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1629A - 다채널시스템의 입출력제어장치 - Google Patents

다채널시스템의 입출력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1629A
KR20010001629A KR1019990020986A KR19990020986A KR20010001629A KR 20010001629 A KR20010001629 A KR 20010001629A KR 1019990020986 A KR1019990020986 A KR 1019990020986A KR 19990020986 A KR19990020986 A KR 19990020986A KR 20010001629 A KR20010001629 A KR 200100016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signal
output
output control
broadca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09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86277B1 (ko
Inventor
김성준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900209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6277B1/ko
Publication of KR200100016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16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62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62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04N21/42607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processing the incoming bitstream
    • H04N21/4263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processing the incoming bitstream involving specific tuning arrangements, e.g. two tun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8Signal distribution or switc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다채널시스템의 입출력제어장치는 각종 매체의 방송을 동시 수신하며 외부기기와 인터페이스하는 다채널시스템에서 현재 모드에 따라 선택되는 신호의 입출력제어를 최적화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입출력제어장치는 지상파방송신호와 위성방송신호를 각기 수신하여 복조하는 수단과 외부기기와의 연결을 위한 IEEE1394 인터페이스, 및 복조된 지상파방송신호와 위성방송신호중 어느 하나 혹은 외부기기입력을 복원하는 T/S디코더 사이에 마련되며, 복조된 지상파방송신호와 위성방송신호를 각기 입력받기 위한 제 1 및 제 2버퍼, 두 버퍼중 하나로부터 방송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제 3버퍼, 제 3버퍼와 IEEE1394 사이에서 입출력할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제 4버퍼, 그리고 현재 모드에 따라 버퍼들의 동작을 제어하여 해당하는 신호를 선택하여 입출력 제어하는 복수개의 제어신호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채널시스템에서 현재 모드에 따라 선택되는 신호의 입출력 제어를 복잡하지 않게 최적화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다채널시스템의 입출력제어장치{Input/Output control apparatus of multi-channel system}
본 발명은 하나의 세트상에서 위성방송(DBS), 지상파방송등의 각기 다른 매체의 방송신호를 모두 수신시청할 뿐 아니라 외부기기와 인터페이스하는 다채널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채널 입력중 현재 모드에 따라 선택되는 신호의 입출력 제어를 최적화하기 위한 다채널입력시스템의 입출력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지탈 추세에 맞추어 고화질(High Definition; HD)의 디지탈 방송이 곧 개시될 예정이다. 그래서, 이 디지탈 방송을 수신하여 시청할 수 있는 TV시스템이 요구되어졌으며, 이와 관련한 선행기술들이 제시되고 있다. 그 일예를 도 1에 도시하였다.
도 1은 일반적인 디지탈방송수신장치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1에 보여진 장치는 방송 수신되는 디지탈신호를 선국하는 튜너(11), 선국된 디지탈신호를 디지탈형태로 변환하는 A/D변환기(12), 및 디지탈 변환된 신호를 채널디코딩하여 변조되기 이전상태로 복조하는 채널디코더(13)를 구비한다. 또한, 복조된 신호로부터 영상 및 음성데이타를 분리하는 T/S디코더(14), 분리된 영상과 음성데이타 각각을 복원하는 MPEG2디코더(15)와 AC-3디코더(19)를 구비한다. 한편, 복원된 영상데이타를 미리 설정된 디스플레이규격으로 포맷 변환하는 포맷변환기(16), 포맷 변환된 영상데이타를 화면에 나타낼 부가정보를 삽입하는 OSGM(On Screen Graphic Mixer) (17), 및 OSGM(17)의 출력에 따라 구동하여 화면 출력하는 구동기(18)를 구비한다. 그리고, 복원된 음성데이타를 아날로그형태로 변환하는 D/A변환기(20)와, 아날로그 변환된 음성신호를 외부송출하는 앰프(21)를 구비한다.
