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1140A - 세탁기의 펄세이터 제작용 프레스 금형 및 그것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세탁기의 펄세이터 제작용 프레스 금형 및 그것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1140A
KR20180121140A KR1020170055471A KR20170055471A KR20180121140A KR 20180121140 A KR20180121140 A KR 20180121140A KR 1020170055471 A KR1020170055471 A KR 1020170055471A KR 20170055471 A KR20170055471 A KR 20170055471A KR 20180121140 A KR20180121140 A KR 201801211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e
piercing
mold
blank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54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3044B1 (ko
Inventor
김성용
고상진
최인완
하재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554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3044B1/ko
Publication of KR201801211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11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30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30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08Dies with different parts for several steps in a pro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2/00Shaping without cutting, by stamping, spinning, or deep-drawing
    • B21D22/20Deep-draw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24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 B21D28/34Perforating tools; Die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1/00Other methods for working sheet metal, metal tubes, metal profiles
    • B21D31/02Stabbing or piercing, e.g. for making sie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28Associations of cutting devices therewith
    • B21D43/282Discharging crop end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Shaping Metal By Deep-Drawing, Or The Like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블랭크를 펄세이터로 제작하는 공정 중 드로잉, 트리밍, 피어싱 및 플랜징 공정을 하나의 금형에서 할 수 있는 세탁기의 펄세이터 제작용 프레스 금형 및 그것의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펄세이터 제작용 프레스 금형은, 하형과, 상기 하형의 상측에서 상기 하형과 합형되는 가압력에 의해 상기 하형과의 사이에서 블랭크를 펄세이터로 제작하는 상형을 포함하고, 상기 하형은, 하형 홀더와, 상기 하형 홀더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블랭크가 놓여지며 복수개의 피어싱 홀이 형성되는 하형 다이와, 상기 하형 다이의 외측 둘레에 배치되고 상기 하형 다이에 놓여진 상기 블랭크를 잡는 블랭크 홀더와, 상기 하형 다이의 센터부를 관통하여 상하로 이동 가능토록 배치되는 피어싱 다이와, 상기 피어싱 다이의 상하 이동을 단속하는 피어싱 다이 단속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상형은, 상형 홀더와, 상기 상형 홀더의 하측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상형 다이와, 상기 상형 다이의 상하 이동을 단속하는 상형 다이 단속유닛과, 상기 피어싱 다이와 대응되는 부분인 상기 상형 다이의 센터부를 관통하는 상형 센터 펀치와, 상기 상형 홀더의 하측에 결합되어 상기 상형 다이보다 외측에 배치되는 상형 외곽 펀치와, 상기 상형 홀더에 결합되어 상기 상형 다이를 관통하고 상기 복수개의 피어싱 홀과 각각 대응되어 배치되는 복수개의 피어싱 핀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세탁기의 펄세이터 제작용 프레스 금형 및 그것의 제어방법{A PRESS MOLD FOR MAKING PULSATOR OF WASHING MACHI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PRESS MOLD}
본 발명은 세탁기의 펄세이터 제작용 프레스 금형 및 그것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세탁조인 내조가 지면에 대해 수평방향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드럼 방식과, 수직방향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탑로드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드럼 방식은 내조가 회전하면서 세탁물이 내조의 내벽면과 마찰되거나 낙하되는 과정에서 세탁되도록 하는 반면, 상기 탑로드 방식은 내조의 바닥면에 구비된 펄세이터가 회전하면서 수류를 발생시키고 이 수류와 세탁물이 마찰되거나 상기 펄세이터가 세탁물에 충격을 가해 세탁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탑로드 방식의 세탁기는 저수조인 외조와, 상기 외조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세탁물을 수용하는 내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내조의 바닥면에는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내조 내의 세탁수를 회전시켜서 회전 수류를 발생시키는 펄세이터가 구비된다.
상기 펄세이터는 원형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상기 펄세이터가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은 블랭크(blank; 가공되기 전 금속판)가 금형에서 트리밍(triming)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펄세이터는 복수의 수공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외조 내에 담긴 세탁수는 상기 복수의 수공을 통해 상기 내조 내로 출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펄세이터의 센터부에는 상기 모터의 회전축과 결합되기 위한 센터홀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복수의 수공 및 상기 센터홀은 피어싱(piercing) 금형에서 프레스 가공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펄세이터는 상기 센터부가 상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센터부 및 외곽 사이에 볼록부 및 오목부가 원주방향을 따라 교대로 배치되는 형상을 가진다. 이와 같은 상기 펄세이터의 전체적인 형상은 드로잉(drawing) 금형에서 프레스 가공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펄세이터는 상기 센터홀의 주변이 하측으로 절곡된다. 이와 같은 상기 펄세이터의 센터홀 주변이 하측으로 절곡되는 것은 플랜징(flanging) 금형에서 프레스 가공되어 형성된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 따른 세탁기의 펄세이터 제작용 프레스 금형은, 상기 트리밍, 피어싱, 드로잉 및 플랜징을 위한 금형이 각각 별도로 구비되어 있어서, 금형구입비가 증가되고, 생산시간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블랭크를 펄세이터로 제작하는 공정 중 드로잉, 트리밍, 피어싱 및 플랜징 공정을 하나의 금형에서 할 수 있는 세탁기의 펄세이터 제작용 프레스 금형 및 그것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펄세이터 제작용 프레스 금형은, 하형과, 상기 하형의 상측에서 상기 하형과 합형되는 가압력에 의해 상기 하형과의 사이에서 블랭크를 펄세이터로 제작하는 상형을 포함하고, 상기 하형은, 하형 홀더와, 상기 하형 홀더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블랭크가 놓여지며 복수개의 피어싱 홀이 형성되는 하형 다이와, 상기 하형 다이의 외측 둘레에 배치되고 상기 하형 다이에 놓여진 상기 블랭크를 잡는 블랭크 홀더와, 상기 하형 다이의 센터부를 관통하여 상하로 이동 가능토록 배치되는 피어싱 다이와, 상기 피어싱 다이의 상하 이동을 단속하는 피어싱 다이 단속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상형은, 상형 홀더와, 상기 상형 홀더의 하측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상형 다이와, 상기 상형 다이의 상하 이동을 단속하는 상형 다이 단속유닛과, 상기 피어싱 다이와 대응되는 부분인 상기 상형 다이의 센터부를 관통하는 상형 센터 펀치와, 상기 상형 홀더의 하측에 결합되어 상기 상형 다이보다 외측에 배치되는 상형 외곽 펀치와, 상기 상형 홀더에 결합되어 상기 상형 