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2737A - 비포장도로용 어스무버형 공기 타이어 - Google Patents

비포장도로용 어스무버형 공기 타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2737A
KR20010012737A KR1019997010698A KR19997010698A KR20010012737A KR 20010012737 A KR20010012737 A KR 20010012737A KR 1019997010698 A KR1019997010698 A KR 1019997010698A KR 19997010698 A KR19997010698 A KR 19997010698A KR 20010012737 A KR20010012737 A KR 200100127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re
carcass
apex
bead
carcass 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106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레이만윌리암얼
Original Assignee
스위셔 케드린 엠
더 굿이어 타이어 앤드 러버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위셔 케드린 엠, 더 굿이어 타이어 앤드 러버 캄파니 filed Critical 스위셔 케드린 엠
Publication of KR200100127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2737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5/00Tyre beads, e.g. ply turn-up or overla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5/00Tyre beads, e.g. ply turn-up or overlap
    • B60C15/06Flipper strips, fillers, or chafing strips and reinforcing layers for the construction of the b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2Replaceable tr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5/00Tyre beads, e.g. ply turn-up or overlap
    • B60C15/0009Tyre beads, e.g. ply turn-up or overlap features of the carcass terminal portion
    • B60C15/0027Tyre beads, e.g. ply turn-up or overlap features of the carcass terminal portion with low ply turn-up, i.e. folded around the bead core and terminating at the bead c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5/00Tyre beads, e.g. ply turn-up or overlap
    • B60C15/06Flipper strips, fillers, or chafing strips and reinforcing layers for the construction of the bead
    • B60C15/0603Flipper strips, fillers, or chafing strips and reinforcing layers for the construction of the bead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bead filler or apex
    • B60C15/0607Flipper strips, fillers, or chafing strips and reinforcing layers for the construction of the bead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bead filler or apex comprising several parts, e.g. made of different rub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5/00Tyre beads, e.g. ply turn-up or overlap
    • B60C15/06Flipper strips, fillers, or chafing strips and reinforcing layers for the construction of the bead
    • B60C2015/0614Flipper strips, fillers, or chafing strips and reinforcing layers for the construction of the bead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chafer or clinch portion, i.e. the part of the bead contacting the ri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개선된 트랙 벨트 타이어가 다층 타이어 카커스의 외측 원주방향 표면에 장착되어 있는 착탈가능한 트레드 벨트 조립체로 구성된다. 상기 타이어 카커스는 상기 비드 와이어를 둘러싸고 루프되면서 축방향 내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플라이 끌어올림 단부를 갖는 매립된 카커스 플라이를 구비한다. 제 1 및 제 2 끌어올림 단부의 최외측 단부는 비드 와이어 직경의 약 2배 내지 3배에 해당하는 거리만큼 반경방향 외측에 위치하여서, 타이어 림에 장착되어 있는 타이어 카커스가 편향될 때 타이어 림의 플랜지 단부가 끌어올림 단부의 말단을 지지하도록 한다. 또한 끌어올림 단부는 비드 와이어 각각의 둘레에 배치되어 있는 제 1, 제 2, 제 3 및 제 4 어펙스 요소에 의해서도 지지된다. 또 카커스 플라이의 플라이선은 고유의 플라이선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비포장도로용 어스무버형 공기 타이어{TIRE WITH REVERSED CARCASS PLY TURNUP CONFIGURATION}
본 발명의 트랙 벨트 공기 타이어는 일반적으로 대형의 어스무버 차량에 사용하도록 설계된 것으로서, 채석장, 광산, 유리공장, 및 타이어가 펑크 발생 및 마모 유도 상태에 놓이는 다른 영역에서와 같은 거친 환경 조건하에서 고 응력 및 하중을 받는다.
미국 특허 제 4,351,380 호에 기술되어 있는 바와 같이, 종래의 트랙 벨트 타이어 조립체는 지지 구조체의 주변부 둘레로 이격되어 있는 복수의 접지형 슈우를 포함한다. 슈에 무거운 하중이 걸리면 고 응력이 전개되어 조기의 타이어 파손으로 이끌 수도 있다. 미국 특허 제 4,351,380 호는, 하중 지지 구조체의 주변부 둘레에 이격 배치되며 그것의 접지형 측부 반대쪽에 있는 슈우의 측부에 배치되어 있는 보강 벨트에 고착되어 있는 복수의 슈를 포함하는 개선된 트랙 벨트 조립체에 대한 것이다.
어스무버 차량용으로 보통 사용되고 있는 대형의 공기 타이어는 그들이 운행되고 있는 거친 환경 조건에 의하여 야기되는 고 응력 및 하중으로 인하여 때로 파손되기도 한다. 이 대형의 종래기술의 공기 타이어는 다른 파손 원인보다 우선하여 세가지 타이어 위치 또는 영역에서 더 쉽게 파손되는 경향이 있다. 첫 번째의 문제 영역은 플라이의 끌어올림 단부가 타이어의 측벽을 통하여 파손되기 쉽다는 것이었다. 두 번째의 문제 영역은 비드 영역에서 타이어가 파손된다는 것이었다. 세 번째의 문제 영역은 타이어의 크라운 및/또는 쇼울더 영역에서 파손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었다.
종래기술에 있어서, 이러한 문제에 대한 종래의 해결책은 측벽의 두께를 증기시켜서 굽힘 강성을 증가시키는 것과, 비드 영역 강성과 튼튼함을 증가시키는 것과, 측벽 강성을 증가시킴으로써 하중하에서의 타이어 변형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타이어의 내구성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하여 보통은 타이어의 플라이 끌어올림부가 보강된다.
본 발명의 출원인에게 양도된 미국 특허 제 4,609,023 호에 있어서는 타이어 카커스내에 측벽 삽입부가 채용되어, 타이어의 팽창시 플라이 구조체가 그것의 본래 형상에 부합되도록 한다.
