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6096A - 조절기 - Google Patents

조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6096A
KR20010006096A KR1019997009174A KR19997009174A KR20010006096A KR 20010006096 A KR20010006096 A KR 20010006096A KR 1019997009174 A KR1019997009174 A KR 1019997009174A KR 19997009174 A KR19997009174 A KR 19997009174A KR 20010006096 A KR20010006096 A KR 200100060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ing
spherical
adjustment
regulator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9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마스 솨에퍼
디르크 잔더솨에퍼
Original Assignee
클라우스 포스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게오르그 뮐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클라우스 포스,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게오르그 뮐러 filed Critical 클라우스 포스
Publication of KR200100060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6096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3Mice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9Trackba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08Operating part movable both angularly and rectilinearly, the rectilinear movement being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angular mov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단한 조작이 가능한 전기 장치의 조절기(1)에 관한 것이다. 이 조절기(1)는 구형 조절 부품(5)을 포함한다. 구형 조절 부품(5)은 표면(10)상에 오목부(15)를 갖는다. 유지 장치(20)상에는 스토핑 부품(25, 30, 35, 40)들이 제공되며, 이 스토핑 부품들은 오목부(15)에 맞물려 유지될 수 있다. 구형 조절 부품(5)은 유지 장치(20)내에서 스토핑 부품(25, 30, 35, 40)들을 통하여 지지된다.

Description

조절기{OPERATING DEVICE}
컴퓨터용으로서, 소위 컴퓨터 마우스내에 구형 조절 부품을 갖는 조절기가 이미 공지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컴퓨터 마우스내의 구형 조절 부품은 실질적으로 매끄러운 표면을 갖는다.
본 발명은 독립항의 종류에 따른 조절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면에 도시되며 이하의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절기를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절기를 도시한 정면도.
독립항의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조절기는, 사용자가 조작시 양호한 촉각적 신호 응답을 유지하며, 한편, 사용자가 수동 조작시 오목부와, 이 오목부내에서 스토핑 부품과 맞물림을 느낄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조절 부품과의 접촉에 대한 관심을 필요로 하지 않고도, 조작을 통하여 얻어진 구형 조절 부품의 운동 방향과 크기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특히 구형 조절 부품의 우수한 인체공학적 설계를 통하여 푸시 버튼으로 형성되며, 본 발명에 따른 조절기를 사용하므로써, 조절하고자 하는 조작기능의 변화의 정도에 대한 촉각적 반응을 조정하지 못하는 조절기인 경우에 발생되는 것과 같은 오류조작이 방지된다. 따라서, 조작을 위하여 사용자의 관심있는 조작을 필요로 하지 않고 도로 교통에만 절대적으로 전념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조절기는, 특히 자동차 라디오에서 사용하기 적합하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조절기는, 특히 매우 뛰어난 촉각을 가진 맹인들에게도 적합하다.
오목부내에 맞물려 유지될 수 있는 스토핑 부품을 통하여, 구형 조절 부품의 운동 및 회전시 한쪽 정지 위치로부터 다른쪽 정치 위치까지 자정(自精)작용효과가 이루어지며, 그 결과 조절 부품의 오염이 방지된다.
종속항에 기재된 대책을 통하여, 독립항에 주어진 조절기의 다른 바람직한 구조와 개선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스토핑 부품은 압축 접촉부로서 형성된다. 이로써, 조절기는, 예를 들면 조절기능의 조정뿐만 아니라 이 조정의 조작이나 다른 조절기능의 작동에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조절기의 기능은 향상된다.
