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1195A - 지연장치를 이용한 중계기 신호 구분 방법 - Google Patents

지연장치를 이용한 중계기 신호 구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1195A
KR20010001195A KR1019990020261A KR19990020261A KR20010001195A KR 20010001195 A KR20010001195 A KR 20010001195A KR 1019990020261 A KR1019990020261 A KR 1019990020261A KR 19990020261 A KR19990020261 A KR 19990020261A KR 20010001195 A KR20010001195 A KR 200100011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peater
signal
base station
time
recei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0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58000B1 (ko
Inventor
양영대
이승목
Original Assignee
조정남
에스케이 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정남, 에스케이 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조정남
Priority to KR10199900202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8000B1/ko
Publication of KR200100011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11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80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80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 E03D9/085Hand-held spray heads for bidet use or for cleaning the bow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A47K7/08Devices or hand implements for cleaning the buttoc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지연장치를 이용한 중계기 신호 구분 방법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무선통신시스템에서 해당 기지국의 음영지역을 서비스하기 위해서 부가적으로 설치되는 중계기에 시간 지연장치를 부착하여 중계기를 통해 기지국에 수신되는 지연장치만큼의 시간지연을 갖는 중계기 신호와 기지국에 직접 수신되는 기지국 신호를 구분함으로써, 중계기 관련 데이터를 얻기 위한 중계기 신호 구분 방법 및 그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고자 함.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기지국의 음영지역을 서비스하는 중계기의 서비스 영역에서 통화하는 단말기의 신호가 상기 중계기를 통해 상기 기지국에 수신될 때 시간 지연을 갖도록 하기 위해, 상기 중계기에 시간 지연수단을 구비하는 제 1 단계; 상기 단말기와 상기 기지국간에 호를 접속하여 상기 기지국에서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수신신호에 대한 시간을 계산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수신신호에 대한 시간과 기설정된 임계수신시간을 비교하여 상기 수신신호중 상기 시간 지연수단 만큼의 시간 지연을 갖는 신호와 시간 지연을 갖지 않는 신호를 구분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CDMA 이동통신 시스템등에 이용됨.

Description

지연장치를 이용한 중계기 신호 구분 방법{METHOD FOR DISTINGUISHING TRUNK SIGNAL USING DELAY DEVICE FROM BASE STATION SIGNAL}
본 발명은 코드분할다중접속(CDMA :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이동통신시스템, 또는 개인휴대통신시스템(PCS :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등과 같은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시간 지연장치를 이용하여 기지국에 수신되는 단말기 신호 중 지연시간을 갖는 중계기 신호와 지연시간을 갖지 않는 직접 기지국 신호를 구분함으로써, 중계기 관련 데이터를 구분하여 중계기의 통화품질 최적화 및 정확한 엔지니어링을 수행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중계기 신호 구분 방법 및 그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시설계획 수립시 용량증설 및 장비선정 등 제반 엔지니어링 계획을 수립하는데 기초적인 데이터가 가입자 신호에 대한 통계 데이터이다.
그러나, 종래에는 이러한 통계 데이터를 획득하는데 있어서 기지국으로 가입자 신호가 수신시에 중계기를 통해서 수신되는 신호와 직접 기지국으로 수신되는 신호가 유사한 시간에 섞여 들어오기 때문에 기지국에 수신되는 모든 신호 중에서 중계기 신호만을 따로 구분할 수 있는 별도의 방법이 없었다.
따라서, 기지국에 수신되는 신호에 대한 별도의 통계데이터가 없었기 때문에 중계기의 통화품질 최적화 및 정확한 엔지니어링을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무선통신시스템에서 해당 기지국의 음영지역을 서비스하기 위해서 부가적으로 설치되는 중계기에 시간 지연장치를 부착하여 중계기를 통해 기지국에 수신되는 지연장치만큼의 시간지연을 갖는 중계기 신호와 기지국에 직접 수신되는 기지국 신호를 구분함으로써, 중계기 관련 데이터를 얻기 위한 중계기 신호 구분 방법 및 그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중계기 신호 구분시스템의 구성 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기지국 및 단말기간의 송수신 시점을 나타낸 설명도.
도 3a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신호의 수신신호 시간분포도.
