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3989A - 띠형상 재료의 포장 - Google Patents

띠형상 재료의 포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3989A
KR20010013989A KR19997012016A KR19997012016A KR20010013989A KR 20010013989 A KR20010013989 A KR 20010013989A KR 19997012016 A KR19997012016 A KR 19997012016A KR 19997012016 A KR19997012016 A KR 19997012016A KR 20010013989 A KR20010013989 A KR 200100139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ck
strip
package
laminate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9997012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99777B1 (ko
Inventor
로렌스 오코너
판몰대럴
데이빗슨마크비.
Original Assignee
스택 팩 테크놀러지스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757803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10013989(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Priority claimed from US08/878,826 external-priority patent/US6035608A/en
Priority claimed from US08/948,256 external-priority patent/US5966905A/en
Priority claimed from US08/975,037 external-priority patent/US6067775A/en
Priority claimed from US09/024,890 external-priority patent/US6009689A/en
Priority claimed from US09/064,744 external-priority patent/US6176068B1/en
Priority claimed from US09/081,826 external-priority patent/US5987851A/en
Application filed by 스택 팩 테크놀러지스 인크 filed Critical 스택 팩 테크놀러지스 인크
Publication of KR200100139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39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97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97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45/00Folding thin material
    • B65H45/02Folding limp material without application of pressure to define or form crease lines
    • B65H45/06Folding webs
    • B65H45/10Folding webs transversely
    • B65H45/101Folding webs transversely in combination with laying, i.e. forming a zig-zag pile
    • B65H45/1015Folding webs provided with predefined fold lines; Refolding prefolded webs, e.g. fanfolded continuous 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45/00Folding thin material
    • B65H45/02Folding limp material without application of pressure to define or form crease lines
    • B65H45/06Folding webs
    • B65H45/10Folding webs transversely
    • B65H45/101Folding webs transversely in combination with laying, i.e. forming a zig-zag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6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web or tape-lik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1/00Apparatus for splicing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2Piling, depiling, handling piles
    • B65H2301/421Forming a pile
    • B65H2301/4216Forming a pile of web folded in zig-zag form
    • B65H2301/42162Juxtaposing several p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6Splicing
    • B65H2301/462Form of splice
    • B65H2301/4622Abutting article or web portions, i.e. edge to e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1Dimensional aspect of article or web
    • B65H2701/112Section geometry
    • B65H2701/1123Folded article or web
    • B65H2701/11231Fan-folded material or zig-zag or leporell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8Form of handled article or web
    • B65H2701/182Piled package
    • B65H2701/1824Web material folded in zig-zag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8Form of handled article or web
    • B65H2701/182Piled package
    • B65H2701/1824Web material folded in zig-zag form
    • B65H2701/18242Juxtaposed s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Auxiliary Devices For And Details Of Packaging Control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 Folding Of Thin Sheet-Like Materials, Special Discharging Devices, And Others (AREA)
  • Storing, Repeated Paying-Out, And Re-Storing Of Elongated Articles (AREA)
  • Containers And Plastic Fillers For Packaging (AREA)
  • Package Frames And Binding Bands (AREA)

Abstract

연속적인 띠(11) 형상 재료의 포장(10)은 적층체(20,21,22,23)의 각 접혀진 부분이 띠(11)를 가로지르는 선의 주위에서 다음 부분에 대하여 접혀지도록, 또한 띠부분의 측부 모서리가 정렬되도록 앞뒤로 접혀진 띠(11)를 포함하는 다수개의 병렬로 나란한 적층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띠(11)는 각 적층체(20, 21, 22, 23)를 통하여 연속적이며, 하나의 적층체의 끝으로부터 다음 적층체의 끝까지 연결된다. 포장(10)은 적층체(20,21,22,23)의 높이를 감소하도록 압축되고 진공밀봉된 가방(40)에 의하여 압축된 상태로 유지된다.
바람직한 포장의 구성은 안정을 위하여 지지면(81)에 대하여 적층체(21,21, 22,23)가 기대어 지도록 안쪽으로 경사지고, 적층체(20,21,22,23)의 바닥에 형성되는 띠(11)를 사용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어붙이기 접속부(44),(45)는 포장의 한끝단을 따라서 연장되며, 적층체의 통상의 상태의 높이와 압축된 높이사이의 차이를 잡아올리도록 접혀진다.

Description

띠형상 재료의 포장{PACKAGING A STRIP OF MATERIAL}
본 발명은 띠형상 재료의 포장 및 띠형상 재료의 포장을 형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연속적인 띠형상 재료의 포장은 페스투닝(festooning: 꽃, 잎, 리본등을 길게 이어 양끝을 질러놓은 장식)으로 알려진 기술을 사용하여 형성되었는데, 여기에서 띠는 일련의 띠부분들이 앞뒤로 놓이도록 앞뒤로 접혀지며, 각 띠는 그 띠를 가로지르는 선의 주위에서 다음 띠에 대하여 접혀지게 된다. 페스투닝의 기술은 많은 세월에 걸쳐서 이용가능하였으며, 많은 다양한 재료의 포장에 사용되었지만, 특히 직물, 부직띠등과 같은 직물성의 재료에 대하여 사용되어 왔다. 이 기술에 있어서, 띠는 통상적으로 카드보드 상자와 같은 용기 내로 안내되고, 제 1 의 왕복운동은 띠의 부분들이 용기를 가로질러 놓이고 앞뒤로 접히도록 하며, 제 2 의 왕복운동은 띠의 부분들이 그 부분을 가로질러서 용기에 대하여 횡단하도록 하였다. 통상적으로 용기는 적어도 바닥 및 4개의 직립한 측면을 가지는 부분적으로 카드보드인 단단한 사각형 용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페스투닝 방법의 목적은 띠를 사용하는 기계로 공급하기 위하여 띠를 포장하는 것이다. 몇몇 사용자들은 이러한 형태의 재료의 감기포장에 비해서 페스툰 포장을 선호한다. 페스툰 포장은 어떠한 피구동되는 풀어내기 스탠드를 필요로 하지 않고도 간단히 기계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포장의 앞끝단 및 뒷끝단이 포장의 꼭대기에서 사용가능하므로, 일련의 포장들이 앞에서 뒤까지 하나의 연장된 공급원으로서 행동한다. 또한, 재료는 단순히 포장속으로 뉘어지므로, 포장의 관성에 기인하여 큰 포장의 장력제어가 문제로 되고 따라서 피구동되는 풀어내기 스탠드가 필요한 대형의 끈묶기 포장과 비교하여 볼 때, 포장으로부터 당기어짐에 따른 재료내에서의 장력의 제어에 관한 문제도 적다. 따라서 사용가능한 것보다 많은 공간을 점하며 상당한 비용을 포함하는 복잡한 풀어내기 스탠드에 대하여 페스툰 포장이 사용될 필요가 없다.
페스툰 포장은 재료를 적절하게 수납 및 담고 있도록 단단한 용기 또는 상자의 형태로 되어 있으며, 주변의 포장과 함께 짐을 반송함에 따른 압축 및 변형에 대해서 재료를 유지하기 위하여 재료가 반송시에 내부에 저장된다. 따라서 카드보드 용기는 기타의 유사한 적층 용기에 대한 지지를 제공하며, 화물의 반송시 적층상태의 바닥에서 포장의 과도한 압축이 일어나게 되는 것을 방지한다. 종래의 고성에서 사용된 카드보드 용기 및 포장은 다수개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첫 번째로, 용기는 최종 사용자로부터 공급자에게로 돌아오는 방향으로 카드보드 용기를 발송할 필요로 재활용되거나 또는 폐기되어야 하며, 어느 쪽도 비용이 상당하다.
두 번째로, 카드보드 용기는 현저한 압축상태없이 재료를 단순히 수납할 뿐이므로, 재료와 함께 공기가 포장됨에 따라서 용기내의 공간의 낭비가 있다. 부가적으로 종래의 포장구조는 그 구조내에 형성된 공간량을 최소화하지 않는다. 따라서 대부분의 효율적인 운송에 대한 최적치 보다 현저하게 아래의 밀도를 제공하는 재료의 대용량에 의하여 재료의 운송비용이 현저하게 증가된다.
세 번째로, 구조형성중의 필수적인 박스의 존재는 띠가 놓여짐에 따라 그의 적절한 제어를 함에 있어 제한이 있게 되는데, 왜냐하면 상자의 측면이 띠를 제어하는 안내부재의 이동 및 위치에 제한을 주기 때문이다.
네 번째로, 띠가 놓여짐에 따라 띠에 평행한 상자의 측면은 포장구조의 측면을 밀접하게 규제하지 못하며, 띠가 상자의 측면과 포장의 모서리의 사이로 떨어질 수 있다는 위험도 있다.
부가적으로, 공급재료의 직물로부터 갈라진 각 띠가 별도의 페스툰 스테이션에서 개별적으로 포장되는 종래의 포장형성기술은 매우 느리며 많은 수의 스테이션용으로 넓은 바닥면적을 필요로 한다. 또한 스테이션에 의하여 덮여진 넓은 영역은 잠재적인 띠의 장력문제 및 띠에 대한 위험성과 함께 자르기 스테이션으로부터 페스툰 스테이션으로 띠가 이동되는 거리가 상당해진다.
따라서 이러한 방식의 포장에 대한 현저한 요구사항이 잔존하는 반면, 현재 가용한 기술은 상술한 이유로 불만족스러운 것이다.
