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3298A - 신축 자재의 안테나 - Google Patents

신축 자재의 안테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3298A
KR20010013298A KR19997011292A KR19997011292A KR20010013298A KR 20010013298 A KR20010013298 A KR 20010013298A KR 19997011292 A KR19997011292 A KR 19997011292A KR 19997011292 A KR19997011292 A KR 19997011292A KR 20010013298 A KR20010013298 A KR 200100132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plate
telescopic
module
antenna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99970112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엘리오트마이클
마티스카이넨매티
Original Assignee
미첼 엘리오트
갈트로닉스 엘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첼 엘리오트, 갈트로닉스 엘티드 filed Critical 미첼 엘리오트
Publication of KR200100132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3298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01Q1/24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extendable from a housing along a given pat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3/00Waveguide horns or mouths; Slot antennas; Leaky-waveguide antennas; Equivalent structures causing radiation along the transmission path of a guided wave
    • H01Q13/08Radiating ends of two-conductor microwave transmission lines, e.g. of coaxial lines, of microstrip li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0407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 H01Q9/0421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with a shorting wall or a shorting pin at one end of the el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30Resonant antennas with feed to end of elongated active element, e.g. unipo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30Resonant antennas with feed to end of elongated active element, e.g. unipole
    • H01Q9/42Resonant antennas with feed to end of elongated active element, e.g. unipole with folded element, the folded parts being spaced apart a small fraction of the operating waveleng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 Transceiver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신축 자재의 안테나 모듈(30)은 첫 번째, 일반적인 거치 판(34) 및 상기 첫 번째 판에 관계하여 이동할 수 있는 두 번째 판(36)을 포함한다. 상기 두 번째 판은 실질적으로 판들이 서로 관통 접속-피드 안테나와 같이 작용하는 모듈의 신축 형상과 두 번째 판이 실질적으로 모노폴 안테나와 같이 작용하는 모듈의 연장 형상사이로 이동한다.

Description

신축 자재의 안테나{RETRACTABLE ANTENNA}
일반적으로 셀룰러 전화들은 신축 자재의 휩-형(whip-type) 안테나 또는 고정되거나 신축 자재의 헬리컬(helical) 안테나, 또는 두 개 이상의 상기 형태들의 결합체를 포함한다. 어쨌튼, 거기에는 일반적으로 수용가능하게 높은 안테나 이득을 달성하고, 및 따라서 우수한 질을 수신하기 위해서 전화의 경우 일반적으로 직각으로 약간 돌출되어야 한다. 상기 돌출은 전화를, 예를 들면 호주머니에 넣고 다니기에 덜 편리하고 및 파손되는 경향을 만든다.
