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0649A - 광투사형 디스플레이장치의 편광변환소자 - Google Patents

광투사형 디스플레이장치의 편광변환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0649A
KR20010010649A KR1019990029639A KR19990029639A KR20010010649A KR 20010010649 A KR20010010649 A KR 20010010649A KR 1019990029639 A KR1019990029639 A KR 1019990029639A KR 19990029639 A KR19990029639 A KR 19990029639A KR 20010010649 A KR20010010649 A KR 200100106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polarization
polarized wave
light
refle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9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09060B1 (ko
Inventor
이종수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900296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9060B1/ko
Priority to CN00104591A priority patent/CN1133090C/zh
Priority to JP2000101167A priority patent/JP3409207B2/ja
Priority to US09/550,713 priority patent/US6910771B1/en
Publication of KR200100106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06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9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90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4Projection arrangements for image reproduction, e.g. using eidoph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04N9/315Modulator illumination syste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28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polarising
    • G02B27/28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polarising for controlling or changing the state of polarisation, e.g. transforming one polarisation state into another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4Projection arrangements for image reproduction, e.g. using eidophor
    • H04N5/7408Direct viewing projectors, e.g. an image displayed on a video CRT or LCD display being projected on a scree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Abstract

광투사형 디스플레이장치의 편광변환소자가 개시된다. 광투사형 디스플레이장치의 편광변환소자는 블러스터의 각도로 입사하는 광을/2의 위상차로 변환시키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글래스 및 글래스의 전면과 후면에 코팅되어 S편광파는 반사하고 P편광파는 투과하는 편광분리막으로 구성되어 블러스터의 각도로 입사하는 광을 전면에 코팅된 편광분리막에서 S편광파는 반사하고 P편광파는 투과하며, 투과된 P편광파가 글래스의 소정의 두께를 통과하면서

Description

광투사형 디스플레이장치의 편광변환소자{Polarization Separating And Converting Glass Of Projection Display Unit}
본 발명은 광투사형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광효율을 증대시키고 생산성을 높이기 위하여 편광분리기와 편광변환기를 간단하게 일체화시킨 편광변환소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로젝션 텔레비젼이나 비디오 프로젝터 등과 같은 상품의 영상투사시스템은 특수 제작된 소형 음극선관이나 액정표시소자 또는 폴리머분산 액정표시판넬 등의 영상디스플레이수단을 사용하여 영상을 발생시키고, 그 영상을 투사렌즈를 이용하여 대형 화면을 얻을 수 있다는 장점에서 날로 그 수요가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도1 은 종래 편광빔 스프리터를 이용한 광투사형 디스플레이장치의 광학계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편광빔 스프리터를 이용한 광투사형 디스플레이장치(10)는 광원(11), 광원(11)에서 출사되는 빛을 S편광파(18)와 P편광파(19)로 분리하여 S편광파(18)는 반사시키고 P편광파(19)는 통과시키는 편광빔 스프리터 (Polariz- ation Beam Splitter : 이하 PBS라 한다)(12), PBS(12)에서 반사되는 S편광파(18)를 P편광파(18)와 동일한 방향으로 진행하도록 반사시키는 판형의 반사경(13), 및 반사경(13)에서 방향이 바뀐 S편광파(18)의 위상을/2로 변환시켜 통과시키는 반파장판의 편광변환기(14)로 구성된다.
또한, PBS(12)에서 출사되는 P편광파(19)와 반파장판을 통과하는 S편광파 (18)를 집광하는 집광렌즈(15), 집광렌즈(15)에서 출사된 빛이 투과하는 액정표시소자(16) 및 스크린(도시안됨)에 액정표시소자(16)의 액정층을 투과한 입사광을 확대 투사시키는 투사렌즈유니트(17)를 더 구비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광투사형 디스플레이장치(10)는 광원(11)에서 발생된 빛이 PBS(12)에 입사되면 P편광파(19)는 투과되고 S편광파(18)는 반사되어 두개의 편광성분으로 분리되며, P편광파(19)는 액정표시소자(16)로 입사되고, S편광파(18)는 방향전환 반사경(13)에 의해 방향이 전환되고 편광변환기(14)에 의해 P편광파로 변환되어 액정표시소자(16)로 입사된다.
도2 는 종래 편광분리글라스를 이용한 광투사형 디스플레이의 광학계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편광분리글라스를 이용한 광투사형 디스플레이(20)는 광원(21), 광원(21)에서 출사된 빛을 S편광파(28)와 P편광파(29)로 분리하여 S편광파(28)는 반사시키고 P편광파(29)는 투과시키는 편광분리글래스(22), 편광분리글래스(22)에서 출사되는 P편광파(29)를 S편광파(28)와 동일한 방향으로 진행하도록 반사시키는 판형의 반사경(23), 반사경(23)에서 방향이 바뀐 S편광파의 위상을/2로 변환시켜 통과시키는 반파장판의 편광변환기(24)로 구성된다.
