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9475A - 크리신 유도체 및 이들을 포함한 혈당강하제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크리신 유도체 및 이들을 포함한 혈당강하제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9475A
KR20010009475A KR1019990027846A KR19990027846A KR20010009475A KR 20010009475 A KR20010009475 A KR 20010009475A KR 1019990027846 A KR1019990027846 A KR 1019990027846A KR 19990027846 A KR19990027846 A KR 19990027846A KR 20010009475 A KR20010009475 A KR 200100094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rysin
derivatives
day
glycine
hypoglycem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78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95338B1 (ko
Inventor
이상현
양성심
장지면
정춘식
신준수
최원규
김박광
Original Assignee
김박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박광 filed Critical 김박광
Priority to KR10-1999-00278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5338B1/ko
Publication of KR200100094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94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53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53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1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hetero atom,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31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hetero atom, condensed with other rings ortho- or peri-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07D311/04Benzo[b]pyrans, not hydrogenated in the carbocyclic ring
    • C07D311/22Benzo[b]pyrans, not hydrogenated in the carbocyclic ring with oxygen or sulfur atoms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 4
    • C07D311/26Benzo[b]pyrans, not hydrogenated in the carbocyclic ring with oxygen or sulfur atoms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 4 with aromatic rings attached in position 2 or 3
    • C07D311/28Benzo[b]pyrans, not hydrogenated in the carbocyclic ring with oxygen or sulfur atoms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 4 with aromatic rings attached in position 2 or 3 with aromatic rings attached in position 2 only
    • C07D311/30Benzo[b]pyrans, not hydrogenated in the carbocyclic ring with oxygen or sulfur atoms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 4 with aromatic rings attached in position 2 or 3 with aromatic rings attached in position 2 only not hydrogenated in the hetero ring, e.g. flavo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의 크리신(chrysin) 유도체 및 이들을 포함하는 혈당강하제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이때 R1은 수소(H) 또는 프로필(propyl)이고, R2는 프로필, 부틸(butyl), 옥틸(octyl) 또는 톨루익(toluic)이다.

Description

크리신 유도체 및 이들을 포함한 혈당강하제용 조성물{Chrysin Derivatives and their Composition for Anti-Diabete}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의 크리신(chrysin) 유도체 및 이들을 포함하는 혈당강하제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이때 R1은 수소(H) 또는 프로필(propyl)이고, R2는 프로필, 부틸(butyl), 옥틸(octyl) 또는 톨루익(toluic)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의 크리신 알킬 유도체들과 크리신 아실 유도체들 및 이들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들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혈당강하제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당뇨병은 그 발병원인 및 증상의 치료방법에 따라 크게 인슐린 의존형 당뇨병(Insulin dependent diabetes mellitus, IDDM, Type 1 diabetes)과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Non-insulin dependent diabetes mellitus, NIDDM, Type 2 diabetes)으로 분류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당뇨병 환자의 95% 이상이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 환자이다. 당뇨병은 그 자체가 큰 질환이라기보다는 장기간 이 질환에 걸려있음으로 인해 발병하는 합병증, 즉 당뇨병성 신경병증(neuropathy), 망막병증(retinopathy), 백내장(cataract), 신증(nephropathy) 등으로 인해 환자들이 정상적인 삶을 영위할 수 없을 뿐 아니라 치명적인 결과까지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사회적으로 큰 문제가 되는 것이다.
당뇨병 환자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인슐린 비의존형 환자들은 질병의 치료를 위해 식이요법과 함께 경구용 혈당강하제를 선별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미국의 경우 설포닐우레아 계통의 약물이 유일한 혈당강하제로 사용되고 있고, 유럽 및 아시아 지역에서는 비구아니드 계통의 약물도 함께 사용되고 있다. 바람직한 혈당강하제는 우선, 신속히 발현되어 식후의 과도한 혈당상승을 막고, 그 후에는 짧은 시간내에 그 효과가 소실되어 저혈당을 일으키지 않아야 하며, 또한 당뇨병에 수반되는 대사이상증상을 호전시킬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현재 사용되고 있는 설포닐우레아 계통이나 비구아니드 계통의 약물들은 이런 점에서 완전하지는 못하다. 따라서 국내외적으로 증가일로에 있는 당뇨병을 적절히 치료하여 당뇨병 환자들과 그 가족들의 삶의 질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보다 부작용이 적고 안전한 혈당강하제의 개발이 필요하다.