도 1은 "역-F" 안테나(20)와 같은 기술에서 공지된 관통 접속형-피드(fed) 안테나의 형태에 대한 개략 설명도이다. 상기 안테나는 접지면(22) 및 일반적으로 평행하게 고정되고 상기 접지면에 관계하여 상호 일정한 간격을 이룬 전도판(24)을 구성한다. 판(24)은 판의 일단부에 접지 연결(26)을 통해 접지면(22)에 연결된다. 50 옴(ohm) 관통부(28)는 공지된 기술에서 처럼, 적당한 송신기 및/또는 수신기로 판(24)을 연결한다(미도시).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마이크로파 안테나(microwave antenna), 특히 셀룰러 (cellular) 통신에 사용하기 위한 안테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공지된 기술로써, 고정된 역-F 안테나를 나타내는 계략도이고,
도 2A 및 2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따라, 각각 신축 및 연장 위치에서 셀룰러 전화용 안테나 모듈을 나타내는 계략적이고, 그림으로 나타낸 설명도이고,
도 2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셀룰러 전화내부에 조립된 도 2A의 안테나 모듈을 나타낸 계략적이고, 부분적인 설명도이고,
도 3A 및 3B는 각각 신축 및 연장 위치에서 도 2A 및 2B의 안테나에 연결 및 기계적 형상을 나타내는 계략적이고, 그림으로 나타낸 설명도이고, 및
도 4A 및 4B는 각각의 신축 및 연장 위치에서 도 2A 및 2B의 안테나와 관련된 회로 및 전기적 연결을 나타낸 계략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신축 위치에서 셀룰러 전화용 신축 자재의 안테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실질적으로 상기 안테나는 전화의 일반적인 직각 부피 내부에 완전히 포함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셀룰러 전화용 안테나 모듈은 신축 및 연장 위치를 가진 일반적으로 신축 자재의 평면 안테나를 구성한다. 신축 위치에서, 상기 안테나는 실질적으로 전화의 하우징을 통해 형성된 치밀하고, 직각 부피내에 완전히 포함되고 및 관통-피드 안테나, 바람직하게 역-F 형 안테나와 같은 작용을 한다. 연장 위치에서, 안테나는 하우징의 밖으로, 바람직하게 위로 돌출하고 및 바람직하게 모노폴(monopole) 안테나와 같은 작용을 한다. 바람직하게, 단일 관통 접속은 신축과 연장 위치에서 전화내에 송신기/수신기 회로에 안테나를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제공된 신축 자재의 안테나 모듈은:
첫 번째, 일반적으로 거치 판, 및
신축 형상 모듈사이의 첫 번째 판에 관계하여 이동할 수 있는 두 번째 판을 포함하는 것으로, 실질적으로 상기 판들은 서로 관통 접속-피드 안테나, 및 모듈의 연장 형상과 같은 작용을 하고, 두 번째 판은 실질적으로 모노폴 안테나와 같은 작용을 한다.
바람직하게, 첫 번째 판은 접지면과 같이 작용한다.
바람직하게, 신축 형상에서, 상기 안테나는 역 F 안테나와 같은 작용을 한다.
바람직하게, 연장 형상에서, 상기 안테나는 4분의 1 파장 안테나와 같이 작용한다.
바람직하게, 신축 형상내 안테나 모듈은 실질적으로 안테나가 연결되는 통신 장치의 일반적인 직각 부피내에 동봉된다.
또한, 연장된 형상내에 안테나는 직각 부피로부터 돌출한다.
바람직하게, 신축 형상에서 연장 형상으로 변환은 두 번째 전도 판을 미끄로지게하므로써 성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모듈은 정합(整合) 회로를 포함하고, 두 번째 판을 연장 형상내 송신기/수신기에 연결한다.
또한, 신축 형상내 두 번째 판은 정합 회로로부터 분리된다.
다른 방법으로, 정합 회로는 신축 형상내 접지면에 단락되고, 및 연장 형상내 접지면으로부터 분리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정합 회로는 전달 라인을 포함한다.
다른 방법으로, 상기 정합 회로는 접지면 위에 인쇄된 회로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모듈은 연장 및 신축 형상내 송신기/수신기에 안테나를 연결한 단일 관통 접속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추가로 휴대용 전화용 안테나 모듈은 하우징을 구비하는 것으로, 모듈은:
신축 위치에서 안테나가 실질적으로 하우징을 통해 형성된 일반적인 직각 부피내에 완전히 포함되도록 신축 및 연장 작동 위치를 구비한 안테나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안테나는 일반적으로 평면이다.
다른 방법으로, 이동하는 두 번째 판은 직각 부피에서 돌출하기 위해 형성되는 두 번째 판을 포함한다.
다른 방법으로, 이동하는 두 번째 판은 정합 회로를 통해 통신 장치에 연결되는 두 번째 판을 포함하고, 및 미끄러지게 부착하는 두 번째 판은 상기 정합 회로에서 분리되는 두 번째 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으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더욱 충분히 이해되어질 것이다.