또한, 편광분리글래스(22)에서 출사되는 P편광파(29)와 반파장판을 통과하는 S편광파(28)가 투과하는 액정표시소자(25) 및 스크린(도시안됨)에 액정표시소자 (25)의 액정층을 투과한 입사광을 확대 투사시키는 투사렌즈유니(27)트를 더 구비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광투사형 디스플레이장치(20)는 광원(21)에서 발생된 빛이 편광분리글래스(22)에 입사되면 P편광파(29)는 투과되고 S편광파(28)는 반사되어 두개의 편광성분으로 분리되며, S편광파는 액정표시소자(25)로 입사되고, P편광파는 방향전환 반사경(23)에 의해 방향이 전환되고 편광변환기(24)에 의해 S편광파로 변환되어 액정표시소자(25)로 입사된다.
그러나, 상술한 PBS나 편광분리기를 사용하는 경우 광효율이 1/2로 감소하고 편광변환기는 가공이 어려워 가격이 고가이다. 또한, 광도(Intensity of Light)의 공간적 균일성 확보를 위해 작은 편광기와 편광변환기를 광로에 직각인 면에서 결합하여 사용하므로 제작과 조립의 공정이 복잡하고 어려워 생산성을 현저히 낮추고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조와 조립과정을 갖도록 편광분리기와 편광변환기를 일체화시킨 편광변환소자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1 은 종래 편광빔 스프리터를 이용한 광투사형 디스플레이장치의 광학계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2 는 종래 편광분리글래스를 이용한 광투사형 디스플레이장치의 광학계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3 은 본 발명에 따른 광투사형 디스플레이장치의 편광변환소자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4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투사형 디스플레이장치의 반사형 편광변환소자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1: 광(Light) 102: S편광파
104: 편광변환소자 104a: 글래스
104b: 편광분리막 105: 반사경
106: P편광파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블러스터의 각도로 입사하는 광을/2의 위상차로 변환시키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글래스, 및 글래스의 전면과 후면에 코팅되어 S편광파는 반사하고 P편광파는 투과하는 편광분리막으로 구성되어, 블러스터의 각도로 입사하는 광을 전면에 코팅된 편광분리막에서 S편광파는 반사하고 P편광파는 투과하며, 투과된 P편광파가 글래스의 소정의 두께를 통과하면서/2의 위상차를 가지게 되어 편광분리막에 의해 반사된 S편광파와 동일한 S편광파를 가지고 진행하는 광투사형 디스플레이장치의 편광변환소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글래스는 가시광선영역에서 정상굴절율과 이상굴절율이 서로 다른 단광축 복굴절 재질이다.
또한, 편광분리막은 다층유전체박막(Multi Layer dielectric Coating)이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블러스터의 각도로 입사하는 광을/4의 위상차로 변환시키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글래스, 글래스의 전면에 코팅되어 S편광파는 반사하고 P편광파는 투과하는 편광분리막, 및 글래스의 후면에 코팅되어 글래스을 통과하는 광을 전반사시키는 전반사거울로 구성되어 블러스터의 각도로 입사하는 광을 전면에 코팅된 편광분리막에서 S편광파는 반사하고 P편광파는 투과하며, 투과된 P편광파가 글래스의 소정의 두께를 통과하면서/4의 위상차가 발생되고 전반사거울면에서 반사된 후 다시 글래스의 소정의 두께를 통과하면서/4의 위상변환을 갖게 되어 결과적으로/2의 위상변환이 되어 편광분리막에 의해 반사된 S편광파와 동일한 S편광파와 방향을 가지고 진행하는 광투사형 디스플레이장치의 편광변환소자를 제공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글래스는 가시광선영역에서 정상굴절율과 이상굴절율이 서로 다른 단광축 복굴절 재질이다.
그리고, 편광분리막은 다층유전체박막(Multi Layer dielectric Coating)이다.
또한, 글래스는 입사하는 광과 글래스의 전반사거울에 반사되어 나오는 광이 간섭되어 상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글래스의 두께를 조절하여 광의 증폭효과를 갖는 소정의 두께를 갖도록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3 는 본 발명에 따른 광투사형 디스플레이장치의 편광변환소자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광투사형 디스플레이장치의 편광변환소자(104)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글래스(104a)과 글래스(104a)의 전면과 후면에 코팅된 편광분리막 (104b)으로 구성된다.
