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2966A - 자동차 범퍼수리용 플라스틱 융착봉 - Google Patents

자동차 범퍼수리용 플라스틱 융착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2966A
KR20010002966A KR1019990023054A KR19990023054A KR20010002966A KR 20010002966 A KR20010002966 A KR 20010002966A KR 1019990023054 A KR1019990023054 A KR 1019990023054A KR 19990023054 A KR19990023054 A KR 19990023054A KR 20010002966 A KR20010002966 A KR 200100029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mper
resin
mixture
fusion rod
f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30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26816B1 (ko
Inventor
전준언
Original Assignee
전준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준언 filed Critical 전준언
Priority to KR10199900230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6816B1/ko
Publication of KR200100029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29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68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68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1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ot gases (e.g. combustion gases) or flames coming in contact with at least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5/1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ot gases (e.g. combustion gases) or flames coming in contact with at least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and welding bar
    • B29C65/125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ot gases (e.g. combustion gases) or flames coming in contact with at least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and welding ba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f the welding b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0Vehicles, e.g. ships or aircraft, or body parts thereof
    • B29L2031/3044Bum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 자동차 범퍼수리를 위해 사용하던 강력접착제를 대신 범퍼의 전면과 후면에 접착 및 융착이 용이하도록 하고, 접착면을 최대한으로 넓힐 수 있도록 단면을 사다리꼴형상으로 하는 융착봉을 제조하되, 상기 융착봉의 재질은 강인성이 풍부하면서 용융점도가 낮고, 성형시 유동성이 좋아 얇고 긴제품도 제조가능한 폴리프로필렌수지와 고무를 혼합한 재질 또는 폴리카보나이트와 PBT수지를 혼합한 재질을 사용하므로써 자동차 범퍼와 융착과 접착이 용이하도록 하므로써 견고한 범퍼의 수리가 가능하게 하였고, 내충격성이 좋아 쉬 파손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 범퍼수리용 플라스틱 융착봉{A plastics melting and welding rod and its composite for repairing car bumper}
본 발명은 자동차 범퍼수리용 플라스틱 융착봉에 관한 것으로, 특히 범퍼와 융착이 잘되는 재질을 사용하고, 또한 범퍼끼리의 접착면을 넓혀 접착을 견고하게 하기 위한 범퍼수리용 플라스틱 융착봉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범퍼는 파손의 우려가 매우 높은 부품이면서도, 자동차의 성능과는 별 관계가 없는 물품이므로 약간의 파손정도로 범퍼전체를 폐기처분하기에는 경제적으로 큰 손실이고, 낭비적인 요소가 아닐 수 없다.
따라서 현재 약간 파손된 범퍼는 파손부위를 철사로 묶거나, 강력본드로 절단부위를 접착시키거나, 또는 인두로 접착부위를 융착시켜 붙이는 방법을 사용하여 수리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방법들은 모두 일시적인 방편에 불과한 방법들로써, 즉 범퍼의 절단면을 맞대고 상기 절단면을 서로 밀착시킨 다음, 접착제를 뿌려 절단면끼리 접착되도록 하는 방법은 단지 범퍼의 밀착된 절단면만큼의 넓이만 접착되는 것이므로 결국 접착되는 면이 좁아 견고한 접착이 곤란하고, 범퍼의 절단면을 맞대고 인두로 지져 범퍼끼리 융착시키는 방법은 절단부위의 제살을 녹여 절단면끼리 융착되되록 하는 것이므로 접착부위가 구조상 취약할 수 밖에 없고 이로인해 상기 방법들은 약간의 충격에도 쉬 파손되는 폐단을 갖는 것이다.
본발명은 종래 자동차 범퍼수리를 위해 사용하던 강력접착제를 대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범퍼의 전면과 후면에 접착 및 융착이 용이하도록 하고, 접착면을 최대한으로 넓힐 수 있도록 단면이 사다리꼴인 띠형상의 융착봉을 제조하되, 상기 융착봉의 재질은 강인성이 풍부하면서 용융점도가 낮고, 성형시 유동성이 좋아 얇고 긴제품도 제조가능한 폴리프로필렌(Poly Prophlene)수지에 고무를 혼합한 재질의 수지를 사용하거나, 폴리카보나이트(Poly Carbonate)와 PBT수지(Poly Buthylone Terephthalate)를 혼합한 재질을 사용하였다.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 발명 융착봉(1)의 구조는 범퍼의 전면과 후면에 접착 및 융착이 용이하도록 하고, 접착면을 최대한으로 넓힐 수 있도록 단면을 사다리꼴형상을 갖는다.