크리신(chrysin)은 식물에 널리 분포되어 있는 플라보노이드(flavonoid)의 일종으로서 5번과 7번 위치에 하이드록실(hydroxyl) 기를 가지고 있다. 또한 크리신은 항산화작용(ami-oxidant), 항염증작용(anti-inflammatory), 항암작용(anti-cancer), 항알러지작용(anti-allergic)을 포함하여 다양한 생물학적 활성이 보고되어 있는 물질이며, 최근에는 근육강화제로서 널리 시판되고 있는 안전한 약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부작용이 적고 안전한 새로운 혈당강하제를 개발할 목적으로 크리신(chrysin) 유도체를 합성하여 그들의 혈당강하활성을 측정한 결과,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이 유의성있는 혈당강하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밝혀내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혈당강하작용을 갖는 크리신 유도체 및 이를 함유하는 혈당강하제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의 크리신 유도체를 제공한다.
화학식 1
이 때 R1은 수소(H) 또는 프로필(propyl)이고, R2는 프로필, 부틸(butyl), 옥틸(octyl) 또는 톨루익(toluic)이다.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크리신과 알킬 할라이드를 반응시키거나 또는 크리신과 카르복시산을 반응시켜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1의 크리신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당강하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화학식 1의 크리신 유도체를 얻기 위하여, 1) 크리신(chrysin)의 알킬 유도체의 합성과 2)크리신 아실 유도체의 합성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크리신 알킬 유도체는 크리신과 알킬 할라이드를 반응시켜 합성하였다. 상기 알킬 할라이드로는 프로필브로마이드(propylbromide), 옥틸브로마이드(octylbromide), 부틸브로마이드(butylbromide)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에 더하여 반응보조제로 탄산칼륨 (K2CO3) 또는 탄산수소칼륨(KHCO3) 등의 염기를 사용할 수 있다.
그 결과 7-프로필크리신(7-propylchrysin), 5,7-디프로필크리신(5,7-dipropylchrysin), 7-부틸크리신(7-butylchrysin), 7-옥틸크리신(7-octylchrysin)을 얻었다.
그리고 크리신 아실 유도체는 크리신과 톨루익산을 반응시켜 크리신 7-오-톨루에이트(chrysin 7-O-p-toluate)를 합성하였다. 이 때 용매로 디시클로헥실카보디이미드(N, N'-dicyclohexylcarbodiimide), 디메틸아미노피리딘(4-dimethylaminopyridine), 디에틸포스포릴시아니드 (diethylphosphorylcyanide) 또는 트리에틸아민(triethylamine)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반응보조제로 테트라하이드로퓨란(tetrahydrofuran, THF)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합성한 크리신 유도체의 혈당강하작용을 확인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인위적으로 당뇨병을 유발시킨 랫트에 본 발명의 크리신 유도체를 투여한 후 글루쿠즈 산화효소법에 의해 혈장내의 글루코즈 농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크리신 유도체가 유의성 있는 혈당강하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본 발명의 크리신 유도체의 독성과 부작용의 발생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랫트와 마우스에 본 발명의 크리신 유도체를 투여한 후 사망률, 체중, 섭취량, 장기상태 등을 관찰하였으나, 부작용이나 급성독성등의 면에서도 매우 안전한 물질인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본 발명의 크리신 유도체는 임상적으로 유용한 당뇨병 예방 및 치료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크리신 유도체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임상적으로 이용하는 경우에 투여용량은 당뇨병의 중증도, 환자의 