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75544A - 레스토랑 음식 조리라인 - Google Patents

레스토랑 음식 조리라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75544A
KR20000075544A KR1019997007603A KR19997007603A KR20000075544A KR 20000075544 A KR20000075544 A KR 20000075544A KR 1019997007603 A KR1019997007603 A KR 1019997007603A KR 19997007603 A KR19997007603 A KR 19997007603A KR 20000075544 A KR20000075544 A KR 200000755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cooking
line
cooking line
food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76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윈프리릭씨.
로즈에릭엘.
손더즈윌리엄에이.
체른마이카
하이야트도니더블유.시니어
하이야트도니더블유.주니어
Original Assignee
타코 벨 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코 벨 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타코 벨 코퍼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00075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554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10/00Furniture or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ervic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10/00Furniture or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ervic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7F10/06Furniture or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ervic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estaurant service systems

Landscapes

  • Commercial Cooking Devices (AREA)
  • General Preparation And Processing Of Foods (AREA)
  • Devices For Warming Or Keeping Food Or Tableware Ho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음식 조리라인은 일반적으로 U자 형상으로 구성된다. 제1 섹션은 가열 보관실을 제공하며, 제2 섹션은 냉장 보관실을 제공한다. 제1 섹션은 제2 섹션과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배열된다. 제3 섹션이 제2 섹션에 부착되며 통과구역을 가진다. 가열 보관실이 두 개의 액세스 개구를 가져서, 이 보관실이 재보충될 수 있고 두 곳의 상이한 위치로부터 각각 비워질 수 있다.

Description

레스토랑 음식 조리라인 {RESTAURANT FOOD PREPARATION LINE}
간이 음식점을 포함한 레스토랑에서는 음식 조리라인을 채택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예를 들면, 통상적인 음식 조리라인은 여러 개의 작업대를 가진 직선형이다. 종업원은 스타트단(starting end)으로부터 여러 개의 작업대를 통하여 서빙단(serving end)까지 진행시키면서 식사를 조리한다. 서빙단에서, 최종 음식물이 조리되어 서빙되거나 혹은 사가지고 가거나 또는 주문용으로 포장될 수 있다. 따라서, 이들 음식 조리라인은 많은 종업원 및 이에 부수되는 넓은 작업영역을 필요로 한다.
종래의 직선형 음식 조리라인은 여러 가지 단점을 추가로 가지고 있다. 조리라인은 음식물이 보관되어 있는 동안 조리과정에 방해가 된다. 또한, 일반적인 음식 조리라인은 단지 음식을 조리만 하고 이 음식은 다른 곳에서 고객을 위하여 포장된다. 또한, 통상적으로 종업원은 조리라인쪽과 고객을 서빙하는데 사용되는 카운터 공간 사이의 비교적 넓은 거리를 가로질러 음식을 배달해야 한다. 배달 거리가 길면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하여 음식물을 떨어 뜨릴 수 있고, 음식 조리영역을 크게 하거나 좌석을 줄여야 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음식물의 효과적인 조리, 특히 레스토랑에서 사용되는 음식 조리라인 형태의 개선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음식 조리라인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선 A-A의 방향에서 바라 본 조리라인의 제1 섹션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선 B-B의 방향에서 바라 본 조리라인의 제2 섹션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선 C-C의 방향에서 바라 본 조리라인의 제3 섹션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선 D-D의 방향에서 바라 본 조리라인의 모서리 섹션의 정면도이고,
도 6 (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스팀 캐비닛의 측단면도이고,
도 6 (B)는 도어 드립 에지(door drip edge)를 예시하는, 도 6 (A)의 서클 6 (B) 내 영역의 확대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 (A)의 스팀 캐비닛의 배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도 1에 예시된 걸이용 보관시스템인 선반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보관 선반의 훅을 예시하는, 도 8의 서클 9 내 영역의 확대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1의 걸이용 보관시스템의 용기 홀더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용기 홀더의 측면도이고,
도 12는 도 1의 걸이용 보관시스템의 랩 홀더의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의 음식 조리라인의 재료 디스펜서의 측면도이고,
도 14 (A)는 도 13의 재료 디스펜서의 펌프 및 밸브 어셈블리의 측면 일부 확대단면도로서, 펌프가 분배 사이클 중 계량 스트로크 상태인 것을 예시하는 도면이고,
도 14 (B)는 펌프가 분배 사이클 중 공급 스트로크 상태인 펌프 및 밸브 어셈블리를 예시하는 도면이고,
도 15는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음식 조리라인의 평면도이다.
