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0472A - 유전자를 이용한 개인식별수단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유전자를 이용한 개인식별수단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0472A
KR20010000472A KR1020000057825A KR20000057825A KR20010000472A KR 20010000472 A KR20010000472 A KR 20010000472A KR 1020000057825 A KR1020000057825 A KR 1020000057825A KR 20000057825 A KR20000057825 A KR 20000057825A KR 20010000472 A KR20010000472 A KR 200100004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sonal identification
base
identification means
dna
c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78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인
Original Assignee
이종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인 filed Critical 이종인
Priority to KR10200000578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00472A/ko
Publication of KR200100004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0472A/ko
Priority to KR10-2001-0005007A priority patent/KR1004368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05Identification bracelets, e.g. secured to the arm of a pers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G09F3/0297Forms or constructions including a machine-readable marking, e.g. a bar cod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56Polymorphic or mutational mark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Immu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인식별을 위한 DNA 타이핑 방법 중 STR(Short Tandem Repeat) 유전좌위를 중합효소연쇄반응법(PCR)으로 증폭한 후 분석한 염기서열을 여러 매체를 통해 다양하게 표시한 개인식별수단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분석된 DNA 염기서열을, 각 염기마다 1 이상의 일정한 숫자를 대응시켜 표시한 개인식별수단, 특히 숫자화한 염기서열을 바코드로 표시하거나 또는 마그네틱스트립, 시디롬 등에 기록한 개인식별수단(특히 보안용 ID카드 등)이 제공되며, 이러한 개인식별수단은 기존의 바코드리더나 스캐너, 마그네틱리더 등을 이용하여 개인식별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분석된 DNA 염기서열을 표시한 신원확인용 개인식별수단, 특히 미아방지용 액세서리 등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개인식별수단은 ID카드; 목걸이, 팔찌, 머리띠와 같은 신체에 착용하는 액세서리; 명함; 신용카드; 지갑, 가방, 필기구, 열쇠고리와 같은 개인 소지품; 의류 등의 다양한 형태를 갖는다.

Description

유전자를 이용한 개인식별수단 및 그 방법 {IDENTIFICATION DEVICES USING GENE AND ITS METHOD}
본 발명은 유전자를 이용한 개인식별수단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개인식별을 위한 DNA 타이핑 방법 중 STR(Short Tandem Repeat, 짧은연쇄반복) 유전좌위를 중합효소연쇄반응법(PCR, Polymerase Chain Reaction)으로 증폭한 후 분석한 염기서열을 여러 매체를 통해 다양하게 표시한 개인식별수단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개인인식기술
개인의 신분, 특이정보 또는 보안 등의 이유로 사용되는 종래의 개인인식 기술은 패스워드 등을 바코드(Barcode) 형태, 마그네틱스트립(Magnetic stripe), 미니 시디롬(mini CD-ROM) 등에 저장하여 사용해 왔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개인인식 기술에서는 인위적으로 설정한 수나 문자의 조합 또는 일정한 법칙에 따라 부여된 수나 문자의 조합을 사용해 왔으나, 패스워드를 인위적으로 구성·복원하기 때문에 사용되는 문자나 숫자의 수가 제한적이었다. 또한, 긴 패스워드를 만들어 마그네틱스트립이나 시디 등에 저장해 놓아도, 별도로 기록해 두지 않는 한 분실이나 파손시에는 같은 패스워드를 기억하거나 복원해 내기가 어려웠다.
유전자분석
인간의 게놈은 30억개의 DNA 염기쌍으로 이루어져 있고, 이중 어떤 형질을 나타내는 유전자는 10만개 정도이다. 그리고 전체 유전자 중 20∼30%는 전사(transcription)되지 않고 전체 게놈속에서 아무 의미없이 계속적으로 반복되는데, 학자들은 이러한 현상을 인류가 생겨난 이후에 감염되었던 바이러스의 DNA 등이 인간 게놈에 동화된 흔적이라고 한다. 이렇게 복제되지 않고 일정수의 염기가 계속적으로 반복되는 것을 반복서열 DNA (Repetitive sequence DNA)라고 하며, 이는 각 개체마다 다르다. 반복서열 DNA에서 계속적으로 반복되는 염기단위의 수는 개인마다 차이가 큰데, 이중에서도 특히 변이가 심한 염기순서를 VNTRs(Variable Number of Tandem Repeat, 가변성 연쇄반복)라 한다.
