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9091A - 휴대형 통신기기용 착탈식 보조기능장치 - Google Patents

휴대형 통신기기용 착탈식 보조기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9091A
KR20010009091A KR1019990027263A KR19990027263A KR20010009091A KR 20010009091 A KR20010009091 A KR 20010009091A KR 1019990027263 A KR1019990027263 A KR 1019990027263A KR 19990027263 A KR19990027263 A KR 19990027263A KR 20010009091 A KR20010009091 A KR 200100090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auxiliary function
function device
mobile phone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72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12242B1 (ko
Inventor
최영석
Original Assignee
최영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영석 filed Critical 최영석
Priority to KR10199900272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2242B1/ko
Priority to AU57101/00A priority patent/AU5710100A/en
Priority to PCT/KR2000/000726 priority patent/WO2001005049A1/en
Publication of KR200100090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90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22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22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01Q1/24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extendable from a housing along a given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08Means for collapsing antennas or parts thereof
    • H01Q1/10Telescopic elements
    • H01Q1/103Latching means; ensuring extension or retraction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33Hand-held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77Arrangements for enabling portable transceivers to be used in a fixed position, e.g. cradles or boos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Abstract

기존의 휴대형 통신기기에 착탈식으로 부착되어 휴대형 통신기기의 기능을 확장시켜주는 역할을 하는 보조기능장치가 제공된다. 보조기능장치는 안테나와 상기 안테나가 인입되어 있을 때 상기 안테나의 헤드부를 지지하기 위한 안테나 레스트부를 구비하는 안테나부; 상기 안테나를 휴대전화의 안테나 접속단자에 연결하기 위한 안테나 연결부; 상기 안테나를 자동으로 인출 또는 인입하기 위한 안테나 인출기구를 내부에 수용하고 있으며, 안테나 인출 스위치가 외면에 마련되어 있으며, 수직으로 길게 뻗어있는 파이프 형태를 가진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하측에서 옆으로 길게 뻗어 있으며, 휴대전화의 인카커넥터와의 접속을 위한 인카커넥터접속부를 구비하고 있는 브리지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휴대형 통신기기용 착탈식 보조기능장치{Detachable supplementary apparatus for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본 발명은 휴대형 통신기기용 착탈식 보조기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기존의 휴대형 통신기기에 착탈식으로 부착되어 휴대형 통신기기의 기능을 확장시켜주는 역할을 하는 보조기능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전화 등의 휴대형 통신기기는 모델의 변경에 따라 새로운 기능장치가 추가되는 예가 많으며, 그 변경의 속도 또한 매우 빠르다. 새로 추가되는 기능의 예로서는 컴퓨터 통신을 위한 적외선 인터페이스를 들 수 있다. 이러한 새로운 기능장치를 추가하기 위해서 휴대전화를 바꾸는 것은 비용도 많이 들 뿐만 아니라 자원의 낭비라는 점에서 기존의 휴대전화를 사용하면서 이러한 기능장치를 추가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휴대형 통신기기가 소형화, 경량화되어 감에 따라, 사용자에 따라서는 좀더 묵직하고 손에 쥐기 좋은 통신기기를 원하는 경우가 있다. 물론, 구형 통신기기를 사용하면 이러한 목적을 달성할 수도 있겠지만, 그 경우에는 여러가지 새로운 기능들을 사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기존의 통신기기의 다양한 기능들을 사용할 수 있으면서도 묵직하고 손에 쥐기 좋은 통신기기로 만들어줄 수 있는 보조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근래들어 휴대전화의 전파에 의한 인체에의 영향이 문제가 되고 있다. 안테나를 인출한 상태에서 휴대전화를 사용하면 이러한 영향이 많이 감소되므로 안테나를 자동으로 인출하도록 하는 장치가 많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휴대전화에서는 이러한 장치를 사용할 수 없으므로 매우 불편하였다.
