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2353A - 고주파용 커넥터의 임피던스 보정구조 및 커플링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고주파용 커넥터의 임피던스 보정구조 및 커플링 결합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10002353A KR20010002353A KR1019990022110A KR19990022110A KR20010002353A KR 20010002353 A KR20010002353 A KR 20010002353A KR 1019990022110 A KR1019990022110 A KR 1019990022110A KR 19990022110 A KR19990022110 A KR 19990022110A KR 20010002353 A KR20010002353 A KR 2001000235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nector
- coupling
- male connector
- outer conductor
- mal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1/00—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21/0007—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for mounting doors, windows or frames; their fitting
- E04F21/0023—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for mounting doors, windows or frames; their fitting for mounting door leaves, window sashes or the like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주파용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적어도 신호를 전달하는 내부도체와, 동축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유전체와, 커넥터를 외부로부터 지지하고 신호 전달경로를 형성하는 외부도체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고주파용 커넥터의 임피던스 보정구조로서, 상기 외부도체는 커넥터 내부를 안정화시키는 일정한 예압을 제공함으로써, 암 커넥터와 수 커넥터 사이의 접촉지점에서 상기 내부도체의 외부직경과 상기 외부도체의 내부직경의 비를 일정하게 하기 위한 내부 스프링 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고주파용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 기가 헤르츠 이상의 고주파용 커넥터에 있어서 결합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외부로부터의 충격이나 사용자의 부주의 등에 의해 결합 상태에 변화가 생기는 경우에도 특성임피던스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고, 주파수 전송특성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는 고주파용 커넥터의 임피던스 보정구조 및 커플링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각종 전자통신 장치가 소형화되고 이동 통신 등의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면서 이에 적합한 신호전달용 커넥터가 필요하게 되었고, 이 때 커넥터가 갖는 주파수 특성과 임피던스 특성 등이 열화(劣化)되지 않을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고주파용 커넥터를 도 1을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이러한 일반적인 고주파용 커넥터(50)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에서 부호 10은 수 커넥터를 나타내고, 부호 12는 외부도체, 24는 수 커넥터의 절연체로서 이용되는 유전체, 부호 16은 신호전달용의 내부도체이며, 부호 19는 상기 내부도체(16)에서 인출되어 신호를 전달하는 신호전달용 핀이다.
또 부호 20은 암 커넥터를 나타내며, 부호 22는 암 커넥터의 외부도체를 나타내고, 24는 암 커넥터에 형성되는 유전체, 부호 26은 암 커넥터의 내부도체로 상기 수 커넥터의 내부도체(16)와 결합된다.
종래의 일반적인 고주파용 커넥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수 커넥터(10)의 외부도체(12)를 손으로 잡고 암 커넥터(20)의 입구를 향하여 밀어 넣음으로써 결합되게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상기 수 커넥터(10)의 신호전달용 핀(19)이 암 커넥터의 유전체(24) 내측에 형성된 소켓에 삽입되어 고주파 신호를 하여 신호를 전송한다.
이 때 상기 수 커넥터의 유전체(14)는 대응하는 암 커넥터의 유전체(24)와 접촉되고, 수 커넥터의 외부도체(12)는 대응하는 암 커넥터의 외부도체(22)에 접속되며, 수 커넥터의 내부도체(16)는 대응하는 암 커넥터의 내부도체(26)에 접속되어 신호를 서로 교환하게 된다.
이하에서 도 2를 참조하여 커넥터의 단자와 인쇄회로기판이 결합되는 상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종래의 커넥터의 수 커넥터와 암 커넥터의 결합 정도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a)는 수 커넥터와 암 커넥터의 결합이 얕게 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b)는 수 커넥터와 암 커넥터의 결합이 약간 깊게 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며, (c)는 수 커넥터와 암 커넥터의 결합이 완전하게 이루어진 상태를 각각 도시한다.
