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1943U -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Google Patents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10001943U KR20010001943U KR2019990012463U KR19990012463U KR20010001943U KR 20010001943 U KR20010001943 U KR 20010001943U KR 2019990012463 U KR2019990012463 U KR 2019990012463U KR 19990012463 U KR19990012463 U KR 19990012463U KR 20010001943 U KR20010001943 U KR 20010001943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xing member
- indoor unit
- insertion hole
- air conditioner
- pin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8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8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020 evap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2—Supports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or ventilation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벽면에 고정된 한 쌍의 못의 수평이 다소 어긋나 있더라도 이에 설치되는 실내기의 수평을 용이하게 맞출 수 있는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실내기가 설치될 벽면에 고정된 고정부재가 삽입되며, 상기 벽면에 고정된 고정부재에 대하여 실내기를 지탱하는 고정부재 삽입공이 형성된 후면판을 가지는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 삽입공은 수직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재 삽입공의 양측에는 복수의 핀 삽입공이 소정간격으로 형성된 핀 홀더가 형성되고, 상기 핀 삽입공에는 상기 고정부재에 대하여 실내기를 지탱하는 지지핀이 삽입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벽면에 고정된 한 쌍의 못의 수평이 다소 어긋나 있더라도 이에 설치되는 실내기의 수평을 용이하게 맞출 수 있도록 한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리형 공기조화기란, 그 구성요소가 실내외의 양측으로 분리되어 설치되도록 된 공기조화기를 말하는 것으로서, 이와 같은 분리형 공기조화기는 통상 실내에 설치되는 실내기와, 실외에 설치되는 실외기로 구성된다.
상기 실외기에는, 통상, 열교환 매체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압축된 열교환 매체를 응축하기 위한 응축기 및 응축된 열교환 매체를 증발되기 좋은 상태로 감압하는 캐필러리 튜브가 배치된다.
상기 실내기에는 감압된 열교환 매체를 증발시켜 실내를 냉방하기 위한 증발기가 배치되며, 따라서, 이와 같은 실내기는 통상 실내공기에 비하여 비중이 큰 차가운 공기를 토출하기 때문에, 실내의 벽면 상부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 1에는 이와 같은 종래의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벽면에 설치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에 의하면, 종래의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실내기 본체(100)를 구성하는 후면판(101)에 형성된 한 쌍의 고정부재 삽입공(10)에 의하여 실내의 벽면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실내기 본체(100)는 실내의 벽면에 미리 고정된 못 등과 같은 한 쌍의 고정부재(30)가 그 후면판(101)에 형성된 한 쌍의 고정부재 삽입공(10)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서, 상기 벽면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고정부재(30)는, 통상 몸통부(31)와 헤드부(32)로 구성되며, 통상 망치 등과 같은 도구에 의하여 그 헤드부(32)가 타격됨으로서 그 몸체부(31)가 벽면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그 헤드부(32)의 직경이 몸통부(31)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고정부재 삽입공(10)은 통상 고정부재 관통부(12) 및 연장부(11)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부재 관통부(12)는 상기 고정부재(30)의 헤드부(32)가 통과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11)는, 상기 고정부재(30)의 몸통부(31)는 통과될 수 있으나 헤드부(32)는 통과될 수 없는 정도의 폭으로, 상기 고정부재 관통부(12)로부터 수직 상방으로 연장 형성된다.
즉, 다시 말하면, 상기 실내기 본체(100)는, 실내의 벽면에 미리 고정된 한 쌍의 고정부재(30)의 헤드부(32)가 그 후면판(101)에 형성된 한 쌍의 고정부재 삽입공(10)의 고정부재 관통부(12)를 통하여 상기 후면판(101)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한 후, 상기 고정부재 삽입공(10)의 연장부(11)내로 상기 고정부재(30)의 몸통부(31)가 진입되도록 함으로서, 상기 벽면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 삽입공(10)의 연장부(11)는, 상기 고정부재(30)의 몸통부(31)는 통과될 수 있으나 헤드부(32)는 통과될 수 없는 정도의 폭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재(30)는 상기 고정부재 삽입공(1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실내기 본체(100)에는 실내의 냉방을 위한 실내 열교환기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실내 열교환기에서는 실내공기의 냉각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실내 열교환기의 표면에는 실내공기에 포함되어 있던 수분이 응축되어 맺히게 되며, 따라서, 이와 같은 실내 열교환기의 하측에는 응축수의 배수를 위한 드레인 패널이 통상 마련된다.
