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1306A - 모니터 뷰각도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모니터 뷰각도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1306A
KR20010011306A KR1019990030611A KR19990030611A KR20010011306A KR 20010011306 A KR20010011306 A KR 20010011306A KR 1019990030611 A KR1019990030611 A KR 1019990030611A KR 19990030611 A KR19990030611 A KR 19990030611A KR 20010011306 A KR20010011306 A KR 200100113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monitor
spur gear
view angle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0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무랑
조성운
Original Assignee
김영환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환,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환
Priority to KR10199900306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11306A/ko
Publication of KR200100113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1306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2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splays, e.g. cathodic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05Dash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납식이면서도 수직 및 수평 뷰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모니터 뷰각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모니터(40)의 측면부(59)에는 고정축(55)에 반달기어(53)가 장착되며, 상기 반달기어(53)가 기어열에 의해서 작동되어 모니터의 상하운동이 이루어지게하는 수직뷰각도 조절장치(43)와, 모니터(40)의 하부에서 회전축(94)에 장착된 로딩 브라켓(90)을 포함하며, 상기 로딩 브라켓(90)에는 슬릿(92)이 형성되고, 상기 슬릿(92)내에는 고정핀(76)이 돌출되며, 내측면에는 러버부(74)가 구비되며, 상기 로딩브라켓(90)은 구동장치에 의해서 회전되는 수평뷰각도조절장치(60)로 구성된다.
이것에 의해서, 수직 뷰각도 조절시 모니터의 화면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수평뷰각도조절도 용이하여 화면이 항상 깨긋하게 되고, 시청 범위를 넓혀주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모니터 뷰각도 조절장치{View Angle Control Apparatus for Monitor}
본 발명은 자동차용 모니터의 수평 및 수직 뷰각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수납식이면서도 수직 및 수평 뷰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모니터 뷰각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경우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프론트 패널(5)에는 클러스터(7)가 구비되고, 상기 클러스터(7)의 측면 및 오디오 시스템(9)의 상부에 카 모니터(11)가 구비된다.
상기 모니터(11)의 화면은 항상 노출되어 있음과 동시에 붙박이형으로서 뷰각도를 조절할 수 없어, LCD 표면에 오염이 심하게 되어 화질에 영향을 미치며, 뷰각도 조절이 불가능하므로 시청하기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프론트 모니터를 프론트 패널에 수납식으로 장착하고, 수직 및 수평 뷰각도 조절이 가능한 모니터 뷰각도 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 뷰각도 조절장치의 일예로써,
모니터의 측면부에는 고정축에 반달기어가 장착되며, 상기 반달기어가 기어열에 의해서 작동되어 모니터의 상하운동이 이루어지게하는 수직뷰각도 조절장치와,
모니터의 하부에서 회전축에 장착된 로딩 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로딩 브라켓에는 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슬릿내에는 고정핀이 돌출되며, 내측면에는 러버부가 구비되며, 상기 로딩브라켓은 구동장치에 의해서 회전되는 수평뷰각도조절장치로 구성된다.
상기 구동장치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장착된 워엄기어와, 상기 워엄기어와 맞물리는 헬리컬기어와, 상기 헬리컬기어와 동축인 제1스퍼기어와, 상기 제1스퍼기어와 맞물리는 제2스퍼기어와, 상기 제2스퍼기어와 동축인 제3스퍼기어와, 상기 제3스퍼기어와 맞물리는 제4스퍼기어와, 상기 제4스퍼기어와 동축으로 장착된 제5스퍼기어로 구성된다.