본 발명자는 기존의 휴대전화에서도 안테나를 자동으로 인출 및 인입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를 대한민국 실용신안출원 제1998-020118호(실용신안공개 제1999-004098호)에서 제안한 바 있다. 그러나, 이 장치는 안테나를 자동으로 인출또는 인입하여 줄뿐이고 통화를 하기 위해서 또는 통화종료를 위해서는 별도로 통화버튼 또는 종료버튼을 눌러야 한다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기존의 휴대폰에서도 통화시에 안테나를 자동으로 인출 또는 인입하고, 그와 동시에 자동으로 통화버튼 또는 종료버튼을 누른 것과 같은 효과를 낼 수 있는 보조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기존의 통신기기를 그대로 사용하면서도 새로운 기능장치를 추가할 수 있는 보조기능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존의 통신기기의 다양한 기능들을 사용할 수 있으면서도 묵직하고 손에 쥐기 좋은 통신기기로 만들어줄 수 있는 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존의 휴대폰에서도 통화시에 또는 통화종료시에 안테나를 자동으로 인출 또는 인입하고, 그와 동시에 자동으로 통화 버튼 또는 종료버튼을 누른 것과 같은 효과를 낼 수 있는 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착탈식 보조기능장치의 외관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착탈식 보조기능장치와 휴대전화의 결합도이다.
도 3의 (a)는 하부통(18)이 상부통(15)쪽으로 밀어올려져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3의 (b)는 하부통(18)이 상부통(15)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하측으로 슬라이드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보조기능장치를 휴대전화에 장착시키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휴대전화의 안테나홀과 보조기능장치의 안테나부와의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보조기능장치의 다른 형태의 일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보조기능장치의 전기적 회로구성의 일예을 보여주는 개략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보조기능장치의 전기적 회로구성의 일예을 보여주는 개략블록도이다.
도 9는 인카커넥터가 형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보조기능장치에 케이블을 접속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보조기능장치에 적외선 통신장치를 마련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보조기능장치의 외관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에서 (a)는 정면도이고 (b)는 (a)의 A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 (c)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보조기능장치(100)는 크게 안테나부와, 안테나 연결부와, 상체부와, 하체부와, 브리지부를 구비하고 있다.
안테나부는 안테나 헤드(10)와 안테나 헤드레스트(12)와 안테나 로드(11)로 이루어진다. 안테나 로드(11)는 안테나 연결부(14)를 통해 휴대전화의 안테나 접속단자와 연결된다. 안테나캡(13)은 휴대전화의 안테나를 제거하였을 때 생기는 구멍을 막는데 사용된다.
상체부는 상부통(15)과, 안테나 출몰 스위치(16)와, 휴대전화 고정돌기(17)를 구비하고 있다. 상부통(15)은 안테나가 들어가 있는 상태에서 안테나 로드(11)를 수용하며, 안테나 자동 출몰을 위한 기구장치가 수용되어 있다. 안테나 출몰 스위치(16)는 안테나를 빼내고 집어넣기 위한 스위치로서, 슬라이드되도록 되어 있다. 휴대전화 고정돌기(17)는 보조기능장치(100)를 휴대전화에 고정시킬 때 휴대전화의 측면에 마련되어 있는 홈에 들어맞도록 되어 있어서, 보조기능장치(100)가 휴대전화에 장착되었을 때 보조기능장치(100)를 휴대전화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하체부는 하부통(18)을 구비하고 있다. 하부통(18)은 보조기능장치(100)에 마련되는 적외선 인터페이스 장치나 인카커넥터(In-Car Connector)를 수용하도록 되어 있다. 하체부에는 또한 받침부(19)를 마련할 수도 있다.
브리지부는 휴대전화의 인카커넥터와 연결되어 휴대전화로부터의 전원 및 통신신호를 보조기능장치(100)에 전해주는 역할을 하며, 브리지(20)와 인카커넥터 접속단자(21)를 구비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착탈식 보조기능장치와 휴대전화의 결합도로서, (a)는 일반적인 휴대전화이고 (b)는 본 발명의 착탈식 보조기능장치이며, (c)는 휴대전화에 본 발명의 착탈식 보조기능장치를 장착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휴대전화(200)에 보조기능장치(100)를 장착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휴대전화(200)의 안테나(210)를 제거한다. 다음에, 보조기능장치(100)의 하부통(18)을 도 3에 도시한 것처럼 상부통(15)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하측으로 슬라이드시킨다.