도 3b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 신호의 수신신호 시간분포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여러 개의 중계기가 설치되었을 때의 중계기 신호 구분 방법을 나타낸 설명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지연장치를 이용한 중계기 신호 구분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기지국 12 : 중계기
13 : 단말기 14 ; 중계기/기지국 통계관리 시스템
121 : 지연장치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무선통신시스템에서의 가입자 신호 구분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의 음영지역을 서비스하는 중계기의 서비스 영역에서 통화하는 단말기의 신호가 상기 중계기를 통해 상기 기지국에 수신될 때 시간 지연을 갖도록 하기 위해, 상기 중계기에 시간 지연수단을 구비하는 제 1 단계; 상기 단말기와 상기 기지국간에 호를 접속하여 상기 기지국에서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수신신호에 대한 시간을 계산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수신신호에 대한 시간과 기설정된 임계수신시간을 비교하여 상기 수신신호중 상기 시간 지연수단 만큼의 시간 지연을 갖는 신호와 시간 지연을 갖지 않는 신호를 구분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은, 프로세서를 구비한 중계기 신호 구분 장치에, 단말기와 기지국간에 호를 접속하여 상기 기지국에서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수신신호에 대한 시간을 계산하는 기능; 및 상기 수신신호에 대한 시간과 기설정된 임계수신시간을 비교하여 상기 수신신호 중 기지국의 음영지역을 서비스하는 중계기의 서비스 영역에서 통화하는 단말기의 신호가 상기 중계기를 통해 상기 기지국에 수신될 때 시간 지연을 갖는 신호와 시간 지연을 갖지 않는 신호를 구분하는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중계기 신호 구분시스템의 구성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계기 신호 구분시스템은 중계기(12)에 시간 지연장치(121)를 부착하여 중계기(12)의 서비스 영역에서 통화하는 단말기(13)의 신호가 중계기(12)를 통하여 기지국(11)에 수신될 때 시간 지연장치(121) 만큼의 시간 지연을 가지고 수신되기 때문에 기지국(11)에 직접 수신되는 기지국 신호와 중계기(12)로부터의 중계기 신호를 구분할 수 있다.
이처럼 기지국(11)에 수신되는 신호 중 중계기 신호와 기지국 신호를 구분하기 위해서는 우선 서비스 영역에서 통화하는 단말기(13)의 신호가 중계기(12)를 통해 기지국(11)으로 수신될 때 시간 지연을 갖도록 중계기(12)에 시간 지연장치(121)를 부착해야 한다.
여기서, 중계기(12)에 시간 지연장치(121)를 부착하는 방법으로는 중계기(12)의 순방향부에 부착하는 방식과 중계기(12)의 역방향부에 부착하는 방식이 있으며, 순방향부 및 역방향부 모두에 부착하는 방식이 있다.
이처럼 중계기(12)를 통해 시간 지연장치(121) 만큼의 시간지연을 갖는 중계기 신호와 직접 수신되는 기지국 신호를 입력받아, 기지국(11)에서는 해당 신호에 할당된 각각의 채널을 기지국(11) 내의 메모리에 저장하고 해당 통계 데이터를 구분하여 중계기/기지국 관리시스템(14)으로 전송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기지국 및 단말기간의 송수신 시점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기지국(11) 및 단말기(13)간의 송수신 시점을 살펴보면, 단말기(13)의 신호는 기지국(11)이 송신한 신호를 수신하여 그 수신된 지점을 기준으로 송신한다.
따라서, 기지국(11)에 수신되는 단말기(13)의 신호는 기지국(11)이 송신한 시점을 기준으로 기지국(11)에서 단말기(13)로 가는 전파지연시간(201)과 단말기(13)에서 기지국(11)으로 가는 전파지연시간(202)의 합만큼의 시간지연을 가지고 기지국(11)에 수신된다.
그런데, 기지국(11)에 수신되는 단말기(13)의 신호는 중계기(12)에 시간 지연장치(121)를 부착함으로써, 시간 지연장치(121) 만큼의 시간지연이 발생될 수 있는데, 이러한 시간 지연장치(121) 만큼의 시간 지연을 갖는 중계기 신호와 기지국(11)에 직접 수신되는 기지국 신호간의 시간지연 분포를 살펴보면 도 3b 및 도 3a와 같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11)에 직접 수신되는 기지국 수신신호(a)는 기지국(11)에서 단말기(13)의 거리에 따른 시간 분포를 갖는다.
한편,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계기 신호는 기지국(11)과 단말기(13) 사이에서 지연시간을 갖지 않는 중계기 신호(b)에 시간 지연장치(121)를 부착하여 시간 지연장치(121) 만큼의 지연시간(d)을 갖는다.
따라서, 직접 수신신호(즉, 직접 기지국 수신신호(a))와 중계기(12)를 통한 수신신호(즉, 중계기 신호(c))를 구분해 주기 위해서는 임계수신시간(e)을 설정하여야 한다.
이러한 임계수신시간(e)을 바탕으로 임계수신시간(e) 보다 수신시간이 클 경우에는 중계기(12)를 통한 수신신호(c)로 간주할 수 있고, 반대로 임계수신시간(e) 보다 수신시간이 크지 않은 경우에는 직접 수신신호(a)로 간주할 수 있다.
