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0996A - 세탁기의 회전조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세탁기의 회전조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0996A
KR20010000996A KR1019990019931A KR19990019931A KR20010000996A KR 20010000996 A KR20010000996 A KR 20010000996A KR 1019990019931 A KR1019990019931 A KR 1019990019931A KR 19990019931 A KR19990019931 A KR 19990019931A KR 20010000996 A KR20010000996 A KR 200100009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body
shaft flange
washing machine
shaft
rotating t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9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동산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900199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00996A/ko
Publication of KR200100009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0996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1Tubs made by a specially selected manufacturing process or characterised by their assembly from elements
    • D06F37/262Tubs made by a specially selected manufacturing process or characterised by their assembly from elements made of plastic material, e.g. by injection moul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00Shafts; Axles; Cranks; Eccentrics
    • F16C3/02Shafts; Ax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기의 회전조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회전조 하부몸체의 저부에 설치되는 샤프트플랜지 구조를 개선하여 이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회전조 및 이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회전조(30)를 이루는 하부몸체(32)의 저부 중심부위에 클러치(42)의 샤프트(43)가 관통결합되는 샤프트플랜지(33)를 인서트 고정함으로써, 회전조(30) 조립을 보다 용이하게 하고 조립 부품수를 줄여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세탁기의 회전조 및 이의 제조방법{Spin - basket of washing machine and manufacture method of spin - basket}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클러치의 샤프트가 관통 결합되는 샤프트플랜지를 회전조의 하부몸체 저부에 보다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세탁기의 회전조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세탁, 헹굼 그리고 배수 및 탈수행정 등이 콘트롤부의 마이콤에 미리 프로그램화되어 있고, 사용자가 이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프로그램화된 일련의 과정을 거쳐 세탁물이 전자동으로 세탁된다.
이러한 기능을 하는 세탁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관을 이루는 하우징(1) 내부에 세탁에 필요한 일정량의 세탁수를 담수하는 수조(2), 수조(2)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벽면전역에 걸쳐 탈수공이 천공된 원통상의 회전조(3), 회전조(3) 저부에 정역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펄세이터(3c)를 구비한다.
수조(2)는 세탁기의 구동시 발생되는 진동이 완화되도록 현가장치(4)를 통해 하우징(1) 내부에 매달려 설치된다. 또한, 수조(2)의 외측 하부에는 회전조(3)와 펄세이터(3c)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5)가 장착되는데, 이것은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5a), 벨트(5d)를 매개로하여 모터(5a)의 회전력을 전달받고 샤프트(5c)을 통해 펄세이터(3c)와 회전조(3)를 구동시키는 클러치(5b)를 포함한다.
즉, 세탁 및 헹굼행정시에는 클러치(5b)의 샤프트(5C)에 의해 동력이 펄세이터(3c)만으로 전달되고, 탈수행정시에는 동력이 펄세이터(3c)와 회전조(3)가 동시 회전되도록 전달된다. 미설명부호 6은 세탁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호스로서, 하우징(1) 외부까지 연장되게 마련된다.