또한, 예를 들면 띠가 적층된 상태를 형성하도록 아코디언과 같은 방식으로 연속적인 띠가 앞뒤로 접혀진 종이 또는 티켓를 공급하고, 따라서 디가 적층상태의 한쪽 끝단으로부터 뽑어질 수 있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것은 적층이 불안정해지기 전에 포장될 수 있는 띠의 길이를 현저하게 한정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포장의 안정성이 개선될 수 있는 띠형상 재료의 개선된 포장구조 및 포장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적층체의 각 접혀진 부분이 띠를 가로지르는 선의 주위로 다음 부분에 대하여 접혀지고 띠 부분의 측부 모서리가 정렬되도록 앞뒤로 접혀진 띠를 각각 포함하는 다수개의 적층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띠들은 각 적층체를 통하여 적층체의 한쪽 끝단에서 띠의 상부 끝단부분으로부터 적층체의 반대쪽 끝단의 띠의 바닥부분에 이르기까지 연속적인 띠형상 재료의 포장에 있어서,
적층체들은 공통의 포장으로서 함께 반송되도록 나란히 평행하게 배열되고;
각 적층체의 띠의 상부 및 바닥 끝단부들은 연결부를 제공하도록 포장내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띠형상 재료의 포장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르면, 적층체의 각 접혀진 부분이 띠를 가로지르는 선의 주위로 다음 부분에 대하여 접혀지고 띠 부분의 측부 모서리가 정렬되도록 앞뒤로 접혀진 띠를 각각 포함하는 다수개의 적층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띠들은 각 적층체를 통하여 적층체의 상부 끝단부로부터 적층체의 바닥 끝단을 통하여 연속적인 띠형상 재료의 포장을 형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적층체들은 나란히 평행하게 배열하고;
포장을 적층체와 함께 평행하게 나란히 반송하며;
적층체으로부터 띠를 연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하여, 각 적층체의 상부 끝단부를 띠에 접속하고 각 적층체의 바닥 끝단부를 다른 띠에 접속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띠형상 재료의 공급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따르면, 적층체의 각 접혀진 부분이 띠를 가로지르는 선의 주위로 다음 부분에 대하여 접혀지고 띠 부분의 측부 모서리가 정렬되도록 앞뒤로 접혀진 띠를 각각 포함하는 다수개의 적층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띠들은 적층체의 한쪽 끝단에서의 띠의 제 1 끝단부로부터 적층체의 반대쪽 끝단에서의 띠의 제 2 끝단부 바닥부분에 이르기까지 적층체를 통하여 연속적인 띠형상 재료의 포장을 형성하는 띠형상재료의 공급방법에 있어서;
적층체의 높이를 감소하도록 띠에 수직인 각도로 적층체를 압축하고;
반송을 위하여 압축된 조건으로 적층체를 유지하도록 유연성의 포장재료로 적층체를 감싸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띠형상 재료의 공급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띠의 포장의 모식적인 등가도로서, 각 적층체로부터 다음의 적층체로 띠를 연결하기 전, 또한 도시의 편의상 유연성 포장재료가 생략된 상태의 적층체의 압축전을 나타낸 것이며 4개의 띠 적층체를 포함한 도면이다.
도 2 는 적층체사이의 접속이 이루어졌으며, 포장이 압축되고, 도시의 편의상 유연성 포장재가 생략된 상태의 도 1 의 포장의 모식적 등가도이다.
도 3 은 압축전에 접속이 부분적으로 이루어진 포장을 나타내는 도 1 및 도 2 의 포장의 정면도이며, 본 도면에는 적층체의 사이에 공간을 포함하지만, 이 공간은 도시의 편의만을 위한 것이며, 실제로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
도 4 는 압축되기 전에 부분절개된 가방을 나타내는 도 3 의 포장구조의 측면도이며, 접속부의 측부가 상부에 있도록 90도 회전된 도면이다.
도 5 는 압축된 포장 및 폐쇄된 가방을 나타내는 도 4 와 동일구성도이다.
도 6 은 반송 및 해체를 위하여 회전된 포장과 함께 접속부의 구성의 변형된 형태를 나타내는 도 5 에 유사한 도면이다.
도 7 은 접속부의 더욱 변형된 구성을 나타내는 도 2 와 유사한 구성도이다.
도 8 은 접속부의 더욱 변형된 구성을 나타내는 포장의 측면도이다.
도 9 는 압축이 해제되고 사용을 위하여 띠가 부분적으로 풀어진 상태의 도 8 에 나타낸 바와 같은 포장의 끝단도이다.
도 10은 띠의 상태한 상태 및 시이트부로 절단된 상태의 포장의 측면도이다.
도 11 은 사용을 위하여 부분적으로 띠가 풀어지고 압축이 해제된 후의 포장 및 도시의 편의상 가방을 생략한 상태를 나타내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의 등가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의 제 1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5 에 나타내었으며, 도면에 있어서, 포장은 포장될 유연성의 띠 또는 시이트(11)로 형성된 대략 사각형의 몸체(1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 재료는 포장구조에 필수적인 것은 아니지만 직물 또는 부직물 재료로 형성된 섬유이다. 재료가 각 접혀진 띠부분의 끝단에 필요한 주름을 형성할 수 있는 재료라면 상술한 기술을 사용하여 다양한 두께의 많은 재료들이 포장될 수 있다. 띠는 두께보다는 큰 폭을 가짐으로써, 2개의 대략 평평한 면 및 2개의 측면모서리를 규정하게 된다. 이러한 띠는 바람직하게는 폭이 일정하지만,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다.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기계의 끝단내에서의 사용을 위하여 완료된 포장이 나타내어져 있으며, 띠는 앞끝단(12) 및 포장의 뒷끝단(13)을 가지며, 다른 부분은 포장을 통하여 연속적이다.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반송 또는 사용을 위한 통상의 위치에 맞추어진 때의 포장은 상부(14), 바닥(15), 2개의 측부(16) 및 (17) 와, 2개의 끝단 (18) 및 (19)을 가진다.
포장은 다수개의 띠의 적층체로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각각 (20),(21),(22) 및 (23)으로 나타낸 4개의 띠의 적층체가 도시되어 있다. 적층체는 평행하고 나란하며 아무런 매개요소가 없다. 이들 적층체들은 측부(16),(17)에 대하여 평행하다. 포장은 끝단 적층(20) 및 (23)을 가지며 다수개(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중간 적층체를 가진다.
";적층체";라는 용어는 여기에는 적층체가 수직이거나 또는 적층체의 위치가 특정한 것을 필요로 하는 것을 의도한 것은 아니다. 반면에 적층제는 통상 위로 세워진 적층체를 형성하도록 띠를 앞의 띠의 상부에 놓은 것으로 형성되며, 이는 구성에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포장의 규격은 필요에 따라서 가변적일 수 있으며, 따라서 적층체의 수, 각 적층체의 길이 및 각 적층체의 높이도 폭의 한도내에서 가변될 수 있다.
각 띠의 적층체는 하나의 상부에 놓여진 다수개의 띠부분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도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띠부분은 각 끝단 접는 선 (25) 및 (26)에서 아코디온식으로 접힌 시이트를 형성하도록 앞뒤로 접혀진다. 각 띠의 부분은 선행하는 부분의 상부에 직접 놓여지므로, 띠는 일정한 폭을 가진다. 도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띠의 부분의 측부 모서리(27) 및 (28)는 공통의 수직면(27A)에 놓인다. 띠 적층체의 측부 모서리(27)들은 따라서 정렬되며, 띠 적층체의 측부모서리(28) 또한 정렬된다.
따라서 포장은 바닥부(29)로부터 상부(30)까지 띠부분들을 다음 띠부분의 상부에 놓음으로써 형성되며, 적층체를 형성한다. 따라서 포장은 다수개의 적층체로 형성되며, 각 적층체는 그것이 형성되는 띠의 방향으로 다른 적층체와 동일한 길이를 가진다. 또한 적층체는 공통의 높으로 형성되며, 따라서 포장의 높이와 동일하다.
도 4 및 도 5 에는 나타내었으나, 도시의 편의상 도 2 에서는 생략한 바와 같이, 포장은 바람직하게는 그 포장의 전체를 둘러싸는 열밀봉이 가능한 불침투성 플라스틱인 유연성 포장재료(40)로 싸여진다. 포장재료는 바람직하게는 기초부(41 ) 및 측부(42)와, 도 5에서 부호 43A로 나타낸 바와 같이 열밀봉되고 포장을 둘러싸며 폐쇄되는 상부(43)를 가진다. 포장은 포장의 높이를 현저하게 감소하기 위하여 끝단 (14) 및 (15)으로부터 압축되며 그러한 압축은 포장으로부터 공기를 뽑아내거나 배출한다. 밀봉된 가방은 공기가 가방의 외부에 유지되도록 진공포장 시스템내에서 사용되므로, 가방 외부의 기압은 포장은 높이방향으로 압축된 상태로 유지하며 적층체가 나란히 접촉하도록 유지한다. 압축량 및 높이방향으로의 감축량은 포장으로부터 끌러내어질 때 필요한 제품의 높이에 방해되지 않고서 포장의 양을 최소화하도록 고려될 수 있다. 적층체에 의하여만 규정된 포장 및 밀봉된 가방은 자유롭게 서있는 단단한 구조를 규정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포장구조는, 적층체의 높이를 감소하기 위한 적층체의 압축이나 다음의 인접한 적층체의 측부에 대한 각 적층체의 압력에 의하여 포장구조가 안정되도록 단단한 옆면을 가지는 상자 또는 유사한 용기를 필요로 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유연성 포장재료는 반드시 가방일 필요는 없으며, 단순한 꾸림도 될 수 있다. 꾸림을 유지하기 위한 진공 및 압축 적층체의 사용이 바람직하지만,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포장의 압축은, 띠 부분의 표면에 대하여 직각인 방향 D 으로만 가능하다. 이는, 띠 부분의 두께를 압축하도록 작용하고, 따라서 D 방향에서의 각 적층체의 규격이 그 압축에 의하여 감소된다. 띠부분 또는 적층체에 직각으로 압축하는 것은 왜냐하면 이러한 것은 띠를 비틀리게 작용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끼우기판 (D1) 및 (D2)에 의하여 D 방향으로 포장을 기계적으로 압축하는 것은, 그 방향으로의 포장의 크기를 감소시켜서 공기가 유연성 포장재료(40)의 밖으로 추출되도록 하고, 포장재료가 포장에 달라붙도록 하여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고 적층체가 밀접하게 유지되도록 압력을 가하게 된다.
