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4777A -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 기록 및 관리정보 생성 기록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 기록 및 관리정보 생성 기록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4777A
KR20010004777A KR1019990025496A KR19990025496A KR20010004777A KR 20010004777 A KR20010004777 A KR 20010004777A KR 1019990025496 A KR1019990025496 A KR 1019990025496A KR 19990025496 A KR19990025496 A KR 19990025496A KR 20010004777 A KR20010004777 A KR 200100047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recorded
application
inform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5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26143B1 (ko
Inventor
김병진
서강수
유제용
강기원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900254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6143B1/ko
Priority to CNB001092790A priority patent/CN1150549C/zh
Priority to JP2000192239A priority patent/JP3420180B2/ja
Publication of KR200100047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47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61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6143B1/ko
Priority to US10/935,115 priority patent/US7783170B2/en
Priority to US11/445,166 priority patent/US20060222339A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 G11B27/105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of operating dis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14Session management
    • H04L67/147Signalling methods or messages providing extensions to protocols defined by standard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04N21/4264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reading from or writing on a non-volatile solid state storage medium, e.g. DVD, CD-R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H04N9/804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involving data reduc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20/1264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wherein the formatting concerns a specific kind of data
    • G11B2020/1265Control data, system data or management information, i.e. data used to access or process user data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62DVDs [digital versatile discs]; Digital video discs; MMCDs; HDC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신되는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의 전송단위체를 디브이디(DVD: Digital Versatile Disc)와 같은 디스크 기록매체에 소정 기록크기로 순차 기록하고, 기록된 전송단위체를 탐색 관리하는 관리정보를 생성 기록하는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 기록 및 관리정보 생성 기록방법에 관한 것으로, 수신되는 데이터 스트림의 전송단위체에 대응하여 헤더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수신된 전송단위체와 상기 생성된 헤더정보의 기록영역단위와의 크기 차이에 따라, 상기 헤더 정보와 구별되는 무효 헤더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생성된 헤더 정보와 무효 헤더정보를, 상기 수신된 전송단위체와 영역 구분하여 기록함으로써, 소정 기록크기를 갖는 단위섹터와 같은 단위기록영역내에 실제로 기록되는 전송단위체의 수와 이를 관리하는 관리정보가 일치되도록 함과 아울러, 불요 데이터 패딩 처리없이 완전한 기록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 기록 및 관리정보 생성 기록방법{Method for recording digital data stream and management information}
본 발명은, 수신되는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의 어플리케이션 패킷과 같은 전송단위체를 디브이디(DVD: Digital Versatile Disc)와 같은 디스크 기록매체에 소정 기록크기로 순차 기록하고, 기록된 전송단위체를 탐색 관리하는 관리정보를 생성 기록하는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 기록 및 관리정보 생성 기록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아날로그 텔레비전 방송에서는 송신하는 영상신호를 AM 또는 FM변조하여 전파나 케이블을 통하여 전송하였다. 최근, 디지털 영상압축 및 디지털 변복조 등과 같은 디지털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에 관한 표준화가 빠른 속도로 진전되고 있고, 기존의 지상파, 위성, 케이블 방송에서도 MPEG (Moving Picture Experts Group)을 기반으로 디지털화하고 있다.
