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4466A - 마찰력 등의 동적 외력이 존재하는 곳에 이용되는풍화산호 이용 탈취제의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마찰력 등의 동적 외력이 존재하는 곳에 이용되는풍화산호 이용 탈취제의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4466A
KR20010014466A KR1020000004819A KR20000004819A KR20010014466A KR 20010014466 A KR20010014466 A KR 20010014466A KR 1020000004819 A KR1020000004819 A KR 1020000004819A KR 20000004819 A KR20000004819 A KR 20000004819A KR 20010014466 A KR20010014466 A KR 200100144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al
deodorant
weathered coral
weathered
mois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48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기환
사토게이이치
Original Assignee
스즈키 토시코
아이 씨-씨-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즈키 토시코, 아이 씨-씨-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스즈키 토시코
Priority to KR10200000048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14466A/ko
Publication of KR200100144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4466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01J20/04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compounds of alkali metals, alkaline earth metals or magnesium
    • B01J20/043Carbonates or bicarbonates, e.g. limestone, dolomite, aragoni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찰력 등의 동적 외력이 존재하는 곳에 이용되는 풍화산호 이용 탈취제의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그 제조장치는 풍화산호사리(1)를 가열살균수단(2)에 의해 가열,살균하거나, 소성수단(2a)으로 소성하고, 이것을 미세분쇄수단(3)으로 분쇄하는 것이다. 그 가열,산균 또는 소성과 분쇄의 순서는 역이라도 좋다. 또, 소성하지 아니한 경우에는 가열, 살균한다.
이에 따라 계속적이고 우수한 탈취효과가 있는 탈취제가 제조될 수 있다.

Description

마찰력 등의 동적 외력이 존재하는 곳에 이용되는 풍화산호 이용 탈취제의 제조장치{apparatus for manufacturing deodorant using the weathered coral for the place where dynamic force such as friction, etc., exists}
본 발명은, 넓게는 악취 탈취제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마찰력 등의 동적 외력이 존재하는 곳에 이용되는 풍화산호 이용 탈취제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고무, 가죽, 직물, 폴리에스테르를 재료로 한 통상의 구두, 등산화, 작업화 등에서 발생하는 발이나 스포츠 의류 등의 신체의 냄새를 제거하는 탈취제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악취라고 생각되는 발냄새는 산화한 땀의 냄새가 주된 것이지만, 그것이 피복류의 재료나 양말 중에 섞여 냄새를 발생하고 있다. 특히 발한량이 많은 사람의 경우, 자기자신은 물론 주변의 사람들에게도 기분을 불유쾌하게 한다. 종래부터 실내공간에서 냄새를 제거하기 위해 환기팬에 의한 환기법, 분무제에 의한 흡수법, 활성탄에 의한 흡착법, 오존에 의한 촉매반응법, 인공산소에 의한 생물학적 방법, 방향제법 등이 있다.
