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9184A - 디지털 오디오 재생 칩이 내장된 휴대용 단말기 - Google Patents

디지털 오디오 재생 칩이 내장된 휴대용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9184A
KR20010009184A KR1019990027444A KR19990027444A KR20010009184A KR 20010009184 A KR20010009184 A KR 20010009184A KR 1019990027444 A KR1019990027444 A KR 1019990027444A KR 19990027444 A KR19990027444 A KR 19990027444A KR 20010009184 A KR20010009184 A KR 200100091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gital audio
portable terminal
audio data
call
cpu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74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진
Original Assignee
김태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진 filed Critical 김태진
Priority to KR10199900274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09184A/ko
Publication of KR200100091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9184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 B65D81/051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pillow-like elements filled with cushioning material, e.g. elastic foam, fabric
    • B65D81/05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pillow-like elements filled with cushioning material, e.g. elastic foam, fabric filled with fluid, e.g. inflatabl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9/00Arrangements or devices for preventing refilling of containers
    • B65D49/02One-way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5/00Accessories for container 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5/16Devices preventing loss of removable closure members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 재생 칩이 내장된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외부로부터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유선으로 다운받아서 저장하는 메모리부; 휴대용 단말기의 CPU로부터의 제어 명령에 의하여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 기능을 수행하는 전용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상기 전용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제어 명령에 의하여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디지털 오디오 재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 재생 칩이 내장된 휴대용 단말기에서는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다운받는 동안, 휴대용 단말기는 오프-라인으로 운영하도록 하여 다운받는 동안에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가 손상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디지털 오디오 재생용 전용 마이크로프로세서를 두어서,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가 재생되는 도중에서 전화가 걸려오는 경우에도, 전화 모드로 절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디지털 오디오 재생 칩이 내장된 휴대용 단말기{Portable Terminal Equipped With Digital Audio Playing Chip}
본 발명은 디지털 오디오 재생 칩이 내장된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 전화를 비롯한 휴대용 단말기들이 널리 보급되어 있고,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일반적인 음성 통화 뿐만 아니라, 인터넷 접속, 데이터 통신 등이 가능하게 되었다.
한편, 이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와 별도로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시스템으로서의 MP3 플레이어까지 등장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디지털 오디오 재생 칩이 내장된 휴대용 단말기에서 에 내장된 디지털 오디오 재생 칩이 내장된 휴대용 단말기에서 디지털 오디오 재생 모드와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는 전화 모드 간의 절환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디지털 오디오 재생 칩이 내장된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라디오 수신 기능이 있는 휴대용 단말기가 개발되었으나, 이는 휴대용 단말기 내부의 구성과는 무관하게, 이어폰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에 라디오 수신 장치를 단순히 부가한 것이다. 따라서, 라디오 수신 중 전화가 걸려오거나 하는 경우에 대한 내부 제어 흐름이 성립되어 있지 않다.
종래에는 또한,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휴대용 단말기에 저장하고 재생하는 기능을 휴대용 단말기에 추가시키는 구성(국내 특허공개 제99-24210호, 1999.3.25.)이 있었으나,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의 저장 또는 재생 모드와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전화 모드간의 절환이 사용자의 선택에 의한 것이므로,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 재생 모드와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전화 모드간의 자동적인 모드 절환에 관련된 제어 방식이 없다. 따라서, 상기한 종래 기술은 단순히 디지털 오디오 재생에 필요한 하드웨어를 기존의 휴대용 단말기에 부가한 것에 불과한 것이다.
이러한 종래 장치에서는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도중에 전화가 걸려오는 경우, 그에 대한 처리를 해결하기 위하여 CDMA 콜 프로세싱 중 유휴 상태에서 처리하여야하는 메시지들을 단말기의 CPU가 전담하여 처리하여야 한다. 그러나,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 재생 도중 기본적인 데이터 전송 방식은 직렬 통신 방식으로서, 데이터를 한 비트씩 전송하고, 이를 바로 바로 재생하는 방식이므로 마이크로프로세서(10)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많은 시간을 할애하여야 한다. 따라서,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도중에는 콜 프로세싱을 처리할 만한 여유가 없다.
