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5971B1 - 질소.인 제거를 위한 하폐수처리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질소.인 제거를 위한 하폐수처리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5971B1
KR100225971B1 KR1019970026481A KR19970026481A KR100225971B1 KR 100225971 B1 KR100225971 B1 KR 100225971B1 KR 1019970026481 A KR1019970026481 A KR 1019970026481A KR 19970026481 A KR19970026481 A KR 19970026481A KR 100225971 B1 KR100225971 B1 KR 1002259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xidation
sphere
water
flow path
in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6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2774A (ko
Inventor
한상배
Original Assignee
한상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상배 filed Critical 한상배
Priority to KR10199700264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5971B1/ko
Priority to US09/102,694 priority patent/US6030528A/en
Priority to CN98102537A priority patent/CN1092608C/zh
Publication of KR199900027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27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59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59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36Particular type of activated sludge installations
    • C02F3/1263Sequencing batch reactors [SB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0Aerobic and anaerobic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ai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0Aerobic and anaerobic processes
    • C02F3/308Biological phosphorus remov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urification Treatments By Anaerobic Or Anaerobic And Aerobic Bacteria Or Anim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수 또는 폐수를 처리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침전지내장형산화구, 침전지외장형산화구 또는 활성슬러지공정을 각각 2기 이상 조합하여 하폐수처리시설을 구성하고 유로변경방식과 간헐포기운전방식으로 운전하여 하폐수중의 질소, 인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하폐수처리방법 및 그 장치이다.

Description

질소·인제거를 위한 하폐수처리장치 및 방법(Waste Water Treatment Methods for Removing Nitrogen Phosphorous and Waste Water Treatment Plants)
본 발명은 하폐수처리장에 있어서 질소와 인의 제거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침전지를 산화구(oxidation ditch)에 내장시켜 구성한 유니트시스템을 2기 이상 조합하고 간헐포기(intermittent aeration) 및 유로(流路) 변경방법으로 운영하여 하·폐수중의 유기물과 질소와 인을 제거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하수처리장에서 사용되어온 질소 및 인의 생물학적 제거공정은 유리산소를 공급하지 않는 무산소성반응공정(Anoxic process), 혐기성(Anaerobic)반응공정과 산소를 공급하는 호기성(Aerobic)반응공정을 거치게 된다. 호기성반응조에서는 유기질소 및 암모니아성질소를 질산성질소로 산화시키고, 무산소반응조에서는 질산성질소를 질소가스로 환원하여 대기중으로 방출시키는 탈질반응이 이루어진다. 혐기성반응조에서는 활성슬러지로부터 인의 방출이 유도된다. 이렇게 방출된 인성분은 다시 호기성 반응조에서 미생물에게 과잉섭취되고, 인을 과잉섭취한 미생물을 잉여활성슬러지를 통하여 제거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질소와 인이 제거된다.
종래의 질소와 인의 제거공법은 혐기성조, 무산소조 및 호기성조 등이 별도로 분리되고 일정용량으로 고정설치되므로 유입수질 및 유입수량의 변화에 탄력적으로 대처할 수 없었다. 또한 탈질반응을 위하여 메탄올을 전자공여체로 주입하거나 하수 중의 유기물을 이용하기 위하여 질산화조 유출수를 앞 단계의 탈질조(denitrification basin)로 내부 순환 시켜야 하였다. 메탄올을 주입할 경우 약품비용이 크게 소요되며, 하수 중의 유기물을 이용하여 충분한 질소제거효율을 얻기 위해서는 처리유량의 약 4배가 되는 내부순환유량이 소요되어 펌프시설비와 동력비 및 유지관리비가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상존하였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간헐포기방법 및 유로변경방법이 제안되었는데, 간헐포기방법 및 유로변경방법을 채택한 대표적인 종래의 기술로서는 바이오 데니포(Bio Denipho)공법 또는 PID(Phased Isolation Ditch)공법으로 불리는 것이 있다.
제7도의 (a)-(d)는 PID 공법에 관한 것으로 처리공정과 각 단계에서의 포기 또는 비포기 상태와 유입 및 유출방향의 변경 즉 유로변경상태가 나타나 있다.
먼저 전체적인 구성은 유입의 진행순서대로 예비탈질조(201a), 선택조(201b), 혐기성조(201c), 포기장치와 교반기(mixer)가 구비된 2개조 이상의 산화구(202, 203) 그리고 슬러지 수집장치(206)가 구비된 침전지(204)로 이루어져 있다. 또 침전지(204)로부터 예비탈질조(201a)로 슬러지를 반송(return)시킬 수 있는 슬러지반송펌프(205)와 슬러지 반송배관(208)이 구비되어 있다.
혐기성조(201c)의 기능은 유입된 원수를 침전지(204)에서 펌프(205)에 의하여 반송된 반송슬러지와 혼합시켜 혐기성상태를 유지하면서 슬러지로부터 인이 방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질산성 질소(NO3) 또는 아질산성질소(NO2)와 같은 화학적으로 결합된 산소가 존재하게 되면 슬러지로부터 인이 잘 방출되지 못하므로 혐기성조(201c)의 앞단계에서 원수 또는 반송슬러지 중에 함유된 유리산소 또는 질산성질소는 예비탈질조(201a)와 선택조(201b)에서 먼저 제거된다. 또는 혐기성조(201c)는 단락을 예방하기 위하여 2개조 이상으로 구분된 조의 조합으로 구성되고, 각각의 반응조에는 교반장치(301)가 설치되어 있다.
침전지(204)는 산화구(202,203)의 외부에 독립되어 설치되는 외장 침전지(External Clarifier)형태이다. 슬러지 수집장치(206)와 슬러지반송펌프(205)와 반송배관(208)이 부대 시설로 설치되어 있고, 슬러지반송유량은 유입원수량의 100%이상이 요구되는 구조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PID공법은 시설 및 유지관리 측면에서 보아 예비탈질조(201a), 선택조(201b), 혐기성조(201c) 및 침전지(204)의 장치구성과 부대시설인 교반기(301), 슬러지 수집기(206) 및 슬러지 반송펌프(205)등의 설치와 운전에 따른 설치비, 동력비, 시설관리비가 크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처리효율의 측면에서 보면 PID공법은 단계(Phase)의 전환이 신속하고 명확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처리효율이 저하될 우려도 있다. 혐기성 상태에서 인이 방출되어 인함량이 낮아진 활성슬러지는 호기성 상태로 전환되어 미생물이 활발하게 활성화될 때에 다시 인을 과잉섭취하게 된다. 그러나 PID 공법에서는 혐기성조(201c)에서 인 방출과정을 거친 슬러지가 (a)와 (c) 단계에서는 호기성 상태로 유입되지 못하고 무산소 상태로 유입되므로 미생물의 활동이 충분히 활성화되지 못하여 인의 섭취효율이 저하될 수도 있다.