도 4 에 나타낸 포장재료의 상태에서는, 포장재료 또는 가방(40)의 기초부 (41)가, 포장구조 자체의 압축되지 않은 상태보다 약간 크도록 형성되고 규격이 정해진다. 이러한 방식으로 포장구조는 용이하게 플라스틱 포장재료 또는 가방속으로 삽입될 수 있으며, 포장재료에 의하여 제자리에 고정될 수 있다. 반송 및 보관시에 포장구조는 압축되고 진공인 상태로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포장재료의 측부(42)들은 D 방향으로 압축되어 주름(39)을 형성하게 된다. 그러나, 진공상태가 해제되면, 압축된 상태로부터 통상의 느슨한 상태로 포장이 팽창되고, 가방은 그의 초기 크기로 확대되고 주름(44)이 펴지게 된다.
포장은,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적층체로서 수직으로 적층체를 세우기 위하여 띠부분을 수평적으로 놓음으로써 형성되는 바와 동일한 방향으로 방향을 잡을 수 있다. 이러한 방향관계에 있어서, 가방의 상부는 포장의 상부에 있게 된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방향관계에 있어서는, 포장은 90도 회전하며, 따라서 한 끝단(18)이 상부에 있게 된다.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이와 같이 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기술되는 바와 같이 분할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이러한 방향관계에서는, 가방의 상부가 포장의 끝단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포장은 도 1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한측이 상부에 오도록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모든 방향관계에 있어서, 포장은 싸여졌을 때는 안정되게 되므로 통상의 운송 및 취급시스템을 사용하여 다른 포장위에 쌓인 상태로 취급될 수 있다.
그러나, 적어도 포장은 펼쳐지지 않은 상태로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 9 및 도 10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최종 사용기계로 띠를 공급하도록 수직으로 유지된다. 이러한 방향관계에서, 적층체(20), (21),(22) 및 (23)들은 전부 수직상태이고 나란하게 위치하므로, 개별적으로 접혀진 띠부분들은 각 적층체의 수평상부 띠부분 (30)으로부터 각 적층체의 수평 바닥 띠부분(29)까지 수평상태로 있게 된다.
도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은 포장의 초기구조는, 다음의 띠와 각각 별개로 되어 있는 띠들이 나란하게 형성된 적층체를 포함한다. 이는, 직물을 다수개의 나란한 띠로 분할하고, 이들 띠를 한쌍의 닙(nip) 로울러를 가지는 캐리지를 사용하여 동시에 나란히 접음으로써 하나의 구조로 달성된다. 닙 로울러들은 그들의 길이에 대해서 직각방향으로 캐리지상에서 왕복하며, 따라서 닙은 끝단(18) 및 (19)의 사이에서 앞뒤로 이동하며 측정된 띠 길이대로 놓여지게 하고 접는 선(25),(26)에서 띠부분들을 접는다.
도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적층체(20)의 상부 끝단 띠부분(30)들은 일반적으로 적층체의 상부를 가로질러 놓여지며, 상부(14)로부터 아래쪽으로 드리워진 끝단(18)쪽에 자유로운 끝단(44)을 가지게 된다. 적층체(20)의 상부의 끝단은 앞끝단(12)을 형성하도록 빼내어질 수 있다.
바닥 띠부분(29)은 적층체의 아래쪽으로부터 꺼내어지고 포장의 측부(18)에 매달리는 띠의 일부분으로서 적층체의 형성전에 형성된 꼬리부(45)를 포함한다.
몇몇 방식의 재료 또는 몇몇 공정에 있어서는, 도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꼬리(45)가 접속되거나 또는 갈라지지 않고, 반송 및 저장이 완료된 후에 분할되도록 포장재료의 상부에 단순히 자유롭게 놓여지게 될 수 있다. 포장구조는 안정적이고, 따라서 그것이 공급될 기계로 옮겨졌을 때 여유있게 분할될 수 있도록 사용가능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분할은 반송후 포장이 풀어지도록 대기하고 있을 때, 또는 첫 번째 적층체(20)가 풀어질 때에도 행해질 수 있다. 포장의 상부에서 하나의 위치로 포장의 측면을 따라 위쪽으로 되도록 꼬리(45)의 위치를 잡음으로써, 이들 꼬리를 사용이 가능하게 만들므로 상술한 바와 같은 포장재료는 제자리에 유지될 수 있으며 포장재료 또는 가방의 상부부분은 개방 또는 제거되어 꼬리부(45)의 상부끝단 및 상부로부터 사용이 가능하다.
나타낸 바와 같이, 꼬리부(45)들은 포장의 끝단(18)에 배열된다. 이것은 이론적으로 가능하지만 꼬리부분중의 선택적인 하나가 대향끝단(18) 및 (19)에 배열되므로 예를 들어 적층체(21) 및 (23)의 고리부분들이 끝단(19)에 배열된다는 점에서 실제적으로는 바람직하지 않다.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반송전에, 꼬리부(45)들은 이어붙이기(46)에 의하여 상부 부분(44)에 이어붙여진다. 이어붙이기가 고속의 동작을 필요로하지 않고서도 가능하므로, 현재의 생산라인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보다 더 많은 시간이 걸리는 스티칭(stitching), 테이핑 및 열밀봉을 포함하는 효과적인 이어붙이기 시스템이 사용될 수 있다. 이어붙이기들은 겹쳐잇기로 나타내었으나, 실제적으로는, 중첩부를 없애기 위하여 맞대어있기로 될 수 있다.
이어붙이기는 각 띠의 표면A 이 다음 인접한 적층체의 띠의 표면A 에 부착되도록 시행되고, 유사하게 표면 B 가 마찬가지로 접속된다. 몇몇 경우에는, 이와 같은 것이 필수적인데, 띠가 상이한 표면 특성을 가지기 때문이다. 어떤 경우에는, 이러한 것이 띠의 처리에 필수적이 아닐 수도 있으나, 일반적으로 띠가 일관적인 방식으로 꼬임이 발생되지 않도록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띠를 풀어내면서 꼬이지 않고 있도록 유지하려면, 풀어내기 반송이 적층(20)으로부터 적층(21)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때에 생기는 꼬임과 만나는 방향으로 꼬리부분(45)을 꼴 필요가 있다. 조심스러운 띠의 분석 및 풀어내기 과정은 하나의 적층체로부터 다음의 적층체로 반송할 때 1번의 꼬임이 발생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이어붙이기(46)를 하기 전에 고리부분에 1회의 꼬임(47)에 의하여 꼬임의 횟수를 계수해놓을 필요가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꼬임은 첫 번째 띠 부분(50)에서의 제 1 의 접는 선 (48) 및 띠부분(51)에서 제 2 의 접는 선(49)에 가해진다. 제 1 의 접는 선(48) 및 띠부분(50)은 적층체(20)와 정렬되며 접는 선(48)은 수평으로 45°의 각도로 정렬된다. 이는 접는 선(48)으로부터 접는 선(49)로 연장되는 띠의 수평부(52)를 형성하며, 따라서 꼬리부(45) 및 띠 부분(50) 및 (51)의 통상적인 수직방향에 대하여 직각 및 수평으로 된다. 제 1 의 접는 선(48)은 수평부(52)가 꼬리부(45)의 수직부(50)의 바깥쪽에 놓이도록 한다.제 2 의 접는 선(49)은 꼬리부(45)의 수직부(51)가 수평부(52)의 내부에 있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은, 수평부(52)의 길이를 최소화 하면서 한번 꼬일 수 있도록 하며, 미적으로 끌리고 잘못하면 꼬일수 있는 꼬리부(45)의 이용가능한 늘어진 부분을 제한하는 구성을 제공한다.
꼬리부(45)의 수직부(51)는 적층체(21)를 수직으로 이어붙이는 곳(46)까지 연장되고, 여기서부터 띠 부분(44)은 적층체(21)의 측면으로 연장되고 적층체(21)의 상부로 연장된다.
수평부(52)는 바람직하게는 적층체(20)의 바닥이나 바로 근방에 배치되며, 따라서 적층체(20)가 거두어들여짐에 따라 거의 모든 꼬리부(45)가 적층체(21)에 의하여 지지된다. 따라서 꼬리부(45)가 거두어질 때 및 꼬리(45)를 통하여 바닥부 (29)로부터 적층체(21)의 상부(44)까지 반송되기 전에 적층체(20)로부터의 띠와 엉킬 가능성이 거의 없다.