도 1에 도면부호 1로 표시된 조절기는, 예를 들어 자동차 라디오의 스피커 음향을 여러 가지로 조절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조절기(1)는 구형 조절 부품(5)을 포함한다. 구형 조절 부품(5)의 표면(10)에는, 도 2에서도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구형 단면을 갖는 각각 거의 동일한 형태의 오목부(15)가 완전하게 제공된다. 상호 대향된 양 측면으로부터, 제 1 스토핑 볼(160)과 제 2 스토핑 볼(165)이 구형 조절 부품(5)의 오목부(15)에 각각 맞물려 유지된다. 이때, 제 1 스토핑 볼(160)은 제 1 스토핑 볼트(45)의 제 1 반구형 홀더(175)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제 2 스토핑 볼(165)은 제 2 스토핑 볼트(50)의 제 2 반구형 홀더(18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때, 제 1 스토핑 볼트(45)와 제 1 스토핑 볼(160)은 제 1 스토핑 부품(25)에 속하며, 제 2 스토핑 볼트(50)와 제 2 스토핑 볼(165)은 제 2 스토핑 부품(30)에 속한다. 제 1 스토핑 볼트(45)는 제 1 스프링(65)을 통하여 구형 조절 부품(5)의 상응하는 오목부(15)로 압축된다. 또한, 제 2 스토핑 볼트(50)는 제 2 스프링(70)을 통하여 구형 조절 부품(5)의 상응하는 오목부에 압축된다. 이때, 제 1 스프링(65)은 제 1 스토핑 볼트(45)로부터 이격된 제 1 스프링의 단부에서 조절기(1)의 유지 장치(20)의 제 1 벽(85)과 접촉한다. 제 2 스프링(70)은 제 2 스토핑 볼트(50)로부터 이격된 제 2 스프링의 단부에서 유지 장치(20)의 제 2 벽(90)과 접촉한다. 제 1 스토핑 볼트(45)와 제 1 스토핑 스프링(65)은 파이프 형상의 제 1 안내부(100)에서 안내된다. 제 2 스토핑 볼트(50)와 제 2 스프링(70)은 파이프 형상의 제 2 안내부(105)에서 안내된다. 구형 조절 부품(5)은 서로 마주하는 조절기(1)의 양 벽(85, 90)들 사이에 위치한다. 조절기(1)의 양 벽(85, 90)들은 이 양 벽(85, 90)들에 대해 수직한 유지 장치(20)의 제 3 벽(95)을 통하여 서로 결합된다. 구형 조절 부품(5)의 오목부(15)에서 양 스토핑 볼트(45, 50)에 대해 수직하게 제 3 스토핑 볼(170)이 맞물릴 수 있다. 이때, 제 3 스토핑 볼(170)은 제 3 스토핑 볼트(55)의 제 3 반구형 홀더(185)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때, 제 3 스토핑 볼트(55)는 제 3 스프링(75)을 통하여 구형 조절 부품(5)의 상응하는 오목부(15)로 압축되며, 여기서 제 3 스프링(75)은 제 3 스토핑 볼트(55)로부터 이격된 제 3 스프링의 측면에서 제 3 벽(95)과 접촉한다. 제 3 스토핑 볼트(55)는 제 3 스프링(75)을 향하는 제 3 스토핑 볼트의 측면에서 제 3 벽(95)내로 돌출하는 연장부(120)를 갖는다. 이 연장부(120)를 통하여 제 3 벽(95)에 존재하는 압축 접촉부(125)가 작동될 수 있다. 제 3 스토핑 볼트(55), 연장부(120), 제 3 스프링(75)은 제 3 파이프형 안내부(110)에서 안내된다. 제 1 파이프형 안내부(100)는 제 1 벽(85)에, 제 2 파이프형 안내부(105)는 제 2 벽(90)에, 제 3 파이프형 안내부(110)는 제 3 벽(95)에 고정된다. 제 3 벽(95)과 마주하는 쪽에서, 제 1 벽(85)과 제 2 벽(90)이 구형 조절 부품(5)의 영역에서 관통구(135)를 갖는 조절 프런트(130)를 통하여 상호 결합되며, 이 관통구를 통하여 구형 조절 부품(5)의 일부가 조절기(1)로부터, 더 정확히 말해서, 조절기(1)의 조절 프런트(130)로부터 돌출된다. 조절 프런트(130)로부터 돌출된 구형 조절 부품(5)의 이 부분은 사용자를 위해 마련된 것이다.
제 1 스토핑 부품(25)은 제 1 스토핑 볼(160), 제 1 스토핑 볼트(45), 제 1 스프링(65), 제 1 파이프형 안내부(100)를 포함한다. 제 2 스토핑 부품(30)은 제 1 스토핑 볼(165), 제 2 스토핑 볼트(50), 제 2 스프링(70), 제 2 파이프형 안내부(105)를 포함한다. 제 3 스토핑 부품(35)은 제 3 스토핑 볼(170), 제 3 스토핑 볼트(55), 제 3 스프링(75), 연장부(120), 압축 접촉부(125)를 포함한다. 3개의 스토핑 부품(25, 30, 35)은 조절 프런트(130)와 제 3 벽(95) 사이에, 그리고 제 1 벽(85)과 제 2 벽(90) 사이에 존재한다.
