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1918A - 공기조화기의 증발기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증발기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1918A
KR20010001918A KR1019990021411A KR19990021411A KR20010001918A KR 20010001918 A KR20010001918 A KR 20010001918A KR 1019990021411 A KR1019990021411 A KR 1019990021411A KR 19990021411 A KR19990021411 A KR 19990021411A KR 20010001918 A KR20010001918 A KR 200100019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porator
air conditioner
cabinet
slit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14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규형
김용택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900214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01918A/ko
Publication of KR200100019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1918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5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on the floor; standing on the flo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0Arrangement or mounting of heat-exchan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증발기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증발기를 잡아주는 채널을 캐비닛에 형성된 슬릿에 끼움으로써 증발기를 설치하는 공기조화기의 증발기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증발기가 그 하부는 캐비닛의 전방에 위치하고 그 상부는 캐비닛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기울어져 설치됨으로써 실온공기와 토출공기를 분리하는 공기조화기의 증발기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의 배면패널에는 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증발기의 핀을 지지하기 위하여 양측면에 설치된 채널은 그 일측이 상기 슬릿에 끼워져 고정됨으로써 증발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증발기 설치구조 {Evaporation mounting for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증발기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증발기를 잡아주는 채널을 캐비닛에 형성된 슬릿에 끼움으로써 증발기를 설치하는 공기조화기의 증발기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공기를 흡입하여 냉방, 가습, 제습 등의 공기조화를 행한 후, 다시 공기조화된 공기를 토출하는 장치로서, 공기의 흡입과 토출을 위하여 송풍장치와 송풍장치에 의해 이송되는 공기의 유로에 설치되어 공기의 온도를 낮추거나 높이기 위한 열 교환기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공기조화기가 냉방전용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상기 열 교환기는 증발기로서 동작하게 되는데, 증발기는 냉매가 증발되면서 주위로부터 열을 흡수함으로써 흡입되는 공기의 온도가 하강되어 토출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그리고 증발기의 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 교환을 가장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방열구조를 가지는데, 냉매가 증발되면서 통과되는 배관(2)이 얇은 판 형상의 핀(1) 사이에 삽입된 구조를 가진다. 즉, 핀(1) 사이로 공기가 통과되면서 열 교환이 일어나게 된다.
참조된 도면,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단면도이다.
종래의 공기조화기에서 열 교환기인 증발기의 설치구조를 살펴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닛(10) 내측의 하부에는 흡입구(10a)로 공기가 흡입될 수 있도록 팬과 팬 하우징(11)이 설치되어 있고, 상부에는 증발기(13)가 증발기(13)의 하부는 캐비닛(10)의 전방에 위치되고 그 상부는 캐비닛(10)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기울어진 채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증발기(13)는 양 측면에 핀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로서 튜브 시트(tube sheet)(14)가 설치되어 있고, 증발기(13)의 하부는 증발기(13)를 통과하는 공기의 수분이 응축되어 발생되는 응축수를 배수하기 위한 드레인 팬(drain pan)(12)의 상부에 이격되게 놓여지고, 증발기(13)의 상부는 상기 튜브 시트(14)가 상기 캐비닛(10)에 체결된 브래킷(15)에 체결됨으로써 고정되어 있다.
미설명 부호 10b는 토출구를, 16은 체결수단인 나사를 각각 나타낸다.
그러나, 종래의 공기조화기의 설치구조는 별도의 상기 브래킷을 사용하여 증발기를 고정하는 구조이므로 부품수가 많고 체결작업으로 인해 작업공수가 많아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캐비닛에 슬릿(slit)을 형성하고 증발기 상부의 채널을 슬릿에 끼움으로써 증발기를 고정하여 부품수를 절약하고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증발기 설치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증발기의 사시도,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단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A부의 상세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50 : 캐비닛 50a : 흡입구 50b : 토출구
51 : 팬 하우징 52 : 드레인 팬 53 : 증발기
54 : 채널
본 발명은 증발기가 그 하부는 캐비닛의 전방에 위치하고 그 상부는 캐비닛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기울어져 설치됨으로써 실온공기와 토출공기를 분리하는 공기조화기의 증발기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의 배면패널에는 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증발기의 핀을 지지하기 위하여 양측면에 설치된 채널은 그 일측이 상기 슬릿에 끼워져 고정됨으로써 증발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참조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A부의 상세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증발기 설치구조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닛(50)의 하부에는 팬과 팬 하우징(51)이 설치되고, 상기 캐비닛(50)의 중앙부 전방에는 상기 증발기(53)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배수하기 위한 드레인 팬(52)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캐비닛(50) 배면패널에는 슬릿(50c)이 형성되어 상기 증발기(53)의 핀을 지지하기 위한 채널(channel)(54)의 일측이 끼워짐으로써 증발기(53)가 고정되게 된다.
즉, 상기 증발기(53)의 상부는 상기 채널(54)이 상기 슬릿(50c)에 끼워져 매달리게 되고, 하부는 상기 드레인 팬(52)의 상부에 놓여지게 되는 구조이다.
미설명 부호 50a는 흡입구를, 50b는 토출구를 각각 나타낸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증발기 설치구조는 상기 증발기(53)가 채널(54)에 의해 캐비닛(50)에 형성된 슬릿(50c)에 끼워져 설치되므로 별도의 부품과 체결수단이 필요치 않아 부품수가 줄어들고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1)