따라서, 소수의 종업원만 필요한 인간공학적 구조의 음식 조리라인이 레스토랑에 필요하다. 또한, 음식물을 조리하는 종업원에게 방해가 되지 않으면서 음식을 계속 공급할 수 있는 음식 조리라인이 필요하다. 음식물을 조리하는 종업원에게는 고객을 위하여 음식물을 용이하게 포장할 수 있는 음식 조리라인이 또한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양태는 제1 섹션 및 제2 섹션으로 이루어지는 음식 조리라인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제2 섹션은 제1 섹션과 직각으로 배열된다. 제3 섹션이 제2 섹션에 근접하여 위치된다. 섹션 중 어느 하나에 가열 음식물 보관실(storage compartment)이 위치되고 섹션 중 다른 하나에 냉각 음식물 보관실이 위치된다. 바람직한 모드에 있어서, 조리라인은 3개의 섹션, 즉 제1 섹션, 제2 섹션 및 제3 섹션에 의하여 U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 및 제3 섹션은 U자 형상 라인의 다리를 형성하는 한편, 제2 섹션은 U자의 바이트(bite)(즉, 사이드 다리 사이에 연장되는 U자 형상 라인의 섹션)를 형성한다. 뜨거운 재료 웰(hot ingredient well)(예를 들어 스팀테이블)이 제1 및 제2 섹션이나 또는 제3 및 제2 섹션 중 어느 하나에 의하여 형성된 모서리에 근접하여 위치된다. 뜨거운 재료 웰은 조리라인의 작업레벨 또는 작업레벨에 근접하여 위치되도록 배열된다. 라인의 제2 섹션 상에 개방된 제품 저장통이 배열된다. 적어도 하나의 주문 디스플레이(order display)가 라인의 대략 눈높이에 위치된다. 주문 디스플레이는 뜨거운 재료 웰에 근접하거나 또는 제품 저장통에 근접한 위치에 배열될 수 있다. 라인의 제3 섹션 상에는 제3 섹션의 외측 말단(즉, 제2 섹션의 말단)에 근접하여 트레이 로우러레이터(tray lowerator)가 위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주문 디스플레이 중 하나는 라인의 제1 섹션에 근접하여 위치되고 다른 주문 디스플레이는 라인의 제3 섹션에 근접하여 위치된다. 이로써 라인 어느 쪽에서든 라인 종업원이 주문 디스플레이를 용이하게 볼 수 있다.
또한, 음식 조리라인은 일반적으로 뜨거운 재료 웰에 근접하는 제1 섹션 상에 배열되는 스팀 캐비닛(steam cabinet)을 포함한다. 스팀 캐비닛과 뜨거운 재료 웰 사이에는 빈 컵 디스펜서(bean cup dispenser)가 위치된다. 핫 캐비닛(hot cabinet)은 조리라인의 제1 섹션 상의 스팀 캐비닛 하측에 일반적으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재료 디스펜서(ingredient dispenser)는 뜨거운 재료 웰에 근접하여 위치되어 각종 뜨거운 음식, 예를 들면 그라운드 비프(ground beef) 및 빈(bean)을 제한없이 분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열 선반(heated shelf)이 재료 디스펜서에 근접하여 위치된다. 가열 선반은 타코 셸(taco shell), 또띠야 셸(tortilla shell) 및 리코 마사계 제품(liko masa-based product)을 포함하는 각종 음식 재료를 제한 없이 보관하는데 적합한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재료 디스펜서의 노즐은 뜨거운 재료 웰 상측에 위치되고, 가열 선반은 재료 디스펜서 노즐의 상측 및 후측에 위치된다. 음식 조리라인의 이 부분은 제1 섹션 및 제2 섹션에 의하여 형성된 모서리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어도 하나의 인디케이터(indicator)가 뜨거운 재료 웰에 근접하여 위치되어 점검시스템(diagnostic system)과 협동하여 뜨거운 재료 웰의 작용을 계속해서 모니터한다. 이 점검시스템의 인디케이터는 오디오 경보(소리 또는 음성 중 어느 하나), 시각적 디스플레이(visual display) 또는 라이트 인디케이터(light indicator)가 바람직하다. 뜨거운 재료 웰 및 인디케이터에 근접하여 뜨거운 재료 웰용의 점검시스템이 위치된다. 점검시스템은 뜨거운 재료 웰(적용가능한 경우) 내의 수위(water level), 가열부재의 기능, 및 자동 충전과정(fill procedure)(적용가능한 경우)을 점검하고, 임의의 이들 부재 또는 임의의 처리에 대한 비정상적인 상태가 감지될 시 인디케이터를 트리거한다.
음식 조리라인은 각 재료 배치(ingredient batch)의 라인 상에 위치해 있는 시간을 재는 타이밍시스템을 포함한다. 측정된 시간이 특정의 재료에 대한 소정 시간에 도달하면, 타이머가 신호를 인디케이터에 보내서 라인 종원업에게 알려 준다. 이와 같이 하여, 재료가 안전기준에 따라 설정된 설정시간보다 더 길게 음식 조리라인 상에 머무르지 않는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음식 조리라인은 예를 들어, 랩(wrap), 용기(container), 상자(box), 및/또는 백(bag)과 같은 포장재료의 보관에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한 걸이용 보관시스템(hanging storage system)을 또한 포함한다: 그러나, 보관시스템은 다른 물건의 보관에도 물론 사용될 수 있다. 걸이용 보관시스템은 조립라인의 제2 섹션 상의 제품통 상측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음식 조리라인은 타코 레일(taco rail)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타코 레일은 라인의 제2 섹션 상의 제품통 전방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타코 레일 하측에 쓰레기통(waste container)을 위치시켜 제품통 및 타코 레일에 근접하여 쌓인 쓰레기를 수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음식 조리라인 내에는 여러 개의 추가적인 특징부가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조리라인은 스플릿 리드(split lid)를 가진 개선된 퀘사딜라 보온기(quesadilla warmer)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플릿 리드는 하나의 리드를 통하여 보온기에 액세스할 수 있는 반면, 제2 리드는 폐쇄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효율 및 보온기의 용량이 종래의 보온기에 비하여 개선된다.