도 3의 (a)는 도 2의 (b)에 도시된 것처럼 하부통(18)이 상부통(15)쪽으로 밀어올려져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3의 (b)는 하부통(18)이 상부통(15)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하측으로 슬라이드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보조기능장치(100)가 휴대전화(200)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도 3의 (a)에서와 같이 하부통(18)이 상부통(15) 쪽으로 밀어올려져 있다. 이때 하부통(18)의 상측 내부에 마련되어 있는 돌기부(18a)가 상부통(15)의 상측홈부(15a) 안에 미끌어져 들어가 있는 상태로 지지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보조기능장치(100)를 휴대전화(200)로부터 이탈시키거나 또는 장착시키기 위해서 하부통(18)을 상부통(15)으로부터 상대적으로 하측으로 슬라이드시키면, 도 3의 (b)에 도시된 것처럼 하부통(18)의 상측 내부에 마련되어 있는 돌기부(18a)가 상부통(15)의 하측홈부(15b) 안에 미끌어져 들어가게 되어, 하부통(18)이 도 3의 (a)의 위치에서 일정한 간격만큼 밑으로 내려간 상태에서 고정되게 된다.
그러면,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휴대전화(200)에 보조기능장치(100)를 끼우고 휴대전화(200)의 제거된 안테나(210)가 결합되어 있던 구멍에 안테나캡(13)을 고정시키고, 하부통(18)을 다시 상측으로 슬라이드시킴으로써 휴대전화(200)의 인카커넥터와 보조기능장치(100)의 인카커넥터 접속단자(21)를 결합시키게 된다.
또는, 순서를 바꾸어서 인카커넥터를 먼저 접속하고 나중에 안테나를 결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이렇게 보조기능장치(100)가 휴대전화(200)에 장착된 상태의 도면이 도 2의 (c)에 도시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여 휴대전화의 안테나홀과 보조기능장치의 안테나부의 결합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휴대전화의 안테나홀과 보조기능장치의 안테나부와의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에서 부호 25는 휴대전화(200) 몸체 상면의 안테나홀에 내입된 휴대전화(200)측 접지단자이고, 부호 27은 보조기능장치(100)에 내장된 접지단자이며, 26는 이들(25, 27)을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안테나홀에 체결되어 상기 접지단자(25)에 접속되는 접지나사이다. 그리고, 부호 24는 접지나사(26)와 보조기능장치(100)측 접지단자(27)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편이고, 13은 접지나사(26)를 외부로부터 절연하는 안테나캡이다.
본 발명의 보조기능장치(100)는 소비자의 취향에 맞추어 여러가지 다양한 형태로 설계할 수 있다. 도 6은 보조기능장치(100)의 다른 형태의 일예를 보여주고 있다. 이와 같이 소비자의 취향에 맞추어, 또는 기업이나 제품의 선전용으로 여러가지 다양한 디자인으로 보조기능장치를 만드는 것이 가능하다.
도 1 내지 도 6에서 부호 16은 안테나 출몰 스위치를 나타낸다. 사용자가 휴대폰 통화를 하기 위하여 안테나 출몰 스위치(16)를 조작하면 안테나(10)가 보조기능장치(100)로부터 인출되고 또한 자동으로 통화버튼을 누른 것과 같은 동작이 이루어진다. 또한, 안테나가 인출되어 있는 상태에서 다시 안테나 출몰 스위치(16)를 조작하면 안테나(10)가 보조기능장치(100) 안으로 들어가게 되며 또한 자동으로 종료버튼을 누른 것과 같은 동작이 이루어진다.
안테나의 자동 인출/인입을 위한 구조는 많이 알려져 있으며, 그 예로서는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 제1999-004098호, 실용신안공개 제1999-000311호, 특허공개 제1999-024280호 등이 있다. 본 발명은 이들 어느 특정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안테나의 자동 인출/인입을 위한 구조라면 어느 것이든지 사용이 가능하며, 보조기능장치(100)의 형태에 따라 적절한 구조를 사용하면 된다.
