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2239A - 충전기 - Google Patents

충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2239A
KR20010002239A KR1019990021938A KR19990021938A KR20010002239A KR 20010002239 A KR20010002239 A KR 20010002239A KR 1019990021938 A KR1019990021938 A KR 1019990021938A KR 19990021938 A KR19990021938 A KR 19990021938A KR 20010002239 A KR20010002239 A KR 200100022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charger
unit
energy
predeterm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1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경화
Original Assignee
박경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경화 filed Critical 박경화
Priority to KR10199900219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02239A/ko
Publication of KR200100022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2239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02J7/35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with light sensitive cel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02Overcharge prot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 H02J7/00718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in response to battery volt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정의 전하를 저장하는 충전지를 구비한 충전기에 관한 것으로서, 태양으로부터 유기된 광에너지와, 복사된 열애너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소정의 전하로 변환하여 전원을 생성하는 전원생성부와, 상기 전원생성부로부터 생성된 전원의 흐름을 일 방향으로 유도하고 직류전원으로 정류하여 소정의 전원범위를 갖도록 조정하는 전원조정부와, 상기 전원조정부로부터의 출력전원을 상기 충전지에 인가함과 동시에 상기 충전지로부터 감지된 충전전압을 소정의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과잉충전을 방지하는 과충전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전기 및 충전홀더가 없는 곳에서도 태양광과 태양열을 이용하여 상시 충전기를 충전할 수 있으므로, 충전기가 장착되는 핸드폰 및 호출기 등의 충전수명의 단축에 구애됨이 없이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충전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충전기{RECHARGE BATTERY}
본 발명은, 핸드폰, 호출기 등의 전기를 사용하는 제품의 충전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핸드폰 등의 충전기를 솔라셀(solarcell) 등을 사용한 태양광과, 펠티어소자(peltier device) 등의 열전소자를 사용한 태양열을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로 바꿔 충전하는 충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태양 에너지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기존의 휴대폰 등에서 사용되는 충전방법은 탈,착이 가능한 2차 전지를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2차 전지는, 2차 전지의 화학적 특성에 의해서 수명이 짧고, 사용시간이 갈수록 줄어드는 단점이 있다.
또한 전기가 있고 충전홀더가 있는 곳에서만 충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장기간 외부에서 활동할 때는 전기를 충전하기 어려워 전화기를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 및 충전홀더가 없는 곳에서도 태양광과 태양열을 이용하여 상시 핸드폰 및 충전기를 충전할 수 있는 충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블럭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솔라셀 2 : 역류방지회로
3,7 : 정류및 전압/전류크기 조정회로 4 : 전력합성 및 과충전방지회로
5 : 펠티어소자 6 : 역류방지회로
8 : 충전기 10 : 전원생성부
20 : 전원조정부 30 : 과충전방지부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소정의 전하를 저장하는 충전지를 구비한 충전기에 있어서, 태양으로부터 유기된 광에너지와, 복사된 열애너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소정의 전하로 변환하여 전원을 생성하는 전원생성부와, 상기 전원생성부로부터 생성된 전원의 흐름을 일 방향으로 유도하고 직류전원으로 정류하여 소정의 전원범위를 갖도록 조정하는 전원조정부와, 상기 전원조정부로부터의 출력전원을 상기 충전지에 인가함과 동시에 상기 충전지로부터 감지된 충전전압을 소정의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과잉충전을 방지하는 과충전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기에 의하여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전원생성부는, 상기 광에너지를 소정의 전하로 변화하여 생성하는 솔라셀과, 상기 열에너지를 소정의 전하로 변환하여 전원을 생성하는 펠티어소자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과충전방지부에는 상기 광에너지로부터 생성된 전원과 상기열에너지로부터 생성된 전원을 합성하는 전력합성부가 내장되어 있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블럭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태양열 충전기는, 태양으로부터 유기된 광에너지를 소정의 전하로 변화하여 전원을 생성할 수 있도록 솔라셀(1)을 설치하고 있으며, 복사된 열애너지를 소정의 전하로 변환하여 전원을 생성할 수 있도록 펠티어소자(5)가 구비된 전원생성부(10)를 마련하고 있다.
그리고, 전원생성부(10)로부터 생성된 전원의 흐름을 일 방향으로 유도하고 직류전원으로 정류하여 소정의 전원범위를 갖도록 조정하는 전원조정부(20)를 마련하고 있으며, 이 전원조정부(20)는, 솔라셀(1)로부터 유기된 전기에너지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류방지회로(2)와, 역류방지회로(2)를 거쳐서 정류 및 전압 등을 조정하는 조정회로(3), 또 이와 연계되는 전력합성 및 과충전방지회로(4), 그리고 역류방지회로(6) 및 정류 및 전압/전류크기를 조정하는 조정회로(7)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전원조정부(20)로부터의 출력전원을 충전지(8)에 인가함과 동시에 충전지(8)로부터 감지된 충전전압을 소정의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과잉충전을 방지하는 과충전방지부(30)를 마련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충전기(8)는, 태양광을 받은 솔라셀(1)로부터 유기된 전기에너지는 전기 역류방지회로(2)를 거치며, 정류 및 전압/전류크기 조정회로(3)를 거쳐서 전력합성 및 과충전방지회로(4)에 도달한다.
또한, 태양열을 받은 펠티어소자(5)로부터 발생된 전기에너지는 역류방지회로(6)를 거쳐서 정류 및 저압/전류크기 조정회로(7)를 거쳐 전력합성 및 과충전 방지회로(4)에 도달한다. 따라서 전력합성 및 과충전 방지회로(4)에 전달되어온 전기 에너지는 충전기(8)에 공급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충전기(8)는, 태양으로부터 유기된 광에너지와, 복사된 열애너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소정의 전하로 변환하여 전원을 생성하는 전원생성부(10)와; 상기 전원생성부(10)로부터 생성된 전원의 흐름을 일 방향으로 유도하고 직류전원으로 정류하여 소정의 전원범위를 갖도록 조정하는 전원조정부(20)와; 상기 전원조정부(20)로부터의 출력전원을 상기 충전지(8)에 인가함과 동시에 상기 충전지로부터 감지된 충전전압을 소정의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과잉충전을 방지하는 과충전방지부(30)에 의해 전기를 충전함으로서, 전기를 사용하는 제품의 충전기로 활용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충전기에서는 휴대폰 과 호출기에 국한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상기한 바와 같이 전원생성부와, 전원조정부와, 과충전방지부를 갖는 충전기라면, 그 사용처에 관계없이 본 발명에 의해 실시가 가능하며,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포함됨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전기 및 충전홀더가 없는 곳에서도 태양광과 태양열을 이용하여 상시 충전기를 충전할 수 있으므로, 충전기가 장착되는 핸드폰 및 호출기 등의 충전수명의 단축에 구애됨이 없이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충전기가 제공된다.

