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3117A - 차량 화물 리프트 - Google Patents

차량 화물 리프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3117A
KR20010013117A KR19997011097A KR19997011097A KR20010013117A KR 20010013117 A KR20010013117 A KR 20010013117A KR 19997011097 A KR19997011097 A KR 19997011097A KR 19997011097 A KR19997011097 A KR 19997011097A KR 20010013117 A KR20010013117 A KR 200100131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estal
tray
cargo lift
vehicle cargo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99970110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페이지로버트레오나르드조지
Original Assignee
로버트 페이지
워크먼 인더스트리스 피티와이.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버트 페이지, 워크먼 인더스트리스 피티와이.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로버트 페이지
Publication of KR20010013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3117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4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having a loading platform thereon raising the load to the level of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4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having a loading platform thereon raising the load to the level of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441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having a loading platform thereon raising the load to the level of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and keeping the loading platform parallel to the ground when raising the load
    • B60P1/4435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having a loading platform thereon raising the load to the level of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and keeping the loading platform parallel to the ground when raising the load the loading platform being suspended by wires, chains or the like from horizontal rails, e.g. the rails forming part of the vehicle fl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2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parallel up-and-down movement of load supporting or containing el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서로 평행하게 연장하여 있는 지주(10)들을 가진 받침대(9)와, 그 받침대(9)를 수용하는 공간부를 사이에 형성하고 있는 2개의 대향된 측부 프레임을 가진 지지 프레임(2)과, 각각의 측부 프레임내에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중공의 기다란 부재(7)와, 그 중공의 기다란 부재(7)가 받침대(9)의 각 지주(10)와 신축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받침대(9)가 상승된 운송위치와 지상의 적하(積荷)위치 사이에서의 움직임의 전체에 걸쳐 실질적으로 동일한 배향상태를 유지하도록 운송위치와 적하위치 사이에서 받침대(9)를 이동시키는 구동수단(8)을 포함하는 차량 화물 리프트이다.

Description

차량 화물 리프트{Vehicle cargo lift}
화물 운송을 위해 밴(van) 및 트 럭과 같은 표준 차량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지면위 트레이 또는 받침대의 높이 때문에, 특히 무거운 물체를 가진 화물의 적하, 하역 및 위치결정이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포크리프트 및 램프가 사용되어 왔으나, 이들은 가격 및 현장에서의 이용도의 점에서 단점을 가진다.
스터브 액슬(stub axle)에 의해 부착된 후륜들을 가진 개조된 U자 형태의 섀시와, 지상의 적하위치와 상승된 운송위치 사이에서 승강하도록 그 섀시의 아암들 사이에 평행사변형 링크장치에 의해 연결된 조정가능한 트레이를 제공함으로써 상기한 문제들을 극복하는 시도가 있었다. 또한, 스터브 액슬에 의해 부착된 후륜들을 가진 개조된 U자 형태의 섀시와, 그 섀시의 아암들 사이에 연결된 경사가능한 트레이를 사용하는 시도도 있었다.
이들 시도는 완전히 개조된 섀시를 필요로 하여, 개조비용을 수반한다. 어떤 차량 및 용도에서는, 그러한 비용이 용인될 수 없다.