다음으로 도 7 내지 도 10을 사용하여 보조기능장치에서 여러가지 기능을 구현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보조기능장치의 전기적 회로구성의 일예을 보여주는 개략블록도로서,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보조기능장치에 인카커넥터(이하, ICC라 함)를 마련한 경우의 예이다.
ICC 인터페이스부(50)는 휴대전화(200)의 ICC에 연결되어 휴대전화(2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서 보조기능장치(100)에서 필요로 하는 전원으로 사용하고, 각종 기능을 구현하는데 필요한 여러가지 제어 데이터 또는 통신 데이터를 주고받는 역할을 한다.
제2 ICC 인터페이스부(70a)는 ICC 인터페이스부(50)에 연결되어 휴대전화(200)와 컴퓨터나 핸드프리장치 등의 각종 주변장치를 연결하는데 사용된다. 즉, 휴대전화(200)에 본 발명의 보조기능장치(100)를 장착하면 휴대전화(200)의 ICC에 보조기능장치(100)가 연결되어 버리므로, 휴대전화(200)를 사용하여 컴퓨터 통신을 하기 위하여 컴퓨터를 연결하거나, 또는 휴대전화(200)에 핸드프리 장치를 연결하거나 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도 9에 도시한 것처럼, 보조기능장치(100)에 제2 ICC 인터페이스부(70a)를 마련하고 여기에 핸드프리장치나 컴퓨터를 연결하도록 하면, 보조기능장치(100)를 사용하면서도 핸드프리장치나 컴퓨터 통신 등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제어부(60)는 휴대전화(200)로부터의 제어신호를 받아서 각종 기능동작을 수행하거나 안테나 인출 스위치(16, SW)의 동작을 감지하여 통화시작 또는 통화종료 명령을 휴대전화(200)로 전송하거나 하는 동작을 한다.
전술한 것처럼 안테나 인출 스위치(16, SW)의 작동에 의해 안테나를 인출 또는 인입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어부(60)에서 이를 감지하여 ICC 인터페이스부(50)를 통해 이를 휴대전화(200)에 알려줌으로써 안테나 출몰 스위치(16)를 조작하는 것만으로 통화버튼 또는 종료버튼을 누른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제어부(60)에서 수행할 수 있는 다른 기능동작의 예로서는, 보조기능장치(100)에 LED가 마련되어 있는 경우, 휴대전화(200)로 전화가 걸려오는 경우에 이 LED를 점멸시키는 기능을 들 수 있다. 즉, 휴대전화(200)로 전화가 걸려오는 경우에는 ICC 인터페이스부(50)를 통해 전화가 왔음을 알리는 데이터를 받고, 그에 따라 LED를 깜박거리게 제어하는 것이다. 또한, LED를 여러개 마련하여 두고 전화가 오는 경우에 이 LED를 일정한 패턴으로 깜박거리게 한다면 전화가 왔음을 쉽게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식적인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보조기능장치의 전기적 회로구성의 다른 예을 보여주는 개략블록도로서,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보조기능장치에 적외선 통신(이하 IrDA라 함) 인터페이스를 마련한 경우의 예이다.
IrDA 인터페이스는 무선으로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고 전파장애를 일으키지 않는다는 점 때문에 노트북 컴퓨터, 휴대전화, 각종 컴퓨터 주변기기 등에 많이 채용되고 있는 통신 방식이다. IrDA를 사용할 수 있는 주변장치가 많이 늘어나면서 IrDA 인터페이스를 채용하는 휴대전화가 많이 나오게 되겠지만, 본 발명의 보조기능장치를 사용하면 기존의 휴대전화 단말기를 교체하지 않고도 IrDA 접속 기능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즉, 도 9에 도시한 것처럼 IrDA 인터페이스부(70b)를 보조기능장치(100)에 마련하여 두고, ICC 인터페이스부(50)를 통해 들어오는 데이터를 IrDA 인터페이스부(70b)에서 적외선 데이터 포맷으로 바꾸어 적외선으로 내보내고, 반대로 외부 장치로부터의 적외선 데이터를 IrDA 인터페이스부(70b)에서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고 이를 다시 ICC 인터페이스부(50)를 통해 휴대전화(200)로 보내게 되면 적외선 통신 접속장치가 없는 휴대전화에 적외선 통신 기능을 부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시끄러운 곳에서 통화를 하고자 하거나 또는 운전중에 통화를 하고자 할 때 이어폰을 휴대전화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휴대전화에 따라서는 이어폰을 연결할 수 없는 기종이 있는데, 이어폰 접속단자 및 관련 회로를 보조기능장치(100)에 마련하면 이러한 휴대전화에서도 이어폰의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즉, 도 11에 도시한 것처럼 이어폰(95)에 있는 마이크(Mic)로부터의 전기적 신호를 증폭기(93)를 사용하여 증폭하고 A/D 변환기(91)를 사용하여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한다. 이렇게 변환된 디지털 데이터는 다시 인코더(81)에서 해당 휴대전화에서 사용되는 음성 디지털 코딩방식에 따라 인코딩되어 제어부(60)의 제어에 따라 ICC 인터페이스부(50)를 통해 휴대전화(200)로 전달된다.