도 2의 (a)∼(c)에서, 도 1과 같은 부호로 나타내고 있는 부분은 그 명칭과 기능이 동일한 것으로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의 (a)∼(c)에서, 상기의 내부도체(16, 26)을 통하여 고주파 신호가 전달되며, 이 때 외부도체(12, 22)의 내측부는 커넥터(50)를 지지하는 역할과 아울러, 고주파 신호의 전달 경로로 이용된다. 이것은 제공되는 사용주파수가 고주파가 될수록 이른바 표피효과(skin effect)에 의해, 사용주파수가 내부도체의 표면과 이에 대향하는 외부도체의 표면으로 흐르게 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 커넥터와 암 커넥터의 결합이 얕게 이루어지면, 수 커넥터의 신호전달용 핀(19)이 암 커넥터의 내부도체(26) 내에서 비교적 적은 면적만 접촉되게 되고, 수 커넥터(10)와 암 커넥터(20) 간의 유전체(14, 24)의 접촉상태는 결합상태가 흔들림이 있음에 따라 변동하게 된다. 또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수 커넥터(10)와 암 커넥터(20) 사이의 신호 전달 경로로서 기능하는 외부도체(12, 22)도 서로 어긋나기 쉬우므로 전송선로상의 임피던스의 변동이 생기게 된다.
또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 커넥터와 암 커넥터의 접촉이 상술한 도 2의 (a)에 비하여는 깊게 되지만 완전하게 결합되지 않은 상태라면, 수 커넥터의 신호전달용 핀(19)이 암 커넥터의 내부도체(26)에 비교적 넓은 면적에 걸쳐 접촉되고, 수 커넥터(10)와 암 커넥터(20)의 유전체(14, 24)끼리의 접촉 정도도 높아지게 되어 비교적 전송 손실이 낮은 상태로 된다. 또한 이와 같이 결합되면 수 커넥터(10)와 암 커넥터(20)의 신호 전달 경로로 되는 외부도체(12, 22)끼리의 접촉 면적이 증가하게 된다. 도 2의 (a), (b)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수 커넥터와 암커넥터를 결합시킬 경우에는 커넥터의 결합상태에 따라 외부직경과 내부직경의 변경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면에서 d1, d2 및 d3은 커넥터의 내부에서의 각 점에서의 내부직경이고, D1, D2 및 D3은 각 지점에 대응하는 외부직경이다.
여기에서 일반적으로 각각의 내부직경(d1, d2, d3)은 접촉상태에 따라 그 직경이 달라지게 되어 불연속점이라고도 하며, 이것에 대응하는 외부직경(D1, D2, D3)도 내부직경의 변경에 따라 일정한 비율로 변동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커넥터는 사용자에 의해 흔들림이 생기거나 장기간 사용으로 인하여 결합상태가 약하게 되거나 고장 수리 및 점검을 위해 커넥터의 착탈 작용 등이 일어날 때 암 커넥터와 수 커넥터의 결합이 완전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고, 이때 수 커넥터와 암 커넥터간에 대응하는 신호전달용 핀과 절연작용을 하는 유전체 및 커넥터를 외부로부터 지지하고 신호 전달 경로를 형성하는 외부도체의 결합이 완전하게 이루어지지 못함으로써 임피던스가 변동하게 되고 전파의 전송 특성이 열화(劣化)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커넥터의 결합구조는 외부로부터의 충격이나 사용자의 부주의 등에 의해 커넥터가 분리되거나 결합상태가 약해지는 등의 커다란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커넥터의 결합이 강화되며 결합정도에 관계없이 임피던스를 동일하게 유지하여 고주파용 커넥터의 전송특성을 양호하게 하는 고주파용 커넥터의 임피던스 보정구조 및 커플링 결합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커넥터를 도시하는 종단면도로서,(a)는 수 커넥터를 나타내고, (b)는 암 커넥터를 나타낸다.
