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3974A - 이중산화구 오폐수 고도처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중산화구 오폐수 고도처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3974A
KR20010003974A KR1019990024529A KR19990024529A KR20010003974A KR 20010003974 A KR20010003974 A KR 20010003974A KR 1019990024529 A KR1019990024529 A KR 1019990024529A KR 19990024529 A KR19990024529 A KR 19990024529A KR 20010003974 A KR20010003974 A KR 200100039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water
aerobic
oxidation tank
reactor
sedimen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4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33325B1 (ko
Inventor
하재철
김승현
윤조희
Original Assignee
하재철
주식회사 세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재철, 주식회사 세양 filed Critical 하재철
Priority to KR10199900245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3325B1/ko
Publication of KR200100039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39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33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33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003Shapes of record carriers other than disc shap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2007/24000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carrier
    • G11B2007/240008Cards
    • G11B2007/240012Cards intended for rot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17Card-like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45CDs

Landscapes

  • Activated Sludge Processes (AREA)
  • Purification Treatments By Anaerobic Or Anaerobic And Aerobic Bacteria Or Animals (AREA)
  • Biological Treatment Of Waste Water (AREA)
  • Aeration Devices For Treatment Of Activated Polluted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수중의 유기물과 질소를 동시에 제거하기 위하여 무산소-호기공법(A/O process)을 적용한 연속 폭기방식의 이중 산화구 오폐수 고도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무산소 산화구반응조(10)와 호기 산화구반응조(20) 사이에 8자 형태로 순환을 시키기 위한 베플(51,52,53,54)과 순환통로(61,62)와;
처리수의 고액분리를 위하여 호기 산화구반응조(20) 내에 설치된 침전장치(30)로 구성하고, 베플(51,52,53,54)과 순환통로(61,62)의 단면적을 조정 가능하도록 조정판(100)를 설치하며, 호기 산화구반응조(20) 내에 설치된 내부침전장치(30)는 침전조 하부에 삼각형 모양의 베플(55)과 경사판(110)을 설치함으로써 침전된 슬러지가 침전조 하부의 폐수 흐름에 의하여 다시 호기 산화구반응조(20) 안으로 유입되도록 하고, 내부침전창치(30)는 국부적인 수면적 부하를 피하기 위하여 상부에 오리피스관/웨어(90)를 설치함에 요지가 있다.

