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0580A - 기지국의 디코딩 채널 상태 표시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기지국의 디코딩 채널 상태 표시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0580A
KR20010010580A KR1019990029557A KR19990029557A KR20010010580A KR 20010010580 A KR20010010580 A KR 20010010580A KR 1019990029557 A KR1019990029557 A KR 1019990029557A KR 19990029557 A KR19990029557 A KR 19990029557A KR 20010010580 A KR20010010580 A KR 200100105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mux
processor
led
deco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9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귀상
노재웅
이철
Original Assignee
김영환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환,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환
Priority to KR10199900295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10580A/ko
Publication of KR200100105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0580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4Processing captured monitoring data, e.g. for logfile generation
    • H04L43/045Processing captured monitoring data, e.g. for logfile generation for graphical visualisation of monitoring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4Arrangements for maintain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지국 채널 디코딩 회로팩에서 각 채널의 현재 상태를 단색 LED를 사용하여 여러 가지 형태로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운용자가 채널의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기지국의 디코딩 채널 상태 표시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시스템 클럭을 입력받은 신호 생성부(10)에서 LED표시부로 입력될 신호를 생성하고, 모듈 미실장시 선택된 프로세서 클럭을 프로세서 클럭 감시부(20)에서 감시하며, WD_PET감시부(30)에서는 모듈이 실장된 상태에서 디코딩 프로세서에서 출력되는 WD_PET신호를 감시하고, 인터럽트 감시부(40)에서는 디코딩 프로세서에서 디코딩한 데이터를 출력할 때 사용하는 인터럽트를 감시하며, 상기 각부의 신호를 신호 선택부(50)에서 선택하여 이 신호선택부(50)의 출력에 따라 LED 표시부(60)를 통하여 각기 다른 LED로 표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기지국의 디코딩 채널 상태 표시장치 및 방법 {Decording channel state indicator of base station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IMT-2000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지국 채널 디코딩 회로팩에서 각 채널의 현재 상태를 단색 LED를 사용하여 여러 가지 형태로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운용자가 채널의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기지국의 디코딩 채널 상태 표시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새롭고 다양한 이동통신 서비스의 대거 출현으로 언제 어디서나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의 대중화와 아울러 선택의 시대가 본격적으로 열려 차세대에는 고도정보화 사회를 맞이하여 이동통신의 역할이 더욱 커질 전망이다.
그러나 다양하게 개발된 현재의 이동통신 서비스는 각각의 서비스마다 구현하는 기술방식이 다르고 같은 기술이더라도 국가나 지역마다 사용하는 주파수대역이 달라 무선통신 고유의 장점인 이동성을 완벽하게 실현하는데 근본적인 한계를 지니고 있다.
또한, 무선이라도 전송매체를 사용해야하는 기술적인 제약으로 인해 멀티미디어 서비스와 같은 이용자의 증대한 욕구를 만족시키기에는 근본적인 어려움이 있었으며 이러한 기존 이동통신 서비스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등장한 것이 IMT-2000이다.