글래스(104a)는 가시광선영역(파장:400~ 700㎚)에서 정상굴절율(Ordinary Refractive Index)과 이상굴절율(Extraodinary Refractive Index)이 서로 다른 단광축 복굴절 재질이다. 바람직하게는 글래스(104a)는 투명한 수정(Crystalline Quartz)으로 파장 550㎚인 광에서의 평균 굴절율은 1.5506이고 정상굴절율과 이상굴절율의 차이인 복굴절율이 0.0090인 재질을 사용한다.
그리고, 입사하는 브러스터의 각도(Brewster Angle)는 하기의 식에 의해 구해지고, 계산된 값은 57.18도이다.
θ beta = tan-¹( Nbm / No)
θ: 브러스터 각도(Brewster Angle)
Nbm : 글래스(104a)의 평균 굴절율
No : 공기의 굴절율
또한, 브러스터 각도에 의해 글래스의 두께가 구해진다.
T1 = 2d cos(90。 - θ beta )
T1 : 글래스(104a)의 두께
d : 수직투과시 S편광파와 P편광파의 성분이/4의 위상차를 일으키
는 두께
이 글래스(104a)의 두께 T1은 브러스터 각도로 입사하는 광(101)을/2의 위상차로 변환시킨다.
또한, 편광분리막(104b)은 다층유전체박막(Multi Layer dielectric Coating)으로 브러스터 각도로 입사하는 광(101)을 S편광파인 R(S)(102)는 전반사하고 P편광파 T(P)(106)는 투과하도록 한다.
이하, 광투사형 디스플레이장치의 편광변환소자의 동작을 설명한다.
블러스터의 각도로 입사하는 광인 I(P+S)(101)를 전면에 코팅된 편광분리막 (104b)에서 S편광파인 R(S)(102)는 반사하고 P편광파인 T(P)(106)는 투과한다.
투과된 P편광파인 T(P)(106)가 글래스의 소정의 두께(T1)를 통과하면서/2의 위상차를 가지게 되어 반사된 S편광파인 R(S)(102)와 동일한 S편광파인 T2(P)(103)로 진행한다. 이 변환된 S편광파인 T2(P)(103)는 반사경(105)에 의해 방향이 변환되어 편광분리막(104b)에 의해 반사된 S편광파인 R(S)(102)와 동일한 방향으로 진행한다.
한편, 도4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투사형 디스플레이장치의 반사형 편광변환소자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광투사형 디스플레이장치의 반사형 편광변환소자(206)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글래스(206a), 글래스(206a)의 전면에 코팅된 편광분리막 (206b), 글래스(206a)의 후면에 코팅된 전반사거울(206c)로 구성된다.
글래스(206a)는 상술한 글래스(104a)와 동일한 복굴절 재질로 되어 있지만 두께는 상술한 글래스(104a) 두께의 1/2배이다. 하기식에 의해 두께가 구해진다.
θ beta = tan-¹( Nbm / No)
θ: 브러스터 각도(Brewster Angle)
Nbm : 글래스(206a)의 평균 굴절율
No : 공기의 굴절율
T2 = d cos(90。 - θ beta )
T2 : 글래스(206a)의 두께
d : 수직투과시 S편광파와 P편광파의 성분이/4의 위상차를 일으키
는 두께
그리고, 편광분리막(206b)은 다층유전체박막 (Multi Layer dielectric Coating)으로 브러스터 각도로 입사하는 광인 I(201)를 S편광파인 R(202)은 전반사하고 P편광파인 T(203)는 투과하도록 한다
또한, 전반사거울(206c)은 글래스(206a)를 투과한 광인 T(203)을 전반사시킨다.
이하, 광투사형 디스플레이장치의 반사형 편광변환소자의 동작을 설명한다.
블러스터의 각도로 입사하는 광인 I(201)를 전면에 코팅된 편광분리막 (206b)에서 S편광파인 R(202)은 전반사하고 P편광파인 T(203)는 투과한다.
투과된 T(203)는 글래스(206a)의 소정의 두께(T2)를 투과하면서/4의 위상변환을 갖는다. 그리고, 이/4의 위상변환된 T(203)는 전반사거울면(206c)에서 반사된 후 다시 글래스(206a)의 소정 두께(T2)를 투과하면서/4의 위상차를 갖게 되어 결과적으로/2의 위상변환이 되어 편광분리막(206b)에서 반사된 S편광파인 R(202)와 동일한 S편광파와 방향인 TRT(205)를 가지고 진행한다.