Description

이중산화구 오폐수 고도처리 시스템{A waste water disposal system using a double-oxidized territory}
본 발명은 폐수중의 유기물과 질소를 동시에 제거하기 위하여 무산소-호기공법(A/O process)을 적용한 연속 폭기방식의 이중 산화구 오폐수 고도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우리 나라에서 하루에 배출되는 오폐수량은 2,400만㎥정도에 달하고 있으며 이 중에 생활오수가 차지하고 있는 비율은 약 60% 정도로 공공수역의 수질개선을 위해서는 생활오수를 적절하게 처리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환경을 고려하여 정부에서도 대도시를 중심으로 환경기초시설을 지속적으로 설치하여 오폐수를 처리하고 있다. 그러나 '95년말 우리 나라의 하수처리율은 45%정도에 불과하여 선진국가에 비하여 상당히 미진하며 특히, 하수도 접속인구를 감안하여 하수처리율을 고려한다면 더욱 낮게 될 것이다.
이러한 현실을 고려하여 하수처리율을 10%이상, 하수관거 보급율도 5%정도 향상시키려고 막대한 투자를 하고 있으나 비용과 설치에 소요되는 시간, 오염물질배출량의 증가 및 우리나라의 지역환경 등 때문에 계획대로 진행되고 있지 않고 수질도 개선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하수처리시설도 대부분 도시 중심으로 설치되었거나 설치될 예정이어서 지역적으로 분산되어 있는 중소도시, 농어촌 취락지역, 소규모 축산농가 등에서 발생되는 오폐수를 처리하지 않을 경우에 획기적인 수질개선을 기대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따라서, 우리나라도 배출원 현장중심으로 처리할 수 있는 대책이 추진되어야 하며 발생원 처리개념을 도입하여야 한다. 정부에서도 이러한 개념을 도입하여 97년도에는 분뇨와 하수를 병합하여 가정 또는 이런 지역이외의 발생원, 농어촌취락지역, 위락단지, 공원지역 등에서 공동으로 처리할 수 있는 공동설비(community plant)등의 도입이 필요하나, 우리 나라에서는 이들 지역에 적합한 처리기술 개발이 부족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기존의 이중산화구 시스템을 보완, 개량하여 유기물과 질소제거 효율이 높은 콤펙트한 이중산화구 오폐수 고도처리 장치를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기존의 이중산화구 시스템은 기계적인 순환장치의 필요성을 없애기 위하여 대부분이 간헐폭기 방식으로 운전되고 있으며, 대형의 2차 침전조를 요구하고 있어 장치의 설치비용이 많이 들고 유지관리가 어려운 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기계적인 순환장치 없이 베플과 순환통로을 이용하여 무산소 산화구반응조와 호기 산화구반응조 사이에 순환을 유도하고, 연속폭기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설치비용을 절감하고 유지관리를 용이하게 하고자 하였다. 또한, 호기 산화구반응조 내부에 침전장치를 설치함으로서 시스템을 콤펙트화하여 건설부지 및 건설비용을 절감하고자 하였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유기물과 질소를 동시에 제거하는 연속폭기방식의 이중산환구 오폐수 고도처리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연속폭기방식의 이중산화구 오폐수 고도처리 시스템중 내부침전장치를 도시한 개략적인 구성 사시도
도 3은 무산소 산화구반응조측의 베플과 통로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4은 호기 산화구반응조측의 베플과 통로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통로 단면적을 조정하는 조정판의 평단면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무산소 산화구반응조 20 : 호기 산화구반응조
30 : 내부침전장치 40 : 프로펠러
51,52,53,54 : 베플 55 : 삼각형 모양의 베플
61,62 : 통로 70 : 에어콤프레셔
80 : 에어노즐 90 : 오리피스관/웨어
100 : 조정판 110 : 경사판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예에 의한 이중산화구 오폐수 고도처리 시스템이 도1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무산소 산화구반응조10와 호기산화구반응조20가 완전히 분리되어 있다. 폐수는 무산소 산화구반응조10로 유입되며, 프로펠러40에 의해 혼합액은 수로를 따라 순환되어진다. 무산소 산화구반응조10 혼합액의 일부는 베플51,52과 순환통로61에 의해 호기 산화구반응조20로 유입되어지고, 동시에 호기 산화구반응조20 혼합액의 일부도 베플53,54과 순환통로62에 의해 무산소 산화구반응조10로 유입되어진다. 호기 산화구반응조20는 에어콤프레셔70와 에어노즐80에 의해 반응기내의 용존산소 농도가 조정되어지며, 프로펠러40에 의해 혼합액은 수로를 따라 순환되어진다. 호기산화구반응조20 혼합액은 내부침전장치30 또는 외부침전지를 거쳐 고액분리가 된 다음 오리피스관/웨어90을 통하여 반응기 밖으로 유출되어진다.
무산소 산화구반응조10와 호기 산화구반응조20에 설치된 베플51,52,53,54과 순환통로61,62는 반응기 내 혼합액의 흐름을 8자 형태로 유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베플51,52,53,54과 순환통로61,62는 조정판100을 이동하여 단면적을 조정 가능하게 함으로써 두 반응조 사이에 순환되는 양을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침전장치30는 호기 산화구반응조30의 수로단면을 가로질러 수위이 1/3정도 반응조 바닥으로부터 상부에 설치함으로써 침전장치 하부의 혼합액 흐름을 빨라지게 하고, 침전장치 하부에 여러개의 삼각형 모양의 베플55과 경사판110을 설치하여 침전된 슬러지가 침전조 하부의 혼합액 흐름에 의하여 다시 호기 산화구반응조20 안으로 유입되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상부에는 오리피관/웨어9O를 설치하여 국부적인 수면적 부하를 피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120은 유입관이고 121은 유출관이다.
(실시예)
표1은 본 시스템을 이용하여 오폐수를 처리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TOC NH4 -N TN PO4 - P
유입수 범위(㎎/ℓ) 394.0∼450.8 82.0∼119.2 83.3∼121.4 7.4∼19.4
유입수 평균(㎎/ℓ) 418.1 101.0 102.5 16.1
유출수 범위(㎎/ℓ) 5.7∼20.6 0.5∼9.7 1.7∼13.0 1.5∼9.8
유출수 평균(㎎/ℓ) 12.5 3.5 6.1 5.6
제거효율(㎎/ℓ) 97 96.7 93.6 64.7
수리학적 체류시간을 24∼48시간의 운전조건에서 실시한 경우 처리수의 유기물TOC과 총질고TN 농도가 평균 12.5㎎/L와 6.1㎎/L 정도의 양호한 수질을 얻을 수가 있었다. 총유기물TOC과 총질소TN의 처리효율은 각각 97.0%,93.6% 이었다.
상기에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베플51,52,53,54과 순환통로61,62를 이용하여 두 반으조 사이에 순환액이 조정판100을 통하여 조정되어 흐를 수 있는 연속폭기방식으로 운전함으로써 장치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유지관리가 용이하며, 유기물,질소의 고도처리가 가능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호기 산화구반응조20 내에 침전창치30를 설치하여 시스템을 콤펙트화하므로써 시설의 부지면적과 건설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침전장치30의 하부에 삼각형 모양의 베풀55과 경사판100을 설치하므로써 별도의 슬러지 순환장치 없이도 침전된 슬러지를 반응기내로 순환할 수 있어 운전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4)