어스무버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계속해서 연구해 보았더니, 어스무버 타이어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신규한 방법 및 타이어 설계를 제공할 필요가 계속 존재하였다. 본 발명은 타이어 조기 파손의 빈도를 대폭 감소시킨다고 생각되는 개선된 공기 타이어 및 착탈가능한 트랙 벨트 조립체에 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대형의 타이어를 여러 부분으로 나누어 반송한 다음에 도착 위치에서 조립할 수 있도록 하여 때로 높이가 13피트이고 중량이 대략 8,000 내지 15,000파운드 나갈 수도 있는 대형의 타이어 이송에 있어서의 다른 어려운 문제를 용이하게 한다. 더구나, 본 발명은 타이어의 구동 특성을 더욱 경제적으로 변경할 수 있으며 보통 필요로 하는 타이어 스페어 수의 재고를 감소시킬 수 있는 개선된 공기 타이어 및 착탈가능한 트랙 벨트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목적은 어스무버 차량용 공기 타이어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기 공기 타이어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중 하나 이상에 규정된 것이며, 그렇기 때문에 하기의 부수적인 목적중 하나 이상을 달성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기 타이어의 파손 빈도가 대폭 감소된 어스무버 차량을 위한 개선된 타이어 및 착탈가능한 트랙 벨트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대형의 타이어를 여러개의 부분들로 나누어 반송한 후에 도착 장소에서 조립할 수 있게 하도록 설계된 개선된 타이어 및 착탈가능한 트랙 벨트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타이어의 구동 특성을 신속하고 경제적으로 변경할 수 있게 하는 개선된 타이어 및 착탈가능한 트랙 벨트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재고로 저장된 타이어 스페어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게 하는 개선된 타이어 및 착탈가능한 트랙 벨트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반경방향 외측으로의 팽창이 억제된 신규한 트랙 벨트를 갖는 개선된 타이어 및 착탈가능한 트랙 벨트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타이어 트레드가 트레드 수명 및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더욱 편평한 트레드 프로파일을 유지하도록 된 개선된 타이어 및 착탈가능한 트랙 벨트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벨트가 관통 보호를 제공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개선된 타이어 및 착탈가능한 트랙 벨트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벨트가 비드 영역내의 타이어를 보강하기 위한 신규한 카커스 플라이 끌어올림부를 갖도록 구성되는 개선된 타이어 및 착탈가능한 트랙 벨트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a) 카커스 플라이의 끌어올림 단부중의 하나가 타이어의 측벽을 통하여 파손되는 것과; b) 비드 영역에서 타이어가 파손되는 것과; c) 측벽중 하나의 상측 쇼울더 영역에서 타이어가 파손되는 것과 같은 요인에 의하여 야기되는 타이어 파손의 가능성을 감소시키는 타이어 카커스내의 신규한 끌어올림 플라이 구성을 갖는 개선된 타이어 및 착탈가능한 트랙 벨트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개선된 트랙 벨트 타이어가 카커스의 외측 원주 둘레로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환상 랜드 및 홈을 갖는 타이어 카커스로 구성된다. 타이어 카커스의 외측 원주방향 표면에는 착탈가능한 트랙 벨트 조립체가 장착되어, 트랙 벨트 타이어를 형성한다. 트랙 벨트는 그것의 내측 원주 둘레로 형성된 복수의 환상 랜드 및 홈을 갖는다. 타이어 트레드의 환상 랜드 내에서는 복수의 0도 와이어가 타이어 트랙 벨트를 둘러싼다. 착탈가능한 트레드 벨트 조립체는 그것의 외측 표면에 접지형 트레드부를 구비한다. 이 타이어 카커스는 착탈가능한 트레드 벨트 조립체의 내측 표면상에 있는 원주방향 연장식 랜드 및 홈중 상보형의 것과 결합하도록 배향된 복수의 원주방향 연장식 랜드 및 홈을 갖는다.
본 발명은 트랙 벨트를 갖는 공기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형적으로 어스무버 차량과 함께 사용되는, 개선된 반경방향 보강형 비드 타이어 카커스상에 장착된 착탈가능한 트랙 벨트로 구성되는 개선된 착탈가능한 트랙 벨트 공기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만들어진 착탈가능한 타이어 트레드 벨트를 갖는 개선된 타이어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만들어진 것으로서 도 1에 도시한 대칭 타이어의 한쪽 또는 절반을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
도 2a는 도 2에 도시한 타이어의 비드 영역을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
도 3은 카커스 플라이가 비드 와이어 둘레를 축방향 내측으로 둘러싸고 있는 변형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만들어진 것으로서 도 3에 도시한 대칭 타이어의 한쪽 또는 절반을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
도 4a는 도 4에 도시한 타이어 카커스의 들어올림부를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
정의
"어펙스"란 용어는 비드 코어 둘레에 반경방향으로 배치된 보강되지 않은 탄성중합체를 말한다.
타이어의 "종횡비"라는 용어는 타이어의 단면 폭(SW)에 대한 단면 높이(SH)의 비율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퍼센트로서 표현하기 위하여 100%를 곱한 값이다.
"축방향" 및 "축방향으로"란 용어는 타이어의 회전축선에 평행한 선 또는 방향을 말한다.
"비드"라는 용어는 플리퍼, 치퍼, 어펙스, 토우 가드 및 채퍼와 같은 다른 보강 요소와 함께 또는 그들 없이 설계 림에 장착하기 위하여 성형되고 플라이 코드로 둘러싸여 있는 환상의 인장 부재를 포함하는 타이어의 부분을 말한다.
"벨트 또는 브레이커 보강 구조체"라는 용어는 직조될 수도 있고 직조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트레드의 아래에 놓이고, 비드에 고정되지 않으며, 타이어의 적도 평면에 대하여 17도 내지 33도 범위의 좌측 및 우측 코드각을 갖는 적어도 2층의 평행 코드 플라이를 말한다.
"바이어스 플라이 타이어"란 용어는 타이어의 적도 평면에 대하여 약 25° 내지 50°의 각도로 일 비드 코어로부터 다른 비드 코어까지 타이어를 가로질러 대각선으로 연장하고 있는 카커스 플라이내의 보강 코드를 갖는 카커스를 구비하는 타이어를 말한다. 층 간의 코드 각도는 서로 반대 방향이다.
"원주방향"이라는 용어는 축방향에 직교하는 환상 트레드의 표면의 주변부를 따라 연장된 선 또는 방향을 말한다.
"채퍼"라는 용어는 타이어에 대한 림의 운동에 의해 야기된 채핑(chaffing) 및 열화로부터 코드 플라이를 보호하기 위하여 비드의 외측을 둘러싸고 놓인 좁은 물질의 스트립을 말한다.
"치퍼"란 용어는 타이어의 비드부에 위치된 보강 구조체를 말한다.
"코드"란 용어는 타이어의 플라이를 구성하는 보강 스트랜드중 하나를 말한다.
"적도 평면(EP)"이란 용어는 타이어의 회전축선에 직교하고 타이어 트레드의 중앙을 통과하는 평면을 말한다.
"플리퍼"란 용어는 비드 코어 및 어펙스를 둘러싸는 보강된 직물을 말한다.
"풋프린트"란 용어는 하중 및 압력을 받는 상태에서 타이어 트레드가 편평한 표면과 접촉하는 영역 또는 접촉 패치를 말한다.
"내측 라이너"라는 용어는 튜브리스 타이어(tubeless tire)의 내측 표면을 형성하고 타이어내의 팽창 가스 또는 유체를 수납하고 있는 탄성중합체 또는 다른 물질의 층 또는 층들을 말한다.
"접지율"이란 용어는 풋프린트에 있는 동안 노면과 접촉하는 타이어 트레드 고무의 영역을, 홈과 같은 비접촉부를 포함하는 풋프린트내의 트레드 영역으로 나눈 값을 말한다.