도 1은 종래의 카 모니터 장착상태도
도 2는 발명에 따른 카 모니터의 비사용시의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 수직뷰각도 조절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카 모니터가 오픈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5는 도4의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 수평뷰각도 조절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 25 : 프론트 패널 7, 37 : 클러스터
9, 39 : 오디오 시스템 11, 40 : 모니터
41 : 상부면 43 : 수직뷰각도 조절장치
45 : 모터 47 : 워엄기어
49 : 제1기어 51 : 제2기어
53 : 반달기어 55 : 회전축
57 : 화면부 59 : 측면부
60 : 수평뷰각도 조절장치 62 : 모터
66 : 헬리컬기어 67 : 제1스퍼기어
68 : 제2스퍼기어 69 : 제3스퍼기어
71 : 제4스퍼기어 73 : 제5스퍼기어
74 : 러버부 76, 78 : 고정핀
90 : 로딩브라켓 92 : 슬릿
94 : 회전축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프론트 패널(25)에는 클러스터(37)가 구비되고, 상기 클러스터(37)의 측면 및 오디오 시스템(39)의 상부에 카 모니터(40)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40)는 화면이 보이지 않고 카바에 해당하는 상부면(41)이 노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화면부(57)가 아랫방향으로 위치하고, 모니터(40)의 측면부(59)에는 고정축(55)에 반달기어(53)가 장착되며, 하부측에는 수평뷰각도 조절장치(60)가 장착된다.
상기 반달기어(53)는 제2기어(51)와 맞물리고, 상기 제2기어(51)는 제1기어(49)와 맞물리며, 상기 제1기어(49)는 워엄기어(47)와 맞물리며, 상기 워엄기어(47)는 모터(45)에 장착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 수직뷰각도 조절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모터(45)가 구동되면, 워엄기어(47)가 제1기어(49) 및 제2기어(51)를 구동하고, 그러면 반달기어(53)가 회전되어, 모니터(40)는 고정축(55)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도 4 및 도 5와 같은 상태로 된다. 즉, 화면부(57)가 노출되는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평뷰각도조절장치(60)를 도시한 것으로서, 모니터(40)의 하부는 회전축(94)에 장착된 로딩 브라켓(90)을 포함한다.
상기 로딩 브라켓(90)은 슬릿(92)이 형성되고, 상기 슬릿(92)내에는 고정핀(76)이 돌출되며, 내측면에는 러버부(74)가 구비된다.
상기 로딩브라켓(90)은 구동장치에 의해서 회전되는데, 상기 구동장치는 모터(62)와, 상기 모터(62)에 장착된 워엄기어(64)와, 상기 워엄기어(64)와 맞물리는 헬리컬기어(66)와, 상기 헬리컬기어(66)와 동축인 제1스퍼기어(67)와, 상기 제1스퍼기어(67)와 맞물리는 제2스퍼기어(68)와, 상기 제2스퍼기어(68)와 동축인 제3스퍼기어(69)와, 상기 제3스퍼기어(69)와 맞물리는 제4스퍼기어(71)와, 상기 제4스퍼기어(71)와 동축으로 장착된 제5스퍼기어(73)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 수평뷰각도 조절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모터(62)가 구동되면, 상기 모터(62)에 장착된 워엄기어(64)가 회전되어, 차례로 상기 워엄기어(64)와 맞물리는 헬리컬기어(66)와, 상기 헬리컬기어(66)와 동축인 제1스퍼기어(67)와, 상기 제1스퍼기어(67)와 맞물리는 제2스퍼기어(68)와, 상기 제2스퍼기어(68)와 동축인 제3스퍼기어(69)와, 상기 제3스퍼기어(69)와 맞물리는 제4스퍼기어(71)와, 상기 제4스퍼기어(71)와 동축으로 장착된 제5스퍼기어(73)가 회전된다.