이 문제를 극복하는 다른 시도는 들어올림식 뒷문(tailgate)의 사용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이것은 차량의 외부에의 뒷문의 부착방법 및 그의 작동 때문에 항상 적절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동력식이든 비동력식이든 기존의 차량이나 또는 차량의 섀시(chassis)에 설치될 수 있고, 상승된 운송위치와 지상의 적하(積荷)위치 사이에서 승강할 수 있게 된 트레이를 가진 부착물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상부 프레임을 제거한 상태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결합식 트레이-화물 리프트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화물 리프트가 운송단계에 있는 상태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결합식 트레이-화물 리프트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3은 화물 리프트가 적하단계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결합식 트레이-화물 리프트의 개략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서로 평행하게 연장하는 지주들을 가진 받침대와; 그 받침대를 수용하는 공간부를 사이에 형성하고 있는 2개의 대향된 측부 프레임을 포함하고, 차량에 연결될 수 있게 된 지지 프레임과; 각각의 측부 프레임내에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다란 부재와; 그 기다란 부재가 받침대의 각 지주와 신축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받침대가 상승된 운송위치와 지상의 적하위치 사이에서의 움직임의 전체에 걸쳐 실질적으로 동일한 배향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운송위치와 적하위치 사이에서 받침대를 이동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차량 화물 리프트를 제공함으로써 상기한 문제들을 개선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차량의 운전실(cab)뒤에서 차량의 섀시에 설치되는 결합식 트레이-차량 화물 리프트로서; 차량의 표준 섀시상에 설치될 수 있게 된 트레이와; 전방 프레임, 2개의 대향된 측부 프레임 및 지붕 프레임을 가지고 있고, 후방부분에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트레이 위에서 연장하는 지지 프레임과; 서로 평행하게 연장하는 지주들을 가지고 있고, 상기 지지 프레임의 후방부분의 상기 공간부내에 수용될 수 있는 받침대와; 상기 지지 프레임의 상기 후방부분의 각각의 측부 프레임으로부터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다란 부재와; 그 기다란 부재가 받침대의 각 지주와 신축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받침대가 상승된 운송위치와 지상의 적하위치 사이에서의 움직임의 전체에 걸쳐 실질적으로 동일한 배향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운송위치와 적하위치 사이에서 받침대를 이동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결합식 트레이-차량 화물 리프트를 제공한다.
결합식 트레이-화물 리프트가 표준 섀시에 설치되는데 적합하게 된 본 발명의 실시형태가 첨부 도면의 도 1∼도 3에 나타내어져 있다.
트레이(1)와 프레임(2)은 차량의 표준 섀시(14)에 부착되어 고정되는데 적합하게 되어 있다. 트레이(1)는, 예를 들어, 도요타회사에서 공급되는 것과 같은 전체 뒤차축 조립체 섀시(14)의 정규 연결지점들에 부착된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는, 섀시의 구조적 특징의 개조가 요구됨이 없이 트레이(1)가 뒤차축을 가진 차량의 표준 섀시(14)에 부착된다. 섀시의 구성에 따라, 트레이와 리프트의 결합체는, 현재 이용되는 것보다 저렴하고 신속한, 차량의 섀시에 화물 리프트를 제공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도 1∼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실시형태는 적당한 지점(4)들에서, 동력식이든 비동력식이든 차량의 표준 섀시에 부착되는 바닥 프레임(3)을 포함한다. 트레이(1)는 그 트레이(1)상에서의 화물의 이동을 보조하는 2개의 로울러(5)를 가지고 있다.
지지 프레임(2)이 트레이(1)에 부착되어 있고, 그 지지 프레임(2)에 의해 단단히 지지된 리프트 프레임(6)이 트레이(1)의 후미 뒤에서 연장하여 있다. 리프트 프레임(6)의 각 측부에는, 중공(中空)부재(7)와 구동수단(8)(본 실시예에서는 유압 램(ram))이 제공되어 있다. 그 구동수단(8)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프트 플랫폼(9)에 연결되어 있다.
리프트 플랫폼(9)은 각 측부에 지주(10)를 가지고 있고, 각각의 지주(10)는 리프트 플랫폼(9)의 이동중에 그 리프트 플랫폼을 안내하도록 각각의 중공부재(7)에 신축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어떠한 적당한 구동수단도 사용될 수 있으나, 리프트 플랫폼(9)의 각 측부에 2개씩의 유압 램(8)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램은 바닥 프레임부재(13)를 관통하여 연장한다. 리프트 프레임(6)은 지지 프레임(2)에 의해 단단히 지지되어, 안정되고 단단히 지지된 구조를 제공한다.
사용에 있어서는, 리프트 플랫폼(9)이 구동수단(유압 램)(8)에 의해 지상의 적하위치로 하강되고, 그 리프트 플랫폼(9)상의 화물이 이동된다. 화물의 이동을 보조하기 위해, 리프트 플랫폼(9)상에 로울러(5)가 배치되어 있다. 그 다음,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프트 플랫폼(9)를 트레이(1)의 높이까지 들어올리고, 화물을 트레이(1)상으로 이동시킨다. 필요한 경우, 화물의 후방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리프트 플랫폼(9)를 트레이(1) 높이의 약간 위까지 들어올릴 수도 있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뒷물(tailgate)/램프가 리프트 플랫폼(9)의 후방 단부에 연결될 수 있고, 또한, 트레이(1)의 측부에의 접근을 허용하도록, 측부 패널(11)이 트레이(1)에 경첩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이 바람직한 실시형태로 나타내어졌으나, 본 발명의 범위 및 정신내에서 많은 변경이 가능하다. 즉, 구동수단이 웜(worm) 구동기 또는 공압식 램일 수도 있다. 리프트 플랫폼상의 지주는 2개의 리프팅 램 사이에서 그 플랫폼의 측부의 중앙에 위치되거나, 또는, 다수의 지주와 함께 플랫폼의 측부당 오직 하나의 리프팅 램만이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리프트 지지체는 기존의 트레이에 부착되는 별도의 구조물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범위 및 정신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상기한 발명에 대하여 개조 및 변경이 행해질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자명하다.

