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5886A - 광섬유 소자를 광원 시스템에 장착하기 위한 스냅-인 프록시멀 코넥터 - Google Patents

광섬유 소자를 광원 시스템에 장착하기 위한 스냅-인 프록시멀 코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5886A
KR20010005886A KR1019997008962A KR19997008962A KR20010005886A KR 20010005886 A KR20010005886 A KR 20010005886A KR 1019997008962 A KR1019997008962 A KR 1019997008962A KR 19997008962 A KR19997008962 A KR 19997008962A KR 20010005886 A KR20010005886 A KR 200100058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ber
light source
ferrule
light
fiber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89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롤러토마스더블유.
Original Assignee
브래너 더글라스 엠
코전트 라이트 테크놀러지즈,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래너 더글라스 엠, 코전트 라이트 테크놀러지즈,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브래너 더글라스 엠
Publication of KR200100058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5886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9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astening connecting plugs and sockets, e.g. screw- or nut-lock, snap-in, bayonet type
    • G02B6/3893Push-pull type, e.g. snap-in, push-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96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coupling with sources of high radiant energy, e.g. high power lasers, high temperature light sour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33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 G02B6/3834Means for centering or aligning the light guide within the ferrule
    • G02B6/3838Means for centering or aligning the light guide within the ferrule using grooves for light guid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69Mounting ferrules to connector body, i.e. plu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9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the light guide being disconnectable from the opto-electronic element, e.g. mutually self aligning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Couplings Of Light Guides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프록시멀 코넥터는 광섬유 소자의 프록시멀 끝단을 감싸는 스테인레스 스틸로된 원추-모양 페룰을 포함한다. 페룰은 역시 스테인레스 스틸로 만들어진 수취 블록의 맞는 구멍안에 삽입된다. 페룰과 수취 블록 구멍의 맞는 모양은 페룰로부터 수취 블록으로의 효과적인 열 전달을 보장한다. 페룰과 구멍 모두는, 프록시멀 코넥터가 수취 블록안에 삽입되어 있는 동안 코넥터의 어떤 회전도 광 섬유 소자의 입구의 위치를 바꾸지 않도록 축 대칭적이다. 프록시멀 코넥터는 또한 움푹 들어간 링을 가진 케이스를 포함한다. 볼 플런저 바이어싱 구조는 수취 블록의 구멍안에 탑재되고 프록시멀 코넥터가 완전히 안전하게 구멍안에 삽입될 때에만 움푹 들어간 링과 맞물리도록 놓여진다. 플런저는 프록시멀 코넥터의 우연한 제거를 방지하는 한편 원추-모양 페룰과 수취 블록의 해당 부분 사이의 단단한 접촉을 보장하여 열 전도를 더 도모하도록 하기위한 바이어싱 힘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광섬유 소자를 광원 시스템에 장착하기 위한 스냅-인 프록시멀 코넥터 {Snap-in proximal connector for mounting an optic fiber element into a light source system}
