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0561U - 압축기의 전원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압축기의 전원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0561U
KR20010000561U KR2019990010505U KR19990010505U KR20010000561U KR 20010000561 U KR20010000561 U KR 20010000561U KR 2019990010505 U KR2019990010505 U KR 2019990010505U KR 19990010505 U KR19990010505 U KR 19990010505U KR 20010000561 U KR20010000561 U KR 2001000056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ive cover
terminal housing
coupling
overload protection
protec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05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요현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900105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00561U/ko
Publication of KR2001000056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0561U/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2Casings; Cylinders; Cylinder heads; Fluid connections
    • F04B39/121Ca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5/00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4B35/04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he means being electr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4Provisions for readily assembling or disassemb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08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dynamo-electric motors
    • H02H7/085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dynamo-electric motors against excessive load

Abstract

본 고안은 압축기의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단자하우징과 과부하 보호장치 및 보호커버의 조립구조를 개선하여 조립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제조원가를 절감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압축기의 전원공급장치에 의하면, 단자하우징(41)의 상부에 과부하로부터 압축기를 보호하는 과부하 보호장치(42)를 클램프와 같은 별도의 고정용 부품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결합홈(421)과 결합턱(412) 및 결합리브(422)와 단차홈(413)을 통해 끼워 결합함으로써 이들의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단자하우징(41)과 과부하 보호장치(42)를 감싸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보호커버(43) 역시 걸림턱(431,432)과 걸림홀(311) 및 이탈방지리브(33) 등을 통해 간편하면서도 견고하게 결합함은 물론이고 부품 삭제로 인한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압축기의 전원공급장치{Power supply apparatus of compressor}
본 고안은 압축기의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입력전원을 제어하여 과부하로부터 압축기를 보호하는 과부하 보호장치와 단자하우징 및 보호커버의 조립을 간편하면서도 견고하게 할 수 있는 압축기의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축기는 냉매를 매개체로하여 압축→응축→팽창→증발의 4과정을 연속적으로 행하는 냉장고 등의 냉동사이클에서 저압상태의 냉매를 용기내부로 흡입하고 고온고압으로 압축하여 냉동사이클 내로 토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기능을 하는 종래 압축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용기(1a)와 하부용기(1b) 결합되어 밀폐된 밀폐용기(1) 내부에 냉매를 흡입하여 압축 토출시키도록 구동부(미도시)와 압축부(미도시)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밀폐용기(1)의 하부에는 냉장고 등의 기계실에 장착할 수 있도록 외향 플랜지형상으로 연장된 고정브래킷(1c)이 마련된다.
한편, 하부용기(1b)의 외측면에는 구동부로 직접 연결되는 전원 입력단자(2), 입력단자(2)를 통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4)가 설치된다. 전원공급장치(4)는 입력단자(2)와 직접적으로 전기 접속되는 단자하우징(4a), 단자하우징(4a)을 덮는 보호커버(4b)를 포함한다. 단자하우징(4a)은 이물질 특히 수분과 접하게 되면 쇼트현상 등이 발생될 소지가 있기 때문에, 보호커버(4b)에 의해 감싸지며, 이 보호커버(4b)는 밀폐용기(1) 외면에 설치된 브래킷(3)에 결합된다. 이를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ㄷ" 자 형상으로 양단이 벤딩된 브래킷(3)은 내부에 입력단자(2)가 수용되도록 밀폐용기(1) 외측면에 용접수단을 통해 고정되어 있으며, 브래킷(3) 양단부에 후술하는 클램프(4c)의 고정단(4d)이 끼워져 결합되도록 장방형의 걸림홀(3a)이 대응하게 천공되어 있다.
그리고 보호커버(4b)는 전면측이 개구된 상자형상으로 마련되며 브래킷(3) 내측으로 수용되게 결합되어 입력단자(2)와 전기접속된 단자하우징(4a)을 감싸 이를 보호한다. 이 때, 보호커버(4b)는 브래킷(3) 내측으로 단순하게 끼워져 이탈될 염려가 있기 때문에, 이를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한 클램프(4c)가 별도로 설치된다.
