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2001A - 철도 분기기용 역주행 자동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철도 분기기용 역주행 자동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2001A
KR20010012001A KR1019990031882A KR19990031882A KR20010012001A KR 20010012001 A KR20010012001 A KR 20010012001A KR 1019990031882 A KR1019990031882 A KR 1019990031882A KR 19990031882 A KR19990031882 A KR 19990031882A KR 20010012001 A KR20010012001 A KR 200100120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washer
fixed
operating rod
rai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1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54859B1 (ko
Inventor
박장묵
Original Assignee
박장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장묵 filed Critical 박장묵
Priority to KR10199900318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4859B1/ko
Priority to KR2020000006265U priority patent/KR200192939Y1/ko
Publication of KR200100120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20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48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48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5/00Local operating mechanisms for points or track-mounted scotch-blocks; Visible or audible signals; Local operating mechanisms for visible or audible signals
    • B61L5/02Mechanical devices for operating points or scotch-blocks, e.g. local manual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7/00Remote control of local operating means for points, signals, or track-mounted scotch-blocks
    • B61L7/02Remote control of local operating means for points, signals, or track-mounted scotch-blocks using mechanical transmission, e.g. wire, leve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7/00Switches; Crossings
    • E01B7/02Tongues; Associated constru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ailway Tracks (AREA)

Abstract

(1)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한 쌍의 레일로 구성되는 하나의 철길이 두개의 철길로 분리되어 기차가 두개의 철길을 선택적으로 주행할 수 있도록 레일을 움직여 주는 장치에 있어서, 기차가 통상의 진행 방향과 역방향으로 주행시 이동레일이 벌어지도록 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2) 발명의 목적
본 발명은 기차가 역주행시 기차바퀴가 밀고 들어오는 힘에 의해 밀착된 이동레일과 고정레일이 벌어지고 기차바퀴가 통과한 후 다시 탄성력으로 복귀하도록 하는 개방장치를 제공하여 기차의 탈선을 예방토록 하려는 것이다.
(3) 발명의 구성
튜브 형태의 몸체(10)를 구성하여 그 내부에 작동봉(20)을 삽입하되 몸체(10)의 후단과 작동봉(20)의 선단에는 각각 연결부(11)(21)를 구성하였다.
작동봉(20)의 앞쪽 일정 위치에는 단턱(31)이 있는 슬리브(30)를 삽입하고 그 옆의 작동봉(20)에는 와셔(40)를 고정시켜 슬리브(30)를 밀수 있도록 구성하며, 슬리브(30)안쪽의 작동봉(20)에는 스프링(50)을 삽입한 후 작동봉(20)의 후방 끝단에는 나사부(22)를 형성하여 와셔(40')와 고정너트(41)를 체결하고 몸체(10)의 후단 캡(22')안쪽에는 걸림관(43)을 삽착하여 와셔(40')가 더 이상 후진을 못하도록 구성하였다.
(4)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기차가 역주행시 분기기가 어떠한 상태가 되어 있던지 이동레일(51)(61)이 원활하게 벌어져 주게되므로 탈선이라는 엄청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는 것이고 작용 후에는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신속히 원복하므로 그 후의 정방향 주행에 장애를 주지 않게 되는 것으로, 기차의 안전성 향상에 큰 도움을 주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철도 분기기용 역주행 자동 개폐장치{An reverse driving automatic switch device in railway diverging machine}
본 발명은 한 쌍의 레일로 구성되는 하나의 철길이 두개의 철길로 분리되어 기차가 두개의 철길을 선택적으로 주행할 수 있도록 레일을 움직여 주는 장치에 있어서, 기차가 통상의 진행 방향과 역방향으로 주행시 탈선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밀착 되어있던 이동레일이 벌어지도록 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레일(하나의 철길)이 두 쌍의 레일(두개의 철길)로 분리되는 위치에는 최초 한 쌍을 이루던 레일이 점차 벌어지는 형태로 고정되고 그 사이에 다시 두개의 레일이 설치되어 상기 벌어지는 레일과 각각 평행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것이며, 기차가 어느 한 쌍의 레일을 선택적으로 주행할 수 있도록하기 위해 가운데 설치된 두개의 레일을 동시에 움직여서 고정된 두개의 레일중 어느 한쪽의 고정레일과는 접촉시키고 다른 쪽 고정레일과는 이격 되도록 하는 전환장치를 설치하고 있다.