도 2는 구형 조절 부품(5), 제 1 스토핑 부품(25), 제 2 스토핑 부품(30)의 정면도이다. 여기서 동일 부품은 동일 도면부호로 각각 표시한다. 도 2에는 구형 조절 부품(5)의 구형 횡단면과 동축이지만, 이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제 1 점선 표시 원(140)이 도시되며, 이 원의 안쪽은 조절 프런트(130)로 덮히지 않는 부분으로서, 다시 말해서 관통구(135)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이며, 이 원(140)의 안쪽에 놓인 구형 조절 부품(5)의 일부를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마련되어 있다. 제 1 스토핑 부품(25)과 제 2 스토핑 부품(30)은 사용자가 볼 때, 다시 말해서 도 2의 도면에서 적도(145) 위쪽에서 동일 높이로 상호 마주하여 배치된다. 간략한 도시를 위하여, 제 1 스토핑 부품(25)과 제 2 스토핑 부품(30)은 도 2에서 화살표로 도시한다. 이때, 제 1 스토핑 부품(25)과 제 2 스토핑 부품(30)은 120o의 각도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구형 조절 부품(5)의 오목부(15)에는, 적도(145)에 수직하게 그리고 제 1 스토핑 부품(25)과 제 2 스토핑 부품(30)에 대해 120o의 각도로 제 4 스토핑 부품(40)이 맞물려 유지된다. 이때, 제 4 스토핑 부품(40)은 제 1 스토핑 부품(25) 및 제 2 스토핑 부품(30)의 구조와 동일하다. 이때, 제 4 스토핑 부품(40)은 도 2에 점선으로 표시되며 제 1 스토핑 부품(25)과 제 2 스토핑 부품(30)의 중간에서 적도(145)와 수직하게 연장된 선(155)상에 거의 비슷하게 위치한다. 제 4 스토핑 부품(40)은 제 4 벽(150)에 고정된다. 도 2에서 제 1 점선 표시 원(140)의 직경보다 크고 구형 조절 부품(5)의 직경보다 작은 제 2 점선 표시 원(190)이 표시된다. 제 2 점선 표시원(190)은 제 1 스토핑 부품(25), 제 2 스토핑 부품(30), 제 4 스토핑 부품(40)의 스토핑 볼이 구형 조절 부품(5)의 상응하는 오목부(15)에 맞물려 유지될 수 있는 지점을 표시한다. 이때, 제 1 스토핑 부품(25), 제 2 스토핑 부품(30), 제 4 스토핑 부품(40) 모두는 조절 프런트(130)에 평행한 동일 평면에 놓인다. 따라서, 제 2 점선 표시 원(190)은 상기 동일 평면과 구형 조절 부품(5)의 교차면을 표시한다.
구형 조절 부품(5)은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사용자는 하나 이상의 손가락을 조절 프런트(130) 위에서 구형 조절 부품(5)의 가까운 위치에 접촉하며, 이것은 오목부(15)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매우 간단하게 수행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구형 조절 부품(5)을 임의의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으며, 이때 스토핑 부품(25, 30, 35, 40)들의 스토핑 볼은 먼저, 스토핑 부품(25, 30, 35, 40)들의 스프링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상응하는 오목부(15)로부터 빠져 나와, 그후 조절 과정의 종료후에 구형 조절 부품(5)의 새로운 오목부에 맞물려 유지된다. 상기와 같이 빠져 나오는 과정과 맞물리는 과정은 스토핑 볼의 반경이 오목부(15)의 반경보다 더 크게 선택될 때만 가능하다.
구형 조절 부품(5)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해서 적어도 3개의 조절 부품이 필요하다. 제 4 조절 부품을 사용함으로써, 구형 조절 부품(5)의 회전 가능한 지지를 유지 장치(20)내의 스토핑 부품들에 추가하여 보조한다. 이 스토핑 부품(25, 30, 40)들의 지지점을 통과하는 제 2 점선 표시 원(190)의 직경이 구형 조절 부품(5)의 직경보다 더 작으며, 제 1 스토핑 부품(25), 제 2 스토핑 부품(30), 제 4 스토핑 부품(40)으로 이루어진 평면과, 제 3 스토핑 부품(35) 사이에 구형 조절 부품(5)의 중심점이 놓이기 때문에, 이러한 제 1 스토핑 부품(25), 제 2 스토핑 부품(30), 제 4 스토핑 부품(40)의 배치를 통하여 구형 조절 부품(5)은 이탈이 방지된다.