Claims (21)

  1. 서로 평행하게 연장하는 지주들을 가진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를 수용하는 공간부를 사이에 형성하고 있는 2개의 대향된 측부 프레임을 가지고 있고, 차량에 연결될 수 있게 된 지지 프레임과;
    각각의 상기 측부 프레임내에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다란 부재와;
    상기 기다란 부재가 상기 받침대의 각 지주와 신축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받침대가 상승된 운송위치와 지상의 적하위치 사이에서의 움직임의 전체에 걸쳐 실질적으로 동일한 배향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운송위치와 적하위치 사이에서 상기 받침대를 이동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차량 화물 리프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이 상기 측부 프레임의 후미를 가로질러 상기 공간부에 걸쳐 있는 후방 궁형 프레임과, 상기 측부 프레임과 지붕 프레임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는 전방 궁형 프레임을 포함하는 차량 화물 리프트.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측부 프레임이 저부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수단이 상기 저부 레일을 통과하여 연장하여 상기 받침대에 결합하여 있는 차량 화물 리프트.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부 프레임이 저부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받침대의 상기 지주가 상기 저부 레일을 통과하는 차량 화물 리프트.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다란 부재가 상기 후방 궁형 프레임과 일체로 되어 있는 차량 화물 리프트.
  6.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이 유압 실린더를 포함하는 차량 화물 리프트.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 실린더가 상기 받침대의 각 측부에 2개씩 배치되어 있는 차량 화물 리프트.
  8. 제 1 항 내지 제 7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가 그 받침대를 따라서의 화물의 이동을 돕는 적어도 하나의 횡방향 연장 로울러를 포함하는 차량 화물 리프트.
  9. 제 1 항 내지 제 8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가 운송위치에 있을 때 닫힐 수 있는 뒷문(tailgate)을 가지고 있는 차량 화물 리프트.
  10. 차량의 운전실(cab)뒤에서 차량의 섀시에 설치되는 결합식 트레이-차량 화물 리프트로서,
    차량의 운전실에 인접하여 위치될 수 있게 된 전방부분과,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는 후방부분을 가지고 있고, 차량의 표준 섀시상에 설치될 수 있게 된 트레이와;
    전방 프레임, 2개의 대향된 측부 프레임 및 지붕 프레임을 가지고 있고, 상기 트레이 위에서 연장하는 지지 프레임과;
    서로 평행하게 연장하는 지주들을 가지고 있고, 상기 트레이의 후방부분의 상기 공간부내에 수용될 수 있는 받침대와;
    상기 트레이의 상기 공간부의 옆에서 연장하는 각각의 측부 프레임으로부터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다란 부재와;
    상기 기다란 부재가 상기 받침대의 각 지주와 신축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받침대가 상승된 운송위치와 지상의 적하위치 사이에서의 움직임의 전체에 걸쳐 실질적으로 동일한 배향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운송위치와 적하위치 사이에서 상기 받침대를 이동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결합식 트레이-차량 화물 리프트.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식 트레이-차량 화물 리프트가 상기 측부 프레임의 후미를 가로질러 상기 공간부에 걸쳐 있는 후방 궁형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방 프레임이 상기 측부 프레임과 상기 지붕 프레임에 의해 상기 후방 궁형 프레임에 연결되어 있는 궁형의 형태인 결합식 트레이-차량 화물 리프트.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부 프레임이 저부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수단이 상기 저부 레일을 통과하여 연장하여 상기 받침대에 결합하여 있는 결합식 트레이-차량 화물 리프트.