상기 가운데 설치된 두개의 이동레일은 고정되어 있는 양측의 고정레일과 밀착하여 기차 바퀴가 부드럽게 이동레일로 옮겨가도록 맨 끝이 뾰족하게 구성되고 그 뒤로 점차 레일의 두께가 두꺼워 져서 일정길이 후에는 원래의 두께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이동레일의 두께가 점차 얇아지고 움직여야 하는 부분은 바닥에 윤활유를 묻힌 미끄럼 판을 설치하여 이동레일을 움직이는 전환장치에 의해 휘어지면서 슬라이딩 되도록 구성하였고 원래의 두께가 되는 위치의 좀더 뒷쪽 부분은 고정레일과 일정 거리를 둔 상태에서 움직일 수 없도록 고정시켜 두었다.
이러한 분기기에서의 문제점으로는 분기되기 전의 하나의 철길('A철길' 이라함)로 부터 분기된 두개의 철길('B철길' 및 'C철길' 이라함)중 어느 한 쪽으로 통과하는 방향이 아닌 그 역방향으로 주행하는 경우가 가끔 있는데, 예를 들어 기차가 A철길로부터 진입하여 B철길로 통과하도록 이동레일을 움직여 어느 일 측의 이등 레일을 고정레일에 밀착시켜 두었을 때 기차가 다시 B철길로부터 A철길로 역주행 할 때는 문제가 없지만 C철길로부터 A철길로 기차가 역주행 할 때는 기차가 탈선하게 된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이동레일 중에서 어느 한 쪽의 레일은 고정레일과 밀착된 상태이고 이러한 밀착된 이동레일과 고정레일 사이로 기차바퀴가 주행하여야 하므로 밀착된 두개의 레일이 벌어져주지 않으면 기차바퀴가 레일을 타고 올라 버리므로 탈선이 일어난다는 것이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기차가 역주행시 기차바퀴가 밀고 들어오는 힘에 의해 밀착된 이동레일과 고정레일이 벌어지고 기차바퀴가 통과한 후 다시 탄성력으로 복귀하도록 하는 개폐장치를 제공하여 기차의 탈선을 예방토록 하려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개방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작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작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개폐장치
10:몸체 11:연결부
20:작동봉 21:연결부
22,22 ':캡
30:슬리브 31:단턱
40,40':와셔 41:고정너트
42:스프링 43:걸림관
51,61:이동레일
70:전환장치 71:로드
72:고정관
본 발명의 개폐장치(1)는 도 1과 같이 철도 분기기의 이동레일(51)(61)을 밀고 당겨주는 전환장치(70)의 로드(71)와 두개의 이동레일(51)(61)이 동시에 움직이도록 역어주는 고정관(72)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그 자세한 구성을 도 2를 통해 살펴보면, 튜브 형태의 몸체(10)를 구성하여 그 내부에 작동봉(20)을 삽입하되 몸체(10)의 후단과 작동봉(20)의 선단에는 각각 "ㄷ"형태의 연결부(11)(21)를 구성하였다.
작동봉(20)의 앞쪽 일정 위치에는 단턱(31)이 있는 슬리브(30)를 삽입하여 몸체(10)의 앞쪽 캡(22)에 삽입되면서 단턱(31)이 캡(22)에 걸리도록 하였고 그 옆의 작동봉(20)에는 와셔(40)를 고정시켜 슬리브(30)를 밀도록 구성하였으며, 슬리브(30)안쪽의 작동봉(20)에는 스프링(50)을 삽입한 후 작동봉(20)의 후방 끝단에는 나사부(22)를 형성하여 와셔(40')와 고정너트(41)를 체결하였다.