도 1에서, 튜너(11)는 안테나를 통하여 유입되는 신호에서 원하는 채널의 디지탈 방송신호를 선국하여 A/D변환기(12)로 출력한다. A/D변환기(12)는 인가되는 방송신호를 디지탈형태로 변환하여 채널디코더(13)로 출력한다. 채널디코더(13)는 디지탈 변환된 방송신호에 대해 채널디코딩하여 변조되기 이전상태, 즉 트랜스포트스트림(transport stream) 데이타로 복조한다. 통상 디지탈 방송신호는 방송국으로부터 잔류측대역(Vestigial Sideband; VSB)변조되어 전송되므로, 채널디코더(13)에서는 그 VSB변조에 대해 복조한다. T/S디코더(14)는 복조된 방송신호에 다중화되어 있는 영상 및 음성데이타를 분리한다. T/S디코더(14)에 의해 분리되어진 영상데이타를 인가받는 MPEG2디코더(15)는 인가되는 영상데이타를 MPEG2 처리규격에 맞추어 복원하여 포맷변환기(16)로 출력한다. 한편, T/S디코더(14)에 의해 분리되어진 음성데이타를 인가받는 AC-3디코더(19)는 인가되는 음성데이타를 AC-3 처리규격에 맞추어 복원하여 D/A변환기(20)로 출력한다. 포맷변환기(16)는 복원된 영상데이타를 디스플레이규격에 맞도록 포맷 변환하여 OSGM(17)으로 출력한다. OSGM (17)은 포맷변환된 영상데이타에 화면에 나타낼 부가정보를 삽입하여 구동기(18)로 출력한다. 구동기(18)는 OSGM(17)의 출력에 의해 구동하여 해당 디지탈 방송신호를 화면 출력한다. D/A변환기(20)는 복원된 음성데이타를 아날로그형태로 변환하여 앰프(21)로 출력한다. 앰프(21)는 아날로그 변환된 음성신호를 외부송출한다.
도 1에 보여진 디지탈방송수신장치는 하나의 방송매체에 대해서만 수신하여 시청할 수 있지만, 최근에는 하나의 세트에서 각기 다른 매체에 대한 동일 처리규격의 구성블록에 대해서 공용하여 여러 매체의 방송신호를 수신시청가능토록 한 다채널시스템도 제공되고 있다. 또한, 외부기기와의 입출력이 가능토록 인터페이스를 마련하여 사용범위를 넓힐 수 있도록 한다. 통상, 인터페이스(interface)수단으로 IEEE1394를 사용한다. IEEE1394는 전기전자 기술자 협회(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Engineers; IEEE)에서 권고하는 시스템간 디지탈신호 인터페이스규격이다.
하지만, 종래의 다채널시스템은 각기 다른 매체에 대한 동일 처리규격의 구성블록과 각기 다른 처리규격의 구성블록, 그리고 인터페이스규격의 구성블록을 하나의 세트에 구비하므로, 구성블록간에 현재 모드에 따른 신호의 선택 및 선택되는 신호의 입출력을 위한 제어부분이 복잡해지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버퍼를 이용하여 현재 모드에 따른 신호의 선택 및 선택되는 신호의 입출력을 위한 제어를 최적화할 수 있도록 한 다채널시스템의 입출력제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디지탈방송수신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다채널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도 2 시스템의 입출력제어부를 나타내는 상세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 지상파방송수신부 31,41 : 튜너
32,42 : A/D변환기 33,43 : 채널디코더
40 : 위성방송수신부 50 : IEEE1394
60 : 입출력제어부 61∼64 : 버퍼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채널시스템의 입출력제어장치는, 다채널시스템에 있어서, 각기 다른 매체의 방송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방송수신부와, 상기 방송수신부에서 수신되는 각기 다른 매체의 방송신호와 외부기기의 신호중 하나의 신호를 현재의 모드에 따라 선택하여 출력하는 입출력제어부와,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하여, 외부기기의 신호를 상기 입출력제어부로 전달하거나 입출력제어부의 출력신호를 외부기기로 전달하는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입출력제어부의 출력신호를 시청가능토록 신호처리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다채널시스템의 구성도로서, 도 1 디지탈방송수신장치의 동일한 구성에서 다른 매체의 방송을 수신시청가능토록 각 매체간에 처리규격이 다른 부분의 구성블록이 추가로 구성된다. 즉, 지상파방송과 위성방송을 각각 수신하기 위해 튜너(31,41), A/D변환기(32,42), 및 채널디코더(33,43)로 된 수신부(30,40)를 구비한다. 또한, 외부기기와의 연결을 위한 인터페이스수단인 IEEE1394(50)와, 지상파방송수신부(30)와 위성방송수신부(40) 및 IEEE1394(50) 사이에서 현재 모드에 따라 신호를 선택하여 입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입출력제어부(60)가 추가로 구성된다. 입출력제어부(60)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은 도 3를 통해 후술한다. 도 1에서와 동일한 참조번호를 갖는 도 2의 구성블록들은 도 1의 대응하는 블록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2에서, 지상파방송수신부(30)는 튜너(31)를 통해 원하는 지상파방송을 수신하며, A/D변환기(32)를 통해 디지탈형태로 변환한다. 채널디코더(33)는 A/D변환기(32)에서 디지탈형태로 변환된 지상파방송신호를 변조되기 이전상태로 복조하여 입출력제어부(60)로 출력한다. 위성방송수신부(40)는 튜너(41)를 통해 원하는 위성방송을 수신하며, A/D변환기(42)를 통해 디지탈형태로 변환한다. 채널디코더(43)는 A/D변환기(42)에서 디지탈형태로 변환된 위성방송신호를 변조되기 이전상태로 복조하여 입출력제어부(60)로 출력한다.