도 3, 4 및 5는 도 2에서 나타낸 것과 동일한 포장을 나타낸다. 도 3에서 부분적으로 이어진 상태에 있음을 나타내고, 따라서 꼬리부(45)의 일부가 다음 적층체의 관련부분(44)에 접속된다. 도 3 에 있어서, 도 2에서 나타낸 것과 동일한 위치관계로 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따라서 압축판 D1 및 D2 는 수직으로 작동한다. 도 4 및 도 5 에 있어서, 동일한 포장이 끼우는 판 D1 및 D2 내에서 회전하며, 따라서 판들은 수직이며 끝단(18)은 상부로 이동한다. 이러한 것은 꼬리(44) 및 (45)를 수평배향으로 하여 이어붙이기 및 꼬임을 용이하게 하는데, 이는 고리가 수평끝단(18)에 의하여 제자리에 지지되기 때문이다.
도 4 에 있어서, 포장은 압축전의 상태에 있지만 가방(40)은 개방되어 꼬이고 이어붙여진 상태후에 있다. 도 5에서 포장은 압축된 상태이며 가방(40)에 의하여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끝단(14) 및 (15)사이의 포장의 높이는 통상의 높이에서 압축된 높이로 도시된 바와 같이 감소되며, 이는 재료의 압축도에 따라 가변되는 통상의 높이의 비율이다.
높이에 있어서의 이러한 감소는 압축부분내에 수용되어야 하는 접속부(44), (45)의 자유부(54)를 남겨놓는다. 이는 도 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횡절선 (53) 및 제 2 횡절선(53A)에서 접속부(44),(45)를 조심스럽게 접음으로써 달성되며, 이들 양자는 길이에 대하여 직각이며, 자유부(54)의 길이의 반을 점하고 있다.
압축은 포장의 높이에 있어서의 요구되는 감소가 있을 때까지 끼움판 D1 및 D2 에 의하여 D 방향으로 기계적으로 수행된다. 이러한 압축동안에 접속부(44), (45)는 느슨해지고 잉여길이부(54)가 형성된다. 접는 동작은 조심스럽게 수작업으로 행해지므로,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은 접힌부들은 각 띠부분(44)과 함께 각 적층체상에 놓여진다. 압축이 완료되고 접는 동작이 수행되었을 때, 가방의 상부 모서리를 밀봉하고 가방의 내부공기를 빼내는 통상적으로 사용가능한 진공밀봉시스템을 사용하여 가방이 밀폐 및 밀봉된다. 또한, 가방이 밀봉되지 않았을 때 기계적인 압축을 보조하도록 진공배출이 이용될 수 있으며, 따라서 가방은 조심스러운 접는 종작을 수행하도록 개방될 수 있으며 접는 동작이 완료된 후에 밀봉된다. 그러나, 진공추출시에 꼬리(45)의 주름이 회피되어야 한다.
스페이서부재(58)는 접속부(44),(45)와 접는 선(25)을 포함하는 끝단(18)의 사이에 위치된다. 심하게 압축되고 있을 때에도, 접는 선은 실제적인 접는 선에 의하여 규정되는 일련의 횡단 홈 및 늑재(肋材)와 불균일면을 형성함을 알 수 있다. 접속부(44),(45)들은 평평하고 주름이 없게 만들어지는 것이 중요하며, 이들 접속부가 가방으로부터 끝단(18)으로 진공압축(즉, 가방외부로부터의 기압) 된다면, 주름이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스페이서 부재(58)는 예를 들면 폐쇄된 셀 폼(cell foam)으로, 하부상에 압축가능한 필러(filler) 재료(61)에 부착되는 평평한 외부면(60)을 규정하는 비교적 단단하고 평평한 재료로 형성된 강성 시이트(5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강성 시이트는 실질적으로 평평하게 유지되도록 충분한 강성을 가지는 카드보드 또는 그와 유사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접속부로 향하여 있는 평평한 면 (60)을 규정한다. 압축가능한 재료 또는 폼(foam)은 접는 선의 사이의 홈을 채우고 접는 선에서 압축하도록 배치되므로, 강성 시이트는 평평하게 유지되고 홈내로 압축되지 않는다.
스페이서 부재는, 꼬리부(44) 및 (45)의 주름을 방지하도록 사용되는 도 1에서 나타낸 구성으로 압축 및 감싼 후에 포장이 반송되는 상술한 상태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도 6 에는, 압축시에 접속부를 접을 필요성이 없는 접속부용 선택예를 나타낸다. 꼬리부(45)로부터 꼬리부(44)로 연장되는 접속부는 상술한 바와 같이 비틀려서 비틀림부(47)를 형성하고, 맞대어져서 이어붙임부(46)를 형성한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접속부가 도 2 의 접는 부(54)에 대응하는 접는부 없이 포장의 끝단(18)을 가로질러 팽팽해지도록 이어붙이기가 수행된다. 따라서, 도 6에서는, 포장은 가방이 밀봉 및 진공하에 있는 압축된 상태를 나타낸다.
포장은 바닥 끝단(15)이 수평지지구에 기대어 있고 상부끝단(14)이 위쪽을 보는 상태로 있다. 이러한 위치관계에서 가방은 진공을 해제하고 포장이 그의 통상상태로 되돌아오도록 팽창될 수 있다. 이러한 팽창시에, 접속부는 통상상태에서의 높이에 이르기에는 불충분한 길이를 가지며, 따라서 연장된 접속부를 형성하는데 필요한 잉여길이는 화살표 30A 및 30B 로 나타낸 바와 같은 상부 띠부분(30)으로부터 잡아당김으로써 얻어진다.
상부 끝단 띠부분(30)이 상부끝단(14)을 가로질러 자유롭게 미끄러지는 것이 확실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 상부의 2개의 띠부분 및 제 3 의 띠부분(30D)의 사이에 위치한 슬립 시이트(30C)가 마련된다. 따라서, 포장의 끝단(19)에서 접는 선(26)은 화살표 30B 의 방향으로 잡아당겨지고 다음의 띠부분(30D)와 함께 당겨지는 경향이 없이 띠부분(30D) 및 다음의 인접한 접는선으로부터 멀리 당겨질 수 있다. 슬립 시이트는 어떠한 적절한 유연성의 저마찰 플라스틱 시이트 또는 유사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슬립 시이트는 끝단들과 측부사이의 전체 영역을 덮으며, 따라서 포장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2개의 띠부분을 분리한다.
도 7 에 있어서는, 접속부(44),(45)에서의 비틀림, 이어붙이기 및 접음동작을 수행하는 선택적인 구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포장은 상부(14 )가 가장 위쪽에 있도록 최초의 위치에 남아있게 된다. 이러한 위치관계에서는, 압축의 전에, 꼬리(44) 및 (45)에 의하여 규정된 접속부가 상술한 바와 같이 비틀려져서 비틀림부(62)를 형성하고, 상술한 바와 같이 이어붙임부(63)를 형성하도록 이어붙여지지만, 비틀림 및 이어붙임부가 상부끝단(14)상에 위치하고 있는 점이 다르다. 이러한 것들은, 포장의 수평 상부면상에서 이루어지므로, 상부끝단(14)으로부터의 지지에 기인한 어려움이 없이 수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어붙이기는 각 적층체의 끝단을 따라 포장의 바닥으로부터 꼬리(45)의 높이가 압축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포장의 높이와 동일하게 되도록 수행된다.
포장의 끝단(18)을 마주보는 개방된 상부를 가지는 가방에서의 포장구조에 있어서는, 압축이 끼움판(D1) 및 (D2)을 사용하여 도 3에서 나타내 바와 같이 수행된다. 포장의 측면이 압축에 의하여 측면으로 삐져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압축동작시에 한쌍의 측면판(64) 및 (65)이 포장의 측부를 지지한다. 물론 가방은 끼움판(D2)의 상부와 끼움판(D1)의 하부에서 판(64) 및 (65)의 내부에 위치된다.
포장이 압축되면, 꼬리부의 길이는 포장의 압축된 높이보다 길어지게 되므로, 도 7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조심스럽게 접혀딘 잉여부가 형성된다. 압축된 높이가 통상의 높이의 절반이 안되는 상황에서는, 접는 선(67),(68),(69) 및 (70)을 포함하는 접음부(66)를 규정하도록 다중의 접는 구성이 사용될 수 있다. 스페이서 판(68)은 포장의 끝단(18)과 꼬리(45) 및 접음부(66)의 사이에 위치된다.
도 8 은 접속부에서 필요한 이어붙임부, 비틀림부 및 접힘부를 수용하기 위한 다른 선택적인 기술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에 있어서, 이어붙임부는 도 7 에서의 구성과 유사하게 상부끝단(14)의 상부에 위치된다. 그러나, 비틀림 및 접힘부는 포장의 끝단(18)상에 위치되고 하나의 요소에 결합된다. 따라서, 접힘부와 동일한 위치에서 요구되는 단일한 비틀림부(74)를 만들기 위하여 그의 길이 주위에서 띠를 자동적으로 비트는 방향에 있는 제 2 의 접는 선(73) 및 제 1 의 상부 접는 선(72)이 있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함에 있어, 접힘부는 도 2 내에서의 접힘부가 연장된 것에 해당된다. 이와 같이 접혀진 부분은 외관이 깨끗하고 띠의 주름을 감소시키는데, 그 이유는 접는 선(72)) 및 (73)이 접힘부(74)의 길이에 의해서 떨어져 있고 띠의 길이에 가로질러 밀접하게 위치하기 때문이다.