  13. 제 10 항 내지 제 12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부 프레임이 저부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받침대의 상기 지주가 상기 저부 레일을 통과하는 결합식 트레이-차량 화물 리프트.
  14. 제 10 항 내지 제 1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다란 부재가 상기 후방 궁형 프레임과 일체로 되어 있는 결합식 트레이-차량 화물 리프트.
  15. 제 10 항 내지 제 1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이 유압 실린더를 포함하는 결합식 트레이-차량 화물 리프트.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 실린더가 상기 받침대의 각 측부에 2개씩 배치되어 있는 결합식 트레이-차량 화물 리프트.
  17. 제 10 항 내지 제 16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와 상기 받침대가 그 트레이와 받침대를 따라서의 화물의 이동을 돕는 횡방향 연장 로울러를 가지고 있는 결합식 트레이-차량 화물 리프트.
  18. 제 10 항 내지 제 17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가 운송위치에 있을 때 닫힐 수 있는 뒷문(tailgate)을 가지고 있는 결합식 트레이-차량 화물 리프트.
  19. 제 10 항 내지 제 18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가 운송위치에 있을 때 상기 트레이의 표면 위에 위치하는 결합식 트레이-차량 화물 리프트.
  20.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한 설명에 설명된 바와 실질적으로 같은 차량 화물 리프트.
  21.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한 설명에 설명된 바와 실질적으로 같은 결합식 트레이-차량 화물 리프트.
KR19997011097A 1997-05-29 1998-05-29 차량 화물 리프트 KR2001001311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PO7079 1997-05-29
AUPO7079A AUPO707997A0 (en) 1997-05-29 1997-05-29 Vehicle cargo lift
PCT/AU1998/000400 WO1998054026A1 (en) 1997-05-29 1998-05-29 Vehicle cargo lift
AU76300/98A AU7630098A (en) 1997-05-29 1998-05-29 Vehicle cargo lif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3117A true KR20010013117A (ko) 2001-02-26

Family

ID=3801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9997011097A KR20010013117A (ko) 1997-05-29 1998-05-29 차량 화물 리프트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234740B1 (ko)
EP (1) EP0986492A4 (ko)
JP (1) JP2002508726A (ko)
KR (1) KR20010013117A (ko)
AU (2) AUPO707997A0 (ko)
WO (1) WO1998054026A1 (ko)
ZA (1) ZA98459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9015124A1 (en) * 1997-09-24 1999-04-01 Workman Industries Pty. Ltd. Vehicle with lift bed
US20050058528A1 (en) * 2002-05-01 2005-03-17 Wroblewski Ronald Paul Elevator delivery system for use in truck body or trailer
US20030206791A1 (en) * 2002-05-01 2003-11-06 Ronald Paul Wroblewski Elevator delivery system for use in truck body or trailer
DE10252682A1 (de) * 2002-11-13 2004-05-27 Walter Hurler Fahrzeug mit Ladeboxen oder Ladeflächen
US8177471B2 (en) * 2007-10-31 2012-05-15 Ronald R Nespor Cargo handling apparatus module
US8043040B2 (en) * 2007-10-31 2011-10-25 Nespor Ronald R Cargo handling apparatus and underride combination
US7568877B1 (en) * 2007-10-31 2009-08-04 Nespor Ronald R Cargo handling apparatus
EP2199150B1 (en) 2008-12-19 2011-07-27 Getrex Special Products B.V. Transporting unit suitable for carrying vehicular and non-vehicular cargo
US20110305550A1 (en) * 2010-06-10 2011-12-15 Andrew Ralph Haire Motor vehicle configured for cargo transport and vehicle-mountable cargo transport apparatus
US10179711B1 (en) 2011-10-21 2019-01-15 Michael T. Moore Portable lift apparatus for shipping containers
US9616796B2 (en) 2014-10-21 2017-04-11 Liftmasters, Llc Receiver-mounted lift gate
AT518981B1 (de) 2016-09-13 2018-03-15 Rosenbauer Int Ag Fahrzeug, insbesondere Einsatzfahrzeug, mit einer Ladeanordnung
US10981487B1 (en) 2018-08-24 2021-04-20 Gator Liftgates, Llc Hitch mounted lift gate system with pivoting door-access drop feature and method of loading and unloading a payload
US11186214B2 (en) * 2018-12-06 2021-11-30 Amazon Technologies, Inc. Double deck truck trailer with movable upper deck