상태, 합병증 등의 다양한 요인에 따라 전문가에 의해 결정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인체에 대하여 1일에 100 내지 1000mg,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400mg 의 용량으로 투여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크리신 유도체를 함유하는 조성물은 임상적으로 이용시에 약제학적 분야에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통상적인 약제학적 제제로 제형화시켜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에 바람직한 약제학적 제제에는 정제, 경질 또는 연질캅셀제, 액제, 현탁제 등과 같은 경구투여용 제제, 주사용 용액 또는 현탁액과 같은 비경구투여용 주사제 등이 있다. 이들 약제학적 제제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통상의 담체, 예를들어 경구투여용 제제의 경우에는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활탁제, 가용화제, 현탁화제, 보존제 또는 증량제, 주사제의 경우에는 안정화제, 보존제, 용해보조제, 완충제, 등장화제 등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크리신(chrysin) 유도체를 함유하는 혈당강하제 조성물에는 단위 제형당 상기 언급된 크리신(chrysin) 유도체의 1 일 용량 또는 그의 1/2, 1/3, 1/4, 1/5 또는 1/6 의 용량이 함유되도록 하며, 이러한 단위제형을 1 일 1 내지 6 회 투여한다. 또한 크리신(chrysin) 유도체의 1일 용량의 수배량을 함유하는 제형, 예를 들면 액제 등의 형태로 제조하여 적량으로 분할 투여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 실시예
실시예 1. 7-프로필크리신(7-propylchrysin)의 합성
크리신(chrysin) 5g을 디메틸포름아마이드 120ml 에 녹인 다음 탄산칼륨 (K2CO3) 6.8g 을 가하고 프로필브로마이드(propylbromide) 17.9ml를 서서히 가하면서 교반하였다. 반응 종료 후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한 다음 물,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물, 5% 염산, 브라인(brine) 순으로 세척한 다음, 에틸 아세테이트 층을 취하여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 감압농축한 후, 클로로포름과 메탄올 혼합액(150:1)으로 칼럼 크로마토그라피(column chromatography)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7-프로필크리신(7-propylchrysin, 이하 'P1'이라 칭함) 0.87g을 얻었다.
상기 P11mg을 용해시키는데 필요한 용매의 양은 메탄올(MeOH) 10ml, 에탄올(EtOH) 2ml, 크로로포름(CHCl3) 40㎕, 헥산(hexane) 10㎕, 아세톤(acetone) 120㎕, 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DMF) 80㎕, 다이메틸술폭사이드(DMSO) 1ml이었고, 물에는 불용이다.
본 발명의 크리신 알킬 유도체 P1의 분석 확인 데이타는 다음과 같다.
적외선 흡광광도법(IR) vmax(KBr,cm-1): 3090, 2940, 1664(C=0), 1620, 1507, 1452, 1380, 1335, 1274, 1172, 824, 767, 687
전자충격 양이온화법을 이용한 질량분석법(EI-MS, m/z, 상대강도): 296[M+](88.8), 266(14.9), 254(100), 226(82.1), 198(43.8), 152(40.2), 123(56.7), 102(30.3), 96(23.7), 77(45.5), 69(58.5)
수소이온 핵자기 공명 분석법(1H-NMR, 400MHz, CDCl3): 0.992(3H,t,-OCH2CH2CH3), 1.776-1.810(2H,m,-OCH2CH2CH3), 3.935(2H,t,-OCH2CH2CH3), 6.307(1H,d, J=2.1Hz,6-H), 6.437(1H,d,J=2.1Hz,8-H), 6.603(1H,s,3-H), 7.442-7.504(3H,m,3',4',5'-H), 7.811-7.850(2H,m,2',6'-H), 12.65(1H,s,5-OH)
실시예 2. 5,7-디프로필크리신(5,7-dipropylchrysin)의 합성
상기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을 수행한 결과 2.7g의 5,7-디프로필크리신(5,7-dipropylchrysin, 이하 'P2'라 칭함)을 얻었다.