도 9 및 도 10은, 도 2 내지 도 8에서 나타내고 상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포장을 펴기 위한 기술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8 에는 특별히 도시된 포장이 나타내어져 있으나, 비틀림부 및 이어붙임부의 위치는 펴는 동작에 거의 또는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따라서 도 2 내지 도 7 에 나타낸 포장은 동일하게 작용한다.
따라서, 도 9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포장이 압축으로부터 해제될 때, 길이방향을 따른 어떤 위치에 비틀림부(74)와 함께 접속부가 느슨하게 늘어지며, 이는 하나의 적층체로부터 다음 적층체로의 푸는 동작의 이어짐이 효과적이도록 한다. 가방(40)이 절개되고, 상부(43) 및 측부(42)들이 제거되어 바닥부(41)와, 표면(82) 위쪽으로 걸쳐진 측부의 일부만이 남게 된다. 스페이서(58)는 제거된다.
포장은 푸는 동작을 위하여 해제 스탠드(80)상에 놓인다. 이는, 상부로부터 아래쪽으로 푸는 방식으로 적층체(20) 내지 (23)가 직립하는 일반적으로 수평적인 주된 지지면(81)을 제공한다.
부가적으로, 스탠드(80)는 면(81)에 직각인 측부 지지면(82)을 포함한다. 그리고 스탠드는 포장을 한쪽으로 기울이기에 충분한 10 내지 20 도 정도의 각도로 기울어지며, 따라서 적층체(23)는 면(82)에 기대어지고, 남아있는 적층체의 각각은 다음의 인접한 적층체상에 기대어진다.
그 각도는 표면(8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적층제가 다른 적층체에 대해서 쓰러지거나 또는 조여지는 것을 방지하기에 충분한 각도이다.
포장이 약간 확장되고 제 1 적층체(20)상에서 당기어지는 경향은 다른 적층체들이 안정되게 유지되는 반면 제 1 적층체(20)는 쓰러지려는 경향이 크게 함을 알 수 있다. 이 각도는 따라서 첫 번째 적층체가 쓰러질 가능성을 방지하고, 각 후속의 적층체가 제 1 의 적층체로 되고 다른 적층체가 풀어지지않았을 때 쓰러지는 가능성을 방지할 수 있도록 선택된다. 제 1 이 적층체(20)는 따라서 상부로부터 아래쪽으로 풀어질 수 있도록 하고, 차례로 각 적층체가 뒤따르게 된다. 이러한 구성은 포장 측부에 대하여 다른 지지체를 필요로 하지 않고, 포장이 풀어낼 때 제 위치에 안정되게 있도록 하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하나의 적층체로부터 다른 적층제를 풀어낼 때, 약한 재료를 찢을 수 있는 다른 지지체 또는 포장재료의 띠와 마찰접촉하지 않고서도 가능하게 된다.
띠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연속된 일련의 시이트 재료로 띠를 자르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포장 시스템에서 적층체를 푸는 동안에, 접는 선들이 시이트 요소의 효과를 방해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등록시에 접는 선과 함께 띠의 위에 기계적으로 판독가능한 표시(90)를 하기 위하여 포장시스템에 인접하여 표시기(도시않됨)가 위치된다. 표시는, 가능하게는 점 또는 사각형의 형태로 되어 있는 잉크젯트 표시를 포함하며, 육안이나 절단기계 또는 어떤 경우에는 바로 기계에 의하여 판독될 수 있는 것이다. 표시는 접는선을 직접 또는 근방을 절단하도록 배치되는 절단 날(92)에 대한 기계 판독기(91)의 위치에 따라서 접는 선에 직접 위치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표시가 접는 선 또는 의도된 절단선의 앞에 위치한다. 표시는 띠의 폭의 짧은 부분만을 가로질러 연장될 수 있다. 각 접는 선에 대하여 표시가 등록되면, 각 표시는 어느 정도의 간격을 두고 관련된 접는 선으로부터 약간 벗어나 있을 수 있다. 잉크젯트 표시에 의하여 접는 선만이 표시되는 구성에서는, 각 띠부분상에 하나의 표시만이 있게 된다. 접는 선에 절단선을 유지하기 위하여는 각 띠부분상의 시이트 요소의 수효가 정확히 전체 수일 필요가 있다. 많은 경우에, 요소 및 띠의 상대적인 길이는 전체 수가 하나보다는 크게 되어 있다. 각 의도된 절단선들은 따라서 표시가 가능하거나 또는 접는 선만이 표시될 수 있다. 절단선들은 시이트 요소의 성능과 타협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시이트 요소의 끝단에 충분히 밀접하게 배치된다.
도 11 에서는, 상술한 바와 동일한 적층체로부터 형성된 포장은, 적층체들이 상부로부터 아랫방향으로 풀어질 수 있도록 다른 적층체의 상부에 수평하게 위치된 것이 나타내어져 있다. 이는, 상술한 것과 동일한 이어붙이기, 비틀림, 해체구성과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포장이 이러한 방식으로 위치설정되면 보다 간단한 이어붙이기 기술이 이용가능하다. 따라서, 감싸지고, 압축 및 밀봉되었을 때, 포장구조는 적층체(20) 내지 (23)가 수평으로 되도록 위치설정된다. 이러한 위치관계에 있어서, 하나의 포장으로부터 다른 포장으로 가해지는 수직방향의 부하는 띠를 왜곡시키거나 또는 손상을 주지않고서 아래쪽으로 팰릿(pallet)으로 포장구조를 통하여 반송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는, 띠가 적층체로 압축되었을 때, 그의 폭을 가로질러서는 비교적 단단하다는 사실에서 기인한 것이며, 띠들은 함께 실질적으로 강고한 구조를 형성한다.
도 1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 적층체(20)는 포장(10)의 끝단(14)에서 그 적층체의 끌리는 끝단부(94)를 향하여 앞쪽 끝단부(12)로부터 부분적으로 해체된다. 다음의 적층체(21)는 끌리는 끝단(94)와 동일한 끝단(14)에서 그의 앞쪽 끝단부(95)를 가지며, 적층체(21)의 앞 끝단(95)로의 이어붙임부(97)를 포함하는 접속부(96)에 의하여 접속된다. 접속부(96)는 끝단(14)와 동일한 면상에 놓여 있으며, 통상 적층체(20)와 (21)의 사이에 대각선으로 연장된다.
대칭적인 방식에 있어서, 적층체(21)의 끌리는 끝단(도시 않됨)은 이어붙임부를 포함하여 접속부(도시않됨)에 의하여 적층체(22)의 앞 끝단에 접속된다. 적층체(21)의 끌리는 끝단, 적층체(22)의 접속부 및 앞 끝단은 전부 끝단(15)와 같은 평면에서 포장의 끝단(15)에 배치된다.
끝단(14)에서의 다른 접속부(98) 및 이어붙임부(99)는 적층체(22)의 끌리는 끝단(100) 및 적층체(23)의 앞 끝단(101)을 접속한다.
접속부(96),(98) 및 부가적인 적층체용으로 필요한 다른 접속부들은 끝단 (14)에 배치된다. 접속부들은 띠의 끝단부들과 같은 평면에 있게 되며,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꾸며지고 싸여졌을 때 포장의 측부에 대하여 평평하게 놓여진다.
포장을 해제하기 위하여 사용된 포장의 위치관계는 도 11 에 나타낸 바와 같다. 가방은 끝단 띠부분 및 접속부를 그의 위치에서 유지하도록 놓이지만, 상부 (43)는 작은 개구의 절개 또는 제거에 의하여 개방되며, 띠의 앞 끝단(12)을 찾아내고 그 개구로 잡아당겨진다. 따라서, 이러한 위치관계로 포장을 위치시킴으로써, 각 적층체는 적층체가 쓰러지는 위험없이 순서대로 풀어질 수 있는데, 적층체는 하부 적층체에 의하여 측부가 지지되어 놓여지기 때문이다.
도시한 이어붙임 기술은, 띠들이 도 1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해체될 때, 풀어내기 동작이 하나의 적층체로부터 다른 적층체로 옮겨감에 따라 띠에 어떠한 비틀림도 가해지지 않도록 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적층체(20)의 띠의 측면 A 이 적층체(21)의 띠의 측면 A (또한, 측면 B 가 접속됨)에 접촉되는 것을 확실히 하기 위하여, 적층체(21)내에서 띠를 뒤집을 필요가 있다. 대칭적으로, 적층체(22)는 적층체(20)와 동일한 위치관계를 가지며, 적층체(23)는 적층체(21)과 같이 뒤집어진다. 이러한 뒤집기는 중간 적층체를 물리적으로 들어올리고 적층체에 대하여 직각으로 축 주위로 180도 회전시킴으로써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동시에 나란히 접기 위한 접는 시스템으로 공급되면서 180도 띠를 비틂으로서도 동일한 효과가 달성된다. 이러한 비틀림은 적층체(20) 및 (22)의 끝단(18)에서의 접는선 내에 외부에서 측면 A을 놓고, 적층체(21) 및 (23)에 대하여는 동일한 끝단에서 접는선을 외부로부터 측면 B를 놓는 효과를 가진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접기 및 압축기술의 선택적인 구성이 단일한 띠의 적층체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그러한 띠는 비교적 넓은, 예를 들면 앞뒤로 접혀진 직물 또는 카페트로 될 수 있으며, 가방안에 포장되고, 외부의 기압에 의하여 진공가방으로서 압축 및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압축은 적층체의 높이를 어느 정도 감소하여, 구조가 단단해지고 자유롭게 서있게 만들며, 따라서 띠를 보호하고, 용이한 취급이 가능해지도록 한다.
