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3589Y1 - 특정인의 개인인식유전자를 형상화한 캐릭터물품 - Google Patents

특정인의 개인인식유전자를 형상화한 캐릭터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3589Y1
KR200233589Y1 KR2020000034004U KR20000034004U KR200233589Y1 KR 200233589 Y1 KR200233589 Y1 KR 200233589Y1 KR 2020000034004 U KR2020000034004 U KR 2020000034004U KR 20000034004 U KR20000034004 U KR 20000034004U KR 200233589 Y1 KR200233589 Y1 KR 2002335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acter
gene
str
display unit
loc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40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인
Original Assignee
이종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인 filed Critical 이종인
Priority to KR20200000340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358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35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3589Y1/ko

Links

Landscapes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특정인의 개인인식 유전자를 형상화한 캐릭터 물품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친자확인, 신원확인 등에 있어서 개인식별기능을 할 수 있도록 특정인의 개인인식유전자를 형상화한 캐릭터 물품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특정인의 개인인식유전자를 형상화한 캐릭터를 포함하는 캐릭터물품에 있어서, 상기 캐릭터는 STR 유전자의 반복횟수표시부(11)와; STR 유전자의 전기영동분석시 함께사용된 마커의 밴드를 표시하는 마커표시부(12)와; 상기 마커의 밴드위치에 맞추어 특정 STR유전좌위의 반복횟수가 밴드로 표시되는 STR 유전좌위 표시부(13)와; 상기 STR유전좌위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표시부(1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인의 개인인식 유전자를 형상화한 캐릭터물품이 재공된다. 상기 캐릭터 물품은 IC카드, 명함, 열쇠고리, 의류, 액세서리, 지갑, 가방 등이 될 수 있다.