즉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융착봉(1)은 일측면을 상단부는 좁고 하단부는 넓게 사다리꼴 형상으로 성형함으로써 범퍼(2,2a)와의 접착면을 최대한 넓힐 수 있도록 하였다. 즉 접착하고자 하는 범퍼(2,2a)의 면, 즉 절단면을 맞댄 범퍼(2,2a)의 전면에 본 발명 융착봉(1)이 내삽될 수 있도록 상기 융착봉(1)의 단면과 동일한 깊이의 요홈(3)을 파낸 다음, 본 발명 융착봉(1)의 좁은 상단부를 안쪽으로 밀착시키고 상기 융착봉(1)을 융착 또는 접착시켜 범퍼(2)와 범퍼(2a)가 접착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범퍼(2,2a)와 융착봉(1) 사이의 접착면이 단순히 범퍼(2,2a)끼리만 맞댄 경우보다 훨씬 넓은 면적으로 접착 또는 융착되는 것이므로 범퍼(2)와 범퍼(2a)가 매우 견고하게 융착 또는 접착되어 내충격성이 좋아지는 것이다.
또한 본발명 융착봉(1)은 접착면이 돌출되어서는 안되는 범퍼의 특성상 융착봉(1)의 타측면이 범퍼와 동일한 높이로 매설되도록 하여 미관상으로도 깔끔해지는 효과도 갖는 것이다.
또 본 발명 융착봉(1)은 미관상 중요하지 않은 범퍼(2,2a)의 후면 접착시에는 넓은쪽 면이 범퍼(2,2a)에 접착 또는 융착될 수 있도록 하므로써 범퍼의 전면처럼 요홈(3)을 형성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피하면서 접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 융착봉(1)은 종래처럼 범퍼(2)와 범퍼(2a)를 맞대 접착 또는 융착하는 방법과는 전혀 다른 새로운 방법으로, 띠형상을 가지며, 내충격성과 융착 및 접착이 용이한 재질로 압출성형되어 제조되는 융착봉(1)을 보조재료로 사용하여 범퍼(2)와 범퍼(2a)의 절단면을 접착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종래의 방법보다 훨씬 견고한 범퍼의 접착 또는 융착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발명 융착봉(1)의 재질은 강인성이 풍부하면서 용융점도가 낮고, 성형시 유동성이 좋아 얇고 긴제품도 제조가능한 폴리프로필렌(Poly Prophlene)수지에 고무를 혼합한 재질의 수지를 사용하여, 이를 압출성형하여 도 1과 같은 형상으로 제조한 것이다.
이때 융착봉(1)을 이루는 재질인 폴리프로필렌(Poly Prophlene)수지와 고무의 혼합비율은 9 : 1이 가장 적당하며, 이 경우 자동차 범퍼와 융착정도가 가장 좋고, 강인성이 뛰어나 내충격성이 향상되었다. 상기와 같은 비율로 혼합되어 제조된 본 발명 융착봉(1)의 기계적 성질은 다음과 같다.
즉 인장항복강도는 180∼200kg/㎠정도 이었으며, 파단신도는 300∼400%정도, 굽힘강도는 230∼270kg/㎠정도, 굽힘모듈리스는 7000∼8000kg/㎠정도, 로크웰경도는 60∼63R-Scale, 유동성(MFI)은 7.0∼8.0g/10min, 열변형 온도는 90℃, 융점은 160℃, 비중은 0.89, 수축율은 1.4%정도이다.
또한 본발명 융착봉(1)은 폴리카보나이트(Poly Carbonate)와 PBT수지(Poly Buthylone Terephthalate)를 3:7 내지 7:3의 비율로 혼합한 재질을 사용하여 압출 성형하여 제조할 수도 있다. 이역시 자동차 범퍼와 융착이 용이하였으며, 강인성이 뛰어나 내충격성 또한 매우 양호하였다.