도 4 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여러 개의 중계기가 설치되었을 때의 중계기 신호 구분 벙법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 개의 중계기(12)가 설치된 경우에 각 중계기(12)는 내부의 지연장치(121)에 따라 서로 다른 지연값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임계수신시간(e)을 여러 개 설정하게 되면, 여러 개의 중계기(12)를 구분할 수 있는데, 이는 기지국(11)에 여러 개의 중계기(12)가 설치되었을 경우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지연장치를 이용한 중계기 신호 구분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계기(12)에 시간 지연장치(121)를 부착하여 중계기(12)를 통한 신호와 직접 수신되는 신호를 구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중계기 신호 구분 방법은, 먼저 단말기(13)가 기지국(11)에 호접속을 시도하면(501), 기지국(11)은 해당 신호에 대한 수신시간을 계산하여(502) 수신시간(기지국 신호(a) 또는 중계국 신호(c)의 수신시간)과 임계수신시간(e)을 비교한다(503).
비교결과, 해당 신호의 수신시간이 임계수신시간(e)보다 크면, 중계기(12)를 통한 수신신호(즉, 중계기 신호)로 간주하여 해당 신호에 할당된 채널을 중계기 채널로 표시(즉, 중계기(11)에 할당한 것을 메모리에 저장)하여(504) 중계기 채널에 대한 데이터를 중계기 통계관리시스템(14)으로 전송한다(506).
비교결과, 해당 신호의 수신시간이 임계수신시간보다 크지 않으면, 직접 수신신호로 간주하여 해당 신호에 할당된 채널을 기지국 채널로 표시(즉, 기지국에 할당한 것을 메모리에 저장)하여(505) 기지국 채널에 대한 데이터를 기지국 통계관리시스템(14)으로 전송한다(507).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기지국에 직접 수신되는 기지국 신호와 중계기를 통해서 수신되는 신호가 유사한 시간에 섞여 들어와도 중계기 신호만을 따로 구분할 수 있어 중계기 관련 소통 데이터 및 통화량 데이터를 얻을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중계기 관련 통화품질 최적화 및 통화량 데이터를 통한 적절한 용량산출 및 적정장비 선정 등 제반 중계기 관련 무선망 엔지니어링에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무선통신시스템에서의 가입자 신호 구분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의 음영지역을 서비스하는 중계기의 서비스 영역에서 통화하는 단말기의 신호가 상기 중계기를 통해 상기 기지국에 수신될 때 시간 지연을 갖도록 하기 위해, 상기 중계기에 시간 지연수단을 구비하는 제 1 단계;
    상기 단말기와 상기 기지국간에 호를 접속하여 상기 기지국에서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수신신호에 대한 시간을 계산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수신신호에 대한 시간과 기설정된 임계수신시간을 비교하여 상기 수신신호중 상기 시간 지연수단 만큼의 시간 지연을 갖는 신호와 시간 지연을 갖지 않는 신호를 구분하는 제 3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지연장치를 이용한 중계기 신호 구분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의 수행 결과에 따라, 구분된 상기 수신신호를 관리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제 4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지연장치를 이용한 중계기 신호 구분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는,
    상기 제 3 단계의 수행 결과에 따라, 상기 수신신호에 대한 시간이 상기 임계수신시간 보다 크면, 상기 지연시간을 갖는 신호에 할당한 채널을 중계기 채널로 표시하여 중계기 채널에 대한 데이터를 중계기 통계관리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제 5 단계; 및
    상기 제 3 단계의 수행 결과에 따라, 상기 수신신호에 대한 시간이 상기 임계수신시간 보다 크지 않으면, 상기 지연시간을 갖지 않는 신호에 할당한 채널을 기지국 채널로 표시하여 기지국 채널에 대한 데이터를 기지국 통계관리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제 6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지연장치를 이용한 중계기 신호 구분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수단은,
    상기 중계기를 구비하되, 상기 중계기의 순방향부에 부착하거나, 상기 중계기의 역방향부에 부착하거나, 상기 중계기의 순방향부 및 역방향부 모두에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연장치를 이용한 중계기 신호 구분 방법.