도 2A 및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축가능한 안테나(32)를 포함한 셀룰러 전화 안테나 모듈(30)을 계략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도 2C는 모듈(30)이 조립된 셀룰러 전화(33)의 계략적이고, 부분도이다. 바람직하게, 도면에서 도시된 것 처럼, 안테나(32)는 실질적으로 평평하고 및 일반적으로 직각이다. 도 2A 및 2C에서, 안테나(32)는 그의 폐쇄되고, 신축한 위치에서 나타내어진 것으로, 상기는 모듈(30) 및 전화(33)의 일반적인 직각 부피내부에 완전히 포함된다. 그러나 상기 신축 위치에서도 안테나(32)는 작용한다. 종래 기술에서 공지된 셀룰러 전화와 대조하여 고정되고 및 신축 자재의 형태들은 일반적으로 수신의 가능한한 수준으로 도달하기 위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전화 케이스에서 벗어나 돌출되어야 한다. 도 2B에서, 안테나(32)는 그의 개방된 상태, 연장 위치에서 나타낸 것으로, 상기 안테나는 전화를 사용하는 동안 수신을 개선하기 위해서 모듈(30)에 관계하여 바람직하게 밀어올려진다.
도 3A 및 3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각각 폐쇄 및 개방 위치에서 안테나 모듈(30)의 내부 기구를 계략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도 4A 및 4B는 도 3A 및 3B의 기계적 형상에 대해, 각각 상응한 안테나의 전기적 형상을 계략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안테나 모듈(30)은 접지면(34)과 상기 접지면(34)에 평행한 전도판(36)을 구성하고, 도 3A 및 4A에서 나타낸 폐쇄 형상으로 역-F 형 관통 접속-피드 안테나로써 작용한다. 판(36)은 판의 일 단부에 접지 접촉(38)을 통해 접지 면(34)에 접지된다. 관통 접속 라인(40), 바람직하게 50 옴 라인은 종래 기술에서 공지된 것 처럼 안테나에서 전화(33)내에 송신기/수신기 회로까지 단일 접속을 위해서 접지 접촉(38)으로부터 적당하게 일정한 간격을 이룬 피드 포인트(feed point)(42)에 판 (36)을 접촉한다.
도 3B 및 4B에 나타낸 개방 형상에서, 접지 접촉(38) 및 피드 포인트(42)는 분리되고, 및 판(36)은 모노폴 안테나, 바람직하게 4분의 1 파장 안테나로써 작용한다. 판(36)은 종래 기술에서 공지된 임의의 적당한 형태인 정합 회로(49), 및 판에 접족한 다른 피드 포인트(44), 및 피드 포인트(44)에서 라인(40)까지 접지면 (34)을 따라 이동하는 전달 라인(46)의 수단으로 라인(40)에 연결된다. 바람직하게, 판(36)위의 단일 접촉 포인트는 폐쇄 형상내에 피드 포인트(42)에 및 개방 형상내 다른 피드 포인트(44)에 접촉한다.
바람직하게 라인(46)은 예를 들면, 인쇄 회로 기술을 사용하여 접지면의 표면위에 인쇄된 50 옴 전달 라인을 구성한다. 도 3A 및 도 4A에서 나타낸 폐쇄 형상에서, 라인(46)은 정합 회로(49)가 사용상태에 있지 않도록 폐쇄 위치에서 접지 접촉 스위치(48)를 통해 바람직하게 접지된다. 도 3B 및 도 4B에 나타낸 것으로써, 개방 형상에서, 스위치(48)는 정합 회로(49)가 상기에 기술된 것 처럼 사용되도록 개방 위치에 있는다. 바람직하게, 스위치(48)는 자동적으로 그의 응답하여 개방 및 폐쇄하기 위해서 이동 판(36)에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도 3A,B 및 4A,B에서 나타낸 바람직한 실시예에 반하여, 관통 라인(40)은 일반적으로 안테나(32)의 하부 단부에 설치되고,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라인(40)은 안테나에 관계하여 다른 위치에 설치된다. 예를 들면, 라인(40)과 선행하는 도면에서 포인트(42)에 일치한 피드 포인트는 안테나(32)의 상부 단부 근처에 설치된다. 상기 경우에서, 판(36)은 개방 및 폐쇄 형상에서 동등한 피드 포인트를 접촉하고, 및 거기에는 라인(46)과 같은 전달 라인이 필요없다.