또한, 라인의 제3 섹션은 트레이 디스펜서(tray dispenser)에 근접하여 위치되는 포장 보관실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백 개봉장치는 백을 개봉하는데 사용되고, 포장 보관실 및 트레이 디스펜서에 근접하여 라인 상에 위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있어서, 스팀흐름의 외측에 위치된 팬 유닛(fan unit)을 가진 스팀 캐비닛(steam cabinet)에 대하여 개시되어 있다. 스팀 체임버는 복수의 측판에 의하여 형성된다. 스팀 체임버의 한쪽은 체임버의 개방 섹션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공기 층류(laminar air flow)에 의하여 형성되어 에어커튼(air curtain)이 형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스팀 캐비닛은 체임버의 개방쪽을 부분적으로 가로질러 연장되는 자동식 문(swinging door)을 또한 포함한다. 자동식 문의 저면 에지는 그 전체길이를 통하여 공기 층류와 접촉된다. 히터가 스팀 체임버 내의 상면 상에 위치된다. 히터가 충분한 열을 배출하여 스팀 체임버 내의 상면 상에 응축(condensation)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한다. 배기시스템(exhaust system)이 스팀 체임버의 상면 상의 히터 상측에 위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있어서, 소정량의 음식 재료를 펌핑하는 재료 디스펜서에 대하여 개시한다. 재료 디스펜서는 충분한 재료를 지지하여 일정 시간 동안 음식 조리라인에 충분하게 공급하는 호퍼(hopper)를 포함한다. 호퍼는 재료를 호퍼로부터 계량된 양으로 끌어내는 정량 배분 펌프장치(positive displacement pump device)에 연결된다. 정량 배분 펌프장치는 끌어낸 재료 부분을 음식 조리라인 상의 별도 노즐을 통하여 더 끌어내어 재료를 분배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정량 배분 펌프는 피스톤형 펌프이며 2위치 밸브(two-position valve)로 동작한다. 밸브는 호퍼와 연통하는 입구 포트, 노즐과 연통하는 출구 포트, 및 펌프가 연결되는 포트를 가진 체임버를 포함한다. 밸브부재가 체임버 내에서 이동하여 펌프를 호퍼 및 분배 노즐과 선택적으로 연결한다. 재료를 호퍼로부터 끌어내기 위하여, 밸브부재가 펌프를 호퍼에 연결하는 위치로 이동(예를 들면, 회전)하여 노즐과의 연결을 폐쇄한다. 펌프의 피스톤이 밸브로부터 이동하여 재료를 호퍼로부터 끌어낸다. 피스톤의 이동 정도가 끌어내는 재료의 체적에 비례하여 분배될 재료의 양을 계량한다. 다음에, 밸브부재는 펌프가 노즐에 연결되어 있는 위치로 이동한다. 이 위치에서 밸브부재가 호퍼와 펌프 사이의 연결을 페쇄한다. 다음에, 노즐을 통하여 재료를 끌어내도록 펌프가 밸브를 향하여 이동한다. 또한, 피스톤의 이동 정도가 분배된 재료량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있어서, 랩 보관시스템에 대하여 개시한다. 시스템은 선반을 매달리게 하는 부착수단(attachment means)을 가진 걸이형 모듈식 선반(hanging modular shelves)을 포함한다. 선반 내에는 이동가능한 랩 용기 및 상자 디스펜서가 위치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선반은 측판의 상측 에지에 위치된 훅(hook)을 가진다. 훅은 음식 조리라인을 따라 연장되는 로드(rod)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선반은 또한 각종 크기 및 형태의 랩 용기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랩 용기 내에는 각종 메뉴 제품용 제품 포장지 상자가 있다. 선반의 저면 패널 내측을 따라 절단된 길다란 슬롯이 랩 용기 상의 길다란 플랜지를 수용한다. 랩 용기 상의 길다란 플랜지는 선반의 슬롯 내에 경사져서 끼워진다. 선반은 음식 조리라인을 따라 임의의 포인트에 장착된 로드 상에 매달린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두 개의 부분을 가진 음식 조리라인을 포함한다. 제1 부분은 제2 부분과 접한다. 제1 부분은 종업원 한 사람의 팔길이 내에 위치되는 온열기 및 히터장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부분은 가열장치 근처에 위치되는 부속 용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부분은 포장 디스펜서를 포함한다. 부속 용기 및 포장 디스펜서는 각각 약 6피트 이내에 위치되어 종업원 한 사람의 팔길이 이내로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후술하는 설명으로부터 명백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특징은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고 단지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두 가지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음식 조리라인(1)을 예시한다. 조리라인(1)은 서비스의 속도(즉, 개별 음식 조리시간의 단축)를 개선하는 한편, 조리라인 상의 종업원 수를 줄일 뿐만 아니라 유사 제품간의 재료 부분의 일관성을 개선하도록 설계된다. 특히, 본 발명의 음식 조리라인은 "퀵-서비스(quick-service)" 레스토랑 환경에서 두 명의 종업원이 적어도 세 명의 작업을 효율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다. 또한, 조리라인(1)은 라인의 각종 구성품 중 어떤 오작동(malfunction)도 표시되도록 셀프 모니터된다는 것이 장점이다. 또한, 조리라인은 신선도를 위해 재료가 라인 상에 유지되는 시간을 측정한다. 따라서 조리라인(1)은 "퀵-서비스" 레스토랑에 특히 유용하다. 따라서, 조리라인(1)은 예를 들어, 타코 벨(Taco Bell ) 레스토랑과 같은 퀵-서비스 멕시칸-앙트레(mexican-entree) 레스토랑과 관련시켜 예시 및 설명한다. 그러나, 당업자는 이 조리라인(1)을 다른 유형의 음식 조리시설 또는 레스토랑에 사용하기 위하여 용이하게 변형시킬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바람직한 U자 형상의 음식 조리라인(1)을 예시한다. 이를 위하여, 조립라인(1)은 U자 형상을 형성하도록 배열된 제1 섹션(3), 제2 섹션(5), 및 제3 섹션(7)을 포함한다. 제2 섹션(5)은 제1 및 제3 섹션(3, 7)의 대응 단부 사이에 연장되는 한편, 제1 및 제3 섹션은 일반적으로 상호 평행으로 연장된다. 각 섹션(3, 7)은 외측 단부(2, 52)에서 종료된다. 그러나, 별개의 섹션(3, 5, 7)에 의하여 형성된 라인(1)의 모듈식 모양으로 인하여 라인을 다른 구성으로 배열할 수 있다. 라인(1)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및 제3 섹션(3, 7)을 상호 평행으로 하고 제2 섹션을 다른 섹션(3, 7)과 직각으로 구성하여 완전한 U자 형상으로 형성시킬 필요는 없다.