상기 디지털 방송은 디지털 영상/음성 압축기술 및 디지털 전송기술의 발전에 따라 아날로그 서비스보다 고화질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동일 대역폭에서 다수의 방송 프로그램을 전송할 수 있고, 디지털 통신 미디어 및 디지털 저장 미디어 등과의 상호 운용성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디지털 방송에서는, MPEG을 기반으로 엔코딩된 다수의 방송 프로그램이 다중화되어 전송스트림(transport stream; TS) 형태로 전송되며, 이 전송스트림은 수신측에 설치된 셋탑 박스(set top box) 등에서 수신되어, 전송스트림에 포함된 다수의 방송 프로그램이 역다중화되어 소망하는 하나의 방송 프로그램만이 선택되며, 상기 선택된 방송 프로그램에 대하여 상기 셋탑 박스에 내장된 디코더에서 디코딩하여 원래의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를 텔레비전과 같은 A/V출력장치로 전달하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 기록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상기 시스템은 셋탑박스(100), 통신 인터페이스(IEEE 1394) 및 스트리머(streamer; 200)로 구성되고, 상기 셋탑박스(100)는 방송국으로부터 시스템 엔코더에 의해 부호화된 다수의 방송 프로그램이 다중화된 전송 스트림(transport stream; TS)을 수신하여 이를 역 다중화하는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제어부(140)에 의해 선국처리부(110)에서 선국된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전송스트림을 시스템 디코더(120)에 의해 디코딩하여 텔레비전과 같은 AV세트를 통하여 출력하거나,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선국된 방송 프로그램을 IEEE1394 통신 인터페이스(130,210)를 매개로 스트리머(200)로 전송하여, 스트리머(200)에 의해 방송 프로그램을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DVD)와 같은 기록매체(230)에 기록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셋탑박스(10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스트리머(200)에 의해 상기 기록매체(230)에서 독출된 방송 프로그램을 IEEE1394 통신 인터페이스(210,130)를 매개로 전송받아 디코더(120)에서 디코딩하여 텔레비전 셋트로 출력함으로써 방송 프로그램을 재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지털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텔레비전과 같은 A/V출력장치로 출력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수신된 방송신호를 저장매체에 저장, 편집 및 재생하는 상기 시스템은 현재 개발 중인 시스템으로서, 디브이디(DVD)와 같은 기록매체상에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을 어떻게 구획 기록할 것인지 또한 구획 기록된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을 어떻게 관리할 것인지에 대한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 기록 및 관리정보 생성 기록방법이 아직 규격화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 기록 및 관리정보 생성 기록방법에 대하여 독자적으로 연구 개발한 방법들이 관련업체들로부터 속속 제안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하, 상기 제안되고 있는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 기록 및 관리정보에 생성 기록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 2는 일반적인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의 기록단위에 대한 계층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단일의 기록 프로그램(Program)을 나타내는 기록집합체(SOB: Stream OBject)는, 다수의 기록단위체(SOBU)로 구성되고, 상기 기록단위체(SOBU)는, 다시 다수의 섹터(Sector)들로 구성되며, 상기 섹터는, 다수의 어플리케이션 패킷(AP: Application Packet)들과 상기 어플리케이션 패킷들에 대한 헤더(Header)정보(HDRS)들로 구성되는 데, 상기 어플리케이션 패킷(AP)의 기록크기는 192바이트이고, 상기 섹터(Sector)의 기록크기는 2048바이트(Byte)이다.
따라서,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2048바이트의 기록크기를 갖는 하나의 단위섹터는, 다수의 헤더정보(HDRS)와 어플리케이션 패킷(AP) 그리고, 불요 데이터가 기록되는 패딩(Padding)영역으로 구획 기록되는 데, 상기 어플리케이션 패킷(AP)은 패킷 도착시간을 나타내는 4바이트의 시각정보(Time Stamp)와 188바이트의 데이터 패킷(Packet)으로 구성된다.
한편, 도 3은 상기 헤더정보(HDRS)영역에 포함 기록되는, 어플리케이션 헤더(Application Header)정보와 어플리케이션 헤더확장(Application Header Extension)정보에 대한 상세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상기 어플리케이션 헤더정보는, 2048바이트의 단위섹터내에 기록되는 다수의 어플리케이션 패킷들에 대한 정보로서, 상기 헤더 포맷의 버전(Version)을 나타내는 필드(Version)와, 어플리케이션 패킷의 수를 나타내는 필드(AP_NS)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어플리케이션 헤더확장 정보는, 단위섹터내에 기록되는 각각의 어플리케이션 패킷에 일대일(1:1)로 대응되어 선택적(Optional)으로 생성 기록되는 정보로서, 기저영상(I-Picture) 데이터와 같이 랜덤 억세스(Random Access)가 가능한 데이터 스트림의 기록시작 위치 및 기록종료 위치를 각각 나타내는 필드(AU_Start: Access Unit Start, AU_End: Access Unit End); 그리고 여유영역 필드(Reserved) 및 복사금지 여부를 나타나는 필드(Copyright)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데, 상기 어플리케이션 헤더확장 정보는 1바이트의 기록크기로 상기 단위섹터내에 기록되는 각각의 어플리케이션 패킷의 수에 대응되어 생성 기록된다.