탈질공정에서는 질소산화물을 환원하기 위하여 가급적 충분한 전자공여체 즉 유기물이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PID 공법에서는 무산소상태에서 탈질반응이 이루어지는 산화구로부터 탈질반응에 필요한 유기물이 다량흡착된 슬러지가 계속 유출되어 유기물의 유입량이 많으면 불리한 질산화 반응이 진행되는 산화구로 유입되므로 질산화반응에 좀 더 긴 시간이 요구되기도 하며 무산소 산화구에서의 탈질효율이 저하되기도 한다.
PID의 제1단계(제7도의 (a))에서는 탈질반응이 이루어지는 제1산화구(202)로부터 유입유량과 동일한 유량의 슬러지가 계속 유출되어 질산화반응이 이루어지는 제2산화구(203)로 유입된다. 따라서 슬러지에 흡착된 유기물이 슬러지와 함께 제1산화구(202)에서 유실되어 탈질공정에 불리하고, 질산화반응이 이루이지는 제2산화구(203)로 유입되어 질산화 반응에 불리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유로가 변경되고 제2산화구(203)에서 탈질반응이 이루어지는 제3단계(제7도의 (c))의 탈질공정에서도 동일하게 발생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제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시설비와 유지관리비를 절감할 수 있고, 하수중의 질소와 인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공법인 간헐포기법과 유로변경방법을 효율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하수처리시설과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무산소(Anoxic) 상태 또는 혐기성(Anaerobic) 상태가 요구되는 단계의 산화구에는, 주로 유기물 분해와 질산화가 진행되는 호기성 상태에 있는 산화구로부터 유리산소 또는 질소산화물이 유입되지 않고 유기물도 유실되지 않도록 개선하여 탈질효율을 향상시켰다. 또한 질산화가 진행되는 호기성상태의 산화구에는 무산소 또는 혐기성상태의 산화구로부터 유기물의 유입을 방지하여 질산화효율이 향상되도록 하였다. 즉, 반응의 종류가 상이한 산화구간에는 서로 슬러지가 이동하지 못하도록 개선하였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한 질소인제거를 위한 하수처리시설에서는 침전지에서 반송된 슬러지는 상기 반송슬러지가 인출된 침전지가 포함되는 유니트시스템을 구성하는 산화구에로만 유입된다. 즉 반송된 슬러지는 인접한 유니트시스템의 산화구로는 유입되지 않는 구조로 개선된 것이다. 또한 하폐수가 흐르는 방향이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는 유로와 유로제어수단이 도입되었다.
제1a도 - 제1f도는 본 발명에 따른 질소·인 제거 방법의 흐름도.
제2a도는 본 발명에 따른 질소·인 제거장치 제1실시예의 개략도.
제2b도는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는 내장형침전지의 한 예에 대한 단면도.
제3a도 - 제3f도는 본 발명에 따른 질소·인 제거장치 제1실시예의 운전방법 흐름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질소·인 제거장치 제2실시예의 개략도.
제5a도 - 제5d도는 본 발명에 따른 질소·인 제거장치 제2실시예의 운전방법 흐름도.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질소·인 제거장치 제3실시예의 개략도.
제7a도 - 제7d도는 종래의 질소·인 제거장치 및 방법(PID)의 개략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제1침전지내장형산화구 2 : 제2침전지내장형산화구
11 : 제1침전지외장형산화구 12 : 제2침전지외장형산화구
3 : 제1산화구 3a : 제2산화구
4 : 제1침전지 4a : 제2침전지
5, 5a : 슬러지 수집장치 6, 6a : 슬러지 반송펌프
7 : 제1외장형 침전지 7a : 제2외장형 침전지
21 : 1차 4방향수로 22 : 2차 4방향수로
31 : 1차 수문 32 : 2차 수문
40a : 유입구 40b : 유출구
40c : 슬러지반송구 41,41a : 원수유입유로조절밸브
42, 42a, 43, 43a : 단위요소간 유로조절밸브
45, 45a : 처리수유출유로조절밸브 aa', bb' : 수문의 조절방향
51: 원수유압유로 52 : 처리수유출유로
53 : 제1산화구유입유로 53a : 제2산화구유입유로
54 : 제1침전지유출유로 54a : 제2침전지유출유로
55 : 단위요소간 유로 61, 61a : 교반수단
62, 62a : 포기수단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 : 질소·인 제거 방법의 흐름도]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질소, 인제거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로서, 포기수단과 교반수단[도면미표기]이 구비된 산화구(3,3a)에 침전지(4,4a)가 내장된 유니트시스템인 제1, 제2침전지내장형산화구(1,2)로 이루어진 하폐수처리장치를 이용하여 유로변경 및 간헐포기에 의한 질소·인제거 공정을 나타낸 것이다.
[제1도의 (a)단계]
제1도의 (a)단계는 탈질반응과 유기물분해 및 질산화반응이 복합된 공정이다. 제1침전지내장형산화구(1)에서는 탈질반응이 일어나며 제2침전지내장형산화구(2)에서는 질산화반응이 일어나는 단계이다. 유로의 구성을 보면 먼저 유입수가 제1침전지내장형산화구(1)로 유입되고 제1침전지내장형산화구(1)의 유출수는 다시 제2침전지내장형산화구(2)를 거쳐서 처리수로써 유출된다.
이때 제1침전지내장형산화구(1)를 구성하는 단위요소인 제1산화구(3)에서는 포기시설의 가동이 중단되고 교반시설만이 가동되는 무산소(Anoxic) 상태에서 운전되고, 유입수에 함유된 유기물에 의하여 질소산화물이 질소가스 즉 유리질소로 환워되는 탈질반응이 일어나게 된다. 동시에 제2침전지내장형산화구(2)를 구성하는 단위요소인 제2산화구(3a)에서는 포기시설이 가동되어 호기성상태를 유지하면서 유기물 분해와 함께 질산화반응이 일어나게 된다.
상기 (a)단계는 종래기술인 제7도의 PID공법에서 제1단계에 해당하는 공정인데 PID공법에서는 제1산화구(202)에서 슬러지가 함유된 혼합액이 월류하여 제2산화구(203)로 유입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제1침전지내장형산화구(1)로부터 유출되는 유출수는 내장형침전지인 제1침전지(4)에서 슬러지가 침강분리된 상징수이므로 제1침전지(4)에서 제2산화구(3a)로 유입되는 유입수에는 슬러지가 포함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탈질공정인 상기 (a)단계의 제1침전지내장형산화구(1)로부터 유기물이 흡착된 슬러지가 유출되지 않게 되므로 유기물이 탈질반응조에 해당되는 제1산화구(3)로부터 유출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제1산화구(3)에서는 전자공여체인 유기물이 유실되지 않게 되어 탈질 효율이 향상되며, 제2산화구(3a)에는 유압유기물부하가 감소되므로 질산화효율이 개선된다.