가열 보관실이 조리라인의 제2 섹션을 따라 제공된다. 가열 보관실은 음식물을 높은 온도로 유지하도록 설계된 임의 개수의 장치일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가열 보관실은 스팀 캐비닛(100)이거나 가열 캐비닛(14)일 수 있다. 당업자는 가열 보관실이 둥근빵 보온기(bun warmer), 핫 플레이트(hot plate) 또는 다른 유사한 기구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가열장치가 조리라인을 따라 제공된다. 예시된 실시예의 가열장치는 스팀 테이블(20)이다. 가열장치는 음식을 높은 온도로 유지하거나 또는 음식 조리라인을 따라 준비된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다. 당업자는 가열장치가 오븐(oven), 그릴(grill), 레인지 탑(range top), 핫 플레이트 또는 다른 유사한 장치라는 것을 쉽게 알 것이다.
냉각 보관실이 조리라인의 제2 섹션을 따라 제공된다. 냉각 보관실은 음식물을 실온 이하의 온도로 유지하도록 설계된 임의 개수의 장치일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냉각 보관실은 개방된 제품통(32)이거나 또는 냉장고(38)일 수 있다. 당업자는 냉각 보관실이 쿨 레일(cool rail), 아이스 체스트(ice chest) 또는 다른 유사한 장치도 포함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각 섹션에 공통인 바와 같이, 시료대(counter top)(17, 34, 47)가 제1, 제2 및 제3 섹션(3, 5, 7)의 길이 각각을 따라서 대략 허리 높이(예를 들면, 2 1/2 내지 4피트 높이)로 연장된다. 시료대(17, 34, 47)의 에지는 물론 선반 및 캐비닛의 에지를 따라서, 복수의 장착 스터드(mounting stud)(19)(도 2 참조)가 위치될 수 있다. 장착 스터드(19)는 중앙 대 중앙이 8피트 간격으로 이격되고, 각종의 이동가능 라인 구성품, 예를 들면 제거가능 선반, 디스펜서 및 보관장치에 형성된 열쇠고리(key holder)와 협동하는 형상이 바람직하다.
이 라인을 따라, 라인(1)은 시료대 중 하나의 측면 에지에 부착된 하나 이상의 제거가능 선반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예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제거가능한 경사진 선반(42)이 제2 및 제3 섹션(5, 7) 사이의 모서리(11)에 위치된다. 경사진 선반(42)은, 시료대(34, 47)와 함께, 조리라인(1)의 표면 레벨에 위치되어 음식물이 포장되기 전에 선반 위에 세트될 수 있다. 경사진 선반(42)은 장착 스터드(19)와 협동하는 선반의 측면 에지를 따라 형성된 복수의 열쇠 구멍을 포함하여 선반(42)을 제2 및 제3 섹션(5, 7)에 릴리스가능하게 부착한다.
제2의 제거가능한 경사진 선반(43)은 제1 및 제2 섹션(3, 5) 사이의 모서리(9)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사진 선반(43)은 표면 레벨에 위치되고 장착 스터드(19)를 사용하여 섹션(3, 5)에 릴리스가능하게 부착된다.
도 1 및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1 섹션(3)은 섹션(3)의 외측 단부(2)에 근접한 스팀 캐비닛(100)을 포함한다. 여러 가지 음식물 조리는 또띠야로 먼저 시작하기 때문에, 스팀 캐비닛이 조리라인(1)의 개시 포인트에 배열된다. 도 1 및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스팀 캐비닛(100)은 제1 섹션(3)의 시료대(17) 상측의 선반 상에 놓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술하게 될 스팀 캐비닛(100)은 반쯤 둘러싸인(semi-enclosed) 스팀 체임버를 가진다. 예시적인 적용에 있어서, 스팀 캐비닛(100)은 밀가루 또띠야를 보관하고 음식물을 조리하는 동안 사용 중에 이들을 보온상태로 유지한다. 이를 위하여, 스팀 캐비닛은 스팀 체임버 내에 90-100%의 습도를 제공하고 120-140°F 사이 범위의 온도를 체임버 내에 유지한다.