상기 제5스퍼기어(73)가 회전됨에 따라서 모니터(40)의 하부에 장착된 로딩브라켓(90)의 러버부(74)가 회전력을 발휘시켜 로딩브라켓(90)을 회전시킨다. 따라서 모니터(40)가 회전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 뷰각도 조절장치는 수직 뷰각도 조절시 모니터의 화면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수평뷰각도조절도 용이하여 화면이 항상 깨긋하게 되고, 시청 범위를 넓혀주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 뷰각도 조절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2)

  1. 모니터(40)의 측면부(59)에는 고정축(55)에 반달기어(53)가 장착되며, 상기 반달기어(53)가 기어열에 의해서 작동되어 모니터의 상하운동이 이루어지게하는 수직뷰각도 조절장치(43)와,
    모니터(40)의 하부에서 회전축(94)에 장착된 로딩 브라켓(90)을 포함하며, 상기 로딩 브라켓(90)에는 슬릿(92)이 형성되고, 상기 슬릿(92)내에는 고정핀(76)이 돌출되며, 내측면에는 러버부(74)가 구비되며, 상기 로딩브라켓(90)은 구동장치에 의해서 회전되는 수평뷰각도조절장치(60)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뷰각도 조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는 모터(62)와, 상기 모터(62)에 장착된 워엄기어(64)와, 상기 워엄기어(64)와 맞물리는 헬리컬기어(66)와, 상기 헬리컬기어(66)와 동축인 제1스퍼기어(67)와, 상기 제1스퍼기어(67)와 맞물리는 제2스퍼기어(68)와, 상기 제2스퍼기어(68)와 동축인 제3스퍼기어(69)와, 상기 제3스퍼기어(69)와 맞물리는 제4스퍼기어(71)와, 상기 제4스퍼기어(71)와 동축으로 장착된 제5스퍼기어(7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뷰각도 조절장치.
KR1019990030611A 1999-07-27 1999-07-27 모니터 뷰각도 조절장치 KR200100113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0611A KR20010011306A (ko) 1999-07-27 1999-07-27 모니터 뷰각도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0611A KR20010011306A (ko) 1999-07-27 1999-07-27 모니터 뷰각도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1306A true KR20010011306A (ko) 2001-02-15

Family

ID=19605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0611A KR20010011306A (ko) 1999-07-27 1999-07-27 모니터 뷰각도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1130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12469A (zh) * 2018-01-31 2018-07-24 河南尚品优塑科技有限公司 一种塑材成型模体
CN110884438A (zh) * 2019-11-30 2020-03-17 盐城吉大智能终端产业研究院有限公司 一种便于安装和调整面向角度的5g车载智能终端
CN113053016A (zh) * 2019-12-27 2021-06-29 沈阳新松机器人自动化股份有限公司 一种屏幕角度可调整的机器人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12469A (zh) * 2018-01-31 2018-07-24 河南尚品优塑科技有限公司 一种塑材成型模体
CN110884438A (zh) * 2019-11-30 2020-03-17 盐城吉大智能终端产业研究院有限公司 一种便于安装和调整面向角度的5g车载智能终端
CN113053016A (zh) * 2019-12-27 2021-06-29 沈阳新松机器人自动化股份有限公司 一种屏幕角度可调整的机器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1072B1 (ko) 차량의 에이브이 모니터 장착구조
CN209870119U (zh) 汽车仪表盘可视角度调节机构
US20060262033A1 (en) Display for vehicle
KR20010011306A (ko) 모니터 뷰각도 조절장치
JP2008055926A (ja) 車載用表示装置の昇降機構
KR100593059B1 (ko) 디스플레이 패널 장치의 승강 구조
KR20050060130A (ko) 텔레비젼 승강장치
KR20050056407A (ko) 텔레비젼 승강장치
KR100545233B1 (ko) 디스플레이 패널의 미세 각도 조절 구조
KR20010011294A (ko) 카 모니터 뷰각도 조절장치
JPH0648254A (ja) 液晶テレビ
JP2008261856A (ja) 映像機器特性値測定センサー部の自動移送装置及び該移送方法
CN219389087U (zh) 一种带多向调节功能的显示屏安装结构
KR100402218B1 (ko) 루프 장착형 카 텔레비젼
KR101021128B1 (ko) 월 마운트
KR100584260B1 (ko) 디스플레이 패널 승강식 텔레비젼
JPH02216189A (ja) 液晶表示システム
CN215526987U (zh) 一种思想政治教育教学用演示板
CN218208672U (zh) 一种可旋转屏的笔记本电脑
CN218316522U (zh) 一种便于调节的车载式影音播放器
JP2010100206A (ja) 車載用機器
CN213262223U (zh) 一种行车记录仪调控装置
KR200246618Y1 (ko) 루프 장착형 카 텔레비젼
JPH0721499A (ja) 開閉式電子機器
KR100607209B1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하 각도 조절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