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6539A - 이동 가능한 마이크로폰 유니트를 구비하는 휴대용 전화기 - Google Patents

이동 가능한 마이크로폰 유니트를 구비하는 휴대용 전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6539A
KR20010006539A KR1019997009629A KR19997009629A KR20010006539A KR 20010006539 A KR20010006539 A KR 20010006539A KR 1019997009629 A KR1019997009629 A KR 1019997009629A KR 19997009629 A KR19997009629 A KR 19997009629A KR 20010006539 A KR20010006539 A KR 200100065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phone unit
magnets
pair
unit
micro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96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앤쏘니 아.체. 그랜드베르트
필립 알릭스
Original Assignee
요트.게.아. 롤페즈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트.게.아. 롤페즈,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요트.게.아. 롤페즈
Publication of KR200100065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6539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3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e.g. telephone hand-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전화기 하우징, 및 후퇴 안착 위치와 이동 거리에 걸친 운동 경로로 움직일 수 있는 상기 전화기 하우징으로부터 돌출하는 작동 위치의 사이로 이동할 수 있는 마이크로폰 유니트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화기 유니트가 제안된다. 상기 휴대용 전화기 유니트에서, 마이크로폰 유니트와 상호 작용하는 쌍안정(bistable) 메커니즘은 상기 마이크로폰 유니트를 스프링 힘으로 상기 작동 위치로 밀기 위한 스프링 수단을 구비하며, 마이크로폰 유니트가 안착 위치와 작동 위치의 사이로 이동될 때, 상기 스프링 수단에 의해 가해지는 상기 스프링 힘의 성분은 중간의 불안정한 지점이 통과되어진 후 방향을 바꾼다.

Description

이동 가능한 마이크로폰 유니트를 구비하는 휴대용 전화기{PORTABLE TELEPHONE WITH MOVABLE MICROPHONE UNIT}
이 타입의 휴대용 전화기 유니트는 경험으로부터 공지된다. 이 타입의 전화기에 대해서, 마이크로폰은 전화기가 사용되지 않는 때 전화기의 바깥 치수를 가능한 제한해야 하는 목적을 갖는 이동 가능한 마이크로폰 유니트 내에 수용된다. 전화기를 사용하기 위해, 사용자는 손으로 마이크로폰 유니트를 작동시키며, 그 결과 상기 마이크로폰 유니트는 전화기 하우징의 바깥측으로 움직인다. 예를 들면, 경험으로부터 공지된 휴대용 전화기 유니트에 대해서, 소위 "푸쉬-푸쉬(push-push)" 메커니즘이 사용된다. 마이크로폰 유니트를 밖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손은 마이크로폰 유니트의 자유 단부를 밀며, 그 결과 마이크로폰 유니트는 약간의 이동 거리에 걸쳐 전화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눌려지며, 그 후 압력이 제거될 때, 마이크로폰 유니트는 상기 목적을 위해 전화기 하우징 내에 있는 스프링 수단에 의한 스프링 힘으로 인해 바깥측으로 밀린다. 상기 마이크로폰 유니트를 다시 내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자유 단부는 다시 눌려지며 마이크로폰 유니트는 안착 위치를 약간 지나는 소정의 위치까지 내측으로 눌려진다. 그에 따라서 압력이 제거될 때, 마이크로폰 유니트는 약간의 이동 거리에 걸쳐 상기 안착 위치까지 뒤로 움직이며, 상기 목적을 위해 있는 잠금 수단에 의해 록킹됨에 따라서 다시 동일한 방법으로 바깥측으로 이동할 준비가 된다.
상기 공지된 타입의 휴대용 전화기 유니트 및 유사한 휴대용 전화기 유니트의 단점은 전화기 유니트를 바깥측으로 이동시키며 상기 전화기 유니트를 안착 위치에 록킹시키기 위한 메커니즘이 오히려 복잡하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제부에 한정되는 휴대용 전화기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마이크로폰 유니트가 전화기 하우징의 내측에 있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화기 유니트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마이크로폰 유니트가 바깥측으로 이동되는 도 1의 휴대용 전화기 유니트를 도시하는 유사한 사시도.
도 3은 작동 위치 및 마이크로폰 유니트가 있는 안착 위치의 사이에 마이크로폰 유니트를 움직이기 위한 쌍안정 메커니즘을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
도 4는 마이크로폰 유니트가 작동 위치에 있는 도 3의 쌍안정 메커니즘을 도시하는 유사한 평면도.
도 5 내지 도 8은 쌍안정 메커니즘이 쌍의 마그네트를 포함하고, 마이크로폰 유니트가 다른 위치에 있는 도 3 및 도 4의 쌍안정 메커니즘을 도시하는 유사한 평면도.
도 9는 마이크로폰 유니트 및 상기 유니트와 상호 작용하며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화기 유니트에 속하는 다수의 요소를 도시하는 저면 분해 사시도.