구두나 양말과 같이 밀착 또는 밀폐상태의 경우, 통풍이 안되거나 발한에 의한 고습기 등으로, 화학적인 분무제나 방향제로는 순간적인 효과는 있지만, 악취는 지속적으로 제거하는 효과는 없다. 종래, 지속적인 효과를 위해 구두속 바닥제와 양말의 섬유에 활성탄이나 인공산소 등을 넣는 방법 또는 재료가 있지만, 밀폐공간의 발냄새를 제거하는 것에 대해서는 장시간 지속적 효과가 확인되지 아니하고 있다.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산성화 발한에 의한 발취(發臭)분자와 습기에 대한 흡수성과 마찰 및 압력에 의해 음 이온 공기를 발생시키는 계면활성작용에 의한 탈취성을 지닌 풍화산호 미세립을 재료로 한 탈취제의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발한성의 악취뿐만 아니라, 마찰력 등의 동적 외력이 존재하는 신체이외의 것에 이용될 수 있는 탈취제의 제조장치를 제공하며, 습기가 있는 곳에는 분말형상의 것을, 그리고 습기는 없지만, 가습하여도 좋은 곳에는 수용액상의 탈취제의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마찰력 등의 동적 외력이 존재하는 곳에 이용되는 풍화산호 이용 탈취제 제조장치의 제조과정의 일시시예를 도시한 블럭도,
도 2는 도 1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풍화산호 이용 탈취제를 사용한 경우의 측정시간과 그 음이온 수를 나타낸 그래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풍화산호사리 2: 가열살균수단
2a: 소성 수단 3: 미세 분쇄수단
4: 산호탈취제 4a: 분제(粉劑)
4b: 액제(液劑) 5: 수용수단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마찰력 등의 동적 외력이 존재하는 곳에 이용되는 풍화산호 이용 탈취제의 제조장치는, 풍화산호 미세립이 미약한 외부의 동적압력(마찰력)과 수분사이에서 발생하는 상호작용에 의한 흡수성과, 물분자와 산호의 탄산칼슘과의 라디칼반응으로 발생하는 음이온의 계면활성작용에 의한 탈취성을 이용하는 탈취제의 제조장치이다. 구체적으로는 가열,살균(청구항 1) 또는 소성한(청구항 2) 풍화산호미세립의 탈취제의 제조장치이며, 그 청구항 3 및 4의 발명은, 청구항 1 및 청구항 2의 발명에 대하여 수분이 없는 대상물용으로서 미리 가열,살균(청구항 3)하거나 또는 소성(청구항 4)한 풍화산호미세립이 물에 혼입된 탈취제의 제조장치이다.
이하에 본 발명에 따른, 마찰력 등의 동적 외력이 존재하는 곳에 이용되는 풍화산호 이용 탈취제의 제조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을 설명한다. 그 발명은, 가열살균수단이 있다. 그 가열살균수단은 풍화산호를 가열, 살균하는 것이다. 그리고, 미세 분쇄수단이 있다. 그 미세 분쇄수단은, 상기 가열살균수단에 의한 가열, 살균 전에 또는 후에 그 풍화산호를 미세립으로 분쇄하는 것이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마찰력 등의 동적 외력이 존재하는 곳에 이용되는 풍화산호 이용 탈취제의 제조장치의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을 설명한다. 그 발명은, 이하의 점이외에는 상기 청구항 1의 발명의 구성과 동일하다. 따라서, 상기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의 구성 설명의 전문을 여기서 원용하며, 이하의 구성의 설명을 추가한다. 그 발명과 상기 청구항 1의 발명의 구성과의 차이는 상기 가열살균수단에 대신하여 소성 수단의 존재이다. 그 소성수단은, 상기 풍황산호를 소성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청구항 3 및 4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을 설명한다. 이 발명은, 이하의 점이외에는 상기 청구항 1 및 2의 발명의 구성과 동일하다. 따라서, 상기 청구항 1 및 2의 발명의 구성 설명의 전문을 각각 여기서 원용하며, 이하의 구성의 설명을 추가한다. 이 발명과 청구항 1 및 2의 발명의 구성의 차이는 수용수단의 존재에 있다. 그 수용수단은, 상기 풍황산호미세립을 물에 혼입하는 것이다.