아아크 램프(arc lamp)와 같은 고강도(high intensity) 광원로부터의 광을 광섬유 다발이나 단일 광섬유에 결합시키기 위한 다양한 광원 시스템들이 개발되어져 왔다. 광 다발 또는 단일 광섬유에 결합되는 광은, 예를 들어 수술 조명, 헤드램프, 내시경 또는 보어스코프(borescope)로의 용도와 같은 의료적 조명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단일 광섬유나 광섬유 다발의 근접단(proximal end)은, 광원을 포함하는 하우징내의 슬롯 또는 구멍(aperture)에 삽입되기 위한 프록시멀 코넥터안에 장착된다. 단일 광섬유나 광섬유 다발의 원접단(distal end)은 응용기기, 즉 수술 조명, 내시경등에 접속된다. 보통, 프록시멀 코넥터는 광원 시스템으로부터 탈착되도록 만들어진다. 이는, 의료적 헤드램프를 사용하는 의사와 같은 응용 기기를 동작시키는 사람이 자유로운 이동성을 가질 수 있게 허용하는데, 그렇지 않으면 광섬유 또는 광섬유 다발이 광원 시스템에 접속되는 동안에는 방해를 받을 수도 있을 것이다. 착탈 가능한 프록시멀 코넥터의 제공은 또한 단일 광원 시스템이, 각각 해당 프록시멀 코넥터를 갖는 여러개의 서로 다른 응용 장치들에 대해 광을 제공하는데 사용됨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많은 통상적인 프록시멀 코넥터들, 특히 단일 광섬유와 함께 사용되도록 된 것들에 있어서 문제점들이 제기된다. 단일 섬유들은 프록시멀 코넥터에 의해 보유된 단일 광섬유의 구멍 입구위로 향하게 될 고강도 광을 필요로한다. 단일 광섬유를 위한 통상적인 프록시멀 코넥터는 일반적으로 열이 문제가 되지 않는 실리카 광섬유를 지원한다. 광섬유의 재료가 열 손상되기 쉬우면, 열을 제거하는 방법이 연속되는 동작을 보증하기 위해 필요하게 된다. 폴리머 클래딩을 갖는 실리카 광섬유에 있어서, 통상적 코넥터의 과잉 열이 클래딩을 파괴시킬 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치유하기 위해, 몇몇 이전의 광원 시스템들은 단일 광섬유의 근접 구멍 입구(proximal entrance aperture)를 프록시멀 코넥터 자체로부터 다소 멀리 떨어뜨려 위치시켜왔다. 그러면 고강도 광은 프록시멀 코넥터 자체로부터 떨어져 있는 단일 광섬유의 구멍 입구에 집중된다. 그러므로, 프록시멀 코넥터는 그다지 크게 열을 받지 않는다. 그러나, 단일 광섬유의 구멍 입구가 프록시멀 코넥터로부터 뻗어 나오기 때문에, 광섬유는 보호되지 못하고 광원 시스템으로부터 분리 후 쉽게 망가지거나 그렇지 않으면 손상될 것이다.
최소한 한개의 프록시멀 코넥터는 광섬유를 보호하도록 만들어진, 활주(slidable) 하우징을 포함한다. 코넥터가 광원 시스템에 탑재될 때 하우징은 단일 광섬유가 빛을 수광할 수 있게 끌어 넣는다. 코넥터가 광원 시스템으로부터 분리될 때 활주 하우징은 바깥방향으로 미끄러져 광섬유를 감싸서 보호한다. 예를들어, 1994년 5월 5일 출원되어 "광섬유의 노출된 끝단을 보호하기 위한 차폐물 및 장치를 구비한 광섬유 코넥터" 라 제목 붙여진, 미국 특허 출원 08/238,589를 보라. 그러한 구성이 광섬유의 근접단을 보호하는 한편 열 관련된 문제들까지도 최소화시킴에도 불구하고, 그러한 것은 손상당하거나 고장나기 쉬운 다수의 이동하는 부품들을 구비한 복잡한 프록시멀 코넥터를 필요로하는 댓가를 치르고 성취된다.
코넥터 자체를 너머서 뻗어나가는 광섬유를 구비한 프록시멀 코넥터들에서 그외의 다른 문제들이 발생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단일 광섬유들은 광섬유를 코넥터 너머로 뻗어나가게 함으로써 복잡해진 광원 시스템의 광 성분들과 관련하여 광섬유의 구멍 입구의 정밀한 위치 정하기를 필요로 한다. 또한, 프록시멀 코넥터들 너머로 쭉 뻗어나온 광섬유들등을 연마하는 것은 어렵고도, 제조되기 쉽지 않다.
상술한 통상적인 프록시멀 코넥터들의 단점을 피한 개선된 프록시멀 코넥터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러한 목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도출된다.