"공칭 림 직경"이란 용어는 타이어의 비드 와이어를 밀봉하고 있는 위치에서 림 베이스의 직경을 말한다.
"정규 팽창 압력"이란 용어는 타이어의 서비스(service) 상태를 위하여 적절한 표준 기관에서 정한 특정 설계 팽창 압력에서의 특정 부하를 말한다.
"정규 하중"이란 용어는 타이어의 서비스 상태를 위하여 적절한 표준 기관에서 정한 특정 설계 팽창 압력에서의 특정 설계를 말한다.
"플라이"라는 용어는 고무로 피복된 평행 코드의 연속층을 말한다.
"반경방향" 및 "반경방향으로"란 용어는 타이어의 회전축선을 향하여 또는 그것으로부터 멀어지면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방향을 말한다.
"레이디얼-플라이 타이어"란 용어는 일 비드로부터 다른 비드까지 연장되어 있는 플라이 코드가 타이어의 적도 평면에 대하여 65° 내지 90°의 코드 각도로 놓여 있는 벨트식 또는 원주방향 억제식 공기 타이어를 말한다.
"단면 폭(SH)"이란 용어는 타이어의 적도 평면에서 공칭 림 직경으로부터 타이어의 외경까지의 반경방향 거리를 말한다.
도 1을 참조하면, 개선된 트랙 벨트 공기 타이어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이 특정 실시예는 크기가 60/80R63 및/또는 70/68R63인 어스무버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크기가 60/80R63인 타이어는 최대 팽창 외경이 162인치(411.48cm)이고, 축방향으로의 타이어 최대 팽창 폭이 60.00인치(152.40cm)이며, 공칭 비드 직경이 63인치(160.02cm)이다. 크기가 70/68R63인 타이어는 최대 팽창 외경이 162인치(411.45cm)이고, 축방향으로의 타이어 최대 팽창 폭이 70.0인치(177.80cm)이며, 공칭 비드 직경이 63인치(160.02cm)이다. 이들 타이어는 공기에 의해서, 때로는 공기/질소 혼합물에 의해서 보통 약 100파운드/제곱인치(psi)의 압력으로 팽창한다.
개선된 트랙 벨트 공기 타이어(10)는 반경방향으로 보강된 비드형 타이어 카커스(14)상에 장착된 접지형 원주방향 연장식 트랙 벨트(12)를 구비한다. 이 비드형 카커스(14)는, 타이어 카커스의 외측 원주방향 표면(20)으로부터 반경방향 내향으로 연장하고 반경방향 말단부가 한쌍의 비드 와이어(22, 24)에서 각기 종단되는 한쌍의 타이어 측벽(16, 18)을 구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측벽(16, 18)은 타이어 카커스(14)의 최대 단면 폭의 반경방향 내측에 있는 타이어 카커스(14)의 쇼울더 영역에 상부(16a, 18a)를, 그리고 타이어 카커스(14)의 최대 단면 폭의 반경방향 내측에 있는 비드 와이어(22, 24)의 근방에 하부(16b, 18b)를 각기 구비한다. 타이어 카커스(14) 구성의 세부는 하기에서 상세히 기술된다.
타이어 카커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타이어 카커스(14)의 세부가 도시된다. 축방향 내측 표면(28)은 타이어(10)를 팽창시키기 위한 공기압을 보유하는 내측라이너를 형성하는 내측 플라이 라이너(26)이다. 내측 플라이 라이너(26)는 타이어 카커스(14)의 내측 표면(28) 전체를 덮으며 타이어(10)의 팽창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카커스내에 공기를 보유시키는 역할을 한다. 타이어 카커스(12) 내에서 내측 표면(28)의 곡선부 영역에는, 배리어 고무층(36)의 상부를 지지함과 아울러 배리어 고무가 플라이층(34)내에서 플라이 와이어를 통하여 압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직물 배리어 플라이(30, 32)가 제공된다. 두 개의 배리어 플라이(30, 32)가 도시되었지만, 특정 설계의 필요에 맞춰, 하나 내지 네 개의 배리어 플라이를 사용하는 것이 본 발명의 범위내에 속한다.
또한 카커스(14)는 그것의 구성으로서 타이어 카커스의 크라운 영역이라 불리는 타이어 카커스의 외측 원주방향 표면(20)으로부터 반경방향 내향으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타이어 코드 직물의 고무화된 적층식 플라이 층(34)을 구비하며, 비드 와이어(22, 24) 둘레를 둘러싸고 있거나 루프되어 있는 끌어올림 단부(34a, 34b)를 갖는다. 카커스 플라이(34)가 단일의 플라이 구성을 갖는 것으로서 도시되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다수의 플라이 구성이 채용될 수도 있다. 이 카커스 플라이(34)는 스틸 코드의 고무화된 플라이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비-스틸제의 카커스 보강 물질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타이어 장착 림(42) 및 비드 타이어(22, 24)의 플랜지(35)의 각각에 대한 끌어올림 단부(34a, 34b)의 위치는 본 발명에서 중요한 것이므로 하기에서 상세히 기술할 것이다.
내측 라이너(26)와 플라이층(34)의 사이에는, 플라이층(34)의 전체 길이를 지지하고 플라이층(34)에 대하여 압축된 연질의 고무 화합물로 형성된 배리어 고무층(36)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어펙스 또는 어펙스 요소(38, 39)라 부르고 있으며 각기 대체로 삼각형의 형상을 지니고 있는 환상의 보강재가 배리어 고무(36)와 내측 라이너(26)의 사이에서 비드 와이어(22, 24)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각기 제공된다. 어펙스(38, 39)는 비드 영역을 보강하기 위하여 중간 측벽 부분에서 내측 라이너(26)의 영역으로부터 비드 영역의 반경방향 외향으로 각기 연장되어, 타이어가 플랜지(35) 위로 절곡하지 못하게 하는데에 도움을 준다. 비드 와이어(22, 24)를 둘러싸면서 위로 감겨져 있는 플라이층(34)의 사이에서 어펙스(38, 39)로부터 축방향 외향으로는 하측의 검 채퍼(lower gum chafer)(40, 41)가 위치하고 있는데, 이것은 휘일 장착 림(42)의 영역에서 비드 와이어(22, 24)를 각기 지지하여, 인접한 휘일 장착 림에 의한 타이어의 채핑을 방지한다. 하측의 검 채퍼(40, 41)의 바로 옆에는 상측의 검 채퍼(44, 45)와 하측의 타이어 측벽(16b, 18b)이 각기 배치되어, 플랜지(35)의 영역에서 비드 와이어(22, 24)에 대하여 지지를 제공함과 동시에 인접한 휘일 장착 림에 의한 타이어의 채핑도 방지한다.