반대로, 휴대전화(200)로부터의 음성 데이터는 ICC 인터페이스부(50)를 거쳐 제어부(60)의 제어에 의해 디코더(82)로 입력된다. 디코더(82)는 휴대전화에서 사용하는 음성 디지털 코딩방식으로 코딩되어 있는 음성 데이터를 D/A 변환을 할 수 있는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고, D/A 변환기(92)는 이를 받아서 아날로그 전기신호로 변환한다. 이렇게 생성된 아날로그 신호는 증폭기(94)에서 증폭되어 이어폰(95)의 스피커(Spkr)를 통해 음향신호로 변환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이어폰 접속 기능이 없는 휴대전화에서도 본 발명의 보조기능장치를 연결함으로써 이어폰 접속기능을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외에도, 보조기능장치(100)에 라디오나 플래시, 레이저 포인터 등의 장치를 내장하고 ICC 인터페이스부(50)를 통해 들어오는 휴대전화의 전원을 이용하여 또는 별도의 배터리를 사용하여 다양한 부가기능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통신기기를 그대로 사용하면서도 적외선 통신 인터페이스나 이어폰 등의 새로운 기능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경박단소화된 기존의 통신기기의 다양한 기능들을 그대로 사용하면서도 본 발명의 보조기능장치의 추가에 의해 묵직하고 손에 쥐기 좋게 되어 편리성이 향상된다.
또한, 안테나의 자동 인출기능이 없는 기존의 휴대폰에서도 통화 또는 통화종료시에 안테나를 자동으로 인출 또는 인입함과 동시에 자동으로 통화 버튼 또는 종료버튼을 누른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사용이 매우 편리하다.

Claims (6)

  1. 안테나와 상기 안테나가 인입되어 있을 때 상기 안테나의 헤드부를 지지하기 위한 안테나 레스트부를 구비하는 안테나부;
    상기 안테나를 휴대전화의 안테나 접속단자에 연결하기 위한 안테나 연결부;
    상기 안테나를 자동으로 인출 또는 인입하기 위한 안테나 출몰기구를 내부에 수용하고 있으며, 안테나 출몰 스위치가 외면에 마련되어 있으며, 수직으로 길게 뻗어있는 파이프 형태를 가진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하측에서 옆으로 길게 뻗어 있으며, 휴대전화의 인카커넥터와의 접속을 위한 인카커넥터접속부를 구비하고 있는 브리지부
    를 구비하고 휴대형 통신기기에 착탈할 수 있는 보조기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서로 상대적으로 슬라이드 가능한 상부통과 하부통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기능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에는 주변장치와의 접속을 위한 접속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기능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는 인카커넥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기능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는 적외선 통신 인터페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기능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인출스위치의 조작을 감지하는 안테나 출몰스위치 감지부와,
    상기 안테나 인출스위치 감지부로부터의 감지 데이터를 사용하여 통화버튼 조작 또는 통화종료버튼 조작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상기 인카커넥터접속부를 통해 휴대전화에 보내기 위한 제어부
    를 구비하여 안테나 인출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안테나가 인출되는 경우에는 통화버튼 조작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송출하고,
    안테나 인출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안테나가 인입되는 경우에는 통화종료버튼 조작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기능장치.