스템 체임버는 사용시간이 연장되는 도중에 재보충이 필요하지 않도록 크기가 충분한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공급량은 3시간의 점심시간 동안 임의의 추가적인 보충이 필요하지 않도록 충분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스팀 체임버는 직경 10.5인치의 또띠야 192개 및 직경 6.5인치의 또띠야 288개를 지지하는 크기의 선반 4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팀 캐비닛(100)은 스팀 체임버 내로 바로 개방되는 개방면을 가진다. 에어커튼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스팀을 체임버 내에 유지시킨다. 개방면으로 인하여 계속해서 개방할 필요는 없고 또띠야를 집을 때는 앞문을 폐쇄한다.
또한, 스팀 캐비닛(100)은 스팀 체임버 내로 바로 개방되는 후문을 포함한다. 스팀 체임버에 후측에서 액세스할 수 있으므로, 조리라인(1) 상의 종업원의 작업을 방해하지 않고 또띠야를 스팀 캐비닛(100) 내에 넣을 수 있다.
스팀 캐비닛(100) 바로 하측에 랩 보관대(12)가 있다. 이 위치에서, 종업원이 또띠야를 스팀 캐비닛(100)으로부터 랩(즉, 종이 및/또는 호일시트) 상에 바로 위치시킨다.
랩 보관대(12)는 랩을 평탄하게 지지하는 크기인 복수의 층으로 된 칸을 포함한다. 이러한 설계로 인하여 랩을 용이하게 서로 식별하고, 용이하게 액세스하며 용이하게 잡을 수 있다. 손가락 구멍을 또한 제공하여 상기 잡는 것을 더 보조한다. 보관대는 3시간 동안의 러시아워에 사용할 수 있는 충분한 양의 랩을 지지하는데 적합한 크기의 적어도 6개의 칸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관대(12)는 이 보관대(12) 상에 위치되는 스팀 캐비닛(100)과 함께 시료대(17) 상측에 위치된다. 보관대(12) 전방의 시료대(17)가 음식물을 조리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팀 캐비닛(100)으로부터 들어낸 밀가루 또띠야를 시료대(17) 상에서 조리를 개시할 수 있다.
가열 캐비닛(14)은 랩 보관대(12) 바로 하측 위치의 라인 제1 섹션 상에 위치된다. 가열 캐비닛(14)은 재료를 라인 상에 위치시키기 전에 소정량의 재료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재료량은 사용기간이 연장되는 동안 재보충이 필요하지 않도록 충분한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공급량이 충분하여야 3시간의 점심시간 동안 추가 공급이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는 절반 높이의 가열 캐비닛(14)이 사용된다. 캐비닛(14)은 라인 종업원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후측으로부터 넣을 수 있도록 앞문 및 후문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합한 가열 캐비닛(14)으로는 캘리포니아주 치노 소재 베블즈사(Bevles, of Chino, California)의 제품이 있다.
스팀 캐비닛(100)에 인접하여 빈 컵 디스펜서(16)가 위치된다. 예시된 실시에에 있어서, 빈 컵 디스펜서(16)가 열쇠 구멍 슬롯을 가진 스팀 캐비닛에 부착되어 디스펜서(16)가 이동할 수 있다. 빈 컵 디스펜서(16)는 소정량의 컵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엔클로우즈된 위생 체임버이다. 이를 위하여 여러 가지 임의의 종래의 컵 디스펜서가 사용될 수 있다. 적합한 컵 디스펜서로는 일리노이주 애디슨 소재 안툰즈사(Antunes, of Addison, Illinois)의 제품이 있다. 또한, 빈 컵 디스펜서(16)는 강낭콩(pinto bean)이 아닌 제품용 컵을 보관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면, 여분의 레드 소스(red sauce), 나초 치즈(nacho cheese), 미트(meat), 또는 다른 음식물을 컵에 담을 수 있다. 따라서, 라인(1)은 이 위치 또는 이 위치에 근접하여 하나 이상의 컵 디스펜서를 포함할 수 있다.
컵 디스펜서(16)는 이 디스펜서(16)를 따라 수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장착 스터드(19)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종이 랩 디스펜서(45)(예를 들면, 소프트 타코 랩 디스펜서)가 디스펜서(16)의 측면에 제거가능하게 부착되어 라인 종업원이 용이하게 액세스할 수 있다.
빈 컵 디스펜서(16)의 하측이 일반적으로 편평한 작업 시료대(17)의 섹션이다. 또한, 이 공간이 음식 조리면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물 여과시스템(18)이 빈 컵 디스펜서(16) 및 시료대(17) 하측에 위치된다. 여과시스템이 라인 상의 스팀 웰(20)에 사용되는 물을 여과 및 조절한다.
스팀 테이블이 예시된 실시예의 라인(1)의 제1 및 제2 섹션 사이에 형성된 모서리에 위치된다.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스팀 테이블(20)이 시료대(17)의 표면 레벨에 위치되어 음식이 신속하고 원활하게 서빙될 수 있다. 스팀 테이블(20)은 가열부재에 의하여 가열된 고온 수조를 지지한다. 예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스팀 테이블(20)은 3개의 풀사이즈 칸을 포함한다. 각각의 칸은 20 암페어 가열부재에 의하여 가열된다. 라인이 스팀 테이블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드롭-인 드라이 핫 웰 시스템(drop-in dry hot well system) 또한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한다. 또한, 당업자가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스팀 테이블은 그릴 또는 다른 조리면(cooking surface)으로도 대체될 수 있다.