비드 와이어(22, 24)를 부분적으로 둘러싸고 있는 영역에서 하측 채퍼(40, 41)와 고무 배리어(36)의 사이에는, 비드 와이어(22, 24)를 지지하는 채퍼 플라이(46, 47)가 위치된다. 도 2 및 도 2a에 가장 잘 도시한 것과 하측 채퍼(40, 41)의 내측 배향면에는 와이어 채퍼 플라이(46)가 주로 배치된다. 비드 와이어(22, 24)와 플라이층(34)의 내측 표면의 사이에는 플리퍼(48, 49)가 각기 위치되는데, 이 플리퍼(48, 49)는 어펙스중 하나의 적어도 일부와 비드 코어 둘레를 감싸고 있는 보강된 직물이다. 플라이층(34)의 단부(34a, 34b)의 양쪽에는 두 개의 와이어 코트 검 층(50, 52)이 위치되는데, 이 층(50, 52)은 플라이(34)의 단부(34a, 34)를 각기 덮으며, 타이어 제조중이나 타이어가 심하게 절곡될 때에 플라이(34)내의 와이어를 노출시킴이 없이 검 층(50, 52)의 사이에서 플라이(34)가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어펙스 구성
비드 와이어(22, 24) 주변 영역을 보강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에서 어펙스(54, 55)라 부르고 있으며 대체로 네 개의 측면 형상을 갖고 있는 두 개의 환상 보강재가 플리퍼(48, 49)의 사이에서 비드 와이어(22, 24)의 반경방향 외향으로 어펙스(58, 59)의 외측에 제공되어, 타이어가 플랜지(35)위로 절곡하지 못하게 하는데 일조한다. 끌어올림 단부(34a, 34b)와 층(34)에 의해 고무화된 하측 내측 단부의 사이에는 어펙스(54, 55)가 추가로 배치된다. 어펙스(54, 55)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는 본 명세서에서 어펙스(58, 59)라 부르고 있는 두 개의 환상 보강재가 접촉 연장되며, 이것은 고무화된 플라이층(34)의 단부(34a, 34b)를 지지하는데 일조한다. 어펙스(54, 55)는 200% 연신시 약 12.2 - 14. 9메가파스칼/cm2의 계수를 갖는 비교적 경질의 화합물로 구성된다. 어펙스(58, 59)로부터 축방향 외측으로는 외측 어펙스(62, 64)가 각기 배치되어 있다. 이 어펙스(38, 39, 58, 59, 62, 64)는 200% 연신시 약 7.2 - 8.8메가파스칼/cm2의 계수를 갖는 동일한 비교적 연질의 고무 화합물로 대체로 구성되며, 타이어의 절곡에 의하여 발생된 응력으로 인해 야기되는 플라이층(34)의 끌어올림 단부(34a, 34b) 주위의 응력을 흡수하는 완충작용을 한다. 이 어펙스(38, 39, 58, 59, 62, 64)는 동일한 고무 화합물로 보통 구성되지만, 200% 연신시 약 7.2 내지 8.8메가파스칼/cm2의 상이한 계수를 갖는 하나 이상의 어펙스를 구성하는 것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어펙스(38, 39, 58, 59, 62, 64)는 비드 와이어(22, 24)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그것의 바로 근방에 위치되어 있는 어펙스(54, 55)보다 각기 더 연질이다. 어펙스(54, 55)를 형성하는데에 사용되는 고무 화합물은 어펙스(38, 39, 58, 59, 62, 64)를 형성하는데에 사용되는 고무 화합물보다 약 20% 내지 약 50%, 바람직하게는 약 20% 내지 약 50% 더 강성이다.
카커스 플라이 끌어올림 단부의 위치
플라이 끌어올림 단부(34a, 34b)의 위치는 본 발명의 중요한 요소이다. 도 2a에 도시한 것과 같이, 끌어올림 단부(34a, 34b)는 비드 와이어(22, 24)의 중심을 통하여 연장하는 중심선(66)과, 카커스 플라이부(34a, 34b)가 와이어 비드(22, 24) 둘레로 루프되어 있는 카커스 플라이(34)의 반경방향 최내측 표면에 대하여 접선인 선(67)의 교차점으로부터, 중심선(66)에 직교하고 플라이층(34)의 외측 단부에 접선인 선(68)까지 비드 직경의 약 2 내지 3배에 해당하는 거리로 반경방향 외측에 위치된다. 플라이층(34)의 끌어올림 단부(34a, 34b)의 외측 단부의 위치는 중요한데, 그 이유는 끌어올림 단부가 타이어 측벽의 중심에 보다 가까이 연장되어 있는 종래기술의 구성에 있어서 측벽을 통하여 플라이 단부를 파괴시킬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클 수도 있었던, 플라이 단부에 가해지는 압력에 견딜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카커스 플라이(34)의 끌어올림 단부(34a, 34b)의 외측 단부를 플랜지(35)의 반경방향 외측 단부에 더 가까운 하측 위치에 위치시키는 것의 장점은, 운행 조건으로 인해서 타이어가 외측으로 편향될 때, 플라이층(34)의 끌어올림 단부(34a, 34b)의 말단이 플랜지(35)로 지지될 것이라는 점이다. 이러한 구조는, 끌어올림 단부(34a, 34b)의 외측 단부가 타이어 카커스(14)의 측벽 내의 균열의 원인이 될 가능성, 즉 측벽을 외측으로 관통할 가능성을 대폭 감소시킬 것이다.
고유의 플라이선
플라이층(34)의 플라이선은 고유의 플라이선을 따르는데, 그 말은 팽창시 그것이 이미 그것의 고유 형상으로 존재한다는 것이다. 플라이층(34)은 타이어상의 팽창 변형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팽창시 그것을 고유 형상을 유지한다. 비드(22)의 하측으로 연장하는 플라이 코드 부분은, 비드(22, 24)를 통과하는 중앙선에 거의 평행한 림 플랜지(35)의 축방향 내측 표면(37)에 의하여 그것의 길이를 따라 균등하게 지지된다.
