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3892A - 유체버너의 화염 형상을 제어하기 위한 가변식 선회기 - Google Patents

유체버너의 화염 형상을 제어하기 위한 가변식 선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3892A
KR20010003892A KR1019990024388A KR19990024388A KR20010003892A KR 20010003892 A KR20010003892 A KR 20010003892A KR 1019990024388 A KR1019990024388 A KR 1019990024388A KR 19990024388 A KR19990024388 A KR 19990024388A KR 20010003892 A KR20010003892 A KR 200100038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rner
angle
flame shape
swirler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43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58299B1 (ko
Inventor
조영
Original Assignee
조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영 filed Critical 조영
Priority to KR10199900243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8299B1/ko
Publication of KR200100038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38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82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82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C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FLUID FUEL OR SOLID FUEL SUSPENDED IN  A CARRIER GAS OR AIR 
    • F23C7/00Combus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for air supply
    • F23C7/008Flow contro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ad Paving Machines (AREA)
  • Working-Up Tar And Pitch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식 건조기(Dryer; 39)에 열을 충전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유체버너에서, 화염의 순환영역을 설치하기 위한 선회기(Swirler)에 있어서; 2차 연소용 공기(Second Combustion Air)를 선회시킴으로써, 피 가열 입자들의 단위 질량 당 표면적에 따라 조화됨이 연속적으로, 그리고 실시간(Real Time)으로 실시되는 화염형상(Flame Shape)을 얻기 위한 목적으로 제공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구조는, 2차 연소용 공기의 통로인 에어 레지스터를 형성하는 동축 관형 구조물과; 2차 연소용 공기를 선회시킴으로써, 화염형상을 변화시키기 위해, 상기 동축 관형 구조물 상의 연소 영역 측에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는 선회기 날개들과; 상기 동축 관형 구조물의 중심 축으로부터 상기 날개 면의 각도를 연속적으로 변화시키기 위한, 소정의 각도 변화 수단을 포함한다는 특징을 갖는다.
종래의 고정식 선회기가 장착된 유체버너로 열이 충전되는 회전식 건조기(Dryer)에 있어서, 골재 입자의 배합비에 따른 골재의 열 흡수 정도에 따라 버너 운전이 능동적으로 대처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음에 비해, 본 발명은 골재의 배합비에 따라, 버너의 럭비공형(Rugby Ball Type) 화염형상(Flame Shape)으로부터 구형(Ball Type) 화염형상으로의 제어를 연속적으로 실시해 줌으로써, 동 골재의 열 흡수율을 향상시켜, 연료의 이용효율을 높이고 있다.

Description

유체버너의 화염 형상을 제어하기 위한 가변식 선회기{Adjustable Swirler for Controlling the Flame Shape of Fluid Burner}
본 발명은 다양한 배합비를 갖는 골재의 가열이 요구되는 회전식 건조기(Dryer; 37)에 있어서, 2차 연소용 공기(이하 2차 에어)를 선회시킴으로써 오일버너(27)의 화염형상(28, 40)을 연속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가변식 선회기(Adjustable Swirler)에 관한 것이다.
건설 산업 분야의 일종인 아스팔트 혼합 플랜트에 있어서, 다양한 배합비를 갖는 골재를 가열하기 위해, 노에 해당하는 회전식 건조기(37)에 열을 공급하는 유체버너에서, 에어 레지스터(Air Register) 상, 연소영역 근방에서 실행되는 선회기(Swirler)는 일정 각도로 고정되는 고정방식이 종래에는 사용되었다. 상기 고정방식의 선회기는 버너의 에어 레지스터의 끝에서 동 에어 레지스터의 축에 대하여 대칭형상으로 배열되어 일정 각도로 고정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식 선회기가 실행된 버너로 회전식 건조기(37) 내부의 골재를 가열하던 종래의 가열체계에서는, 골재의 배합비에 따른 골재의 단위 질량 당 표면적(이하 골재표면적) 차이에 기인하는 골재의 상이한 열량 흡수율 때문에, 생산되는 골재와 제 2 집진 장치(Dust Precipitator 또는 Bag Filter House)에서의 배기가스(Flue Gas) 온도를 동시에 일정하게 유지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굵은 골재의 함량이 많을 경우 부가적인 연료의 소비로 에너지 이용 효율이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골재의 배합비에 따른 골재의 열 흡수 정도 차이를, 회전식 건조기(37)의 열 충진에 의하여 요구되는 수요에 가장 조화되도록, 버너 화염형상의 변경을 연속적으로 실시함으로써 극복하여, 결과적으로 연소연료의 이용효율을 높이고; 제 2 집진 장치(35) 내부의 배기가스 온도에 따라, 버너의 화염형상 제어를 실시간으로 실시함으로써, 플랜트에서 기타 설비들을 보호하며; 또한, 가열체계의 실시를 용이하게 하는 가변식 선회기(Adjustable Swirler)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보여주는 버너 헤드 부의 정면도.