[제1도의 (b)단계]
제1도의 (b)단계에서는 슬러지로부터 인이 방출되는 탈인공정이 주된 공정으로, 유로 및 포기장치의 가동형태는 상기 (a)단계와 동일하므로 외관상으로 상기 (a)단계와 구분되지 않으며 실제반응의 내용에 의해 상기 (a)단계와 구분되는 단계이다. 즉, 상기 (a)단계의 제1산화구(3)에서는 질소산화물이 환원되는 탈질반응이, (b)단계의 제1산화구(3)에서는 슬러지로부터 인이 방출되는 현상이 일어난다. (b)단계의 제1산화구(3)에서 효과적인 인의 방출을 위하여 제1침전지내장형산화구(1)에는 질소산화물과 같은 산화물형태의 결합산소도 존재하지 않는 완전 혐기성(Anaerobic)상태가 요구되며 이러한 질소산화물의 제거는 선행단계인 상기 (a)단계의 제1산화구(3)에서 충족된다.
(b)단계에서는 유입 및 유출수가 흐르는 방향과 포기 또는 비포기 상태등은 상기 (a)단계와 동일하다. 단지 무산소상태에서 질소산화물이 제거된 상기 (a)단계의 제1침전지내장형산화구(1)에는 질소산화물도 없는 완전 혐기성조건에서의 가동시간을 연장하여 슬러지로부터 인이 방출되도록 하는 단계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별도의 탈인시설을 설치하지 않고서도 상기 (a)단계에서 가동시간을 연장시킨 (b)단계만으로도 종래기술인 PID 공법에서의 혐기성조(201c)의 기능을 대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침전지(4,4a)가 산화구(3,3a)에 내장된 침전지내장형산화구 (1,2)를 채택하므로, 2개 이상의 산화구와 1계열의 외부침전지를 조합하여 구성한 PID 공법에서와 달리, 제1산화구(3)에 제1침전지(4)가 내장되어 구비된 제1침전지내장형산화구(1)에서는 슬러지가 제1침전지내장형산화구(1)내부에서 순환되므로, 호기성상태인 제2침전지내장형산화구(2)로부터 유리산소와 질소산화물이 함유된 슬러지가 유입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제7도의 PID에서와는 달리 본 발명에서는 슬러지 유입라인에 혐기성조(201a~201c) 등의 시설을 거치지 않고서도 제1산화구(1)내부는 완전 혐기성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유리산소 또는 결합산소를 함유한 반송슬러지가 호기성 반응조 즉, 제2산화구(3a)로부터 유입되지 않는 상기 (a)단계의 제1침전지내장형산화구(1)에서는 비포기상태에서 유입원수에 함유된 유기물에 의하여 질소산화물까지도 완전히 고갈되게 된다.
상기 (b)단계에서 혐기성상태인 제1침전지내장형산화구(1)에서는 슬러지를 구성하는 미생물로부터 인이 방출되게 되며 방출된 인은 하수중에 함유된 철염과 칼슘이온등과 결합하여 불용성화합물로 제거되기도 한다. 또한, 필요시 혐기성상태에서 약간의 철염등의 응결제를 주입하여 방출된 인을 불용성으로 고형화시켜 잉여슬러지와 함께 인출하여 폐기시킬 수도 있다. (b)단계의 제1침전지내장형산화구(1)에서 슬러지로부터 인이 방출되는 동안에도 제2침전지내장형산화구(2)는 호기성상태로 운전되면서 유기물의 분해와 질산화 반응이 계속 진행되게 된다.
[제1도의 (c)단계]
제1도의 (c)단계에서는 상기 (b)단계에서 혐기성상태로 가동되던 제1침전지내장형산화구(1)는 호기성상태로 전환된다. 그와 동시에 유로가 변경되어 유입수가 유입되지 않는 무부하상태에서 가동되므로 활성슬러지의 내생호흡에 필요한 산소만 소모되어 산소소모량은 매우 적다. 따라서, 이 단계에서는 제1침전지내장형산화구(1) 내부는 신속하게 호기성으로 전환되게 되고 혐기성상태에서 인이 방출되었던 슬러지는 다시 방출전의 상태보다 더 많은 양의 인을 과잉섭취하게 되며, 인이 농축된 슬러지를 제거함으로써 수체중의 인이 제거되는 공정이다.
(c)단계에서 제1침전지내장형산화구(1)가 다시 호기성상태로 전환되면 슬러지를 구성하는 미생물이 방출된 인을 과잉섭취하게 된다. 과잉섭취후의 용존된 잔여 인은 철염 또는 알루미늄염을 소량 주입하여 불용성으로 응결시켜 제거하면 제1침전지내장형산화구(1)에서의 인농도는 빈영양상태에 이르게 되어 응결제 주입량을 절약하면서도 높은 효율로 인을 제거할 수 있다. 잉여 슬러지는 주로 이 단계의 제1침전지내장형산화구(1)에서 인출하여 폐기하게 된다.
(c)단계에서는 상기 (a),(b)단계의 유로가 변경되어 유입원수는 제1침전지내장형산화구(1)를 거치지 않고 제2침전지내장형산화구(2) 즉, 제2산화구(3a)로 곧바로 유입되어 제2침전지(4a)를 거쳐서 처리수로 유출된다. 제2산화구(3a)는 호기성상태로 계속 유지되면서 유기물을 분해하고 질산화반응도 계속 진행된다.
[제1도의 (d)단계]
제1도의 (d)단계에서는 탈질과 질산화가 이루어지는 공정으로 제1, 제2침전지내장형산화구(1,2)의 역할과 유로가 서로 바뀐 것 외에는 반응의 형태가 (a)단계에서와 동일하다. 즉, (d)단계에서는 (a), (b), (c)단계에서 계속 호기성상태로 가동되어 질소산화물이 축적된 상기 제2침전지내장형산화구(2)에 원수가 유입되도록 유로를 변경한다. 포기장치는 가동을 중지하여 무산소상태로 운전하므로써 탈질반응이 이루어지게 된다. 동시에 제1침전지내장형산화구(1)는 포기장치가 가동되어 호기성성태로 전환되어 유기물분해와 질산화반응이 계속 이루어지게 된다.
제1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a)단계에서의 처리순서는 원수유입→제1침전지내장형산화구(1)[→제1산화구(3)→제1침전지(4)]→제2침전지내장형산화구(2)[→제2산화구(3a)→제2침전지(4a)]→처리수유출이다.(d)단계에서는 상기 (a)단계의 유로를 변경하여 원수유입→제2침전지내장형산화구(2)[→제2산화구(3a)→제2침전지(4a)]→제1침전지내장형산화구(1)[→제1산화구(3)→제1침전지(4)]→처리수유출로 변경한 것이다. 즉, (a)단계의 제1침전지내장형산화구(1)에서 이루어진 탈질반응이 (d)단계에서는 제2침전지내장형산화구(2)에서 이루어지고, 상기 (a)단계의 제2침전지내장형산화구(2)에서 이루어진 질산화반응이 (d)단계서는 제1침전지내장형산화구(1)에서 이루어지도록 교체되었을 뿐이며 (d)단계의 반응의 내용은 (a)단계의 반응내용과 일치한다.