트랙 벨트
접지하는 원주방향 연장형 트랙 벨트(12)는 타이어 카커스(14)상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된다. 도 1에 가장 잘 도시한 바와 같이, 트랙 벨트(12)의 내측 원주방향 표면(70)의 하측은 타이어 카커스(14)의 랜드(76)와 홈(78)에 정합하는 복수의 환상 랜드(72)와 홈(74)을 포함하여, 벨트(12)가 카커스(14)에 대하여 횡방향 또는 축방향 이동하지 못하게 한다. 타이어 트랙 벨트(12)는 트레드 부분(80)과 복수의 트레드 벨트(82, 84, 86, 88)(82-88)를 구비한다. 4개의 트레드 벨트(82-88)가 도시되었지만, 필요에 따라서 다른 수의 트레드 플라이를 사용하는 것도 본 발명의 범위내에 속한다. 대형의 어스무버 차량에 사용하기 위하여 착탈가능한 타이어 트랙 벨트를 타이어 카커스와 조합하는 것은 중요한데, 그 이유는 타이어의 일부, 즉 타이어 카커스의 타이어 벨트가 다른 부분보다 빨리 마모되어 버렸을 때 전체 타이어 대신 타이어의 일부를 교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구동 또는 조향 타이어 설계와 같은 다른 유형의 트레드 설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이 특징으로 인해서 소망하는 타이어의 적절한 스타일을 구성하기 위하여 타이어 트레드를 교체하는데에 비용이 절감된다. 또한 이 특징은 스페어 타이어의 보관비를 대폭 감소시킬 것이고 또한 심지어는 타이어의 작동기간을 연장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신규한 특징은 0도 와이어(90)의 설치에 있다. 이 0도 와이어는 타이어 트레드를 둘러싸며, 타이어 카커스의 편향이 심할 때 야기될 수 있는 트레드 벨트(12)의 반경방향 외향 성장을 억제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타이어 트레드의 반경방향 외향 팽창을 금지시키면, 타이어 트레드는 더 편평한 트레드 프로파일을 유지할 것이고, 그 결과 트레드 수명 및 내구성이 향상될 것이다. 또한 다층의 와이어는 절단 및 관통에 대한 보호도 제공할 것이다. 0도 와이어(90)를 타이어 트레드(12)의 환상 랜드(72)내에 위치시키면 두가지의 추가 장점이 있다. 첫째, 타이어 트레드 벨트가 타이어 카커스상에 설치되어 있을 때, 타이어 카커스는 팽창 및 외향 가압되어, 그것의 랜드(76)를 타이어 트레드 벨트(12)의 내측 표면 둘레에 위치된 환상 홈속으로 가압시킨다. 동일한 방식으로, 0도 와이어(90)를 수납하고 있는 트레드 벨트의 랜드(76)가 타이어 카커스(14)의 홈(20)속으로 가압된다. 그러나, 이 와이어(90)는 환상 랜드(76)가 타이어 카커스(14)의 크라운부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팽창하지 못하게 하기 때문에, 랜드(76)가 타이어 벨트(12)내에 형성되어 있는 홈(70)속으로 가압된다. 0도 와이어(90)가 없는 영역에서는 타이어 벨트가 약간 더 팽창할 수 있기 때문에, 환상 랜드(76)는 환상 홈(74)내로 더 깊이 가압되는 경향이 있으므로 타이어 카커스(14)에 대한 타이어 벨트(12)의 지지가 더 양호해질 것이다. 0도 와이어(90)를 환상 랜드(72)내에 위치시키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랜드(71)와 트레드 벨트(72) 사이에서 벨트내에 매립되어 있는 0도 와이어 케이블의 추가 층을 구비시키는 것도 본 발명의 범위내에 속한다.
끌어올림 플라이의 변형예
도 3, 도 4 및 도 4a에 도시한 타이어 카커스(14)와 같은 타이어 카커스의 변형예는 그것의 구성으로서, 타이어 카커스의 크라운 영역이라 불리기도 하는, 타이어 카커스의 외측 원주방향 표면(110)으로부터 반경방향 내향으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무화된 적층식 타이어 코드 직물 플라이층(134)을 구비하며, 또한 비드 와이어(122, 124) 둘레를 각기 감싸거나 루프하고 있는 끌어올림 단부(134a, 134b)를 갖는다. 카커스 플라이(134)를 단일 플라이 구성으로서 도시하였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다수 플라이 구성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카커스 플라이(134)는 고무화된 스틸 코드의 플라이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비스틸형 카커스 보강 물질로 만드는 것도 가능하다. 타이어 장착 림(142)의 플랜지(135)와 비드 와이어(122, 124)에 대한 끌어올림 단부(134a, 134b)의 각 위치는 본 발명에서 중요한 것으로서 하기에서 더욱 상세히 후술할 것이다.
내측 라이너(126)와 플라이층(134)의 사이에는, 플라이층(134)의 전체 길이를 지지하고 플라이층(134)을 압착하는 연질의 고무 화합물로 형성된 배리어 고무층(136)이 있다. 배리어 고무(136)와 내측 라이너(126)와 끌어올림 플라이(134)의 사이에서 비드 와이어(122, 124)의 반경방향 외측에는, 본 명세서에서 어펙스 요소 또는 간단히 어펙스(138, 139)라고 부르며 각기 대체로 삼각형의 형상을 갖는 환상의 보강재가 각기 제공된다. 어펙스(138, 139)는 비드 영역을 보강하기 위하여 비드 와이어(122, 124)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내측 라이너(126)의 영역 및 대략 중간 측벽으로부터 연장되어 타이어가 플랜지(135) 위로 절곡되지 못하게 한다. 비드 와이어(122, 124)를 둘러싸고 절곡되어 있는 플라이층(134)의 사이에서 어펙스(138, 139)의 축방향 내측으로는 하측 검 채퍼(140, 141)가 각기 위치하는데, 이 하측 검 채퍼는 휘일 장착 림(142)의 영역에서 비드 와이어(122, 124)를 각기 지지하면서 인접한 휘일 장착 림에 의한 타이어의 채핑을 방지한다. 하측 타이어 측벽(116b, 118b)과 하측 검 채퍼(140, 141) 위에는 상측 검 채퍼(144, 145)가 각기 배치되어 플랜지(135)의 영역에서 비드 와이어(122, 124)에 대한 지지를 제공하면서 인접한 휘일 장착 림에 의한 타이어의 채핑을 방지한다.
비드 와이어(122, 124)를 부분적으로 둘러싸고 있는 영역에서 하측 채퍼(140, 141)와 고무 배리어(136)의 사이에는 비드 와이어(122, 124)를 지지하는 와이어 채퍼 플라이(146, 147)가 각기 위치한다. 도 3, 도 4 및 도 4a에 가장 잘 도시한 바와 같이, 와이어 채퍼 플라이(146)는 하측 채퍼(140, 141)의 내향 표면위에 주로 배치된다. 플라이층(134)의 내측 표면과 비드 와이어(122, 124)의 사이에는 플리퍼(148, 149)가 각기 위치하는데, 이 플리퍼는 어펙스중 하나의 적어도 일부 및 비드 와이어를 둘러싸고 있는 보강 직물이다. 플라이층(134)의 단부(134a, 134b)의 양쪽에는 두개의 와이어 코트 검 층(150, 152)이 있는데, 이들은 플라이(134)의 각 단부(134a, 134b)를 덮어서, 타이어 제조중 플라이(134)내의 와이어를 노출시킴이 없이 또는 타이어의 심각한 절곡 없이 와이어 플라이(150, 152)의 사이에서 플라이(134)가 움직일 수 있게 한다.