한편, 기록집합체(SOB)별로 불요 데이터를 패딩 처리하는 최근에 제안된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의 기록방법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신되는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을 패딩영역이 없이 2048바이트의 단위섹터로 순차 기록하기 위하여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패킷을 분할 기록하고, 기록집합체(SOB) 후단에 기록되는 단위섹터들 또는 최종 기록되는 하나의 단위섹터내에 집중적으로 불요 데이터를 기록하는 것으로, 예를들어 설명하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192바이트의 어플리케이션 패킷이 130바이트 및 62바이트로 분할되어, M-2 번째 섹터의 마지막 어플리케이션 패킷(AP #10)과, M-1 번째 섹터의 첫 번째 어플리케이션 패킷(AP #1)으로 각각 기록되는 데, 이때 M-2 번째 섹터의 어플리케이션 헤더확장 정보는, 130바이트로 분할 기록된 어플리케이션 패킷(AP #10)을 포함하는 10개의 어플리케이션 패킷에 각각 대응되어 총 10 개 즉, 10바이트의 어플리케이션 헤더확장 정보가 생성 기록되고, 또한 어플리케이션 헤더정보의 어플리케이션 패킷 번호(AP_NS) 필드에는 '00001010(=10)'이 기록된다.
한편, 상기 M-1번째 섹터의 경우, 62바이트로 분할 기록된 첫 번째 어플리케이션 패킷(AP #1)과 192바이트로 정상 기록된 10개의 어플리케이션 패킷(AP #2∼#11)과, 도 3을 참조로 전술한 바 있는 54바이트(14+14+1+15)의 헤더정보 그리고, 총 11개의 어플리케이션 패킷에 대응되어 생성 기록되는 총 11바이트의 어플리케이션 헤더확장 정보가 기록되어, 2047바이트(= 62+1920+54+11)의 기록크기를 갖게 된다.
따라서, 2048바이트의 단위섹터 기록크기에 일치시키기 위하여, 이후 수신되는 192바이트의 어플리케이션 패킷을 1바이트와 191바이트로 각각 분할 기록해야 하는 데, 이 경우 1바이트로 분할 기록될 어플리케이션 패킷에 대응되는 새로운 1바이트의 어플리케이션 헤더확장 정보가 M-1 번째 섹터내에 추가 기록되므로, 상기 추가 기록되는 1바이트의 어플리케이션 헤더확장 정보에 의해 M-1 번째 섹터는 2048바이트의 단위섹터로 구획되어 진다.
이에 따라, 상기 M-1번째 섹터에는 11개의 어플리케이션 패킷과 12개의 어플리케이션 헤더확장 정보 그리고, 상기 11개의 어플리케이션 패킷의 수를 나타내는 정보 '00001011(=11)' 또는 상기 12개의 어플리케이션 헤더확장 정보의 수를 나타내는 정보 '00001100(=12)'가 어플리케이션 패킷 번호(AP_NS)에 기록된다.