본 출원은 1995년 7월 14일 출원된, 미국 시리얼 번호 08/502,068호의 일부 계속 출원(continuation-in-part)이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광을 단일 광섬유 또는 광다발에 결합시키는 광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단일 광섬유 또는 광다발을 광원 시스템의 하우징에 접속하는 코넥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광원 시스템으로부터 단일 광섬유로의 빛을 의료 조명 장치에 공급하는 의료 조명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2는 도 1의 광섬유의 프록시멀 코넥터와 도 1의 광원 시스템의 하우징 영역의 부분적 횡단면의 측면도이다.
도 3은 수취 블록의 구멍안에 완전히 삽입된 프록시멀 코넥터와 함께 도시된 도 2의 소자들의 부분적 횡단면의 측면도이다.
도 4는 점선으로된 내부 구성성분을 보이는 특정 프록시멀 코넥터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록시멀 코넥터의 다른 실시예의 횡단면도이다.
단일 광섬유 또는 광섬유 다발과 같은 광섬유 소자를 광원 시스템의 하우징에 접속하기 위한 프록시멀 코넥터가 제공된다. 프록시멀 코넥터는 배치 및 열 억제(heat sinking) 둘 모두를 위해 고안된 단일 광섬유의 근접단 주변에 장착된 원추 모양의 페룰(ferrule)을 포함한다. 원추-모양 페룰은 하우징의 수취 블록내 원추 모양 슬롯 또는 구멍안에 장착하기 위해 크기 및 모양이 맞춰진다. 삽입될 때, 원추-모양 페룰의 바깥 쪽 측벽은 수취 블록의 안쪽 측벽에 대해 꼭맞게 놓여진다. 고강도 광은 단일 광섬유의 근접단의 구멍 입구 안으로 진행된다. 구멍 입구는 원추-모양 페룰의 잘려진 끝단과 함께 정렬된다.
원추-모양 페룰 및 수취 블록은 모두 높은 열전도도를 가지는 스테인레스 스틸 또는 다른 금속 또는 합금으로 이뤄진다. 이에 따라, 고강도 광으로부터 원추-모양 페룰내에서 발생된 어떤 열이라도 하우징의 수취 블록으로 전도되어 원추-모양 페룰 및 그안에 둘러싸인 단일 광섬유를 시원하게 유지한다. 설명한 바와 같이, 광섬유는 원추-모양 페룰의 잘려진 단으로부터 뻗어 나가지 않으며, 거기와 같은 높이로 놓인다. 따라서, 하우징으로부터 제거될 때, 광섬유 소자는 원추-모양 페룰에 의해 가능한 손상으로부터 보호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활주 외부 하우징을 갖는 상술한 종류와 같은 복잡하고 비싼 장착 기구를 필요로 하지 않고도 열 문제와 파손 문제가 모두 본질적으로 제거된다. 또한, 광섬유의 구멍 입구는 그것이 페룰안에서 보호되기 때문에 연마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수취 블록은 스프링이 탑재된(spring-loaded) 볼 플런저(plunger)를 포함하여 페룰이 수취 블록의 구멍안에 꼭 맞게 장착되는것을 보장한다. 페룰은 움푹 들어간 링을 포함하는 케이스에 장착된다. 볼 플런저 및 움푹 들어간 링은, 페룰이 구멍안에 완전히 삽입될 때에만 볼 플런저가 움푹 들어간 링안에 놓여지도록 상대적으로 위치된다. 그렇게 맞물릴 때, 볼 플런저는 페룰이 구멍으로부터 밖으로 미끄러져 나오는 것을 방지한다. 볼 플런저는 충분한 수동적 힘이 볼 플런저가 결합해제되도록 가해질 때까지 제 자리에서 페룰을 보유한다. 페룰을 제자리에 보유함으로써, 페룰의 삽입 방향을 따라 단일 광섬유 구멍 입구의 측면 정렬이 보장된다.