도 2는 종래의 커넥터의 수 커넥터와 암 커넥터의 결합 정도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a)는 수 커넥터와 암 커넥터의 결합이 얕게 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b)는 수 커넥터와 암 커넥터의 결합이 약간 깊게 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c)는 수 커넥터와 암 커넥터의 결합이 완전하게 이루어진 상태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의 수 커넥터와 암 커넥터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a)는 도 2의 (a)에 대응하고 수 커넥터와 암 커넥터의 결합이 얕게 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b)는 도 2의 (b)에 대응하고 수 커넥터와 암 커넥터의 결합이 약간 깊게 되어 있는 상태를 나터내며,
(c)는 도 2의 (c)에 대응하고 수 커넥터와 암 커넥터의 결합이 완전하게 이루어진 상태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결합강화용 스프링을 채용한 커넥터의 결합상태를 설명하는 설명도로서,
(a)는 수 커넥터가 암 커넥터에 얕게 삽입된 상태를 설명하고,
(b)는 수 커넥터가 암 커넥터에 얕간 깊게 삽입된 상태를 설명하며,
(c)는 수 커넥터가 암 커넥터에 완전하게 삽입된 상태를 설명하고 있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수 커넥터 12, 22 : 외부도체
13 : 외부도체 홈 14, 24 : 유전체
16, 26 : 내부도체 19 : 신호전달용 핀
20 : 암 커넥터 28 : 내부 스프링
30 : 인입 안내판 32 : 제 1 스프링 부
34 : 제 1 걸림턱 36 : 제 2 스프링 부
38 : 제 2 걸림턱 40 : 커플러
50 : 고주파용 커넥터 c1 : 제 1 멈춤 링
c2 : 제 2 멈춤 링 d1, d2, d3 : 내부직경
D1, D2, D3 : 외부직경 d1' , d2' , d3' : 내부직경
D1' , D2' , D3' : 외부직경 x1, x2 : 불연속점 간의 거리
S : 스프링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발명은, 적어도 신호를 전달하는 내부도체와, 동축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유전체와, 커넥터를 외부로부터 지지하고 신호 전달 경로를 형성하는 외부도체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고주파용 커넥터의 임피던스 보정구조로서, 상기 외부도체는 커넥터 내부를 안정화시키는 일정한 예압을 제공함으로써, 암 커넥터와 수 커넥터 사이의 접촉지점에서 상기 내부도체의 외부직경과 상기 외부도체의 내부직경의 비를 일정하게 하기 위한 내부 스프링 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발명은, 적어도 신호를 전달하는 내부도체와, 동축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유전체와, 커넥터를 외부로부터 지지하고 신호 전달 경로를 형성하는 외부도체 및 커넥터를 결합시키기 위한 커플러를 구비하는 암 커넥터와 수 커넥터로 이루어지는 고주파용 커넥터의 커플링 결합구조로서, 상기 수 커넥터의 외부도체는 내측에 복수개의 스프링으로 된 제 1 스프링 부와, 상기 제 1 스프링 부를 지지하기 위한 제 1 멈춤 링과, 상기 제 1 멈춤 링에 밀착 형성되는 제 2 스프링 부와, 상기 제 2 스프링 부를 지지하기 위한 제 2 멈춤 링과, 상기 제 1 멈춤 링을 고정하고 커넥터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여유공간으로 작용하는 외부도체 홈을 구비하며, 상기 제 1 스프링 부의 일단에는 상기 수 커넥터의 커플러를 후진방향으로 진행시킬 때 저지력을 갖게 하는 제 1 걸림턱을 설치하고, 상기 제 2 스프링의 진행방향의 단부에는 상기 수 커넥터의 커플러를 전방방향으로 진행시킬 때 저지력을 갖게 하는 제 2 걸림턱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과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은 첨부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용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의 수 커넥터와 암 커넥터의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도 3의 (a)는 도 2의 (a)에 대응하여 수 커넥터와 암 커넥터의 결합이 얕게 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도 3의 (b)는 도 2의 (b)에 대응하여 수 커넥터와 암 커넥터의 결합이 약간 깊게 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며, 도 3의 (c)는 도2의 (c)에 대응하여 수 커넥터와 암 커넥터의 결합이 완전하게 이루어진 상태를 각각 도시한다.