이러한 IMT-2000은 각종 이동통신 서비스를 하나로 통합하여 무선의 ISDN화를 이룰수 있으며, 기존의 이동전화망이 진화,발전된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으로서 유선망수준의 품질을 갖는 무선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종래 기지국 채널 카드에서는 각 채널의 상태를 표시하기 위하여 해당 데이터를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클럭을 사용하여 레치하고 데이터의 LED에 표시하는 방법과 비지(Busy)인 경우 "온", 아이들(Idle)인 경우 "오프"로 표시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 방법에 있어서는, 채널의 상태를 표시하였을 경우 운용자가 가시적으로 채널의 점유 여부만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각 상태에 따라 LED에 입력되는 신호를 운용자가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도록 다르게 입력하여 LED를 보는 것만으로 채널의 현재 상태를 파악하여 문제 발생시 이를 신속하게 조치할 수 있도록 하는 기지국의 디코딩 채널 상태 표시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디코딩 채널 상태 표시장치의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신호 생성부 20:프로세서 클럭 감시부
30:WD_PET신호 감시부 40:인터럽트 감시부
50:신호 선택부 51:제1먹스
52:제2먹스 53:제3먹스
54:제4먹스 60:LED표시부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를 우선순위를 두어 선택하게 하여 우선 순위가 높은 상태를 먼저 감시하여 표시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도로, LED표시부로 입력될 신호를 만드는 신호 생성부(10)와, 모듈 미실장시 선택된 프로세서 클럭을 감시하는 프로세서 클럭 감시부(20)와, 모듈이 실장된 상태에서 디코딩 프로세서에서 출력되는 WD_PET신호를 감시하는 WD_PET감시부(30)와, 디코딩 프로세서에서 디코딩한 데이터를 출력할 때 사용하는 인터럽트를 감시하는 인터럽트 감시부(40)와, 상기 각부의 신호를 선택하는 신호 선택부(50)와, 상기 신호선택부(50)의 출력에 따라 각기 다른 LED로 표시하는 LED 표시부(6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신호선택부(50)는 상기 신호생성부(10)와 프로세서 클럭 감시부(20)의 신호를 먹싱하는 제1먹스(51)와, 상기 신호생성부(10)와 인터럽트 감시부(40)의 신호를 먹싱하는 제2먹스(52)와, 상기 신호생성부(10)와 WD_PET신호 감시부(30)의 신호 및 상기 제2먹스(52)의 신호를 먹싱하는 제3먹스(53)와, 상기 제1먹스(51)와 상기 제3먹스(53)의 신호 및 실장상태의 신호를 먹싱하는 제4먹스(54)로 구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도 2의 동작흐름도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통상적으로 디코딩 채널의 동작상태는 다음 표 1과 같이 5가지 상태가 발생할 수 있다.
상태 원인
모듈 미실장 프로세서 클럭 비정상 -제어 프로세서 클럭 입 력 비정상
??로세서 클럭 정상 -제어프로세서 클럭 입력 정상
모듈 실장 알람 -전원 인가 상태 불량-디코딩 프로세서 모듈의 비정상 동작-외부 메모리 억세스 상태 불량
아이들 -디코딩 프로세서 모듈 정상 동작-채널 디코딩 기능을 수행하고 있지 않는 상태
비지 -디코딩 프로세서 모듈 정상 동작-채널 디코딩 기능 수행-데이터 입출력 통신중
본 발명은 먼저, 회로팩에 전원이 인가되면 모듈 실장상태를 확인하여 모듈 감시 신호를 선택함과 동시에 시스템 클럭을 입력받은 신호 생성부(10)에서 LED에 입력할 신호를 만들어 낸다.
모듈의 상태를 감시하는 신호가 선택되면, 각 신호를 감시하는 프로세서 클럭 감시부(20), WD_PET신호감시부(30), 인터럽트 감시부(40)에서 신호를 감시한 결과 값을 신호선택부(50)의 각 먹스의 선택단자에 입력하고 디코딩 모듈 실장 여부를 판단한다(S1,S2단계).
즉, 상기 신호선택부(50)의 제1먹스(51)에서는 상기 신호생성부(10)와 프로세서 클럭 감시부(20)의 신호를 입력받아 먹싱하고, 제2먹스(52)에서는 상기 신호생성부(10)와 인터럽트 감시부(40)의 신호를 입력받아 먹싱하며, 제3먹스(53)는 상기 신호생성부(10)와 WD_PET신호 감시부(30)의 신호 및 상기 제2먹스(52)의 신호를 입력받아 먹싱하고, 제4먹스(54)는 상기 제1먹스(51)와 상기 제3먹스(53)의 신호 및 실장상태의 신호를 입력받아 먹싱한다.
만일, 디코딩 모듈이 실장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제어 프로그램 동작 클럭을 감시하여 그 결과에 따라 LED표시부(60)의 해당 LED에 표시한다(S3-S5단계).
즉, 디코딩 모듈이 실장되지 않은 상태에서 프로세서 클럭이 비정상이면 LED표시부(60)의 LED를 오프시키며, 프로세서 클럭이 정상일 경우에는 LED표시부(60)의 LED를 점멸시킨다.
이때의 LED점멸은 0.5초 간격으로 2회 온/오프후 6초간 "오프"상태를 반복한다.