[제1도의 (e)단계]
(e)단계에서는 슬러지로부터 인이 방출되는 혐기성반응과 질산화 및 유기물 분해반응이 이루어지는 공정으로 유로와 포기 및 비포기상태는 상기 (d)단계에서와 동일하며 반응의 내용은 상기 (b)단계와 동일하다. 즉, 제1침전지내장형산화구(1)에서는 계속 유기물 분해와 질산화반응이 유지되는 상태에서 (d)단계에서 무산소상태로 운전되어 탈질반응이 종료된 제2침전지내장형산화구(2)는 (e)단계에서는 질소산화물이 존재하지 하는 완전혐기성상태로 전환되어 슬러지로부터 인이 방출되게 된다. 유출입 유로와 제1 및 제2침전지 내장현산화구(1,2)의 기능이 서로 바뀐 것 외에는 상기 (b)단계에서와 동일한 처리과정을 거치는 단계이다.
즉, (e)단계의 제1침전지내장형산화구(1)의 반응내용은 상기 (b)단계의 제2침전지내장형산화구(2)의 반응내용과, (e)단계의 제2침전지내장형산화구(2)의 반응내용은 상기 (b)단계의 제1침전지내장형산화구(1)의 반응내용과 동일하다. 그리고 이 단계는 PID공법의 혐기성조의 역할을 대체하는 공정이다.
[제1도의 (f)단계]
(f)단계에서도 유로와 제1산화구(3)와 제2산화구(3a)의 반응내용이 서로 바뀐 것 외에는 상기 (c)단계의 반응내용과 동일하다. 즉, 제1침전지 내장형산화구(1)는 호기성상태로 운전되면서 유입 및 유출이 발생되고 제2침전지내장형산화구(2)는 유량 및 유기물부하가 주어지지 않고 호기성상태에서 무부하 운전을 하게 되는 단계이다.
제1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c)단계에서의 흐름은 원수유입→제2침전지내장형산화구(2)[→제2산화구(3a)→제2침전지(4a)]→처리수유출인 것을 (f)단계에서는 원수유입→제1침전지내장형산화구(1)[→제1산화구(3)→제1침전지(4)]→처리수유출로 유로가 변경된 것이다. (f)단계에서의 반응의 내용은 제1, 2침전지내장형산화구(1,2)의 반응내용이 (c)단계 공정과 서로 바뀐 것 외에는 동일하다.
상기 (a) ~ (f) 단계에서 호기성, 무산소성, 혐기성상태 또는 질산화 및 탈질반응의 진행정도는 감지기(Sensor)를 산화구(3,3a)에 설치하여 산화환원전위(ORP), 수소이온농도(pH), 용존산소농도(DO) 또는 반응에 경과된 시간을 측정하여 예측할 수 있다. 따라서, 단계의 전환에 필요한 수문과 밸브 또는 포기장치를 시간조절장치 (Timer), 산화환원전위제어기(ORP Controller), 수소이온농도제어기(pH Controller) 또는 용존산소농도제어기(DO Controller)에 연동하여 작동시킴으로써 공정의 자동 전환과 용이한 처리장운영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상의 각 단계를 정리하면 표 1과 같다.
[표 1]
각 단계별 반응내용과 유로의 구성[제1도 참조]
Figure kpo00002
[제2도에 관한 설명]
제2a도는 제1도의 각 단계에서 요구하는 유로를 실질적으로 구성하여 유로구성조건을 충족시키는 실시예이다. 구체적으로는 원수유입유로(51), 처리수유출유로(52)와 산화구(3,3a)와 침전지(4,4a) 등의 단위요소들 사이를 유로(53,53a,54,54a)로 연결하고 유로변경 수단으로는 밸브(41~45a)를 사용한 실시예이다.
원수는 원수유입유로(51)를 거쳐서 제1침전지내장형산화구(1)의 제1산화구 (3)나 제2침전지내장형산화구(2)의 제2산화구(3a)로 유입될 수 있도록 유로가 구성되어 있고 각각의 유로에는 원수유입유로조절밸브(41,41a)가 설치되어 있다.
단위요소간의 유로는 제1산화구(3)와 제2산화구(3a), 제1침전지(4)와 제2침전지(4a)를 서로 연결시키도록 되어 있고, 각각의 유로에는 유로조절밸브(42,42a,43,43a)가 설치되어 있다. 또 2개의 산화구(3,3a)를 열결하는 관로와 2개의 침전지(4,4a)를 연결하는 관로가 서로 연결되어 단위요소간 유로(55)가 형성되어 있다.
제1침전지(4) 및 제2침전지(4a) 사이의 유로에서 분기된 각각의 유로에 처리수유출유로조절밸브(45,45a)가 구비된 처리수유출유로(52)가 형성되어 있다. 처리수유출유로(52)는 시설비의 절감을 위하여 처리수유출유로조절밸브(45,45a) 이후부터는 하나의 관로(52)로 통합하는 것이 유리하다.
제2b도는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는 산화구내부에 설치되는 일반적인 내장형침전지의 한 예에 대한 단면도로서, 침전지(4)의 일측에는 산화구로부터 수체가 유입되는 유입구(40a)가 설치되어 있고, 다른 일측의 상부에는 상징수가 유출되는 월류웨어 또는 수중오리피스형태의 유출구(40b)가 설치되며, 하부에는 침전분리된 슬러지가 산화구로 반송되는 슬러지반송구(40c)가 구비되어 있다.
[제3도 : 장치 제1실시예의 운전방법에 관한 설명]
제3도는 제2도에 표시된 실시예의 유로변경방법을 그림으로 설명하는 것이다.
[제3도의 (a), (b) 단계]
이들 단계는 제1산화구(1)가 무산호 또는 혐기성 상태로 운전되는 제1도의 (a)단계 및 (b)단계와 반응내용이나 공정 및 유로흐름이 서로 일치한다.
제1산화구(3)로 향하는 유로에 설치된 원수유입유로조절밸브(41)는 개방되고 제2산화구(3a)로 향하는 유로에 설치된 원수유입유로조절밸브(41a)는 닫혀서 원수는 제1산화구(3)로만 유입되게 한다.
그리고 제1침전지(4)의 유출수가 제2산화구(3a)로 유입되도록 단위요소간 유로조절밸브가 조작된다. 즉, 2개의 단위요소간 유로조절밸브(42a,43)는 개방되고 나머지 단위요소간 유로조절밸브(42,43a)는 닫힌다. 제1침전지(4)에서는 처리수가 유출되지 않도록 제1침전지(4)측에 설치된 처리수유출유로조절밸브(45)는 닫히고 제2침전지(4a)측에 설치된 처리수유출유로조절밸브(45a)는 개방되어 제2침전지(4a)에서 처리수가 유출된다.