변형예의 어펙스 구성
플리퍼(148, 149)의 사이에서 비드 와이어(122, 124)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어펙스(158, 159)까지는 비드 와이어(122, 124) 주변의 영역을 보강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에서 어펙스 요소 또는 어펙스(138, 139)라고 부르며 각기 대체로 네개의 변을 갖고 있는 두개의 환상 보강재가 각기 제공되어서, 타이어가 휠 림(142)의 플랜지(135) 위로 절곡되지 못하게 한다. 고무화된 플라이층(134)의 하측 내향 단부와 끌어올림 단부(134a, 134b)의 사이에는 어펙스(154, 155)가 추가로 배치된다. 어펙스(154, 155)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는 본 명세서에서 어펙스(158, 159)라 부르는 두개의 환상 보강재가 그것에 각기 접촉하면서 연장되는데, 이 보강재들은 고무화된 플라이층(134)의 단부(134a, 134b)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어펙스(154, 155)는 200% 연신시 약 12.2 - 14.9메가파스칼/cm2의 계수를 갖는 비교적 경질의 화합물로 만들어진다. 어펙스(154, 155)로부터 축방향 내측으로는 내측 어펙스(138, 139)가 각기 위치한다. 어펙스(154, 155)로부터 축방향 외측으로는 외측 어펙스(162, 164)가 각기 존재한다. 어펙스(138, 139, 158, 159, 162, 164)는 200% 연신시 약 7.2 - 8.8메가파스칼/cm2의 계수를 갖는 어떤 비교적 연질의 고무 화합물로 대체로 만들어지고, 완충작용을 하여 타이어의 절곡에 의하여 발생된 응력으로 인해 야기된 플라이층(134)의 끌어올림 단부(134a, 134b) 주위의 응력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어펙스(138, 139, 158, 159, 162, 164)가 보통은 동일한 고무 화합물로 제조되지만, 200% 연신시 약 7.2 - 8.8메가파스칼/cm2범위의 상이한 계수를 갖는 하나 이상의 어펙스를 구성하는 것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어펙스(138, 139, 158, 159, 162, 164)는, 비드 와이어(122, 124)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그의 바로 근방에 놓여 있는 어펙스(154, 156)보다 각기 더 연질이다. 어펙스(154, 156)를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된 고무 화합물은 어펙스(138, 139, 158, 159, 162, 164)를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된 고무 화합물보다 약 20% 내지 약 50% 더 강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변형예의 플라이 끌어올림 단부의 위치
카커스 플라이 끌어올림 단부(134a, 134b)의 위치는 본 발명에서 중요하다. 끌어올림 단부(24a, 34b)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들은 비드 와이어(122, 124)의 축방향 외측으로 루프된다. 이것은, 타이어가 타이어 카커스(114)의 비드 영역을 플랜지(135)에 대하여 누르는 압력으로 인해서 플라이 단부(134a, 134b)가 카커스의 크라운으로부터 비드 와이어(122, 124)까지 축방향 하향으로 안내되는 카커스 플라이의 부분을 실제로 가압하기 때문에 중요하다. 이 가압력으로 인해서 플라이 단부(134a, 134b)의 반경방향 운동이 방지된다. 이것은 또한 측벽에 대한 추가 지지도 제공하여 그들이 축방향 외향으로 이동하는 것도 방지한다. 또한 비드 와이어(122, 124)를 둘러싸고 있는 비드 영역이 보강되어 비드 와이어의 회전 운동의 경향이 감소되는데, 그 이유는 플라이 단부(134a, 134b)가 카커스의 크라운으로부터 비드 와이어(122, 124)로 축방향 하향으로 안내되는 카커스 플라이(134)의 부분을 가압하는 효과 때문이다.
도 3, 도 4 및 도 4a에 도시된 설계의 다른 혁신은, 비드 와이어(122, 124)의 중심을 통하여 연장하는 중심선(166)과, 카커스 플라이 끌어올림 단부(134a, 134b)가 비드 와이어(122, 124)를 둘러싸고 루프되어 있는 카커스 플라이(134)의 반경방향 최내측 표면에 대하여 접선인 선(167)간의 교차점으로부터, 중심선(166)에 대하여 직교하고 카커스 플라이층(134)의 외측 단부에 대하여 접선인 선(168)까지 비드 직경의 약 2 내지 3배에 해당하는 거리에 위치한다. 플라이층(134)의 끌어올림 단부(134a, 134b)의 외측 단부의 위치는 중요한데, 그 이유는 끌어올림 단부가 타이어 측벽의 중심에 더 가까이 연장되어 있는 종래기술의 구성에 있어서는 플라이 단부에 발휘되는 압력이 플라이 단부를 측벽을 관통하여 파괴시킬 정도로 충분히 큰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플랜지(135)의 반경방향 외향 에지에 보다 가까운 하측 위치에 카커스 플라이(134)의 끌어올림 단부(134a, 134b)를 갖는 잇점은, 타이어를 외향으로 편향시키는 작동 상태에 있을 때 플라이(134) 및 플랜지(135)에 의해서 플라이층(134)의 단부(134a, 134b)를 지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루프된 축방향 내향 플라이 단부(134a, 134b)의 전체적인 유익한 효과는 끌어올림 단부(134a, 134b)가 타이어 카커스(114)의 측벽을 통하여 축방향 외향으로 관통할 가능성이 대폭 감소된다는 것이다.
도 3, 도 4 및 도 4a가 어펙스(156, 157, 158, 159, 162, 164) 및 플리퍼(148, 149) 뿐만 아니라 도시한 바와 같은 다른 대체로 흔한 카커스 요소의 특정 구성을 도시하고 있지만, 레이디얼 타이어의 특정 구성에 필요하다면 레이디얼 플라이 타이어내에 루프된 축방향 내향의 플라이층 단부(134a, 134b)가 어펙스 치퍼 및 다른 흔한 카커스 요소의 임의의 구성과 함께 채용될 수 있다. 타이어 카커스(100)상에 장착된 타이어 트랙 벨트(120)를 갖는 트랙 벨트 공기 타이어(100)가 루프된 축방향 내향의 플라이층 끌어올림 단부(134a, 134b)로 구성될 수 있지만, 예를 들면 본 명세서에서 참고로 인용하는 미국 특허 제 4,609,023 호에 도시한 공기 타이어와 같이, 공기 타이어내에 루프된 축방향 내향의 플라이층 끌어올림 단부를 채용하는 것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더구나, 본 발명이 예를 들면 어스무버 차량에 장착하기에 적합한 대형의 공기 타이어와 같은 공기 타이어에 루프된 축방향 내향의 플라이층 끌어올림 단부를 채용하고 있지만, 트럭, 자동차, 상업 및 거주용 차량을 비롯한 임의 유형의 차량에 적합한 공기 타이어에 내향의 끌어올림 단부를 채용하는 것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변형예의 고유 플라이선
플라이층(134)의 고유 플라이선은 고유의 플라이선을 따라 형성되는데, 이 말은 팽창시 이미 그의 고유 형상으로 존재한다는 것이다. 카커스 플라이(1340는 팽창시 그것을 고유 형상을 유지하여 타이어에 대한 팽창 응력을 감소시킨다. 비드(122, 124)까지 하향으로 연장하는 플라이층(134)의 부분은 비드(122, 124)의 중심을 관통하는 중심선(166)과 거의 평행한 림 플랜지(135)의 축방향 내부 표면(137)에 의해서 그것의 전체 길이를 따라 동일하게 지지된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고무 화합물이란 용어는 임의의 탄성중합체성 화합물을 뜻한다.