한편, 상기 S2단계에서 디코딩 모듈이 실장된 경우에는 해당 모듈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가를 우선 판별한다(S6단계).
만일, 해당 모듈이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는 경우에는, 다시 인터럽트 신호를 감시한 결과를 이용하여 아이들 또는 비지 상태를 표시하며(S7-S9단계), 해당 모듈이 정상적으로 동작을 하지 않으면 알람 상태를 표시한다(S10단계).
즉, 상기 S7단계에서 아이들 경우에는, 0.5Hz의 클럭신호를 입력하여 1초 간격으로 점멸한다.
그러나 상기 S7단계에서 아이들이 아닌 경우, 즉 비지(Busy)인 경우에는 디코딩 과정에서 인터럽트 신호를 이용하여 20ms간격으로 LED를 점멸한다.
또한, 상기 S6단계에서 해당 모듈이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지 않으면, 전원감시 및 WD_PET신호 감시부(30)에서 출력되는 리셋신호를 이용하여 LED를 온시켜 알람을 표시한다.
아래의 표 2는 상기 LED의 표시관계를 도표로 나타낸 것이다.
상태 LED표시 입력신호
프로세서 클럭 비정상 오프 -모듈 미실장시 해당 모듈에 대한 알람 감시를 프로세서 클럭을 사용함.-프로세서 클럭이 비정상 동작일 경우 오프 상태 유지
프로세서 클럭 정상 점멸 -모듈 미실장시 해당 모듈에 대한 알람 감시를 프로세서 클럭을 사용함.-프로세서 클럭이 정상일 경우:0.5초 간격으로 "온/오프"후 6초간 오프상태 반복
알람 -전원 감시 및 WD_PET부에서 출력되는 리셋신호
아이들 점멸 -0.5Hz의 클럭신호를 입력하여 1초 간격으로 점멸
비지 점멸 -디코딩 과정에서 인터럽트 신호를 이용하여 생성(20ms간격 점멸)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은 본 발명은 기지국의 채널 디코딩 회로팩에서 각 채널의 상태를 단색 LED를 사용하여 여러 가지 형태로 표시함으로써 채널의 현재 상태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LED표시부로 입력될 신호를 만드는 신호 생성부와,
    모듈 미실장시 선택된 프로세서 클럭을 감시하는 프로세서 클럭 감시부와, 모듈이 실장된 상태에서 디코딩 프로세서에서 출력되는 WD_PET신호를 감시하는 WD_PET감시부와,
    디코딩 프로세서에서 디코딩한 데이터를 출력할 때 사용하는 인터럽트를 감시하는 인터럽트 감시부와,
    상기 각부의 신호를 선택하는 신호 선택부와,
    상기 신호선택부의 출력에 따라 각기 다른 LED로 표시하는 LED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의 디코딩 채널 상태 표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선택부가,
    상기 신호생성부와 프로세서 클럭 감시부의 신호를 먹싱하는 제1먹스와,
    상기 신호생성부와 인터럽트 감시부의 신호를 먹싱하는 제2먹스와,
    상기 신호생성부와 WD_PET신호 감시부의 신호 및 상기 제2먹스의 신호를 먹싱하는 제3먹스와,
    상기 제1먹스와 상기 제3먹스의 신호 및 실장상태의 신호를 먹싱하는 제4먹스로 구성되어 우선 순위가 높은 상태를 먼저 감시하여 표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의 디코딩 채널 상태 표시장치.
  3. 전원인가상태에서 디코딩 모듈의 실장여부를 판단하는 제1단계,
    디코딩 모듈이 실장되지 않은 경우 프로세서 클럭이 정상인가를 판단하여 비정상이면 LED를 오프시키고, 정상이면 LED를 점멸시키는 제2단계,
    상기 제1단계에서 디코딩 모듈이 실장된 경우, 프로세서가 정상동작하는가를 판단하는 제3단계,
    상기 제3단계에서 프로세서가 정상동작할 경우, 아이들(Idle)이거나 비지(Busy)이면 LED를 점멸하는 제4단계,
    상기 제3단계에서 프로세서가 비정상동작할 경우, LED를 온시켜 알람하는 제5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의 디코딩 채널 상태 표시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에서, 아이들의 경우 0.5Hz의 클럭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1초 간격으로 점멸하고, 비지의 경우에는 인터럽트 신호를 이용하여20ms간격으로 점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의 디코딩 채널 상태 표시방법.