도면에서 d1' , d2' 및 d3' 은 커넥터의 내부에서의 각 점에서의 내부직경이고, D1' , D2' 및 D3' 은 각 지점에 대응하는 외부직경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면에서 x1' , x2' 및 x3' 으로 각각 표기한 부분은 암 커넥터와 수커넥터가 서로 결합될 때, 커넥터의 내부에서 서로 어긋나는 부분의 거리를 나타내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 커넥터(10)와 암 커넥터(20)가 결합될 때, 축 방향 동일선상에서 유지되고 있을 때 가장 양호한 임피던스 특성을 갖는다. 그런데 수 커넥터(10)와 암 커넥터(20)가 결합될 때는, 결합상태가 양호하게 유지되지 않으면 서로 어긋나게 되고, 그 점에서의 내부도체(16)의 직경(d1' , d2' , d3' )과 외부도체(26)의 직경(D1' , D2' , D3' )의 비가 일정하지 못하게 되어 전송선로의 특성 임피던스가 악화되는 결과가 된다. 따라서 상기 수 커넥터(10)와 암 커넥터(20)가 결합될 때 접촉부분에서의 이격 거리가 어느 곳에서나 일치할 필요성이 있게 된다.
도 3의 (a)∼(c)에서 부호 10, 20은 수 커넥터와 암 커넥터를 나타내며, 부호 12, 22는 수 커넥터와 암 커넥터를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외부도체, 부호 14, 24는 테프론이나 기타의 유전재료로 되는 유전체, 부호 16, 26은 신호를 유입하거나 유출하기 위한 내부도체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이때 상기 내부도체(16, 26)는 직류성분의 전류를 통과시킬 경우에는 보통 동합금이 이용되지만, 고주파전류를 통과시킬 경우에는 기계적 특성 및 전기적 특성이 우수한 베릴륨(Be) 등의 귀금속이 이용된다. 또 상기 유전체(14, 24)의 재료로는 일반적으로 PTFE(Poly Tetrafluoroethylene) 수지를 사용하며, 이 경우 사용 가능한 주파수 한도는 대략 27㎓ 정도 인 것이 알려지고 있다. 이 때, 입력된 고주파신호는 상기 외부도체(26)의 내측과 내부도체(16)의 외측사이를 통해 흐르게 된다.
도 3의 (a)∼(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 커넥터와 암 커넥터의 결합상태가 약하게 되어 있거나, 비교적 결합상태가 강한 경우 및 완전한 결합상태를 이루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일반적으로 고주파 전송회로에서 특성 임피던스는 다음의 수학식 1로 나타낸다.
여기에서, Z는 특성임피던스(Ω)를 나타내고, d는 내부도체의 외경, D는 외부도체의 내경을 각각 나타내며, εr은 유전체의 비유전율을 나타낸다.
또 상기 수학식 1에서는 유전재료에 따라 일정한 값을 갖는 상수로서, 수 커넥터와 암 커넥터가 결합될 때 발생하는 불연속점에서 특성임피던스를 일정하게 하기 위해서는 결국의 값을 일정하게 할 필요성이 있으며, 또한 내·외부 불연속점간의 축방향의 최적의 거리(x1, x2)를 설정하여야 된다.
이를 위하여 도 3의 (a)∼(c)에서는 수 커넥터(10)에 있어서 외부도체(16)의 내측방향으로의 유동부분에 복수(본 실시예에서는 5개)의 스프링(S)으로 구성된 내부 스프링 부(28)를 형성하고 있다. 내부 스프링 부(28)는 외부도체(12)의 유동부분에 설치되고, 수 커넥터(10)가 암 커넥터(20)에 결합될 때 진행방향으로 일정한 예압을 부가하고 있으므로, 수 커넥터와 암 커넥터가 일단 결합되면 커넥터 내부를 안정화시키는 일정한 예압을 제공하게 되어 접촉지점에서의 외부직경과 내부직경의 편차가 없어지게 되는 것이다. 즉, 도면에서 커넥터의 내부 직경은 d1' →d2' →d3'로 변경되며, 이에 따라 외부 직경 또한 D1' →D2' →D3' 으로 변경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수 커넥터(10)와 암 커넥터(20)가 서로 결합될 때 생기게 되는 불연속점간의 거리 x1과 x2는 같게 된다.
또한 외부로부터의 충격이나 흔들림 또는 사용자의 부주의 등으로 커넥터의 결합이 약하게 되는 경우에도, 외부도체의 내부직경과 내부도체으 외부직경의 크기가 연동하여 같은 비율로 변경됨으로써 고주파 전송회로에서의 특성임피던스가 일정하게 유지된다.