상기와 같이, 최근에 제안되고 있는 기록집합체별 패딩 처리 방식을 사용하는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의 기록방법에서는, 단위섹터내에 1바이트의 기록영역이 남아 1바이트 잔여 기록영역에 의한 패킷 분할을 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단위섹터내의 헤더정보와 어플리케이션 패킷이 일대일로 대응되되, 서로다른 영역으로 구분되어 기록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하나의 단위섹터내에 실제로 기록되는 어플리케이션 패킷의 수와, 이에 따라 생성 기록되는 관리정보인 어플리케이션 헤더확장 정보 및 어플리케이션 패킷 번호간에는 불일치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발생되므로, 1바이트의 기록영역을 모두 채워 기록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것으로서, 수신되는 데이터 스트림의 전송단위체에 대응하여 헤더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수신된 전송단위체와 상기 생성된 헤더정보의 기록영역단위와의 크기 차이에 따라, 상기 헤더 정보와 구별되는 무효 헤더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생성된 헤더 정보와 무효 헤더정보를, 상기 수신된 전송단위체와 영역 구분하여 기록하는, 새로운 기록방법을 제안하여 소정 기록크기를 갖는 단위섹터와 같은 기록영역단위에 불요 데이터를 패딩처리하지 않고 완전한 기록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 기록 및 관리정보 생성 기록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 기록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일반적인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의 기록단위에 대한 계층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일반적인 어플리케이션 헤더정보와 어플리케이션 헤더확장 정보에 대한 구성을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종래의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 기록과정을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헤더정보와 어플리케이션 헤더확장 정보에 대한 기록 및 구성을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 기록 및 관리정보 생성과정을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 기록 및 관리정보 생성과정 일부를 상세히 도시한 것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의 기록단위에 대한 계층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또다른 어플리케이션 헤더정보와 어플리케이션 헤더확장 정보에 대한 기록 및 구성을 도시한 것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또다른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 기록 및 관리정보 생성과정 일부를 상세히 도시한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셋탑박스 110 : 선국처리부
120 : 디코더 130,210 : 통신 인터페이스
140,250 : 제어부 150,260 : 메모리
200 : 스트리머 220 : 저장스트림 처리부
230 : 기록매체(DVD) 240 : 독출스트림 처리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 기록 및 관리정보 생성 기록방법은, 수신되는 데이터 스트림의 전송단위체에 대응하여 헤더정보를 생성하는 1단계; 상기 수신된 전송단위체와 상기 생성된 헤더정보의 단위기록영역과의 크기 차이에 따라, 상기 헤더 정보와 구별되는 무효 헤더정보를 생성하는 2단계; 및 상기 생성된 헤더 정보와 무효 헤더정보를, 상기 수신된 전송단위체와 영역 구분하여 기록하는 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의 기록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헤더정보와 어플리케이션 헤더확장 정보에 대한 기록 및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도 2 및 도 3을 참조로 전술한 바와 같이 헤더정보(HDRS)영역에 포함 기록되는, 어플리케이션 헤더(Application Header)정보는, 2048바이트의 단위섹터내에 기록되는 다수의 어플리케이션 패킷들에 대한 정보로서, 상기 헤더 포맷의 버전(Version)을 나타내는 필드(Version)와, 어플리케이션 패킷의 수를 나타내는 필드(AP_NS)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어플리케이션 헤더확장 정보는, 단위섹터내에 기록되는 각각의 어플리케이션 패킷에 일대일(1:1)로 대응되어 선택적(Optional)으로 생성 기록되는 정보로서, 기저영상(I-Picture) 데이터와 같이 랜덤 억세스(Random Access)가 가능한 데이터 스트림의 기록시작 위치 및 기록종료 위치를 각각 나타내는 필드(AU_Start: Access Unit Start, AU_End: Access Unit End); 그리고 여유영역 필드(Reserved) 및 복사금지 여부를 나타나는 필드(Copyright)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데, 상기 어플리케이션 헤더확장 정보는 1바이트의 기록크기로 상기 단위섹터내에 기록되는 각각의 어플리케이션 패킷의 수에 대응되어 생성되며, 상기 생성되는 1바이트의 어플리케이션 헤더확장 정보는 상기 4바이트의 시각정보(Timestamp)와 188바이트의 데이터 패킷(Packet)에 분산되어 기록된다.