상기 P21mg을 용해시키는데 필요한 용매의 양은 메탄올(MeOH) 1ml, 에탄올(EtOH) 1ml, 크로로포름(CHCl3) 20㎕, 헥산(hexane) 4ml, 아세톤(acetone) 100㎕, 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DMF) 60㎕, 다이메틸술폭사이드(DMSO) 100㎕이었고, 물에는 불용이다.
본 발명의 크리신 알킬 유도체 P2의 분석 확인 데이타는 다음과 같다.
적외선 흡광광도법(IR) vmax(KBr,cm-1): 3056, 2966, 1646(C=O), 1610, 1385, 1182, 813, 769, 691
전자충격 양이온화법을 이용한 질량분석법(EI-MS, m/z, 상대강도): 339[M++1](17.8), 309(100), 267(29.9), 238(21.8), 210(42.5), 153(6.9), 136(16.1), 124(17.8), 102(23.6), 77(28.7), 69(50.6)
수소이온 핵자기 공명 분석법(1H-NMR, 400MHz, CDCl3): 1.034-1.129(6H, m, -OCH2CH2CH3), 1.813-2.025(4H, m, -OCH2CH2CH3), 3.973-4.035(4H, m, -OCH2CH2CH3), 6.350(1H, d, J=2.1Hz, 6-H), 6.521(1H, d, J=2.1Hz, 8-H), 6.607(1H, s, 3-H), 7.466-7.487(3H, m, 3',4',5'-H), 7.835-7.867(2H, m, 2',6'-H)
실시예 3. 7-부틸크리신(7-butylchrysin)의 합성
프로필브로마이드 대신에 부틸브로마이드 21.1ml을 사용하고 클로로포름 단일용매로 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는 것외에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을 수행한 결과 2.5g의 7-부틸크리신(7-butylchrysin, 이하 'B1'이라 칭함)을 얻었다.
상기 B11mg을 용해시키는데 필요한 용매의 양은 메탄올(MeOH) 5ml, 에탄올(EtOH) 4ml, 크로로포름(CHCl3) 20㎕, 헥산(hexane) 6ml, 아세톤(acetone) 200㎕, 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DMF) 200㎕, 다이메틸술폭사이드(DMSO) 1ml이었고, 물에는 불용이다.
본 발명의 크리신 알킬 유도체 B1의 분석 확인 데이타는 다음과 같다.
적외선 흡광광도법(IR) vmax(KBr,cm-1): 3650, 2955, 2360, 1665, 1617, 1508, 1451, 1381, 1335, 1274, 1171, 1100, 844, 824, 766, 686, 675, 622, 583
전자충격 양이온화법을 이용한 질량분석법(EI-MS, m/z, 상대강도): 310[M+](48), 267(7.0), 254(100), 226(58), 198(22), 152(18), 123(36), 69(40)
수소이온 핵자기 공명 분석법(1H-NMR, 400MHz, CDCl3): δ 0.976(3H, t, -OCH2CH2CH2CH3), 1.428-1.584(2H, m, -OCH2CH2CH2CH3), 1.742-1.835(2H, m, -OCH2CH2CH2CH3), 4.027(2H, t, -OCH2CH2CH2CH3), 6.351(1H, d, J=2.1Hz, 6-H), 6.481(1H, d, J=2.1Hz, 8-H), 6.646(1H, s, 3-H), 7.481-7.537(3H, m, 3',4',5'-H), 7.853-7.886(2H, m, 2',6'-H), 12.68(1H, s, 5-OH)
실시예 4. 7-옥틸크리신(7-octylchrysin)의 합성
부틸브로마이드 대신에 옥틸브로마이드 17.0ml을 사용하는 것외에는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을 수행한 결과 6.8g의 7-옥틸크리신(7-octylchrysin, 이하 'O1' 이라 칭함)을 얻었다.