도 1b는 본 발명이 적용된 버너 헤드 부의 우측 외관도.
도 1c는 도 1b의 버너노즐 축 방향 단면도.
도 1d는 본 발명의 적용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버너 헤드 부의 내관 및 외관도.
도 1e는 도 1a에서 또 다른 일 실시 예를 보여주는 버너 헤드 부의 정면도.
도 2a는 도 1a에서 X부분의 확대 도면.
도 2b는 도 1c에서 X'부분의 확대 도면.
도 2c는 본 발명에서 선회기 날개 축의 정면도 및 좌측면도 .
도 2d는 본 발명에서 선회기 날개의 주 투영도(Principal View).
도 2e는 선회기 날개들을 통합하는 앵글 링의 정면도 및 우측면도.
도 3은 선회기 각도의 회전 제어를 위한 연결 장치와 기계 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4a는 도 3에서 제 2 링크 암의 정면도.
도 4b는 도 4a의 밑면도.
도 5a는 아스팔트 혼합 플랜트에서, 본 발명이 적용된 유체버너로 실시되는 가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앵글 링(Angle Ring)
2 : 에어 레지스터를 형성하는 외측 관형 구조물
3 : 에어 레지스터를 형성하는 내측 관형 구조물
4 : 에어 레지스터(Air Register) 5 : 연소 영역
6 : 제 2 링크 암(Link Arm) 7 : 구동기(Actuator)
8 : 커넥팅 로드(Connecting Rod) 9 : 로드(Rod)
10 : 제 1 링크 암(Link Arm) 11 : 선회기 날개 축
12 : 선회기 날개(Swirler Blade) 13 : 구동기 축
14 : 버너 노즐(Burner Nozzle) 15 : 힌지(Hinge)
17 : 에어 레지스터를 형성하는 외측 관형 구조물 상에서, 선회기 날개 축의 회전 지지점
18 : 에어 레지스터를 형성하는 내측 관형 구조물 상에서, 선회기 날개 축의 회전 지지점
19 : 또 다른 선회기 날개 면 요소
20 : 제 1 링크 암과의 연결점 21 : 두 면의 경계 직선
22 : 회전 지지점(Hinge Point) 23 : 선회기 날개 상단 길이 요소
24 : 선회기 날개 하단 길이 요소 25 : 베어링(Bearing)
26 : 회전 운동을 위한 가변 지지점
27 : 본 발명이 실시된 유체버너
28 : 럭비공형의 화염형상
29 : 제 1 집진 장치(Dust Precipitator)
30 : 냉각 댐퍼(Cooling Damper) 31 : 열전대(Thermocouple)
32 : 여과기 천(Filter Bag) 33 : 연도(Stack)
34 : 배풍기 35 : 제 2 집진 장치
36 : 회전식 건조기로의 골재 투입단 37 : 회전식 건조기(Dryer)
38 : 회전식 건조기로부터의 골재 배출단
39 : 버너 송풍기 40 : 구형의 화염형상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제공하는 특징은, 버너의 화염형상(28, 40)을 연속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가변식(Adjustable Type)이라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상기 연속적인 버너 화염형상을 제어하기 위한 소정의 각도 회전 수단이 더 포함된다는 데에 있다.