KR1019990029557A 1999-07-21 1999-07-21 기지국의 디코딩 채널 상태 표시장치 및 방법 KR200100105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9557A KR20010010580A (ko) 1999-07-21 1999-07-21 기지국의 디코딩 채널 상태 표시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9557A KR20010010580A (ko) 1999-07-21 1999-07-21 기지국의 디코딩 채널 상태 표시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0580A true KR20010010580A (ko) 2001-02-15

Family

ID=19603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9557A KR20010010580A (ko) 1999-07-21 1999-07-21 기지국의 디코딩 채널 상태 표시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1058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05792B2 (en) 2004-10-18 2009-03-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network apparatus for selectively displaying multiple information items related to network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8938A (ja) * 1993-07-20 1995-02-07 Nippondenso Co Ltd 移動体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基地局状態報知装置
KR960027706A (ko) * 1994-12-30 1996-07-22 박성규 무선기지국의 디 채널 동작상태 표시회로
JPH0965418A (ja) * 1995-08-30 1997-03-07 Mitsubishi Electric Corp チャネル状態遷移表示交換機システム
KR19980058341A (ko) * 1996-12-30 1998-09-25 구자홍 멀티셀 무선통신시스템에 있어서 기지국의 상태확인장치 및 방법
KR20000039062A (ko) * 1998-12-10 2000-07-05 서평원 통신장치의 채널상태 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8938A (ja) * 1993-07-20 1995-02-07 Nippondenso Co Ltd 移動体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基地局状態報知装置
KR960027706A (ko) * 1994-12-30 1996-07-22 박성규 무선기지국의 디 채널 동작상태 표시회로
JPH0965418A (ja) * 1995-08-30 1997-03-07 Mitsubishi Electric Corp チャネル状態遷移表示交換機システム
KR19980058341A (ko) * 1996-12-30 1998-09-25 구자홍 멀티셀 무선통신시스템에 있어서 기지국의 상태확인장치 및 방법
KR20000039062A (ko) * 1998-12-10 2000-07-05 서평원 통신장치의 채널상태 표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05792B2 (en) 2004-10-18 2009-03-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network apparatus for selectively displaying multiple information items related to network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96647B1 (ko) 방송 서비스를 수행하는 방법
EP0239810A2 (en) Pager receiver helpful for effective use of call numbers
CA2327284A1 (en) Test access and performance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for cross-connect communication networks
JPH08504071A (ja) 無線装置および無線装置の加入者ターミナル
CA1208384A (en) Interrogation device
KR960014493B1 (ko) 마이크로 컴퓨터 제어된 디스플레이 백라이트
CA2419193A1 (en) Wireless community alerting system
WO1992003891A1 (en) Programmable alert for a communication device
KR20010010580A (ko) 기지국의 디코딩 채널 상태 표시장치 및 방법
CN105404029B (zh) 预测测控装置液晶面板寿命的方法
KR20020070322A (ko) 전자 장치내에 하나 이상의 배터리를 수용하기 위한시스템 및 방법
JP2000030163A (ja) 電流センサユニット
US2005006909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the status of telephone lines
CN201051648Y (zh) 一种设有多功能液晶显示屏的监控器
GB2307080A (en) Radio selective calling receiver
CN1522043A (zh) 监视与控制系统告警装置
KR100292226B1 (ko) 무선 긴급전화 접수 및 유지보수 시스템
JP2004127176A (ja) 無線データ収集システム
KR20060066458A (ko) 상업용 영상표시기기의 이상상태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960010874B1 (ko) 출중계선 시험을 위한 자동호출장치
KR0186010B1 (ko) 다중화 장치의 감시 제어장치 및 방법
JP2008306762A (ja) 通信ネットワーク
JP3257066B2 (ja) データ表示装置
KR20000010005A (ko) 무선 호출기의 에러 메시지 경보 방법
KR200317559Y1 (ko) 하이웨이 상의 타임슬롯 데이터 모니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