즉,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1바이트의 어플리케이션 헤더확장 정보는 4바이트의 시각정보(Timestamp)와 188바이트의 데이터 패킷으로 구성되어 총 192바이트의 기록크기를 갖는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패킷에 각각 분산되어 기록되거나, 또는 4바이트의 시각정보(Timestamp)와 188바이트의 데이터 패킷 그리고, 1바이트의 어플리케이션 헤더확장 정보로 구성되는 193바이트의 기록단위를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패킷으로 새로이 정의하여 기록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 헤더정보에 포함 기록되는 어플리케이션 패킷 번호 필드(AP_NS)에는, 하나의 단위섹터내에 구획 기록되는 192바이트의 어플리케이션 패킷의 수 또는, 상기 1바이트의 어플리케이션 헤더확장 정보가 포함 구성되는 193바이트의 어플리케이션 패킷의 수를 나타내는 정보를 기록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기 1바이트의 어플리케이션 헤더확장 정보를 192바이트의 기록크기를 갖는 어플리케이션 패킷에 각각 분산시켜 순차 기록하고, 순차 기록된 192바이트의 어플리케이션 패킷의 수에 해당하는 정보 즉, 어플리케이션 헤더정보 중 어플리케이션 패킷 번호 필드(AP_NS)에 기록되는 관리정보를 생성 기록하는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 기록 및 관리정보 생성 기록방법에 대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 기록 및 관리정보 생성 기록과정을 도시한 것으로, 수신되는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을 패딩영역이 없이 2048바이트의 단위섹터로 순차 기록하기 위하여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패킷을 분할 기록하고, 기록집합체(SOB) 후단에 기록되는 단위섹터들 또는 최종 기록되는 마지막 단위섹터에 집중적으로 불요 데이터를 기록하는 실시예의 기록과정을 도시한 것으로, 상기 불요 데이터는 하나의 기록집합체(SOB) 후단에 포함 구성되는 하나 또는 다수의 단위섹터 전체를 패딩 처리하게 될 수도 있다.
우선, 도 4를 참조로 전술한 바와 같이, 단위섹터내에 불요 데이터를 패딩 처리하지 않고 2048바이트의 기록크기에 일치되는 어플리케이션 패킷 및 관리정보를 기록 구획하기 위해서는,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패킷을 분할하여, 인접된 단위섹터내에 각각 기록하여야 하는 데,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192바이트의 어플리케이션 패킷은, 1바이트의 어플리케이션 헤더확장 정보가 부가된 129바이트의 어플리케이션 패킷(AP #11)과, 데이터 패킷으로만 구성되는 63바이트의 어플리케이션 패킷(AP #1)로 분할되어, M-2 번째 섹터의 마지막 어플리케이션 패킷(AP #11)과 M-1 번째 섹터의 첫 번째 어플리케이션 패킷(AP #1)으로 각각 기록된다.
이때, M-1 번째 섹터에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54바이트의 기록크기를 갖는 다수의 헤더정보(HDRS)와, 63바이트로 분할 기록된 첫 번째 어플리케이션 패킷(AP1), 그리고 192바이트로 정상 기록된 10개의 어플리케이션 패킷(AP2∼11)이 기록되는 데, 상기 10개의 어플리케이션 패킷(AP2∼11) 각각에는 1바이트의 어플리케이션 헤더확장 정보(AP Header Ext. 2∼11)가 분산되어 기록되고, 나머지 1바이트의 기록영역에는 다음 단위섹터인 M 번째 섹터의 첫 번째 어플리케이션 패킷(AP1)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 헤더확장 정보(AP Header Ext.1)만이 분할 기록된다.
한편, 상기 어플리케이션 헤더정보(Application Header)에 포함 기록되는 어플리케이션 패킷 번호 필드(AP_NS)에는 상기 M-1 번째 단위섹터내에 기록되는 어플리케이션 패킷의 수(AP 1, 2∼11 = 11개) 또는 상기 M-1 번째 단위섹터내에 기록되는 어플리케이션 헤더확장 정보의 수(AP Header Ext. 2∼11, 1 = 11개)에 해당하는 식별 값 '00001011(=11)'이 생성 기록된다.
즉, 2048바이트를 갖는 하나의 단위섹터인 M-1 번째 섹터에는, 63바이트로 분할된 데이터 패킷으로 구성되는 첫 번째 어플리케이션 패킷(AP 1)과, 4바이트의 시각정보(Timestamp)와 188바이트의 데이터 패킷으로 구성되는 192바이트의 2 번째부터 11 번째 어플리케이션 패킷(AP 2∼11)들과, 그리고, 1바이트의 기록크기를 갖는 11개의 어플리케이션 헤더확장 정보(AP Header Ext. 2∼11, 1)가 기록되어, 총 2048바이트의 기록크기를 갖는 하나의 단위섹터를 구획하게 됨은 물론, 상기 어플리케이션 패킷 번호(AP_NS)에는, 단위섹터내에 구획 기록된 어플리케이션 패킷의 수 또는 어플리케이션 헤더확장 정보의 수에 일치되는 식별정보 '00001011(=11)'이 생성 기록되는 것이다.