아스팔트 혼합 플랜트(Asphalt Mixing Plant)에서 아스콘 생산을 위해서는 아스팔트와 혼합되는 골재를 일정 온도, 일 예로 170℃(이 정도의 수치가 바람직하나, 하절기 와 동절기에 따라 10도 정도의 편차가 있을 수 있다)까지 가열해야 함이 필수적이다. 상기의 골재를 가열하기 위해 사용되는 회전식 건조기(37)에 열을 제공하도록 사용된 종래의 버너는, 동 회전식 건조기(37)의 열 충진에 의하여 요구되는 수요와 보다 조화시킴으로써 가열된 양질의 골재를 얻기 위하여 화염의 형상을, 예를 들면 길고 얇은 럭비공형(28) 화염으로부터 짧고 무성한 구형(40) 화염으로 변화시키는 데에 있어서, 당업자에게 실시되는 노 또는 회전식 건조기(37)에 가장 잘 조화되도록 버너 화염형상이 제어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제어 방법은 버너의 실시 이후에는 버너의 화염형상을 조정하는 선회기를 고정시킴으로써 고정된 화염형상으로 버너가 실시되고 있으며, 필요시 버너 화염형상의 제어는, 통상 분사압력을 조정함으로 달성되는 버너의 연료 분사량의 제어로 실시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연료 분사량을 통한 버너 화염형상의 제어시에는, 골재표면적이 클 경우(지름 6mm 이하인 G1의 배합비가 클 경우)와 동 표면적이 작을 경우(지름 25mm 이상인 G4의 배합비가 클 경우)에 따라, 골재가 회전식 건조기(37) 내부에 체류하는 시간 동안 동골재가 흡수하는 열량 차이 때문에, 일 예로, 굵은 골재의 함량이 많을 경우, 주어진 시간 동안(골재가 회전식 건조기 내부에 체류하는 시간은, 재료의 생산량과의 상관관계 때문에, 일정하게 실시됨이 바람직하다), 동 골재의 저조한 열량 흡수 때문에, 생산골재의 온도를 일정 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연료 분사량을 높여야 하나, 상기의 생산 재료의 온도를 높이기 위한 연료 분사량 제어 방법은 골재표면적 변화에 따라 실시간으로 대처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연속적으로도 조작되지 않고 있으며, 불가피하게 수반되는 버너의 발열량 증가로부터 비롯된 고온으로 배출되는 배기가스로의 에너지의 낭비와, 상기 고온의 배기가스로 인한 제 2 집진 장치(35)에서의 동 배기가스를 여과하는 여과기 천(Filter Bag; 32)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특히, 종래의 고정식 선회기로 실시되는 버너에서는 버너 화염형상이 고정됨으로써, 골재의 열량 흡수율이 낮을 경우 당업자에게 요구되는 일정 온도 수준의 골재를 얻기 위해서는 버너의 발열량 증가로부터 비롯되는 배기가스 온도 상승이, 냉각 댐퍼(Cooling Damper; 30)의 개폐를 제어함으로써 억제되고 있는 바, 상기의 냉각 댐퍼(30)를 이용한 배기가스 온도 제어방법에서도 연소연료의 낭비는 여전할 수 밖에 없고, 냉각 댐퍼(30)의 제어로도 열전대(Thermocouple; 31)에서의 배기가스 온도 상승이 억제되지 않으면 버너의 연료 분사량을 낮추어야 하나, 연료 분사량의 감소는 버너의 발열량 감소를 초래하여 생산량 감소가 수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므르 골재표면적 변화에 따라, 버너노즐의 일정한 연료 분사량 하에서 배합 골재의 열 흡수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연소영역을 연속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부가적인 기계장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에서의 가변식 선회기는 이러한 목적으로 제공되고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보여주는 버너 헤드 부의 정면도이다. 도 1a에서, 길고 얇은 럭비공형 화염형상(28)이 되도록, 버너 노즐(14)의 축과 선회기 날개 면(12)이 이루는 각도(이하 선회기각도)가, 특정 각도, 일 예로 0°에서 실시되고 있는, 본 발명의 제어 단계를 보여주고 있다. 도 1b는 도 1a의 우측 외관도이다. 도 1c는 도 1b의 노즐 축 방향 단면도이다. 도 1d는 상기 도 1a와 도 1b를 결합한, 본 발명이 버너의 에어 레지스터(Air Register; 4) 상에서 실시됨을 보여주는, 내관 및 외관도이다. 도 1e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를 보여주는 버너 헤드 부의 정면도이다. 도 1e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버너 화염형상이 짧고 무성한 구형(40)이 되도록, 상기 선회기각도를 특정 값, 일 예로 40°에서 실시되고 있는, 또 다른 화염형상 제어 단계를 보여주는, 본 발명이 적용된 버너에서 노즐(14) 부위의 외관정면도이다.