다음으로 도 4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의한 커플링 결합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결합강화용 스프링을 채용한 커넥터의 결합상태를 설명하는 설명도로서, (a)는 수 커넥터가 암 커넥터에 얕게 삽입된 상태를 설명하고, (b)는 수 커넥터가 암 커넥터에 얕간 깊게 삽입된 상태를 설명하며, (c)는 수 커넥터가 암 커넥터에 완전하게 삽입된 상태를 각각 설명하고 있다.
도 4에서 부호 13은 외부도체 홈, 32는 제 1 스프링 부, 34는 제 1 걸림턱, 36은 제 2 스프링 부, 38은 제 2 걸림턱, 40은 커플러를 각각 나타내고, c1은 제 1 멈춤 링, c2는 제 2 멈춤 링, S는 스프링을 나타내며, 기타의 부분은 상술한 도 3과 동일한 부분을 나타내고 있으므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의한 결합강화용 스프링의 조립 및 작용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4의 (a)∼(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 커넥터의 외부도체(12)의 내측에 복수개의 스프링(S)으로 된 제 1 스프링 부(32)와, 상기 제 1 스프링 부(32)를 지지하기 위한 제 1 멈춤 링(c1)과, 제 2 스프링 부(36)와, 상기 제 2 스프링 부(36)를 지지하기 위한 제 2 멈춤 링(c2)을 차례로 설치한다. 이 때 상기 제 1 스프링 부(32)의 일단에는 제 1 걸림턱(34)이 설치되어 커플러(40)를 후진방향으로 진행시킬 때 저지력을 갖도록 하고, 상기 제 2 스프링(36)이 전방방향(암 커넥터에 결합되는 방향)으로 진행될 때 저지력을 갖게 하는 제 2 걸림턱(38)을 형성하고 있다. 또 상기 제 1 스프링 부(32)와 제 1 멈춤 링(c1)을 차례로 조립한 후에는, 외부도체(12)에 외부도체 홈(13)을 형성시켜 도피 여유공간으로 활용한다. 이렇게 하여 다음에 조립되는 제 2 스프링 부(36)와, 제 2 멈춤 링(c2)을 안정되게 결합시킬 수 있고, 후술하는 암 커넥터(10)의 커플러(40)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게 한다.
다음으로 상기 수 커넥터(10)를 암 커넥터(20)에 진입시키면, 이러한 스프링 구조를 암 커넥터의 외부에 형성된 커플러(40)가 조이면서 덮게 된다.
이렇게 하면 커넥터의 내부에서 제 1, 제 2 스프링 부의 작용에 의한 강력한 지지력이 형성되어 외부로부터의 충격이나 사용자 등의 부주의로 인한 커넥터의 이탈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 때 상기 제 1 스프링 및 제 2 스프링은 코일 스프링이나 판 스프링 등을 이용할 수 있으나, 탄성력을 제공하여 커넥터 내부에 일정한 예압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고주파용 커넥터의 특성 임피던스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고, 충격이나 흔들림 또는 장기간 사용에 따른 외부변경 요인에도 불구하고 커넥터의 결합상태를 안정하게 유지하여 전송 특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당업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된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를 통해 각종 수정, 변경, 대체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4)
- 적어도 신호를 전달하는 내부도체와, 동축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유전체와, 커넥터를 외부로부터 지지하고 신호 전달 경로를 형성하는 외부도체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고주파용 커넥터의 임피던스 보정구조에 있어서,상기 외부도체는 커넥터 내부를 안정화시키는 일정한 예압을 제공함으로써, 암 커넥터와 수 커넥터 사이의 접촉지점에서 상기 내부도체의 외부직경과 상기 외부도체의 내부직경의 비를 일정하게 하기 위한 내부 스프링 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용 커넥터의 임피던스 보정구조.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내부 스프링 부는, 상기 외부도체의 내측방향으로의 유동부분에 복수개의 스프링을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수 커넥터가 상기 암 커넥터에 결합될 때 그 진행방향으로 일정한 예압을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용 커넥터의 임피던스 보정구조.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수 커넥터와 암 커넥터가 서로 결합될 때, 접촉부에 발생하는 불연속점간의 거리는 커넥터 내부의 모든 점에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용 커넥터의 임피던스 보정구조.