그리고 회전조(3)는 스테인레스 스틸로 구성되며 상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상의 상부몸체(3a), 원반형상으로 이루어져 상부몸체(3a)의 하단부에 스크류(3e)고정되는 하부몸체(3b)를 포함한다. 하부몸체(3b)는 플라스틱재로 사출 성형되는데, 이의 내면에 세탁수류를 형성하는 펄세이터(3c)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외면에는 샤프트(5c)와의 결합을 위해 샤프트플랜지(3d)가 스크류(3e) 체결되어 있다. 샤프트플랜지(3d)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심부에 샤프트(5c)가 관통 결합되는 결합공(3h)이 형성되며, 하부몸체(3b) 저부를 떠받치도록 방사상으로 분기 형성된 6개의 지지단(3i)이 마련된다. 그리고 지지단(3i)의 단부에는 각각 스크류 관통구(3g,도 1참조)가 형성되어 있어서, 관통구(3g)를 통해 샤프트플랜지(3d)가 하부몸체(3b)에 스크류(3e) 고정되어 일체로 구동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세탁기의 회전조(3)를 조립 완성하기 위해 수차례의 스크류작업을 거쳐야 함으로써, 이의 조립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회전조(3)는 스테인레스 스틸의 상부몸체(3a)와 플라스틱재질로 사출성형된 하부몸체(3b)가 스크류(3e)결합되어 그 외형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하부몸체(3b)의 외면에 형성된 스크류홀(3f,도 1참조)과 샤프트플랜지(3d)의 지지단(3i)에 형성된 관통구(3g)를 정확하게 일치시킨 후, 여기에 각각 6개의 스크류(3e)를 또다시 조여야 함으로써, 이들의 조립 작업성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것은 물론이며, 조립 부품수가 많아져 제조원가 역시 상승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플라스틱재로 사출 성형되는 하부몸체의 제조시 플랜지샤프트를 인서트 고정함으로써, 회전조 제조를 보다 용이하게 하며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세탁기의 회전조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세탁기의 전체적인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 샤프트플랜지의 결합구조를 보인 저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동 세탁기의 전체적인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조를 발췌하여 보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샤프트플랜지를 개략적으로 보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조의 제조단계를 개략적으로 보인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회전조 31..상부몸체
32..하부몸체 321..보강리브
33..샤프트플랜지 331..결합공
332..고정돌기 42..클러치
43..샤프트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회전조는, 원통형의 상부몸체, 상부몸체 하부에 결합되며 세탁수류를 형성하는 펄세이터가 설치되는 하부몸체, 하부몸체에 마련되며 클러치의 샤프트가 관통 결합되도록 중심부에 결합공이 형성된 샤프트플랜지를 갖춘 세탁기의 회전조에 있어서,
하부몸체는 플라스틱재로 성형되며, 샤프트플랜지는 하부몸체에 인서트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회전조 제조방법은, 원통형상으로 마련되며 내벽면에 탈수공이 천공된 상부몸체, 상부몸체 하부에 결합되고 세탁수류를 형성하는 펄세이터가 설치되며 플라스틱재로 사출 성형된 하부몸체를 포함하는 세탁기의 회전조 제조방법에 있어서,
클러치의 샤프트가 관통 결합되도록 중심부에 결합공이 형성되며 외측부에 방사상으로 돌출된 다수개의 고정돌기를 갖춘 샤프트플랜지를 준비하는 예비단계,
예비단계 이후에 샤프트플랜지를 하부몸체 사출 성형시 저부 중심부위에 위치하여 고정돌기가 하부몸체에 인서트되도록 하부몸체성형용 금형에 배치하는 배치단계,
배치단계 이후에 하부몸체성형용 금형에 용융된 플라스틱을 주입하여 하부몸체를 사출 성형하는 용융 플라스틱 주입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형 몸체를 이루는 하우징(10) 내부에 현가 설치되는 수조(20), 세탁수류를 형성하는 펄세이터(34)가 내장된 회전조(30)와 이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40) 등으로 크게 구성되어 있으며, 수조(20)의 하부에는 세탁수를 하우징(10)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호스(50)와 이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배수밸브(51)가 마련된다.
플라스틱재로 사출성형되는 하우징(10)은 상부가 개방된 사각통상으로 이루어지며, 이의 상부에 세탁물을 투입, 인출하기 위한 뚜껑(12)과 세제용해장치(13)가 마련된 상부커버(11)가 결합된다. 수조(20)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지지봉(141)과 완충스프링 등으로 이루어진 4개의 현가장치(14)를 통해 하우징(10) 내부공간에 매달려 설치된다. 즉, 지지봉(141)의 일단부는 하우징(10)의 상측단부에 고정되고, 이의 타단부는 수조(20) 하측에 고정되며 완충스프링이 내장된 케이스(142) 내부에 결합되어 있어서, 완충스프링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세탁기의 작동시 발생된 진동과 충격이 완화된다.
구동부(40)는 모터(41)와 클러치(42) 등으로 크게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은 완충지지된 수조(20) 하면에 장착된다. 동력을 회전조(30)와 펄세이터(34)로 구분 전달하는 클러치(42)는 수조(20)의 하측 중심부에 고정되며, 클러치(42)의 샤프트(43) 단부가 회전조(30) 및 펄세이터(34) 중심부와 결합되어 있다. 이에 따라 클러치(42)에 의해 세탁 및 헹굼행정시에는 펄세이터(34)만 정역회전되고, 탈수행정시에는 펄세이터(34)와 회전조(30)가 일방향으로 동시 회전된다. 그리고 모터(41)는 동력을 발생하여 클러치(42)로 전달하는데, 이를 위해 모터(41)의 풀리(411)와 클러치(42)의 풀리(421)는 벨트(44)를 매개로 연결되어 있다.
회전조(30)는 수조(20) 내부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이의 내벽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설치되는데, 이것은 상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상의 상부몸체(31)와 접시모양의 하부몸체(32)로 구성되어 있다.