도 2a는 선회기 날개(12)를 에어 레지스터(4)의 동축 통로수단(2, 3)에 지지하기 위한 연결 상태를 보여주는, 상기 도 1a에서 X 부분의 확대 도면이다. 도 2b는 도 1c에서 X' 부분의 확대 도면이다. 도 2c는, 선회기 날개(9)를 지지하고, 회전시키기 위한 선회기 날개 축(11)의 정면도 및 우측면도이다. 도 2d는, 본 발명에서, 소정의 부채꼴 형상을 하고, 그 면이 소정의 직선(21)을 경계로 하여, 교차하는 두 개의 면으로 이루어진 선회기 날개를 주 투영도법(Principal View)으로 배열한 도면이다. 도 2e는, 16개의 상기 선회기 날개 축(11)들을 소정의 연결 장치를 통하여 통합하고, 선회기 날개 전체의 일괄적인 회전 제어를 하기 위한 앵글 링(Angle Ring; 2)의 정면도 및 우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b에서 Y 부분의 확대 도면이다.
도 4a는, 도 3에서 제 2 링코 암(Link Arm 6)의 정면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밑면도이다.
도 5a는, 아스팔트 혼합 플랜트에서 본 발명이 실시된 가열체계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계통도이다. 상기 도 5a에서, 본 발명이, 일 예로 영(Zero)도에서 실시 되었을 때의 럭비공형(28) 화염형상을 보여주고 있다. 도 5b는, 도 5a에서 구형의 화염형상(40)이 되도록 하는 소정의 선회기각도에서의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에서, 선회기 날개(Swirler Blade; 12)는 유체 버너에서 연소영역으로 들어가는 2차 에어를 선회시킴으로써, 동 버너의 화염형상(Flame Shape)을 제어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선회기 날개는 도 2d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연소용 공기의 흐름 방향 제어에 적합하도록 상기 선회기 날개의 상단(23)의 길이에 대한 하단(24)길이의 비(하단길이÷상단길이)가 0.5이하이고; 소정의 부채꼴 형태로 되어 있으며; 버너노즐(14) 축과 선회기 날개(12) 면의 사이각도인 선회기각도 영(Zero)에서 2차 에어의 흐름을 동 버너노즐의 축 상으로 유도하기 위해, 상기 선회기 날개(12) 면에서 특정 모서리 부분(19)이, 선회기 날개(12) 면 상의 소정의 직선(21)으로부터 일정 각도로 휘어 있는 단곡면(19)을 포함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선회기(Swirler)는 16개(이 수치는 버너 용량에 따라 조화되어 실시된다)의 상기 선회기 날개(12)들이 연소영역 근방의 에어 레지스터(Air Register; 4) 상에 대칭 형상으로 배열됨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16개의 선회기 날개들을 힌지 포인트(Hinge Point; 17, 18) 상태로 에어 레지스터(4)를 이루는 동축 관형 구조물의 내벽(3) 및 외벽(2) 상에 지지하기 위한 선회기 날개 축(11)을 포함하며; 상기 선회기 날개 축들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동력을 전달해 주도록, 일단(20)이 상기 선회기 날개 축에 고정되는 제 1 링크 암(Link Arm; 10)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링크 암과, 그 일단(22)이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되는 회전 지지점(22)을 갖고, 상기 선회기 날개 축들의 회전 제어를 일괄화할 수 있도록 연결해 주는 힌지(Hinge; 15)를 포함하며; 상기 힌지(15)들을 통합, 고정 연결하는 앵글 링(Angle Ring; 1)을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앵글 링(1)으로의 회전 동력 전달을 위한 로드(9)를 포함하며; 상기 로드(9)에 연결되는 베어링(Bearing; 25)을 포함하며; 상기 베어링(25)에 연결되어, 