  1. 무산소 산화구반응조10와 호기 산화구반응조20 사이에 8자 형태로 순환을 시키기 위한 베플51,52,53,54과 순환통로61,62와;
    처리수의 고액분리를 위하여 호기 산화구반응조20 내에 설치된 침전장치30로 구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폭기방식의 이중산화구 오폐수 고도처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무산소 산화구반응조10와 호기 산화구반응조20 사이에 폐수의 흐름을 유도하는 베플51,52,53,54과 순환통로61,62의 단면적을 조정 가능하도록 조정판100를 설치함으로써 두 반응조 사이의 순환량을 조정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폭기방식의 이중산화구 오폐수 고도처리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호기 산화구반응조20 내에 설치된 내부침전장치30는 침전조 하부에 삼각형 모양의 베플55과 경사판110을 설치함으로써 침전된 슬러지가 침전조 하부의 폐수 흐름에 의하여 다시 호기 산화구반응조20 안으로 유입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침전장치30를 갖는 연속폭기방식의 이중산화구 오폐수 고도처리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내부침전창치30는 국부적인 수면적 부하를 피하기 위하여 상부에 오리피스관/웨어90를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폭기방식의 이중산화구 오폐수 고도처리 장치.
KR1019990024529A 1999-06-26 1999-06-26 이중산화구 오폐수 고도처리 시스템 KR1003333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4529A KR100333325B1 (ko) 1999-06-26 1999-06-26 이중산화구 오폐수 고도처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4529A KR100333325B1 (ko) 1999-06-26 1999-06-26 이중산화구 오폐수 고도처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3974A true KR20010003974A (ko) 2001-01-15
KR100333325B1 KR100333325B1 (ko) 2002-04-24

Family

ID=19595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4529A KR100333325B1 (ko) 1999-06-26 1999-06-26 이중산화구 오폐수 고도처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33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35285A (zh) * 2021-10-13 2021-12-03 湖南金益环保股份有限公司 一种工业污水处理用循环处理曝气氧化池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48712A (en) * 1977-11-04 1985-10-22 Reid John H Conservation of momentum in a barrier oxidation ditch
JPS6068097A (ja) * 1983-09-21 1985-04-18 Nishihara Environ Sanit Res Corp 汚水中のν,p除去装置
US4818391A (en) * 1983-09-28 1989-04-04 Love Leonard S Integral Clarifier
JPS60132700A (ja) * 1983-12-21 1985-07-15 Sumitomo Jukikai Envirotec Kk 循環水路式曝気タンクにおける下水の生物脱窒処理方法
JP2587712B2 (ja) * 1990-06-26 1997-03-05 株式会社クボタ 排水処理装置
US5275722A (en) * 1992-02-25 1994-01-04 Beard Harold J Oxidation ditch wastewater treatment and denitrification system
KR100225971B1 (ko) * 1997-06-23 1999-10-15 한상배 질소.인 제거를 위한 하폐수처리장치 및 방법
KR100225972B1 (ko) * 1997-07-07 1999-10-15 한상배 경사판침전지 내장형 산화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35285A (zh) * 2021-10-13 2021-12-03 湖南金益环保股份有限公司 一种工业污水处理用循环处理曝气氧化池
CN113735285B (zh) * 2021-10-13 2022-12-09 湖南金益环保股份有限公司 一种工业污水处理用循环处理曝气氧化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33325B1 (ko) 2002-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61095A (en) Method and device for treating wastewater
CN105330108B (zh) 利用厌氧-接触氧化生物膜反应器处理生活污水方法及处理装置
CN212292993U (zh) 深度去除高浓度有机污染物的BioDopp生化反应器
CN100410189C (zh) 硝化反硝化一体式污水脱氮生物膜反应器
CN105198160A (zh) 一种利用复合菌剂处理生活污水的方法
CN101445298B (zh) 改进的uct污水处理系统及处理方法
CN107585974A (zh) 一种基于mbbr工艺的污水处理方法
CN108128986A (zh) 一体化多级ao分散污水处理装置及方法
CN105481170A (zh) 焦化废水处理系统及焦化废水处理方法
CN107445295A (zh) 改良氧化沟循环倍增系统
CN202945124U (zh) 一种高效低能耗城镇生活污水处理系统
CN108569817A (zh) 一种煤化工废水生化系统处理装置
CN208667430U (zh) 一种a2o-d2协同脱氮除磷的装置
CN101580331B (zh) 水蚯蚓-微生物共生系统泥水降解连续流反应器及应用
KR20130122192A (ko) 하이브리드 공간분리기능과 콤팩트형 접촉여재를 이용한 산화구 개선시스템
CN102329058A (zh) 污水三段生物处理工艺及装置
KR100333325B1 (ko) 이중산화구 오폐수 고도처리 시스템
CN108996689A (zh) 一种提高煤化工低碳氮比废水总氮去除率的固体碳源微曝气装置及其废水处理方法
CN101591086A (zh) 水解与高效曝气氧化沟污水处理系统
CN105712579A (zh) 一种海上平台高盐生活污水处理回用装置
KR100350050B1 (ko) 질소, 인 제거를 위한 순환수로형 하폐수처리시스템
CN219950694U (zh) 一种分散式生活污水处理用立体循环一体式氧化罐
CN202744427U (zh) 一体化多循环生物倍增污水处理系统
CN210825872U (zh) 一种垃圾渗滤液及高浓度有机污水处理工艺设备
CN210656594U (zh) 渗滤液生物化处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0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