이러한 문제는 예를 들어서,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도중에 외부로부터 전화가 걸려오는 경우,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을 일시적으로 중단하고 외부로부터 걸려오는 전화를 우선적으로 받아야하는 경우, 문제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디지털 오디오 재생 칩이 내장된 휴대용 단말기에서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도중에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전화 모드로의 기능 절환이 용이한 디지털 오디오 재생 칩이 내장된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오디오 재생 칩이 내장된 휴대용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 도면의 주요한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CPU 20 : RS-232C 드라이버
30 : 메모리부 40 : 어드레스 디코더
50 : 디지털 오디오 재생용 전용 마이크로프로세서(전용 마이크로프로세서)
60 : MP3 디코더 70 : DAC
80 : 입력키 90 : 디스플레이부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 재생 칩이 내장된 휴대용 단말기는, 외부로부터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유선으로 다운받아서 저장하는 메모리부, 휴대용 단말기의 CPU로부터의 제어 명령에 의하여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 기능을 수행하는 전용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상기 전용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제어 명령에 의하여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디지털 오디오 재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오디오 재생 칩이 내장된 휴대용 단말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오디오 재생 칩이 내장된 휴대용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오디오 재생 칩이 내장된 휴대용 단말기는, 일반적인 휴대용 단말기에,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30), 어드레스디코더(40), 디지털 오디오 재생용 전용 마이크로프로세서(50) 및 디지털 오디오 재생부인 MP3 디코더(60)를 더 구비한다.
휴대용 단말기내의 CPU(10)는 MSM 칩 내부에 위치하고 있는 프로세서로서 전화 모드에서의 콜 프로세싱과, 디지털 오디오 재생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능과, 디지털 오디오 재생용 전용 마이크로프로세서(50)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RS-232C 드라이버(20)는 PC와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와의 통신 링크를 제공하여,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PC로부터 다운받을 수 있도록 한다.
메모리부(30)는 RS-232C 드라이버(20)를 통하여 다운받은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저장한다.
어드레스디코더(40)는 휴대용 단말기의 CPU(10)로부터의 제어 명령에 대하여 어드레스를 설정하여 디지털 오디오 재생용 전용 마이크로프로세서(50)로 전달하여 양자간의 신뢰성있는 통신을 수행하도록 한다.
디지털 오디오 재생용 전용 마이크로프로세서(50)는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 재생 기능을 수행하는 핵심부로서, 전원이 인가된 후 무한 루프를 돌며 CPU(10)로부터의 유효한 명령을 기다리다가 유효한 명령이 들어오면 해당 기능(재생, 정지, FW, RW 등)을 수행한다.
MP3 디코더(60)는 전용 마이크로프로세서(50)로부터 들어오는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받아 디코딩한 후 DAC(70)를 거쳐서 사용자가 음악을 청취할 수 있도록 한다.
디스플레이부(90)는 현재의 모드와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가 재생 도중에는 재생되는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의 종류와 재생 시간 등을 표시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오디오 칩이 내장된 휴대용 단말기의 작동을 살펴본다.
먼저,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PC로부터 다운받는 작동을 설명한다.
PC상에서의 소프트웨어 메뉴 중 다운로드를 선택한 후, 원하는 곡의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MP3 파일)를 선택한다. PC는 RE-232C 드라이버(20)를 통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CPU(10)에 파일 다운 로드를 수행할 것이라는 명령을 전달한다. CPU(10)는 데이터를 받을 준비를 하고, 그 다음부터 들어오는 데이터를 받아서 메모리부(30)에 저장한다. 이때, PC와 휴대용 단말기의 CPU(10)는 정해진 프로토콜에 따라서 송수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의 다운 로드 모드는 오프-라인으로 운영된다. 즉, 휴대용 단말기는 기지국 등과 오프-라인으로 설정된다. 그 이유는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다운받는 동안 전화가 걸려오거나, 전화를 걸려고 시도하면 다운중인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에 오류가 발생하여 사용할 수 없게 된다. 특히, 저작료를 내고 다운받는 경우라면 다운받는 도중에 오류가 발생하면 안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의 저장 모드를 오프-라인으로 운영한다. 오프-라인으로 운영중에는 휴대용 단말기를 전화로서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은 잠시 중지되고, 외부로부터 걸려오는 전화는 음성 사서함등으로 연결된다.