회전 운동 전달의 매개체 작용을 하는, 커넥팅 로드(Connecting Ring; 8)를 포함하며; 일단(26)이 상기 커넥팅 로드(8)에 연결됨이 회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축 방향으로 위치 변경이 가능하도록 하고, 다른 일단(13)은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기(Actuator; 7) 축(13)에 고정 연결되는 제 2 링크 암(6)을 포함하며; 외부 전원의 동력으로 상기의 연결 장치를 통하여 선회기각도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기(Actuator; 7)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하여,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을 도 5a와 도 5b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5a는 본 발명의 선회기각도가 -15°∼ 0°로 실시되었을 때의 아스팔트 혼합 플랜트에서 가열 체계의 개념도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이 적용된 가열체계에서는, 골재표면적이 클 경우, 일 예로, G1골재(지름 6mm 이하인 골재)의 배합비가 약 50% 정도이면, 골재의 열 흡수 정도가 상대적으로 양호함으로, 상기 배합골재가 회전식 건조기 내부의 열풍에 의해 가열되도록, 선회기각도를 회전시킴으로써, 화염형상이 길고 얇은 럭비공형(28)으로 실시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에서 언급된 "상대적으로 양호하다"는 것은 상기 G1골재 배합비가 50% 보다 작은 배합비를 갖는 골재의 열 흡수율과 비교한 것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선회기각도가, 버너 화염이 배합골재에 직접 접촉(Direct Contact)되지 않고, 동 버너 화염이 회전식 건조기(37)의 원통형 내벽에 가능한 밀착되도록 하는 임계각도로 실시된 가열체계의 개념도이다. 도 5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이 적용된 가열 체계에서는, 골재표면적이 작으면 곧, G4골재(지름 25mm 이상의 골재)의 배합비가 50%정도이면, 골재의 열 흡수를 돕고, 동 골재를 회전식 건조기의 골재 투입구(36)로부터 골재 방출구(38)까지 이송시키고, 동 골재의 위치 이동을 동 회전식 건조기의 원통형 내벽으로부터 일정 범위 안에 있도록 속박하며, 동 골재를 상기 회전식 건조기와 함께 회전하도록 강제하는, 건조기 날개와 상기 회전식 건조기 내벽을 가열하여, 골재가 열풍에 의할 뿐만 아니라, 회전식 건조기 내부의 철 구조물에 의해서도 가열될 수 있도록 조화된 구형의 버너 화염형상(40)이 실시되는 또 다른 단계를 포함하고 있다.
무엇보다도, 본 발명이 적용된 가열 체계에서는, 상기에 언급된 두 개의 가열체계 사이의 단계 변화가 연속적으로 실시된다는 데에 특징이 있다. 일 실시예를 들어, 골재표면적이 일정 범위 이상 변하여 제 2 집진 장치(35)에서의 배기가스 온도가 상승하면, 동 집진 장치(35)와 냉각 댐퍼(30) 사이에 실시된 열전대(31)에 의해 동 배기가스 온도가 측정되고, 선회기각도 자동 제어 패널(Panel)로 동 온도 정보가 입력되며, 동 제어 패널의 제어로 구동기(Actuator; 7)가 동작하여 본 발명에서 선회기각도가 회전됨으로써, 회전식 건조기(37) 내부의 열 충전에 가장 조화되는 버너 화염형상을 갖도록 제어됨이 연속적으로 실시된다.
한편, 이상과 같이 구성되고 작동되는 가변식 선회기를 이용하여, 유체버너의 화염형상의 단계를 변화시키기 위한 구성을 하는 것은 당업자에게는 용이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아스팔트 혼합 플랜트에서, 회전식 건조기(37)에 본 발명이 적용된다면, 골재의 배합 정도에 따라 버너 화염형상(28, 40)을 조화시킴으로써, 골재의 열 흡수율이 향상되어, 연소연료의 이용효율을 높이게 되며; 상기 연소연료의 이용효율의 제고(提高)에 따라 수반되는 막대한 경제적인 이득이 있다.