이하에 본 발명에 따른, 마찰력 등의 동적 외력이 존재하는 곳에 이용되는 풍화산호 이용 탈취제의 제조장치의 일반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풍화산호 미세립의 조성과정을 보면, 먼저, 해저에 침적되어 있는 풍화산호사리를 채굴하여 불순물을 제거한다. 그리고 산호만의 입자의 분류, 순수로 세정, 건조라고 하는 단계를 거쳐 미소성 미세립의 경우는 가열살균수단으로 100∼250℃에서 살균시킨다. 한편, 소성미세립의 경우에는 소성 수단으로 250∼500℃에서 소성하고 최종적으로, 어떤 것이든 미세 분쇄수단으로 미세하게 분쇄시킨다. 본 발명에 사용된 산호미세립의 직경은 5.5∼16㎛이며, 110℃에서 살균한 것이다. 풍화산호는, 아무리 미세하게 분쇄하여도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면, 풍화산호의 구조적인 특징인 기공구조를 유지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가 체온과 발한으로 생긴 냄새를 포함하는 수분을 흡착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마찰력 등의 동적 외력이 존재하는 곳에 이용되는 풍화산호 이용 탈취제를 그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 첨부 도면과 함께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풍화산호사리(1)를 가열살균수단(2)으로 가열,살균한다(도 1참조). 그 가열살균수단(2)을 대신하여 소성 수단(2a)으로 소성하는 실시예도 있다(도 2 참조). 그리고, 이것을 미세 분쇄수단(3)으로 분새시킨다. 이들 가열살균 또는 소성과 분쇄의 순서는 역이라도 좋다. 여기서, 본 발명의 산호탈취제의 제조장치가 만들어진다. 그 산호탈취제는 미세립제(4a)이지만, 구두나 바지, 유도복 등의 스포츠웨어 등의 신체 등에 사용하는 것인 경우는 발한 등의 습기가 있기 때문에 그대로도 좋으며, 습기가 없는 것을 대상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미세립제(4a)를 수용수단(5)에 의해 물에 혼합하여 액제(4b)로 사용한면 좋다.
구체적으로는 그 탈취제의 제조장치는, 풍화산호사리(1)를 채굴하고, 불순물을 제거하여 산호 입자를 분류한다. 그리고, 순수로 세정하여 건조시킨다. 더욱, 110℃ 살균가열이라고 하는 과정을 거쳐 추출된 미세립상태의 것으로, 풍화산호 미세립 입자의 직경은 5.5∼16㎛이다. 또, 소성미세립의 경우에는 250∼500℃로 소성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 기공구조에 흡착된 수분이 외력 즉, 발로부터의 압력과, 압력으로 생긴 입자간의 마찰력이라고 하는 에너지를 받으면, 수분은 풍화산호 미세립내의 탄산칼슘과 작용하고, 라디칼인 음이온을 발생하며, 산화된 수분은 알칼리화하고, 음이온의 계면활성작용으로부터 냄새성분이나 지방질 등을 분해하여 냄새를 제거한다.
다음에 이온 발생작용과정을 설명한다. 탄산칼슘을 포함하는 풍화산호 미세립은 다음과 같이 외력이 있으면, 칼슘이온과 탄산이온으로 해리한다.
CaCO3 ↔ Ca2++ CO3 2-
물 분자와 수소이온 및 수산이온사이에 다음과 같이 평행이 항상 성립한다.
H2O ↔ H++ OH-
족압력과, 그 압력에 의한 입자간의 마찰력과 같은 에너지가 공급되면, 물분자는 물의 클러스터 구조, 즉 물분자가 복합적으로 붙은 이온클러스터 복합체로서 다음과 같이 분해된다. 여기서 OH-(H2O)n을 수부(水付) 음이온이라 한다.
(H2O)(H2O) ↔ H+(H2O)n+ OH-(H2O)n
OH-는 전기화학적으로 라디칼로 되고, 수분((H2O)n) 중으로부터 튀어나온다고 하며, 물과 계면활성작용을 행한다. 예를 들면, OH-는 악취의 근원인 유지나 단백질 분자 등과의 사이에도 이러한 작용을 하여 냄새를 분해하는 결과를 초래한다.(구보철치랑(久保哲治郞), 고체물리, 1989).
다음에 음이온 측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마찰력이 부여되는 산호 미세립에서 발생하는 음이온량은, 이온이동도를 이용한 이온카운터(고베 전파주식회사제 KST-900)에 의해 구할 수 있다. 이 측정기로 1cc당의 음이온 수와 양이온 수를 셀 수 있다. 측정조건으로서, 부여되는 마찰력은 2∼10 dyne/㎤, 습도 60%, 온도 28℃, 측정시간은 30분이었다.