다음은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모드에서의 작동 설명이다.
입력키(80)를 통하여 CPU(10)에 유효한 명령어가 입력되면, 어드레스디코더(40)를 통하여 전용 마이크로프로세서(50)에 그 명령이 전달되고, 어드레스디코더(40)가 그 명령어가 '재생'이라고 판독하면, 메모리부(30)로부터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읽어와서 MP3 디코더(60)로 전달하고 디코딩을 명령한다. 그러면 MP3 디코더(60)는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DAC(70)을 거쳐서 사용자가 청취할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휴대용 단말기의 CPU(10)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한 제어 명령을 전용 마이크로프로세서(50)로 전달하기만 하면 되므로, 그 이후에 콜 프로세싱에 관련된 일련의 작업을 원할하게 수행할 수 있다.
CDMA 방식의 전화 모드에서 CDMA 콜 프로세싱은, 초기 상태(Initialization State), 유휴 상태(Idle State), 시스템 접속 상태(System Access State), 및 통화 상태(Traffic State) 등의 4가지 상태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와 같이, MP3 파일을 재생하는 도중에 전화 모드로 전환하려면, CMDA의 콜 프로세싱 과정 중 유휴 상태(Idle State)에서 처리하는 페이징 채널(paging channel) 메시지를 모두 감시하고 있어야 한다.
한편, 전화 모드에서는 사용자가 전화 번호를 눌러서 상대방에게 전화를 거는 것(call origination)과 상대방이 전화를 걸어 온 경우(call termination)가 있다. 전자의 경우에는 유휴 상태에서 사용자가 키 입력을 통해 선택하는 명령에 대하여 인식을 하여야 하고, 후자의 경우에는 무선상의 페이징 채널을 통하여 전달되는 시스템 파라미터 메시지, 이웃 리스트 메시지, 채널 리스트 메시지 등을 인식해야 한다.
뿐만 아니라, 이동 전화의 특성상 사용자가 이동하였을 경우, 그 위치를 시스템에 알려주기 위한 등록(Registration)을 수행하여야 하고, 자신이 어느 기지국의 영역에 속해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변경하기 위하여 유휴 절체(Idle Handoff)를 수행해야 한다.
이와 같이, 전화 모드에서 단말기의 CPU(10)가 많이 사용되므로, 본 발명에서는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 재생용 전용 마이크로프로세서(50)를 별도로 두어서,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 재생에 관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고, 그 동안에 휴대용 단말기의 CPU(10)에 의하여 콜 프로세싱에 관련된 일련된 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도중에 전화가 걸려오는 경우, 기능 절환에 관하여 설명한다.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도중에 전화가 걸려오면, 휴대용 단말기의 CPU(10)는 오디오 재생 기능을 중지하라는 제어 명령을 전용 마이크로프로세서(50)로 전달한다. 그런 다음, 원래의 콜 프로세싱에 의한 절차에 따라서 사용자에게 전화가 왔다고 알리고 응답을 기다린다. 전용 마이크로프로세서(50)는 CPU(10)의 명령에 다라서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을 중지하라는 제어 신호를 MP3 디코더(60)로 보내고, CPU(10)로부터의 다른 명령을 기다린다.