클램프(4c)는 탄성력이 강한 스틸재질로 이루져 있는데, 보호커버(4b)를 수직방향으로 감쌀 수 있도록 양단이 벤딩되고, 벤딩된 양단에 다시 내측으로 절곡된 고정단(4d)이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입력단자(2)에 단자하우징(4a)을 접속시키고 보호커버(4b)를 브래킷(3) 내측으로 삽입한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에서 클램프(4c)를 끼우는데, 고정단(4d)을 브래킷(3)의 걸림홀(3a)에 끼워 결합하면, 클램프(4c)의 탄성 지지력에 의해 보호커버(4b)가 압축기 작동중에 이탈되지 않고 단자하우징(4a)가 외부로부터 보호된다.
그리고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축기를 과부하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과부하 보호장치(5)가 압축기에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PCB(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데, 이것은 PCB와 인접하게 원형 클램프(6)를 이용하여 고정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압축기의 전원공급장치(4)는 보호커버(4b)가 별도의 클램프(4c)를 통해 고정되어 부품이 추가되며, 과부하 보호장치(5) 역시 클램프(6)을 통해 별도로 장착됨으로써 조립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보호커버(4b)와 과부하 보호장치(5)를 고정하기 위해 2개의 클램프(4c,6)가 소요되어 전체적인 조립 작업성이 저하된다.
또한, 단자하우징(4a)을 분해할 필요가 있는 경우 우선 보호커버(4b)를 브래킷(3)으로부터 분해해야 하는데, 강한 탄성력을 갖는 클램프(4c)를 통해 보호커버(4b)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이의 분해조립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단자하우징에 과부하 보호장치를 결합하고 보호커버를 통해 이들을 외부로부터 보호하며 이탈되지 않도록 간편하면서도 견고하게 고정함으로써, 조립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압축기의 전원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압축기의 전원공급장치 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 과부하 보호장치의 조립구조를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압축기의 전원공급장치 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단자하우징과 과부하 보호장치 결합구조를 발췌하여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단자하우징과 과부하 보호장치의 결합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보호커버를 개략적으로 보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압축기의 전원공급장치 결합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브래킷 31..고정판 311..걸림홀
33..이탈방지리브 331..걸림부 41..단자하우징
412..결합턱 413..단차홈 415..지지부
42..과부하 보호장치 421..결합홈 422..결합리브
43..보호커버 431..제1걸림턱 432..제2걸림턱
433..지지돌기 435..덮개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밀폐용기의 외측부에 돌출되게 마련된 입력단자, 입력단자가 전기접속되는 단자하우징, 단자하우징을 감싸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보호커버, 보호커버가 끼워져 고정되도록 밀폐용기에 마련된 브래킷을 구비하며, 과부하로부터 보호하는 과부하 보호장치를 갖춘 압축기에 있어서,
단자하우징과 과부하 보호장치에 마련되어 이들을 직접적으로 착탈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수단,
결합수단에 의해 과부하 보호장치가 결합된 단자하우징을 보호하도록 보호커버와 브래킷에 마련되어 이들을 직접적으로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압축기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용기(11)와 하부용기(12)가 용접수단을 통해 밀폐구성된 밀폐용기(10) 내부에 전원을 공급받아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미도시), 이의 동력을 전달받아 냉매를 흡입하여 압축 토출하는 압축부(미도시)가 내장되어 있으며, 냉매흡입은 밀폐용기(10) 내부와 연통된 냉매유입관(13)을 통해 이루어지며, 냉매토출은 냉매토출관(14)을 통해 수행된다.
하부용기(11)의 외측부에는 구동부에 전원공급을 안내하기 위한 입력단자(20)가 마련되어 있으며, 여기에는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외부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단자하우징(41)과 이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커버(43)로 이루어진 전원공급장치(40)가 마련된다.
도 4을 참조하면 단자하우징(41)은 전면 중심부위에 입력단자(20)가 끼워져 전기접속되도록 접속구(411)를 구비하며, 하부에 PCB와 접속되는 와이어선(414)이 연장 배선된다.