그러나, 벽면에 설치된 실내기 본체(100)의 수평이 맞지 않게 되는 경우에는 응축수의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며, 심할 경우에는 드레인 패널로부터 응축수가 넘쳐 흘러 실내기 본체(100)에 내장된 전기 부품에 손상을 입히거나 또는 실내기가 설치된 벽면을 오염시키게 되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상기 실내기 본체(100)는 수평이 정확히 맞는 상태로 벽면에 고정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의하면, 벽면에 미리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부재(30)의 수평이 맞지 않는 경우에는, 이에 설치되는 실내기 본체(100)의 수평을 맞출 수가 없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실내기 본체(100)의 후면판(101)에 형성된 고정부재 삽입공(10)이 실내기 본체(100)의 저면으로부터 동일한 높이에 위치되기 때문에, 고정부재(30)의 수평이 맞지 않는 경우에는, 이에 설치되는 실외기 본체(100)도 필연적으로 기울어지게 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기울어진 실내기 본체(100)를 바로 잡기 위해서는, 벽에 박힌 고정부재(30)의 위치를 재조정하여야 하는데, 이 경우에는 고정부재(30) 및 이 고정부재(30)가 고정되는 벽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내재되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종래의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벽면에 고정된 한 쌍의 못의 수평이 다소 어긋나 있더라도 이에 설치되는 실내기의 수평을 용이하게 맞출 수 있는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벽면에 설치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벽면에 설치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벽면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요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1; 고정부재 삽입공 21a; 고정부재 관통부
21b; 연장부 22; 핀 홀더
22a; 핀 삽입공 23; 지지핀
30; 고정부재 31; 몸체부
32; 헤드부 100; 실내기 본체
101; 후면판
본 고안의 상기와 같은 목적은, 실내기가 설치될 벽면에 고정된 고정부재가 삽입되며, 상기 벽면에 고정된 고정부재에 대하여 실내기를 지탱하는 고정부재 삽입공이 형성된 후면판을 가지는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 삽입공은 수직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재 삽입공의 양측에는 복수의 핀 삽입공이 소정간격으로 형성된 핀 홀더가 형성되고, 상기 핀 삽입공에는 상기 고정부재에 대하여 실내기를 지탱하는 지지핀이 삽입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고안에 따른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함으로서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재는 몸통부와 헤드부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부재 삽입공은, 상기 고정부재의 헤드부가 통과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형성된 고정부재 관통부와, 이 고정부재 관통부로부터 수직 상방으로 길게 연장되며 또한 상기 고정부재의 몸통부는 통과될 수 있으나 헤드부는 통과될 수 없는 정도의 폭으로 형성된 연장부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는 본 고안에 따른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벽면에 설치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 및 도 3에 의하면, 본 고안에 따른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실내기 본체(100)를 구성하는 후면판(101)에 형성된 한 쌍의 고정부재 삽입공(21) 및 지지핀(23)에 의하여 벽면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실내기 본체(100)는 실내의 벽면에 미리 고정된 못 등과 같은 한 쌍의 고정부재(30)가 그 후면판(101)에 형성된 한 쌍의 고정부재 삽입공(21)에 삽입되도록 한 후, 상기 지지핀(23)에 의하여 지지되도록 함으로서, 상기 벽면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고정부재(30)는, 상기 고정부재 삽입공(21)들의 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실내기가 설치될 벽면에 고정되며, 또한 종래의 경우와 동일하게 몸통부(31)와 헤드부(32)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부재 삽입공(21)은 고정부재 관통부(21a) 및 연장부(21b)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부재 관통부(21a)는 고정부재(30)의 헤드부(32)가 통과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21b)는, 고정부재(30)의 몸통부(31)는 통과될 수 있으나 헤드부(32)는 통과될 수 없는 정도의 폭으로, 상기 고정부재 관통부(21a)로부터 수직 상방으로 길게 연장 형성된다.
상기 연장부(21b)의 양측에는 각각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의 핀 삽입공(21a)이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핀 홀더(22)가 각각 배치된다. 상기 한 쌍의 핀 홀더(22)에 형성된 핀 삽입공(22a)은 상호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핀 삽입공(22a)에는 고정부재(30)에 의하여 지지되는 지지핀(23)이 삽입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설치를 위해서는, 먼저 벽면에 고정부재(30)의 몸체부(31)를 박아 고정한다. 이때, 상기 헤드부(32)는 벽면으로부터 소정 길이 돌출되어야 한다.