한편, 본 발명에서 디지털 오디오 재생 칩이 내장된 휴대용 단말기는 라디오 수신 기능을 더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이어폰이 라디오의 안테나 역할을 할 수 있으며, 라디오를 수신 중에도 전화가 걸려오거나 전화를 걸고자 하는 경우, 전화 모드로 바로 절환될 수 있다. 특별히, 라디오를 수신하는 동안에는 마이크로프로세서가 데이터를 전송할 필요가 없고, 라디오 수신 기능이 선택되었을 경우, 그에 관련된 제어 신호만을 라디오 수신부로 전송하면 된다. 따라서 라디오가 수신 중인 동안에도, 휴대용 단말기의 마이크로프로세서(10)가 CDMA 콜 프로세싱을 위한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 재생 칩이 내장된 휴대용 단말기에서는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다운받는 동안, 휴대용 단말기는 오프-라인으로 운영하도록 하여 다운받는 동안에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가 손상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디지털 오디오 재생용 전용 마이크로프로세서를 두어서,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가 재생되는 도중에서 전화가 걸려오는 경우에도, 전화 모드로 절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3)

  1.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 재생 칩이 내장된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유선으로 다운받아서 저장하는 메모리부;
    휴대용 단말기의 CPU로부터의 제어 명령에 의하여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 기능을 수행하는 전용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상기 전용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제어 명령에 의하여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디지털 오디오 재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오디오 재생 칩이 내장된 휴대용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유선으로 다운받는 동안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기지국과 오프-라인으로 설정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오디오 재생 칩이 내장된 휴대용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라디오 수신 기능을 더 가지는 경우, 라디오 수신 중에도 휴대용 단말기의 CPU가 콜 프로세싱을 위한 절차를 진행하여, 라디오 수신 중에 전화가 걸려오는 경우 전화 모드로 절환할 수 있는 것임을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 재생 칩이 내장된 휴대용 단말기.
KR1019990027444A 1999-07-08 1999-07-08 디지털 오디오 재생 칩이 내장된 휴대용 단말기 KR200100091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7444A KR20010009184A (ko) 1999-07-08 1999-07-08 디지털 오디오 재생 칩이 내장된 휴대용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7444A KR20010009184A (ko) 1999-07-08 1999-07-08 디지털 오디오 재생 칩이 내장된 휴대용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9184A true KR20010009184A (ko) 2001-02-05

Family

ID=19600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7444A KR20010009184A (ko) 1999-07-08 1999-07-08 디지털 오디오 재생 칩이 내장된 휴대용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0918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0175B1 (ko) * 2006-11-21 2008-03-06 주식회사 아모텍 칩 소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0175B1 (ko) * 2006-11-21 2008-03-06 주식회사 아모텍 칩 소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49374B2 (en) Personal communications systems
JP2003347956A (ja) オーディオ出力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2006026420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all screening on a mobile telecommunications device
KR19990088001A (ko) 근거리통신장치
EA008113B1 (ru) Многорежимный телефон, включающий два беспроводных модема и один процессор модема
KR20020013808A (ko) 휴대용 무선 통신 장치
JP2002369257A (ja) 携帯端末装置の着信通知方法及びその携帯端末装置
KR20000055316A (ko) 무선 이동 통신 단말기의 착신음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010009184A (ko) 디지털 오디오 재생 칩이 내장된 휴대용 단말기
JP2737672B2 (ja) 携帯情報通信装置
JP2005176315A (ja) 音声メッセージをパケット通信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そして、これを遂行する移動通信端末機
KR100335280B1 (ko) 디지탈 음악데이터 처리기능을 갖는 이동단말기
JP2002334032A (ja) データダウンロードシステムおよびそれに用いる携帯端末装置
JP2001352374A (ja) モニタ装置及び電話器
KR100689445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데이터전송방법
JP5008797B2 (ja) 携帯電話装置
KR101185183B1 (ko) 응원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02223280A (ja) 通信端末装置及び基地局装置
JP2002271452A (ja) 通信端末装置
JPH11168774A (ja) 携帯電話システムの留守録方式
KR100238523B1 (ko) 무선 전화기에서 휴대장치 이용 고정장치 제어방법
KR100349653B1 (ko) 무선 가입자망 시스템에서 엠피3 오디오파일의 조작 방법
KR100705506B1 (ko) 헤드폰용 이동 단말기
JPH11308315A (ja) 携帯電話装置
JP2002190766A (ja) 携帯無線電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