본 발명의 목적은 단순한 메커니즘을 구비하며 그 외에 이후에 자명해질 또 다른 이점을 제공하는데, 적합할 수 있는 개시 절에 한정되는 타입의 휴대용 전화기 유니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결과로, 본 발명에 따른 전화기 유니트는 청구항 1의 특징부에 청구된 특성화된 특징을 갖는다.
상기 타입의 메커니즘은 매우 단순할 수 있으며 다양한 방법으로 배치될 수 있다는 것이 자명하다. 경험으로부터 공지되거나 상술한 전화기 유니트의 아직 언급하지 않은 단점은 사용자가 마이크로폰 유니트를 이동시키기 위해 두 손을 필요로 한다는 것인데, 한 손은 전화기 하우징을 잡고 다른 손은 마이크로폰 유니트에 압력을 가하기 위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런 점에 있어서 이점을 제공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청구항 2에 청구되어 있다. 마이크로폰 유니트가 작동 위치로부터 안착 위치의 내측으로 이동할 때, 마이크로폰 유니트의 자유 단부가 아직 전화기 하우징의 바깥에 있을 때, 쌍안정(bistable) 메커니즘의 불안정한 지점이 통과된다는 사실이 마이크로폰 유니트를 다시 한 손으로 후퇴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만든다. 이 결과로, 사용자는 단지 마이크로폰 유니트의 자유 단부를 소정의 대상물, 예를 들면 테이블 표면에 기대어지게 놓고, 손으로 전화기 유니트를 잡은 채로 약간의 압력을 가할 필요가 있다. 그에 따라서, 전화기 유니트는 초기에 손에 의해 전화기 하우징 내로 밀리며 그 후에 불안정한 지점을 통과한 후 안착 위치까지 더 내측으로 자동적으로 쑥 들어간다.
이런 점에 있어서, 청구항 3에 청구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흥미롭다. 따라서, 후자의 두 가지 실시예에 따라 배치된 전화기 유니트는 어떤 외부의 작동 수단을 구비할 필요성은 없으며 마이크로폰 유니트가 바깥측 및 내측 방향으로 이동될 때, 모두 한 손으로 작동될 수 있다.
단순한 구조를 구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가능한 실시예는 청구항 4에 청구된다.
본 발명의 흥미로운 실시예가 청구항 5에 청구된다. 기계적인 수단은 본 실시예에서 전혀 필요치 않으며 필요한 스프링 힘은 오직 상호 작용하는 자력 수단의 반발 및/또는 인력 작용에 의해서만 얻어진다.
이런 점에서 흥미로운 것은 청구항 6에 청구된, 후자의 실시예의 또 다른 변형이다. 쌍으로 배치되는 마그네트를 적용함으로써, 마이크로폰 유니트의 횡단 방향으로 가해지는 자력이 실제적으로 서로 상쇄되는 조립체가 얻어질 수 있고, 그 결과 마이크로폰 유니트의 이동 동안 마찰 감소를 위해 유리한 약간의 측방향 힘만이 발생한다.
쌍의 마그네트가 사용되는 흥미로운 실시예가 청구항 7에 청구된다.
상기 실시예에서, 원한다면 마이크로폰 유니트를 바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수동으로 작동할 수 있는 작동 수단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작동 수단을 포함하는 다음의 예가 청구항 8에 청구된다.
상기 실시예는 작동 수단의 이동 거리가 마이크로폰 유니트의 이동 거리 보다 더 작을 수 있다는 것이 유리하다. 상기는 작동의 편의성을 증진시키며, 작동 요소가 전화기 하우징의 외측부에 걸친 상당한 거리를 커버해야만 하는 것을 회피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양상은 이후에 기술되는 실시예로부터 자명해질 것이며 상기 실시예를 참조로 하여 명료해질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전화기 하우징(3)을 구비하는 휴대용 전화기 유니트(1)를 도시한다. 전화기 하우징은 관례상 전측부에 소리 재생을 위한 이어폰이 있는 후측 다수의 개구부(7)를 갖는 부분(5)을 구비한다. 전화기는 무선 통신을 위해 안테나(9)를 구비한다. LCD 디스플레이(11)와 다수의 작동 키(13)가 전화기 하우징의 전측부에 더 있다. 이들 요소는 여기에 더 논의되지 않을 휴대용 전화기의 그 자체로 공지된 모든 요소이다. 도 2는 전화기 하우징(3)으로부터 작동 위치로 이동되며 이로부터 돌출하는 마이크로폰 유니트(15)를 도시하며, 상기 마이크로폰 유니트는 자유 단부(17)측에서 마이크로폰(미도시됨)이 설치되는 후측 개구부(19)를 갖는다. 전화기의 크기는, 상기 부분(5)이 귀에 기대어져 고정될 때, 이야기할 때 사용자에 의해서 발생되는 소리를 잡기 위해 상기 개구부(19)가 입 가까이로 움직일 수 있는 크기이다. 전화기와 마이크로폰 유니트의 형상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도면과 다를 수 있으며, 본질적으로 본 발명에서 크게 중요하지 않다.