본 발명에 따라서 향상된 타이어 카커스 끌어올림부 구성을 가짐으로써 타이어 내구성이 대폭 향상된 개선된 타이어 및 착탈가능한 트랙 벨트 조립체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된다는 것은 명백하다. 개선된 타이어 카커스 플라이 끌어올림부 구성은, 비드 와이어를 둘러싸고 루프되어 그것으로부터 축방향 내향으로 연장하고 있는 제 1 및 제 2 끌어올림 단부를 갖는 일편의 타이어 카커스 및 트레드 팩키지를 구비하는 공기 타이어에 내장될 수 있다. 또한 개선된 타이어 카커스 플라이 끌어올림부 구성이 개선된 어펙스 구성을 갖는 타이어에도 채용될 수 있다. 개선된 타이어 및 착탈가능한 트랙 벨트 조립체를 이용하면, 대형의 타이어를 여러개의 부분으로 나누어서 반송한 다음 도착 위치에서 조립할 수 있게 된다. 더구나, 착탈가능한 트랙 벨트 조립체를 이용하면, 상이한 벨트를 타이어 카커스에 적용시킬 수 있게 되므로, 타이어의 구동 특성을 신속하고 경제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게다가, 착탈가능한 트랙 벨트 조립체는 반경방향 외향 팽창이 억제된 신규한 트랙 벨트를 제공하여 타이어 트레드가 더욱 편평한 트레드 프로파일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트레드 수명 및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관통 보호를 향상시킨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그것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기술하였지만, 당업자라면 전술한 개시내용에 비추어 많은 변경, 변형 및 변화가 있다는 것을 명백히 알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정신 및 범위내에 속하는 그러한 변경 변형 및 변화를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Claims (16)

  1. 팽창가능한 다층 타이어 카커스의 외측 원주방향 표면에 장착되는 착탈가능한 트레드 벨트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타이어 카커스는 적어도 하나의 카커스 플라이와, 한쌍의 이격진 비드 와이어와, 상기 비드 와이어로부터 타이어 카커스의 외측 원주방향 표면까지 연장하는 한쌍의 측벽부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커스 플라이는 상기 타이어 카커스내에 매립되고, 상기 타이어의 원주 둘레로 완전히 연장되며, 상기 비드 와이어 둘레를 돌아 루프되면서 축방향 외향으로 연장된 제 1 및 제 2 끌어올림 단부를 갖는 트랙 벨트 공기 타이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끌어올림 단부의 최외측 단부는, 비드 와이어의 중심을 통하여 연장하는 중심선과, 카커스 플라이 끌어올림부가 와이어 비드 둘레로 루프되어 있는 카커스 플라이의 반경방향 최내측 표면에 접선인 선간의 교차점으로부터, 상기 중심선에 직교하고 상기 카커스 플라이의 끌어올림 단부의 외측 단부에 대하여 접선인 선까지 측정할 때 비드 와이어 직경의 약 2배 내지 3배에 해당하는 거리만큼 반경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트랙 벨트 공기 타이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랙 벨트 타이어가 상기 비드 와이어 각각의 위에 반경방향으로 배치된 제 1, 제 2, 제 3 및 제 4 어펙스 요소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 1 어펙스 요소는 상기 비드 와이어 각각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그 근방에 위치되고, 상기 제 2 어펙스 요소는 상기 타이어 카커스 플라이의 원주로부터 상기 비드 와이어로 안내되는 상기 제 1 카커스 플라이의 부분과 상기 카커스 플라이의 제 1 및 제 2 끌어올림 단부의 부분 사이에서 상기 제 1 어펙스 요소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그 근방에 위치되며, 상기 제 3 어펙스 요소는 상기 제 1 및 제 2 끌어올림 단부의 축방향 외향 측부상에 위치되고, 상기 제 4 어펙스 요소는 상기 제 1 카커스 플라이의 제 1 및 제 2 끌어올림 단부의 축방향 내향 측부위에 위치되는 트랙 벨트 공기 타이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어펙스 요소는 제 2, 제 3 및 제 4 어펙스 요소를 만드는 제 2 탄성중합체보다 더 강성인 제 1 탄성중합체로 만들어지는 트랙 벨트 공기 타이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어펙스 요소는 제 2, 제 3 및 제 4 어펙스 요소를 만드는 제 2 탄성중합체보다 적어도 20% 내지 약 50% 더 강성인 제 1 탄성중합체로 만들어지는 트랙 벨트 공기 타이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가능한 트레드 벨트 조립체를 상기 타이어 카커스에 고정시키기 위한 상호체결 구조체를 더 구비하는 트랙 벨트 공기 타이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상호체결 구조체가 상기 팽창가능한 하중 지지 구조체의 외측 원주방향 표면상에 있는 상보형의 상호체결 지지 구조체와 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착탈가능한 트레드 벨트 조립체의 내측 표면상에 형성된 상호체결 벨트 구조체를 구비하는 트랙 벨트 공기 타이어.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상호체결 트레드 구조체가 복수의 원주방향 연장식 랜드 및 홈을 포함하고;
    상기 상호체결 지지 구조체가 상기 착탈가능한 트레드 벨트 조립체의 내측 표면상에 있는 원주방향 연장식 랜드 및 홈중 상보형의 것과 결합하도록 배향된 복수의 원주방향 연장식 랜드 및 홈을 포함하여, 상기 팽창가능한 하중 지지 구조체의 외측 원주 주변부에 대한 상기 착탈가능한 트레드 벨트 조립체의 축방향 이동을 방지하는 트랙 벨트 공기 타이어.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가능한 트레드 벨트 조립체가, 그것의 외측 표면상에 형성된 접지형 트레드부와, 상기 타이어 카커스의 외측 원주 주변부에 대한 상기 착탈가능한 트레드 벨트 조립체의 축방향 이동을 방지하도록 배향된 복수의 원주방향 연장식 랜드 및 홈을 구비하는 트랙 벨트 공기 타이어.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카커스 플라이층의 플라이선은 고유의 플라이선을 따라 형성되는 트랙 벨트 공기 타이어.