다이를 관통하고 상기 복수개의 피어싱 홀과 각각 대응되어 배치되는 복수개의 피어싱 핀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펄세이터 제작용 프레스 금형의 제어방법은, 하형과, 상기 하형의 상측에서 상기 하형과 합형되는 가압력에 의해 상기 하형과의 사이에서 블랭크를 펄세이터로 제작하는 상형을 포함하고, 상기 하형은, 하형 홀더와, 상기 하형 홀더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블랭크가 놓여지며 복수개의 피어싱 홀이 형성되는 하형 다이와, 상기 하형 다이의 외측 둘레에 배치되고 상기 하형 다이에 놓여진 상기 블랭크를 잡는 블랭크 홀더와, 상기 하형 다이의 센터부를 관통하여 상하로 이동 가능토록 배치되는 피어싱 다이와, 상기 피어싱 다이의 상하 이동을 단속하는 피어싱 다이 단속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상형은, 상형 홀더와, 상기 상형 홀더의 하측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상형 다이와, 상기 상형 다이의 상하 이동을 단속하는 상형 다이 단속유닛과, 상기 피어싱 다이와 대응되는 부분인 상기 상형 다이의 센터부를 관통하는 상형 센터 펀치와, 상기 상형 홀더의 하측에 결합되어 상기 상형 다이보다 외측에 배치되는 상형 외곽 펀치와, 상기 상형 홀더에 결합되어 상기 상형 다이를 관통하고 상기 복수개의 피어싱 홀과 각각 대응되어 배치되는 복수개의 피어싱 핀을 포함하는 세탁기의 펄세이터 제작용 프레스 금형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피어싱 다이 단속유닛이 상기 피어싱 다이의 상하 이동을 제지한 상태이고, 상기 상형 다이 단속유닛이 상기 상형 다이의 상하 이동을 제지한 상태에서, 상기 상형 홀더가 초기위치에서 제1 위치까지 아래로 이동되어, 상기 상형 다이와, 상기 하형 다이 및 상기 블랭크 홀더와의 사이에서 상기 블랭크를 소정의 형상으로 드로잉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상형 홀더가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초기위치보다 낮은 제2 위치까지 위로 이동된 후, 상기 상형 다이 단속유닛이 상기 상형 다이의 상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상형 홀더가 상기 제1 위치보다 낮은 제3 위치까지 아래로 이동되어, 상기 상형 센터 펀치가 상기 블랭크의 센터부에 센터홀을 형성시키고, 상기 상형 외곽 펀치가 상기 블랭크의 외곽을 트리밍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상형 홀더가 상기 제3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까지 위로 이동된 후, 상기 피어싱 다이 단속 유닛이 상기 피어싱 다이의 상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제4 단계와, 상기 상형 홀더가 상기 제3 위치보다 낮은 제4 위치까지 아래로 이동되어, 상기 상형 센터 펀치가 상기 블랭크의 센터부를 플랜징하고, 상기 복수개의 피어싱 핀이 상기 복수개의 피어싱 홀에 삽입되어 상기 블랭크에 복수개의 수공을 형성시키는 제5 단계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펄세이터 제작용 프레스 금형 및 그것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블랭크를 펄세이터로 제작하는 공정 중 드로잉, 트리밍, 피어싱 및 플랜징 공정을 하나의 금형에서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의 펄세이터 제작용 프레스 금형에 의해 제작된 펄세이터가 설치되는 세탁기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세탁기의 측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펄세이터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의 펄세이터 제작용 프레스 금형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의 펄세이터 제작용 프레스 금형에서 1싸이클의 시간의 흐름에 따른 상형 홀더의 상하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의 펄세이터 제작용 프레스 금형이 블랭크를 드로잉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의 펄세이터 제작용 프레스 금형이 블랭크의 드로잉을 완료한 후, 상형 홀더가 상측으로 이동되고 상형 코어가 수평방향으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의 펄세이터 제작용 프레스 금형이 블랭크의 센터부를 피어싱하고 블랭크의 외곽을 트리밍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의 펄세어티 제작용 프레스 금형이 블랭크의 센터부를 피어싱하고 블랭크의 외곽을 트리밍한 후, 상형 홀더가 상측으로 이동되면서 하형 코어가 수평방향으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의 펄세이터 제작용 프레스 금형이 블랭크의 센터부를 플랜징하고 블랭크에 복수개의 수공을 형성시키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의 펄세이터 제작용 프레스 금형의 제어방법에 따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의 펄세이터 제작용 프레스 금형 및 그것의 제어방법을 도면들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의 펄세이터 제작용 프레스 금형에 의해 제작된 펄세이터가 설치되는 세탁기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세탁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의 펄세이터 제작용 프레스 금형에 의해 제작된 펄세이터가 설치되는 세탁기(100)는, 캐비닛(10)과, 캐비닛(10)의 상측에 배치된 탑커버(20)와, 탑커버(20)의 상측 중 전방에 배치된 리드 어셈블리(30)와, 탑커버(20)의 상측 중 후방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세탁기(100)를 조작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컨트롤 패널(40)을 포함한다.
캐비닛(10)은 내부가 빈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단 및 하단이 개방된다. 캐비닛(10)의 개방된 상단에는 탑커버(20)가 결합되고, 캐비닛(10)의 개방된 하단에는 사각 형상의 베이스 플레이트(15)가 결합된다. 캐비닛(10)의 개방된 하단은 베이스 플레이트(15)에 의해 차폐되며, 베이스 플레이트(15)의 네 모서리 부근에는 레그(17)가 설치된다. 레그(17)는 베이스 플레이트(15)를 지면으로 상측으로 이격시켜서 베이스 플레이트(15)의 부식을 방지한다.
캐비닛(10)의 내부에는 세탁수가 담기는 원통형인 외조(50)와, 세탁물이 담기는 원통형인 내조(60)가 설치된다. 외조(50) 및 내조(60)는 상단이 개구된다. 내조(60)는 외조(50)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되어, 외조(50)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내조(60)의 둘레면에는 복수개의 수공(62)이 형성된다. 내조(60) 내로 세탁수가 공급되는 경우 내조(60) 내로 공급된 세탁수는 수공(62)을 통해 출입하면서 외조(50)에 세탁수가 담길 수 있도록 한다.
외조(50)는 지지부재(52)를 통해 매달려서 캐비닛(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지지부재(52)는 상단이 캐비닛(10) 내의 상부에 지지되고, 하단은 외조(50)의 하부와 결합되어서 외조(50)를 지지할 수 있다. 지지부재(52)의 하단에는 내조(60)의 회전시 발생하는 진동에 의한 외조(50)의 흔들림을 완충하는 댐퍼(54)가 구비된다.
또한, 캐비닛(10)의 내부에는 외조커버(56)가 배치된다. 외조커버(56)는 외조(50)의 상부에 구비된다. 외조커버(56)는 외조(50)의 상단 테두리에 결합되는 링형으로 형성된다. 외조커버(56)는 내조(60)의 회전력에 의해 외조(50) 및 내조(60) 사이를 통해 상승한 수류가 내조(60) 내로 다시 쏟아지도록 안내한다.
또한, 캐비닛(10)의 내부에는 밸런서(66)가 배치된다. 밸런서(66)는 내조(60)의 상부에 구비된다. 밸런서(66)는 내조(60)의 상단 테두리에 결합되는 링형으로 형성되어, 내조(60) 내로 세탁물인 포를 투입하는 투입구를 형성한다. 또한, 밸런서(66)는 내부에 소정의 무게를 가지는 웨이트를 포함하고 있어서, 내조(60)의 회전시에 균형을 잡아주는 기능을 한다.
또한, 캐비닛(10)의 내부에는 펄세이터(65) 및 모터(70)가 배치된다. 펄세이터(65)는 내조(60)의 바닥에 구비되어 내조(60)의 내부에 회전 수류를 형성시킨다. 모터(70)는 외조(50)의 하측에 배치되어 펄세이터(65)가 회전 수류를 형성시킬 수 있도록 펄세이터(65)를 회전시킨다.
모터(70)는 회전축(75)을 통해 펄세이터(65)에 연결되어 펄세이터(65)를 회전시킬 수 있고, 내조(60)와 펄세이터(65) 사이에는 모터(70)의 구동력을 내조(60)와 펄세이터(65)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클러치(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클러치는 모터(70)의 구동력을 펄세이터(65)로만 전달하여 펄세이터(65)만 회전되도록 하거나, 모터(70)의 구동력을 내조(60) 및 펄세이터(65)로 전달하여 내조(60) 및 펄세이터(65)가 동시에 회전되도록 한다. 내조(60)는 모터(70)의 구동력이 전달되는 경우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또한, 캐비닛(10)의 내부에는 배수호스(76) 및 배수조절밸브(77)가 배치된다. 배수호스(76)는 외조(50)의 하단에 배치되어 외조(50) 내의 세탁수를 외부로 배수한다. 배수조절밸브(77)는 배수호스(76)를 통해 유출되는 세탁수를 단속한다.