회전 운동에 추가하여, 또한, 사용자는 구형 조절 부품(5)을 조절 프런트(130)에 대해 수직하게 유지 장치(20)의 방향으로 압착할 수 있으며, 이로써 압착 접촉부(125)는 제 3 스토핑 볼트(55)의 연장부(120)를 통해 제 3 스프링(75)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작동할 수 있다. 구형 조절 부품(5)이 단지 회전 운동만 하는 경우에, 압축 접촉부(125)의 작동과 이 작동에 따른 제 3 스토핑 볼트(55)의 상응하는 압축 운동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연장부(120)와 압축 접촉부(125) 사이의 거리는 충분히 크게 선택되어야 하며 제 3 스프링(75)의 스프링 상수는 최소값으로 선택되어야 한다. 압축 접촉부(125)를 작동하는 경우에는 구형 조절 부품(5)의 순수 회전 운동과 비교하여 제 3 스프링(75)에 대항하는 상승된 압축력이 필요하다.
오목부(15)가 구형 조절 부품(5)의 표면(10)상에서 완전히 균등하게 분포되기 때문에, 구형 조절 부품(5)의 회전을 통하여 조절기능의 3차원 조정이 임의의 방향으로 실시된다. 사용자의 촉각 신호 응답은 구형 조절 부품(5)의 회전시 표면 구조에 대해 4개의 스토핑 부품(25, 30, 35, 40) 모두가 동시에 맞물리기 때문에 가능하다. 이때, 각 단계의 스토핑은 전기 기계학적 또는 전기 광학적으로 기록되며, 전기적 증폭 신호로서 기록된다. 또한, 압축 접촉부(125)의 작동을 통하여 전문가들에게 알려진 방식으로 전기 접속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여기서는 간단한 도시를 위하여 도 1에 압축 접촉부(125)만을 도시한다. 또한 스토핑의 전기 기계학적 또는 전기 광학적 기록도 전문가에게 알려진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전기 기계학적인 방식으로는 컴퓨터 마우스에서처럼 롤러가 사용되며, 조절기능을 위해 조정에 필요한 차원에 따라 상기 롤러의 상응하는 개수와 배치가 제공되어야 한다. 3차원 조정을 위하여, 구형 조절 부품(5)의 3개의 조정면과 회전 방향을 위한 상응하는 3개의 롤러가 필요하다. 2차원 조정에 있어서, 예를 들어 구형 조절 부품(5)이 수평 및 수직하게 회전 운동하지만 조절 프런트(130)에 수직한 축 주위에서는 회전 운동하지 않는 2차원 조정에 있어서는, 두 개의 롤러가 상응하게 배치되어 구형 조절 부품(5)의 상응하는 운동을 충분히 탐지한다. 또한, 1차원에 대해서는 하나의 롤러만이 고려될 수 있다.
이때 롤러들은 구형 조절 부품(5)상에 각각 배치되어 구형 조절 부품(5)이 운동할 때 상응하게 회전된다.
구형 조절 부품(5)의 회전을 전기 광학적으로 탐지할 때, 상응하는 조절기능을 위해 조정에 필요한 차원에 따라 조절기(1)내에 광원의 상응하는 개수와 배치의 제공을 고려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광원의 광은 구형 조절 부품(5)상에 조사되어 구형 조절 부품의 표면(10) 또는 오목부(15)상의 충돌지점에 따라 상이하게 반사되며, 또한 조절기(1)내에 배치된 광 수신기에 의해 상이한 강도로 수신되며, 그 결과 광 수신기에 의해 수신된 강도를 비교하여 회전 방향과 회전 운동의 루트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회전 운동의 루트는 스토핑 부품(25, 30, 35, 40)들을 통하여 직접 산출될 수도 있으며, 이와 동시에 회전 운동시 발생된 각 스토핑 부품(25, 30, 35, 40)들의 스토핑 회수도 간단히 산출된다.
