enhanced antigenic helicobacter spp.
US5827654A (en) * 1995-05-08 1998-10-27 University Of Toronto Basal body rod protein genes of campylobacter
DE19548221C1 (de) * 1995-12-22 1997-05-15 Biotest Pharma Gmbh Orale Anwendung von Immunglobulin-Präparationen zur Behandlung und Prophylaxe chronischer Schmerzzustände
US6087105A (en) * 1997-04-08 2000-07-11 Chan; Voon Loong Gene encoding invasion protein of campylobacter species
US6156546A (en) * 1997-05-16 2000-12-05 Washington State University Research Foundation Identification and molecular cloning of a gene encoding a fibronectin binding protein (CadF) from Campylobacter coli and Campylobacter jejuni
EP1043029A1 (en) * 1999-04-09 2000-10-11 Akzo Nobel N.V. Campylobacter vacc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L339513A1 (en) 2000-10-23
MXPA00003427A (es) 2004-10-28
AU2640600A (en) 2000-10-12
CN1170594C (zh) 2004-10-13
AU775752B2 (en) 2004-08-12
TW200418874A (en) 2004-10-01
US6787137B1 (en) 2004-09-07
HUP0001423A3 (en) 2005-05-30
HUP0001423A2 (en) 2002-06-29
BR0001559A (pt) 2001-08-21
HU0001423D0 (en) 2000-06-28
CN1270061A (zh) 2000-10-18
US20030072766A1 (en) 2003-04-17
US6790446B2 (en) 2004-09-14
JP2000351735A (ja) 2000-12-19
CA2303722A1 (en) 2000-10-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09493B2 (en) Inactivated bovine scours vaccines, process and method of preventing bovine scours
US20080069843A1 (en) Salmonella vaccine
EA036764B1 (ru) Ослабленный штамм streptococcus suis, индуцирующий иммунный ответ у свиней, и его применение
JP2009531029A (ja) 弱毒化サルモネラ生ワクチン
Hodgins et al. Evaluation of a polysaccharide conjugate vaccine to reduce colonization by Campylobacter jejuni in broiler chickens
JP2023175815A (ja) レンサ球菌感染防御のためのワクチン
US20210369832A1 (en) Vaccine for protection against streptococcus suis
CN110891598A (zh) 用于针对猪链球菌的保护的疫苗
KR970005333B1 (ko) 이.콜리 패혈증(E.coli septicaemia)에 대한 가금류 보호용 백신
KR20010014710A (ko) 캠필로박터 백신
US20240197851A1 (en) A vaccine for protection against streptococcus suis serotype 9, sequence type 16
EP1043029A1 (en) Campylobacter vaccine
KR101031376B1 (ko) 살모넬라 엔테리티디스 감염 예방용 불활화 백신
Barman et al. Protective efficacy of maternal antibodies induced by Salmonella toxoid (vaccine)
EP4380611A1 (en) A vaccine for protection against streptococcus suis of various serotypes
US20030149255A1 (en) Bird diagnostics and treatments
WO2023011810A1 (en) A vaccine for protection against streptococcus suis of various serotypes
WO2023011812A1 (en) A vaccine for protection against streptococcus suis of various serotypes
TRUSZCZYNSKI Evaluation of the immunogenicity of the vaccine against Pasteurella multocida infections in calves
WO2002030321A2 (en) Bird diagnostics and treatments
KR19990079333A (ko) 돼지 유행성 설사병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난황항체 이용경구용 면역제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