따라서, 단위섹터내에 불요 데이터를 패딩 처리시키지 않고서도, 2048바이트의 기록크기에 일치되는 어플리케이션 패킷 및 관리정보를 구획 기록하고, 기록된 어플리케이션 패킷의 수에 정확히 일치되는 관리정보를 생성 기록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1바이트의 어플리케이션 헤더정보와 4바이트의 시각정보, 그리고 188바이트의 데이터 패킷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패킷으로 정의하고, 상기와 같은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 기록 및 관리정보 생성 기록동작을 수행하여도 동일한 결과 즉, 단위섹터내에 1바이트의 기록영역이 남게되는 경우, 단위섹터내에 실제로 기록되는 어플리케이션 패킷의 수와 이를 관리하는 관리정보인 어플리케이션 헤더확장 정보 및 어플리케이션 패킷 번호간에 불일치가 발생하게 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또다른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 기록 및 관리정보 생성 기록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또다른 어플리케이션 헤더정보와 어플리케이션 헤더확장 정보에 대한 기록 및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도 3 및 도 5를 참조로 전술한 바와 같이, 헤더정보(HDRS)영역에 포함 기록되는, 어플리케이션 헤더(Application Header)정보는, 2048바이트의 단위섹터내에 기록되는 다수의 어플리케이션 패킷들에 대한 정보로서, 상기 헤더 포맷의 버전(Version)을 나타내는 필드(Version)와, 어플리케이션 패킷의 수를 나타내는 필드(AP_NS)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어플리케이션 헤더확장 정보는, 단위섹터내에 기록되는 각각의 어플리케이션 패킷에 일대일(1:1)로 대응되어 선택적(Optional)으로 생성 기록되는 정보로서, 기저영상(I-Picture) 데이터와 같이 랜덤 억세스(Random Access)가 가능한 데이터 스트림의 기록시작 위치 및 기록종료 위치를 각각 나타내는 필드(AU_Start: Access Unit Start, AU_End: Access Unit End); 여유영역 필드(Reserved) 및 복사금지 여부를 나타나는 필드(Copyright); 그리고 어플리케이션 헤더확장 정보의 유효성 여부를 나타내는 식별정보(Null_Flag)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또다른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 기록 및 관리정보 생성 기록방법에서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헤더확장 정보의 유효성 여부를 나타내는 1비트의 식별정보(Null_Flag)를 각각의 어플리케이션 헤더확장 정보에 포함 기록하고, 상기 식별정보(Null_Flag)에 근거하여 단위섹터내에 기록된 어플리케이션 패킷의 수에 대한 정보를 어플리케이션 패킷 번호(AP_NS) 필드에 생성 기록하게 되는 데, 상기 식별정보(Null_Flag) 및 그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패킷 번호(AP_NS) 정보 기록동작에 대하여, 이하 첨부된 도 10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또다른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 기록 및 관리정보 생성과정 일부를 상세히 도시한 것으로, 도 4를 참조로 전술한 바와 같이, 수신되는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을 패딩영역이 없이 2048바이트의 단위섹터로 순차 기록하기 위하여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패킷을 분할 기록하고, 기록집합체(SOB) 후단에 기록되는 단위섹터들 또는 최종 기록되는 하나의 단위섹터내에 집중적으로 불요 데이터를 기록하게 되는 데, 예를들어 설명하면,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192바이트의 어플리케이션 패킷이 130바이트 및 62바이트로 분할되어, M-2 번째 섹터의 마지막 어플리케이션 패킷(AP #10)과, M-1 번째 섹터의 첫 번째 어플리케이션 패킷(AP #1)으로 각각 기록되는 데, 이때 M-2 번째 섹터의 어플리케이션 헤더확장 정보는, 130바이트로 분할 기록된 어플리케이션 패킷(AP #10)을 포함하는 10개의 어플리케이션 패킷에 각각 대응되어 총 10 개 즉, 10바이트의 어플리케이션 헤더확장 정보가 생성 기록되고, 또한 어플리케이션 헤더정보의 어플리케이션 패킷 번호(AP_NS) 필드에는 '00001010(=10)'이 기록된다.