원추-모양 페룰 및 그 짝이 되는 수취 블록의 구멍 모두, 길이 방향 정렬이 역시 보장되도록 축에 대해 대칭적이 된다. 다른 한편, 구멍안의 페룰의 회전은 광섬유 구멍 입구의 어떠한 변위도 야기하지 않으면서 단지 광섬유를 약간 회전시키며, 그러한 것 자체가 축에 대해 대칭적인 것이다. 따라서, 설명된 종류의 배치 문제 또한 피할 수 있다.
따라서, 통상의 프록시멀 코넥터의 상술한 문제들은 본 발명의 단순한 원추-모양 페룰을 채용함으로써 없어질 수 있다. 또한, 어떠한 이동 부품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프록시멀 코넥터의 가격이 최소화된다. 그 결과의 프록시멀 코넥터는 단순하게, 신뢰성있고 쉽게 가공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술한 일반적 목적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장점 및 특징은 이하의 설명 및 여기에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이하 설명될 것이다. 이들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원리를 나타내며 본 발명의 한정적인 범주로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예를 들어, 단일 광섬유(14)를 통해 광원 시스템(16)에 접속된 의료 장치(12)를 포함하는 조명 시스템(10)을 도시한다. 의료 장치(12)는 수술 헤드램프, 수술 조명, 내시경, 보어스코프(borescope)등이 될 수 있다. 광원 시스템(16)은 금속 할로겐 또는 크세논(xenon) 아아크 램프와 같은 고강도 광원(18) 및 광원(18)으로부터 빛을 모아 응축하기 위한 광 시스템(20)을 포함한다. 광 시스템(20)은 예를들어, 미국 특허 4,757,431에서 나타낸 소스(source) 시스템에 의해 구성된, 거울들과 같은 한 개 이상의 광 소자들을 포함한다.
광섬유(14)는 광원 시스템(16)의 하우징의 수취 블록에 형성된 구멍으로 '짤깍하고 걸리게(snap)' 삽입되도록 형성된 프록시멀 코넥터(22)를 포함한다. 프록시멀 코넥터(22) 및 그것이 삽입될 수취 블록이 나머지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하 설명될 것이다.
도 2는 광원 시스템(16) 하우징(28)의 수취 블록(26)의 구멍(24)안쪽으로 삽입되기에 앞서 놓여진 프록시멀 코넥터(22)의 측면도를 제공한다. 프록시멀 코넥터(22)는 구멍(24)의 내부 윤곽에 걸맞는 3차원 대칭 윤곽을 구비한다. 보다 상세하게, 프록시멀 코넥터(22)는 원통형 베이스 부분(31)과 절단된 끝단(33)을 갖춘 끝이 가늘어지는 원추-모양 팁(32)을 구비하는 스테인레스 스틸 페룰(30)을 포함한다. 베이스 부분(31)은, 실질적으로 직원통형이나 끝이 가늘게 잘려진 부분(38)으로부터 거리 차를 두고 놓여지는 움푹 들어간 링(36)을 포함하는 케이스(34)안에 장착된다. 광섬유(14)는 케이스(34)와 페룰(30)내 안쪽 구멍안에 보유된다. 광섬유(14)의 구멍 입구(40)는 페룰(30)의 앞이 절단된 끝단(33)과 같은 높이로 놓여진다.
설명한 바와 같이, 프록시멀 코넥터의 윤곽은 구멍(24)의 안쪽 윤곽에 맞춰진다. 즉, 구멍(24)은 프록시멀 코넥터의 해당 부분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 및 모양을 가지는 원통형 및 원추형 부분을 포함한다. 그러나 하나의 예외는, 그 구멍이 움푹 들어간 링(36)에 맞춰지도록 생긴 바깥쪽으로 확장하는 링을 규정하지는 않는다는 것이다. 오히려, 볼 플런저 스프링-바이어싱 구조(42)가 하우징 블록(26)의 안쪽 측벽(44)을 따라 탑재되어 있다. 볼 플런저(42)는 프록시멀 코넥터가 구멍(24)안에 완전히 삽입될 때에만 움푹 들어간 링(36)과 맞물리도록 놓여진다. 이것이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볼 플런저(42)는 프록시멀 코넥터가 삽입중에 찰깍하고 잠겨지도록 한다.