특히, 럭비공형의 화염형상(28)에서 구형 화염형상(40)으로의 연속적인 버너 화염형상 변경이, 제 2 집진 장치(35)로 입력되는 배기가스 온도 변화에 따라 실시간(Real Time)으로 제어됨으로, 배기가스에 의해 연도로 배출되는 에너지의 낭비를 줄이게 됨과 동시에, 제 2 집진 장치(35) 내부에서 배기가스의 온도를 일정 수준으로 유지시킴으로써, 여과기 천(Filter Bag; 32)과 기타 설비들의 수명을 연장시키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5)

  1. 2차 연소용 공기의 통로인 에어 레지스터(4)를 형성하는 동축 관형 구조물과; 2차 연소용 공기를 선회시킴으로써, 화염형상을 변화시키기 위해, 상기 동축 관형 구조물 상의 연소 영역 측에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는 선회기 날개(12)들과; 상기 동축 관형 구조물의 중심 축으로부터 상기 날개 면의 각도를 연속적으로 변화시키기 위한, 소정의 각도 변화 수단으로 이루어짐으로써, 화염의 형상을 연속적으로 제어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식 선회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선회기 날개(12)에서의 날개 면은, 상기 각도가 영일 때, 상기 관형 구조물의 축 상으로 연소용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기 위해, 상기 날개 면의 특정 모서리 부분(19)이 소정의 직선(21)으로부터 또 다른 면을 이룸으로써, 교차하는 두 개의 평면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식 선회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각도 변화 수단은, 상기 선회기 날개를 회전시키기 위한 날개 축(11)과; 상기 선회기 날개 축에 회전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연결장치와; 상기 선회기 날개 축의 회전 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구동기(7)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식 선회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 축(11)은, 같이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선회기 날개(12)를 지지하고, 상기 날개 축의 일단(18)이 상기 동축 관형 구조물의 안쪽 벽(3)에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되고, 다른 일단(20)은 회전 동력을 전달해 주는상기 연결장치에 포함되는 제 1 링크 암(10)에 고정됨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장치는, 상기 선회기 날개 축에 고정 연결되는 제 1 링크 암(10)과, 상기 제 1 링크 암과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되는 힌지(15)와, 복수 개의 상기 힌지를 고정시키는 앵글 링(1)과, 상기 앵글 링을 동 링의 중심축 주위로 회전시키기 위하여, 상기 앵글 링에 고정되는 로드(9)와, 상기 로드에 연결되는 베어링(25)과, 상기 베어링에 연결되는 커넥팅 로드(8)와, 상기 커넥팅 로드에 회전할 수 있도록 일단(26)이 연결되고, 상기 구동기의 회전축에 다른 일단(13)이 고정되어, 상기 구동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게 되는 제 2 링크 암(6)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식 선회기.
  5. 압력 분사식 유체버너에 있어서, 상기 각도를 연속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화염형상을 연속적으로 제어하기 위하여, 제 1 항에 기재된 가변식 선회기(Adjustable Swirler)를 더 포함하여 운전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버너.