VNTRs는 개인마다 고유한 다양성을 나타내는데 특정 DNA 부위를 인식하는 제한효소로 처리하면 여러 개의 DNA 조각으로 절단되어 각기 다른 크기의 절단 DNA 조각들을 얻게 된다. 이러한 DNA의 길이다형성을 RFLPs(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제한효소길이절편다형성)라 하며, 이를 전기영동한 후 서던블롯(Souther Blotting) 방법으로 분석하여 X-레이 필름에 감광시키면 바코드와 같은 형태의 밴드가 나타나게 되는데 이를 유전자 지문법(DNA finger printing)이라 한다 (도 1 참조). 이는 형태만 비슷할 뿐 현재 사용되고 있는 숫자를 표시하는 바코드와는 전혀 다른 것으로, 같은 샘플이라 하더라도 전기영동의 조건이나 검사자에 따라 밴드(띠)의 굵기나 농도가 달라지며 기존의 바코드 기준을 따르는 것이 아니므로 현재 상용되는 바코드 생성기나 바코드 리더에 적용시킬 수 없다.
RFLP 방법에는 인간의 게놈 DNA상에 존재하는 다수의 VNTR을 측정하는 다좌위탐침(Multi-locus-probe)을 사용하는 방법이 있는데, 이는 매우 높은 식별력이 있는 반면 방법이 복잡하여 2∼3 주 이상의 시간과 숙련된 기술을 필요로 하고 게놈 DNA가 분해되지 않은 신선하고 많은 양의 샘플을 요구한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게놈 DNA상의 한 부위만을 측정하는 단좌위탐침(Single locus probe)이 개발되었다. 단좌위탐침은 적은 샘플과 어느 정도 분해된 샘플에서도 분석이 가능하고, 하나의 유전좌위만을 측정하기 때문에 결과가 부친과 모친으로부터 유래된 두 밴드의 형태로 나타나는데 이를 DNA 타이핑(DNA typing)이라 부르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기존의 VNTRs 보다 훨씬 크기가 작으면서도 연쇄적으로 반복되는 STR(Short Tandem Repeats, 짧은연쇄반복) 유전좌위들이 발견되었으며, 또한 극소량의 DNA도 분석 가능한 양으로 증폭시킬 수 있는 중합효소연쇄반응법(PCR)이 개발되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PCR을 이용한 STR 유전좌위를 분석하는 방법을 많이 사용하고 있는데,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면 오래된 조직표본이나 혈흔, 타액, 정액흔적, 유골 등 어느 정도 분해된 샘플이나 극소량의 샘플로도 유전자 분석이 가능하고, 몇 시간이면 분석이 가능할 정도로 시간이 단축된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얻어진 DNA밴드는 화학적 방법이나 효소를 이용한 방법 등으로 분석되어, A,C,T,G의 4가지 염기로 이루어진 DNA 염기서열이 결정된다 (도 2 참조).
유전자지문법이나 DNA타이핑법은, 전기영동 후 형광물질처리의 결과로 나타나는 바코드 형태의 DNA밴드나 이를 분석한 염기서열로 결과를 표시하여 동일인이나 친자여부 등을 인식하는 개인인식기술로, 친자확인이나 범죄수사 등의 전문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개인식별 방법은 개인 고유의 염기서열로 한 개인을 식별하는 훌륭한 생물학적 방법이나 지금까지는 특정 분야에서 전문적으로만 이용되어 왔을 뿐 이를 일상생활에서 요구되는 개인식별수단으로는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개인식별을 위한 DNA 타이핑 방법 중 STR(Short Tandem Repeats, 짧은연쇄반복) 유전좌위를 중합효소연쇄반응법(PCR)으로 증폭한 후 분석한 염기서열을 여러 방법으로 다양한 매체에 표시하여 일상생활에서 쉽게 적용할 수 있는 개인식별수단(예를 들어, ID카드, 목걸이, 팔찌 등의 액세서리 등)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보안이 필요한 곳에서 패스워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유전자를 이용한 보안용 개인식별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보안용 개인식별수단"이라 한다). 보안용 개인식별수단은 분석된 개인인식 유전자의 염기서열에 일정한 방식으로 숫자를 대응시켜 바코드로 만들거나 마그네틱스트립, 미니시디 등에 저장하여 개인식별을 위한 ID카드 등을 만든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사고나 미아발생, 행방불명 등의 경우에 쉽게 신원을 확인할 수 있는 상징적 표식으로 기능할 수 있는, 유전자를 이용한 개인식별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상징적 개인식별수단" 또는 "신원확인용 개인식별수단"이라 한다). 상징적 개인식별수단에서는 분석된 유전자의 염기서열을 그대로 표시하거나 또는 위와 같은 방법으로 숫자화하여 명함, 기타 개인 소지품 및 액세서리 등에 적용한다.