원통상의 상부몸체(31)는 내벽 전역에 걸쳐 탈수공(311)이 천공되며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로 구성된다. 그리고 하부몸체(32)는 플라스틱 재질로 사출성형되며 외측면부가 상부몸체(31)의 하측단부에 스크류(312) 결합되며, 이의 상부에는 클러치(42)의 샤프트(43)와 결합되어 정역회전하는 펄세이터(34)가 장착된다.
또한, 하부몸체(32)의 중심부에는 샤프트(43)와의 결합을 위해 샤프트플랜지(33)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의 설치구조를 도 4와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샤프트플랜지(33)는 정 중앙부에 샤프트(43)가 관통 결합되는 결합공(331)이 천공된 원반형상의 몸체(333), 몸체(333)의 외주부에 방사상으로 연장 돌출된 다수개의 고정돌기(332)가 일정간격 이격되게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샤프트플랜지(33)는 하부몸체(32)의 중심부에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즉, 하부몸체(32)의 사출 성형시 샤프트플랜지(33)는 이의 저부 중심부에 몸체(333)의 고정돌기(332)가 인서트 고정되며, 결합공(331)을 통해 샤프트(43)가 관통 결합된다. 샤프트플랜지(33)를 인서트 고정하기 위해서는 하부몸체(32) 저부가 충분한 두께를 가지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인서트 고정시 방사상으로 연장 구성된 고정돌기(332)에 의해 샤프트플랜지(33)가 보다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로 유지된다. 미설명부호 321은 샤프트플랜지(33)가 인서트 고정된 하부몸체(32)의 변형 및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하부몸체(32) 저부에 마련된 보강리브이다.
따라서 회전조(30)는 상부몸체(31)와 하부몸체(32)가 스크류(312) 조립되며, 하부몸체(32) 저부에 설치된 샤프트플랜지(43)의 결합공(331)을 통해 샤프트(43)가 관통결합되어 탈수행정시 고속으로 회전되는데, 샤프트플랜지(33)가 하부몸체(32) 저부에 별도의 체결도구 없이 인서트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조(30) 조립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부품수 감소로 인해 제조원가가 절감된다.
다음에는 세탁기의 회전조 제조방법을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조 제조방법은 이들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샤프트플랜지(33)를 준비하는 예비단계(A), 샤프트플랜지(33)를 금형에 배치하는 배치단계(B), 금형에 용융 플라스틱을 주입하는 용융 플라스틱 주입단계(C) 등을 포함한다.
예비단계(A)는 클러치(42)의 샤프트(43)가 관통 결합되도록 중심부에 결합공(331)이 형성되며 외측부에 방사상으로 돌출된 고정돌기(332)를 다수개 갖춘 원반형상의 샤프트플랜지(33)를 준비하는 단계이다.
그리고 배치단계(B)는 이러한 예비단계(A)에서 준비된 샤프트플랜지(33)를 하부몸체(32) 성형을 위한 금형 내에 배치하는 단계이다. 즉, 하부몸체(32)는 금형에 용융된 플라스틱을 주입하여 사출성형되는데, 하부몸체(32)의 사출 성형시 하부몸체(32)의 저부 중심부위에 샤프트플랜지(33)를 위치하여 고정돌기(331)가 인서트고정되도록 금형 내에 샤프트플랜지(33)를 배치한다.
용융 플라스틱 주입단계(C)는 배치단계(B)를 통해 샤프트플랜지(33)가 배치된 금형 내에 용융 상태의 플라스틱을 주입함으로써 하부몸체(32)를 사출 성형하는 단계이다.
이에 따라 회전조(30)의 하부몸체(32) 제조시 이의 저부에 샤프트플랜지(33)가 고정돌기(332)를 통해 견고하게 인서트 고정됨으로써, 회전조(30)의 조립 부품수 감소로 인해 이의 조립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짐은 물론이며 제조원가 역시 절감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회전조 및 이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회전조를 이루는 하부몸체의 저부 중심부위에 클러치의 샤프트가 관통결합되는 샤프트플랜지를 인서트 고정함으로써, 회전조 조립을 보다 용이하게 하고 조립 부품수를 줄여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원통형의 상부몸체, 상기 상부몸체 하부에 결합되며 세탁수류를 형성하는 펄세이터가 설치되는 하부몸체, 상기 하부몸체에 마련되며 클러치의 샤프트가 관통 결합되도록 중심부에 결합공이 형성된 샤프트플랜지를 갖춘 세탁기의 회전조에 있어서,
    상기 하부몸체(32)는 플라스틱재로 성형되며,
    상기 샤프트플랜지(33)는 상기 하부몸체(32)에 인서트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회전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플랜지(33)는 중앙에 상기 결합공(331)이 형성된 몸체(333), 상기 몸체(333)에서 방사상으로 외향 돌출되며 상기 하부몸체(32)에 인서트되는 다수의 돌기(3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회전조.