Description

특정인의 개인인식유전자를 형상화한 캐릭터물품 {CHARACTER PRODUCTS FOR INDIVIDUAL IDENTIFICATION USING GENE INFORMATION}
본 고안은 특정인의 개인인식 유전자를 형상화한 캐릭터 물품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친자확인, 신원확인 등에 있어서 개인식별기능을 할 수 있도록 특정인의 개인인식유전자를 형상화한 캐릭터 물품에 관한 것이다.
STR 유전좌위인간의 유전자는 30억개의 DNA쌍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중 20∼30%는 전사(transcription)를 하지 않는 염기서열로 일정 수의 염기가 계속적으로 반복되는 반복서열 DNA(Repetitive sequence DNA)로 이루어져 있다. 반복서열 DNA에서 반복되는 염기단위의 수는 개인마다 차이가 큰데, 특히 변이가 심한 염기순서를 VNTRs(가변성 연속반복, Variable Number of Tandem Repeats)라 한다.
VNTRs는 개인마다 고유한 다양성을 나타내는데 특정부위를 인식하는 제한효소로 처리하면 여러 개의 DNA조각으로 절단되어, 각기 다른 크기의 절단 DNA 조각들을 얻게 된다. 이러한 DNA의 길이다형성은 RFLPs(제한효소길이절편다형성,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s)라 하며, 이를 전기영동후 서던블록 (Southern Blotting) 방법으로 분석하여 형광염색 처리하면 밴드들이 나타난다. 이를 유전자지문(DNA fingerprinting)이라 하고 개인식별에 활용되고 있으나, 이 방법을 사용할 경우 고도의 숙련을 요하고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DNA상 한 부위만 측정하는 단좌위탐침(single-locus-probe)이 개발되었는데, 이 방법은 적은 샘플만으로도 분석이 가능하다. 또한 기존의 VNTRs보다 훨씬 크기가 작으면서도 연쇄적으로 반복되는 STR(Short Tandem Repeat) 유전좌위들이 발견되었고, 이를 극소량의 DNA라도 분석가능한 DNA양으로 증폭시킬 수 있는 중합효소연쇄반응법(PCR)과 함께 활용함으로써 보다 용이하게 DNA 타이핑을 할 수 있게 되었다.
미토콘드리아 DNA(mtDNA)
미토콘드리아 DNA를 이용한 유전자감식은 러시아의 마지막황제 로마노프(Romanov) 왕가의 니콜라스 2세와 그 가족의 유골을 분석하는데 사용되면서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졌다. 미토콘드리아 DNA는 특징적으로 모계를 통하여 유전되며, 원형의 이중나선구조로 16.6kb(kb=kilobase=1000염기)의 길이로 되어 있으며, 이중 약 1.7kb의 D-loop라고 부르는 조절부위를 가지고 있는데, 이곳에는 두개의 과변이 부위인 HVR(Hyper Variable Region)Ⅰ 및 Ⅱ가 약 1kb의 길이로 존재한다. HVRⅠ 및 Ⅱ의 염기변이는 다른 부위에 비하여 5∼10배 빠른속도로 변하기 때문에 이 지역은 개인식별 및 혈통을 조사하기 위한 유전자감식에 매우 유용하다. 미토콘드리아 DNA에 있어 1kb정도에 불과한 과변이지역에서 변이를 보이는 염기위치는 수십 곳에 이르는데 다른 유전자에 비하여 변이지역이 짧기 때문에 개인식별 및 혈통확인에 매우 효율적이다. 이 지역의 염기서열을 분석한(Sequencing) 후, 처음으로 미토콘드리아 DNA를 분석 발표했던 염기서열을 표준 DNA로 하여 각 개인차이와 일치도를 확인할 수 있다.DNA의 형상화종래에 상염색체와 Y-염색체의 STR 유전자에 대한 형상화 방법으로는 겔사진(Gel Document)을 그대로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특별한 방법이 없는 실정이었다. 이에 비해 미토콘드리아 DNA에 관해서는 몇 가지 방법들이 제안되었는데, 그 이유는 미토콘드리아 DNA의 과변이부위가 다른 DNA에 비하여 작아 형상화가 용이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제안된 방법들은 미토콘드리아 DNA를 염기서열분석 (sequencing)한 후 4가지 염기(A,C,T,G)를 나열하거나 여기에 약간의 응용을 가하는 정도여서 단순히 유전자를 형상화한다는 상징적인 의미를 가질 뿐 개인식별 수단으로 기능하지는 못했다. 즉, 종래의 DNA 형상화는, 형상화된 DNA가 어떤 유전자의 어느 유전좌위를 표시한 것인가 하는 개인인식수단으로서의 가장 기본적인 요건도 제대로 구비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었다.
특정인의 개인인식유전자를 형상화하여 개인식별수단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시도들이 있어 왔으나, 지금까지는 분석상의 어려움 등으로 이를 단순하게 형상화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았다.본 고안에서는 특정인의 유전정보를 단순하게 형상화하여 불의의 사고나 미아발생시 신원확인, 친자확인 등에 이용할 수 있도록, 개인식별기능을 보유한 캐릭터물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이하여 본 고안에서는, 특정인의 개인인식유전자를 형상화한 캐릭터를 포함하는 캐릭터물품에 있어서, 상기 캐릭터는 STR 유전자의 반복횟수표시부(11)와; STR 유전자의 전기영동분석시 함께사용된 마커의 밴드를 표시하는 마커표시부(12)와; 상기 마커의 밴드위치에 맞추어 특정 STR유전좌위의 반복횟수가 밴드로 표시되는 STR 유전좌위 표시부(13)와; 상기 STR유전좌위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표시부(1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인의 개인인식 유전자를 형상화한 캐릭터물품이 제공된다.상기 태릭터 물품은, 구체적으로 IC카드, 명함, 열쇠고리, 의류, 액세서리, 지갑, 가방 등이 될 수 있다.
도 1은 STR 유전좌위를 중합효소연쇄반응법으로 증폭시킨 후 전기영동하여 형성된 DNA밴드(Band)를 형광물질로 염색한 후 얻은 겔사진(Gel Document)이다.
도 2a~2c는 본 고안에 따른 특정인의 개인인식유전자를 형상화한 캐릭터를 포함하는 IC카드이다.<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11 : 반복횟수 표시부 12 : 마커표시부13 : STR 유전좌위 표시부 14 : 유전좌위 위치표시부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Ⅰ. DNA의 분석
일반적으로 DNA 분석방법은 모근이나 구강세포(타액), 혈액, 정액 등 다양한 샘플로부터 DNA를 추출한 후 이미 절단위치가 알려진 제한효소를 이용하여 전체 DNA를 적당한 크기로 절단하고, 검사하고자 하는 부위에 대응하는 탐침(probe)을 이용하여 검사를 원하는 부위을 찾아낸 후, 중합효소연쇄반응법(PCR, Polymerase Chain Reaction)을 이용하여 검사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DNA를 증폭시키고, 서던블롯팅(Southern Blotting) 등의 방법으로 분석한다.
STR 좌위 염색체 위치 반복서열5′→3′ 반복횟수 대립형질 수 대립형질 크기범위(염기) 비 고
D16S539 16q24-qter (AGAT)n 5-15 9 264-304 상염색체
D7S820 7q11.21-q22 (AGAT)n 6-14 9 215-247 상염색체
D13S317 13q22-q31 (AGAT)n 7-15 9 165-197 상염색체
DYS385 y (GAAA)n 7-22 68 352-412 성염색체(Y 염색체)
DYS392 Y (ATT)n 6-16 11 233-263 성염색체(Y 염색체)
DYS19 Y (GATA)n 10-19 9 174-210 성염색체(Y 염색체)
DYS391 Y (GATA)n 7-14 8 271-299 성염색체(Y 염색체)
DYS390 Y (GAT/CA)n 18-27 9 191-227 성염색체(Y 염색체)
DYS393 Y (GATA)n 9-16 8 108-136 성염색체(Y 염색체)
Ⅱ. 분석결과의 형상화
도 2a~2c는 본 고안에 따른 캐릭터물품, 즉 특정인의 개인인식유전자를 형상화한 캐릭터를 포함하는 IC카드를 도시한 것이다.
개인식별 유전자 분석결과를 형상화하여 캐릭터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어느 유전자위를 분석한 것인지와 그 분석결과 및 개인식별수단으로 중요한 의미가 있는 변이 부분을 확실히 표현해야만 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 유전자 표시는 개인식별 기능이 없는 단순한 문양에 불과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유전자정보를 형상화하는데 있어서, 먼저 마커를 반드시 포함시키고, 사용된 특정 STR 유전좌위 (예:D16S539, D7S820 등)와 그 반복횟수를 표시해 준다.반복횟수 표시부(11)는 밴드위치에 따른 (예:D16S539, D7S820 등) 유전좌위의 반복횟수를 나타낸다.마커표시부(12)에는 (예:D16S539, D7S820 등) 유전자의 전기영동분석시 함께 사용된 마커가 상기 반복횟수 표시부(11)와 함께 표시된다.STR 유전좌위 표시부(13)에는 상기 마커(12)를 기준으로 특정 STR 유전좌위에 대해 얻어진 각각의 밴드(14)들이 표시된다. 마커의 밴드위치에 맞추어 STR 유전좌위의 밴드를 표시하면 반복횟수 표시부(11)에 의해 해당 유전좌위의 반복횟수를 알 수 있게 된다. 상염색체의 경우 한쌍으로 되어 있으므로 보통은 2개의 밴드로 나타나며 경우에 따라 같은 위치에 2개의 밴드가 겹쳐지기도 한다.유전좌위의 위치표시부(14)에는 사용된 STR 유전좌위의 위치를 표시하여 어느 유전좌위의 유전정보를 나타낸 것인지를 분명히 알 수 있도록 한다. D16S539의 경우, D는 DNA를, 16은 16번염색체를 가르키며, S는 Single locus로 단일좌위라는 것을 표시하며 539는 위치를 나타낸다. 즉, 16번염색체상 539단일좌위에 있는 DNA라는 뜻이며, DYS385는 Y-염색체에 있는 385단일좌위의 DNA라는 것을 나타낸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특정 사용된 유전자 표시방법을 설명하면, D16S539의 경우 D는 DNA를, 16은 16번염색체를 가르키며, S는 Single locus로 단일좌위라는 것을 표시하며 539는 위치를 나타낸다. 즉, 16번염색체상 539단일좌위에 있는 DNA라는 뜻이며, DYS385는 Y-염색체에 있는 385단일좌위의 DNA라는 것을 나타낸다. 유전좌위의 밴드를 마커와 함께 표시하여 각 개인마다의 고유한 캐릭터를 만들 수 있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식별력을 높이기 위해 가급적 많은 STR유전자를 동시에 분석하고, 모두 같이 표시하여 분석결과들을 한눈에 알아볼 수 있도록 해준다. 이렇게 형상화된 캐릭터에 색이나 음영 등을 부가하면 시각적, 심미적 효과를 보다 크게 할 수 있다.캐릭터물품
본 고안에 따른 유전자 캐릭터들은 그 자체로 개인인식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여러 물품 또는 업무에 적용되어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고안에 따른 개인의 DNA 캐릭터를 열쇠고리, 지갑 등의 소품이나, 목걸이 등의 액세서리, IC 카드 등에 적용했을 경우 불의의 사고시 개인인식수단으로 충분히 활용가능하며, 서적, 명함이나 기타 문서 등에 활용할 경우에는 개인고유의 독특한 사인이나 인감의 역할을 할 수 있고, 색상이나 음영, 모양 등을 변형시켜 디자인적인 요소를 가미하면 개인고유의 캐릭터로서 의상, 액세서리, 각종 휴대품 등에도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연예인 등 유명인의 경우에는 자신만의 고유한 DNA 캐릭터 상품을 개발하여 홍보, 수익 등의 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의해 본 고안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균등범위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본 고안에서는 고유한 개인식별기능을 나타내는 유전자 캐릭터를 제공하며, 본 고안에 따른 캐릭터들은 그 자체로 개인인식수단으로 사용되거나, 필요에 따라 여러 물품 및 업무에 적용되어 개인인식수단, 고유 인감 등과 같은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Claims (2)