Claims (3)

  1. 소정의 전하를 저장하는 충전지를 구비한 충전기에 있어서,
    태양으로부터 유기된 광에너지와, 복사된 열애너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소정의 전하로 변환하여 전원을 생성하는 전원생성부와;
    상기 전원생성부로부터 생성된 전원의 흐름을 일 방향으로 유도하고 직류전원으로 정류하여 소정의 전원범위를 갖도록 조정하는 전원조정부와;
    상기 전원조정부로부터의 출력전원을 상기 충전지에 인가함과 동시에 상기 충전지로부터 감지된 충전전압을 소정의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과잉충전을 방지하는 과충전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생성부는, 상기 광에너지를 소정의 전하로 변화하여 생성하는 솔라셀과;
    상기 열에너지를 소정의 전하로 변환하여 전원을 생성하는 펠티어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과충전방지부에는 상기 광에너지로부터 생성된 전원과 상기 열에너지로부터 생성된 전원을 합성하는 전력합성부가 내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기
KR1019990021938A 1999-06-12 1999-06-12 충전기 KR200100022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1938A KR20010002239A (ko) 1999-06-12 1999-06-12 충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1938A KR20010002239A (ko) 1999-06-12 1999-06-12 충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2239A true KR20010002239A (ko) 2001-01-15