[제3도의 (c)단계]
제3도의 (c)단계에서는 앞단계인 (a) 및 (b)단계에서 개방되었던 제1산화구(3)로 유입되는 유로(53)의 원수유입유로조절밸브(41)가 닫히고, 제2산화구(3a)의 원수유입유로조절밸브(41a)가 개방되어 유입원수는 제2산화구(3a)로 유입된다.
제1산화구(3)와 제2산화구(3a)를 연결하는 단위요소간유로조절밸브(42,42a,43,43a)는 모두 닫혀서 단위요소들 사이에는 유출입이 발생되지 않고 제1산화구(3)는 무부하 상태로 운전된다.
제2산화구(3a)에서 호기성 상태로 처리된 처리수는 처리수유출유로(52)를 통하여 유출된다. 이때 제1침전지(4)측의 처리수유출유로조절밸브(45)는 닫히고 제2침전지(4a)측의 처리수유출유로조절밸브(45a)는 개방된다. (c)단계에서는 제1 및 제2산화구(3,3a) 모두가 호기성상태에서 운전되어야 하므로 제1산화구(3)의 포기수단(62)은 가동을 시작하고 제2산화구(3a)의 포기수단(62a)은 앞단계에서와 같이 계속 가동상태를 유지한다.
[제3도의 (d), (e)단계]
이들 단계는 제2산화구(3a)가 무산소 또는 혐기성 상태로 운전되는 제1도의 (d)단계 및 (e)단계와 반응내용이나 공정 및 유로흐름이 서로 일치한다. 제2산화구(3a)로 향하는 유로(53a)에 설치된 원수유입 유로조절밸브(41a)는 개방되어 원수가 유입되고 제1산화구(3)로 향하는 유로(53)에 설치된 원수유입유로조절밸브 (41)는 닫힌 상태로 있다.
제2침전지(4a)의 유출수가 제1산화구(3)로 유입되도록 2개의 단위요소간 유로조절밸브(42,42a)는 개방되고 나머지 단위요소간 유로조절밸브(42a,43)를 닫힌다. 이때 제2침전지(4a)의 처리수는 유출되지 않도록 제2침전지(4a)측에 설치된 처리수유출유로조절밸브(45a)는 닫히고 제1침전지(4)측에 설치된 처리수유출유로조절밸브 (45)가 개방되어 처리수가 유출된다.
(d), (e)단계에서는 제1산화구(3)의 내부가 호기성상태로 유지되도록 앞단계에서와 같이 포기수단(62)이 계속 가동되고 제2산화구(3a)는 무산소 또는 혐기성상태에서 운전되도록 포기수단(62a)의 가동이 중지된다.
[제3도의 (f)단계]
제3도의 (f)단계에서는 앞단계인 (d) 및 (e) 단계에서 개방되었던 제2산화구 (3a)로 유입되는 유로(53a)의 원수유입유로조절밸브(41a)는 닫히고 제1산화구(3)의 원수유입유로조절밸브(41)가 개방되어 유입원수는 제1산화구(3)로 유입된다.
제2산화구(3a)와 제1산화구(3)의 단위요소들을 연결하는 단위요소간 유로조절밸브(42,42a,43,43a)는 모두 폐쇄되고 제2산화구(3a)는 유입수가 없는 무부하상태로 운전된다.
제2침전지(4a)측의 처리수유출유로조절밸브(45a)는 닫히고 제1침전지(4)측에 설치된 처리수유출유로조절밸브(45)는 개방되어 제1침전지내장형산화구(1)에서 호기성상태로 처리된 처리수는 처리수유출유로(52)를 통하여 유출된다.
(f)단계에서는 제1 및 제2산화구(3,3a) 모두가 호기성상태에서 운전되어야 하므로 제2산화구(3)의 포기수단(62a)은 가동이 개시되고 제1산화구(3)의 포기수단(62)은 앞단계에서와 같이 계속 가동된다.
제3도에서의 (a) ~ (f)단계간의 공정전환을 위하여 유로를 변경하는데 필요한 밸브의 조작방법을 정리하면 다음 [표 2]의 내용과 같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유로의 구성은 관수로(管水路)와 밸브로 구성하거나 또는 다양한 형태의 개수로(開水路)와 수문(Gate)등으로 유로를 구성할 수 있으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이다.
[표 2]
제3도의 각 단계별 유로구성을 위한 밸브조작 방법
Figure kpo00003
[제4도 : 장치 제2실시예에 관한 설명]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하폐수처리 방법의 각 단계를 이행하기 위한 유로를 충족시키는 제2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유입유출유로 및 침전지(4,4a), 산화구(3, 3a)등의 단위요소 사이의 유로변경장치가 2개의 4방향수로(21,22)로 구성되어 있고 각각의 4방향수로(21,22)에는 수문(31,32)이 설치된 것이다.
1차 4방향수로(21)중의 하나가 수로가 원수가 유입되는 원수유입유로(51)에 연결되어 있고 원수유입유로(51)의 양측으로 마주보는 2개의 유로는 각각 제1산화구(3)와 제2산화구(3a)의 유입구인 제1산화구유입유로(53)와 제2산화구유입유로(53a)에 연결되어 있다. 나머지 수로는 2차 4방향수로(22)와 연결되어 단위요소간 유로(55)를 이룬다.
2차 4방향수로(22)도 1차 4방향수로(21)와 연결된 단위요소간유로(55)의 양측으로 2개의 유로는 각각 제1침전지(4)의 유출구 및 제2침전지(4a) 유출구와 연결되어 제1침전지유출유로(54)와 제2침전지유출유로(54a)를 구성한다. 2차 4방향수로(22)의 나머지 한 개의 유로는 처리수가 유출되는 처리수 유출유로(52)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1차 및 2차 4방향수로의 중앙에는 회전가능한 수문(31,32)이 설치되어 90°로 회전되면서 유로가 변경된다.
[제5도:장치 제2실시예의 운전방법에 관한 설명]
제5도는 4방향수로를 채택한 제4도에 표시된 폐수처리시설에서 각 단계별로 수로의 수문이 개폐되는 상황을 나타낸다.
각 단계별로 제5도에 표시된 유로변경방법에 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5도의 (a)단계]
이 단계는 제1침전지내장형산화구(1)가 무산소 또는 혐기성상태로 운전되는 제1도의 (a)단계 및 (b)단계와 반응내용이나 공정 및 유로흐름이 서로 일치한다. 즉, 1차 4방향수로의 수문(31)이 aa'방향으로 조작되어 원수는 원수유입유로(51), 1차 4방향수로(21) 및 제1산화구유입유로(53)를 통하여 제1산화구(3)로 유입된다.