또한, 압축기에 부하가 발생되어 전류값이 많이 커졌을 때 이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과부하 보호장치(OVERLOAD PROTECTOR,42)가 단자하우징(41)의 상부에 결합수단을 통해 설치되며 와이어선(414)을 통해 PCB(미도시)와 접속되어 있다. 결합수단은 단자하우징(41)과 과부하 보호장치(42)에 마련되어 이들을 직접적으로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으로, 이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결합수단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자하우징(41)에 마련된 결합턱(412)과 단차홈(413) 및 과부하 보호장치(42)에 형성된 결합홈(421)과 결합리브(422)를 포함한다. 결합턱(412)은 단자하우징(41)의 상단에 "ㄷ" 자 형상으로 돌출되게 성형되어 있으며, 단차홈(413)은 결합턱(412)을 중심으로 대칭되게 단자하우징(41) 전면(416)의 상부 양측에 소정의 깊이(D)를 가지도록 마련된다. 즉, 단차홈(413)은 단자하우징(41)의 전면(416)에서 오목하게 이루어져 이의 깊이(D)만큼 단차진 면을 형성한다.
그리고 결합홈(421)은 과부하 보호장치(42)의 하면에 결합턱(412)이 끼워져 결합되도록 이와 상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결합리브(422)는 단차홈(413)에 안착되어 좌우 유동이 방지되도록 과부하 보호장치(42)의 전면에 하향 연장되어 있다. 이 결합리브(422) 역시 결합홈(421)을 중심으로 대칭되게 한쌍으로 구성되는데, 결합리브(422) 두께(t)는 단차홈(413)의 깊이(D)와 동일하게 이루어져 있어서, 결합리브(422)가 단차홈(413)에 안착되면 이것은 단자하우징(41) 전면(416)과 동일면을 유지한다.
따라서 결합턱(412)이 결합홈(421)에 삽입되도록 과부하 보호장치(42)를 단자하우징(41)에 결합하면 한쌍의 결합리브(422)가 단차홈(413)에 안착되어 단자하우징(41)의 전면(416)은 평면상태로 유지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단자하우징(41)을 입력단자(20)에 결합하면, 과부하 보호장치(42)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홈(421)에 삽입된 결합턱(412)에 의해 상하 유동이 방지되고 단차홈(413)에 안착된 결합리브(422)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유동됨이 없이 견고하게 결합된다.
한편, 단자하우징(41)의 배면에 후방측으로 돌출 연장되게 지지부(415)가 형성되어 있는데, 지지부(415)는 후술하는 보호커버(43)에 형성된 지지돌기(433)와 접하여 단자하우징(41)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단자하우징(41)과 과부하 보호장치(42)를 감싸도록 하부용기(12) 외측부에 보호커버(43)가 고정수단을 통해 고정된다. 고정수단은 보호커버(43)와 브라켓(30)에 각각 마련되어 이들을 직접적으로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것으로, 도 3 및 도 6,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호커버(43)에 형성된 제1,2걸림턱(431,432)과 브래킷(30)에 형성된 걸림홀(311) 및 다수개의 리브(32,33)를 포함한다.
즉, 보호커버(43)는 플라스틱재로 사출성형되며 전면부가 개방되게 형성되고 하부에 와이어선(414,423) 배선을 위한 연통구(434)가 마련된 상자형상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보호커버(43)에는 고정수단으로 상면에 하측으로 돌출된 제1걸림턱(431)이 형성되며, 이의 양측면에는 제2걸림턱(432)이 대칭되게 마련되어 있다. 제2걸림턱(432)은 보호커버(43)의 측면에 외측으로 돌출되게 마련되며, 이를 일정간격 이격되게 덮는 덮개부(435)가 보호커버(43) 측면에 성형되어 있다. 또한, 보호커버(43)의 결합시 단자하우징(41)의 지지부(415)와 대응하는 보호커버(43) 내면에는 지지부(415)의 선단면과 접촉 지지되도록 지지돌기(433)가 마련된다.