볼 플런저는 프록시멀 코넥터가 우연히 구멍 밖으로 미끄러져 나오는 것을 방지한다. 프록시멀 코넥터는 코넥터의 자유로운 탈착을 허용하는 움푹 들어간 링 밖으로 볼 플런저를 변위시키도록 충분한 힘으로 프록시멀 코넥터를 당김으로써 수동적으로만 분리될 수 있다. 물론, 다른 바이어싱 구조가 채용될 수도 있다. 예를들어, 볼 플런저는 하우징안에 형성된 링과 함께 프록시멀 코넥터의 케이스에 탑재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케이스는 바깥쪽으로 뻗어나온 신축적인 링으로 이뤄지고, 구멍은 그에 알맞는 짝(matching) 링으로 이뤄질 수 있다. 프록시멀 코넥터의 삽입중에, 케이스의 신축적인 링은 하우징의 짝 링에 도달할 때까지 안쪽으로 약간 휘어지고 도달하고나서 하우징의 짝 링에 바깥쪽으로 찰칵 걸리게된다.
도면의 실시예에 계속하여, 프록시멀 코넥터의 윤곽은 수취 블록의 구멍의 내부 윤곽에 꼭 맞게 되어, 부분적으로, 코넥터로부터 수취 블록으로 열 전송을 도모한다. 사용중에, 고강도 광은 집중되거나 응집되고, 혹은 그렇지 않으면 코넥터가 수취 블록에 삽입되어 있을 때 광 섬유의 구멍 입구에 해당하는 포인트나 점(46)으로 향하게된다. 46 근처의 빛의 강도는 페룰(30)이 열을 받게 유도한다. 그러나, 페룰내에서 발생된 열은 페룰의 끝으로부터 멀리, 궁극적으로 수취 블록안으로까지 빨리 된다. 열 전송을 촉진하기 위해, 페룰과 수취 블록 모두가 스테인레스 스틸로 이뤄짐이 바람직하다. 페룰의 끝으로부터 멀리 열을 전도시킴으로써 페룰은, 프록시멀 코넥터의 분리중에 차폐될 필요가 없고 페룰의 끝을 만지는 사람들이 화상을 입는 위험에 노출되지 않도록 상대적으로 차가움을 유지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프록시멀 코넥터와 구멍의 규격은 프록시멀 코넥터의 페룰이 페룰의 전체 외부 표면 영역에 걸쳐 수취 블록의 안쪽 벽을 접촉하는 것을 보장하도록 매우 근접한 공차를 갖게 만들어진다. 그 사이의 어떠한 공극도 페룰로부터의 열 전도를 방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페룰(30)은 스테인레스 스틸로 형성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케이스(34)는 플라스틱으로 이뤄진다. 그러나, 어떤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아마도 보다 뛰어난 열 전도를 제공하기 위해, 케이스(34) 역시 스테인레스 스틸로 이뤄질 수 있다. 광범위한 여러 선택 재료들이 본 발명의 원리에 부합되어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미 설명된 특정 원통형 및 원추형이 효과적이었음이 습득되었으나 다른 모양들도 또한 효과적일 수 있다. 물론, 어떤 모양들이 선택되더라도, 페룰의 모양은 최소한 예상되는 열 전도 영역안에서, 해당 구멍의 모양과 매우 가깝게 짝 맞춰져야 한다. 다른 말로 표현하면, 광섬유의 끝단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프록시멀 코넥터와 구멍의 부분은, 광섬유의 끝단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는 보다 낮은 열전도를 필요로 하므로 그렇게 가깝게 짝맞출 필요가 없다.