안착 위치와 작동 위치의 사이에서 마이크로폰 유니트를 이동시키기 위한 가능한 쌍안정 메커니즘은 도 3 및 도 4를 참조로 하여 개략적으로 더 설명될 것이다. 상기 도면들은 자유 단부(23)와 개구부(25)를 갖는 마이크로폰 유니트(21)를 도시하는데, 상기 개구부 뒤에 마이크로폰이 설치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 유니트(21)는 전체적으로 전화기 하우징의 바깥측으로 이동될 수 있는 바닥 단부(27), 연결 스템과 유사한 부분(29), 및 연결 상단부(31)를 포함한다. 메커니즘은 복귀 스프링(33)을 더 포함한다. 상기 스프링은 일반적으로 공학적으로 공지된 것이어서 여기서는 간단한 설명으로 충분하다. 스프링은 두 개의 레그(35,37) 및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둥근 권선부(39)를 갖는다. 제각각의 레그(35,37)의 단부(A,B)는 도면의 평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90。로 굽어지며, 제각기 전화기 하우징의 부분을 형성하는 마이크로폰 유니트(21)의 상단부(31) 및 고정부(41)의 상응하는 개구부에 수용된다.
마이크로폰 유니트(21)는 전화기 하우징의 내측 가이드(43) 내에 수용된다. 가이드(43)의 측부 벽(45)은 마이크로폰 유니트의 측부 가이드를 제공하는데 반해, 단부 벽(47,49)은 마이크로폰 유니트의 단부 위치, 즉 안착 위치와 작동 위치를 결정하는 멈춤부를 형성한다.
단부(A,B)를 갖는 스프링(33)은 어떤 예압(pretension) 하에서 앞서 말한 상응하는 개구부 내에 수용된다. 도 3에 도시된 위치에서, 마이크로폰 유니트(21)는 스프링(33)에 의해 단부 벽(47)으로 배향되는 스프링 요소의 힘을 받는다. 따라서, 마이크로폰 유니트(21)는 도시된 위치에 안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 유니트가 도 3에 도시된 안착 위치로부터 도 4에 도시된 작동 위치로 이동될 때, 도면의 지점(A)은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이동하는 반면에, 초기에 두 개의 단부 위치(A,B) 사이의 이동 거리가 줄어들며, 그 결과 이들 지점 사이의 힘은 증가하지만 그와 동시에 지점(B)으로부터 지점(A)로의 힘의 방향은 지점(A)이 지점(B)에 걸쳐 우측 위치에 도달하고, 힘의 성분이 더 이상 단부 벽(47)의 방향으로 작용하지 않는 순간까지 우측으로 방향을 바꾼다. 상기 순간에 양측 단부 벽(49)의 방향으로 힘이 전혀 작용하지 않으며, 마이크로폰 유니트는 불안정한 균형 상태에 있다. 마이크로폰 유니트가 우측으로 더 움직일 때, 지점(A)은 또한 우측으로 이동될 것이며, 그 결과 힘의 성분은 우측 방향으로 작용하도록 진전한다. 그에 따라서, 마이크로폰 유니트(21)는 우측으로 밀려지게 되는 동시에 도 4에 도시된 위치로 더 움직이며, 그 결과 지점(A)은 스프링(33)이 동시에 부분적으로 해제될 때 우측으로 이동한다. 마이크로폰 유니트의 단부 지점(23)에 의해 커버되는 이동 거리(S)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다. 불안정한 지점(IP)은 이동 거리(S)의 절반쯤에서 발견된다.
도 3 및 도 4의 메커니즘에 대해서, 복귀 스프링(33)은 마이크로폰 유니트 상에서 상측 방향, 도 3 및 도 4에서 횡단 방향으로 힘을 가하며, 상기 횡단 힘은 마이크로폰 유니트(21)와 가이드(43)의 사이에 오히려 많은 마찰을 발생시킨다는 것이 자명할 것이다. 그렇지만, 메커니즘이 마이크로폰 유니트(21)에 대해 대칭적으로 배치되는 롤러 베어링을 적용함에 의해 및/또는 두 개의 스프링(33)을 적용함에 의해 손쉽게 변경될 수 있으며, 그 결과 가해지는 횡단 힘은 서로 상쇄된다. 대안적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복귀 스프링을 대신해 다른 형상의 기계적인 스프링 수단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원하는 대로 측방향 처짐을 회피하기 위해 가이드를 구비한 나선형으로 감기는 압력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캠, 롤러 등과 조합되는 스프링 수단은 스프링 수단에 의해 가해지는 스프링 힘이 오로지 횡단 방향으로만 작용하도록 적용될 수 있지만, 롤러, 캠 등에 기인한 마이크로폰 유니트의 장 방향 성분을 갖는 스프링 힘을 가한다.