  5. 프로세서를 구비한 중계기 신호 구분 장치에,
    단말기와 기지국간에 호를 접속하여 상기 기지국에서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수신신호에 대한 시간을 계산하는 기능; 및
    상기 수신신호에 대한 시간과 기설정된 임계수신시간을 비교하여 상기 수신신호 중 기지국의 음영지역을 서비스하는 중계기의 서비스 영역에서 통화하는 단말기의 신호가 상기 중계기를 통해 상기 기지국에 수신될 때 시간 지연을 갖는 신호와 시간 지연을 갖지 않는 신호를 구분하는 기능
    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19990020261A 1999-06-02 1999-06-02 지연장치를 이용한 중계기 신호 구분 방법 KR1006580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0261A KR100658000B1 (ko) 1999-06-02 1999-06-02 지연장치를 이용한 중계기 신호 구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0261A KR100658000B1 (ko) 1999-06-02 1999-06-02 지연장치를 이용한 중계기 신호 구분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1195A true KR20010001195A (ko) 2001-01-05
KR100658000B1 KR100658000B1 (ko) 2006-12-14

Family

ID=19589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0261A KR100658000B1 (ko) 1999-06-02 1999-06-02 지연장치를 이용한 중계기 신호 구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800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0603A (ko) * 2003-04-17 2004-10-26 주식회사 맥스웨이브 단일 채널 다 중계기 시스템
KR20060005219A (ko) * 2004-07-12 2006-01-17 삼성전자주식회사 시분할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시스템에서 광중계기 동기화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665274B1 (ko) * 2004-08-07 2007-01-04 에스케이텔레시스 주식회사 무선통신 기지국의 순방향신호/역방향신호 딜레이 제어방법 및 그 장치
KR100753221B1 (ko) * 2006-10-13 2007-08-30 에스케이텔레시스 주식회사 무선통신 기지국의 순방향신호 딜레이 제어 방법 및 그장치
KR100939440B1 (ko) * 2007-10-29 2010-01-2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기지국의 서비스 범위 확장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77191B2 (ja) * 1994-03-15 1997-11-17 日本電気株式会社 Cdma通信方式
KR970011681B1 (ko) * 1994-12-16 1997-07-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씨디엠에이(cdma) 이동 통신망에서의 기지국과 기지국 제어 장치간의 프로세서 통신 데이터 처리를 위한 정합장치
KR970011681A (ko) * 1995-08-04 1997-03-27 배순훈 냉장고의 캐필라리튜브
JP2785789B2 (ja) * 1996-02-09 1998-08-13 日本電気株式会社 ディジタル移動通信システム
JPH09261712A (ja) * 1996-03-27 1997-10-03 Nec Corp 移動体通信の通信モード切り替え回路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0603A (ko) * 2003-04-17 2004-10-26 주식회사 맥스웨이브 단일 채널 다 중계기 시스템
KR20060005219A (ko) * 2004-07-12 2006-01-17 삼성전자주식회사 시분할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시스템에서 광중계기 동기화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665274B1 (ko) * 2004-08-07 2007-01-04 에스케이텔레시스 주식회사 무선통신 기지국의 순방향신호/역방향신호 딜레이 제어방법 및 그 장치
KR100753221B1 (ko) * 2006-10-13 2007-08-30 에스케이텔레시스 주식회사 무선통신 기지국의 순방향신호 딜레이 제어 방법 및 그장치
KR100939440B1 (ko) * 2007-10-29 2010-01-2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기지국의 서비스 범위 확장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8000B1 (ko) 2006-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31905B2 (en) Fixed wireless access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US5386588A (en) Transmission power control of mobile radiotelephone station in response to base station control signal where base station data is collected by the mobile radiotelephone station
US5913161A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the lawful intercept of cellular communications
US5666650A (en) Split neighbor lists for multiple hyperband capable cellular communications systems
US6529733B1 (en) Method of handoff control and a handoff control system using thereof
US6459695B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radio frequency coverage trouble spot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RU2158477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слабления взаимных помех в системе связи
RU2001105979A (ru) Способ предоставления услуги местной зоны для абонентов мобильных телефонов в системе подвижной радиосвязи
KR19980068872A (ko) 무선통신시스템에 있어서 호 설정방법
KR20060073640A (ko) 제어 채널상에서의 간섭의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및장치
US650757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haring a signaling channel
KR100658000B1 (ko) 지연장치를 이용한 중계기 신호 구분 방법
US7599322B2 (en) Method for measuring receive sensitivity of base station having multiple frequency allocations
KR19990077333A (ko) 전파 지연 결정 프로시져
KR100719048B1 (ko) Rf 통신 시스템을 위한 채널 사전선택 방법
KR20010009994A (ko) 위치정보서비스 방법
KR20030095133A (ko) 이동 통신망의 통화 품질 자동 진단 방법 및 시스템
US20040242211A1 (en) Mobile subscriber station with low frequency call alerting capability
EP1305964B1 (en) System for monitoring the performance of mobile telephony networks
CA2318118A1 (en) System and method of mobile station presence verification in a multiple-hyperband cellular telecommunications network
JPH07123461A (ja) チャネル割当て方式およびこれを備えた無線通信システム
JPS5881349A (ja) 過疎地用無線電話交換方式
US6438372B1 (en) System for the observation of traffic
KR100334557B1 (ko) 통화중인 이동국의 톤 신호 전송방법
KR100221837B1 (ko) 위성통신 시스템의 채널모뎀 이용상태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