한편, 상기 M-1번째 섹터의 경우, 62바이트로 분할 기록된 첫 번째 어플리케이션 패킷(AP #1)과 192바이트로 정상 기록된 10개의 어플리케이션 패킷(AP #2∼#11)과, 54바이트(14+14+1+15)의 헤더정보 그리고, 총 11개의 어플리케이션 패킷에 대응되어 생성 기록되는 총 11바이트의 어플리케이션 헤더확장 정보가 기록되어, 2047바이트(= 62+1920+54+11)의 기록크기를 갖게 된다.
따라서, 2048바이트의 단위섹터 기록크기에 일치시키기 위하여, 이후 수신되는 192바이트의 어플리케이션 패킷을 1바이트와 191바이트로 각각 분할 기록해야 하는 데, 이 경우 1바이트로 분할 기록될 어플리케이션 패킷에 대응되는 새로운 1바이트의 어플리케이션 헤더확장 정보가 M-1 번째 섹터내에 추가 기록되므로, 상기 추가 기록되는 1바이트의 어플리케이션 헤더확장 정보에 의해 M-1 번째 섹터는 2048바이트의 단위섹터로 구획되어 진다.
이때, 추가 기록되는 마지막 1바이트의 어플리케이션 헤더확장 정보에 포함 기록되는 식별정보(Null_Flag)에는 상기 마지막 어플리케이션 헤더확장 정보가 유효하지 못함을 나타내는 식별 값, '1b'를 설정 기록하여, 정상 기록된 10개의 어플리케이션 패킷(AP #2∼#11)에 대응되어 생성된 11개의 어플리케이션 헤더확장 정보와 식별되도록 한다.
즉, 상기 11개의 어플리케이션 헤더확장 정보에 포함 기록되는 식별정보(Null_Flag)에는 각각의 어플리케이션 헤더확장 정보가 유효함을 나타내는 식별 값, '0b'를 설정 기록되고, 상기 마지막 어플리케이션 헤더확장 정보에 포함 기록되는 식별정보(Null_Flag)에는 상기 마지막 어플리케이션 헤더확장 정보가 유효하지 못함을 나타내는 식별 값, '1b'가 설정 기록된다.
따라서, 상기 M-1번째 섹터에는 11개의 어플리케이션 패킷과 12개의 어플리케이션 헤더확장 정보가 기록되지만, 상기 식별정보에 의해 마지막 어플리케이션 헤더확장 정보가 단순히 패딩을 위해 생성 기록되었음을 식별할 수 있게 되어, 상기 11개의 어플리케이션 패킷의 수를 나타내는 정보 '00001011(=11)'이 어플리케이션 패킷 번호(AP_NS)에 기록되거나, 또는 상기 식별정보에 의해 유효성이 확인된 11개의 어플리케이션 헤더확장 정보의 수를 나타내는 정보 '00001011(=11)'이 어플리케이션 패킷 번호(AP_NS)에 기록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단위섹터내에 1바이트의 기록영역이 남게되는 경우, 하나의 단위섹터내에 실제로 기록되는 어플리케이션 패킷의 수와, 이에 따라 생성 기록되는 관리정보인 어플리케이션 헤더확장 정보 및 어플리케이션 패킷 번호간에 불일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불요 데이터를 패딩 처리하지 않고서도 완전한 기록동작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 기록 및 관리정보 생성 기록방법은, 수신되는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의 전송단위체에 대응되어 각각 생성되는 어플리케이션 헤더확장 정보와 같은 헤더정보에 대한 유효성 여부를 나타내는 식별정보를 각각의 헤더정보내에 생성 기록하고, 소정 크기를 갖는 단위기록영역내에 기록된 전송단위체의 수를 관리하는 관리정보를 상기 식별정보에 근거하여 생성 기록함으로써, 소정 기록크기를 갖는 단위섹터와 같은 단위기록영역내에 실제로 기록되는 전송단위체의 수와 이를 관리하는 관리정보가 일치되도록 함과 아울러, 불요 데이터 패딩 처리없이 완전한 기록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2)

  1. 수신되는 데이터 스트림의 전송단위체에 대응하여 헤더정보를 생성하는 1단계;
    상기 수신된 전송단위체와 상기 생성된 헤더정보의 단위기록영역과의 크기 차이에 따라, 상기 헤더 정보와 구별되는 무효 헤더정보를 생성하는 2단계; 및
    상기 생성된 헤더 정보와 무효 헤더정보를, 상기 수신된 전송단위체와 영역 구분하여 기록하는 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 기록 및 관리정보 생성 기록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효 헤더정보의 구분에 근거하여, 단위기록영역에 포함된 수신 전송단위체의 수를 관리하기 위한 정보를 생성 기록하는 4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 기록 및 관리정보 생성 기록방법.