전화기 하우징의 경계부는 도면 번호 51로 표시된 일점 쇄선으로 도 4에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작동 위치(도 4 참조)로부터 도 3의 안착 위치로 이동될 때, 불안정한 지점(IP)은 자유 단부가 여전히 전화기 하우징(51)의 바깥에 있는 순간에 자유 단부(23)에 의해 통과된다. 자유 단부(23)를 고정된 대상물, 예를 들면 테이블 표면에 대해 밀음에 의해 마이크로폰 유니트를 내측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그 후에 마이크로폰 유니트는 자유 단부(23)가 지점(IP)을 통과하자마자 자동적으로 더 내측으로 이동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실시예는 마이크로폰 유니트(21)를 바깥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작동 수단을 포함하는 전화기 유니트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들 작동 수단은 마이크로폰 유니트(21) 그 자체 또는 스프링(33) 상에 작용할 수 있고 전화기 하우징으로부터 돌출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예를 들면, 전화기 유니트를 고정하는 손의 엄지 손가락은 마이크로폰 유니트를 바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마이크로폰 유니트 상에 압력을 가할 수 있다. 그렇지만, 도시된 실시예는 마이크로폰 유니트(21)와 상호 작용하는 외부 작동 수단으로부터 자유로운 휴대용 전화기 유니트의 실시예에 사용하는데 또한 적합할 수 있으며, 안착 위치로부터 작동 위치로 마이크로폰 유니트를 이동시키기 위해 손으로 작동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 유니트(21)의 질량과 스프링 수단(33)의 스프링 힘이 서로 조정될 수 있기 때문에, 마이크로폰 유니트는 사용자의 손의 움직임으로 도 3의 안착 위치로부터 도 4의 작동 위치로 관성력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필수적으로, 마이크로폰 유니트는 이동 거리(S)의 일부, 즉 불안정한 지점(IP)을 통과하는 곳까지 바깥측으로 이동될 것을 단지 필요로 한다.
단순화를 위해, 유사한 도면 번호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부품과 유사한 다수의 부품을 위해 도 5 내지 도 8에 사용된다. 도 5 내지 도 8은 마이크로폰 유니트(21)의 스프링 수단이 자성 수단(53a,53b)과 상호 작용하며 가이드(45)에 연결되는 고정 마그네트(55a,55b 및 57a,57b) 뿐만 아니라 견고하게 부착되는 자성 수단(53a,53b)을 포함하는 휴대용 전화기 유니트(51)를 도시한다.
이동 마그네트(53a,53b)는 상기 경우에 두 개의 측부중의 어느 하나 상에 오목부(59)를 구비하는 마이크로폰 유니트(21)의 상단부(31) 상에 설치된다. 상기 도시된 모든 마그네트는 자화의 방향이 블록의 주요 면에 수직한 블록 형상을 갖는다. 유사한 쌍(53a,53b; 55a,55b 및 57a,57b)에 속하는 마그네트는 마그네트 쌍의 유사한 폴이 언제나 서로 배향되도록 마이크로폰 유니트(21)의 양 면중의 어느 한 면 상에 위치된다.
제 1 쌍의 고정 마그네트(57a,57b)는 가이드(43)의 단부 벽에 배향되는 작동 위치의 가까이에 있다. 상기 쌍의 고정 마그네트는 이동 마그네트(55a,55b) 상에 인력을 작용시키는데, 이러한 사항은 도면에서 이동 마그네트(53a,53b)는 검은색으로 도시되며 제 1 고정 마그네트(57a,57b)는 흰색으로 도시되어 심벌화된다. 마이크로폰 유니트(21)가 안착 위치에 있을 때(도 5참조), 제 2 쌍의 고정 마그네트(55a,55b)는 안착 위치에 배향되는 단부 벽(47)의 더 가까이에 위치하고, 제 1 쌍의 고정 마그네트(57a,57b)의 위치와 이동 쌍의 마그네트(53a,53b)의 위치 사이에 발견되는 위치에 놓인다. 제 2 쌍의 고정 마그네트(55a,55b)는 또한 마그네트(55a,55b)가 검은색으로 도시되어 도면에 심벌화된 이동 쌍의 마그네트(53a,53b)에 반발력을 가한다.
도 5 내지 도 8의 쌍안정 메커니즘의 작동이 설명될 것이다. 도 5의 위치, 즉 안착 위치에서, 마이크로폰 유니트(21)는 마그네트(55a,55b)에 의해 주변 이동 마그네트(53a,53b) 상에 가해지는 반발력에 의해, 가이드(43)의 단부 벽(47)에 기대어져 좌측으로 밀린다. 한편 제 1 고정 마그네트(57a,57b)는 이동 마그네트(53a,53b) 상에 인력을 가한다. 그렇지만, 이들 고정 마그네트는 이동 마그네트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어서, 이들의 인력은 제 2 고정 마그네트(55a,55b)의 반발력 보다 상당히 더 작다.