가방에 구멍이 나거나 진공을 해제하는등의 이유로 반송, 저장 또는 취급시의 어떤 기회에 포장의 의도하지 않은 팽창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방은 압축된 상태에서의 포장을 유지하는 수축 랩(wrap)재료 등으로 감싸여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도시않됨)에 있어서, 포장은 차례로 각 적층체를 띠의 단일한 끝단으로부터 구축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띠는 이어붙이기를 할 필요가 없이 각 적층체로부터 다음 적층체로 연속적으로 된다. 이러한 기술은 적층체의 구축이 비교적 느리며, 띠가 갈라지는 직물의 전체폭을 집어올리기 위하여 다수개의 감기 스테이션을 필요로 한다는 단점이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도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은 포장이 압축되고 사용장소로 운송될 때 포장은 상부 및 바닥끝단부분이 접속되지 않은 채로 남아 있게 된다. 사용장소에서는, 포장으로부터 연속적인 띠를 공급하기 위하여 한 적측체의 띠를 다른 인접한 적층체의 띠에 접속하는 대신에, 각 적층체는 다음의 인접한 포장의 대응 적층체로 연결된다. 따라서 각 적층체는 사용기계로 별개의 띠로 공급되고, 각 적층체의 띠는 사용장소에서 이어붙임에 의하여 별도의 띠의 연속적인 공급을 위한 다른 포장의 적층체에 연결된다. 그러나 적층체들은 포장내에서 나란히 위치되며, 바닥 띠부분들은 연결을 위하여 도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은 꼬리부들로 노출된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지만 도 5 및 도 5에서 나타낸 구조에 유사한 다른 구성에 있어서는, 교호하는 꼬리부(45)가 포장구조의 대향하는 끝단에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는, 연결부에서의 비틀림을 생략하고 꼬리부를 다음 층의 상부에 직접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꼬리부가 꼬임이 없이 연결될 때는, 하나의 층으로부터 다음 층으로의 해체에 의하여 자동적인 비틀림 효과가 발생되어 띠가 360도 비틀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비틀림은 다음의 반송위치에서 반대방향으로의 비틀림에 의하여 없어진다.

Claims (52)

  1. 띠의 접혀진 각 부분이 그 띠를 가로지르는 선의 주위로 다음 부분에 대하여 접혀지고, 접혀딘 띠 부분의 측부 모서리가 정렬되도록 앞뒤로 접혀지는 띠를 각각 포함하는 다수개의 적층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그 띠들은 각 적층체를 통하여, 적층체의 한쪽 끝단에서 띠의 상부 끝단부분으로부터 적층체의 반대쪽 끝단의 띠의 바닥부분에 이르기까지 연속적으로 된 띠형상 재료의 포장에 있어서,
    적층체들은 하나의 공통포장으로서 함께 반송되도록 나란히 평행하게 배열되고;
    각 적층체의 띠의 상부 및 바닥 끝단부들은 연결부로서 제공되도록 포장내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띠형상 재료의 포장.
  2.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의 끝단 적층체의 띠의 한쪽 끝단부는 최종 사용기계로의 공급을 위하여 포장의 1 제 끝단을 형성하도록 배치되고, 제 2 의 끝단 적층체의 띠의 한쪽 끝단 부분은 다음 포장으로의 접속을 위하여 포장의 제 2 끝단을 형성하도록 배치되며, 각 적층체의 띠의 한쪽 끝단 부분은 다음의 인접한 적층체의 띠의 한쪽 끝단으로의 접속을 위한 접속부를 형성하도록 배치됨으로써, 그 띠가 상기 제 1 의 끝단 적층체의 상기 한쪽 끝단 부분으로부터 상기 제 2 의 끝단 적층체의 상기 한쪽 끝단부분으로 포장전체를 통하여 연속적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각 적층체의 띠는 각각의 접는 선에 걸쳐서 절취선을 가지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4. 상기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적층체의 바닥끝단부는 띠의 연속적인 공급을 위하여 한 띠의 끝단에 이어붙임에 의한 접속이 가능하도록 하는 자유로운 비접속된 꼬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5.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적층체의 한쪽 끝단부는 다음의 인접한 적층체의 한쪽 끝단부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끝단부는 이어붙임에 의하여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7. 제 6 항에 있어서, 적층체의 상부 끝단부는, 적층체들의 상부를 가로질러 연장되고 동일 평면상에 있는 제 1 의 접속부를 형성하도록 포장의 상부에서 다음의 인접한 적층체의 상부 끝단부에 접속되고, 각 적층체의 바닥 끝단부는 적층체들의 바닥을 가로질러 연장되고 동일 평면상에 있는 제 2 의 접속부를 형성하도록 다음의 인접한 제 2 의 적층체의 바닥 띠부분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8. 제 7 항에 있어서, 포장은 적층체들이 수평이고 상부 적층체로부터의 부하가 띠의 모서리를 통하여 하부의 적층체로 전달되도록 위치가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다음의 인접한 적층체는 상기 적층체에 대하여 뒤집혀 있어서, 그의 내부의 띠의 위치관계가 뒤집혀지고, 그에 의하여 제 1 의 접속부가 적층체의 사이를 접속하고, 하나의 적층체의 띠의 제 1 표면은 다음의 인접한 적층체의 띠의 제 1 의 표면에 접속되며, 하나의 적층체의 띠의 제 2 의 표면은 다음의 인접한 적층체의 띠의 제 2 의 표면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10. 제 6 항에 있어서, 적층체들은 바닥 및 상부로 직립하여 있으며, 2개의 측부는 적층체의 접는 선을 포함하는 2개의 끝단 및 적층체의 띠의 모서리들과 평행하며, 포장의 한쪽 끝단을 따라서 상부로 연장되는 접속부를 형성하도록 하나의 적층체의 바닥 끝단부가 다음의 인접한 적층체의 상부 끝단부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11. 제 10 항에 있어서, 접속부 전부는 포장의 한쪽 끝단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접속부 및 상부 끝단부에 의하여 규정되는 띠의 부분이 띠의 내에서 360 도 비틀려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13. 제 10 항,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포장은 아래쪽으로 압축되어 적층체의 높이가 통상의 높이로부터 압축된 높이로 감소되며; 각 접속부는 그 감소된 높이와 동일한 길이를 가짐으로써 통상의 높이보다는 적으며; 포장이 통상의 높이로 늘어났을 때, 각 접속부의 길이를 통상의 높이로 증가시키는데 필요한 길이가 적층체의 상부 2개의 띠 부분으로부터 인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14. 제 13 항에 있어서, 포장이 늘어남에 따라 포장의 통상의 상태에 대한 상부의 2개의 띠부분의 상대적인 미끄럼 운동이 가능하도록 상부로부터 제 2 의 띠부분의 밑에 미끄럼 시이트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15. 제 10 항,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포장은 아래쪽으로 압축되어 적층체의 높이가 통상의 높이로부터 압축된 높이로 감소되며; 접속부는 통상의 높이와 적어도 동일한 길이를 가지며; 접속부 및 상부끝단부에 의하여 규정되는 띠의 부분은 그의 길이를 가로지르는 접는선의 주위에서 접혀지며, 접속부의 길이와 압축된 높이사이의 차를 잡아올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16. 제 10 항 내지 제 15 항중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포장의 끝단에서의 접는 선과 접속부의 사이에는 스페이서 부재가 마련되며, 스페이스 부재는 포장의 끝단의 외부를 마주보는 평평한 면을 가져서, 포장이 압축되었을 때 접속부가 평평하게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17. 제 16 항에 있어서, 스페이서 부재는 그의 측면상에 상기 평평한 면을 규정하는 뻣뻣한 시이트 및, 접는선 사이의 홈을 채우기 위하여 포장의 끝단과 마주 대하는 측면에 압축가능한 충전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18. 상기 항중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포장은 유연성의 포장재료에 의하여 감싸여 있으며, 적층체가 그 포장재료의 압력에 의하여 나란히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19. 제 18 항에 있어서, 유연성의 포장재료는 공기가 빠지고 공기구멍이 밀봉된 가방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적층체들이 띠의 부분의 표면에 대하여 직각인 방향으로 압축된 조건으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20. 제 18 항 또는 제 19 항에 있어서, 포장은 적층체의 높이를 현저하게 감소하고 단단하게 자유로이 서있는 포장구조를 형성하기에 충분한 양만큼 적층체의 띠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유연성의 포장재료로 압축되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21. 상기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접는 선중의 하나의 길이방향의 위치를 인식하도록 배치되고 띠위에서 길이방향으로 위치하는 기계적으로 판독가능한 일련의 표시가 각 적층체의 띠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22. 적층체의 각 접혀진 부분이 띠를 가로지르는 선의 주위로 다음 부분에 대하여 접혀지고 띠 부분의 측부 모서리가 정렬되도록 앞뒤로 접혀진 띠를 각각 포함하는 다수개의 적층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띠들은 각 적층체를 통하여 적층체의 상부 끝단부로부터 적층체의 바닥 끝단을 통하여 연속적인 띠형상 재료의 포장을 형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적층체들을 나란히 평행하게 배열하고;