도 1은 머리카락, 타액 등의 샘플로부터 DNA를 추출한 후 STR 유전좌위를 PCR로 증폭하여 전기영동한 후 형성된 DNA밴드를 형광물질로 염색하여 X-레이에 노출시킨 바코드 형태의 밴드이다.
도 2는 DNA의 염기서열을 분석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숫자화된 유전자 패스워드가 바코드로 표시된 ID카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신원확인용 액세서리로, 도 4는 DNA 염기서열이 표시된 목걸이 메달, 도 5는 DNA 염기서열이 표시된 팔찌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DNA 염기서열이 표시된 신원확인용 T-셔츠이다.
본 발명의 유전자를 이용한 개인식별수단 중 보안용 개인식별수단에 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보안용 개인식별수단을 만드는 과정에서는 먼저, DNA 타이핑 방법 중 STR( Short Tandem Repeat) 유전좌위를 PCR로 증폭하여, 개인식별을 위한 유전자를 분석하여 염기서열을 결정한다.
이렇게 개인식별을 위하여 사용되는 반복되는 유전자(STR)는 종류가 많아 분석자가 어떤 유전자를 사용해서 개인식별을 하는지를 모른다면 혈액, 머리카락 등의 샘플로 유전자를 분석해도 쉽게 같은 염기서열을 찾을 수 없다. 따라서, 염기서열 자체가 쉽게 도용하거나 복제할 수 없는 1차 패스워드가 되며, 또한 개인인식을 위해 사용되는 STR 유전좌위의 염기서열은 20∼50개의 염기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4의 20승 내지 4의 50승 정도의 서열 가능성이 발생하게 되어 같은 패스워드가 만들어질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STR 유전자를 활용하였으나, 앞으로 더 유용하고 간편한 유전좌위가 발견된다면 같은 원리에 의해 새로운 유전자가 활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분석된 개인인식 유전자의 염기서열은 일정한 법칙에 따라 숫자로 전환되어 바코드로 표시되거나 마그네틱스트립, 미니 시디롬 등에 저장되어 ID카드 등의 개인식별수단에 표시된다 (도 3 참조).
분석된 염기서열 자체도 긴 문자의 나열로 표시되어 비밀성과 유일성은 있으나 간단하고 즉각적인 개인인식을 위해서는 그러한 목적을 위한 별도의 프로그램이나 장치를 운용하지 않고서는 쉽게 판독할 수 없으므로, 본 방법에서는 이를 이용이 용이한 숫자로 전환한다.
유전자의 염기서열을 숫자로 전환하는 방법은 기본적으로는 DNA를 구성하는 4가지 염기에 대해 각 염기마다 기업 또는 개인이 임의로 정한 고유한 1 이상의 숫자, 즉 0,1,2,3,4,5,....9 등을 부여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A는 6, C는 0, G는 8, T는 9와 같은 식으로.
또한, 보안상 보다 복잡한 암호체계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염기서열의 각 염기에 숫자를 부여하는 자체도 암호화할 수 있다. 즉, A,C,G,T의 알파벳 순서대로 하고 각 염기마다 0에서 9까지 열가지의 한자리 수를 부여할 수 있으므로, 10×10×10×10의 10,000 가지의 수의 조합을 만들어 이를 또 하나의 암호체계로 사용할 수 있다. 다시 말해, A,C,G,T의 순서로 1,2,3,4의 숫자를 부여할 수도 있고, 0.9,8,7의 숫자를 부여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부여방식 자체를 또 하나의 암호체계로 사용하여 각 개인마다 달리 적용한 숫자를 부여함으로써 쉽게 해독되지 않는 복잡한 암호체계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이중암호체계 방식은 보안이 특히 요구되는 곳에서 적용될 수 있는데, 이 경우 패스워드를 복제하기 위해서는 먼저 개인식별을 위해 사용된 염기서열(1차 패스워드)을 알아야만 하고, 2차적으로 각 염기에 부여된 숫자의 암호체계, 즉 A,C,G,T의 순서로 부여된 숫자가 1,2,3,4 인지 0.9,8,7 인지 등의 2차 패스워드 (10,000 가지 수의 조합이 가능함)를 알아야만 해독이 가능하다.