도 6에서, 마이크로폰 유니트(21)는 불안정한 지점까지 우측으로 이동된다. 이동 마그네트(53a,53b)는 실제적으로 불안정한 힘의 균형 상태에 있는 위치 즉, 제 2 고정 마그네트(55a,55b)의 전측부에 위치하는데, 여기에서 마이크로폰 유니트(21) 상의 우측 및 좌측에 가해지는 힘은 서로 균형을 유지한다. 불안정한 지점이 통과되어진 후 즉시(도 7 참조), 제 2 고정 마그네트(55a,55b)는 이동 마그네트(53a,53b) 상의 우측에 반발력을 가할 것이며, 상기 반발력은 이동 거리의 증가로 인해 우측으로의 움직임에 따라 그 크기가 줄어든다. 그렇지만, 제 2 고정 마그네트(55a,55b)가 우측으로 이동될 때, 제 1 쌍의 고정 마그네트(57a,57b)의 인력은 증가한다. 이들 자력의 영향 하에서, 마이크로폰 유니트(21)는 도 8에 도시된 작동 위치까지 우측으로 더 밀릴 것이며, 마이크로폰 유니트(21)는 전화기 하우징의 경계부(51)로부터 돌출한다. 도 8에 도시된 위치는 마이크로폰 유니트의 상단부(31)가 가이드(43)의 단부 벽(49)에 기대어져 안착되는 작동 위치이다. 상기는 안정한 위치이며, 그 결과 마이크로폰 유니트(21)는 외부의 힘이 마이크로폰 유니트(21)에 전혀 가해지지 않는 한 도 8의 작동 위치에 남아있다. 마이크로폰 유니트(21)가 예를 들면, 테이블 표면과 같은 고정된 대상물에 기대어져 자유 단부(23)를 밀음에 의해 다시 좌측으로 이동된다면, 전화기 하우징의 경계부(51) 바깥에 위치되는 불안정한 지점(IP)이 통과되어지자 마자, 마이크로폰 유니트는 자체에 작용하는 자력의 영향 하에 도 5에 도시된 안착 위치로 자발적으로 뒤로 이동할 것이다.
최종적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도 9의 참조로 논의될 것이며, 상기 실시예는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의 변경이 고려될 수 있으며 또한 마그네트와 작용한다. 도 9에서, 마이크로폰 유니트(61)는 후부 상에 보여지며 마이크로폰은 하부에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마이크로폰 유니트(61)의 이동 거리의 적어도 일부에 걸치는 안착 위치로부터 상기 마이크로폰 유니트(61)를 이동시키기 위해 제공되는 수동으로 작동 가능한 작동 수단(63)이 있다. 상기 작동 수단은 대략 활 모양(65)의 형태를 갖는 작동 요소를 포함한다. 활 모양(65)은 전화기 하우징을 넘어 돌출하는 상부측에 작동 버튼(67)을 구비한다. 그에 따라서, 전화기의 사용자는 전화기의 바깥측 작동 버튼에 접근한다. 게다가, 상기 활 모양(65)은 전화기 하우징의 내측에 이동 가능하고 측방향으로 돌출하는 가이드 플랜지(71) 및 두 개의 스프링 레그(73)를 갖는 부분(69)을 구비한다. 전체적으로 작동 요소(63)는 적합한 탄성 재료로 만들어지며, 그 결과 스프링 레그(73)는 작동 요소의 나머지 부분과 함께 전체를 형성한다. 이들 스프링은 단부 위치의 방향으로 작동 수단 상에 스프링 탑재를 이루는 스프링 장전식 푸쉬-백 수단을 형성한다.
마이크로폰 유니트(61)와 작동 수단(63)의 둘 다는 전화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발견되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프레임 유니트(75) 내에 슬라이딩되게 및 이동 가능하게 수용된다. 상기 프레임의 자세한 내용은 대부분 본 발명의 관심사가 아니다. 몇몇의 자세한 내용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이해하는데 관심을 갖는 한 단지 논의될 것이다.
마이크로폰 유니트(61)는 마이크로폰 유니트가 프레임 리브의 위로 및 가이드 부재(81)의 아래로 슬라이딩될 수 있는 다수의 측방향으로 돌출하는 가이드 부재(77)를 포함한다. 적당한 멈춤부가 마이크로폰 유니트의 이동 거리를 원하는 이동 거리만큼 제한하기 위해 제공된다. 상기 마이크로폰 유니트가 안착 위치로부터 작동 위치로 이동될 때, 마이크로폰 유니트(61)는 화살표(83)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마이크로폰 유니트(61)는 측부 상에 두 개의 마그네트(85a,85b)를 구비한다.
