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9515A - 충전시스템 - Google Patents

충전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9515A
KR20010009515A KR1019990027907A KR19990027907A KR20010009515A KR 20010009515 A KR20010009515 A KR 20010009515A KR 1019990027907 A KR1019990027907 A KR 1019990027907A KR 19990027907 A KR19990027907 A KR 19990027907A KR 20010009515 A KR20010009515 A KR 200100095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power source
unit
switching
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79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경화
Original Assignee
박경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경화 filed Critical 박경화
Priority to KR10199900279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09515A/ko
Priority to KR2019990013717U priority patent/KR200165152Y1/ko
Publication of KR200100095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9515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02J7/35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with light sensitive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6Accumulator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harging apparat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상적인 이동통신기기(핸드폰, 페이져)에 전력을 태양광과 빛으로부터 충전할 수 있도록 한 충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충전시스템은 소정의 전하를 저장하는 충전지를 구비하고 있으며, 태양으로부터 유기된 광에너지와 복사된 열에너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소정의 전하로 변환하여 전원을 생성하는 전원생성부와, 상기 전원생성부로부터 생성된 전원의 흐름을 일 방향으로 유도하고 직류전원으로 정류하여 소정의 전원범위를 갖도록 조정하는 전원조정부와, 상용전원으로부터 소정의 전원범위를 갖도록 조정하여 전원을 직류전원으로 정류 및 평활하는 외부전원공급부와, 상기 전원조정부로부터 출력되는 직류전원의 전류를 감지하여 상기 외부전원공급부와 상기 전원조정부 중 어느 하나의 직류전원을 선택적으로 스위칭절환하는 스위칭수단과, 상기 스위칭수단으로부터 선택된 직류전원을 상기 충전지에 인가함과 동시에 상기 충전지로부터 감지된 충전전압을 소정의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과잉충전을 방지하는 과충전방지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전기 및 충전홀더가 없는 곳에서도 태양으로부터 상시 충전지에 충전할 수 있으므로, 충전지가 장착되는 이동통신기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사용자의 편리성을 극대화시킨다.