상기 O11mg을 용해시키는데 필요한 용매의 양은 메탄올(MeOH) 4.5ml, 에탄올(EtOH) 3.5ml, 크로로포름(CHCl3) 80㎕, 헥산(hexane) 1.2ml, 아세톤(acetone) 400㎕, 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DMF) 60㎕, 다이메틸술폭사이드(DMSO) 7.2ml이었고, 물에는 불용이다.
본 발명의 크리신 알킬 유도체 01의 분석 확인 데이타는 다음과 같다.
적외선 흡광광도법(IR) vmax(KBr,cm-1): 3849, 3585, 2918, 2851, 2362, 2345, 1666, 1621, 1508, 1452, 1384, 1336, 1170, 1029, 824, 768, 675, 584
전자충격 양이온화법을 이용한 질량분석법(EI-MS, m/z, 상대강도): 366[M+](69.25), 323(5.06), 309(4.35), 267(12.11), 254(100), 226(24.08), 198(6.90), 152(5.16), 123(5.33), 105(2.39), 69(2.76), 55(3.11)
수소이온 핵자기 공명 분석법(1H-NMR, 300MHz, CDCl3): δ 0.852-0.874(3H, t, -OCH2CH2(CH2)5CH3), 1.750-1.858(2H, m, -OCH2CH2(CH2)5CH3), 4.014(2H, t, -OCH2CH2(CH2)5CH3), 6.348(1H, d, J=2.1Hz, 6-H), 6.477(1H, d, J=2.1Hz, 8-H), 6.643(1H, s, 3-H), 7.479-7.521(3H, m, 3',4',5'-H), 7.851-7.883(2H, m, 2',6'-H), 12.676(1H, s, 5-OH)
실시예 5. 크리신 7-오-톨루에이트(chrysin 7-O-p-toluate의 합성
크리신 5g, 톨루익산 4.0g, 디시클로헥실카보디이미드(N, N'-dicyclohexylcarbodiimide) 6.8g 와 디메틸아미노피리딘(4-dimethylaminopyridine) 1.2g 를 환저플라스크에 넣고 질소가스로 치환한 후 무수 테트라하이드로퓨란(tetrahydrofuran, THF) 120ml을 가하고 질소 기체 기류 하에서 30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에틸아세테이트로 희석한 다음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물, 5% 염산, 포화 소금액(brine) 순으로 세척한 후, 무수 황산 마그네슘(MgSO4)으로 건조, 감압농축하여 전개용매 클로로포름 단일용매로 칼럼크로마토그라피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7.2g의 크리신 7-오-톨루에이트(chrysin 7-O-p-toluate, 이하 'TC'라 칭함)를 수득하였다.
본 발명의 크리신 아실 유도체 TC 1mg을 용해시키는데 필요한 용매의 양은 클로로포름(CHCl3) 100㎕, 헥산(hexane) 20ml, 에틸아세테이트(EtOAc)500㎕, 아세톤(acetone) 600㎕, 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DMF) 300㎕, 다이메틸술폭사이드(DMSO) 2.4ml이었고, 메탄올(MeOH), 에탄올(EtOH) 및 물에는 불용이다.
TC의 분석확인 데이터는 다음과 같다.