    포장을 적층체와 함께 평행하게 나란히 반송하며;
    적층체으로부터 띠를 연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하여, 각 적층체의 상부 끝단부를 띠에 접속하고 각 적층체의 바닥 끝단부를 다른 띠에 접속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띠형상 재료의 공급방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최종 사용기계로의 연속적인 공급을 위하여 포장의 제 1 의 끝단을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제 1 끝단 적층체의 띠의 한쪽 끝단부와, 다른 포장으로의 접속을 위한 포장의 제 2 끝단을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제 2 의 끝단 적층체의 띠의 한쪽 끝단부를 마련하는 단계와; 각 적층체의 띠의 한쪽 끝단부로부터 다음의 인접한 적층체의 띠의 한쪽 끝단부로의 접속을 제공함으로써 띠가 상기 제 1 끝단 적층체의 상기 한쪽 끝단부로부터 상기 제 2 끝단 적층체의 상기 한쪽 끝단부에 이르기까지 포장전체를 통하여 연속적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4. 제 23 항에 있어서, 연속부는 이어붙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5. 제 22 항 또는 제 23 항에 있어서, 반송시에, 각 적층체의 상기 바닥 끝단부는 자유로운 꼬리부를 포함하고 있어서, 적층체를 풀어헤치기 전에 띠의 연속적인 공급을 위한 띠의 끝단부에 이어붙임부에 의하여 용이하게 접속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6. 제 24 항에 있어서, 적층체의 상부에 있는 맨 위의 띠부분이 적층체의 상부를 가로질러 연장하고 동일평면에 있는 제 1 접속부에 의하여 포장의 상부에서 다음의 인접한 적층체의 가장 위쪽의 띠부분에 접속되며, 적층체의 바닥에 있는 가장 아래쪽의 띠부분은 적층체의 바닥을 가로질러 연장되고 동일평면에 있는 제 2 의 접속부에 의하여 다음의 인접한 적층체의 최하위의 띠부분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7. 제 26 항에 있어서, 포장은 적층체들이 수평으로 되고 상부 적층으로부터의 부하가 띠의 모서리를 통하여 하부 적층체로 전달되도록 위치관계가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8. 제 26 항 또는 제 27 항에 있어서, 다음의 인접한 적층체는 상기 적층체에 대하여 뒤집혀 있어서, 그의 내부의 띠의 위치관계가 뒤집혀지고, 그에 의하여 제 1 의 접속부가 적층체의 사이를 접속하고, 하나의 적층체의 띠의 제 1 표면은 다음의 인접한 적층체의 띠의 제 1 의 표면에 접속되며, 하나의 적층체의 띠의 제 2 의 표면은 다음의 인접한 적층체의 띠의 제 2 의 표면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9. 제 28 항에 있어서, 다음의 인접한 적층체는 풀어헤치기 전에 띠를 비틂으로써 반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0. 제 24 항에 있어서, 적층체들은 바닥 및 상부로 직립하여 있으며, 2개의 측부는 적층체의 접는 선을 포함하는 2개의 끝단 및 적층체의 띠의 모서리들과 평행하며, 포장의 한쪽 끝단을 따라서 상부로 연장되는 접속부를 형성하도록 하나의 적층체의 바닥 끝단부가 다음의 인접한 적층체의 상부 끝단부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1. 제 30 항에 있어서, 모든 접속부들은 포장의 한쪽 끝단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2. 제 30 항 또는 제 31 항에 있어서, 접속부 및 상부 끝단부에 의하여 규정되는 띠의 부분이 띠의 내에서 360 도 비틀려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3. 제 30 항, 제 31 항 또는 제 32 항에 있어서, 포장은 아래쪽으로 압축되어 적층체의 높이가 통상의 높이로부터 압축된 높이로 감소되며; 각 접속부는 그 감소된 높이와 동일한 길이를 가짐으로써 통상의 높이보다는 적으며; 포장이 통상의 높이로 늘어났을 때, 각 접속부의 길이를 통상의 높이로 증가시키는데 필요한 길이가 적층체의 상부 2개의 띠 부분으로부터 인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4. 제 33 항에 있어서, 포장이 늘어남에 따라 포장의 통상의 상태에 대한 상부의 2개의 띠부분의 상대적인 미끄럼 운동이 가능하도록 상부로부터 제 2 의 띠부분의 밑에 미끄럼 시이트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5. 제 30 항, 제 31 항 또는 제 32 항에 있어서, 포장은 아래쪽으로 압축되어 적층체의 높이가 통상의 높이로부터 압축된 높이로 감소되며; 접속부는 통상의 높이와 적어도 동일한 길이를 가지며; 접속부 및 상부끝단부에 의하여 규정되는 띠의 부분은 그의 길이를 가로지르는 접는선의 주위에서 접혀지며, 접속부의 길이와 압축된 높이사이의 차를 잡아올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6. 제 30 항 내지 제 35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포장의 끝단에서의 접는 선과 접속부의 사이에는 스페이서 부재가 마련되며, 스페이스 부재는 포장의 끝단의 외부를 마주보는 평평한 면을 가져서, 포장이 압축되었을 때 접속부가 평평하게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7. 제 36 항에 있어서, 스페이서 부재는 그의 측면상에 상기 평평한 면을 규정하는 뻣뻣한 시이트 및, 접는선 사이의 홈을 채우기 위하여 포장의 끝단과 마주 대하는 측면에 압축가능한 충전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8. 제 22 항 내지 제 37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포장은 유연성의 포장재료에 의하여 감싸여 있으며, 적층체가 그 포장재료의 압력에 의하여 나란히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9. 제 38 항에 있어서, 유연성의 포장재료는 공기가 빠지고 공기구멍이 밀봉된 가방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적층체들이 띠의 부분의 표면에 대하여 직각인 방향으로 압축된 조건으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0. 제 38 항 또는 제 39 항에 있어서, 포장은 적층체의 높이를 현저하게 감소하고 단단하게 자유로이 서있는 포장구조를 형성하기에 충분한 양만큼 적층체의 띠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유연성의 포장재료로 압축되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1. 제 30 항 내지 제 40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한쪽 끝단 적층체가 위쪽으로 경사진 측면을 규정하고 제 2 끝단 적층체가 아래쪽으로 경사진 측면을 규정하도록 수직방향에 대한 각도를 가지고 적층체를 경사지게 하는 단계와; 제 2 의 끝단 적층체가 경사진 지지면에 의하여 지지되고 기대어지며 각 적층체는 다음의 인접한 적층체에 의하여 지지 및 기대어지도록 제 2 의 끝단 적층체의 측면에 맞닿는 경사진 지지면을 마련하는 단계와; 제 1 끝단 적층체로부터 제 2 끝단 적층체까지의 각 적층체가 차례로 해체되고 회수되도록 상기 제 1 끝단 적층체를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2. 제 22 항 내지 제 41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층체들은 다수개의 나란한 띠를 동시에 접음으로써 형성되는 방법.
  43. 제 22 항 내지 제 43 항중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각 접는 선중의 하나의 길이방향 위치를 식별하기 위하여 배치되는 띠상의 길이방향으로 위치하는 일련의 기계적으로 판독가능한 표시를 각 적층체의 띠에 적용하는 단계와; 기계적으로 판독가능한 표시의 위치를 찾기 위하여 띠를 스캐닝하는 단계 및; 기계적으로 판독가능한 표시를 사용하여 접는 선을 가로지르거나 또는 접는선에 인접한 절단선을 위치시키도록 띠를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방법.
  44. 제 22 항 내지 제 42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띠를 독립적인 시이트 요소로 분할하기 위하여 띠를 다수개의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둔 가로방향 절단선에서 절단할 수 있도록 끝단을 따라 배치된 다수개의 시이트 요소를 형성하도록 띠를 배치하는 단계와; 각 시이트 요소의 중앙영역이 접는 선으로부터 자유롭게 되도록 각 접혀진 띠부분의 인접한 각 접는 선 또는 각 접혀진 띠부분의 2개의 절단선이 위치되도록 띠를 가로지르는 절단선에 의하여, 띠의 각 접혀진 띠부분을 시이트 요소의 전체 개수로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방법.
  45. 적층체의 각 접혀진 부분이 띠를 가로지르는 선의 주위로 다음 부분에 대하여 접혀지고 띠 부분의 측부 모서리가 정렬되도록 앞뒤로 접혀진 띠를 각각 포함하는 다수개의 적층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띠들은 적층체의 한쪽 끝단에서의 띠의 제 1 끝단부로부터 적층체의 반대쪽 끝단에서의 띠의 제 2 끝단부 바닥부분에 이르기까지 적층체를 통하여 연속적인 띠형상 재료의 포장을 형성하는 띠형상재료의 공급방법에 있어서,
    적층체의 높이를 감소하도록 띠에 수직인 각도로 적층체를 압축하고;
    반송을 위하여 압축된 조건으로 적층체를 유지하도록 유연성의 포장재료로 적층체를 감싸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띠형상 재료의 공급방법.