작동 유니트(63)는 프레임(75) 상에 있는 가이드 부재(87) 하부의 가이드 플랜지(71)로 슬라이딩된다. 두 개의 마그네트(89a,89b)가 활 모양(69)의 하측부 상에 있다. 이들 두 개의 마그네트는 프레임 상에 있는 벽(91)의 외측부를 따라 이동된다. 작동 버튼(67)은 전화기 하우징 내에 제공되는 슬롯에 수용되며, 그 결과 작동 버튼(67)은 활 모양이 단부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슬롯의 단부에 기대어져 안착되는 동시에, 프레임(75)의 벽(93)에 기대어져 미는 스프링 레그(73)에 의해 조기 압축이 가해진다.
프레임(75)은 작동 수단(63)에 대향되는 측부 상에 두 개의 고정 마그네트(95a,95b)를 구비한다. 마그네트(85a,85b; 89a,89b 및 95a,95b)의 자화 방향은 제각기 도 5 내지 도 8의 마그네트(53a,53b; 55a,55b 및 57a,57b)의 자화 방향과 동일하다. 본질적으로, 도 9의 쌍안정 메커니즘의 작동은 기본적인 차이를 갖는 도 5 내지 도 8의 쌍안정 메커니즘의 작동과 동일하지만, 작동 수단(63)에 있는 마그네트(89a,89b)가 마이크로폰 유니트(61)의 이동 거리를 따라 이동할 수 있는데 반해, 도 5 내지 도 8의 상응하는 마그네트(55a,55b)는 고정된다. 마그네트(89a,89b)는 상기 단부 위치로부터 프레임(75)의 단부 벽(93) 방향으로 더 위치되는 작동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전화기가 사용될 때 손으로 작동 버튼을 방향(97)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마그네트(98a,98b)는 또한 방향(97)으로 움직일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의 쌍안정 메커니즘의 확대 논의 후, 이들 마그네트(89a,89b)가 마이크로폰 유니트 상의 마그네트(85a,85b)를 통과하는 방향(97)으로 멀리 이동되는 순간에 메커니즘의 쌍안정 지점이 통과된다는 것은 현재 자명해질 것이다. 상기 마그네트(89a,89b)가 이 지점을 통과한 후, 상기 버튼이 스프링 레그(73)의 영향 하에 다시 단부 위치로 되돌아가도록 비록 작동 버튼(67)이 사용자에 의해 현재 해제된다고 할지라도, 상기 마이크로폰 유니트는 안정한 작동 위치의 방향으로 움직인다.
마이크로폰 유니트의 마그네트(85a,85b)가 작동 수단의 마그네트(89a,89b)를 통과한다는 사실에도 불구하고, 마이크로폰 유니트가 작동 위치로부터 안착 위치로 되돌아갈 때, 상기 스프링 레그(73)의 스프링 운동은 작동 수단(63)이 실제적으로 움직이지 못하도록 유지하는데 충분히 크다.
본 발명이 제한된 수의 실시예를 참조로 논의되어졌다고 할지라도, 본 발명은 결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와 대조적으로, 본 발명은 독립 청구항 1에 언급된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의 어떤 실시예로 확장하며, 따라서 본 발명은 제공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Claims (8)

  1. 전화기 하우징(3),
    상기 전화기 하우징(3)의 내측 후퇴 안착 위치와 소정의 이동 거리에 걸친 운동 경로 내에 이동 가능한 상기 전화기 하우징으로부터 돌출하는 작동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마이크로폰 유니트(15,21)로서, 상기 전화기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는 마이크로폰 유니트의 자유 단부(17;25) 근처에 마이크로폰을 포함하는, 마이크로폰 유니트(15;21), 및
    상기 마이크로폰 유니트(15;21)와 상호 작용하는 메커니즘으로서, 스프링 힘으로 상기 마이크로폰 유니트를 상기 작동 위치로 미는데 적합한 스프링 수단(33)을 구비하는 상기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휴대용 전화기 유니트(1;51)에 있어서,
    상기 메커니즘은 쌍안정(bistable) 메커니즘을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로폰 유니트(15,21)는 상기 안착 위치와 상기 작동 위치의 사이에서 움직이되, 상기 마이크로폰 유니트의 상기 이동 경로를 따라 작용하는, 상기 스프링 수단(33)에 의해 가해지는 스프링 힘의 성분은, 중간의 불안정한 지점(IP)이 통과되어진 후 방향을 바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화기 유니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폰 유니트(21)가 상기 작동 위치로부터 상기 안착 위치로 이동될 때, 상기 불안정한 지점(IP)은 상기 마이크로폰 유니트(21)의 자유 단부(23)가 상기 전화기 하우징(3;51)의 바깥에 정지해 있는 순간에 통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화기 유니트.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기 하우징(3,51)은 마이크로폰 유니트(15,21)와 상호 작용하는 외부의 작동 수단으로부터 자유롭고, 상기 안착 위치로부터 상기 작동 위치로 상기 마이크로폰 유니트를 이동시키기 위해 손으로 작동할 수 있으며,
    상기 마이크로폰 유니트(15,21)의 질량과 상기 스프링 수단(33)의 스프링 힘은 상기 마이크로폰 유니트가 사용자의 손의 움직임으로 상기 안착 위치로부터 상기 작동 위치로 관성력에 의해 이동할 수 있도록 서로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화기 유니트.