몸체(10)의 후단 캡(22')안쪽에는 걸림관(43)을 삽착하여 와셔(40')가 더 이상 후진을 못하도록 구성하였으며, 상기 몸체(10)의 연결부(11)에는 전환장치(70)를 연결하고 작동봉(20)의 연결부(21)에는 이동레일(51)(61)을 역어주는 고정관(72)을 연결하였다.
도면중 미 설명된 부호 12는 오일 주입구, 13은 공기구멍, 50,60은 고정레일이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은 최초 전환 장치(70)의 작용에 의해 이동레일(51)이 고정레일(50)에 밀착된 상태가 되고 다른 이동레일(61)은 다른 고정레일(60)과 이격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기차가 고정레일(50)(60)을 통해 진입한 후 이동레일(51)과 고정레일(60)이 이루는 하나의 철길로 지나가는 것이다.
이때 기차가 상기와 같이 이동레일(51)과 고정레일(60)이 이루는 철길을 통해 역주행 하면 상기와 같이 정 방향 주행을 할 때 처럼 문제없이 통과할 수가 있지만 그 반대로 고정레일(50)과 이동레일(61)이 이루는 철길을 따라 진입하면 본 발명의 개폐장치(1)가 작용을 하는 것이다.
즉 기차가 고정레일(50)과 이동레일(61)이 이루는 철길을 따라 진입하면 일측의 기차 바퀴가 밀착된 고정레일(50)과 이동레일(51) 사이로 진입을 하게되고 따라서 이동레일(51)에는 고정레일(50)로 부터 벌어지려는 힘이 작용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개폐장치(1)가 작용을 시작하는데,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고정관(72)이 밀리면서 개폐장치(1)의 작동봉(20)이 스프링(42)의 압축시키면서 몸체(10)쪽으로 밀려들어오는 것이고 이 동작을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와셔(40)에 의해 슬리브(30)가 밀려들어가면서 스프링(42)을 압축시키는 것이고 작동봉(20)의 후단 쪽에는 와셔(40')가 걸림관(43)에 걸려 스프링(42)은 압축되고 작동봉(20)만 밀려들어가는 것이다.
기차가 모두 통과한 다음에는 스프링(42)의 탄성력으로 인해 작동봉(20)이 처음의 상태로 복귀한다.
상기 작용의 반대 작용도 생각할 수가 있는데, 그것은 고정레일(50)(60)을 통해 진입한 기차가 고정레일(50)과 이동레일(61)이 이루는 철길로 통과하도록 되어있는 상태에서 기차가 이동레일(51)과 고정레일(60)이 이루는 철길을 통해 역주행 할 때의 문제로서 이때는 개폐장치(1)가 상기와는 반대로 작용을 한다.
즉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고정관(72)이 상기 작용과 반대로 작동봉(20)을 몸체(10)로 부터 당겨내는 작용을 하므로 작동봉(20) 끝쪽의 와셔(40')가 스프링(42)을 압축시키면서 일정거리 딸려 나가고 이때 슬리브(30)는 단턱(31)이 캡(22)에 걸려 있기 때문에 움직이지 못하면서 스프링(42)이 압축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기차가 역주행시 분기기가 어떠한 상태가 되어 있던지 이동레일(51)(61)이 원활하게 벌어져 주게되므로 탈선이라는 엄청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는 것이고 작용 후에는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신속히 원복하므로 그 후의 정방향 주행에 장애를 주지 않게 되는 것으로, 기차의 안전성 향상에 큰 도움을 주는 우수한 고안이라 할 것이다.