Description

충전시스템{CHARGE SYSTEM}
본 발명은 충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통상적인 이동통신기기(핸드폰, 페이져)에 전력을 태양광과 빛으로부터 충전할 수 있도록 한 충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기기는 항상 이동성이 확보되어야 하기 때문에 이동통신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지가 마련되어 있고, 이와 같은 전지는 여러번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충전지로 되어 있다. 통상적인 충전지는 220V와 110V의 상용전원을 가공한 전력을 소정 시간동안 인가하는 충전시스템에 의해서 충전되어 지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충전시스템은 항상 상용전원으로부터 충전하여야 하기 때문에 갑짜기 충전지가 방전되면 거의 충전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상용전원의 사용에 따른 전력요금이 부과되어 경우에 따라서는 상당한 경제적인 부담감을 제공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한상 충전홀더에 의해서 충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장기간 외부에서 활동 즉 출장시 일일이 상기 홀더를 준비하여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이동통신기기(핸드폰, 페이져)에 필요전력을 태양광과 빛으로부터 충전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통상적인 상용전원으로부터 충전이 가능하도록 한 충전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모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충전시스템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전원생성부 11 ; 솔라셀
12 ; 펠티어소자 13 ; 역류방지부
15 ; 전력조정부 17 ; 전류감지부
18 스위칭부 19 ; 스위칭절환부
20 ; 과충전방지부 21 ; 외부전원공급부
23 ; 상용전원발생부 25 ; 트랜스부
27 ; 정류 및 평활부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소정의 전하를 저장하는 충전지를 구비한 충전기에 있어서, 태양으로부터 유기된 광에너지와, 복사된 열에너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소정의 전하로 변환하여 전원을 생성하는 전원생성부와, 상기 전원생성부로부터 생성된 전원의 흐름을 일 방향으로 유도하고 직류전원으로 정류하여 소정의 전원범위를 갖도록 조정하는 전원조정부와, 상용전원으로부터 소정의 전원범위를 갖도록 조정하여 전원을 직류전원으로 정류 및 평활하는 외부전원공급부와, 상기 전원조정부로부터 출력되는 직류전원의 전류를 감지하여 상기 외부전원공급부와 상기 전원조정부 중 어느 하나의 직류전원을 선택적으로 스위칭절환하는 스위칭수단과, 상기 스위칭수단으로부터 선택된 직류전원을 상기 충전지에 인가함과 동시에 상기 충전지로부터 감지된 충전전압을 소정의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과잉충전을 방지하는 과충전방지부를 포함하는 충전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스위칭수단은 상기 전원조정부로부터 전류를 감지하여 그 감지전류가 기준전류보다 낮을 경우 절환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전류감지부와, 상기 전류감지부의 절환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전원공급부와 상기 전원조정부 중 어느 하나의 직류전원을 상기 과충전방지부에게 출력하는 스위칭절환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충전시스템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본 충전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양으로부터 유기된 광에너지를 소정의 전기적 에너지인 전하로 변화하는 솔라셀(SOLARCELL)(11)과 상기 태양으로부터 복사된 빛에너지를 소정의 전기적 에너지인 전하로 변환하는 펠티어소자(peltier device)(12)를 갖고 사용자가 원하는 소정의 전원을 생성하는 전원생성부(10)와, 상기 전원생성부(10)로부터 생성된 전원의 흐름을 일 방향으로 유도하고 직류전원으로 정류하여 소정의 전원범위를 갖도록 조정하는 전원조정부(14)를 가지고 있다. 이 때, 상기 전원조정부(14)는 솔라셀(11) 또는 펠티어소자(12)로부터 유기된 전기에너지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류방지부(13)와, 상기 역류방지부(13)를 통과한 전원을 정류하고 소정의 전원범위를 갖도록 조정하는 전력조정부(15)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통상적인 상용전원으로부터 소정의 전원범위를 갖도록 조정하여 전원을 직류전원으로 정류 및 평활하는 외부전원공급부(21)와, 상기 전원조정부(14)로부터 출력되는 직류전원의 전류를 감지하여 상기 외부전원공급부(21)와 상기 전원조정부(14) 중 어느 하나의 직류전원을 선택적으로 스위칭절환하는 스위칭부(18)를 더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스위칭부(18)로부터 선택된 전력을 충전지(30)에 인가함과 동시에 상기 충전지(30)로부터 감지된 충전전압을 소정의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과잉충전을 방지하는 과충전방지부(20)가 연속해서 인가되어 있다.
상기 외부전원공급부(21)는 충전홀더에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통상적인 220V 또는 110V의 교류의 상용전원을 발생하는 상용전원발생부(23)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상용전원발생부(23)에는 상기 상용전원을 소정의 전원범위를 갖도록 변압시키는 트랜스부(25)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트랜스부(25)에는 상기 소정의 전원범위를 갖는 변압된 전원을 정류하고 평활 하여 정전압을 공급하는 정류 및 평활부(27)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스위칭부(18)에는 상기 전원조정부(14)로부터의 태양전원과 상기 외부전원공급부(21)로부터의 정전압원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과충전방지부(20)를 통한 상기 충전지(30)에게 전기적 에너지인 전하를 충전시키는 스위칭절환부(19)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스위칭절환부(19)에는 상기 전원조정부(14)로부터 출력된 전류의 세기를 감지하여 소정의 기준전류와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 상기 기준전류보다 낮을 경우 상기 스위칭절환부(19)에게 절환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외부전원공급부(21)의 정전압원이 상기 과충전방지부(20)에게로 출력하도록 하는 전류감지부(17)가 연결되어 있다.
한편, 상기 외부전원공급부(21)의 정류 및 평활부(27)와 상기 스위칭부(18)의 스위칭절환부(19) 사이에는 상호 전기적으로 접속가능하게 설치된 콘넥터(미도시)가 마련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충전시스템은 통상적인 이동통신기기에 적용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충전지(30)와 함께 이동통신기기에 장착되어 거의 항상 태양으로부터 전원을 생성하여 상기 충전지(30)에게 충전하고, 상기 태양으로부터 충전이 불가능하면 외부전원공급부(21)를 접속하여 간편하게 충전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전기 및 충전홀더가 없는 곳에서도 태양광과 태양열을 이용하여 상시 충전지에 충전할 수 있으므로, 충전지가 장착되는 핸드폰 및 호출기 등에 전력을 공급하는 사용자의 편리성을 극대화시키는 효과가 있고, 상용전원을 사용하는데 따른 전기료가 절약되기 때문에 경제적인 부담감을 줄여주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소정의 전하를 저장하는 충전지를 구비한 충전기에 있어서,
    태양으로부터 유기된 광에너지와, 복사된 열에너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소정의 전하로 변환하여 전원을 생성하는 전원생성부와;
    상기 전원생성부로부터 생성된 전원의 흐름을 일 방향으로 유도하고 직류전원으로 정류하여 소정의 전원범위를 갖도록 조정하는 전원조정부와;
    상용전원으로부터 소정의 전원범위를 갖도록 조정하여 전원을 직류전원으로 정류 및 평활하는 외부전원공급부와;
    상기 전원조정부로부터 출력되는 직류전원의 전류를 감지하여 상기 외부전원공급부와 상기 전원조정부 중 어느 하나의 직류전원을 선택적으로 스위칭절환하는 스위칭수단과;
    상기 스위칭수단으로부터 선택된 직류전원을 상기 충전지에 인가함과 동시에 상기 충전지로부터 감지된 충전전압을 소정의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과잉충전을 방지하는 과충전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수단은,
    상기 전원조정부로부터 전류를 감지하여 그 감지전류가 기준전류보다 낮을 경우 절환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전류감지부와;
    상기 전류감지부의 절환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전원공급부와 상기 전원조정부 중 어느 하나의 직류전원을 상기 과충전방지부에게 출력하는 스위칭절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시스템.
KR1019990027907A 1999-07-10 1999-07-10 충전시스템 KR2001000951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7907A KR20010009515A (ko) 1999-07-10 1999-07-10 충전시스템
KR2019990013717U KR200165152Y1 (ko) 1999-07-10 1999-07-13 충전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7907A KR20010009515A (ko) 1999-07-10 1999-07-10 충전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3717U Division KR200165152Y1 (ko) 1999-07-10 1999-07-13 충전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9515A true KR20010009515A (ko) 2001-02-05