  4. 제 1항 내지 제 3항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수단은 일단부(B)에서 상기 전화기 하우징(51)과 맞물리고 타단부(A)에서 상기 이동 가능한 마이크로폰 유니트(21)와 맞물리는 하나 이상의 복귀 스프링(3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화기 유니트.
  5. 제 1항 내지 제 3항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수단은 상기 마이크로폰 유니트(21)와 견고하게 부착되는 이동 가능한 자성 수단(53a,53b), 및 상기 이동 가능한 자성 수단과 상기 전화기 유니트(51)의 또 다른 부품과 상호 작용하는 또 다른 마그네트(55a,55b; 57a,57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화기 유니트.
  6. 제 5항에 있어서, 한 쌍 이상의 이동 가능한 마그네트(53a,53b)가 상기 마이크로폰 유니트(21) 상에 있으며, 상기 마그네트(53a,53b)는 상기 마이크로폰 유니트(21)의 두 측부중의 어느 하나 상에 위치되고 유사한 폴로 서로 배향되는 유사한 쌍에 속하고,
    상기 또 다른 마그네트(55a,55b; 57a,57b)는 한 쌍 이상의 고정 마그네트를 포함하되, 상기 마그네트는 상기 마이크로폰 유니트(21)의 운동 경로의 두 측부중의 어느 하나 상에 위치되고, 유사한 폴로 서로 배향되는 유사 쌍에 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화기 유니트.
  7. 제 6항에 있어서, 두 쌍의 고정 마그네트(55a,55b; 57a,57b)가 있으며,
    제 1 쌍의 고정 마그네트(57a,57b)는 상기 작동 위치에 배향되는 운동(49) 경로의 단부 가까이에 위치되며,
    상기 제 1 쌍의 고정 마그네트(57a,57b)는 상기 이동 가능한 마그네트(55a,55b)의 한 쌍에 대해 인력을 가하고,
    제 2 쌍의 고정 마그네트(55a,55b)는, 상기 마이크로폰 유니트(21)가 상기 안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 1 쌍의 고정 마그네트(57a,57b)의 위치 및 상기 이동 가능한 쌍의 마그네트(55a,55b)의 위치 사이에 놓이는 위치에서 상기 안착 위치에 배향되는 운동(47)의 상기 경로 단부 가까이에 위치되며,
    상기 제 2 쌍의 고정 마그네트(55a,55b)는 상기 이동 가능한 쌍의 마그네트(53a,53b)에 반발력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화기 유니트.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폰 유니트(61)와 상호 작용하는 수동 작동 가능한 작동 수단(63)은 적어도 상기 마이크로폰 유니트(61)의 이동 거리의 일부에 걸친 상기 안착 위치로부터 상기 마이크로폰 유니트(61)를 이동시키기 위해 있으며,
    상기 작동 수단(63)은 상기 전화기 하우징의 바깥으로 확장하는 이동 가능한 부분(67), 및 상기 마이크로폰 요소(61)와 별개의 작동 위치와 단부 위치의 사이로 이동할 수 있는 이동 가능한 작동 요소(65)의 상기 전화기 하우징 내측으로 이동하는 이동 부분(69)을 포함하며,
    상기 작동 수단(63)은 상기 단부 위치의 방향으로 상기 작동 수단(63)에 스프링 힘을 가하는 스프링 장착식 푸쉬-백 수단(73)을 포함하며,
    오직 한 쌍의 이동 마그네트(85a,85b)만이 제 1 쌍의 이동 마그네트를 형성하는 상기 마이크로폰 유니트(61) 상에 있으며,
    상기 또 다른 마그네트는 상기 전화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이동하는 상기 작동 요소(63)의 상기 부분(69)에 고정되게 연결되는 제 2 쌍의 마그네트(89a,89b)를 포함하되, 상기 마그네트(89a,89b)는 상기 마이크로폰 유니트(61)의 상기 두 개의 측부중의 어느 하나 상에 실제적으로 위치되고 유사한 폴로 서로 배향되는 상기 제 2 쌍의 이동 마그네트에 속하며,
    한 쌍의 고정 마그네트(85a,85b)만이 상기 작동 위치에 배향되는 상기 운동 경로의 단부 가까이에 위치되며,
    상기 쌍의 고정 마그네트(95a,95b)는 상기 제 1 쌍 및 상기 제 2 쌍의 이동 마그네트(85a,85b; 89a,89b)의 둘 다에 인력을 가하며,
    상기 마이크로폰 유니트(61)의 상기 안착 위치 및 상기 작동 요소(63)의 상기 단부 위치 내에서 상기 제 2 쌍의 이동 마그네트(89a,89b)는 상기 제 1 쌍의 고정 마그네트(95a,95b)의 위치 및 상기 제 1 쌍의 이동 마그네트(85a,85b)의 위치 사이의 위치에 놓이며,
    상기 작동 위치에서, 상기 제 2 이동 마그네트(89a,89b)는 상기 고정 마그네트(95a,95b)로부터 더 멀리 있는 위치에 놓이며, 그리고
    상기 마이크로폰 유니트(61)의 상기 안착 위치에서, 상기 쌍안정 메커니즘의 상기 불안정한 지점은, 상기 작동 요소(85)가 상기 단부 위치로부터 상기 작동 위치로 이동될 때, 통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화기 유니트.