KR1019990027263A 1999-07-07 1999-07-07 휴대형 통신기기용 착탈식 보조기능장치 KR1003122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7263A KR100312242B1 (ko) 1999-07-07 1999-07-07 휴대형 통신기기용 착탈식 보조기능장치
AU57101/00A AU5710100A (en) 1999-07-07 2000-07-06 Detachable supplementary apparatus for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PCT/KR2000/000726 WO2001005049A1 (en) 1999-07-07 2000-07-06 Detachable supplementary apparatus for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7263A KR100312242B1 (ko) 1999-07-07 1999-07-07 휴대형 통신기기용 착탈식 보조기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9091A true KR20010009091A (ko) 2001-02-05
KR100312242B1 KR100312242B1 (ko) 2001-11-03

Family

ID=19599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7263A KR100312242B1 (ko) 1999-07-07 1999-07-07 휴대형 통신기기용 착탈식 보조기능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312242B1 (ko)
AU (1) AU5710100A (ko)
WO (1) WO200100504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7087B1 (ko) * 2001-10-29 2004-06-23 삼성전자주식회사 고속데이터 전송속도 서비스가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동작 제어방법
KR100437088B1 (ko) * 2001-10-29 2004-06-23 삼성전자주식회사 고속 데이터 전송속도 서비스가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동작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5770B1 (ko) * 2004-07-21 2006-06-07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위성방송 수신용 안테나 장착장치
KR100640896B1 (ko) * 2004-09-30 2006-1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CN105721637B (zh) * 2016-03-17 2018-11-06 魏谨守 一种兼具对讲功能的移动通讯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0311U (ko) * 1997-06-07 1999-01-15 김영환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안테나 인출장치
KR200249038Y1 (ko) * 1998-10-21 2002-01-16 최영석 휴대용 통신기기용 착탈식 안테나 출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7087B1 (ko) * 2001-10-29 2004-06-23 삼성전자주식회사 고속데이터 전송속도 서비스가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동작 제어방법
KR100437088B1 (ko) * 2001-10-29 2004-06-23 삼성전자주식회사 고속 데이터 전송속도 서비스가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동작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5710100A (en) 2001-01-30
KR100312242B1 (ko) 2001-11-03
WO2001005049A1 (en) 2001-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790808B (zh) 用于移动电话的天线装置
KR101745866B1 (ko) 다자간 통신 기능을 포함하는 블루투스 헤드셋
US20030125075A1 (en) Desktop stand and mobile phone
CN1937438A (zh) 多功能蓝牙耳机
ZA200106846B (en) Dual mode wireless data communications.
US20100304676A1 (en) Bluetooth headset
CN103593064A (zh) 一种触控笔
KR100312242B1 (ko) 휴대형 통신기기용 착탈식 보조기능장치
KR200416690Y1 (ko) 휴대폰용 젠더체인저 유니트
US8130943B2 (en) Telephone accessory device and system for hands free operation
TW200512991A (en) Cable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KR200469462Y1 (ko) 무선 음성 기능을 갖는 터치 펜
CN207677834U (zh) 船载无线通信手柄及系统
CN102348000A (zh) 一种设有调频信号发射模块的手机保护套及其系统
KR20010095498A (ko) 무선통화장치를 갖는 차량용 핸즈프리키트
CN207678000U (zh) 船载通信系统
KR20000018393U (ko) 안테나가 내장된 목걸이줄을 구비한 휴대폰
CN205453801U (zh) 一种带有多功能耳机的手机
CN211376149U (zh) 一种多功能可控制导览机装置
CN212541135U (zh) 一种适宜平板操作的操作终端装置
KR200282612Y1 (ko) 차량의핸드프리박스와이동전화기간의연결장치
CN2894178Y (zh) 无线耳机的麦克风伸缩结构
KR200273608Y1 (ko) 양손이 자유로운 전화기
CN105472071A (zh) 一种带有多功能耳机的手机
KR100594067B1 (ko) 이동전화 단말기의 핸즈프리장치 및 통화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0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0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