또한, 좀 더 복잡한 패스워드를 만들기 위해서는 각 염기에 하나의 숫자가 아닌 2이상의 숫자로 구성된 일련의 숫자열을 부여할 수 있다. 즉, 각 염기에 2 자리 이상의 수를 부여하는 암호체계를 사용하여 가능한 수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된 숫자열을 부여한다. 예를 들어, A는 139, C는 048, G는 351, T는 260과 같은 식으로. 이렇게 각 염기에 대해 일련의 숫자열을 부여할 경우, 가능한 수의 조합이 훨씬 커지게 되므로 복제는 더욱 어려워지게 된다. 또한, 숫자열의 수가 커질수록, 즉 3자리 수 대신 4자리 수, 5자리 수를 사용할 경우 더욱 복잡한 암호체계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이중 암호체계는, 제3자에 의한 복제나 도용이 거의 불가능한 반면 사용자 입장에서는 머리카락이나 타액 등으로 DNA 타이핑을 하여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기본 패스워드를 언제든지 복원하고 여기에 2차 패스워드를 적용하여 전체 패스워드를 복원할 수 있기 때문에 아무리 길고 복잡한 패스워드라도 필요에 따라 복원과 재발급이 용이하다. 따라서, 극도의 보안을 요하는 곳에서 ID카드를 분실한 경우 즉시 머리카락, 타액 등으로 DNA 타이핑을 하고 여기에 2차 패스워드를 부여하여 전체 패스워드를 복원한 후 바코드 등으로 전환하여 스캐너에서 읽을 수 있는 ID카드를 재발급할 수 있다. 요즘의 기술로는 DNA 타이핑으로 염기서열을 알아내기 까지 반나절에서 하루 정도가 소요되나 이러한 기술은 앞으로 많이 개선될 것이다.
유전자를 이용한 이러한 이중 암호체계의 특징은, 사용자가 개인식별을 위해 사용하는 각 개인의 유전자와 2차 패스워드의 부여방식만 기억할 수 있으면 전체 패스워드를 언제나 복원할 수 있기 때문에 전체 패스워드 자체는 어떠한 기록매체에도 기록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숫자화된 개인인식 유전자의 염기서열, 즉 전체 패스워드는 바코드로 표시되거나 마그네틱스트립, 시디롬 등에 저장되어 ID 카드와 같은 개인식별수단에 표시되게 된다.
예를 들어, 바코드로 표시할 경우에는 기존의 상거래상의 바코드와 연계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즉, 기존의 바코드 시스템은 앞쪽 3자리가 국적표시이고, 그 다음에 제조업체 번호가 들어가는데, 마찬가지로 국적표시와 카드발급 회사를 표시하고 다음에 유전자 분석으로 얻은 패스워드를 입력한다. 이렇게 할 경우 기존의 바코드가 13 내지 14자리 시스템인데 비해, 본 발명의 유전자를 이용한 패스워드에서는 20∼50 또는 그 이상의 바코드가 나오게 된다.
이렇게 바코드 또는 마그네틱스트립, 시디롬 등에 기록된 유전자 패스워드는 기존의 바코드리더나 스캐너, 마그네틱리더 등을 이용하여 인식될 수 있으므로, 간단하게 개인식별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보안용 개인식별수단은, 예를 들어, ID카드; 목걸이, 팔찌, 머리띠와 같은 신체에 착용하는 액세서리; 명함; 신용카드; 지갑, 가방, 필기구, 열쇠고리와 같은 개인 소지품; 의류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특히 보안용 ID카드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3에 바코드로 표시된 유전자 패스워드가 기록된 ID카드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유전자 표식에는 개인의 DNA 타이핑이 선행되므로, 이에 대한 기록을 별도로 보관함으로써 불의의 사고 등의 경우에 본인 확인 및 추적수단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인, 유전자를 이용한 상징적 개인식별수단에 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상징적 개인식별수단은 주로 사고나 미아발생, 행방불명 등의 경우에 쉽게 신원을 확인하는 등의 목적으로 사용한다.