  11. 외측 원주방향 표면에 배치된 트레드 조립체를 갖는 팽창가능한 타이어 카커스를 포함하고,
    상기 타이어 카커스는 적어도 하나의 카커스 플라이와, 한쌍의 이격진 비드 와이어와, 상기 비드 와이어로부터 타이어 카커스의 외측 원주방향 표면까지 연장하는 한쌍의 측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커스 플라이는 상기 타이어 카커스내에 매립되고, 상기 타이어의 원주 둘레로 완전히 연장되며, 상기 비드 와이어 둘레를 돌아 루프되면서 축방향 외향으로 연장된 제 1 및 제 2 끌어올림 단부를 갖는 공기 타이어.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끌어올림 단부의 최외측 단부는, 비드 와이어의 중심을 통하여 연장하는 중심선과, 카커스 플라이 끌어올림부가 와이어 비드 둘레로 루프되어 있는 카커스 플라이의 반경방향 최내측 표면에 접선인 선간의 교차점으로부터, 상기 카커스 플라이의 끌어올림 단부의 외측 단부에 대하여 접선인 선까지 측정할 때 비드 와이어 직경의 약 2배 내지 3배에 해당하는 거리만큼 반경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공기 타이어.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랙 벨트 타이어가 상기 비드 와이어 각각의 위에 반경방향으로 배치된 제 1, 제 2, 제 3 및 제 4 어펙스 요소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 1 어펙스 요소는 상기 비드 와이어 각각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그 근방에 위치되고, 상기 제 2 어펙스 요소는 상기 타이어 카커스 플라이의 원주로부터 상기 비드 와이어로 안내되는 상기 제 1 카커스 플라이의 부분과 상기 카커스 플라이의 제 1 및 제 2 끌어올림 단부의 부분 사이에서 상기 제 1 어펙스 요소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그 근방에 위치되며, 상기 제 3 어펙스 요소는 상기 제 1 및 제 2 끌어올림 단부의 축방향 외향 측부상에 위치되고, 상기 제 4 어펙스 요소는 상기 제 1 카커스 플라이의 제 1 및 제 2 끌어올림 단부의 축방향 내향 측부위에 위치되는 트랙 벨트 공기 타이어.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어펙스 요소는 제 2, 제 3 및 제 4 어펙스 요소를 만드는 제 2 탄성중합체보다 더 강성인 제 1 탄성중합체로 만들어지는 트랙 벨트 공기 타이어.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어펙스 요소는 제 2, 제 3 및 제 4 어펙스 요소를 만드는 제 2 탄성중합체보다 적어도 20% 내지 약 50% 더 강성인 제 1 탄성중합체로 만들어지는 트랙 벨트 공기 타이어.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카커스 플라이층의 플라이선은 고유의 플라이선을 따라 형성되는 트랙 벨트 공기 타이어.
KR1019997010698A 1997-05-20 1997-05-20 비포장도로용 어스무버형 공기 타이어 KR2001001273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US1997/008537 WO1998052777A1 (en) 1997-05-20 1997-05-20 Tire with reversed carcass ply turnup configur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2737A true KR20010012737A (ko) 2001-02-26

Family

ID=22260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10698A KR20010012737A (ko) 1997-05-20 1997-05-20 비포장도로용 어스무버형 공기 타이어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EP (1) EP1019259B1 (ko)
JP (1) JP2002513360A (ko)
KR (1) KR20010012737A (ko)
AR (1) AR011744A1 (ko)
AU (1) AU3133797A (ko)
CA (1) CA2294108A1 (ko)
DE (1) DE69719384T2 (ko)
ID (1) ID20332A (ko)
TW (1) TW458904B (ko)
WO (1) WO1998052777A1 (ko)
ZA (1) ZA98381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35239B1 (en) * 2000-11-30 2002-08-20 Bridgestone/Firestone North American Tire, Llc Pneumatic tire having multiple element bead assembly
BR0306064A (pt) * 2002-12-27 2005-05-17 Goodyear Tire & Rubber Pneu com estrutura de lona composta e processo de manufatura
US7017635B2 (en) 2002-12-27 2006-03-28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Tire with outside-in ply construction
KR101237759B1 (ko) 2011-07-19 2013-02-28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항공기용 타이어
DE112013006231T5 (de) 2012-12-26 2015-10-01 Toyo Tire & Rubber Co., Ltd. Pneumatischer Reifen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sselben
JP5973343B2 (ja) * 2012-12-26 2016-08-23 東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及びその製造方法
JP6138662B2 (ja) * 2013-10-25 2017-05-31 東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6113629B2 (ja) * 2013-10-31 2017-04-12 東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6250376B2 (ja) 2013-11-29 2017-12-20 東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6509519B2 (ja) * 2014-10-08 2019-05-08 Toyo Tire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CN111251789A (zh) * 2020-03-04 2020-06-09 中策橡胶集团有限公司 一种耐撞击防鼓包轮胎
CN113276605B (zh) * 2021-07-09 2023-02-03 泰凯英(青岛)专用轮胎技术研究开发有限公司 低反包结构的宽体车轮胎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124766A (fr) * 1955-05-13 1956-10-17 Mft Fr Pneumatiques Michelin Perfectionnement aux bourrelets des pneumatiques
DK108046C (da) * 1963-02-05 1967-08-07 Pirelli Dæk med aftagelig slidbane.
DE2032688A1 (de) * 1970-07-02 1972-03-30 Continental Gummi-Werke Ag, 3000 Hannover Fahrzeugluftreifen
US4609023A (en) * 1984-12-19 1986-09-02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Pneumatic tire with sidewall insert
JP2530807B2 (ja) * 1985-06-13 1996-09-04 住友ゴム工業 株式会社 重荷重用ラジアルタイヤのビ−ド部補強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2513360A (ja) 2002-05-08
EP1019259B1 (en) 2003-02-26
WO1998052777A1 (en) 1998-11-26
DE69719384T2 (de) 2003-10-23
DE69719384D1 (de) 2003-04-03
ID20332A (id) 1998-11-26
EP1019259A1 (en) 2000-07-19
CA2294108A1 (en) 1998-11-26
AU3133797A (en) 1998-12-11
ZA983816B (en) 1998-11-09
AR011744A1 (es) 2000-08-30
TW458904B (en) 2001-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53024B1 (en) Two piece tire with improved tire tread belt and carcass
US20110114239A1 (en) Heavy duty tire
KR20010012737A (ko) 비포장도로용 어스무버형 공기 타이어
US6478387B1 (en) Heavy duty dual tire assembly
US6352090B1 (en) Tire with reversed carcass ply turnup configuration
US6422280B1 (en) Heavy duty tire with specified bead design
US7299841B2 (en) Two piece tire with improved tire tread belt
US6357498B1 (en) Tire with removable tire tread belt and improved apex design
US6390165B1 (en) Tire with improved carcass ply turnup configuration
KR100457611B1 (ko) 비포장도로용 어스무버형 공기 타이어
AU2004202414B2 (en) Two-piece Tire with Improved Tire Tread Belt and Carcass
KR20010012738A (ko) 비포장도로용 어스무버형 공기 타이어
KR20010012736A (ko) 비포장도로용 어스무버형 공기 타이어
US6688355B2 (en) Three piece tire assembly
CN1086652C (zh) 带有活胎面以及改进的三角胶芯设计的轮胎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