도 3에서, 입출력제어부(60)는 지상파방송수신부(30)의 채널디코더(33)와 위성방송수신부(40)의 채널디코더(43)로부터 인가되는 지상파방송신호와 위성방송신호를 각각 버퍼(61,62)에 입력받는다. 이때, 미도시된 제어기를 통해 현재 모드에 따른 제어신호(CTL1)가 버퍼(61,62)에 인가되어 지상파방송 혹은 위성방송을 선택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사용자에 의해 현재모드가 지상파방송을 시청하는 경우이면, 제어신호(CTL1)에 의해 제 1버퍼(61)만 동작가능한 상태가 되어 입력받은 지상파방송신호를 제 3버퍼(63)에 인가한다. 반대로, 사용자에 의해 현재모드가 위성방송을 시청하는 경우이면, 제어신호(CTL1)에 의해 제 2버퍼(62)만 동작가능한 상태가 되어 입력받은 위성방송신호를 제 3버퍼(63)에 인가한다. 현재모드가 지상파방송 및 위성방송 모두 시청하지 않는 경우이면, 제어신호(CTL1)에 의해 두 버퍼(61,62) 모두 동작하지 않는다. 제 3버퍼(63)는 제 1버퍼(61)와 제 2버퍼(62)중 하나로부터 인가되는 지상파방송 혹은 위성방송을 입력받는다. 한편, 디지탈 VCR등의 외부기기와 연결된 IEEE1394(50)는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신호를 입력받아 제 4버퍼(64)에 인가한다. 현재 모드에 따라 미도시된 제어기에서 발생되는 다른 제어신호(CTL2)는 제 3 및 제 4버퍼(63,64)에 인가된다. 현재 모드가 지상파방송 혹은 위성방송을 시청하는 경우이거나 이를 디지탈 VCR에 기록하는 등의 외부기기로 출력하는 경우이면, 제어신호(CTL2)에 의해 제 3버퍼(63)만 동작가능한 상태가 되어 입력받은 방송신호를 T/S디코더(14)로 인가함과 동시에 제 4버퍼(64)로 인가한다. 반대로, 현재의 모드가 외부신호를 입력받는 경우이면, 제어신호(CTL2)에 의해 제 4버퍼(64)만 동작가능한 상태가 되어 IEEE1394(50)를 통해 입력받은 외부신호를 T/S디코더(14)로 인가한다. 현재의 모드가 수신받은 지상파방송 혹은 위성방송을 디지탈 VCR에 기록하는 등의 외부기기로 출력하는 경우이면, 제어신호(CTL2)에 의해 제 4버퍼(64)는 제 3버퍼(63)로부터 인가받은 방송신호를 IEEE1394(50)를 통해 외부기기로 출력한다. T/S디코더(14)는 제 3버퍼(63)와 제 4버퍼(64)중 하나로부터 인가되는 방송신호 혹은 외부신호를 입력받는다. T/S디코더(14) 이후의 구성블록부터는 도 1의 대응하는 블록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채널시스템의 입출력제어장치는, 하나의 세트에서 IEEE1394를 통해 외부기기연결뿐 아니라 각종 매체의 방송을 모두 수신시청가능한 상태에서 현재의 모드에 따른 방송신호 혹은 외부신호를 선택하여 입출력 제어하는 데 있어 2개의 제어신호와 4개의 버퍼를 이용하여 구성을 최적화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4)

  1. 다채널시스템에 있어서,
    각기 다른 매체의 방송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방송수신부;
    상기 방송수신부에서 수신되는 각기 다른 매체의 방송신호와 외부기기의 신호중 하나의 신호를 현재의 모드에 따라 선택하여 출력하는 입출력제어부;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하여, 외부기기의 신호를 상기 입출력제어부로 전달하거나 입출력제어부의 출력신호를 외부기기로 전달하는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입출력제어부의 출력신호를 시청가능토록 신호처리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다채널시스템의 입출력제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제어부는
    상기 방송수신부에서 수신되는 각기 다른 매체의 방송신호를 각각 입력받기 위한 복수개의 버퍼;
    상기 복수개의 버퍼중 하나로부터 인가되는 방송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다른 버퍼; 및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외부기기와의 입출력을 위한 또 다른 버퍼를 구비하며,
    현재의 모드에 따른 복수개의 제어신호를 통해 상기 버퍼들의 동작을 제어하여 신호의 입출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시스템의 입출력제어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제어부는 현재의 모드에 따라 복수개의 제어신호중 하나를 통해 상기 복수개의 버퍼를 제어하여 원하는 매체의 방송신호를 선택하고, 다른 제어신호를 통해 다른 버퍼들을 제어하여 선택된 방송신호를 신호처리수단으로 출력함과 동시에 상기 인터페이스부로 출력하거나 상기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인가되는 외부기기의 신호를 신호처리수단으로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시스템의 입출력제어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IEEE139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시스템의 입출력제어장치.