위에서 설명한 보안용 개인식별수단과 마찬가지로, 먼저 개인식별을 위한 DNA 타이핑 방법 중 STR 유전좌위를 PCR로 증폭한 후 분석하여 염기서열을 결정한다.
보안성이 요구되지 않는 상징적 개인식별수단에서는 분석된 개인인식 유전자의 염기서열을 그대로, 즉 A-C-G-T---와 같은 방식으로 표시하거나, 전기영동한 밴드로 표시할 수도 있으며, 또한 간단하고 즉각적인 판독을 위해 이를 비교적 간단한 방법으로 숫자화하여 바코드 등으로 표시할 수도 있고, 이러한 다양한 표시방법을 함께 사용할 수도 있다 (도 4 내지 6 참조).
이러한 상징적 유전자 표식은 예를 들어, ID카드; 목걸이, 팔찌, 머리띠와 같은 신체에 착용하는 액세서리; 명함; 신용카드; 지갑, 가방, 필기구, 열쇠고리와 같은 개인 소지품; 의류 등에 표시될 수 있으며 (도 4 내지 6 참조), 이러한 표식은 특히 신원확인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즉, 보안용 유전자 표식과 마찬가지로 이러한 방법에서는 개인의 DNA 타이핑이 선행되므로 이에 대한 기록을 별도로 보관함으로써 다양한 경우에 본인 확인 및 추적수단으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특히, 상징적 유전자 표식을 팔찌, 목걸이, 머리띠 등 신체에 착용하는 액세서리에 표시하여 문제발생시 즉각적으로 신원을 확인할 수 있는 신원확인용 액세서리로 사용할 수 있다.
신원확인용 액세서리는, 예를 들어, 미아방지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일년에 60만명의 신생아가 태어나며, 일년에 약 3,000명의 미아가 발생한다고 한다. 바로 부모를 찾는 경우도 있지만 의사소통이 안되는 유아의 경우 끝까지 부모를 찾지 못하는 경우도 많다. 훗날 부모를 찾아도 실제 친자인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부모들의 유전자와 일치도를 확인해야 하는데, 한쪽 부모만 없어도 정확도가 떨어지고 절차도 복잡하다. 그러나, 미리 유전자가 보관되어 있다면 간단한 방법으로 바로 본인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러한 과정은 유아때 착용하고 있던 액세서리 등의 식별수단에 의해 더욱 분명하고 용이해질 수 있다.
또한, 신원확인용 액세서리는 치매노인이나, 정신지체아 등에게도 적용될 수 있다.
상징적 유전자 표식을 명함에 사용할 경우에는 위에서 설명한 ID카드의 역할은 물론, 본인여부에 대한 명확한 확인이 가능하여 타인에게 신뢰감을 줄 수 있으며, 특히 본인여부에 대한 확인이 필요한 분야에서는 신분증과 같은 용도로도 사용될 수 있다. DNA 타이핑에 의한 유전자 정보를 별도로 보관하는 DB를 연계운영하는 시스템을 이용함으로써 이러한 본인확인 수단으로서의 용도를 더욱 개발할 수 있다.
이밖에도 이러한 유전자 표식을 가방, 지갑 등 본인의 소지품이나 옷, 액세서리 등에 부착 또는 인쇄하여 상징적 표식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유전자 표식은 불의의 시고시 본인 확인은 물론, 여러 사람이 동일한 물건을 사용할 때 분실방지의 부수적 효과도 거둘 수 있으며, 개인의 독특한 문양으로 디자인 효과 및 장식적 효과의 목적으로도 활용될 수 있다.
유전자 표식에 있어서 개인의 유전정보 노출이 문제될 수도 있는데, 전체 사람의 게놈을 구성하는 유전자 중 특정 형질을 나타내는 유전자만도 10만개 이상이며 STR 등의 유전자는 대부분 전사(transcription)를 하지 않는, 특정형질과는 관계가 없는 유전자이므로 이중 하나를 공개한다고 하여도 개인정보의 노출수준은 오히려 사진공개 보다도 낮다고 할 수 있다.