탑커버(20)는 캐비닛(10)의 상단에 결합된다. 탑커버(20)에는 리드 어셈블리(30)에 의해 개폐되는 포출입구(미도시)가 형성된다. 사용자가 리드 어셈블리(30)를 들어올린 후 상기 포출입구로 포를 넣으면, 상기 포는 낙하하여 밸런서(66)에 형성된 투입구를 통해 내조(60) 내로 투입된다.
또한, 탑커버(20)에는 세제가 수용되는 세제박스(78)가 입출 가능하게 배치되고, 외부 수원과 연결되어 세제박스(78)로 세탁수를 공급하는 급수호스(미도시)와, 급수호스(미도시)를 통해 유입되는 세탁수를 단속하는 급수 밸브(79)가 배치된다.
세제박스(78)에는 세제가 수용되는 세제 수용공간과, 유연제가 수용되는 유연제 수용공간이 별도로 형성된다. 세탁 행정시 급수 밸브(79)가 개방되어 외부 수원으로부터 세탁수가 세제박스(78) 내의 상기 세제 수용공간으로 유입되면, 상기 세제 수용공간으로 유입된 세탁수는 상기 세제 수용공간에 수용된 세제와 함께 내조(60)의 개구된 상측을 통해 낙하하여 내조(60) 내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마지막 헹굼 행정시 급수 밸브(79)가 개방되어 외부 수원으로부터 세탁수가 세제박스(78) 내의 상기 유연제 수용공간으로 유입되면, 상기 유연제 수용공간으로 유입된 세탁수는 상기 유연제 수용공간에 수용된 유연제와 함게 내조(60)의 개구된 상측을 통해 낙하하여 내조(60) 내로 유입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펄세이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펄세이터(65)는 원형으로 형성된다. 도 4 내지 도 10에서 설명할 상형 외곽 펀치(350)가 블랭크(1)의 외곽을 트리밍하는 것에 의해, 펄세이터(65)는 원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펄세이터(65)는 복수의 수공(65a)이 형성되어 있어서, 외조(50) 내에 담긴 세탁수는 복수의 수공(65a)을 통해 내조(60) 내로 출입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10에서 설명할 복수의 피어싱 핀(360)이 블랭크(1)를 피어싱하는 것에 의해, 펄세이터(65)는 복수의 수공(65a)이 형성된다. 또한, 펄세이터(65)의 센터부에는 모터(70)의 회전축과 결합되기 위한 센터홀(65d)이 형성되어 있다. 도 4 내지 도 10에서 설명할 상형 센터 펀치(340)가 블랭크(1)의 센터부를 피어싱 하는 것에 의해, 펄세이터(65)의 센터부에는 센터홀(65d)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펄세이터는 상기 센터부가 상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센터부 및 외곽 사이가 볼록부(65b) 및 오목부(65c)가 원주방향을 따라 교대로 배치되는 형상을 가진다. 도 4 내지 도 10에서 설명할 상형 다이(320)가 하형 다이(220) 및 블랭크 홀더(230)와 합형됨으로써, 하형 다이(220) 및 블랭크 홀더(230) 위에 놓여진 블랭크(1)가 드로잉되어 펄세이터(65)의 전체적인 형상이 형성된다.
또한, 펄세이터(65)는 센터홀(65d)의 주변이 하측으로 절곡된다. 도 4 내지 도 10에서 설명할 상형 센터 펀치(340)가 센터홀(65d)을 형성한 후 하측으로 더욱 이동됨으로써, 펄세이터(65)는 센터홀(65d)의 주변이 하측으로 절곡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의 펄세이터 제작용 프레스 금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하형(200)과, 하형(200)의 상측에 배치되는 상형(300)을 포함한다. 상형(300)은 하형(200)의 상측에서 아래로 이동되어 하형(200)과 합형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의 펄세이터 제작용 프레스 금형은, 상형(300)이 하형(200)에 합형되는 가압력에 의해 상형(300) 및 하형(200)과의 사이에서 블랭크(1)를 펄세이터(65)로 제작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의 펄세이터 제작용 프레스 금형은, 펄세이터(65)의 센터부가 상측으로 돌출되고 펄세이터(65)의 상기 센터부에서 외곽 사이에 볼록부(65b) 및 오목부(65c)가 원주방향을 따라 교대로 배치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블랭크(1)를 드로잉하는 드로잉 공정과, 펄세이터(65)가 원형의 형상을 가지도록 블랭크(1)의 외곽을 트리밍(절단)하는 트리밍 공정과, 펄세이터(65)의 센터부에 센터홀(65d)을 형성시키고 펄세이터(65)에 복수개의 수공(65a)을 형성시키는 피어싱 공정과, 펄세이터(65)의 센터부에 센터홀(65d)이 형성된 후 센터홀(65d)의 주변을 하측으로 절곡시키는 플랜징 공정을 한 번의 사이클로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드로잉 공정, 상기 트리밍 공정, 상기 피어싱 공정 및 상기 플랜징 공정을 한번의 사이클로 하기 위한, 본 실시예의 하형(200) 및 상형(300)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하형(200)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하형(200)은 하형 홀더(210)와, 하형 다이(220)와, 블랭크 홀더(230)와, 피어싱 다이(240)와, 피어싱 다이 단속유닛(250)을 포함한다.
하형 홀더(210)는 지면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된다. 하형 홀더(210)는 하형 다이(220), 블랭크 홀더(230), 피어싱 다이(240) 및 피어싱 다이 단속유닛(250)이 상측에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베이스의 기능을 수행한다.
하형 다이(220)는 하형 홀더(210)의 상측에 배치된다. 하형 다이(220)의 상측에는 블랭크(1)가 놓여진다. 펄세이터(65)의 센터부가 상측으로 돌출되고 펄세이터(65)의 상기 센터부에서 외곽 사이에 볼록부(65b) 및 오목부(65c)가 원주방향을 따라 교대로 배치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하형 다이(220)의 상측면은 펄세이터(65)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블랭크 홀더(230)는 하형 다이(220)의 외측 둘레에 배치된다. 블랭크 홀더(230)는 하형 다이(220)에 놓여진 블랭크(1)를 잡는다. 즉, 블랭크(1)는 하형 다이(220) 및 블랭크 홀더(230)의 상측에 안착된 후, 블랭크 홀더(230)에 의해 고정된다. 블랭크 홀더(230)는 유압실린더의 유압에 의해 작동되어 블랭크(1)를 고정시킬 수 있다.
피어싱 다이(240)는 하형 다이(220)의 센터부를 관통하여 상하로 이동 가능토록 배치된다. 하형(200)은 하형 탄성부재(260)를 더 포함한다. 피어싱 다이(240)는 하형 탄성부재(260)에 의해 지지되어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하형 탄성부재(260)는 코일스프링으로 형성되어 하단이 하형 홀더(210)에 결합되고 상단은 피어싱 다이(240)의 하측면에 결합된다.
피어싱 다이 단속유닛(250)은 피어싱 다이(240)의 상하 이동을 단속한다. 즉, 피어싱 다이 단속유닛(250)은 피어싱 다이(240)를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하거나, 피어싱 다이(240)를 상하로 이동되지 않도록 제지하는 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한다.