  3. 원통형상으로 마련되며 내벽면에 탈수공이 천공된 상부몸체, 상기 상부몸체 하부에 결합되고 세탁수류를 형성하는 펄세이터가 설치되며 플라스틱재로 사출 성형된 하부몸체를 포함하는 세탁기의 회전조 제조방법에 있어서,
    클러치(42)의 샤프트(43)가 관통 결합되도록 중심부에 결합공(331)이 형성되며 외측부에 방사상으로 돌출된 다수개의 고정돌기(332)를 갖춘 샤프트플랜지(33)를 준비하는 예비단계(A),
    상기 예비단계(A) 이후에 상기 샤프트플랜지(33)를 상기 하부몸체(32) 사출 성형시 저부 중심부위에 위치하여 상기 고정돌기(332)가 상기 하부몸체(32)에 인서트되도록 하부몸체성형용 금형에 배치하는 배치단계(B),
    상기 배치단계(B) 이후에 하부몸체성형용 금형에 용융 상태의 플라스틱을 주입하여 상기 하부몸체(32)를 사출 성형하는 용융 플라스틱 주입단계(C)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세탁조 제조방법.
KR1019990019931A 1999-06-01 1999-06-01 세탁기의 회전조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100009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9931A KR20010000996A (ko) 1999-06-01 1999-06-01 세탁기의 회전조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9931A KR20010000996A (ko) 1999-06-01 1999-06-01 세탁기의 회전조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0996A true KR20010000996A (ko) 2001-01-05

Family

ID=19589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9931A KR20010000996A (ko) 1999-06-01 1999-06-01 세탁기의 회전조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00996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5736B1 (ko) * 2000-01-04 2005-08-04 유한회사 대동 세탁기의 세탁조 및 그 제조방법
KR101068830B1 (ko) * 2009-03-31 2011-09-29 양덕수 세탁기용 플랜지 샤프트
CN108481676A (zh) * 2018-03-22 2018-09-04 上海甬兴塑胶有限公司 一种洗衣机筒底以及用于洗衣机筒底注塑成型的模具
KR20180121140A (ko) * 2017-04-28 2018-1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펄세이터 제작용 프레스 금형 및 그것의 제어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5736B1 (ko) * 2000-01-04 2005-08-04 유한회사 대동 세탁기의 세탁조 및 그 제조방법
KR101068830B1 (ko) * 2009-03-31 2011-09-29 양덕수 세탁기용 플랜지 샤프트
KR20180121140A (ko) * 2017-04-28 2018-1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펄세이터 제작용 프레스 금형 및 그것의 제어방법
CN108481676A (zh) * 2018-03-22 2018-09-04 上海甬兴塑胶有限公司 一种洗衣机筒底以及用于洗衣机筒底注塑成型的模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7819B1 (ko) 세탁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629672B1 (ko)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조방법
EP2530198B1 (en) Washing machine
US20130036773A1 (en) Driving apparatus for washing machine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US20060101864A1 (en) Washing machine
KR101054408B1 (ko) 세탁기
JP4710539B2 (ja) ドラム式洗濯機
US7331202B2 (en) Drum-type washing machine with rotatable pulsator
KR850001923B1 (ko) 탈수 겸용 세탁기
JP2004121320A (ja) ドラム式洗濯機
US11668123B2 (en) Washing machine
KR20010000996A (ko) 세탁기의 회전조 및 이의 제조방법
EP0960232B1 (en) Washing machine with a reduced height and a modular construction
JP4577166B2 (ja) ドラム式洗濯機
JP4265077B2 (ja) 洗濯機の電動機
JP2004081648A (ja) 洗濯機等の蓋装置
JPS5851913Y2 (ja) 脱水兼用洗濯機
US4016731A (en) Flexible coupling assembly
KR19990054038A (ko) 세탁기의 클러치 새들
KR20000010749U (ko) 세탁기의 세탁조
KR200264236Y1 (ko) 세탁기의 발란스부재 조립장치
KR200208944Y1 (ko) 세탁기
KR200205100Y1 (ko) 보조바스켓을 갖춘 세탁기
KR0130758Y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배수밸브하우징 취부구조
KR200464322Y1 (ko) 드럼세탁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