  1. 특정인의 개인인식유전자를 형상화한 캐릭터를 포함하는 캐릭터물품에 있어서, 상기 캐릭터는 STR 유전자의 반복횟수표시부(11)와; STR 유전자의 전기영동분석시 함께사용된 마커의 밴드를 표시하는 마커표시부(12)와; 상기 마커의 밴드위치에 맞추어 특정 STR유전좌위의 반복횟수가 밴드로 표시되는 STR 유전좌위 표시부(13)와; 상기 STR유전좌위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표시부(1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인의 개인인식 유전자를 형상화한 캐릭터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은, IC카드, 명함, 열쇠고리, 의류, 액세서리, 지갑, 가방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릭터 물품.
KR2020000034004U 2000-12-05 2000-12-05 특정인의 개인인식유전자를 형상화한 캐릭터물품 KR2002335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4004U KR200233589Y1 (ko) 2000-12-05 2000-12-05 특정인의 개인인식유전자를 형상화한 캐릭터물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4004U KR200233589Y1 (ko) 2000-12-05 2000-12-05 특정인의 개인인식유전자를 형상화한 캐릭터물품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3161A Division KR20020044192A (ko) 2000-12-05 2000-12-05 개인식별기능이 있는 유전자 캐릭터 및 그 제조방법과이를 적용한 물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3589Y1 true KR200233589Y1 (ko) 2001-09-25