그리고 하부용기(12)에는 중심부위에 입력단자(20)가 관통 설치되며 보호커버(43)가 결합되는 브래킷(30)이 용접수단을 통해 고정된다. 브래킷(30)은 보호커버(43)의 상측면과 대향되도록 절곡된 고정판(31)과 보호커버(43) 양측면에 결합되는 유동방지리브(32)와 이탈방지리브(33)를 포함한다. 고정판(31)의 선단 중심부에는 보호커버(43)의 제1걸림턱(431)이 탄성적으로 끼워져 결합되도록 결합홀(311)이 천공되어 있으며, 유동방지리브(32)는 브래킷(30) 양측 상부에 대칭되게 마련되어 보호커버(43)의 내측면과 접하도록 삽입됨으로써 보호커버(43)가 좌우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이탈방지리브(33)는 유동방지리브(32) 하측에 대칭되게 마련되는데, 보호커버(43) 결합시 덮개부(435) 내측에 끼워져 제2걸림턱(432)에 탄성 결합되도록 걸림부(331)가 이탈방지리브(33)의 선단부에 절곡되어 있다.
다음에는 결합수단과 고정수단을 통한 압축기의 전원공급장치 조립과정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결합수단을 통해 단자하우징(41)에 과부하 보호장치(42)를 결합한다. 즉, 결합홈(421)에 결합턱(412)이 삽입되도록 과부하 보호장치(42)를 단자하우징(41) 상부에 결합하면, 과부하 보호장치(42)의 결합리브(422)는 단차홈(413)에 안착됨으로써, 단자하우징(41)의 전면(416)이 평면상으로 유지됨과 동시에 과부하 보호장치(42)가 단자하우징(41)의 상부에 결합된다. 계속하여 접속구(411)에 입력단자(20)가 삽입되도록 단자하우징(41)을 결합하면, 결합리브(422)가 단자하우징(41)의 전면(416)과 하부용기(12) 사이에 위치됨으로써, 과부하 보호장치(42)는 상하 및 좌우방향으로 유동됨이 없이 견고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보호커버(43)를 브래킷(30)에 끼워 결합하면, 제1걸림턱(431)이 고정판(31)의 걸림홀(311)에 탄성적으로 삽입 고정된다. 그리고 유동방지리브(32)는 보호커버(43)의 양측 내면과 접하도록 삽입됨과 동시에, 이탈방지리브(33)는 덮개부(435) 내측으로 끼워져 이의 걸림부(331)와 제2걸림턱(432)이 후크타입으로 걸리게 된다. 또한, 지지부(415)의 선단면은 보호커버(43) 내면에 돌출 형성된 지지돌기(433)에 의해 지지되어 단자하우징(41)의 이탈이 방지된다.
그리고 보호커버(43)를 분해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보호커버(43)의 상부를 들어 올려 걸림홀(311)에서 제1걸림턱(431)을 이탈시키면, 보호커버(43)는 물론이고 과부하 보호장치(42) 및 단자하우징(41)을 간단하게 분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압축기의 전원공급장치에 의하면, 단자하우징의 상부에 과부하로부터 압축기를 보호하는 과부하 보호장치를 클램프와 같은 별도의 고정용 부품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결합홈과 결합턱 및 결합리브와 단차홈을 통해 끼워 결합함으로써 이들의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단자하우징과 과부하 보호장치를 감싸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보호커버 역시 걸림턱과 걸림홀 및 이탈방지리브 등을 통해 간편하면서도 견고하게 결합함은 물론이고 부품 삭제로 인한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4)

  1. 밀폐용기의 외측부에 돌출되게 마련된 입력단자, 상기 입력단자가 전기접속되는 단자하우징, 상기 단자하우징을 감싸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보호커버, 상기 보호커버가 끼워져 고정되도록 상기 밀폐용기에 마련된 브래킷을 구비하며, 과부하로부터 보호하는 과부하 보호장치를 갖춘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단자하우징(41)과 상기 과부하 보호장치(42)에 마련되어 이들을 직접적으로 착탈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수단,
    상기 결합수단에 의해 상기 과부하 보호장치(42)가 결합된 상기 단자하우징(41)을 보호하도록 상기 보호커버(43)와 상기 브래킷(30)에 마련되어 이들을 직접적으로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의 전원공급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단자하우징(41)의 상부에 상측방향으로 돌출된 결합턱(412)과 상기 단자하우징(41)의 전면(416)에 단차지게 형성된 단차홈(413),
    상기 단차홈(413)에 안착되어 상기 단자하우징(41)의 전면(416)과 동일면을 유지하도록 상기 과부하 보호장치(42)에서 하향 연장된 결합리브(422)와 상기 결합턱(412)이 끼워져 결합되도록 상기 과부하 보호장치(42)의 하면에 형성된 결합홈(421)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의 전원공급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보호커버(43)의 상면에 형성된 제1걸림턱(431)과 양측면에 대칭되게 형성된 제2걸림턱(432),