동시에 2차 4방향수로(22)의 수문(32)도 aa'방향으로 조작되어 제1침전지(4) 유출수는 제1침전지유출유로(54), 2차 4방향수로(22), 단위요소간유로(55), 1차 4방향수로(21)와 제2산화구유입유로(53a)를 통하여 제2산화구(3a)로 유입된다.
2차 4방향수로(22)의 수문(32)이 aa'방향으로 조작되어 있으므로 제2침전지 (4a)의 처리수는 별도의 수문조작없이 자연적으로 제2침전지유출유로(54a)와 2차 4방향수로(22) 및 처리수유출유로(52)를 통과하여 유출된다.
제2실시예에서의 (a)단계에서도 제1실시예에서와 같이 제1산화구(3)의 내부가 무산소 또는 혐기성상태에서 운전되도록 포기수단(62)의 가동은 중지되며 제2산화구에서는 호기성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포기수단(62a)이 계속 가동된다.
[제5도의 (b)단계]
제1산화구(3)는 유출입이 없는 무부하상태에서 호기성으로 가동되고 제2산화구(3a)에서만 유입 및 유출이 발생되는데, 제1도의 (c)단계와 같은 반응내용 및 공정으로의 전환을 위해 1차 수문(31)이 aa'방향에서 bb'방향으로 90°회전된다.
원수는 원수유입수로(51)를 따라 유입되어 1차 4방향수로(21)와 제2산화구유입유로(53a)를 경유하여 제2산화구(3a)로 유입된다.
2차수문(32)은 상기(a)단계와 같이 aa'방향에서 별도의 수문조작은 없다.
제1산화구(3)는 1, 2차수문(31,32)에 의하여 제1산화구유입유로(53)와 제1침전지유출유로(54)가 차단된 상태에서 유출입이 발생되지 않고 무부하상태로 운전되게 된다.
이 단계에서는 제1, 2산화구 (3,3a)모두가 호기성상태로 운전되어야 하므로 제1산화구(3)의 포기수단(62)은 가동이 개시되고 제2산화구(3a)의 포기수단(62a)은 앞단계에서와 같이 계속 가동상태를 유지한다.
[제5도의 (c)단계]
이 단계는 제2침전지내장형산화구(2)가 무산소 또는 혐기성상태로 운전되는 제1도의 (d)단계 및 (e)단계와 반응내용 및 유로구성이 서로 일치한다. 1차 4방향수로의 수문(31)은 bb'방향으로 조작되어 원수는 원수유입유로(51), 1차 4방향수로(21) 및 제2산화구유입유로(53a)를 거쳐서 제2산화구(3a)로 유입된다.
동시에 2차 4방향수로(22)의 수문(31)도 bb'방향으로 조작되어 제2침전지 (4a)의 유출수는 제2침전지유출유로(54a), 2차 4방향수로(22), 단위요소간유로(55), 제1차 4방향수로(21)와 제1산화구유입유로(53)를 거쳐서 제1산화구(3)로 유입된다. 2차 4방향수로(22)의 수문(32)이 bb'방향으로 조작되어 있으므로 제1침전지(4) 유출수는 제1침전지 유출유로(54)와 처리수유출유로(52)를 통과하여 처리수로서 유출된다.
제1산화구(3)의 내부가 호기성상태로 유지되도록 앞단계에서와 같이 포기수단(62)이 계속 가동되고 제2산화구(3a)는 무산소 또는 혐기성상태에서 운전되도록 포기수단(62a)의 가동이 중지된다.
[제5도의 (d)단계]
이 단계에서는 제2산화구(3a)는 유출입이 없는 무부하상태에서 호기성으로 가동되고 제1산화구(3)에서만 유입 및 유출이 발생되는데, 유로는 1차수문(31)이 bb'방향에서 aa' 방향으로 90°회전된다.
원수는 원수유입유로(51)를 따라 유입되어 1차 4방향수로(21)와 제1산화구유입유로(53)를 거쳐서 제1산화구(3)로 유입된다.
2차수문(32)은 bb'방향에서 별도의 수문조작이 없다. 제1침전지(4)의 유출수는 제1침전지유출유로(54), 2차 4방향수로(22) 및 처리수유출유로(52)를 거쳐서 처리수로서 유출된다. 제2산화구(3a)는 제2산화구유입유로(52a)와 제2침전지유출유로 (54a)가 차단된 상태에서 유출입이 발생되지 않고 포기수단의 가동이 개시되어 호기성 상태로 운전된다. 제1산화구(3)의 포기수단(62)은 앞단계에서와 같이 계속 가동상태를 유지한다.
제5도의 (a) ~ (d)단계에서 요구되는 유로를 변경하는데 필요한 수문의 조작방법을 정리하면 다음 [표 3]의 내용과 같다.
[표 3]
제5도의 각 단계별 유로 구성을 위한 수문조작 방법
Figure kpo00004
본 실시예에서는 유로의 구성은 개수로(開水路)와 수문(Gate)으로 구성하거나 또는 다양한 형태의 관수로나 밸브 등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이다.
[제6도의 장치 제3실시예에 관한 설명]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유로변경 및 간헐포기에 의한 질소·인 장치에 관한 제3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침전지의 형식이 외장형침전지(7,7a)로 변경된 것 외에는 제4도의 장치 제2실시예에서와 장치의 구성이 동일하며 운전방법과 반응의 내용도 제5도의 내용과 동일하다.
제6도에서는 장치를 구성하는 유니트시스템과 유로변경방법으로 침전지외장형산화구(11,12)에 4방향수로(21,22)를 조합시켜 구성한 제3실시예를 보이고 있다. 주로 유기물 제거용으로 이미 시설이 완료되었거나 가동중인 종래의 침전지외장형산화구(11,12) 또는 활성슬러지공정에 유로변경시설과 간헐포기시설을 추가로 설치함으로써 용이하게 질소와 인을 제거할 수 있는 시설로 보완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성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질소인제거를 위한 하폐수처리장치 및 방법을 이용하게 되면, 질소와 인의 제거효율이 향상되고 안정되어 국내외적으로 심각한 하천과 호소의 부영양화 현상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또 종래의 기술인 제7도의 PID에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장점을 보유한 질소인제거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영양염류의 제거효율이 우수하고 안정된다.
·질산화 및 탈질산화 반응과 인의 방출 및 과잉섭취반응에 필요로 하는 상태의 전환이 신속하고 반응시간이 단축된다.
·예비탈질조(201a), 선택조(201b) 및 혐기성조(201c)가 불필요하고 산화구와 침전지가 일체형이므로 부지의 활용도가 높고 구조물공사비가 절감된다.
·예비탈질조 등에 설치되는 교반장치(301)와 침전지의 슬러지수집장치 (206), 반송슬러지펌프(205) 등 기계공사가 생략되므로 기계공사와 부수되는 전기계장 공사 등 시설비면에서 매우 경제적이다.