또한, 글래스는 입사하는 광(208)과 글래스(206a)를 투과하여 전반사거울 (206c)에 의해 반사되어 나오는 광(205)이 간섭되어 상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글래스(206a)의 두께를 조절하여 광의 증폭효과를 갖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편광분리와 편광변환을 동시에 수행하는 글래스구조의 소자를 사용하므로써 광효율을 높이고 원가는 낮추면서 생산성을 높이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당해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실시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기술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Claims (7)

  1. 블러스터의 각도로 입사하는 광을/2의 위상차로 변환시키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글래스; 및
    상기 글래스의 전면과 후면에 코팅되어 S편광파는 반사하고 P편광파는 투과하는 편광분리막으로 구성되어,
    블러스터의 각도로 입사하는 광을 전면에 코팅된 상기 편광분리막에서 S편광파는 반사하고 P편광파는 투과하며, 상기 투과된 P편광파가 상기 글래스의 소정의 두께를 통과하면서/2의 위상차를 가지게 되어 상기 편광분리막에 의해 반사된 S편광파와 동일한 S편광파를 가지고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투사형 디스플레이장치의 편광변환소자.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글래스는 가시광선영역에서 정상굴절율과 이상굴절율이 서로 다른 단광축 복굴절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투사형 디스플레이장치의 편광변환소자.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분리막은 다층유전체박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투사형 디스플레이장치의 편광변환소자.
  4. 블러스터의 각도로 입사하는 광을/4의 위상차로 변환시키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글래스;
    상기 글래스의 전면에 코팅되어 S편광파는 반사하고 P편광파는 투과하는 편광분리막; 및
    상기 글래스의 후면에 코팅되어 상기 글래스을 통과하는 광을 전반사시키는 전반사거울로 구성되어,
    블러스터의 각도로 입사하는 광을 전면에 코팅된 상기 편광분리막에서 S편광파는 반사하고 P편광파는 투과하며, 상기 투과된 P편광파가 상기 글래스의 소정 두께를 통과하면서/4의 위상차가 발생되고 상기 전반사거울면에서 반사된 후 다시 상기 글래스의 소정의 두께를 통과하면서/4의 위상변환을 갖게 되어 결과적으로/2의 위상변환이 되어 상기 편광분리막에 의해 반사된 S편광파와 동일한 S편광파와 방향을 가지고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투사형 디스플레이장치의 편광변환소자.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글래스는 가시광선영역에서 정상굴절율과 이상굴절율이 서로 다른 단광축 복굴절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투사형 디스플레이장치의 편광변환소자.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분리막은 다층유전체박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투사형 디스플레이장치의 편광변환소자.
  7.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글래스는 입사하는 광과 상기 글래스의 전반사거울에 반사되어 나오는 광이 간섭되어 상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글래스의 두께를 조절하여 광의 증폭효과를 갖는 소정의 두께를 갖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투사형 디스플레이장치의 편광변환소자.
KR1019990029639A 1999-07-21 1999-07-21 광투사형 디스플레이장치의 편광변환소자 KR1006090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9639A KR100609060B1 (ko) 1999-07-21 1999-07-21 광투사형 디스플레이장치의 편광변환소자
CN00104591A CN1133090C (zh) 1999-07-21 2000-03-31 投影显示单元的偏振光变换装置
JP2000101167A JP3409207B2 (ja) 1999-07-21 2000-03-31 光投射形ディスプレイ装置の偏光変換素子
US09/550,713 US6910771B1 (en) 1999-07-21 2000-04-17 Polarized light converting device and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9639A KR100609060B1 (ko) 1999-07-21 1999-07-21 광투사형 디스플레이장치의 편광변환소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0649A true KR20010010649A (ko) 2001-02-15
KR100609060B1 KR100609060B1 (ko) 2006-08-09

Family

ID=19603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9639A KR100609060B1 (ko) 1999-07-21 1999-07-21 광투사형 디스플레이장치의 편광변환소자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910771B1 (ko)
JP (1) JP3409207B2 (ko)
KR (1) KR100609060B1 (ko)
CN (1) CN1133090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063977A1 (de) * 2000-12-14 2002-07-25 Eckhard Zanger Optischer resonanter Frequenzwandler
WO2002102087A1 (en) * 2001-06-11 2002-12-1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rojection system having low astigmatism
KR100407962B1 (ko) * 2001-07-06 2003-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편광을 유지하는 광섬유
KR100415312B1 (ko) * 2001-07-19 2004-01-16 학교법인 성균관대학 광섬유 편광자