KR1019990024388A 1999-06-25 1999-06-25 유체버너의 화염 형상을 제어하기 위한 가변식 선회기 KR1003582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4388A KR100358299B1 (ko) 1999-06-25 1999-06-25 유체버너의 화염 형상을 제어하기 위한 가변식 선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4388A KR100358299B1 (ko) 1999-06-25 1999-06-25 유체버너의 화염 형상을 제어하기 위한 가변식 선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3892A true KR20010003892A (ko) 2001-01-15
KR100358299B1 KR100358299B1 (ko) 2002-10-25

Family

ID=19595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4388A KR100358299B1 (ko) 1999-06-25 1999-06-25 유체버너의 화염 형상을 제어하기 위한 가변식 선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829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6884B1 (ko) * 2001-10-17 2004-09-04 한국전력공사 발전용 건식 저질소산화물 가스터빈 연소기의 가변스월연료노즐
CN113932220A (zh) * 2021-10-19 2022-01-14 重庆赛迪热工环保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可调节旋流叶片组件和含有该组件的平焰燃烧器
CN115949970A (zh) * 2023-01-05 2023-04-11 中国航空发动机研究院 一种旋流器叶片及旋流器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63035U (ko) * 1975-06-19 1976-12-25
JPS5514418A (en) * 1978-07-17 1980-01-31 Babcock Hitachi Kk Burner
JPS6038612B2 (ja) * 1979-05-14 1985-09-02 川崎重工業株式会社 低NOxバ−ナの点火監視方法
US4695220A (en) * 1985-09-13 1987-09-22 General Electric Company Actuator for variable vanes
US4975045A (en) * 1986-04-23 1990-12-04 Eagleair, Inc. Burner register with dual inlet air valves
US4872832A (en) * 1987-12-11 1989-10-10 Alexander Jack L Air controller for burners
KR0157255B1 (ko) * 1994-01-31 1998-11-16 김무 블래이드 각도 조정가능한 냉각팬을 이용한 엔진 냉각 시스템
JPH10300029A (ja) * 1997-05-01 1998-11-13 Osaka Gas Co Ltd 旋回火炎形成設備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6884B1 (ko) * 2001-10-17 2004-09-04 한국전력공사 발전용 건식 저질소산화물 가스터빈 연소기의 가변스월연료노즐
CN113932220A (zh) * 2021-10-19 2022-01-14 重庆赛迪热工环保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可调节旋流叶片组件和含有该组件的平焰燃烧器
CN113932220B (zh) * 2021-10-19 2023-08-15 重庆赛迪热工环保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可调节旋流叶片组件和含有该组件的平焰燃烧器
CN115949970A (zh) * 2023-01-05 2023-04-11 中国航空发动机研究院 一种旋流器叶片及旋流器
CN115949970B (zh) * 2023-01-05 2023-08-22 中国航空发动机研究院 一种旋流器叶片及旋流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58299B1 (ko) 2002-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910136B (zh) 一种可调节喷嘴、喷嘴阵列和燃烧器
CN112212360A (zh) 叶片角度可调的旋流器及燃烧装置
CN110186066A (zh) 锅炉二次风精准送风防卡滞风门
CN102563640A (zh) 高效燃烧低污染排放油燃烧器
CN110195858A (zh) 循环流化床吸收塔烟道
CN107420884A (zh) 一种喷口摆动机构
CN201083393Y (zh) 四角燃烧锅炉的切向燃烧器中左右摆动式二次风口结构
CN106907709B (zh) 一种旋流数和湍流度可调的喷嘴、喷嘴阵列和燃烧器
US20040050306A1 (en) Automatic coal damper
CN110529923A (zh) 空调室内机、空调机组和调节方法
KR20010003892A (ko) 유체버너의 화염 형상을 제어하기 위한 가변식 선회기
CN201277543Y (zh) 一种用于煤粉燃烧器的喷嘴水平摆动调节装置
KR20010003893A (ko) 아스팔트 혼합 플랜트용 유체버너 및 그 운용방법
CN213513984U (zh) 叶片角度可调的旋流器及燃烧装置
CN113606577A (zh) 叶片可调型旋流燃烧器及烟气脱硝系统
CN219199245U (zh) 一种风量调节机构及燃烧器
CN217004465U (zh) 一种电站燃气锅炉矢量燃烧器
CN114893321B (zh) 一种自适应变循环发动机轴对称排气结构
RU2203449C1 (ru) Ротационная горелка для жидкого топлива
CN108386870A (zh) 径向燃烧器及其自动控制方法
CN220828867U (zh) 一种换热气体流量控制机构及空预器
RU2118752C1 (ru) Горелка
CN210320016U (zh) 燃烧器入口弯头和燃烧器
CN220229145U (zh) 适用于生物质燃料与煤气混烧的低氮燃烧器
CN101408312B (zh) 外局部调节内固定盘式燃料燃烧器可调配风雾化旋流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1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