KR1019997009629A 1998-02-20 1999-02-01 이동 가능한 마이크로폰 유니트를 구비하는 휴대용 전화기 KR2001000653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98400424.2 1998-02-20
EP98400424 1998-02-20
PCT/IB1999/000177 WO1999043135A1 (en) 1998-02-20 1999-02-01 Portable telephone with movable microphone uni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6539A true KR20010006539A (ko) 2001-01-26

Family

ID=8235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9629A KR20010006539A (ko) 1998-02-20 1999-02-01 이동 가능한 마이크로폰 유니트를 구비하는 휴대용 전화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0978188A1 (ko)
JP (1) JP2001520850A (ko)
KR (1) KR20010006539A (ko)
CN (1) CN1263663A (ko)
WO (1) WO19990431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72699B2 (en) 2003-06-19 2010-03-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riving apparatus using magnetic substance for sliding type portable wireless terminal
KR100536939B1 (ko) * 2003-07-11 2005-1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슬라이드 타입 휴대용 단말기
KR100724400B1 (ko) 2003-12-20 2007-06-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석을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드 개폐장치
WO2005091515A1 (en) * 2004-02-10 2005-09-29 Hansang Lee Sliding mechanism apparatus and appliance integrated with the same
CN100521562C (zh) * 2004-07-08 2009-07-29 高科零件有限公司 带滑动组装体的滑动型移动电话和便携电话的滑动组装体
JP2006121221A (ja) * 2004-10-19 2006-05-11 Mitsubishi Electric Corp スライド動作部品および携帯電子装置
KR100619974B1 (ko) * 2004-12-22 2006-09-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지향성 마이크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307164A1 (de) * 1993-03-06 1994-09-08 Constin Design Gmbh Schnurloses, mobiles Telefon
KR0163257B1 (ko) * 1995-07-18 1998-12-01 마종남 개선된 송수화기를 갖는 휴대용 무선전화기
FR2755812A1 (fr) * 1996-11-12 1998-05-15 Philips Electronics Nv Appareil telephonique comportant un microphone a glissie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978188A1 (en) 2000-02-09
CN1263663A (zh) 2000-08-16
JP2001520850A (ja) 2001-10-30
WO1999043135A1 (en) 1999-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84806B2 (en) Sliding module for mobile terminal
KR20050077004A (ko) 휴대단말기슬라이드기구
KR100630193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 모듈
KR100563696B1 (ko)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슬라이드 구조
US7991444B2 (en) Slide mechanism for slide-type portable terminal devices
KR20050044996A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무선 단말기
JP2003125052A (ja) スライド機構
KR100855382B1 (ko) 휴대용 전자기기
KR20010006539A (ko) 이동 가능한 마이크로폰 유니트를 구비하는 휴대용 전화기
KR100451800B1 (ko) 드로어 타입 휴대전화기
CN100417034C (zh) 用于滑动型便携式无线终端的使用磁性材料的驱动装置
KR20020088214A (ko) 슬라이드 모듈이 적용된 휴대폰 단말기
KR20000014986A (ko) 플립형 무선 단말기의 커버 개폐장치
JPH0832088B2 (ja) 折畳み式携帯電話機
KR100606376B1 (ko) 슬라이딩방식 이동통신 단말기의 슬라이딩 가이드장치
KR20070099154A (ko) 슬라이드 앤 스윙 타입 휴대폰의 스윙 제어장치
KR200376765Y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 모듈
KR200346612Y1 (ko) 슬라이딩 타입의 휴대폰
US7499266B2 (en) Sliding-type portable terminal
KR100661572B1 (ko)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의 슬라이드모듈
JPH0522390A (ja) 小物固定装置
KR100617740B1 (ko) 슬라이딩-업 타입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 및 그 락킹 장치
KR200244598Y1 (ko) 슬라이드 모듈이 적용된 휴대폰 단말기
JP2010088119A (ja) スライド装置用スプリングモジュール
KR20060031729A (ko)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슬라이드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