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1294A - 카 모니터 뷰각도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카 모니터 뷰각도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1294A
KR20010011294A KR1019990030599A KR19990030599A KR20010011294A KR 20010011294 A KR20010011294 A KR 20010011294A KR 1019990030599 A KR1019990030599 A KR 1019990030599A KR 19990030599 A KR19990030599 A KR 19990030599A KR 20010011294 A KR20010011294 A KR 200100112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ew angle
spur gear
gear
monitor
adjus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0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호
권오태
박성위
조성운
Original Assignee
김영환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환,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환
Priority to KR10199900305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11294A/ko
Publication of KR200100112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1294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82Flush doors, i.e. with completely flat surface
    • E06B3/822Flush doors, i.e. with completely flat surface with an internal foursided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7015Door leaves characterised by the filling between two external panels
    • E06B2003/703Door leaves characterised by the filling between two external panels containing a metallic laye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7015Door leaves characterised by the filling between two external panels
    • E06B2003/7042Door leaves characterised by the filling between two external panels with a fire retardant lay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모니터의 상하 및 좌우 뷰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카 모니터 뷰각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모니터(23)의 하부는 보텀부(27)의 선단에서 힌지(25)에 의해서 연결되며, 상기 보텀부(27)의 후단은 힌지(31)에 의해서 카바부(29)와 연결되며, 상기 모니터(23)의 상부에는 상하뷰각도조절장치(45)가 구비되고, 상기 보텀부(27)의 하부에는 좌우 뷰각도조절장치(67)가 구비되며, 상기 카바부(29)에는 슬릿(33)이 형성되고, 그 하부에는 랙기어(35)가 구비된다.
이것에 의해서, 상하 및 좌우 뷰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고, 카바부를 이용하여 모니터가 상하 운동을 하게되므로 소음 발생이 작고, 정밀한 뷰각도 조절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카 모니터 뷰각도 조절장치{VIEW ANGLE CONTROL APPARATUS FOR CAR MONITOR }
본 발명은 카 모니터 뷰각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카모니터의 상하 및 좌우 뷰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카 모니터 뷰각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경우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종래의 카 오디오/비디오용 모니터(3)는 장착부(11)에 슬라이딩가능하게 로딩된다. 상기 장착부(11)의 양측면에는 슬라이딩홈(13)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모니터(3)의 상부핀(9)이 상기 슬라이딩홈(13)에서 슬라이딩 운동하게 된다.
슬릿(19)이 형성된 가동브라켓(17)은 소정의 구동장치에 의해서 왕복운동하게 되고, 상기 가동브라켓(17)은 하부핀(7)에 의해서 모니터(3)와 연결된다.
따라서, 모니터(3)는 가동브라켓(17)에 의해서 운동하게 될 때, 상부핀(9)에 의해서만 위치결정되므로, 소음이 많이 발생되고, 뷰각도 제어에 정밀성이 없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모니터의 뷰각도를 상하 및 좌우 조절가능하고, 그 조절 장치를 간단하게 구성하면서도 뷰각도 조정이 정밀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카 모니터 뷰각도 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카 모니터 뷰각도 조절장치의 일예로써,
모니터의 하부는 보텀부의 선단에서 힌지에 의해서 연결되며, 상기 보텀부의 후단은 힌지에 의해서 카바부와 연결되며, 상기 모니터의 상부에는 상하뷰각도조절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보텀부의 하부에는 좌우 뷰각도조절장치가 구비되며, 상기 카바부에는 슬릿이 형성되고, 그 하부에는 랙기어가 구비된다.
상기 상하뷰각도조절장치는 상기 랙기어와 제3스퍼기어와 맞물리고, 상기 제3스퍼기어와 동축인 제2스퍼기어는 제1스퍼기어와 맞물리고, 상기 제1스퍼기어와 동축인 헬리컬기어는 구동모터의 축에 장착된 워엄기어와 맞물린다.
상기 좌우뷰각도조절장치는 보텀부에 고정된 스퍼기어와 제3스퍼기어가 맞물리고, 상기 제3스퍼기어와 동축인 제2스퍼기어는 제1스퍼기어와 맞물리고, 상기 제1스퍼기어와 동축인 헬리컬기어는 구동모터의 축에 장착된 워엄기어와 맞물린다.