도3은 직경이 5.5∼16㎛의 산호 미세립에 연속적으로 2∼10 dyne/㎤의 마찰력을 부여한 때의 1cc당 음이온 발생수를 나타내는 것이다. 1cc 음이온 수는, 도시의 경우, 보통 80∼150 ions/cc이고, 폭포나 삼림속이 2000∼4000 ions/cc이며, 본 발명의 탈취제는, 약 2100 ions/cc 이다. 음이온 공기는, 신선한 기분, 자율신경활동의 안정, 학습능력의 증가 등에 효과가 알려져 있지만, 라디칼 반응으로 살균이나 소독효과도 있다고 알려져 있다.
다음에 발의 취기(臭氣)의 측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취기측정법으로서는, 인간의 취각을 이용하는 취각측정법을 이용하였다. 취각측정법은 인간의 취각을 이용하기 때문에 피험자의 체조(體調)나 취력(臭力)의 차이에 따라 측정치가 불균일하다고 하는 점도 문제로 되지만, 비닐중의 무기상태를 표준취기라고 하는 역치를 설정하고, 2000m 걸어서 다발한(多發汗) 직후의 구두와 양말과 발을 비닐푸대에 5분간 넣은 후에 취기를 측정하였다.
표1은 3점취각법으로부터 표준취기에 대해 산호를 사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2000m를 걸은 직후의 발한 상태의 발과 구두속의 취기, 그리고 본 발명의 풍화산호 미세립 1g을 걷기 전에 구두속에 넣고 흔들어둔 후, 2000m를 걸은 직후의 발한 상태의 취기와 습도를 비교한 결과이다.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피험자로서 대학생 남여 20명이 참가하였다. 결과로서 산호 미세립을 구두속에 넣은 것만으로 거의 냄새를 감지할 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준취기 보통구두에서의발냄새(2000m도보후) 산호분을 넣은구두에서의 발의 취기(2000m도보후)
3점취각법 0 40-80 0-10
습도(%) 50±5% 80±10% 55±6%
※ 취기: 0: 무취, 0-20: 극미취, 40-60: 미취, 60-80: 중간 악취, 80-100: 악취
본 발명의 풍화산호 미세립이 지니는 미세기공구조, 그리고 마찰력과 같은 외력과, 체표면에서 발생하는 발한의 수분과 산호의 탄산칼슘과의 화학반응 작용에 의해 발생한 음이온 공기의 라디칼 반응으로부터 풍화산호 미세립에 의한 탈취제가 구두 속과 양말 및 발 등의 밀폐된 공간에서의 탈취효과를 지닌다. 또, 인간의 신체에 사용되는 물건을 탈취의 대상으로 할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물건을 탈취의 대상으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마찰력 등의 동적 외력이 존재하는 곳에 이용되는 풍화산호 이용 탈취제의 제조장치는, 이상과 같이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고, 또, 다음과 같은 다대한 효과를 얻었다. 즉 도3과 상기 표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그 계속적이고 우수한 탈취효과가 있는 탈취제가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 탈취제는 미세립이므로, 구두속에 사용한 경우에는 마치 맨발로 모래를 밟고 걷는 것과 같은 기분 좋은 자극이 느껴지고, 건강에도 좋은 것으로 된다.

Claims (4)

  1. 풍화산호를 가열, 살균하는 가열살균수단과, 그 가열살균수단에 의한 풍화산호의 가열, 살균 전에 또는 후에 그 풍화산호를 미세립으로 분쇄하는 미세 분쇄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력 등의 동적 외력이 존재하는 곳에 이용되는 풍화산호 이용 탈취제의 제조장치.
  2. 풍화산호를 소성시키는 소성 수단과, 그 소성 수단에 의한 풍화산호의 소성 전에 또는 후에 그 풍화산호를 미세립으로 분쇄하는 미세 분쇄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력 등의 동적 외력이 존재하는 곳에 이용되는 풍화산호 이용 탈취제의 제조장치.
  3. 풍화산호를 가열, 살균하는 가열살균수단과, 그 가열살균수단에 의한 풍화산호의 가열, 살균 전에 또는 후에 그 풍화산호를 미세립으로 분쇄하는 미세 분쇄수단과, 그 풍화산호미세립을 물에 혼입하기 위한 수용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력 등의 동적 외력이 존재하는 곳에 이용되는 풍화산호 이용 탈취제의 제조장치.