피어싱 다이 단속유닛(250)은, 하형 홀더(210)와, 하형 다이(220) 및 피어싱 다이(240)와의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하형 코어(251)와, 피어싱 다이(240)가 상하로 이동되지 않도록 하형 코어(251)를 피어싱 다이(240)의 하측으로 이동시키고, 피어싱 다이(240)가 상하로 이동되도록 하형 코어(251)를 피어싱 다이(240)의 하측에서 빼내는 하형 에어 실린더(252)를 포함한다.
하형 에어 실린더(252)는 공기압을 이용하여 하형 코어(251)를 피어싱 다이(240)의 하측으로 이동시키고, 하형 코어(251)를 피어싱 다이(240)의 하측에서 빼낼 수 있다. 하형 코어(251)가 피어싱 다이(240)의 하측으로 이동되는 경우, 하형 코어(251)가 피어싱 다이(240)를 지지함으로써, 피어싱 다이(240)는 하측으로 이동될 수 없다. 또한, 하형 코어(251)가 피어싱 다이(240)의 하측에서 빠져나오는 경우, 피어싱 다이(240)는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하형 에어 실린더(252)는 유압을 이용하여 하형 코어(251)를 피어싱 다이(240)의 하측으로 이동시키고, 하형 코어(251)를 피어싱 다이(240)의 하측에서 빼내는 유압 실린더로 구성될 수도 있다.
다음, 상형(300)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형(300)은 상형 홀더(310)와, 상형 다이(320)와, 상형 다이 단속유닛(330)과, 상형 센터 펀치(340)와, 상형 외곽 펀치(350)와, 복수개의 피어싱 핀(360)을 포함한다.
상형 홀더(310)는 하형 홀더(210)와 평행하게 배치된다. 상형 홀더(310)는 상형 다이(320), 상형 다이 단속유닛(330), 상형 센터 펀치(340), 상형 외곽 펀치(350) 및 복수개의 피어싱 핀(360)이 하측에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베이스의 기능을 수행한다. 상형 홀더(310)는 상형 홀더(310)의 상측면에 결합된 메인 에어 실린더(미도시)의 공기압에 의해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메인 에어 실린더는 유압을 이용하여 상형 홀더(310)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유압 실린더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형 다이(320)는 상형 홀더(310)의 하측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된다. 펄세이터(65)의 센터부가 상측으로 돌출되고 펄세이터(65)의 상기 센터부에서 외곽 사이에 볼록부(65b) 및 오목부(65c)가 원주방향을 따라 교대로 배치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상형 다이(320)의 하측면은 펄세이터(65)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형 다이(320)가 상형 홀더(310)의 하측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형(300)은 상형 탄성부재(37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형 탄성부재(370)는 코일스프링으로 형성되어 상단이 상형 홀더(310)에 결합되고 하단은 상형 다이(320)의 상측면에 결합되어, 상형 다이(320)를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상형 다이(320)는 하형 다이(220) 및 블랭크 홀더(230)와 상하로 일치한다.
상형 다이(320)의 상측면에는 제1 돌기(321)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돌기(321)는 상형 다이(320)의 상측면에 수평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복수로 형성된다. 따라서, 복수의 제1 돌기(321) 사이에는 각각 제1 홈(322)이 형성된다.
상형 다이 단속유닛(330)은 상형 다이(320)의 상하 이동을 단속한다. 즉, 상형 다이 단속유닛(330)은 상형 다이(320)를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하거나, 상형 다이(320)를 상하로 이동되지 않도록 제지하는 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한다.
상형 다이 단속유닛(330)은, 상형 홀더(310)와, 상형 다이(320) 및 상형 외곽 펀치(350)와의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토록 배치되는 상형 코어(331)와, 상형 코어(331)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상형 에어 실린더(332)를 포함한다.
상형 에어 실린더(332)는 공기압을 이용하여 상형 코어(331)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형 코어(331)의 하측에는 제2 돌기(333)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2 돌기(333)는 상형 코어(331)의 하측면에 수평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복수로 형성된다. 따라서, 복수의 제2 돌기(333) 사이에는 각각 제2 홈(334)이 형성된다. 상형 에어 실린더(332)는 제1 돌기(321) 및 제2 돌기(333)가 상하로 서로 일치하도록 상형 코어(331)를 이동시켜서 상형 다이(320)가 상하로 이동될 수 없도록 한다. 즉, 제1 돌기(321) 및 제2 돌기(333)가 상하로 서로 일치되는 경우, 제1 돌기(321) 및 제2 돌기(333)가 서로 맞닿기 때문에 상형 다이(320)는 상형 홀더(310)에서 자체적으로 상하로 이동될 수 없다. 또한, 상형 에어 실린더(332)는 제1 돌기(321) 및 제2 돌기(333)가 상하로 서로 엇갈리도록 상형 코어(331)를 이동시켜서 상형 다이(320)가 상하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제1 돌기(321) 및 제2 돌기(333)가 상하로 서로 엇갈리는 경우, 제1 돌기(321)는 제2 홈(334)으로 삽입되고, 제2 돌기(333)는 제1 홈(322)으로 삽입되기 때문에 상형 다이(320)는 상형 홀더(310)에서 자체적으로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상형 에어 실린더(332)는 유압을 이용하여 상형 코어(331)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유압 실린더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형 센터 펀치(340)는 피어싱 다이(240)와 대응되는 부분인 상형 다이(320)의 센터부를 관통한다. 상형 센터 펀치(340)는 상하로 길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단이 상형 홀더(310)에 결합된다.
상형 센터 펀치(340)는 대경부(341)와, 대경부(341)의 하단에서 하측으로 돌출되는 소경부(342)로 형성된다. 대경부(341)는 소경부(342)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고, 소경부(342)는 대경부(341)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된다. 소경부(342)는 블랭크(1)의 센터부에 센터홀(65d)을 형성시키는 피어싱 기능을 하고, 대경부(341)는 블랭크(1)의 센터홀(65d)의 주변을 아래로 절곡시키는 플랜징 기능을 한다.
피어싱 다이(240)에는 블랭크(1)의 센터부에 센터홀(65d)을 형성시키기 위해 소경부(342)가 삽입되는 소경부 삽입홀(245)이 형성된다.
상형 외곽 펀치(350)는 상형 홀더(310)의 하측에 결합되어 상형 다이(320)보다 반경방향으로 외측에 배치된다. 상형 다이(320)가 하형 다이(220) 및 블랭크 홀더(230)와 상하로 일치되기 때문에, 상형 외곽 펀치(350)는 블랭크 홀더(230)보다 반경방향으로 외측에 배치된다.
복수개의 피어싱 핀(360)은 상하로 길게 형성되어 상단이 상형 홀더(310)에 결합된다. 복수개의 피어싱 핀(360)은 상형 다이(320)를 상하로 관통한다. 상형 다이(320)에는 복수개의 피어싱 핀(360)이 각각 상하로 관통하는 복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된다. 복수개의 피어싱 핀(360)은 상형 센터 펀치(340)보다 반경방향으로 외측에 배치된다.