KR1019990020986A 1999-06-07 1999-06-07 다채널시스템의 입출력제어장치 KR1002862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0986A KR100286277B1 (ko) 1999-06-07 1999-06-07 다채널시스템의 입출력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0986A KR100286277B1 (ko) 1999-06-07 1999-06-07 다채널시스템의 입출력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1629A true KR20010001629A (ko) 2001-01-05
KR100286277B1 KR100286277B1 (ko) 2001-03-15

Family

ID=19590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0986A KR100286277B1 (ko) 1999-06-07 1999-06-07 다채널시스템의 입출력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627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5566B1 (ko) * 2001-10-11 2003-11-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위성/지상파 방송 전환시스템
WO2022141583A1 (zh) * 2020-12-31 2022-07-07 深圳市韶音科技有限公司 信号处理电路和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5566B1 (ko) * 2001-10-11 2003-11-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위성/지상파 방송 전환시스템
WO2022141583A1 (zh) * 2020-12-31 2022-07-07 深圳市韶音科技有限公司 信号处理电路和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86277B1 (ko) 2001-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32101B2 (en) Digital broadcast receiver unit
US6305021B1 (en) Analog/digital cable TV capable of performing bidirectional communication
US7821577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JP2002325210A (ja) 2つの独立したチャンネルを一体型の受信器/復号器を用いて視聴する方法および装置
WO2003071784A1 (en) Television system
JP2000138877A (ja) デジタル放送送信装置および受信装置
US7068322B2 (en) Broadcasting receiver
KR100286277B1 (ko) 다채널시스템의 입출력제어장치
JP2002369087A (ja) デジタル/アナログ放送受信機
JP2000236523A (ja) Catvシステム用再送信装置
KR100254498B1 (ko) 다중 디지탈 방송 수신기
KR100233544B1 (ko) 멀티형 디지탈방송수신장치
EP1420587A1 (en) Circuit arrangement with two input sections for receiving television program content
KR101253163B1 (ko) 방송 수신기
KR100293036B1 (ko) 위성방송수신기의화면멈춤장치
KR20030039445A (ko) 영상 신호 송수신 장치
JP2599405Y2 (ja) テレビ受信装置
JPH066763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200159618Y1 (ko) 텔레비전의 a/v출력신호 모니터출력장치
KR100277951B1 (ko) 아날로그/디지털 티브이
KR100745287B1 (ko) 디지털 티브이의 음성 출력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010002202A (ko) 디지털 텔레비젼의 부가 데이터 표시장치
JPH0775034A (ja) 多信号受信装置
KR20000011048U (ko) 디지털 티브이의 외부 방송 신호 처리 장치
JP2001339664A (ja) ディジタル放送受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