각종의 음식 재료를 지지하는 팬(pan)이 스팀 테이블(20)에 위치된다. 스팀 테이블(20)은 각종 크기의 팬을 수용할 수 있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면, 3개의 1/3 팬이, 18개의 1/6 팬 및 27개의 1/9 팬과 같이, 스팀 테이블(20)의 각각의 칸 내에 끼워질 수 있다. 팬은 따뜻한 온도로 유지될 필요가 있는 재료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추가의 미트, 빈 및 레드 소스가 스팀 테이블(20)의 팬에 보관된다. 이들 재료 외에, 그린 소스, 나초 치즈 및 칠리는 물론 다른 재료도 스팀 테이블(20)내의 팬에 보관된다.
도 1 및 도 3은 모서리(9) 및 스팀 웰(20)에 인접한 제2 섹션 상에 위치된 스팀 웰 디지털 제어패널(26)을 예시한다. 스팀 테이블을 가지는 적용에 있어서, 스팀 테이블(20)의 수위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면 레벨(34) 하측의 제2 섹션 상에 위치된 디지털 제어시스템(28)에 의하여 제어된다. 디지털 제어시스템(28)은, 스팀 테이블의 프로브를 사용함으로써, 물 충전 시스템(water fill system)(18)(도 1 참조)을 동작시킨 다음 물을 스팀 테이블(20)에 가한다. 라인을 청소할 때 수동 드레인을 사용하여 스팀 웰로부터 배수시킨다. 충전 작업 후 수위가 소정 레벨 이하로 떨어져 유지되는 경우(라인 종업원이 수동 드레인을 개방된 채로 내버려 둔 경우일 수 있음), 디지털 제어시스템(28)은 이러한 비정상 상태를 라인 종업원에게 알리고, 문제가 지속되는 경우 가열부재를 오프시킨다.
또한, 디지털 제어시스템(28)은 스팀 테이블(20) 내 가열부재의 상태를 모니터하여 그들의 정상적인 동작을 확보한다. 본 발명의 스팀 테이블(20)을 제어하는데 적합한 것으로 판명된 디지털 제어시스템(28)은 캘리포니아주 알리소 비아조 소재 디지털 나이트사(Digital Knights of Aliso Viajo, California)에서 시판 중인 제품이다.
디지털 컨트롤(28) 상측에 인디케이터(26)가 있다. 인디케이터(26)는 라이트, 오디오 경보(음성 또는 비음성), 또는 시각적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인디케이터(26)는 스팀 테이블(20) 내 수위 및 물 온도의 점검 변화(diagnostic change)를 표시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문 디스플레이(22) 상측에는, 음식의 신선도를 위하여, 음식 재료가 대기 중에 노출 또는 개방된 시간을 모니터하는 타이머(21)가 있다. 타이머(21)는 상이한 재료로 각각 지정된 21개의 채널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타이머(21)는 각각의 환경에 놓인 21개의 재료까지 시간을 모니터할 수 있다. 타이머(21)는 각각의 재료가 자신의 특정 환경에 안전하게 유지될 수 있는 최대 시간으로부터 계산한다. 바람직한 타이머(21)는 이 소정시간으로부터 영을 향하여 계산한다. 타이머(21)가 특정의 재료에 대하여 영으로 계산할 때, 타이머(21)가 재료의 노출시간이 지났음을 표시하고, 라인 종업원이 재료를 새로운 재료로 교체한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세하게 후술할 재료 디스펜서(120)가 제1 및 제2 섹션(3, 5) 사이의 모서리(9) 내 스팀 테이블 후측에 위치된다. 재료 디스펜서(120)는 용이한 액세스를 위하여 스팀 테이블(20) 상측에 배열된 노즐(126)을 포함한다. 재료 디스펜서는 작동될 때 소정량의 재료를 정확하게 펌핑할 뿐만 아니라 손으로 하는 것보다 훨씬 신속하게 재료를 분배한다.
이를 위하여, 재료 디스펜서 유닛(120)은 정량 분배펌프를 포함하여 음식 재료를 정확한 소정 부분으로 분배한다. 재료 디스펜서(120)는 여러 가지의 상이한 재료를 분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리프라이드 빈(refried bean), 그라운드 빈(ground bean) 및 레드 소스가 재료 분배 유닛(120)을 통하여 분배될 수 있다. 각각의 음식 재료는 자신의 별도 재료 디스펜서가 필요할 수 있다.
도 1 및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1 섹션(3)과 제2 섹션(5)이 결합되어 형성된 모서리(9)에는 가열 선반(24)이 있다. 가열 선반(24)은 하나 이상의 램프에 의하여 가열되며, 재료 분배 유닛(120) 상측에 대략 눈높이로 위치되어 소정량의 재료를 보관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재료량은 사용시간이 연장되는 동안에 재보충이 필요하지 않도록 충분한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공급량은 3시간의 점심식사 시간 동안 임의의 추가 보충이 필요하지 않도록 충분한 것이 바람직하다. 예시적인 적용에 있어서, 가열 선반(24)은 타코 셸(taco shell), 또스타다 셸(tostada shell), 나초(nacho) 및 바삭바삭하게 유지할 필요가 없는 다른 음식물과 같은 재료를 보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재료는 소정의 따뜻한 온도로 유지된다.