상술한 기재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종래의 패스워드는 별도로 기록하여 두지 않는한 개인의 기억에 의존하여 복원되므로, 기억될 수 있는 4∼8 정도의 문자나 수를 사용하여 해킹이 용이하였으며, 별도로 기록해 두는 경우 역시 데이터 자체의 해킹 염려가 있었다. 이에 비해 본 발명의 개인식별수단에서 사용하는 유전자를 이용한 패스워드는, 본인의 유전자 중 일정 DNA 염기서열을 이용하므로 본인인식의 생물학적 증거를 갖게 되며, 염기서열의 4가지 염기에 일정한 방식으로 수를 부여함으로써 자동적으로 독특하고 노출될 염려가 없는 패스워드를 만들게 되고, 사용자 입장에서는 쉽게 복원이 가능하나 제3자에 의한 복제나 도용은 힘들게 된다.
또한, 유전자의 염기서열을 숫자화하여 기존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바코드 시스템이나 마그네틱 시스템, CD 등의 매체에 적용함으로써 손쉽게 개인식별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밖에도 유전자 분석으로 얻어진 DNA 밴드나 염기서열 자체, 또는 이를 숫자화한 것이나 바코드 등을 명함, 소지품, 액세서리 등에 상징적인 표식으로 사용함으로써 미아방지 등의 목적은 물론 사고발생시 신원확인 등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Claims (11)

  1. DNA 타이핑 방법 중 STR(Short Tandem Repeat) 유전좌위를 중합효소연쇄반응법(PCR)으로 증폭한 후 분석한 DNA 염기서열을, 각 염기마다 1 이상의 일정한 숫자를 대응시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식별수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염기에 숫자를 대응시킨 숫자화된 염기서열을 바코드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식별수단.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염기에 숫자를 대응시킨 숫자화된 염기서열을 마그네틱스트립 또는 미니 시디롬에 기록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식별수단.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염기에 대응되는 숫자는, 염기를 A,C,G,T의 알파벳 순서로 할 때 각 염기에 0에서 9까지의 열 가지 한자리 수를 부여하는 10,000 가지 수의 조합에서 선택되는 암호체계를 사용하여 개인마다 다르게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식별수단.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염기에 대응되는 숫자는, 염기를 A,C,G,T의 알파벳 순서대로 할 때 각 염기에 2 자리 이상의 수를 부여하는, 가능한 수의 조합에서 선택되는 암호체계를 사용하여 개인마다 다르게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식별수단.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식별수단은,
    ID카드; 목걸이, 팔찌, 머리띠와 같은 신체에 착용하는 액세서리; 명함; 신용카드; 지갑, 가방, 필기구, 열쇠고리와 같은 개인 소지품; 의류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식별수단.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식별수단은 보안용 ID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식별수단.
  8. DNA 타이핑 방법 중 STR(Short Tandem Repeat) 유전좌위를 중합효소연쇄반응법(PCR)으로 증폭한 후 분석한 DNA 염기서열을 표시한 신원확인용 개인식별수단.
  9. 재 8 항에 있어서,
    상기 염기서열은,
    (a) 전기영동한 밴드로 표시되는 방법; (b) 염기서열 그대로 문자로 표시되는 방법; (c) 염기를 임의로 정한 대응되는 숫자로 전환하여 표시하는 방법; (d) 상기 숫자를 바코드로 표시하는 방법 중 1 이상을 선택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원확인용 개인식별수단.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신원확인용 개인식별수단은,
    ID카드; 목걸이, 팔찌, 머리띠와 같은 신체에 착용하는 액세서리; 명함; 신용카드; 지갑, 가방, 필기구, 열쇠고리와 같은 개인 소지품; 의류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식별수단.
  11.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신원확인용 개인식별수단은 미아방지용 액세서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식별수단.