상기 기술에서 기술된 것들은 본 발명의 원리가 다른 형태, 형상 및 형성의 치밀하고, 신축가능한 안테나에 적용됨을 인식할 것이다. 예를 들면, 판(36)은 그의 평행하게 미끄러지기보다는 접지면(34)에 관계하여 밖으로 이동하기 위해서 힌지(hinge)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기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는 일례의 방법을 통해 인용되었고, 및 본 발명의 완전한 범위는 단지 청구범위를 통해 제한되었다.

Claims (27)

  1. 첫 번째, 일반적으로 거치 판, 및
    신축 형상 모듈(module) 사이의 첫 번째 판에 관계하여 이동할 수 있는 두 번째 판을 구성하는 것으로,
    실질적으로 상기 판들은 서로 관통 접속-피드(fed) 안테나, 및 모듈의 연장 형상과 같은 작용을 하고, 두 번째 판은 실질적으로 모노폴 안테나(monopole antenna)와 같이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 자재의 안테나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첫 번째 판은 접지면과 같이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 자재의 안테나 모듈.
  3. 제 1 항에 있어서, 신축 형상에서, 상기 안테나는 역 F 안테나와 같이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 자재의 안테나 모듈.
  4. 제 1 항에 있어서, 연장 형상에서, 상기 안테나는 4분의 1 파장 안테나와 같이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 자재의 안테나 모듈.
  5. 선행하는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신축 형상에서 안테나 모듈은 안테나가 연결된 통신 장치의 일반적인 직각 부피내에 동봉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 자재의 안테나 모듈.
  6. 제 5 항에 있어서, 연장 형상에서 안테나는 직각 부피로부터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 자재의 안테나 모듈.
  7.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신축 형상에서 연장 형상으로 변환은 두 번째 판의 미끄러짐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 자재의 안테나 모듈.
  8.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장 형상내 송신기/수신기에 두 번째 판을 연결하는 정합 회로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 자재의 안테나 모듈.
  9. 제 8 항에 있어서, 신축 형상내 상기 두 번째 판은 정합 회로에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 자재의 안테나 모듈.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정합 회로는 신축 형상내에서 접지면에 단락되고, 및 연장 형상내 접지면에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 자재의 안테나 모듈.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정합 회로는 전달 라인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 자재의 안테나 모듈.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정합 회로는 접지면 위에 인쇄된 회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 자재의 안테나 모듈.
  13.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장과 신축 형상내 송신기/수신기에 안테나를 연결하는 단일 관통 접속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 자재의 안테나 모듈.
  14. 모듈은 신축 및 연장 작동 위치를 구비한 안테나를 구성하는 것으로,
    신축 위치에서, 상기 안테나는 실질적으로 하우징에 의해 형성된 일반적인 직각 부피 내부에 완전히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을 구비한 셀룰러 전화용 안테나 모듈.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는 일반적으로 평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을 구비한 셀룰러 전화용 안테나 모듈.
  16. 제 14 항에 있어서, 연장 위치에서 상기 안테나는 하우징으로부터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을 구비한 셀룰러 전화용 안테나 모듈.
  17. 제 14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은 접지 면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을 구비한 셀룰러 전화용 안테나 모듈.
  18. 제 17 항에 있어서, 신축 위치에서 상기 안테나는 접지 면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을 구비한 셀룰러 전화용 안테나 모듈.
  19. 제 17 항에 있어서, 연장 위치에서 상기 안테나는 접지 면에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을 구비한 셀룰러 전화용 안테나 모듈.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은 접지 면 위에 인쇄된 정합 회로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을 구비한 셀룰러 전화용 안테나 모듈.
  21. 제 14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은 신축 및 연장 형상내에 송신기/수신기에 안테나를 연결하기 위해 사용된 단일 관통 접속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을 구비한 셀룰러 전화용 안테나 모듈.