CN113830211B (zh) * 2021-10-09 2022-04-12 江苏鸿迅机车有限公司 一种便于装卸货物的电动三轮车车厢结构
CN115027892A (zh) * 2022-08-15 2022-09-09 浙江省农业科学院 一种运输机的重载型装卸平台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32561C (ko) *
US3266646A (en) * 1966-08-16 Merchandise: transporting vehicles with built-in rear end elevators
US3051335A (en) * 1959-07-15 1962-08-28 Bartlett Trailer Corp Trailer elevator
AU460392B2 (en) 1971-04-21 1975-04-24 RONALD DOUBLEDAY and FREDERICK JOSEPH DEVESON Improvements relating tothe loading and unloading of goods from motor vehicles
US3887092A (en) 1973-03-16 1975-06-03 Richard A Leet Tail gate lift mechanism
US3870126A (en) * 1973-07-18 1975-03-11 Leyman Mfg Cart stop structure for an elevator
US4081091A (en) * 1975-08-20 1978-03-28 Transportation Design & Technology, Inc. Wheelchair lift
CH671374A5 (en) * 1985-02-15 1989-08-31 Thomas Schilter Truck with integral hoist - has rear part of load surface lowered onto ground on vertical supports
GB8617088D0 (en) * 1986-07-14 1986-08-20 Hydraroll Ltd Load handling system
JPS6374739A (ja) * 1986-09-17 1988-04-05 Seiyuu:Kk 貨物自動車荷台の昇降式後端部
US4930969A (en) 1988-08-11 1990-06-05 Langer Hartford P Rail lift gate apparatus and storage scheme
US5176486A (en) * 1989-05-15 1993-01-05 Park Robert W Combined tailgate and loader assembly for a dump truck
EP0699142B1 (en) * 1994-03-22 2000-11-22 Workman Industries Pty Ltd Vehicle with vertically adjustable loading bed
BE1008971A3 (nl) * 1994-12-06 1996-10-01 Raymaekers & Kaag Afgekort R & Laadinrichting voor voertuigen en voertuigen hiermee uitgerust.
GB2299791A (en) 1995-02-23 1996-10-16 U K Lift Company Limited The Movable vehicle deck with means to keep deck level during movement
GB9619501D0 (en) 1996-09-19 1996-10-30 J & A Promotions Ltd Load bearing deck for vehic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986492A1 (en) 2000-03-22
ZA984597B (en) 1998-12-08
EP0986492A4 (en) 2000-08-23
AU7630098A (en) 1998-12-30
WO1998054026A1 (en) 1998-12-03
US6234740B1 (en) 2001-05-22
AUPO707997A0 (en) 1997-06-19
JP2002508726A (ja) 2002-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19567A (en) Slidable load lifting system
KR20010013117A (ko) 차량 화물 리프트
US7351027B2 (en) Vehicle loader mechanism
US5662453A (en) Truck bed lift system and method
US5593270A (en) Compact trailer having hydraulic fork lift
US8523508B2 (en) Vehicle with loading boxes or loading surfaces
US5035462A (en) Utility vehicle chassis having a vertically adjustable bed
EP1829815B1 (en) A forklift truck
CA2347900A1 (en) Vehicle for lifting and transporting containers
US3800915A (en) Cargo platform
EP0278558B1 (en) Road transport vehicle suitable for two separate loads
US3791541A (en) Cargo platform
US6530580B1 (en) Suspension assembly related application
PL196056B1 (pl) Pojazd transportowy do przewozu przedmiotów o dużych rozmiarach, zwłaszcza niskopodłogowy i zespół złożony z takich pojazdów
US6464446B1 (en) Vehicle with loading boxes for receiving loads
US6375409B1 (en) Combined lorry and transport unit system and method
US20050186057A1 (en) Vehicle sideloading elevator platform
US3804276A (en) Cargo platform
US20060182567A1 (en) Glass loading rack
US7029226B2 (en) Cargo carrying deck for the tractor of a semitrailer truck
US4139111A (en) Materials handling apparatus
EP0025768B1 (en) A transporting system comprising a vehicle with removable container
JP3011534U (ja) 積載物運搬車輌の積載装置
JP2542662Y2 (ja) 車両運搬車
KR20010015606A (ko) 리프트 베드를 갖는 차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