원소분석; 계산치 C:74.26%, H:4.34%, 측정치 C:72.2%, H:4.25%
UV λmax MeOH: 267.6, 328 nm
IR vmax(KBr,cm-1): 3432(OH), 1741(C=O), 1655, 1489, 1451, 1345, 1298, 1251, 1179, 1132, 1057, 830, 771, 742, 673
MS (El,m/z,rel.int.): 372[M+](27.92), 123(5.93), 119(100), 91(11.53)
1H-NMR (300MHz,CDCl3): δ 2.450(3H, s, -CH3), 6.684(1H, d, J=2.0Hz, 6-H), 6.730(1H, s, 3-H), 6.975(1H, d, J=2.0Hz, 8CH), 7.300(1H, s, 5" -CH), 7.326(1H, s, 3" -H), 7.479-7.579(3H, m, 4',2" ,6" -H), 7.861-7.894(2H, m, 3',5'-H), 8.071(2H, d, J=8.3 Hz,2',6'-H), 12.74(1H, s, 5-OH)
실험예 1. 혈당강하활성의 측정
본 실험예에서는 본 발명에 따라 수득되는 크리신 유도체들의 혈당강하효과를 다음과 같은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즉 실험동물로 랫트를 사용하여 랫트의 꼬리정맥에 스트렙토조토신(strreptozotocin: 이하 "STZ"라 칭함)을 45mg/kg의 용량으로 주사하여 인위적으로 당뇨병을 유발시켰다. STZ는 주사직전에 0.01M의 시트레이트 완충액(pH 4.5)에 22.5 mg/㎖ 의 농도로 용해시켜 제조한 STZ 조제액을 2㎖/kg 의 용량으로 꼬리정맥에 주사하였다. 주사한 지 24시간 후에 랫트의 안구정맥총으로부터 모세관을 이용하여 혈액 1㎖를 취하고, 이를 3000rpm에서 15분 동안 원심분리한 후 혈장을 분리하여 후술하는 포도당 산화효소법에 따라 혈중 글루코즈 농도를 측정하여 당뇨병의 발생 여부를 확인하였다. 즉 혈장내의 글루코즈를 산화시켜 과산화수소와 글루콘산을 형성시키고, 과산화효소를 이용하여 여기서 생성되는 과산화수소와 페놀, 4-아미노안티피린을 정량적으로 축합시켜 생성된 적색의 물질은 정량하여 혈장내의 글루코즈의 양을 결정하였다. 이를 위하여 포도당 E-키트(영동제약)를 이용하였다.
혈장내 글루코즈 농도는 다음 식에 따라 계산하였다.
이러한 실험결과로부터 실험동물 혈장중의 글루코즈 농도가 300mg/㎗ 이상인 동물만 당뇨병이 유발된 것으로 판정하고 이하의 혈당강하작용 검색에 사용하였다.
상기에서와 같이 당뇨병이 유발된 것으로 판정된 실험동물을 시험군과 대조군의 2개의 군으로 나누어, STZ 투여 24시간 후에 시험물질을 7일간 경구적으로 투여하였다. 시험군에는 실시예 1, 2에서 제조한 크리신 유도체를 40-50mg/kg의 양으로 투여하고, 대조군에는 어떠한 약제도 투여하지 않았다. 크리신 유도체를 7일간 경구투여한 지 24시간 후에 실험동물의 안정맥으로부터 혈약을 취하여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글루코즈 산화효소법에 의해 혈장내의 글루코즈 농도를 측정함으로써 각 시험물질의 혈당강하활성을 검색하였다. 측정된 결과는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 대조군과 유의성 있게 현저히 다름 (p〈0.05)
상기 표 1에 기재된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르는 크리신 유도체들이 유의성 있는 혈당강하활성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2. 급성독성시험
크리신 유도체를 1% CMC에 현탁시켜 경구 투여하였고, 투여용량은 랫트에 투여할 수 있는 최대용량인 500mg/kg을 기준으로 랫트에서는 500mg/kg 단일 용량, 마우스에서는 5mg/kg, 20mg/kg, 100mg/kg 및 500mg/kg을 투여하였다. 정상 대조군에는 1% CMC 용액을 투여 하였다. 투여량은 마우스의 경우 20ml/kg, 랫트의 경우 10ml/kg이 되도록 현탁시켜 투여하였다.