·처리공정이 단순하므로 동력과 유지관리인력 등 유지관리면에서 경제적이다.
·침전지내장형산화구를 사용하므로 PID에서보다 산화구(202)와 침전지(204) 사이의 수두손실이 적어 유입펌프장의 양정이 감소된다.
·침전지내장형산화구를 사용하므로 산화구가 호기성을 유지하는 한 침전지도 언제나 호기성상태이므로 침전지에서 슬러지부상이나 인의 재방출에 의한 처리수질이 악화될 가능성이 적다.

Claims (9)

  1. 수중에 용존산소를 공급하는 포기수단(62,62a)과 수체를 혼합하는 교반수단(61,61a)이 구비된 산화구(3,3a) 각각에 침전지(4,4a)가 내장된 2기 이상의 침전지내장형산화구(1,2)에 원수를 유입시키는 원수유입유로(51)와 상기 침전지(4,4a)에서 처리수가 유출되는 처리수유출유로(52)와 상기 산화구(3,3a) 및 사익 침전지(4, 4a)등 단위요소간에 수체가 이동될 수 있도록 연결된 산화구유입유로와 단위요소간유로(55) 및 침전지유출유로가 구비되어 유로를 조작함으로써 하폐수의 흐르는 방향이 변경될 수 있게 되며, 상기 포기수단(62,62a)은 간헐포기식으로 가동될 수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소인제거를 위한 하폐수처리장치
  2. 수중에 용존산소를 공급하는 포기수단(62,62a)과 수체를 혼합하는 교반수단(61,61a)이 구비된 산화구(3,3a)와, 슬러지수집장치(5,5a) 및 슬러지반송펌프시설(6,6a)을 구비하고 상기 각각의 산화구(3,3a)에 연결된 침전지(7,7a)를 구비한 2기 이상의 침전지외장형산화구(11,12)에 원수를 공급하는 원수유입유로(51) 및 상기 침전지(7,7a)에서 처리수가 유출되는 처리수유출유로(52)와 상기 산화구(3,3a) 및 상기 침전지(7,7a)등 단위 요소간에 수체가 이동될 수 있는 단위요소간유로(55)가 구비되어 유로를 조작함으로써 하폐수의 흐르는 방향이 변경될 수 있게 되며, 상기 포기수단(62,62a)은 간헐포기식으로 가동될 수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소인제거를 위한 하폐수처리장치.
  3. 하폐수의 처리공정은 유입원수→제1산화구(3)→제1침전지(4)→제2산화구(3a)→제2침전지(4a)→처리수유출의 과정을 거치도록 유로를 조작하고, 상기 제2산화구(3a)에서는 포기수단(61a)을 가동하여 유기물 분해와 질산화반응을 위한 호기성상태로 두고, 제1산화구(3)에서는 포기수단(61)의 가동을 중지하여 질소산화물이 유리질소로 환원되는 탈질반응을 위한 무산소(Anoxic)상태로 운영하는 단계(a); 하폐수의 처리공정은 유입원수→제1산화구(3)→제1침전지(4)→제2산화구(3a)→제2침전지(4a)→서리수유출의 과정을 거치도록 유로를 조작하고, 상기 제2산화구(3a)에서는 포기수단(62a)을 가동하여 유기물 분해와 질산화반응을 위한 호기성상태로 두고, 제1산화구(3)에서는 포기수단(62)의 가동을 중지하여 슬러지로부터 인이 방출되도록 하는 혐기성(Anaerobic)상태로 운영하는 단계(b); 하폐수의 처리공정은 유입원수→제2산화구(3a)→제2침전지(4a)→처리수유출의 순서로 흐르도록 유로를 조작하고, 제1산화구(3)→제2산화구(3a)에는 모두 포기수단(62,62a)을 가동하여 호기성상태로 운영하되 제1산화구(3) 및 제1침전지(4)에는 외부로부터 유출입이 발생되지 않는 무부하보호기성상태로 운영하여 슬러지에 인이 과잉섭취되도록 하는 단계(c); 하폐수의 처리공정은 유입원수→제2산화구(3a)→제2침전지(4a)→제1산화구(3)→제1침전지(4)→처리수유출 과정을 거치도록 유로를 조작하고, 상기 제1산화구(3)에서는 포기수단(62)을 가동하여 유기물 분해와 질산화반응을 위한 호기성상태로 두고, 상기 제2산화구(3a)에서는 포기수단(62a)의 가동을 중지하여 질소산화물이 유리질소로 환원되는 탈질반응을 위한 무산소(Anoxic)상태로 운영하는 단계(d); 하폐수의 처리공정은 유입원수→제2산화구(3a)→제2침전지(4a)→제1산화구(3)→제1침전지(4)→처리수유출 과정을 거치도록 유로를 조작하고, 상기 제1산화구(3)에서는 포기수단(62)을 가동하여 유기물 분해와 질산화반응을 위한 호기성상태로 두고, 상기 제2산화구(3a)에서는 포기수단(62a)의 가동을 중지하여 슬러지로부터 인이 방출되도록 하는 혐기성(Anaerobic)상태로 운영하는 단계(e); 및 하폐수의 처리공정은 유입원수→제1산화구(3)→제1침전지(4a)→처리수유출의 과정을 거치도록 유로를 조작하고, 제1산화구(3)와 제2산화구(3a)는 포기수단이 가동되어 호기성상태로 운영하되 제2산화구(3a) 및 제2침전지(4a)에는 외부로부터 유출입이 발생되지 않는 무부하 호기성상태로 운영하여 슬러지에 인이 과잉섭취되도록 하는 단계(f)를 포함하고 상기 포기수단은 간헐적으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소인제거를 위한 하폐수처리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산화구(3)에는 (b)단계의 반응중 또는 (c)단계의 반응중에, 상기 제2산화구(3a)에는 (e)단계의 반응중 또는 (f)단계의 반응중에 철염 또는 알루미늄염 등의 응결제를 주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소인제거를 위한 하폐수처리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산화구(3)에서 발생되는 잉여슬러지의 인출은 (c)단계에서 인출하고, 상기 제2산화구(3a)에서 발생되는 잉여활성슬러지는 (f)단계에서 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질소인제거를 위한 하폐수처리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수유입유로는 제1산화구(3)와 제2산화구(3a)로 각각 유입될 수 있도록 분기되어 상기 산화구유입유로(53,53a)와 연결되어 있고 각각의 유입유로에는 원수유입유로조절밸브(41,41a)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침전지유출유로는 각각 처리수유출유로조절밸브가 구비된 채 침전지와 처리수유출유로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단위요소간 유로는 각 연결부위에 단위요소간유로조절밸브를 구비하고서 상기 산화구유입유로와 침전지유출유로 사이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소인제거를 위한 하폐수처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수유입유로는 1차 4방향수로의 한 수로에 연결되고 각 산화구에 연결되는 상기 산화구유입유로는 상기 1차 4방향수로의 마주보는 2개의 수로에 각각 연결되고, 각 침전지에 연결되는 상기 침전지유출유로는 2차 4방향수로의 마주보는 2개의 수로에 각각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단위요소간유로는 상기 1차 4방향수로와 상기 2차 4방향수로 사이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처리수유출유로는 상기 2차 4방향수로의 나머지 수로에 연결되고, 상기 1차 및 2차 4방향수로에는 수문(31,32)이 구비되어 수문이 회전되면서 유로가 변경될 수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소인제거를 위한 하폐수처리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구(3,3a) 내에 설치되는 포기수단(62,62a)은 타이버(Timer)나 산화구(3,3a)에 감지기(Sensor)가 설치된 수소이온농도제어기(pH Controller), 용존산소농도제어기(DO Controller), 산화환원전위제어기(ORP Controlldr)에 연동하여 간헐적으로 가동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소인제거를 위한 하폐수처리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문은 타이머(Timer)나 용존산소농도제어기(DO Controller), 산화환원전위제어기(ORP Controller)에 연동하여 자동으로 개폐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소인제거를 위한 하폐수처리장치.