도 1은 종래의 카 모니터 뷰각도 조절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카 모니터 뷰각도 조절장치에 의해서 모니터가 오픈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카 모니터 뷰각도 조절장치에 의해서 모니터가 오픈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카 모니터 뷰각도 조절장치에 의해서 모니터가 크로즈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발명에 따른 카 모니터 뷰각도 조절장치의 상하각도조절장치의 구동장치의 구성도
도 6은 본발명에 따른 카 모니터 뷰각도 조절장치의 좌우각도조절장치의 구동장치의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 : 모니터 7 : 하부핀
9 : 상부핀 13 : 슬라이딩홈
15 : 고정핀 17 : 가동브라켓
19 : 슬릿 23 : 모니터
25 : 힌지 27 : 보텀부
29 : 카바부 31 : 힌지
33 : 슬릿 35 : 랙기어
46, 66 : 구동모터 48, 68 : 워엄기어
50, 70 : 헬리컬기어 52, 72 : 제1스퍼기어
54, 74 : 제2스퍼기어 56, 76 : 제3스퍼기어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카 모니터 뷰각도 조절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카 모니터 뷰각도 조절장치는 상하 뷰각도조절장치(45)와, 좌우 뷰각도 조절장치(67)를 포함한다.
모니터(23)의 하부는 보텀부(27)의 선단에서 힌지(25)에 의해서 연결되며, 상기 보텀부(27)의 후단은 힌지(31)에 의해서 카바부(29)와 연결된다. 상기 모니터(23)의 상부에는 상하뷰각도조절장치(45)가 구비되고, 상기 보텀부(27)의 하부에는 좌우 뷰각도조절장치(67)가 구비된다.
상기 카바부(29)에는 슬릿(33)이 형성되고, 그 하부에는 랙기어(35)가 구비된다.
상기 상하뷰각도조절장치(45)는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랙기어(35)는 제3스퍼기어(56)와 맞물리고, 상기 제3스퍼기어(56)와 동축인 제2스퍼기어(54)는 제1스퍼기어(52)와 맞물리고, 상기 제1스퍼기어(52)와 동축인 헬리컬기어(50)는 구동모터(46)의 축에 장착된 워엄기어(48)와 맞물린다.
상기 좌우뷰각도조절장치(67)는 도 6에서와 같이, 보텀부(27)에 고정된 스퍼기어(78)와 제3스퍼기어(76)가 맞물리고, 상기 제3스퍼기어(76)와 동축인 제2스퍼기어(74)는 제1스퍼기어(72)와 맞물리고, 상기 제1스퍼기어(72)와 동축인 헬리컬기어(70)는 구동모터(66)의 축에 장착된 워엄기어(68)와 맞물린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본 발명에 따른 카 모니터 뷰각도 조절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도 2와 같은 상태에서, 구동모터(46)가 작동하면, 워엄기어(48)가 회전되고, 상기 워엄기어(48)와 맞물린 헬리컬기어(50)가 회전되어, 제1스퍼기어(52)와 맞물린 제2스퍼기어(54)가 회전되고, 랙기어(35)와 맞물린 제3스퍼기어(56)에 의해서 모니터(23)가 힌지(25)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카바부(29)는 힌지(31)를 중심으로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된다.