    상기 제1걸림턱(431)이 끼워져 결합되도록 상기 브래킷(30)의 상측에 전방측으로 벤딩되어 걸림홀(311)이 형성된 고정판(31)과 상기 브래킷(30)의 양측에 대칭되게 마련되며 상기 제2걸림턱(432)에 후크타입으로 결합되도록 선단부에 걸림부(331)가 형성된 이탈방지리브(3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의 전원공급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하우징(41)의 배면에는 상기 보호커버(43)의 내면을 향해 연장된 지지부(415)가 마련되며,
    상기 보호커버(43)의 내면에는 상기 보호커버(43)의 결합시 상기 지지부(415)의 선단과 접하도록 돌출 연장된 지지돌기(433)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의 전원공급장치.
KR2019990010505U 1999-06-14 1999-06-14 압축기의 전원공급장치 KR2001000056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0505U KR20010000561U (ko) 1999-06-14 1999-06-14 압축기의 전원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0505U KR20010000561U (ko) 1999-06-14 1999-06-14 압축기의 전원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0561U true KR20010000561U (ko) 2001-01-15

Family

ID=54764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0505U KR20010000561U (ko) 1999-06-14 1999-06-14 압축기의 전원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00561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2777B1 (ko) * 2009-07-13 2011-07-29 삼성전자주식회사 밀폐형 압축기
KR101247471B1 (ko) * 2006-06-23 2013-03-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밀폐형 압축기의 피티씨 고정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7471B1 (ko) * 2006-06-23 2013-03-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밀폐형 압축기의 피티씨 고정구조
KR101052777B1 (ko) * 2009-07-13 2011-07-29 삼성전자주식회사 밀폐형 압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64959A (en) Electrical connector plug
KR101398266B1 (ko) 휴대폰의 방수 방법 및 구조
US5615071A (en) Thermal protector for hermetic electrically-driven compressors
CN2893213Y (zh) 电气部件保护装置
US7273400B2 (en) Wire fixing device for fan
JP2006147529A (ja) 冷却装置圧縮機の接続パッケージ
CN102852757A (zh) 电动压缩机
CN100392334C (zh) 安装冰箱压缩机的连接组件的紧固装置
JP2007248011A (ja) 空気調和機
KR20010000561U (ko) 압축기의 전원공급장치
KR100415817B1 (ko) 전기제품용 단자장치 보호커버 및 이를 갖춘 압축기 조립체
US11131298B2 (en) Compressor and outdoor unit of air-conditioning apparatus
KR101461644B1 (ko) 냉동 압축기의 전기 모터의 전원 케이블 장착 장치
KR100338208B1 (ko) 밀봉된 압축기용 일체형 접지핀
JP3138105U (ja) ターボ分子ポンプ
WO2019216834A1 (en) Power supply wire connecting structure for hermetic compressor
JP2005180716A (ja) 空気調和機の室外ユニット
CN209072317U (zh) 一种定位支架及电源
JP2782173B2 (ja) 密閉形電動圧縮機用保護装置
KR100277434B1 (ko) 수중 모터펌프의 터미널 보드
JP3869574B2 (ja) 低温ショーケースの棚接地装置
KR100513961B1 (ko) 압축기용 모터 보호 장치의 클러스터 블록
KR101247471B1 (ko) 밀폐형 압축기의 피티씨 고정구조
CN215644330U (zh) 一种过电流保护器
KR200206163Y1 (ko) 기동릴레이와과부하보호기의일체형패키지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