하형 다이(220)에는 복수개의 피어싱 핀(360)이 블랭크(1)에 복수개의 수공(65a)을 형성시킬 때 복수개의 피어싱 핀(360)이 각각 삽입되는 복수개의 피어싱 홀(225)이 형성된다. 복수개의 피어싱 핀(360)은 복수개의 피어싱 홀(225)과 각각 대응되어 배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의 펄세이터 제작용 프레스 금형은, 피어싱 다이 단속유닛(250)이 피어싱 다이(240)의 상하 이동을 제지한 상태이고, 상형 다이 단속유닛(330)이 상형 다이(320)의 상하 이동을 제지한 상태에서, 상형 홀더(310)가 아래로 이동되면, 상형 다이(320)가 하형 다이(220) 및 블랭크 홀더(230)와 합형되어 블랭크(1)를 소정의 형상으로 드로잉한다. 여기서, 상기 소정의 형상은, 블랭크(1)의 센터부가 상측으로 돌출되고 블랭크(1)의 상기 센터부에서 외곽 사이에 볼록부(65b) 및 오목부(65c)가 원주방향을 따라 교대로 배치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의 펄세이터 제작용 프레스 금형은, 피어싱 다이 단속유닛(250)이 피어싱 다이(240)의 상하 이동을 제지한 상태이고, 상형 다이 단속유닛(330)이 상형 다이(320)의 상하 이동을 가능하게 한 상태에서, 상형 홀더(310)가 아래로 이동되면, 상형 센터 펀치(340)가 피어싱 다이(240)와 합형되어 블랭크(1)의 센터부에 센터홀(65d)을 형성시키고, 상형 외곽 펀치(350)가 블랭크 홀더(230)의 외측에서 아래로 이동되어 블랭크(1)의 외곽을 트리밍(절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의 펄세이터 제작용 프레스 금형은, 피어싱 다이 단속유닛(250)이 피어싱 다이(240)의 상하 이동을 가능하게 한 상태이고, 상형 다이 단속유닛(330)이 상형 다이(320)의 상하 이동을 가능하게 한 상태에서, 상형 홀더(310)가 아래로 이동되면, 상형 센터 펀치(340)가 피어싱 다이(240)와 합형되어 블랭크(1)의 센터부를 플랜징(아래로 절곡)하고, 복수개의 피어싱 핀(360)이 블랭크(1)에 복수개의 수공(65a)을 형성시킨다.
상형 홀더(310)는 블랭크(1)를 소정의 형상으로 드로잉하기 위해 초기위치에서 제1 위치까지 아래로 이동된다. 또한, 상형 홀더(310)는 블랭크(1)의 센터부에 센터홀(65d)을 형성하고 블랭크(1)의 외곽을 트리밍하기 위해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초기위치보다 낮은 제2 위치까지 위로 이동된 후, 상기 제1 위치보다 낮은 제3 위치까지 아래로 이동된다. 또한, 상형 홀더(310)는 블랭크(1)의 센터부를 플랜징하고 블랭크(1)에 복수개의 수공(65a)을 형성시키기 위해, 상기 제3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까지 위로 이동된 후 상기 제3 위치보다 낮은 제4 위치까지 아래로 이동된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아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의 펄세이터 제작용 프레스 금형에서 1싸이클의 시간의 흐름에 따른 상형 홀더의 상하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의 펄세이터 제작용 프레스 금형이 블랭크를 드로잉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형 홀더(310)는 초기위치(P0)에서 제1 위치(P1)까지 아래로 이동된다(도 5에서 L1구간).
초기위치(P0)에서 피어싱 다이 단속유닛(250)은 피어싱 다이(240)를 상하로 이동되지 않도록 제지한 상태이고, 상형 다이 단속유닛(330)은 상형 다이(320)를 상하로 이동되지 않도록 제지한 상태이다. 즉, 하형 에어 실린더(252)의 공기압에 의해 하형 코어(251)가 피어싱 다이(240)의 하측으로 이동되어 피어싱 다이(240)의 하측을 지지함으로써, 피어싱 다이(240)는 하측으로 이동될 수 없는 상태이고, 상형 에어 실린더(332)의 공기압에 의해 상형 코어(331)가 수평방향으로 이동되어 제1 돌기(321) 및 제2 돌기(333)가 상하로 일치한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형 홀더(310)가 제1 위치(P1)까지 아래로 이동되면 상형 다이(320)가 하형 다이(220) 및 블랭크 홀더(230)와 합형됨으로써, 상기 드로잉 공정이 완료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의 펄세이터 제작용 프레스 금형이 블랭크의 드로잉을 완료한 후, 상형 홀더가 상측으로 이동되고 상형 코어가 수평방향으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드로잉 공정이 완료된 후, 상형 홀더(310)는 제1 위치(P1)에서 초기위치(P0)보다 낮은 제2 위치(P2)까지 위로 이동된다(도 5에서 L2구간).
이후, 상형 다이 단속유닛(330)은 상형 다이(320)를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한다(도 5에서 L3구간). 즉, 상형 에어 실린더(332)의 공기압에 의해 상형 코어(331)가 수평방향으로 이동되어 제1 돌기(321) 및 제2 돌기(333)가 상하로 엇갈리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의 펄세이터 제작용 프레스 금형이 블랭크의 센터부를 피어싱하고 블랭크의 외곽을 트리밍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형 다이 단속유닛(330)이 상형 다이(320)를 상하로 이동 가능토록 한 후, 상형 홀더(310)는 제2 위치(P2)에서 제1 위치(P1)보다 낮은 제3 위치(P3)까지 아래로 이동된다(도 5에서 L4구간). 즉, 상형 홀더(310)가 제2 위치(P2)에서 제3 위치(P3)까지 아래로 이동되는 도중인 제1 위치(P1)까지 하강하였을 때 상형 다이(320)는 하형 다이(220) 및 블랭크 홀더(230)와 합형되어 블랭크(1)를 고정한다. 이후, 상형 홀더(310)가 제1 위치(P1)에서 제3 위치(P3)까지 아래로 이동되는 힘에 의해, 상형 다이(320)는 상측으로 이동될려는 힘을 받게 된다. 그런데, 제1 돌기(321) 및 제2 돌기(333)가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1 돌기(321)가 제2 홈(334)에 삽입되고 제2 돌기(333)가 제1 홈(322)에 삽입되면서 상형 다이(320)가 상측으로 이동하며, 상형 홀더(310)는 제1 위치(P1)에서 제3 위치(P3)까지 아래로 이동할 수 있다.
이리하면, 상형 다이(320)가 상측으로 이동되었기 때문에, 상형 센터 펀치(340)는 상형 다이(320)의 센터부에서 하측으로 돌출되어, 상형 센터 펀치(340)의 소경부(342)가 블랭크(1)의 센터부에 센터홀(65d)을 형성시키고 피어싱 다이(240)에 형성된 소경부 삽입홀(245)로 삽입된다.
또한, 상형 외곽 펀치(350)는 블랭크 홀더(230)의 외측과 교차되면서 블랭크(1)의 외곽을 트리밍(절단)한다.
한편, 상형 다이(320)가 상측으로 이동할 때 상형 탄성부재(370)는 상형 다이(320)에 밀려서 압착되어 상형 다이(320)를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탄성력을 발생시킨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의 펄세어티 제작용 프레스 금형이 블랭크의 센터부를 피어싱하고 블랭크의 외곽을 트리밍한 후, 상형 홀더가 상측으로 이동되면서 하형 코어가 수평방향으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9를 참조하면, 블랭크(1)에 센터홀(65d)을 형성시키는 공정과 블랭크(1)의 외곽을 트리밍하는 공정이 완료된 후, 상형 홀더(310)는 제3 위치(P3)에서 제2 위치(P2)까지 위로 이동된다(도 5에서 L5구간).
이후, 피어싱 다이 단속유닛(250)은 피어싱 다이(240)를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한다(도 5에서 L6구간). 즉, 하형 에어 실린더(252)의 공기압에 의해 하형 코어(251)가 수평방향으로 이동되어 피어싱 다이(240)의 하측에서 빠져나온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의 펄세이터 제작용 프레스 금형이 블랭크의 센터부를 플랜징하고 블랭크에 복수개의 수공을 형성시키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10을 참조하면, 피어싱 다이 단속유닛(250)이 피어싱 다이(240)를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한 후, 상형 홀더(310)는 제3 위치(P3)보다 낮은 제4 위치(P4)까지 아래로 이동된다(도 5에서 L7구간).