  4. 풍화산호를 소성시키는 소성 수단과, 그 소성 수단에 의한 풍화산호의 소성 전에 또는 후에 그 풍화산호를 미세립으로 분쇄하는 미세 분쇄수단과, 그 풍화산호미세립을 물에 혼입하기 위한 수용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력 등의 동적 외력이 존재하는 곳에 이용되는 풍화산호 이용 탈취제의 제조장치.
KR1020000004819A 1999-02-18 2000-02-01 마찰력 등의 동적 외력이 존재하는 곳에 이용되는풍화산호 이용 탈취제의 제조장치 KR200100144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4819A KR20010014466A (ko) 1999-02-18 2000-02-01 마찰력 등의 동적 외력이 존재하는 곳에 이용되는풍화산호 이용 탈취제의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 1985-06-12
KR1020000004819A KR20010014466A (ko) 1999-02-18 2000-02-01 마찰력 등의 동적 외력이 존재하는 곳에 이용되는풍화산호 이용 탈취제의 제조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5553A Division KR20030027905A (ko) 2003-01-28 2003-01-28 마찰력 등의 동적 외력이 존재하는 곳에 이용되는풍화산호 이용 탈취제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4466A true KR20010014466A (ko) 2001-02-26

Family

ID=37517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4819A KR20010014466A (ko) 1999-02-18 2000-02-01 마찰력 등의 동적 외력이 존재하는 곳에 이용되는풍화산호 이용 탈취제의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1446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7700B1 (ko) 탈취·제습·항균기능을 갖는 다기능성의 기공성 구상 소성체
KR101912222B1 (ko) 항균과 소취, 산소발생 기능이 있는 신발깔창 제조방법
KR100404069B1 (ko) 풍화산호 이용 탈취제
KR20190138024A (ko) 탈취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10014466A (ko) 마찰력 등의 동적 외력이 존재하는 곳에 이용되는풍화산호 이용 탈취제의 제조장치
KR20180118403A (ko) 편백 오일을 주원료로 한 에어컨/차량용 등 다목적 용도의 천연 탈취제 및 방향제
KR20180016822A (ko) 스킨케어용 마스크 팩 조성물
KR101954871B1 (ko) 키토산 구조체를 이용한 탈취제
KR20030027905A (ko) 마찰력 등의 동적 외력이 존재하는 곳에 이용되는풍화산호 이용 탈취제의 제조방법
JP3891461B2 (ja) 摩擦力等の動的外力が存在する箇所に用いる風化珊瑚利用の消臭剤製造装置
CN104888257A (zh) 一种新型鞋用除臭剂及其制备方法
KR100310940B1 (ko) 깔창
JP2001081020A (ja) 着身品に応用したアルカリと負イオン発生の焼成風化珊瑚粉利用の担持物
KR100950999B1 (ko) 몬모릴로나이트를 함유하는 원적외선 방사 조성물을포함하는 건강제품
KR102447877B1 (ko) 일라이트를 이용한 이중 공기 청정용 필터
KR102447875B1 (ko) 일라이트를 이용한 공기 청정용 필터
KR200363962Y1 (ko) 의류 살균탈취기
JP3014340U (ja) 消臭具
JPH0357455A (ja) 靴用脱臭除湿剤
KR200392879Y1 (ko) 냉매가 함유된 신발안창
JP2008188389A (ja) アロエ液含浸靴敷き
KR20060078560A (ko) 기능성 가죽신발 제조방법
WO2003076504A1 (en) Eva polymer comprising charcoal and method to manufacture the said eva polymer
JP2001104109A (ja) 気孔構造と負イオン生成効果を有する焼成風化珊瑚粉装着消臭寝具類
JP2001322868A (ja) 消臭抗菌基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30127

Effective date: 20050429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S601 Decision to reject again after remand of revo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