Claims (2)

  1. 튜브 형태의 몸체(10)를 구성하여 그 내부에 작동봉(20)을 삽입하되, 작동봉(20)의 앞쪽 일정 위치에는 단턱(31)이 있는 슬리브(30)를 삽입하고 그 옆위치의 작동봉(20)에는 와셔(40)를 고정시켜 슬리브(30)를 밀수 있도록 구성하며, 슬리브(30)안쪽의 작동봉(20)에는 스프링(50)을 삽입한 후 작동봉(20)의 후방 끝단에는 나사부(22)를 형성하여 와셔(40')와 고정너트(41)를 체결하고 몸체(10)의 후단 캡(22')안쪽에는 걸림관(43)을 삽착하여 와셔(40')가 더 이상 후진을 못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분기기용 역주행 자동 개폐장치.(독립항)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의 후단에 연결부(11)를 형성하여 전환장치(70)를 연결하고 작동봉(20)의 선단에는 연결부(21)를 형성하여 이동레일(51)(61)을 역어주는 고정관(72)을 연결토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분기기용 역주행 자동 개폐장치.(종속항)
KR1019990031882A 1999-07-30 1999-07-30 철도 분기기용 역주행 자동 개폐장치 KR1003548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1882A KR100354859B1 (ko) 1999-07-30 1999-07-30 철도 분기기용 역주행 자동 개폐장치
KR2020000006265U KR200192939Y1 (ko) 1999-07-30 2000-03-07 철도 분기기용 탄성 밀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1882A KR100354859B1 (ko) 1999-07-30 1999-07-30 철도 분기기용 역주행 자동 개폐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6265U Division KR200192939Y1 (ko) 1999-07-30 2000-03-07 철도 분기기용 탄성 밀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2001A true KR20010012001A (ko) 2001-02-15
KR100354859B1 KR100354859B1 (ko) 2002-09-30

Family

ID=19606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1882A KR100354859B1 (ko) 1999-07-30 1999-07-30 철도 분기기용 역주행 자동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485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6196B1 (ko) * 2010-01-08 2012-04-17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열차분리 감지 시스템
KR20170116674A (ko) * 2016-04-12 2017-10-20 주식회사 대명엔지니어링 선로전환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61570U (ko) * 1981-04-07 1982-10-09
JP3329894B2 (ja) * 1993-06-29 2002-09-30 財団法人鉄道総合技術研究所 分岐器の先端鎖錠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KR100268159B1 (ko) * 1998-05-21 2000-10-16 조봉종 철도 레일의 분기기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6196B1 (ko) * 2010-01-08 2012-04-17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열차분리 감지 시스템
KR20170116674A (ko) * 2016-04-12 2017-10-20 주식회사 대명엔지니어링 선로전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54859B1 (ko) 2002-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RP20050553A2 (en) Switch machine for railway and tramway switches or the like
KR20010012001A (ko) 철도 분기기용 역주행 자동 개폐장치
JP2012515277A (ja) 2パネル型スライドドア用のスライドドア取付具
CN107858879B (zh) 一种平移型小线间距单渡线单轨道岔
SE538949C2 (sv) Beslag för skjutbara dörrar eller fönster samt system och dörr respektive fönster innefattande ett sådant beslag
PT90190A (pt) Porta constituida por seccoes e funcionando como porta de correr
KR200426905Y1 (ko) 스크린 도어 개폐장치
KR100331039B1 (ko) 철도 분기기용 탄성 밀착장치
KR100578407B1 (ko) 철도분기기용 록킹 및 검지장치
KR200166512Y1 (ko) 철도 분기기용 탄성 밀착장치
CN114454903B (zh) 一种轨道车辆贯通道排水装置
KR100682763B1 (ko) 선로분기 시스템
CN113518841A (zh) 气动运输车换轨装置
CA2375046A1 (en) Cross frog
CN201047239Y (zh) 一种用于门上、下部密封的装置
CN213867126U (zh) 一种变截面单轨道岔及其梁间连接装置
KR102208502B1 (ko) 사행 구간 통과 구조를 갖도록 바퀴와 레일로 구성하는 장치
US892136A (en) Derailing-switch.
CN2429411Y (zh) 全封闭型异步防雪单开式铁路道岔转辙器
DE837555C (de) Elektrische Weichenstell- und Signalanlage, insbesondere fuer den bergmaennischen Untertagebetrieb
US773600A (en) Foot-guard for railway-switches.
US949120A (en) Railway-switch.
US1427563A (en) Railway switch
KR200215785Y1 (ko) 철도레일의 탄성포인트용 베이스 플레이트의 구조
US1017851A (en) Switch-operating mechanis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1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