  22. 통신 장치에 첫 번째 판을 고정하는 단계와;
    상기 첫 번째 및 두 번째 판들이 서로 통신 장치에 연결된 관통 접속-피드 안테나를 형성하도록, 일반적으로 평행한 신축 위치에서 두 번째 판을 미끄러지게 부착하고 및 실질적으로 첫 번째 판과 겹치는 단계와; 및
    상기 통신 장치에 연결된 모노폴 안테나를 형성하기 위해서 첫 번째 판에서 떨어져 연장 위치로 두 번째 판을 이동하는 단계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로부터 및 상기 휴대용 통신 장치에 신호를 송신하고 및 수신하기 위한 방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미끄러지게 부착하는 상기 두 번째 판은 첫 번째 판을 가진 역 F 안테나를 형성하기 위해 미끄러지게 부착하는 두 번째 판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로부터 및 상기 휴대용 통신 장치에 신호를 송신하고 및 수신하기 위한 방법.
  24. 제 22 항에 있어서, 이동하는 두 번째 판은 4분의 1 파장 안테나를 형성하기 위해 이동하는 두 번째 판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로부터 및 상기 휴대용 통신 장치에 신호를 송신하고 및 수신하기 위한 방법.
  25. 제 22 항 내지 제 2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미끄러지게 부착하는 상기 두 번째 판은 통신 장치의 일반적인 직각 부피 내부에 실질적으로 동봉되기 위해 신축 위치에서 형상을 이루는 두 번째 판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로부터 및 상기 휴대용 통신 장치에 신호를 송신하고 및 수신하기 위한 방법.
  26. 제 25 항에 있어서, 이동하는 두 번째 판이 상기 직각 부피로부터 돌출하기 위해 형상을 이루는 두 번째 판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로부터 및 상기 휴대용 통신 장치에 신호를 송신하고 및 수신하기 위한 방법.
  27. 제 22 항 내지 제 2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동하는 두 번째 판은 정합 회로를 통해 통신 장치에 연결하는 두 번째 판을 구성하고, 및 미끄러지게 부착하는 두 번째 판은 정합 회로에서 분리하는 두 번째 판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로부터 및 상기 휴대용 통신 장치에 신호를 송신하고 및 수신하기 위한 방법.
KR19997011292A 1997-06-03 1998-05-26 신축 자재의 안테나 KR2001001329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4841497P 1997-06-03 1997-06-03
US60/048,414 1997-06-03
PCT/IL1998/000240 WO1998056066A1 (en) 1997-06-03 1998-05-26 Retractable antenna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3298A true KR20010013298A (ko) 2001-02-26

Family

ID=21954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9997011292A KR20010013298A (ko) 1997-06-03 1998-05-26 신축 자재의 안테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046699A (ko)
EP (1) EP0986834A1 (ko)
JP (1) JP2001506466A (ko)
KR (1) KR20010013298A (ko)
CN (1) CN1259232A (ko)
AU (1) AU7448498A (ko)
BR (1) BR9809734A (ko)
WO (1) WO19980560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08190B1 (en) * 1999-09-01 2002-06-1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emi built-in multi-band printed antenna
US6222496B1 (en) * 1999-11-05 2001-04-24 Internait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odified inverted-F antenna
GB2364176A (en) * 2000-06-30 2002-01-16 Nokia Mobile Phones Ltd Multi-mode antenna
US6380898B1 (en) 2000-08-03 2002-04-30 Amphenol - T&M Antennas Dual mode antenna and laptop carrying same
US6369775B1 (en) 2000-09-25 2002-04-09 Amphenol-T&M Antennas Antenna assembly and multiband stubby antenna
WO2005117203A2 (en) * 2004-05-24 2005-12-08 Amphenol-T & M Antennas Multiple band antenna and antenna assembly
KR100678276B1 (ko) 2004-12-17 2007-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KR100703317B1 (ko) 2004-12-17 2007-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KR100811852B1 (ko) * 2005-03-14 2008-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팝업 타입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US7262737B2 (en) * 2005-08-15 2007-08-28 Palm, Inc. Extendable antenna architecture
US8270915B2 (en) * 2007-01-06 2012-09-18 Apple Inc. Antenna and button assembly for wireless devices
US7639187B2 (en) * 2006-09-25 2009-12-29 Apple Inc. Button antenna for handheld devices