KR1020000057825A 2000-10-02 2000-10-02 유전자를 이용한 개인식별수단 및 그 방법 KR2001000047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7825A KR20010000472A (ko) 2000-10-02 2000-10-02 유전자를 이용한 개인식별수단 및 그 방법
KR10-2001-0005007A KR100436833B1 (ko) 2000-10-02 2001-02-02 유전자 정보를 이용한 개인인식표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7825A KR20010000472A (ko) 2000-10-02 2000-10-02 유전자를 이용한 개인식별수단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0472A true KR20010000472A (ko) 2001-01-05

Family

ID=1969142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7825A KR20010000472A (ko) 2000-10-02 2000-10-02 유전자를 이용한 개인식별수단 및 그 방법
KR10-2001-0005007A KR100436833B1 (ko) 2000-10-02 2001-02-02 유전자 정보를 이용한 개인인식표지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5007A KR100436833B1 (ko) 2000-10-02 2001-02-02 유전자 정보를 이용한 개인인식표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10000472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237327A3 (en) * 2001-03-01 2003-07-02 NTT Data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individual authentication and digital signature utilizing article having DNA based ID information mark
WO2005093670A1 (en) * 2004-03-26 2005-10-06 Genonyme Gmbh Method, system and object for the identification of an individual
US20120153018A1 (en) * 2009-03-23 2012-06-21 Jan Jaap Nietfeld Methods for Providing a Set of Symbols Uniquely Distinguishing an Organism Such as a Human Individual
WO2013154346A1 (ko) * 2012-04-12 2013-10-17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나노 바이오 정보 인지 융합 인증식별 및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6363A (ko) * 2004-09-20 2006-03-23 주식회사 아이디진 유전자 id 코드가 각인된 액세서리 및 그 제작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13391B1 (en) * 1997-09-10 2001-04-10 William H. Lewis Portable system for personal identification based upon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the user
AUPP421798A0 (en) * 1998-06-18 1998-07-09 Kazamias, Christian Process of identificatio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237327A3 (en) * 2001-03-01 2003-07-02 NTT Data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individual authentication and digital signature utilizing article having DNA based ID information mark
EP1515268A2 (en) * 2001-03-01 2005-03-16 NTT Data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individual authentication and digital signature utilizing article having DNA based ID information mark
EP1515268A3 (en) * 2001-03-01 2007-12-12 NTT Data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individual authentication and digital signature utilizing article having DNA based ID information mark
WO2005093670A1 (en) * 2004-03-26 2005-10-06 Genonyme Gmbh Method, system and object for the identification of an individual
US20120153018A1 (en) * 2009-03-23 2012-06-21 Jan Jaap Nietfeld Methods for Providing a Set of Symbols Uniquely Distinguishing an Organism Such as a Human Individual
US9607127B2 (en) * 2009-03-23 2017-03-28 Jan Jaap Nietfeld Methods for providing a set of symbols uniquely distinguishing an organism such as a human individual
WO2013154346A1 (ko) * 2012-04-12 2013-10-17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나노 바이오 정보 인지 융합 인증식별 및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36833B1 (ko) 2004-06-26
KR20020026784A (ko) 2002-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352942C (zh) 具有微阵列识别信息的微阵列及其生产方法和使用方法
Prabhu et al. Cheiloscopy: revisited
US7039223B2 (en) Authentication method utilizing a sequence of linear partial fingerprint signatures selected by a personal code
Hogan Empirical keying of background data measures.
US20090023154A1 (en) Relating to marking
JP5863775B2 (ja) 遺伝的イメージング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030235836A1 (en) Labeling of objects to be identified consisting of at least one DNA fragment
KR20010000472A (ko) 유전자를 이용한 개인식별수단 및 그 방법
US7040539B1 (en) Negotiable instrument with fraud protection
CA2381226A1 (en) Method of recording gene analysis data
JP2002288605A (ja) Dna利用型記録媒体及びそのdna利用型記録媒体を利用した本人認証システムと電子署名システム
KR100436832B1 (ko) 미토콘드리아 유전자 정보를 이용한 개인인식표지
WO1999066070A9 (en) A dna biometric process used for identification
JP2002253203A (ja) 識別情報表示物及びその識別情報表示物を利用した認証システム
JP2008033858A (ja) Dnaを利用した認証方法
KR19980087823A (ko) 지문에서 디옥시리보핵산을 추출하여 사람을 식별하는 방법
EP1316618A2 (en) Nucleic acids for marking objects
WO2005093670A1 (en) Method, system and object for the identification of an individual
US20040163412A1 (en) Piece of jewelry bearing a genetic fingerprint
Aguilar Physical Match: Uniqueness of Torn Paper
Dawood et al. Human Verification System based on DNA Biometrics
KR200172207Y1 (ko) 특정인의 dna 구조가 표시된 명함
KR200429479Y1 (ko) 유전자 보관 및 신원확인 겸용카드
Waszczuk et al. Misidentifications of alphanumeric characters in serial number restorations
Bajpai The Science of DNA Fingerprinting: Present, Past and Fu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