Family

ID=19600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7907A KR20010009515A (ko) 1999-07-10 1999-07-10 충전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0951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225376T3 (es) Procedimiento para hacer funcionar una instalacion de energia eolica, asi como una instalacion de energia eolica.
KR200275514Y1 (ko) 충전지를 내장한 휴대용 충전장치
KR101197243B1 (ko) 휴대용 대용량 전원 공급장치
MY118357A (en) Constant current and constant voltage battery charger
BRPI0412147A (pt) adaptador e fonte de alimentação de energia hìbrida
TW367644B (en) Charging apparatus
KR102053064B1 (ko) 계통연계형 태양광 인버터를 독립형 태양광 발전에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변환장치
KR200165152Y1 (ko) 충전시스템
KR20010009515A (ko) 충전시스템
KR100956105B1 (ko) 다수의 태양전지판을 이용한 태양광 인버터의 충전시스템
KR20200042869A (ko) 스마트 밸런싱 에너지 충전 제어 시스템
WO1988006814A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D.C. to A.C. INVERTERS
JP3472327B2 (ja) 電力供給システム
KR19980076378A (ko) 무선전화시스템의 휴대장치를 충전시키기 위한 장치
KR20110095024A (ko) 이동 가능한 가정용 전기 콘센트
US3586954A (en) Equipment for charging accumulator batteries
KR20020092859A (ko) 충전지를 내장한 휴대용 충전장치
KR20010002239A (ko) 충전기
CN117639189A (zh) 一种多电压平台智能充电器电路
JPS57193977A (en) Electric power converting device
JP3334223B2 (ja) バッテリーパック
TWM400153U (en) 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and in-house energy-saving power supply unit
GB2189097A (en) Solar power systems
KR101763631B1 (ko) 방수 기능을 갖는 보조 배터리 장치
KR0130238Y1 (ko) 리모콘 충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