이리하면, 상형 센터 펀치(340)는 피어싱 다이(240)를 아래로 밀어내면서, 블랭크(1)에 센터홀(65d)을 형성시키는 공정에 비해 더욱더 아래로 하강하게 된다. 따라서, 상형 센터 펀치(340)의 대경부(341)가 블랭크(1)의 센터홀 주변의 상측을 아래로 밀어내기 때문에, 블랭크(1)의 센터홀 주변은 아래로 절곡되어 플랜징된다.
또한, 복수개의 피어싱 핀(360)은 하단이 상형 다이(320)로부터 돌출되어, 블랭크(1)에 복수의 수공(65a)을 형성시키고 하형 다이(220)에 형성된 복수의 피어싱 홀(225)로 하나씩 삽입된다.
이후, 상기 드로잉 공정, 상기 피어싱 공정, 상기 트리밍 공정, 상기 플랜징 공정이 완료된 후, 상형 홀더(310)는 제4 위치(P4)에서 초기위치(P0)까지 위로 이동된다(도 5에서 L8구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의 펄세이터 제작용 프레스 금형의 제어방법에 따른 순서도이다. 여기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의 펄세이터 제작용 프레스 금형의 제어방법을,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의 펄세이터 제작용 프레스 금형의 동작과 결부시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 도 6 및 도 11을 참조하면, 제1 단계(S1)에서는 피어싱 다이 단속유닛(250)이 피어싱 다이(240)의 상하 이동을 제지한 상태이고, 상형 다이 단속유닛(330)이 상형 다이(320)의 상하 이동을 제지한 상태에서, 상형 홀더(310)가 초기위치(P0)에서 제1 위치(P1)까지 아래로 이동되어, 블랭크(1)가 상형 다이(320)와, 하형 다이(220) 및 블랭크 홀더(230)와의 사이에서 소정의 형상으로 드로잉된다.
즉, 제1 단계(S1)에서는 하형 코어(251)가 하형 에어 실린더(252)의 공기압에 의해 전진되어 피어싱 다이(240)의 하측으로 삽입되어서 피어싱 다이(240)의 상하 이동을 제지한 상태이고, 상형 코어(331)가 상형 에어 실린더(332)의 공기압에 의해 전진되어 제1 돌기(321) 및 제2 돌기(333)가 상하로 일치되어서 상형 다이(320)의 상하 이동을 제지한 상태에서, 상형 홀더(310)가 초기위치(P0)에서 제1 위치(P1)까지 아래로 이동되어, 블랭크(1)가 상형 다이(320)와, 하형 다이(220) 및 블랭크 홀더(230)와의 사이에서 소정의 형상으로 드로잉된다.
도 5, 도 7 및 도 11을 참조하면, 제2 단계(S2)에서는 상형 홀더(310)가 제1 위치(P1)에서 초기위치(P0)보다 낮은 제2 위치(P2)까지 위로 이동된 후, 상형 다이 단속유닛(330)이 상형 다이(320)의 상하 이동 단속을 해제하여 상형 다이(320)의 상하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즉, 제2 단계(S2)에서는 상형 홀더(310)가 제1 위치(P1)에서 초기위치(P0)보다 낮은 제2 위치(P2)까지 위로 이동된 후, 상형 코어(331)가 상형 에어 실린더(332)의 공기압에 이해 후진되어 제1 돌기(321) 및 제2 돌기(333)가 상하로 엇갈리게 배치되어서, 상형 다이(320)의 상하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도 5, 도 8 및 도 11을 참조하면, 제3 단계(S3)에서는 상형 홀더(310)가 제1 위치(P1)보다 낮은 제3 위치(P3)까지 아래로 이동되어, 상형 센터 펀치(340)가 블랭크(1)의 센터부에 센터홀(65d)을 형성시키고, 상형 외곽 펀치(350)가 블랭크(1)의 외곽을 트리밍한다.
즉, 제3 단계(S3)에서는 상형 홀더(310)가 제1 위치(P1)보다 낮은 제3 위치(P3)까지 아래로 이동되면, 상형 다이(320)가 제1 위치에서 하형 다이(220)에 합형된 후 제3 위치(P3)에서 제1 위치(P1)를 뺀 높이만큼 상측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상형 탄성부재(370)는 상형 다이(320)에 의해 밀려서 압착되고, 상형 센터 펀치(340)는 대경부(341)가 피어싱 다이(240)의 상단에 합형되고 소경부(342)가 상형 다이(320)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어 피어싱 다이(240)에 형성된 소경부 삽입홀(245)로 삽입되면서 블랭크(1)의 센터부에 센터홀(65d)을 형성시키며, 상형 외곽 펀치(350)는 블랭크 홀더(230)의 외측에서 아래로 이동되면서 블랭크(1)의 외곽을 트리밍한다. 소경부(342)는 제3 위치(P3)에서 제1 위치(P1)를 뺀 높이만큼 대경부(341)의 하측에서 아래로 돌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5, 도 9 및 도 11을 참조하면, 제4 단계(S4)에서는 상형 홀더(310)가 제3 위치(P3)에서 제2 위치(P2)까지 위로 이동된 후, 피어싱 다이 단속유닛(250)이 피어싱 다이(240)의 상하 이동 단속을 해제하여 피어싱 다이(240)의 상하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즉, 제4 단계(S4)에서는 상형 홀더(310)가 제3 위치(P3)에서 제2 위치(P2)까지 이로 이동된 후, 하형 코어(251)가 하형 에어 실린더(252)의 공기압에 의해 후진되어 피어싱 다이(240)의 하측에서 빠져나와서 피어싱 다이(240)이 상하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도 5,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제5 단계(S5)에서는 상형 홀더(310)가 제3 위치(P3)보다 낮은 제4 위치(P4)까지 아래로 이동되어, 상형 센터 펀치(340)가 블랭크(1)의 센터부를 플랜징하고, 복수개의 피어싱 핀(360)이 블랭크(1)에 복수개의 수공(65a)을 형성시킨다.