KR1019970026481A 1997-06-23 1997-06-23 질소.인 제거를 위한 하폐수처리장치 및 방법 KR1002259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6481A KR100225971B1 (ko) 1997-06-23 1997-06-23 질소.인 제거를 위한 하폐수처리장치 및 방법
US09/102,694 US6030528A (en) 1997-06-23 1998-06-22 Waste water treatment plant for removing nitrogen and phosphorus
CN98102537A CN1092608C (zh) 1997-06-23 1998-06-23 用于除去氮和磷的废水处理方法和所用的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6481A KR100225971B1 (ko) 1997-06-23 1997-06-23 질소.인 제거를 위한 하폐수처리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2774A KR19990002774A (ko) 1999-01-15
KR100225971B1 true KR100225971B1 (ko) 1999-10-15

Family

ID=19510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6481A KR100225971B1 (ko) 1997-06-23 1997-06-23 질소.인 제거를 위한 하폐수처리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030528A (ko)
KR (1) KR100225971B1 (ko)
CN (1) CN1092608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3325B1 (ko) * 1999-06-26 2002-04-24 하재철 이중산화구 오폐수 고도처리 시스템
KR100463590B1 (ko) * 2003-03-14 2004-12-29 한상배 탈질·탈인반응에 이용 가능한 이분해성 유기물농도를증대시키는 고도처리방법
KR100438022B1 (ko) * 2003-04-08 2004-06-30 (주)자연과환경 부상여재를 이용한 고도 폐수처리 방법
US7252765B2 (en) * 2004-03-01 2007-08-07 Black & Veatch Holding Co. Process for improving phosphorous removal in waste water treatment without chemical addition
KR100581751B1 (ko) * 2004-04-29 2006-05-22 한상배 반응조간 고액분리와 유로변경 및 간헐포기에 의한하폐수고도처리방법
CN100400437C (zh) * 2006-04-06 2008-07-09 山东大学 一种同步反硝化脱氮除磷的污水处理工艺
CN100537449C (zh) * 2007-11-21 2009-09-09 天津市天水环保设计工程有限公司 主沟环抱功能池型整体合建式氧化沟
CN110040852A (zh) * 2019-05-31 2019-07-23 凌志环保股份有限公司 一种间歇运行的罐式氧化沟集成装置
CN110078216B (zh) * 2019-05-31 2021-11-16 凌志环保股份有限公司 一种交替连续运行的双罐式氧化沟集成系统
CN112279357A (zh) * 2020-10-16 2021-01-29 江苏南大生态环境建设有限公司 一种一体化生活污水脱氮除磷深度处理装置
CN113461257A (zh) * 2021-06-24 2021-10-01 贵州大学 一种城镇污水一体化双循环氧化沟装置及处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66705A (en) * 1984-08-24 1990-10-30 Austgen Biojet Holdings Pty. Ltd. Waste water treatment plant and process
US5071547A (en) * 1990-03-23 1991-12-10 Separations Technology, Inc. Column chromatographic column apparatus with switching capability
US5354471A (en) * 1992-10-19 1994-10-11 Timpany Peter L Method of treating wastewa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2774A (ko) 1999-01-15
CN1203197A (zh) 1998-12-30
CN1092608C (zh) 2002-10-16
US6030528A (en) 2000-0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50893B1 (ko) 공정간 고액분리와 유로변경 및 간헐포기에 의한 질소, 인제거방법 및 장치
JP5932639B2 (ja) 嫌気性アンモニア酸化反応を利用した生物学的窒素除去方法
EP1259465B1 (en) Method and system for sustainable treatment of municipal and industrial wastewater
CN104944689B (zh) 一种处理高氨氮废水的装置及方法
CN105692902B (zh) 一种处理城市生活污水的双颗粒污泥一体化工艺
KR100225971B1 (ko) 질소.인 제거를 위한 하폐수처리장치 및 방법
CN103068748A (zh) 接触-稳定/初期-浮选混合
KR100231084B1 (ko) 포스트립 공법을 개조한 생물학적 인 및 질소 동시 제거 장치 및 방법
CN103979682A (zh) 一种分区进水式d-a2o污水处理装置
KR100473639B1 (ko) 하수슬러지로부터 생산된 유기산을 이용한 고도하수처리시스템 및 고도하수 처리방법
CN211847610U (zh) 一种离子型稀土矿废水处理装置
CN108569817A (zh) 一种煤化工废水生化系统处理装置
CN106745744A (zh) 污水处理方法及污水处理系统
CN106396105A (zh) 一种用于污水处理的多模式反应池
KR100321231B1 (ko) 수위 및 유로변경과 간헐포기에 의한 질소, 인 제거방법및 장치
CN115385451A (zh) 一种两级a/o活性污泥法污水处理系统及工艺
KR100415831B1 (ko) 산화구 하수 고도처리장치
KR100566320B1 (ko) 침지식 멤브레인 결합형 하폐수 고도처리방법 및 장치
CN103613193B (zh) 一种分区进水式d-a2o污水处理方法
KR100350892B1 (ko) 간헐포기와 유로 및 수위변경에 의한 질소, 인 제거방법및 장치
CN112125400A (zh) 一种缺氧好氧交互式反应装置及反应方法
KR100581751B1 (ko) 반응조간 고액분리와 유로변경 및 간헐포기에 의한하폐수고도처리방법
JPH0125633B2 (ko)
KR100350050B1 (ko) 질소, 인 제거를 위한 순환수로형 하폐수처리시스템
KR100195903B1 (ko) 유기성 폐수의 질소.인 제거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0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3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3

Year of fee payment: 1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