KR1019990025496A 1999-06-29 1999-06-29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 기록 및 관리정보 생성 기록방법 및 장치 KR1003261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5496A KR100326143B1 (ko) 1999-06-29 1999-06-29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 기록 및 관리정보 생성 기록방법 및 장치
CNB001092790A CN1150549C (zh) 1999-06-29 2000-06-20 用于记录数字数据流和管理信息的方法与装置
JP2000192239A JP3420180B2 (ja) 1999-06-29 2000-06-27 デジタルデータストリームと管理情報の記録方法及び装置
US10/935,115 US7783170B2 (en) 1999-06-29 2004-09-08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digital data streams and management information
US11/445,166 US20060222339A1 (en) 1999-06-29 2006-06-02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digital data streams and management inform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5496A KR100326143B1 (ko) 1999-06-29 1999-06-29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 기록 및 관리정보 생성 기록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4777A true KR20010004777A (ko) 2001-01-15
KR100326143B1 KR100326143B1 (ko) 2002-02-27

Family

ID=19597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5496A KR100326143B1 (ko) 1999-06-29 1999-06-29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 기록 및 관리정보 생성 기록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420180B2 (ko)
KR (1) KR100326143B1 (ko)
CN (1) CN1150549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5604B1 (ko) * 2001-03-09 2005-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재생전용 광디스크와, 그 재생전용 광디스크 장치에서의재생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73961A1 (en) * 2001-03-09 2002-09-19 Sony Corporation Data recording method, recording apparatus, and data output method
CN106851696B (zh) * 2017-04-07 2023-10-13 深圳市普渡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无线时钟同步的uwb多标签多基站的调度系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5604B1 (ko) * 2001-03-09 2005-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재생전용 광디스크와, 그 재생전용 광디스크 장치에서의재생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79479A (zh) 2001-01-10
JP2001028165A (ja) 2001-01-30
KR100326143B1 (ko) 2002-02-27
JP3420180B2 (ja) 2003-06-23
CN1150549C (zh) 2004-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94028B2 (ja) デジタルデータストリーム管理情報生成記録方法及びその装置
KR100345235B1 (ko) 디지털데이터스트림기록방법및그장치
KR100617890B1 (ko) 데이터 송신 장치 및 방법, 데이터 수신 장치 및 방법 및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
US7359620B2 (en) Information transmitt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and information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 and apparatus
US2006022233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digital data streams and management information
KR100329391B1 (ko)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의 기록방법 및 장치
US6650659B1 (en) Data transmitting method
KR100575534B1 (ko) 기록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의 탐색정보 생성 기록방법
KR100643990B1 (ko)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 기록 및 관리정보 생성 기록방법
KR20010004777A (ko)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 기록 및 관리정보 생성 기록방법 및 장치
KR100605187B1 (ko) 디지털 데이터스트림의 선택적 기록방법
KR100329229B1 (ko) 재생리스트생성방법
JP3887933B2 (ja) データ伝送方法およびデータ伝送装置
US7869696B1 (en) Method for recording recorded digital data stream and for providing presentation managing information for the recorded digital data stream
JP3945029B2 (ja) データ伝送方法及びデータ伝送装置
KR100288780B1 (ko) 기록 데이터스트림의 재생진입지점 정보 생성 기록방법
KR100538857B1 (ko) 기록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의 관리정보 생성 기록방법
KR100632062B1 (ko) 전송신호의 기록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8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