프록시멀 코넥터와 구멍의 구조에 대한 다른 양상은 그 둘이 실질적으로 축 대칭을 이룬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프록시멀 코넥터는 광섬유의 구멍 입구에서 변위하지 않고 구멍안에서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정밀한 축의 배치가 유지된다. 삽입 방향을 따라 광섬유 끝의 측면 배치는 움푹 들어간 링(36)안에 놓여진 볼 플런저에 의해 유지된다. 광섬유의 구멍 입구의 정밀한 배치는 그에따라 유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광섬유의 구멍 입구가 페룰의 잘려나간 끝단과 같은 높이로 놓여지기 때문에 구멍 입구는 개선된 광학적 특성을 제공하도록 연마될 수 있다.
도 4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일반적으로 설명된바와 같이 형성된 구체적인 프록시멀 코넥터의 횡단면도를 제공한다. 특히, 도 4는 광섬유를 보유한 프록시멀 코넥터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다. 보다 상세하게, 도 4의 프록시멀 코넥터(100)는 광섬유(114)가 관통하는 구멍(102)을 포함한다. 광섬유의 원단부는 케이스(120)의 원추-모양 원단(118)에 역시 장착되는 걸쇠(clasp) 멤버(116)에 의해 보호된다. 도 2 및 도 3의 프록시멀 코넥터와 같이, 도 4의 프록시멀 코넥터(100)는 원추형 말단(122)을 갖는 페룰을 포함한다. 케이스(120)도 또한 움푹 들어가서 길이방향으로 뻗어나간 링(124)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예를들어, 약 300mW 에서 약 1000mW의 범위안의 파워 레벨을 갖는 고강도 광원으로부터 빛을 결합시킬 수 있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사용할 고강도 광원은 약 400mW에서 약 500mW까지의 파워 레벨을 갖는다.
지금까지 설명된 것은 단일 광섬유를 채용하는 광 조명 시스템에 사용하기 위한 개선된 프록시멀 코넥터이다. 특히, 본 발명은 단일 광 섬유의 구조에서 온도에 민감한 재료의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원리는 다른 시스템과 다른 어플리케이션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원리는 광섬유 다발등과 같은 다른 광섬유 소자를 통합한 광 조명 시스템에 적용가능하다. 가령, 도 5는 용융된 유리 묶음 또는 막대기(101)로 구성되고 원추의 프록시멀 말단(122A)에서 끊어지는 광섬유 소자가 통과하는 프록시멀 코넥터(100A)를 보인다. 이 실시예는 길이 방향으로 뻗어나가는 움푹 들어간 링(124A)을 포함하는 광섬유 케이블 어댑터 케이스(120A)를 구비한다. 광섬유 케이블 어댑터 케이스(120A)는 광섬유 다발이나 단일 광섬유(128)가 통과하는 광섬유 케이블 코넥터를 수취한다.
보다 상세한 많은 수정, 변형 및 변화가 상술한 실시예들에 대해 만들어질 수 있으므로, 앞서의 설명과 첨부된 도면에서 보인 모든 문제가 예시적인 것일 뿐 한정하는 방향으로는 해석되지 않도록 의도된다.

Claims (15)

  1. 빛을 집약하고 응축하는 광 시스템을 포함하는 고강도 광원으로부터 빛을 광섬유 소자에 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광원이 하우징안에 있고 상기 광섬유 소자는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구멍안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는 시스템에 있어서,
    원추-모양 페룰(ferrule)안에 광섬유 소자의 끝을 탑재하고;
    상기 원추-모양 페룰을 밀접하게 수취하도록 된 규격의 원추-모양을 갖는 하우징의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과 페룰을 열-전도 접촉하게 하고, 빛을 집약 및 응집하는 상기 광 시스템을 통해 상기 고강도 광을 상기 광 섬유에 결합하기 위해, 광섬유 소자와 상기 광 시스템간의 정밀한 배치가 보존되고 광섬유 소자로부터 멀리 열 전송이 도모되도록 하며, 이때 상기 페룰 및 하우징 구멍의 측벽은 모두 높은 열전도도를 갖는 물질로 구성되고,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빛은 약 300mW에서 약 1,000mW까지의 강도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광결합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빛은 약 400mW에서 약 500mW까지의 강도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광결합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은 스테인레스 스틸임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광결합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페룰은 하우징안에 탑재되고, 상기 하우징은 길이방향으로 확장된 움푹 들어간 링을 포함하고, 상기 구멍은 페룰이 구멍안에 완전히 삽입될 때에만 움푹 들어간 링과 맞물리도록 놓여진 스프링-탑재(spring-loaded)의 볼 플런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광결합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 소자는 단일 광 섬유임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광결합 시스템.