도 2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문 디스플레이(22)는 가열 선반(24)의 하측을 대면하는 후측 상의 스팀 테이블의 상측에 위치된다. 라인 종업원은 디스플레이로부터 주문을 용이하게 판독하여 제품조리를 협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2)는 버지니아주 윈체스터 소재 데이터룩스사(Datalux, of Winchester, Virginia)에서 시판하고 있는 유형과 같은 편평한 스크린을 사용하여 라인 상의 공간을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부재료 디스펜서(27)가 디지털 제어패널(28) 상측에 위치된다. 재료 디스펜서(27)는 라인 종업원이 예를 들면, 사우어 크림(sour cream), 구아카몰(guacamole) 및/또는 비프(beef)와 같은 재료를 제한없이 정량을 분배할 수 있다. 또한, 재료 디스펜서(27)에 용이하게 액세스할 수 있으므로 음식물이 조리될 수 있는 속도가 증가된다. 음식 조리라인(1)에 적합한 것으로 판명된 재료 디스펜서는 루이지애나주 슈레브포트 소재 프라이마스터사(Frymaster of Shreveport, Louisiana)에서 시판 중인 디스펜서이다.
랩 보관대는 부재료 디스펜서(27)와 제어패널(28) 사이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관대는 가열 선반(42), 재료 디스펜서(120, 27) 및 스팀 테이블(20)에 근접하여 위치되는 것이 편리하다.
제2 섹션(5) 상에는 부재료 디스펜서(27)에 인접하여 치즈 용해장치(cheese melter)(32)가 위치된다. 치즈 용해장치(32)는 시료대(34) 상측에 연장되는 선반(51) 상에 위치된다. 치즈 용해장치(32)는 뜨거운 스팀열을 사용하여 일부 제품 상에 치즈를 용해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여과수 공급소스(source of filtered water)가 치즈 용해장치(32)에 연결된다.
제3 섹션(7)의 카운터(47) 상에 퀘사딜러 보온기(quesadilla warmer)(53)가 위치된다. 퀘사딜러 보온기(53)는 두 개의 독립된 리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퀘사딜러 보온기(53)는 한 쌍의 리드를 가져서 퀘사딜러 보온기(53)의 한쪽 리드는 폐쇄상태를 유지하는 한편, 다른 리드는 개방되어 제품을 보온기(53) 내에 삽입하거나 또는 보온기로부터 제거시킨다. 이런 구성으로 라인 종업원이 퀘사딜러를 하나의 리드를 거쳐 퀘사딜러 보온기(53) 내에 위치시키는 한편, 다른 퀘사딜러는 이미 퀘사딜러 보온기(53) 내부에 위치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라인 종업원이 제1 사이클을 대기하지 않고 제2 퀘사딜러를 조리하여 완성시킬 수 있다. 즉, 스플릿 리드로 인하여 퀘사딜러 보온기(53)가 하나의 공간 내에 두 개의 퀘사딜러 보온기(53)와 같이 필연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스플릿 리드는 개선하지 않고, 퀘사딜러 보온기(53)로서 적합한 것으로 판명된 보온기는 미주리주 세인트 루이스 소재 스타 매뉴팩추어링사(Star Manufacturing of St. Louis, Missouri)에서 제조한 보온기이다.
도 1 및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품통(36)이 제2 섹션(5) 상의 치즈 보온기(33) 하측에 위치된다. 제품통(36)은 소정량의 제품을 수용하여 보관한다. 통(36) 및 온-라인 냉장고(38) 내에 보관된 제품량을 충분하게 하여 사용 시간이 연장되는 동안에도 재보충을 필요하지 않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공급량이 충분하여 3시간의 점심식사 시간 동안 재보충이 필요하지 않게 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제품통(36)은 음식 재료가 재료 디스펜서9120) 또는 스팀 테이블(20)로부터 조리라인(1)을 따라서 진행할 때 음식 재료에 첨가될 각종 제품을 지지한다. 예를 들면, 상치, 토마토, 올리브는 물론 치즈 및 사우어 크림과 같은 부재료가 조리라인(1)의 제2 섹션(5)으로 진행하는 음식에 가해진다. 제품통(36)은 5개의 1/3 팬 및 5개의 1/6 팬을 지지하고 이어서 제품을 보관할 수 있다. 제품통은 미시건주 마운트 플레전트 소재 델리필드사(Delifield Co. of Mount Pleasant, Michigan)에서 제조된 블루밍턴 레일(Bloomington Rail)에 근접하여 위치될 수 있다.
도 1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품통(36) 상측에는 랩 보관시스템(150)이 위치된다. 상세하게 후술할 랩 보관시스템(150)은 소정량의 제품 포장을 수용하는 구성이다. 랩 보관시스템(150)은 조리라인(1)에 걸려서 용기를 보관하고 다시 최종 제품을 싸는데 사용되는 제품 포장을 지지하여 고객에게 공급된다. 랩 보관시스템(150)의 모듈식 모양으로 인하여 음식 조리라인(1)을 따라 어디서나 걸릴 수 있다. 이렇게 선택적으로 위치시킬 수 있으므로 제품 포장에 용이하게 액세스할 수 있다는 것이 유리하다.