실험동물로는 SPF 웅성 SD 랫트와 웅성 ICR 마우스를 대한실험동물에서 공급받아 실험동물 사육실에서 1주일간 안정화 시킨 후 사용하였다. 실험기간 동안 실험동물들은 실내온도 23±2℃, 습도 55±10%, 명암 12시간 주기의 사육환경에서 폴리카보네이트 사육상자(rat cage= , mouse cage= )에 랫트는 6마리, 마우스는 10마리씩 사육되었다. 사료와 물은 혜은무역에서 공급받아 사용하였고 사료와 물은 자유롭게 섭취할 수 있도록 하였고 약물처치 및 장기 검사전 15시간 동안은 절식하였다. 모든 실험은 오전 10시에 실시하였다.
모든 실험동물에 대하여 투여 일에는 투여 후 6시간 동안 매 시간을 기준으로, 투여익일부터는 1일 1회 1시간 동안 12일간 동물의 일반 상태의 변화, 특별 증상, 사망발현 유무, 음수량 및 사료섭취량을 관찰하였다. 체중은 모든 실험동물에 대해 시험물질 투여 직전과 투여 후 3일, 6일, 9일 및 12일에 측정하였다. 랫트에 대해 시험물질 투여 후 13일째 되는 날 ether 마취 후 방혈 거사 시켜 외관 및 내부 장기의 이상 유무를 육안으로 관찰하고, 간, 폐, 비장, 신장의 장기무게를 측정하였다. 본 실험 결과에 대한 유의성 검정은 아노바 테스트(ANOVA test)와 뉴만-쿨스 테스트(Newman-Keuls test) 를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체중 20 내지 40g의 마우스 40 마리를 실험동물로 사용하여 대조군과 시험군의 2개의 군으로 나누어 각군에 20 마리씩의 실험동물을 사용하였다. 시험군의 마우스에는 실시예 1, 2에서 제조된 크리신 유도체를 생리식염수 1㎖에 현탁시켜 경구투여하고 투여 14일 후 생존동물수를 관찰하였다. 대조군에는 따로 생리식염수 1㎖를 경구투여하였다. 측정된 결과는 다음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
a는 화합물 B1, O1, P2및 TC를 경구투여한 실험동물의 생존율이다. 각 값은 12일까지 시료를 투여한 동물수에 대한 사망한 동물의 수를 의미한다. b는 실험동물에서 특별증상이 나타나는지 관찰하는 것으로 (-)는 이상이 없음을 의미한다. c는 12일 동안 소비한 음수량의 평균을 의미한다. d는 12일 동안 섭취한 음식량의 평균을 의미한다. e는 각 사육상자 안에 있는 실험동물의 평균±표준편차로서 이 표에는 0일과 12일 값만 나타낸 것이다. f는 랫트의 장기무게로서 (투여량: 500mg/kg) 6마리 랫트의 평균±표준편차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투여용량 500mg/kg에서 실험기간동안 사망하는 동물이 없었다. 모든 실험동물에 대하여 투여 일에는 투여 후 6시간 동안 매 시간을 기준으로, 투여익일부터는 1일 1회 1시간 동안 12일간 동물의 상태 변화를 관찰한 결과 특별한 이상을 나타내는 경우가 없었다. 음수량 및 사료섭취량 역시 시험물질의 처치에 의해 정상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시험물질 투여 직전과 투여 후 3일, 6일, 9일 및 12일에 측정한 결과 체중 증가 수준은 시험물질의 처치에 의해 정상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랫트에 대해 시험물질 투여 후 13일째 되는 날 에테르 마취 후 방혈 거사 시켜 외관 및 내부 장기의 이상 유무를 육안으로 관찰한 결과 출혈, 반점, 부종, 비정상적인 조직 생성 등의 이상은 없었다. 간, 폐, 비장 및 신장의 장기무게를 측정한 결과 각 기관들의 무게는 시험물질의 처치에 의해 정상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상기 표 2에 기재된 결과로부터, 실시예 1 내지 5에서 제조된 본 발명에 따르는 크리신 유도체들은 마우스에서 약효를 나타내는 양의 10배량 이상에서도 실질적으로 독성을 나타내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크리신 유도체들은 부작용이나 독성 등의 문제가 없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적인 혈당강하제로서 스트레스, 지방과다섭취, 당과다섭취 및 운동부족 등으로 인한 당뇨병의 유발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데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Claims (2)

  1. 하기 화학식 1의 크리신(chrysin) 유도체.