도 1 -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 - 본 발명의 사용상태 참고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본 발명 범퍼융착봉(이하 융착봉이라 한다)
2,2a: 자동차 범퍼(이하 범퍼라 한다) 3: 요홈
A: 범퍼의 전면 B: 범퍼의 후면
발명의 구성 및 작용 누락
이처럼 본 발명은 종래 자동차 범퍼수리를 위해 사용하던 강력접착제를 대신 범퍼의 전면과 후면에 접착 및 융착이 용이하도록 하고, 접착면을 최대한으로 넓힐 수 있도록 단면을 사다리꼴형상으로 하는 띠형상의 융착봉을 제조하되, 상기 융착봉의 재질은 강인성이 풍부하면서 용융점도가 낮고, 성형시 유동성이 좋아 얇고 긴제품도 제조가능한 폴리프로필렌수지와 고무를 혼합한 재질 또는 폴리카보나이트와 PBT수지를 혼합한 재질을 사용하므로써 자동차 범퍼와 융착과 접착이 용이하도록 하므로써 견고한 범퍼의 수리가 가능하게 하였고, 내충격성이 좋아 쉬 파손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3)

  1. 폴리프로필렌(Poly Prophlene)수지에 고무를 혼합한 재질의 수지를 띠형상으로 압출성형하여서 제조되어 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범퍼수리용 플라스틱 융착봉.
  2. 폴리카보나이트(Poly Carbonate)와 PBT수지(Poly Buthylone Terephthalate)를 혼합한 수지를 띠형상으로 압출성형하여서 제조되어 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범퍼수리용 플라스틱 융착봉.
  3. 상단부는 좁고 하단부는 넓은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인 띠형상으로 압출성형되어 제조되어 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범퍼수리용 플라스틱 융착봉.
KR1019990023054A 1999-06-15 1999-06-15 자동차 범퍼수리용 융착봉 제조방법 KR1003268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3054A KR100326816B1 (ko) 1999-06-15 1999-06-15 자동차 범퍼수리용 융착봉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3054A KR100326816B1 (ko) 1999-06-15 1999-06-15 자동차 범퍼수리용 융착봉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2966A true KR20010002966A (ko) 2001-01-15
KR100326816B1 KR100326816B1 (ko) 2002-03-04

Family

ID=19593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3054A KR100326816B1 (ko) 1999-06-15 1999-06-15 자동차 범퍼수리용 융착봉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6816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1319B1 (ko) * 1991-03-08 1995-02-17 주식회사 삼양사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KR970015655A (ko) * 1995-09-06 1997-04-28 전성원 폴리프로필렌 범퍼 커버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26816B1 (ko) 2002-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20365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convertible top assembly
US20180201218A1 (en) Vehicle interior component
WO2006065307A3 (en) Thermoplastic olefin compositions and injection molded articles made thereof
EP0031620A2 (en) Method for uniting a plastics fixation part attachable to an end portion of a pipe part with a sealing body, plastics fixation part, plastics pipe provided with said fixation part and apparatus for moulding a fixation part
US10723284B2 (en) Trim part
KR100342114B1 (ko) 수지제자동차용충격완충부재및그제조방법
CN101796320A (zh) 冲击能量吸收构件
KR20030090477A (ko) 일체형 가변 인서트 몰딩 제조방법 및 몰딩 부품
KR20010002966A (ko) 자동차 범퍼수리용 플라스틱 융착봉
CN105082549A (zh) 一种形成仪表板组件的方法以及由此得到的仪表板组件
JP3732456B2 (ja) 長尺な複合成形品とそ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US6220777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ducing ultrasonic weld joints for injection molded plastic parts
US20080075944A1 (en) Composite resin molded product and method for molding the same
DE10115443A1 (de) Laminat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JP3447904B2 (ja) 遮断桿用ポール
KR200167791Y1 (ko) 일체형 가변 인서트 도어 몰딩 부품
US7143498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100% grained with non-shut-off condition two shot interior component
JP4316125B2 (ja) 樹脂成形体及びその成形方法
KR102418754B1 (ko) 풀림이 방지되고 강성이 향상되며 연결구가 일체화된 친환경 폴리에틸렌관 제조방법
JP2009190359A (ja) 芯材のインサート成形方法
JP2006219115A (ja) 長尺な装飾成形品とその製造方法
CN107901327B (zh) 一种汽车窗框饰条焊接方法
CN214092580U (zh) 一种塑钢复合材料自锁连接件
KR100571599B1 (ko) 일체형 가변 인서트 몰딩 제조방법
US7226106B2 (en) Molding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