Family

ID=19591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1938A KR20010002239A (ko) 1999-06-12 1999-06-12 충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0223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1942A (ko) * 2002-03-02 2003-09-13 마이크로 솔라에너지 (주) 솔라셀과 출력제어회로를 이용한 전력 공급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65477A (en) * 1976-05-21 1979-08-21 Ebauches S.A. Instrument intended to be carried at the wrist
JPH09308128A (ja) * 1996-05-11 1997-11-28 Paloma Ind Ltd 蓄電池の充電回路
KR19990000469U (ko) * 1997-06-10 1999-01-15 김영환 태양열을 이용한 배터리 충전 장치
KR19990015363A (ko) * 1997-08-06 1999-03-05 엄정욱 태양광을 이용한 핸드폰의 충전방법 및 그 장치
KR19990040504A (ko) * 1997-11-18 1999-06-05 윤종용 휴대용 장치의 전원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65477A (en) * 1976-05-21 1979-08-21 Ebauches S.A. Instrument intended to be carried at the wrist
JPH09308128A (ja) * 1996-05-11 1997-11-28 Paloma Ind Ltd 蓄電池の充電回路
KR19990000469U (ko) * 1997-06-10 1999-01-15 김영환 태양열을 이용한 배터리 충전 장치
KR19990015363A (ko) * 1997-08-06 1999-03-05 엄정욱 태양광을 이용한 핸드폰의 충전방법 및 그 장치
KR19990040504A (ko) * 1997-11-18 1999-06-05 윤종용 휴대용 장치의 전원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1942A (ko) * 2002-03-02 2003-09-13 마이크로 솔라에너지 (주) 솔라셀과 출력제어회로를 이용한 전력 공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7243B1 (ko) 휴대용 대용량 전원 공급장치
US4315163A (en) Multipower electrical system for supplying electrical energy to a house or the like
KR101775957B1 (ko) 태양광 발전 장치 연계형 전원공급시스템
EP1770818B1 (en) Charging apparatus and terminal apparatus
RU2007136916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еверсивной регулировки заряда батареи
KR930703727A (ko) 일체형의 배터리 충전 및 공급 조절 회로
WO2009155445A2 (en) Integrated renewable energy generation and storage systems and associated methods
KR101794837B1 (ko) 태양광 발전기의 충·방전 제어 유닛 시스템
KR20140115501A (ko) 배터리 가온 기능을 갖는 전원 변환 장치
US6541940B1 (en) Load follower using batteries exhibiting memory
US20150048778A1 (en) Modular battery charging station and generator
KR20000073212A (ko) 열전모듈 외장형 휴대용 태양열 발전기
KR20200042869A (ko) 스마트 밸런싱 에너지 충전 제어 시스템
KR20010002239A (ko) 충전기
KR20030053988A (ko) 태양전지를 이용한 폴더형 충전 배터리
GB2622726A (en) Electric vehicle solar charging system
KR20060014862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장치
KR200165152Y1 (ko) 충전시스템
WO2005034303A1 (en) Portable charger having built-in secondary lithium battery
KR100370977B1 (ko) 솔라셀을부착한이동전화기의충전밧데리
KR20110127016A (ko) 태양 광 발전 시스템
CN106100066B (zh) 一种薄膜太阳能微型充电站
RU200793U1 (ru) Портативный фотоэлектрический источник питания
KR102364320B1 (ko)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모니터링 및 제어 시스템
Ra et al. Optimized Electrical Interface for a Vanadium Redox Flow Battery (VRFB) Storage System: Modeling,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