  1. 증발기가 그 하부는 캐비닛의 전방에 위치하고 그 상부는 캐비닛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기울어져 설치됨으로써 실온공기와 토출공기를 분리하는 공기조화기의 증발기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의 배면패널에는 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증발기의 핀을 지지하기 위하여 양측면에 설치된 채널은 그 일측이 상기 슬릿에 끼워져 고정됨으로써 증발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증발기 설치구조.
KR1019990021411A 1999-06-09 1999-06-09 공기조화기의 증발기 설치구조 KR200100019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1411A KR20010001918A (ko) 1999-06-09 1999-06-09 공기조화기의 증발기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1411A KR20010001918A (ko) 1999-06-09 1999-06-09 공기조화기의 증발기 설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1918A true KR20010001918A (ko) 2001-01-05

Family

ID=19591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1411A KR20010001918A (ko) 1999-06-09 1999-06-09 공기조화기의 증발기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0191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7889B1 (ko) * 2005-09-22 2007-02-05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실내기
KR100787499B1 (ko) * 2006-11-15 2007-12-21 삼성전자주식회사 천장형 공기조화기
CN112013571A (zh) * 2019-05-31 2020-12-01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蒸发器支架及使用其的空调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7889B1 (ko) * 2005-09-22 2007-02-05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실내기
KR100787499B1 (ko) * 2006-11-15 2007-12-21 삼성전자주식회사 천장형 공기조화기
CN112013571A (zh) * 2019-05-31 2020-12-01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蒸发器支架及使用其的空调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9978B1 (ko) 창문형 공기조화기
US6321556B1 (en) Three-way mounting of an air conditioner
CA2308384C (en) Condensate drain outlet for an air conditioner
JP2013047588A (ja) 建築構造物の空調構造
KR20010001916A (ko) 공기조화기의 증발기 설치구조
KR20010001918A (ko) 공기조화기의 증발기 설치구조
JP2009236385A (ja) 空調装置
KR100323521B1 (ko) 공기조화기의 증발기 설치구조
KR20010001919A (ko) 공기조화기의 증발기 설치구조
KR19980013140U (ko) 공기조화기용 실외기의 송풍덕트장치
KR20050064963A (ko) 덕트형 공기조화기의 배관 지지구조
KR100360423B1 (ko) 천정카세트형 공기조화기
KR200187470Y1 (ko) 패키지에어컨의공기청정기설치구조
KR100234970B1 (ko) 공기조화기의 배수 및 지지장치
KR100360440B1 (ko) 삼면 토출형 공기조화기
KR0134028Y1 (ko) 분리형 공조기의 마운트모터 고정장치
KR200222089Y1 (ko) 분리형 에어컨의 실내기 설치부재
KR200178068Y1 (ko) 패키지 에어콘
KR20010093371A (ko) 냉난방 겸용 공기 조화기
KR20010011102A (ko) 공기조화기의 드레인 팬 설치구조
KR20060117832A (ko) 공기조화기의 드레인팬
JPH09296938A (ja) 空調機ドレン装置
KR20030043032A (ko) 덕트형 공기조화기의 드레인팬 고정구조
JPH05187670A (ja) 空気調和機
KR200272518Y1 (ko) 에어콘 실내기의 블로워 고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060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