CN102386474A (zh) 2010-08-30 2012-03-21 华硕电脑股份有限公司 天线模块及电子装置
US20140049443A1 (en) * 2012-08-15 2014-02-20 Daniel A. Katz Extendable Loop Antenna for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CN103682636B (zh) * 2012-08-30 2019-02-12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无线通信装置
CN103682637B (zh) * 2012-09-12 2018-05-11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无线通信装置
CN110416686A (zh) * 2018-04-28 2019-11-0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装置及电子装置的控制方法
CN112886181A (zh) * 2021-03-24 2021-06-01 深圳雷鸥克科技有限公司 可自由调节天线长度的信号屏蔽发射盒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13119A (en) * 1980-04-18 1982-01-26 Motorola, Inc. Dual mode transceiver antenna
GB2219159B (en) * 1988-05-27 1993-03-10 Technophone Ltd Antenna assembly
JPH0793532B2 (ja) * 1988-12-27 1995-10-09 原田工業株式会社 平板パッチアンテナ
US5255001A (en) * 1989-08-29 1993-10-19 Nec Corporation Antenna system for portable radio apparatus
JP2520557B2 (ja) * 1993-02-26 1996-07-31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機用アンテナ
GB2302991B (en) * 1995-07-05 1997-07-23 Motorola Israel Ltd Antenna assembly
US5764190A (en) * 1996-07-15 1998-06-09 The Hong Kong University Of Science & Technology Capacitively loaded PIFA
US5905467A (en) * 1997-07-25 1999-05-18 Lucent Technologies Inc. Antenna diversity i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7448498A (en) 1998-12-21
EP0986834A1 (en) 2000-03-22
BR9809734A (pt) 2000-07-11
CN1259232A (zh) 2000-07-05
US6046699A (en) 2000-04-04
JP2001506466A (ja) 2001-05-15
WO1998056066A1 (en) 1998-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6599B1 (ko) 무선 통신 단말용 내장 안테나 및 무선 통신 단말용 다이버시티 안테나
JP4302738B2 (ja) 無線端末における、またはそれに関する改良
AU749390B2 (en) A portable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with multi-band antenna system
US6529168B2 (en) Double-action antenna
US6529749B1 (en) Convertible dipole/inverted-F antennas and wireless communicators incorporating the same
AU719362B2 (en) Planar antenna
US6204819B1 (en) Convertible loop/inverted-f antennas and wireless communicators incorporating the same
US5809433A (en) Multi-component antenna and method therefor
US5918189A (en) Exchangeable hardware module for radiotelephone
US7069043B2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ith two internal antennas
US7053841B2 (en) Parasitic element and PIFA antenna structure
US6662028B1 (en) Multiple frequency inverted-F antennas having multiple switchable feed points and wireless communicators incorporating the same
KR20010013298A (ko) 신축 자재의 안테나
US5945954A (en) Antenna assembly for telecommunication devices
AU750257B2 (en) Multiple frequency band antenna
US7298337B2 (en) Antenna device for a mobile phone
US6700540B2 (en) Antennas having multiple resonant frequency bands and wireless terminals incorporating the same
JP3266190B2 (ja) 折り畳み式移動電話
US6992627B1 (en) Single and multiband quarter wave resonator
KR100849810B1 (ko) 안테나 장치
US6229487B1 (en) Inverted-F antennas having non-linear conductive elements and wireless communicators incorporating the same
CN101116221A (zh) 天线装置
WO2011128738A1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ith housing member that functions as a radiating element of an antenna
KR20010042844A (ko) 안테나시스템에서 접지수단에 결합하기 위한 접지신장장치와 이러한 접지장치를 갖는 안테나시스템 및 이동무선장치
KR20040025843A (ko) 절첩식 휴대형 무선기 및 그 무선기의 섀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