또한, 구동모터(66)가 작동되면, 워엄기어(68)가 회전되고, 상기 워엄기어(68)와 맞물린 헬리컬기어(70)가 회전되어, 제1스퍼기어(72)와 맞물린 제2스퍼기어(74)가 회전되고, 제3스퍼기어(56)에 의해서 스퍼기어(78)가 회전되어, 결국 보텀부(27)가 회전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카 모니터 뷰각도 조절장치는 상하 및 좌우 뷰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고, 카바부를 이용하여 모니터가 상하 운동을 하게되므로 소음 발생이 작고, 정밀한 뷰각도 조절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카 모니터 뷰각도 조절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3)

  1. 모니터(23)의 하부는 보텀부(27)의 선단에서 힌지(25)에 의해서 연결되며, 상기 보텀부(27)의 후단은 힌지(31)에 의해서 카바부(29)와 연결되며, 상기 모니터(23)의 상부에는 상하뷰각도조절장치(45)가 구비되고, 상기 보텀부(27)의 하부에는 좌우 뷰각도조절장치(67)가 구비되며, 상기 카바부(29)에는 슬릿(33)이 형성되고, 그 하부에는 랙기어(35)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 모니터 뷰각도 조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뷰각도조절장치(45)는 상기 랙기어(35)와 제3스퍼기어(56)와 맞물리고, 상기 제3스퍼기어(56)와 동축인 제2스퍼기어(54)는 제1스퍼기어(52)와 맞물리고, 상기 제1스퍼기어(52)와 동축인 헬리컬기어(50)는 구동모터(46)의 축에 장착된 워엄기어(48)와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 모니터 뷰각도 조절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뷰각도조절장치(67)는 보텀부(27)에 고정된 스퍼기어(78)와 제3스퍼기어(76)가 맞물리고, 상기 제3스퍼기어(76)와 동축인 제2스퍼기어(74)는 제1스퍼기어(72)와 맞물리고, 상기 제1스퍼기어(72)와 동축인 헬리컬기어(70)는 구동모터(66)의 축에 장착된 워엄기어(68)와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 모니터 뷰각도 조절장치.
KR1019990030599A 1999-07-27 1999-07-27 카 모니터 뷰각도 조절장치 KR200100112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0599A KR20010011294A (ko) 1999-07-27 1999-07-27 카 모니터 뷰각도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0599A KR20010011294A (ko) 1999-07-27 1999-07-27 카 모니터 뷰각도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1294A true KR20010011294A (ko) 2001-02-15

Family

ID=19604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0599A KR20010011294A (ko) 1999-07-27 1999-07-27 카 모니터 뷰각도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11294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6562A (ko) * 2001-08-21 2003-03-03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자동차용 오디오비주얼 모니터 회전장치
KR100477246B1 (ko) * 2002-07-18 2005-03-1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모니터의 인출구조
KR100783612B1 (ko) * 2006-03-24 2007-12-10 덕양산업 주식회사 기어의 자유회전방지구조
KR100911085B1 (ko) * 2007-06-26 2009-08-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접이식 모니터
CN108032815A (zh) * 2017-12-25 2018-05-15 芜湖宏景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多角度调节的汽车hud手机放置架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6562A (ko) * 2001-08-21 2003-03-03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자동차용 오디오비주얼 모니터 회전장치
KR100477246B1 (ko) * 2002-07-18 2005-03-1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모니터의 인출구조
KR100783612B1 (ko) * 2006-03-24 2007-12-10 덕양산업 주식회사 기어의 자유회전방지구조
KR100911085B1 (ko) * 2007-06-26 2009-08-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접이식 모니터
CN108032815A (zh) * 2017-12-25 2018-05-15 芜湖宏景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多角度调节的汽车hud手机放置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31350B2 (en) Vehicle-mounted display system
US7659881B2 (en) Display device for vehicle
US9459653B2 (en) Display device
US20060071141A1 (en) Location controller for tv receiver
KR20060103555A (ko) 카 오디오/비디오 시스템의 모니터 구동 장치
WO2015058624A1 (zh) 导风板驱动装置及具有其的空调器
KR20010011294A (ko) 카 모니터 뷰각도 조절장치
CN112738362B (zh) 摄像装置、电子设备及电子设备的使用方法
US9756746B2 (en) Movable display device
CN112256149B (zh) 一种可升降摄像头的触控显示屏
CN109348015A (zh) 摄像模组、摄像模组的控制方法及移动终端
CN210643461U (zh) 一种展示用机器人
JP2007314057A (ja) 車載用表示部の保持筐体
JP2007276574A (ja) スライド式ディフレクタ
JP2000259085A (ja) 液晶ディスプレイ装置
KR20010011306A (ko) 모니터 뷰각도 조절장치
CN113079236B (zh) 电子设备
CN217767166U (zh) 一种应用于投影设备的联动模组
CN115145099B (zh) 一种多功能投影设备
JPH1046914A (ja) 車両のウィンドレギュレータ装置及びその組立方法
CN220205103U (zh) 一种调节投影角度的互动投影设备
KR100245977B1 (ko) 모니터수납장치
JP3639711B2 (ja) テレビドアホンのカメラ方向可変構造
JP2897235B2 (ja) ダイアル駆動装置
JP2001266560A (ja) フロントパネルの開閉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