- 적어도 신호를 전달하는 내부도체와, 동축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유전체와, 커넥터를 외부로부터 지지하고 신호 전달 경로를 형성하는 외부도체 및 커넥터를 결합시키기 위한 커플러를 구비하는 암 커넥터와 수 커넥터로 이루어지는 고주파용 커넥터의 커플링 결합구조에 있어서,상기 수 커넥터의 외부도체는 내측에 복수개의 스프링으로 된 제 1 스프링부와,상기 제 1 스프링 부를 지지하기 위한 제 1 멈춤 링과,상기 제 1 멈춤 링에 밀착 형성되는 제 2 스프링 부와,상기 제 2 스프링 부를 지지하기 위한 제 2 멈춤 링과,상기 제 1 멈춤 링을 고정하고 커넥터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여유공간으로 작용하는 외부도체 홈을 구비하며,상기 제 1 스프링 부의 일단에는 상기 수 커넥터의 커플러를 후진방향으로 진행시킬 때 저지력을 갖게 하는 제 1 걸림턱을 설치하고,상기 제 2 스프링의 진행방향의 단부에는 상기 수 커넥터의 커플러를 전방방향으로 진행시킬 때 저지력을 갖게 하는 제 2 걸림턱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용 커넥터의 커플링 결합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90022110A KR20010002353A (ko) | 1999-06-09 | 1999-06-09 | 고주파용 커넥터의 임피던스 보정구조 및 커플링 결합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90022110A KR20010002353A (ko) | 1999-06-09 | 1999-06-09 | 고주파용 커넥터의 임피던스 보정구조 및 커플링 결합구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0002353A true KR20010002353A (ko) | 2001-01-15 |
Family
ID=19592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90022110A KR20010002353A (ko) | 1999-06-09 | 1999-06-09 | 고주파용 커넥터의 임피던스 보정구조 및 커플링 결합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10002353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03883B1 (ko) * | 2001-03-19 | 2006-07-24 | 니혼 앗사쿠단시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 전기 커넥터 |
-
1999
- 1999-06-09 KR KR1019990022110A patent/KR20010002353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03883B1 (ko) * | 2001-03-19 | 2006-07-24 | 니혼 앗사쿠단시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 전기 커넥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707597B2 (en) | Electrical contact device, electrical connecting unit and method for assembling an electrical cable | |
US4463324A (en) | Miniature coaxial line to waveguide transition | |
US7819680B2 (en) | Surface mount coaxial connector with switching function | |
KR200484775Y1 (ko) | 일종의 블라인드 인서트 플로팅 타입 커넥터 | |
EP0935315A1 (en) | Stacking coaxial connector for three printed circuit boards | |
KR20040024591A (ko) | 자가보정되는 초소형 동축 커넥터 | |
JP2008288120A (ja) | コネクタ | |
US6030240A (en) | Coaxial connectors | |
DK1278274T3 (da) | Koaksialkonnektoranordning og antenneanordning med en omskiftningsfunktion | |
JP2022502826A (ja) | ハウジング一体型基板メイティングコネクタおよびこの製作方法 | |
KR100742770B1 (ko) | 바이어스티 | |
US10454195B2 (en) | Electrical connector | |
KR20010002353A (ko) | 고주파용 커넥터의 임피던스 보정구조 및 커플링 결합구조 | |
KR102467672B1 (ko) | 특성 임피던스 부정합 방지용 커넥터 | |
US3828304A (en) | Slide-on rf connector | |
US7278888B2 (en) | Bias-T apparatus and center conductor of the same | |
JPS6172401A (ja) | マイクロ波用非接触型コネクタ | |
CN114665344A (zh) | 一种双浮动的射频同轴连接器 | |
KR20010003171A (ko) | 고주파용 커넥터의 유전체 지지구조 | |
CN111509493A (zh) | 一种bma/smp双浮动射频连接器 | |
JPH10233266A (ja) | 同軸コネクタ | |
JP3039595B2 (ja) | 電気接続用コネクタピン | |
KR20200025870A (ko) | Rf케이블 일체형 전력분배기 | |
JPH10302906A (ja) | テーパー付きのc字形状の圧入接触システム | |
CN211376995U (zh) | 板间射频连接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