  6. 빛을 광섬유 소자에 결합시키는 광원 시스템에 있어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내에 탑재된 광 시스템;
    광섬유 소자를 착탈가능하게 수취하는 구멍을 가진 수취 블록; 및
    약 300mW 부터 약 1,000mW의 강도를 갖는 고강도 광을 공급하는 광원을 구비하고,
    상기 광원, 상기 광시스템 및 상기 구멍이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광섬유 소자에 결합시키도록 놓여지고;
    상기 구멍은 광섬유의 말단 주위에 탑재된 원추-모양 페룰을 밀접하게 수취하는 원추-모양 내부 측벽을 가지며, 이때 구멍의 측벽은 높은 열전도도를 갖는 물질로 이뤄짐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은 스테인레스 스틸임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 시스템.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아아크 램프(arc lamp)임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 시스템.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수취 블록의 내부 측벽은
    페룰이 구멍내에 완전히 삽입되어 있을 때에만, 페룰에 형성된 길이방향의 움푹 들어간 링을 맞물리도록 놓여진 스프링-탑재의 볼 플런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 시스템.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광 섬유 소자는 단일 광섬유임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 시스템.
  11.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빛은 약 400mW에서 약 500mW의 강도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 시스템.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 소자는 용융된 유리 다발임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광결합 시스템.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용융된 유리 다발은 빛을 광섬유 다발로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광결합 시스템.
  14.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 소자는 용융된 유리 다발임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 시스템.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용융된 유리 다발은 빛을 광섬유 다발로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 시스템.
KR1019997008962A 1997-04-01 1998-03-31 광섬유 소자를 광원 시스템에 장착하기 위한 스냅-인 프록시멀 코넥터 KR2001000588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831,351 US5764837A (en) 1995-07-14 1997-04-01 Snap-in proximal connector for mounting an optic fiber element into a light source system
US8/831,351 1997-04-01
PCT/US1998/006364 WO1998044371A1 (en) 1997-04-01 1998-03-31 Snap-in proximal connector for mounting an optic fiber element into a light source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5886A true KR20010005886A (ko) 2001-01-15

Family

ID=25258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8962A KR20010005886A (ko) 1997-04-01 1998-03-31 광섬유 소자를 광원 시스템에 장착하기 위한 스냅-인 프록시멀 코넥터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5764837A (ko)
EP (1) EP0972218B1 (ko)
JP (1) JP2001519042A (ko)
KR (1) KR20010005886A (ko)
CN (1) CN1159607C (ko)
AT (1) ATE213339T1 (ko)
CA (1) CA2285214A1 (ko)
DE (1) DE69803836T2 (ko)
DK (1) DK0972218T3 (ko)
ES (1) ES2172883T3 (ko)
HK (1) HK1023410A1 (ko)
PT (1) PT972218E (ko)
TW (1) TW440732B (ko)
WO (1) WO199804437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65882A (en) * 1995-07-14 2000-05-23 Cogent Light Technologies, Inc. Snap-in proximal connector for mounting an optic fiber element into a light source system
US6175676B1 (en) 1999-02-23 2001-01-16 Bethlehem Steel Corporation Fiber optic sensor and method of use thereof to determine carbon content of molten steel contained in a basic oxygen furnace