Family

ID=73061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4004U KR200233589Y1 (ko) 2000-12-05 2000-12-05 특정인의 개인인식유전자를 형상화한 캐릭터물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358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20549A (ko) * 2004-07-05 2005-12-22 이학록 졸-겔법을 이용한 dna 함유 제품의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4373A (ko) * 1998-06-24 1999-08-05 김필동 Dna를 이용한 제품의 장식방법
KR20000023256A (ko) * 1998-09-23 2000-04-25 정연보 접착성 쉬트로 사람의 표피 dna 샘플을 획득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4373A (ko) * 1998-06-24 1999-08-05 김필동 Dna를 이용한 제품의 장식방법
KR20000023256A (ko) * 1998-09-23 2000-04-25 정연보 접착성 쉬트로 사람의 표피 dna 샘플을 획득하는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20549A (ko) * 2004-07-05 2005-12-22 이학록 졸-겔법을 이용한 dna 함유 제품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eto et al. The random amplification of polymorphic DNA allows the identification of strains and species of schistosome
Mir et al. Deciphering genetic diversity analysis of saffron (Crocus sativus L.) using RAPD and ISSR markers
De La Mettrie et al. Shape variability and classification of human hair: a worldwide approach
Girish et al. Dental DNA fingerprinting in identification of human remains
Crossland et al. Use of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s (RAPDs) in separating two sibling species of-Littorina
Terzopoulos et al. Identification of Olea europaea L. cultivars using inter-simple sequence repeat markers
SE0003286D0 (sv) Method and kit for human identification
Randau et al. The complete set of tRNA species in Nanoarchaeum equitans
CY1107864T1 (el) Φθοριζοντες ανιχνευτες χρωμοσωμικης βαφης
van Vuuren et al. Retrieval of four adaptive lineages in duiker antelope: evidence from mitochondrial DNA sequences and fluorescence in situ hybridization
Hussing et al. Testing of the Illumina® ForenSeq™ kit
KR200233589Y1 (ko) 특정인의 개인인식유전자를 형상화한 캐릭터물품
Tozzo et al. External visible characteristics prediction through SNPs analysis in the forensic setting: a review
KR20020044192A (ko) 개인식별기능이 있는 유전자 캐릭터 및 그 제조방법과이를 적용한 물품
CN106191045B (zh) 用于多重核酸测序的Index和引物
Hashiyada DNA biometrics
Andreeva et al. Genetic Evidence of Authenticity of a Hair Shaft Relic from the Portrait of Tsesarevich Alexei, Son of the Last Russian Emperor
KR100436833B1 (ko) 유전자 정보를 이용한 개인인식표지
Wititsuwannakul et al. Generalized dowling-degos disease
Coimbra-Filho et al. The taxonomic status of Wied's black-tufted-ear marmoset, Callithrix kuhlii (Callitrichidae, Primates)
CN106755396A (zh) 一种用于构建枸杞dna指纹图谱的引物组合以及应用和方法
KR101137640B1 (ko) Dna 정보를 포함한 장신구
Poetsch et al. The impact of mtDNA analysis between positions nt8306 and nt9021 for forensic casework
Borsuk et al. Sequencing of the highly polymorphic STR locus SE33
KR100436832B1 (ko) 미토콘드리아 유전자 정보를 이용한 개인인식표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utility model]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18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