이 상태에서 후면판(101)의 고정부재 삽입공(21)에 고정부재(30)의 헤드부(32)가 끼워지도록 한 후, 고정부재(30)의 몸체부(31)가 고정부재 삽입공(21)의 연장부(21b)에 끼워지도록 실내기 본체(100)를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설치된 실내기 본체(100)가 기울어져 있으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 홀더(22)의 핀 삽입공(22a)에 삽입된 지지핀(23)의 위치를 변경하여 실내기 본체(100)의 수평도를 조절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의하면, 핀 홀더(22)의 핀 삽입공(22a)에 삽입된 지지핀(23)의 위치를 변경하여 실내기 본체(100)의 수평도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벽면에 고정된 한 쌍의 고정부재(30)의 수평이 다소 어긋나 있더라도 이에 설치되는 실내기의 수평을 용이하게 맞출 수 있다고 하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2)
- 실내기가 설치될 벽면에 고정된 고정부재가 삽입되며, 상기 벽면에 고정된 고정부재에 대하여 상기 실내기를 지탱하는 고정부재 삽입공이 형성된 후면판을 가지는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있어서,상기 고정부재 삽입공은 수직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재 삽입공의 양측에는 복수의 핀 삽입공이 소정간격으로 형성된 핀 홀더가 형성되고, 상기 핀 삽입공에는 상기 고정부재에 대하여 상기 실내기를 지탱하는 지지핀이 삽입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몸통부와 헤드부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부재 삽입공은, 상기 고정부재의 헤드부가 통과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형성된 고정부재 관통부와, 이 고정부재 관통부로부터 수직 상방으로 길게 연장되며 또한 상기 고정부재의 몸통부는 통과될 수 있으나 헤드부는 통과될 수 없는 정도의 폭으로 형성된 연장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90012463U KR200239622Y1 (ko) | 1999-06-30 | 1999-06-30 |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90012463U KR200239622Y1 (ko) | 1999-06-30 | 1999-06-30 |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0001943U true KR20010001943U (ko) | 2001-01-26 |
KR200239622Y1 KR200239622Y1 (ko) | 2001-09-29 |
Family
ID=54765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90012463U KR200239622Y1 (ko) | 1999-06-30 | 1999-06-30 |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39622Y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222076B2 (en) | 2015-10-26 | 2019-03-05 | Lg Electronics Inc. | Outdoor unit for an air conditioner |
CN109631305A (zh) * | 2018-12-21 | 2019-04-16 | 奥克斯空调股份有限公司 | 安装系统 |
-
1999
- 1999-06-30 KR KR2019990012463U patent/KR200239622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222076B2 (en) | 2015-10-26 | 2019-03-05 | Lg Electronics Inc. | Outdoor unit for an air conditioner |
CN109631305A (zh) * | 2018-12-21 | 2019-04-16 | 奥克斯空调股份有限公司 | 安装系统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39622Y1 (ko) | 2001-09-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349978B1 (ko) | 창문형 공기조화기 | |
KR100438105B1 (ko) | 공기조화기의 실외 유닛 | |
US5575545A (en) | Monitor shell | |
JPWO2016103448A1 (ja) | 室外機 | |
KR200239622Y1 (ko) |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
US6023936A (en) |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 |
AU645176B2 (en) | Refrigerator with means to mount an evaporator | |
JP2645919B2 (ja) | ドレン水蒸発装置 | |
KR102341199B1 (ko) | 에어콘 실외기 받침대 | |
DK160655B (da) | Ophaengningsanordning for en kondensator paa et koeleskab | |
JP2012013404A (ja) | 冷凍サイクル装置の熱源ユニット及びドレンパン | |
KR100337911B1 (ko) | 공조기기의 실내기 고정장치 및 이를 채용한 공조기기 | |
KR200222089Y1 (ko) | 분리형 에어컨의 실내기 설치부재 | |
KR19980056136U (ko) | 에어컨 설치대 | |
JPH04257682A (ja) | ドレン水蒸発装置 | |
KR100557097B1 (ko) | 빌트인 냉장고의 제상수 방열장치 | |
KR20000007703A (ko) | 창문형 공기조화기용 설치장치 | |
KR200160522Y1 (ko) | 벽걸이형 공조기기의 실내기 고정장치 | |
KR20010001918A (ko) | 공기조화기의 증발기 설치구조 | |
KR19990010065U (ko) | 패키지 에어컨의 증발기 조립구조 | |
JP2005024124A (ja) | エアコン室内機の設置構造 | |
KR200259594Y1 (ko) |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지지구조 | |
KR200228655Y1 (ko) | 분리형공기조화기의실내기 | |
KR20030015510A (ko) | 컨트롤박스 커버를 겸비한 리모컨 홀더 구조 | |
KR19990018510U (ko) | 냉장고용 증발접시덮개의 고정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90629 Year of fee payment: 9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