    [화학식 1]
    이 때 R1은 수소(H) 또는 프로필(propyl)이고, R2는 프로필, 부틸(butyl), 옥틸(octyl) 또는 톨루익(toluic)이다.
  2. 상기 화학식 1의 크리신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혈당강하제용 조성물.
KR10-1999-0027846A 1999-07-09 1999-07-09 크리신 유도체 및 이들을 포함한 혈당강하제용 조성물 KR1003953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7846A KR100395338B1 (ko) 1999-07-09 1999-07-09 크리신 유도체 및 이들을 포함한 혈당강하제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7846A KR100395338B1 (ko) 1999-07-09 1999-07-09 크리신 유도체 및 이들을 포함한 혈당강하제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9475A true KR20010009475A (ko) 2001-02-05
KR100395338B1 KR100395338B1 (ko) 2003-08-19

Family

ID=19600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7846A KR100395338B1 (ko) 1999-07-09 1999-07-09 크리신 유도체 및 이들을 포함한 혈당강하제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53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96739A3 (en) * 2006-02-21 2008-07-10 Council Scient Ind Res Intestinal alpha-glucosidase inhibitors and a process for the isolation and use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317071D0 (en) * 1993-08-17 1993-09-29 Univ Strathclyde Flavonoid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96739A3 (en) * 2006-02-21 2008-07-10 Council Scient Ind Res Intestinal alpha-glucosidase inhibitors and a process for the isolation and use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95338B1 (ko) 2003-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hin et al. Synthesis and hypoglycemic effect of chrysin derivatives
JP2762522B2 (ja) 血管新生阻害剤
US20100113494A1 (en) 13,13a-Dihydroberberine Derivatives For Use I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JP2018530592A (ja) 代謝性ミオパチーの治療に使用するためのsglt−2阻害剤
US20100184860A1 (en) Novel Carboxylic Acid and Antidepressant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as Active Ingredient
US20160008385A1 (en) Adrenomedullin production enhancer
CN105982884A (zh) 一种补骨脂二氢黄酮甲醚及其类似物的用途
SU1250172A3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 2,3-диарил-5-галоидтиофенов
KR100395338B1 (ko) 크리신 유도체 및 이들을 포함한 혈당강하제용 조성물
CN102336790B (zh) 一氧化氮供体型虎杖苷衍生物、制备方法及医药用途
US20090161561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characters of channels
KR100957205B1 (ko) 단백질 타이로신 탈인산화 효소 1b를 저해하는벤조나프토크산테논계 화합물 및 그 용도
US20040132671A1 (en) Quercetin derivatives and their medical usages
KR101973351B1 (ko) 인돌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N107235842B (zh) 一种苯丙酸酯衍生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1855087B1 (ko) 칼콘 유도체 화합물, 이의 광학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토콘드리아의 산소 소모율 감소에 의해 야기되는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CN102234284B (zh) 含氟的噻氯匹啶类似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BRPI0804764A2 (pt) inibidores da alfa-glicosidades, composições farmacêuticas compreendendo os mesmos e processo para sua preparação
EP3237015B1 (fr) Derives hydroxybisphosphoniques hydrosolubles de la doxorubicine
CN115677572B (zh) 氟代酰胺类衍生物、药物组合物及其应用
CN114712488B (zh) Dorzagliatin和胰高血糖素样肽-1类似物的药物组合物
CN102838652B (zh) 一种具有抗恶性肿瘤作用的齐墩果酸衍生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KR101951606B1 (ko) 신규 인돌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160093B1 (ko) Dppiv 억제제 말레산염의 다결정형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6279139A (zh) 可用作sglt2抑制剂的化合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2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