즉, 제5 단계(S5)에서는 상형 홀더(310)가 제3 위치(P3)보다 낮은 제4 위치(P4)까지 아래로 이동되면, 상형 홀더(310)가 제3 위치(P3)보다 낮은 제4 위치(P4)까지 아래로 이동되면, 상형 다이(320)는 제1 위치(P1)에서 하형 다이(220)에 합형된 후 제4 위치(P4)에서 제1 위치(P1)를 뺀 높이만큼 상측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상형 탄성부재(370)는 상형 다이(320)에 의해 밀려서 압착되고, 상형 센터 펀치(340)의 대경부(341)가 상형 다이(320)의 하측으로 돌출되어 피어싱 다이(240)를 아래로 밀어 내면서 하형 다이(220)의 내부로 삽입되어 블랭크(1)의 센터부를 플랜징한다. 피어싱 다이(240)가 상형 센터 펀치(340)의 대경부(341)에 의해 아래로 밀리면 하형 탄성부재(260)는 압착된다. 또한, 복수개의 피어싱 핀(360)은 하단이 상형 코어(331)의 하측으로 돌출되어 하형 다이(220)에 형성된 복수개의 피어싱 홀(225)에 각각 삽입되면서 블랭크(1)에 복수개의 수공(65a)을 형성시킨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펄세이터 제작용 프레스 금형 및 그것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블랭크(1)를 펄세이터(65)로 제작하는 공정 중 드로잉, 트리밍, 피어싱 및 플랜징 공정을 하나의 금형에서 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블랭크 65 : 펄세이터
65a : 수공 65d : 센터홀
200 : 하형 210 : 하형 홀더
220 : 하형 다이 225 : 피어싱 홀
230 : 블랭크 홀더 240 : 피어싱 다이
245 : 소경부 삽입홀 250 : 피어싱 다이 단속유닛
251 : 하형 코어 252 : 하형 에어 실린더
260 : 하형 탄성부재 300 : 상형
310 : 상형 홀더 320 : 상형 다이
321 : 제1 돌기 330 : 상형 다이 단속유닛
331 : 상형 코어 332 : 상형 에어 실린더
333 : 제2 돌기 340 : 상형 센터 펀치
341 : 대경부 342 : 소경부
350 : 상형 외곽 펀치 360 : 피어싱 핀
370 : 상형 탄성부재

Claims (14)

  1. 하형과, 상기 하형의 상측에서 상기 하형과 합형되는 가압력에 의해 상기 하형과의 사이에서 블랭크를 펄세이터로 제작하는 상형을 포함하고,
    상기 하형은, 하형 홀더와, 상기 하형 홀더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블랭크가 놓여지며 복수개의 피어싱 홀이 형성되는 하형 다이와, 상기 하형 다이의 외측 둘레에 배치되고 상기 하형 다이에 놓여진 상기 블랭크를 잡는 블랭크 홀더와, 상기 하형 다이의 센터부를 관통하여 상하로 이동 가능토록 배치되는 피어싱 다이와, 상기 피어싱 다이의 상하 이동을 단속하는 피어싱 다이 단속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상형은, 상형 홀더와, 상기 상형 홀더의 하측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상형 다이와, 상기 상형 다이의 상하 이동을 단속하는 상형 다이 단속유닛과, 상기 피어싱 다이와 대응되는 부분인 상기 상형 다이의 센터부를 관통하는 상형 센터 펀치와, 상기 상형 홀더의 하측에 결합되어 상기 상형 다이보다 외측에 배치되는 상형 외곽 펀치와, 상기 상형 홀더에 결합되어 상기 상형 다이를 관통하고 상기 복수개의 피어싱 홀과 각각 대응되어 배치되는 복수개의 피어싱 핀을 포함하는 세탁기의 펄세이터 제작용 프레스 금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피어싱 다이 단속유닛이 상기 피어싱 다이의 상하 이동을 제지한 상태이고, 상기 상형 다이 단속유닛이 상기 상형 다이의 상하 이동을 제지한 상태에서, 상기 상형 홀더가 아래로 이동되면, 상기 상형 다이가 상기 하형 다이 및 상기 블랭크 홀더와 합형되어 상기 블랭크를 소정의 형상으로 드로잉하고,
    상기 피어싱 다이 단속유닛이 상기 피어싱 다이의 상하 이동을 제지한 상태이고, 상기 상형 다이 단속유닛이 상기 상형 다이의 상하 이동을 가능하게 한 상태에서, 상기 상형 홀더가 아래로 이동되면, 상기 상형 센터 펀치가 상기 피어싱 다이와 합형되어 상기 블랭크의 센터부에 센터홀을 형성시키고, 상기 상형 외곽 펀치가 상기 블랭크 홀더의 외측에서 아래로 이동되어 상기 블랭크의 외곽을 트리밍하며,
    상기 피어싱 다이 단속 유닛이 상기 피어싱 다이의 상하 이동을 가능하게 한 상태이고, 상기 상형 다이 단속유닛이 상기 상형 다이의 상하 이동을 가능하게 한 상태에서, 상기 상형 홀더가 아래로 이동되면, 상기 상형 센터 펀치가 상기 피어싱 다이와 합형되어 상기 블랭크의 센터부를 플랜징하고, 상기 복수개의 피어싱 핀이 상기 복수개의 피어싱 홀에 삽입되어 상기 블랭크에 복수개의 수공을 형성시키는 세탁기의 펄세이터 제작용 프레스 금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형 다이의 상측면에는 제1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상형 다이 단속유닛은,
    상기 상형 홀더와, 상기 상형 다이 및 상형 외곽 펀치와의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토록 배치되고 하측에 제2 돌기가 형성되는 상형 코어와,
    상기 제1 돌기 및 상기 제2 돌기가 상하로 서로 일치하도록 상기 상형 코어를 이동시키고, 상기 제1 돌기 및 상기 제2 돌기가 상하로 서로 엇갈리도록 상기 상형 코어를 이동시키는 상형 에어 실린더를 포함하는 세탁기의 펄세이터 제작용 프레스 금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피어싱 다이 단속유닛은,
    상기 하형 홀더와, 상기 하형 다이 및 상기 피어싱 다이와의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하형 코어와,
    상기 피어싱 다이가 상하로 이동되지 않도록 상기 하형 코어를 상기 피어싱 다이의 하측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피어싱 다이가 상하로 이동되도록 상기 하형 코어를 상기 피어싱 다이의 하측에서 빼내는 하형 에어 실린더를 포함하는 세탁기의 펄세이터 제작용 프레스 금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형은,
    상기 상형 홀더에 결합되어, 상기 상형 다이를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상형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형은,
    상기 하형 홀더에 결합되어, 상기 피어싱 다이를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하형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세탁기의 펄세이터 제작용 프레스 금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형 센터 펀치는, 상기 블랭크의 센터부를 플랜징하는 대경부와, 상기 대경부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되어 상기 대경부의 하단에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블랭크의 센터부에 센터홀을 형성시키는 소경부를 포함하고,
    상기 피어싱 다이에는 상기 블랭크의 센터부에 상기 센터홀을 형성시키기 위해 상기 소경부가 삽입되는 소경부 삽입홀이 형성되는 세탁기의 펄세이터 제작용 프레스 금형.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블랭크를 소정의 형상으로 드로잉하기 위해, 상기 상형 홀더는 초기위치에서 제1 위치까지 아래로 이동되는 세탁기의 펄세이터 제작용 프레스 금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블랭크의 센터부에 상기 센터홀을 형성하고 상기 블랭크의 외곽을 트리밍하기 위해, 상기 상형 홀더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초기위치보다 낮은 제2 위치까지 위로 이동된 후, 상기 제1 위치보다 낮은 제3 위치까지 아래로 이동되는 세탁기의 펄세이터 제작용 프레스 금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블랭크의 센터부를 플랜징하고 상기 블랭크에 상기 복수개의 수공을 형성시키기 위해, 상기 상형 홀더는 상기 제3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까지 위로 이동된 후 상기 제3 위치보다 낮은 제4 위치까지 아래로 이동되는 세탁기의 펄세이터 제작용 프레스 금형.