US6409391B1 (en) 1999-03-26 2002-06-25 Cogent Light Technologies, Inc. Fiber optic illumination adaptor assembly for multiple light guide connectors
US6626582B2 (en) * 2000-02-17 2003-09-30 Cogent Light Technologies, Inc. Snap-on connector system for coupling light from an illuminator to a fiber optic
US6953288B2 (en) * 2003-04-25 2005-10-11 Ceramoptec Industries, Inc. SMA compatible, safe laser connector system
JP5144623B2 (ja) * 2009-10-28 2013-02-13 Seiオプティ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光コネクタの組立方法
WO2012113941A1 (de) * 2011-02-25 2012-08-30 Limo Patentverwaltung Gmbh & Co. Kg Vorrichtung für die verbindung zweier zumindest teilweise ineinander schiebbarer, optischer bauteil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456395A (en) * 1973-11-16 1976-11-24 Bicc Ltd Optical fibre connector
US4273413A (en) * 1979-02-26 1981-06-16 Amp Incorporated Photoelectric element/optical cable connector
JPS60201308A (ja) * 1984-03-26 1985-10-11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フアイバ−端末固定装置
US4737008A (en) * 1984-10-01 1988-04-12 Mitsumi Electric Co., Ltd. Optical transmitting and/or receiving module
US4772081A (en) * 1986-09-15 1988-09-20 Tsi Incorporated Fiber optic connector assembly
US4824202A (en) * 1987-08-12 1989-04-25 Alcon Laboratories, Inc. Fiber optic connector
US4883333A (en) * 1987-10-13 1989-11-28 Yanez Serge J Integrated, solid, optical device
US5142600A (en) * 1991-02-25 1992-08-25 General Electric Company Optical fiber quick connect/disconnect for a power laser
SE9102851L (sv) * 1991-06-17 1992-12-18 Stratos Connectors Ab Anordning foer optisk anslutning av ett optiskt element till en lins
JP3087561B2 (ja) * 1993-12-28 2000-09-11 三菱電機株式会社 光半導体モジュ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5640478A (en) * 1995-07-14 1997-06-17 Cogent Light Technologies, Inc. Snap-in proximal connector for mounting an optic fiber element into a light source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440732B (en) 2001-06-16
CN1159607C (zh) 2004-07-28
WO1998044371A1 (en) 1998-10-08
JP2001519042A (ja) 2001-10-16
CN1251659A (zh) 2000-04-26
HK1023410A1 (en) 2000-09-08
ATE213339T1 (de) 2002-02-15
CA2285214A1 (en) 1998-10-08
DE69803836T2 (de) 2002-10-24
DE69803836D1 (de) 2002-03-21
EP0972218A1 (en) 2000-01-19
EP0972218B1 (en) 2002-02-13
US5764837A (en) 1998-06-09
DK0972218T3 (da) 2002-05-27
PT972218E (pt) 2002-07-31
ES2172883T3 (es) 2002-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65882A (en) Snap-in proximal connector for mounting an optic fiber element into a light source system
TW494253B (en) Snap-on connector system for coupling light from an illuminator to a fiber optic
US5640478A (en) Snap-in proximal connector for mounting an optic fiber element into a light source system
US5309330A (en) Light box
KR20010113862A (ko) 다중 광 가이드 커넥터용 광섬유 조명기 어댑터 조립체
KR20010005886A (ko) 광섬유 소자를 광원 시스템에 장착하기 위한 스냅-인 프록시멀 코넥터
CN106526756B (zh) 光纤插座
MXPA99008960A (es) Conector contiguo a presion para el montaje de un elemento de fibra optica dentro de un sistema de fuente de luz
JP2004053829A (ja) 光コネクタアダプタ
MXPA00012007A (en) Snap-in proximal connector for mounting an optic fiber element into a light source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