구형 조절 부품(5)을 통한 조절기능의 2차원 조정을 위한 일례로서, 다음에 자동차 라디오의 음량 조정에 관해서 설명한다. 예를 들어 구형 조절 부품(5)을 왼쪽으로 회전시켜 제 1 스피커의 음량을 줄이고 구형 조절 부품(5)을 오른쪽으로 회전시켜 제 1 스피커의 음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구형 조절 부품(5)을 아래쪽으로 회전시켜 제 2 스피커의 음량을 줄이고 구형 조절 부품(5)을 위쪽으로 회전시켜 제 2 스피커의 음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절기(1)는 일반적으로 임의의 전기 장치, 예를 들어 TV 수상기, 세탁기와 같은 가정용 기기, 송풍기 등에서 임의의 조절기능의 조정에 적합하다.

Claims (5)

  1. 구형 조절 부품(5)을 구비한 전기 장치의 조절기(1)에 있어서,
    상기 구형 조절 부품(5)은 표면(10)상에 오목부(15)를 가지며,
    상기 오목부(15)와 맞물려 유지될 수 있는 스토핑 부품(25, 30, 35, 40)들이 유지 장치(20)에 제공되며,
    상기 구형 조절 부품(5)은 유지 장치(20)내에서 스토핑 부품(25, 30, 35, 40)들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핑 부품(25, 30, 35, 40)들 중 적어도 하나는 압축 접촉부(12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핑 부품(25, 30, 35, 40)들은 스토핑 볼트(45, 50, 55)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오목부(15)내에 맞물려 유지될 수 있는 스토핑 볼(160, 165, 170)을 각각 가지며,
    상기 스토핑 볼(160, 165, 170)들의 반경은 오목부(15)의 반경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스토핑 볼트(45, 50, 55)는 유지 장치(20)의 벽(85, 90, 95, 150)과 탄성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접촉부(125)는 주로 하나 이상의 스토핑 부품(35)의 스토핑 볼트(55)의 연장부(120)에 의해 조작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기.
KR1019997009174A 1997-05-30 1998-02-18 조절기 KR2001000609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722505A DE19722505A1 (de) 1997-05-30 1997-05-30 Bedienvorrichtung
DE19722505.5 1997-05-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6096A true KR20010006096A (ko) 2001-01-26

Family

ID=7830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9174A KR20010006096A (ko) 1997-05-30 1998-02-18 조절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0983573B1 (ko)
JP (1) JP2002502544A (ko)
KR (1) KR20010006096A (ko)
DE (2) DE19722505A1 (ko)
WO (1) WO199805467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26596A1 (de) 1999-06-11 2000-12-14 Bosch Gmbh Robert Bedienelement
US6480185B1 (en) * 1999-07-28 2002-11-12 Nokia Mobile Phones Limited Electronic device with trackball user input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322640D0 (en) * 1983-08-23 1983-09-28 Burgess Micro Switch Co Ltd Manuallyoperable control mechanism
KR940022342A (ko) * 1993-03-19 1994-10-20 탁승호 컴팩트 마우스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2502544A (ja) 2002-01-22
EP0983573A1 (de) 2000-03-08
WO1998054670A1 (de) 1998-12-03
DE59805116D1 (de) 2002-09-12
EP0983573B1 (de) 2002-08-07
DE19722505A1 (de) 1998-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78019A (en) Trackball device
US7199785B2 (en) Input device including a wheel assembly for scrolling an image in multiple directions
US6075518A (en) Rotational X-axis pointing device
US10073489B2 (en) Rolling return to neutral depressable control
CA1227552A (en) X-y input device
JP2004087290A (ja) 多方向入力装置
US6160537A (en) Computer joystick for moving an object in three dimensions
US8125450B2 (en) Operating device for vehicle
JP2015005394A (ja) 操作装置
KR20010006096A (ko) 조절기
KR19990009118U (ko) 마우스장치
JPH10320115A (ja) トラックボール
JP2008041317A (ja) 揺動操作型入力装置
JP2880492B1 (ja) 座標入力装置
US20030080936A1 (en) Keyless pointer input device
JP3108258B2 (ja) X−y方向入力装置
JP2001084098A (ja) 入力装置
JP2003256132A (ja) スクロール機能付きマウス
JP2004246451A (ja) トラックボール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H09319513A (ja) 位置指示装置
CN113934309A (zh) 滚轮鼠标
KR200178890Y1 (ko) 버튼에 의해 방향이 조절되는 컴퓨터 마우스
JPH11134111A (ja) 三次元マウスのz軸座標入力機構
KR200189230Y1 (ko) 마우스의 제3-축 입력장치의 클램핑 장치
JPH10333823A (ja) トラックボールを用いた座標入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