  10. 하형과, 상기 하형의 상측에서 상기 하형과 합형되는 가압력에 의해 상기 하형과의 사이에서 블랭크를 펄세이터로 제작하는 상형을 포함하고,
    상기 하형은, 하형 홀더와, 상기 하형 홀더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블랭크가 놓여지며 복수개이 피어싱 홀이 형성되는 하형 다이와, 상기 하형 다이의 외측 둘레에 배치되고 상기 하형 다이에 놓여진 상기 블랭크를 잡는 블랭크 홀더와, 상기 하형 다이의 센터부를 관통하여 상하로 이동 가능토록 배치되는 피어싱 다이와, 상기 피어싱 다이의 상하 이동을 단속하는 피어싱 다이 단속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상형은, 상형 홀더와, 상기 상형 홀더의 하측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상형 다이와, 상기 상형 다이의 상하 이동을 단속하는 상형 다이 단속유닛과, 상기 피어싱 다이와 대응되는 부분인 상기 상형 다이의 센터부를 관통하는 상형 센터 펀치와, 상기 상형 홀더의 하측에 결합되어 상기 상형 다이보다 외측에 배치되는 상형 외곽 펀치와, 상기 상형 홀더에 결합되어 상기 상형 다이를 관통하고 상기 복수개의 피어싱 홀과 각각 대응되어 배치되는 복수개의 피어싱 핀을 포함하는 세탁기의 펄세이터 제작용 프레스 금형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피어싱 다이 단속유닛이 상기 피어싱 다이의 상하 이동을 제지한 상태이고, 상기 상형 다이 단속유닛이 상기 상형 다이의 상하 이동을 제지한 상태에서, 상기 상형 홀더가 초기위치에서 제1 위치까지 아래로 이동되어, 상기 상형 다이와, 상기 하형 다이 및 상기 블랭크 홀더와의 사이에서 상기 블랭크를 소정의 형상으로 드로잉하는 제1 단계;
    상기 상형 홀더가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초기위치보다 낮은 제2 위치까지 위로 이동된 후, 상기 상형 다이 단속유닛이 상기 상형 다이의 상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제2 단계;
    상기 상형 홀더가 상기 제1 위치보다 낮은 제3 위치까지 아래로 이동되어, 상기 상형 센터 펀치가 상기 블랭크의 센터부에 센터홀을 형성시키고, 상기 상형 외곽 펀치가 상기 블랭크의 외곽을 트리밍하는 제3 단계;
    상기 상형 홀더가 상기 제3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까지 위로 이동된 후, 상기 피어싱 다이 단속 유닛이 상기 피어싱 다이의 상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상형 홀더가 상기 제3 위치보다 낮은 제4 위치까지 아래로 이동되어, 상기 상형 센터 펀치가 상기 블랭크의 센터부를 플랜징하고, 상기 복수개의 피어싱 핀이 상기 복수개의 피어싱 홀에 삽입되어 상기 블랭크에 복수개의 수공을 형성시키는 제5 단계;를 포함하는 세탁기의 펄세이터 제작용 프레스 금형의 제어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상형 다이의 상측면에는 제1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상형 다이 단속유닛은,
    상기 상형 홀더와, 상기 상형 다이 및 상형 외곽 펀치와의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토록 배치되고 하측에 제2 돌기가 형성되는 상형 코어와,
    상기 제1 돌기 및 상기 제2 돌기가 상하로 서로 일치하도록 상기 상형 코어를 이동시키고, 상기 제1 돌기 및 상기 제2 돌기가 상하로 서로 엇갈리도록 상기 상형 코어를 이동시키는 상형 에어 실린더를 포함하는 세탁기의 펄세이터 제작용 프레스 금형의 제어방법.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피어싱 다이 단속유닛은,
    상기 하형 홀더와, 상기 하형 다이 및 상기 피어싱 다이와의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하형 코어와,
    상기 피어싱 다이가 상하로 이동되지 않도록 상기 하형 코어를 상기 피어싱 다이의 하측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피어싱 다이가 상하로 이동되도록 상기 하형 코어를 상기 피어싱 다이의 하측에서 빼내는 하형 에어 실린더를 포함하는 세탁기의 펄세이터 제작용 프레스 금형의 제어방법.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상형은,
    상기 상형 홀더에 결합되어, 상기 상형 다이를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상형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형은,
    상기 하형 홀더에 결합되어, 상기 피어싱 다이를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하형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세탁기의 펄세이터 제작용 프레스 금형의 제어방법.
  14.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상형 센터 펀치는, 상기 블랭크의 센터부를 플랜징하는 대경부와, 상기 대경부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되어 상기 대경부의 하단에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블랭크의 센터부에 센터홀을 형성시키는 소경부를 포함하고,
    상기 피어싱 다이에는 상기 블랭크의 센터부에 상기 센터홀을 형성시키기 위해 상기 소경부가 삽입되는 소경부 삽입홀이 형성되는 세탁기의 펄세이터 제작용 프레스 금형의 제어방법.
KR1020170055471A 2017-04-28 2017-04-28 세탁기의 펄세이터 제작용 프레스 금형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22330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5471A KR102233044B1 (ko) 2017-04-28 2017-04-28 세탁기의 펄세이터 제작용 프레스 금형 및 그것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5471A KR102233044B1 (ko) 2017-04-28 2017-04-28 세탁기의 펄세이터 제작용 프레스 금형 및 그것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1140A true KR20180121140A (ko) 2018-11-07
KR102233044B1 KR102233044B1 (ko) 2021-03-26

Family

ID=64363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5471A KR102233044B1 (ko) 2017-04-28 2017-04-28 세탁기의 펄세이터 제작용 프레스 금형 및 그것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304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14184A (ja) * 1994-01-27 1995-08-15 Kawasaki Seikouki:Kk 電気洗濯機用ギヤケースの製法
KR19980018960U (ko) * 1996-09-30 1998-07-06 배순훈 세탁기 금형장치
KR20010000996A (ko) * 1999-06-01 2001-01-05 윤종용 세탁기의 회전조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40073915A (ko) * 2003-02-14 2004-08-21 노태관 동일형상을 갖는 긴 프레스 제품의 분할 가공용 금형장치및 그 가공방법
KR20100085379A (ko) * 2009-01-20 2010-07-29 삼성전자주식회사 베어링 하우징, 세탁기용 수조 및 그 제조금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14184A (ja) * 1994-01-27 1995-08-15 Kawasaki Seikouki:Kk 電気洗濯機用ギヤケースの製法
KR19980018960U (ko) * 1996-09-30 1998-07-06 배순훈 세탁기 금형장치
KR20010000996A (ko) * 1999-06-01 2001-01-05 윤종용 세탁기의 회전조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40073915A (ko) * 2003-02-14 2004-08-21 노태관 동일형상을 갖는 긴 프레스 제품의 분할 가공용 금형장치및 그 가공방법
KR20100085379A (ko) * 2009-01-20 2010-07-29 삼성전자주식회사 베어링 하우징, 세탁기용 수조 및 그 제조금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3044B1 (ko) 2021-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38009B1 (en) Drum assembly in washing machin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WO2005111294A1 (en) Drum of washing machin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20090133447A1 (en) Drum type washing machine and method for fabricating drum therefor
AU2003262464A1 (en) Washing machine
CN101994230B (zh) 洗衣机、洗衣机的内桶和平衡器的连接及其装配方法
EP2372010B1 (en) Rotatable drum for laundry washing machines and assembly method of the rotatable drum
EP2604743B1 (en) Laundry washing machine
KR20110040260A (ko) 받침대 및 이를 구비한 세탁기
US2933912A (en) Dispensing device for a domestic appliance
KR20180121140A (ko) 세탁기의 펄세이터 제작용 프레스 금형 및 그것의 제어방법
US20140283563A1 (en) Fully automatic washing machine
KR20130123540A (ko) 드럼 세탁기의 드럼 및 그 제조방법
KR100339388B1 (ko) 분리가능한 세탁조를 구비한 세탁기
AU2006250175B2 (en) Drum type washing machine and method for fabricating drum therefor
US2274835A (en) Method of constructing cylinders
CN109837701A (zh) 洗衣机
JP2005144150A (ja) 洗濯機
US5531081A (en) Two piece laundry additive dispenser cup
GB2169623A (en) Washing machine having rotary basket in washing tub
JP2018042866A (ja) 洗濯機
EP3741903A1 (en) Detergent dispensing device, and washing machine
JPH0211018Y2 (ko)
KR101221454B1 (ko) 드럼 세탁기의 터브용 밸런스 웨이트 결합장치
CN105274779A (zh) 洗衣机和制造洗衣机的方法
EP4187010A1 (en) Wash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