  46. 제 45 항에 있어서, 적층체를 기계적인 압축부재와 결합시켜서 기계적인 압축에 의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적층체로 상기 압축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7. 제 45 항 또는 제 46 항에 있어서, 포장체의 높이에 있어서의 감소는 그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에서의 규격의 실질적인 감소없이 아래쪽으로만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8. 제 45 항 내지 제 47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포장재료는 밀봉가능한 폐쇄된 가방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적층체를 풀기전에 가방내의 적층체를 감싸는 단계와; 가방으로부터 공기를 빼내고, 압축상태로부터의 폐쇄된 가방의 팽창을 방지하기 위하여 공기가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폐쇄된 가방을 밀봉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9. 제 45 항 내지 제 48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적층체의 측부 모서리의 부분이 바로 다음의 인접한 적층체의 측부 모서리부분에 나란하게 배열된 다수개의 띠의 적층체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0. 제 49 항에 있어서, 포장재료로부터의 압력에 의하여 띠 부분의 측부 모서리를 포함한 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적층체가 다음의 적층체와 나란하게 접촉하도록 유연성의 포장재료가 적층체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1. 제 45 항 내지 제 48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포장은 한 개의 띠의 적층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2. 제 45 항 내지 제 51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압축량 및 유연성 포장재료는 실질적으로 단단한, 자유롭게 서있는 포장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9-7012016A 1997-06-19 1998-06-17 띠형상 재료의 패키지 및 띠형상 재료의 공급방법 KR1003997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878,826 US6035608A (en) 1997-06-19 1997-06-19 Packaging a strip of material
US08/889,737 US5927051A (en) 1997-06-19 1997-07-08 Packaging a continuous strip of material
US93944497A 1997-09-29 1997-09-29
US94825897A 1997-10-09 1997-10-09
US08/948,256 US5966905A (en) 1997-06-19 1997-10-09 Packaging a strip of material in layers with intervening splices
US08/975,037 US6067775A (en) 1997-11-18 1997-11-18 Packaging a strip of material by folding
US09/024,890 US6009689A (en) 1998-02-17 1998-02-17 Packaging a strip of material in layers
US09/064,744 US6176068B1 (en) 1998-04-23 1998-04-23 Packaging a strip of material in layers with intervening splices
US08/889,737 1998-05-20
US09/081,826 US5987851A (en) 1998-05-20 1998-05-20 Packaging a strip of material
US08/948,256 1998-05-20
US09/081,826 1998-05-20
US08/948,258 1998-05-20
US09/064,744 1998-05-20
US08/878,826 1998-05-20
US08/939,444 1998-05-20
US08/975,037 1998-05-20
US09/024,890 1998-05-20
PCT/CA1998/000592 WO1998058864A1 (en) 1997-06-19 1998-06-17 Packaging a strip of materi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3989A true KR20010013989A (ko) 2001-02-26
KR100399777B1 KR100399777B1 (ko) 2003-09-29

Family

ID=27578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12016A KR100399777B1 (ko) 1997-06-19 1998-06-17 띠형상 재료의 패키지 및 띠형상 재료의 공급방법

Country Status (26)

Country Link
EP (1) EP0910542B1 (ko)
JP (3) JP2002507174A (ko)
KR (1) KR100399777B1 (ko)
CN (1) CN1201989C (ko)
AP (1) AP9901689A0 (ko)
AT (1) ATE192117T1 (ko)
AU (1) AU734791B2 (ko)
BR (1) BR9810162A (ko)
CA (1) CA2274272C (ko)
CZ (1) CZ9904590A3 (ko)
DE (2) DE19881126T1 (ko)
DK (1) DK0910542T3 (ko)
EA (1) EA001473B1 (ko)
ES (1) ES2148007T3 (ko)
GR (1) GR3034008T3 (ko)
HK (1) HK1020185A1 (ko)
HU (1) HUP0004788A3 (ko)
IL (1) IL133569A (ko)
NO (1) NO996293D0 (ko)
NZ (1) NZ500798A (ko)
OA (1) OA11263A (ko)
PL (1) PL187211B1 (ko)
PT (1) PT910542E (ko)
SK (1) SK283739B6 (ko)
TR (1) TR199903129T2 (ko)
WO (1) WO199805886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36307B1 (en) 1997-10-09 2002-01-08 Eki Holding Corporation Method of packaging a strip of material for use in cutting into sheet elements arranged end to end
US6321512B1 (en) * 1999-03-08 2001-11-27 Bki Holding Corporation Method of packaging a strip of material
US6293075B1 (en) 1999-03-08 2001-09-25 Bki Holding Corporation Packaging a strip of material
DE19918765C1 (de) * 1999-04-24 2001-03-01 Gevas Verpackungsmaschinen Gmbh Block aus einer abgetafelten Bahn aus Material zur Herstellung von Hygieneartikeln, z.B. saugfähige Vorlagen
EP1106553A1 (en) * 1999-12-10 2001-06-1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rocess for splicing the bottom end portion of a first stack of web material and the top end portion of a second stack of the material
US6841019B2 (en) 1999-12-10 2005-01-1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rocess for splicing the bottom end portion of the first stack of web material and the top end portion of the second stack of the material
AU4292500A (en) * 2000-03-31 2001-10-15 Gevas Verpackungsmaschinen Gmbh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a block of folded material
EP1138624B1 (en) * 2000-03-31 2004-05-12 GEVAS Verpackungsmaschinen GmbH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a block of folded material
WO2002057168A1 (en) * 2001-01-18 2002-07-25 Gevas Verpackungsmaschinen Gmbh Method and device for supplying web material
ES2280342T3 (es) * 2001-02-12 2007-09-16 Bki Holding Corporation Metodo para formar un paquete a partir de una tira de material.
CA2632083C (en) 2001-06-20 2009-04-07 Bki Holding Corporation Packaging a strip of material in side by side stacks spliced end to end
DE10216419B4 (de) * 2002-04-12 2006-07-13 Saurer Gmbh & Co. K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Korrektur einer zur Verarbeitungsmaschine geführten flexiblen Materialbahn
CN102098949B (zh) * 2008-07-17 2013-06-12 Sca卫生用品公司 折叠材料的堆叠
ES2547434T3 (es) 2011-07-13 2015-10-06 Sca Hygiene Products Ab Dispensador y pila de productos en hojas
CN102730248A (zh) * 2012-06-05 2012-10-17 常州市风雷精密机械有限公司 包装袋全自动封口及切割装置
CN103662214B (zh) * 2013-12-05 2015-10-28 浙江双友物流器械股份有限公司 一种吊带的包装方法
CN104555613A (zh) * 2014-12-25 2015-04-29 重庆威斯特电梯有限公司 便于电线折叠的电梯
JP6267821B1 (ja) * 2017-06-29 2018-01-24 株式会社旭金属 小袋連続体の折りたたみ装置
CN112573021A (zh) * 2019-09-27 2021-03-30 昆山市蓝天印务有限公司 自黏标贴花包装方法
CN110589179B (zh) * 2019-09-30 2020-10-02 湖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内腔体积可调整的包装盒
CN112693720B (zh) * 2020-12-24 2021-07-23 鹤壁市人民医院 一种影像科用方便取片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29367A (en) * 1971-06-01 1973-04-24 Oliver Tire & Rubber Co Rubber product for tire recapp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GB2227994B (en) * 1989-02-14 1993-06-23 Almex Control Systems Ltd Feeding system for fanfold web in cassettes
US5087140A (en) * 1989-12-14 1992-02-11 Keeton J Herbert Festooning machine for cloth strip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A001473B1 (ru) 2001-04-23
HUP0004788A3 (en) 2002-06-28
DE19881126T1 (de) 1999-09-23
OA11263A (en) 2003-07-30
PT910542E (pt) 2000-10-31
NO996293L (no) 1999-12-17
DK0910542T3 (da) 2000-09-25
GR3034008T3 (en) 2000-11-30
CZ9904590A3 (cs) 2001-08-15
SK181599A3 (en) 2001-03-12
PL187211B1 (pl) 2004-06-30
DE69800128T2 (de) 2000-12-14
EP0910542A1 (en) 1999-04-28
HK1020185A1 (en) 2000-03-31
EA200000034A1 (ru) 2000-08-28
ES2148007T3 (es) 2000-10-01
WO1998058864A1 (en) 1998-12-30
TR199903129T2 (xx) 2000-08-21
AU734791B2 (en) 2001-06-21
ATE192117T1 (de) 2000-05-15
CN1201989C (zh) 2005-05-18
AU7902898A (en) 1999-01-04
HUP0004788A2 (hu) 2001-05-28
IL133569A0 (en) 2001-04-30
JP2003312758A (ja) 2003-11-06
PL337160A1 (en) 2000-07-31
CN1260760A (zh) 2000-07-19
NZ500798A (en) 2000-04-28
AP9901689A0 (en) 1999-12-31
NO996293D0 (no) 1999-12-17
SK283739B6 (sk) 2003-12-02
JP2004238207A (ja) 2004-08-26
KR100399777B1 (ko) 2003-09-29
BR9810162A (pt) 2000-08-08
CA2274272C (en) 2000-04-18
EP0910542B1 (en) 2000-04-26
IL133569A (en) 2003-06-24
JP2002507174A (ja) 2002-03-05
DE69800128D1 (de) 2000-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13989A (ko) 띠형상 재료의 포장
US6612097B2 (en) Packaging a strip of material
US5966905A (en) Packaging a strip of material in layers with intervening splices
JP2004238207A5 (ko)
US6729471B2 (en) Packaging a strip of material with compression to reduce volume
US5927051A (en) Packaging a continuous strip of material
US6321511B1 (en) Packaging a strip of material with compression to reduce volume
US5987851A (en) Packaging a strip of material
US6293075B1 (en) Packaging a strip of material
US6176068B1 (en) Packaging a strip of material in layers with intervening splices
US6009689A (en) Packaging a strip of material in layers
TW415907B (en) Package of a strip of material, method of forming the same and method of supplying a stri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5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