CN100377585C (zh) * 2004-05-28 2008-03-26 精碟科技股份有限公司 投影系统
JP2007033676A (ja) * 2005-07-25 2007-02-08 Ricoh Co Ltd 偏光変換光学素子、光変調モジュール及び投射型画像表示装置
JP2009128568A (ja) * 2007-11-22 2009-06-11 Epson Toyocom Corp 偏光変換素子及びプロジェクタ
WO2009100576A1 (en) * 2008-02-04 2009-08-20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Display system
CN102331628A (zh) * 2010-07-13 2012-01-25 任贻均 可增强光线中某一偏极态的光学系统与具有此系统的光源系统
TWI447511B (zh) * 2010-11-12 2014-08-01 Asia Optical Co Inc Projector light source module
CN102998801B (zh) * 2011-09-09 2015-04-22 亚洲光学股份有限公司 三色光合成装置
TWM451596U (zh) * 2012-10-04 2013-04-21 Tera Xtal Technology Corp 具雙折射結構之觸控顯示裝置
US10145999B2 (en) 2016-01-28 2018-12-04 Apple Inc. Polarizing beamsplitter that passes s-polarization and reflects p-polarization
CN105842923A (zh) * 2016-06-02 2016-08-1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背光模组及显示装置
KR101960192B1 (ko) * 2017-11-23 2019-03-19 킴 훙 유 중첩된 편광을 이용한 입체 영상 제공
CN113376727A (zh) * 2021-06-16 2021-09-10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光学器件和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85496A (en) * 1989-03-31 1992-02-04 Sharp Kabushiki Kaisha Optical element and optical pickup device comprising it
EP0434041B1 (en) * 1989-12-20 1996-09-11 Canon Kabushiki Kaisha Polarized illuminating device
US6259559B1 (en) * 1995-03-28 2001-07-10 Central Glass Company, Limited Glass arrangement including an outside glass plate, a polarization direction changing film and an adhesive layer therebetween, and an inside glass layer
FR2735875B1 (fr) * 1995-06-21 1997-08-14 Thomson Multimedia Sa Dispositif optique de polarisation et systeme de projection du type a valve a cristaux liquides utilisant un tel dispositif optique
KR19980010488U (ko) * 1996-08-07 1998-05-15 유기범 전전자교환기의 보드식별구조(board discernment structure of full-electronic switching system)
KR19980052816A (ko) * 1996-12-24 1998-09-25 구자홍 액정 프로젝터 광학계
FR2758890B1 (fr) * 1997-01-29 1999-02-26 Thomson Multimedia Sa Dispositif optique de polarisation
KR100227483B1 (ko) * 1997-06-04 1999-11-01 김영환 Lcd 프로젝터의 광학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81998A (zh) 2001-01-31
US6910771B1 (en) 2005-06-28
JP2001042129A (ja) 2001-02-16
JP3409207B2 (ja) 2003-05-26
CN1133090C (zh) 2003-12-31
KR100609060B1 (ko) 2006-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40230B1 (en) Method of using a retarder plate to improve contrast in a reflective imaging system
US6331060B1 (en) Projection-typ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adjustment thereof
KR100609060B1 (ko) 광투사형 디스플레이장치의 편광변환소자
JPH06138413A (ja) プレート型偏光分離装置及び該偏光分離装置を用いた偏光照明装置
US20080094576A1 (en) Projection system incorporating color correcting element
US20080117385A1 (en) Liquid crystal device and projector having the same
US6402323B1 (en) Reflective type liquid crystal projection system
US7145719B2 (en) Optical cores and projection systems containing the optical core
JPH0572417A (ja) 偏光変換素子
US11592735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image display unit
JP4337691B2 (ja) 画像表示装置
US7002743B2 (en) Polarization conversion system
KR20030090021A (ko) 반사형 평판 편광판을 이용한 프로젝션 시스템
US6081377A (en) Polarized light synthesizing device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JP2005062787A (ja) 液晶表示装置および投写型表示装置
WO2013171822A1 (ja) 投写型表示装置及び投写方法
JP3659637B2 (ja) 投影型画像表示装置
KR100590336B1 (ko) 프로젝션 시스템의 편광 변환 장치
KR100743290B1 (ko) 프로젝션 시스템의 반사형 광학장치
JP3260821B2 (ja) 光源装置および投影型液晶画像表示装置
JPH04358115A (ja) 偏光依存性解消フィルタアセンブリ
TWI275306B (en) Off-axis optical engine in an LCoS projection system
JPH11271671A (ja) 投影光学系
CN1547064A (zh) 改善液晶投影机对比度的方法
JPH06313810A (ja) 偏光変換合成素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