도 3의 제품통(36)의 전방에는 타코 레일(40)이 위치된다. 타코 레일(40)은 시료대(34) 상에 위치되며 타코를 수용하여 이들 타코를 직립위치에 유지시키는 형상이다. 타코 레일(40)은 미트 및/또는 빈이 이미 들어있는 타코를 직립위치로 위치시켜 종업원이 타코의 티핑(tipping) 및 스필링(spilling)없이 타코 상에 제품을 넣을 수 있다. 따라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타코 레일은 스팀 테이블과 조리라인의 제3 섹션 사이에 연장된다.
시료대(34) 및 타코 레일(40)의 하측에 근접하여 쓰레기통(30)이 위치된다. 쓰레기통(30)에 인접하여 제품통(36)의 하측에 다른 쓰레기통(31)이 위치된다. 음식 조리 도중에 음식물로부터 떨어져서 시료대(34) 또는 타코 레일(40) 상에 자리한 제품을 쓰레기통(30, 31)으로 용이하게 치울 수 있어서 조리라인(1)의 청결상태 유지를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도에 적합한 것으로 판명된 쓰레기통(30, 31)은 버지니아주 윈체스터 소재 러버메이드사(Rubbermaid of Winchester, Virginia)의 시판되는 제품이다.
쓰레기통(31)의 하측에는 이중 냉장고(38)가 위치되어 냉장 제품을 보관한다. 이중 냉장고는 일반적으로 플로어 레벨에 위치된다. 이 위치의 두 대의 냉장고(38) 사용으로 보관 용량이 증가된다. 예를 들면, 이중 냉장고(38)는 3시간의 피크시간 동안 음식 조리라인(1)에 충분한 양인 6개의 팬(또는 18개의 1/3 팬)을 지지한다.
도 4는 제2 섹션(5) 및 제3 섹션(7)에 의하여 형성된 모서리(11)에 근접하여 위치된 모니터(50)를 예시한다. 모니터(50)는 제3 섹션(7)을 따라 대략 눈높이로 연장되는 선반(41) 상에 위치된다. 모니터(50)는 드라이브-스루 윈도우(drive-through window)으로부터의 주문을 표시한다. 음식물이 재료 디스펜서(120)로부터 제품통(36)으로 조리라인(1)으로 계속해서 떨어질 때, 라인 종업원은 모니터(50)를 참조하여 어느 주문을 드라이브-스루 윈도우용으로 준비할 것인 가를 결정한다. 드라이브-스루 주문이 준비되었을 때, 이들은 통과구역(49)을 통하여 드라이브-스루 윈도우를 담당하는 종업원에게 전달된다.
제3 섹션 상에 주문 디스플레이(50)에 인접하여 랩 보관시스템(150)이 위치된다. 상세하게 후술할 랩 보관시스템(150)은 소정량의 제품 포장을 수용하는 구성이다. 랩 보관시스템(150)은 상이한 음식물에 대응하는 제품 포장을 지지한다. 랩 보관시스템(150)은 포장에 용이한 액세스를 제공하여 음식 조리를 더 신속하게 한다. 또한, 랩 보관시스템(150)은 조리라인(1)을 따라 어느 위치에도 제거가능하게 장착되는 모듈식이다.
백 오프너(bag opener)(48)가 제3 섹션(7)상의 랩 보관시스템(15)에 인접하여 위치될 수 있다. 백 하나가 제거될 때, 다음 백이 자동적으로 개봉된다. 백을 부분적으로 개봉한 상태로, 종업원은 포장 제품을 백에 보다 신속하게 담을 수 있다. 이로써 전체 조리라인(1)의 제품 플로우가 향상된다. 또한, 백 오프너(48)는 130 #4 및 110 #6 백을 지지할 수 있을 만큼 큰 용량을 가진다. 이 공급량이 충분하여 3시간의 점심시간 피크 동안에 백 오프너(48)를 재보충할 필요가 없다.
제3 섹션(7) 상의 조리라인(1)의 말단에는 트레이 디스펜서(46)가 위치된다. 트레이 디스펜서(46)는 포개진 트레이를 하측 레벨 캐비닛 내에 보관하고 이 트레이를 시료대(47)의 애퍼춰(aperture)를 통하여 분배한다. 트레이를 캐비닛에 위치시킴으로써, 디스펜서(46)에 충분한 양의 트레이를 쌓을 수 있어서 디스펜서(46)를 자주 보충할 필요가 없다. 포장된 음식물은, 사가지고 가는 주문(carry-out order)용의 백에 담기지 않은 경우 트레이 상에 위치시켜 고객에게 전달된다. 예시된 실시예는 트레이 로우어레이터를 사용한다.
제3 섹션(7)의 말단의 트레이 디스펜서(46)에 근접하여 싱크(hand sink)(45) 및 소독기(sanitizer)(45a)가 위치된다. 싱크(45)에는 수도물을 사용하고 싱크(45)의 내면 바닥에는 드레인이 위치된다. 조리라인(1)으로 들어가는 라인 종업원은 싱크(45)를 사용하여 그들의 손을 씻고 음식 조리라인(1) 상의 청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라인 종업원이 음식 조리라인에서 나올 때 종업원은 싱크(45)에서 그들의 손을 씻을 수 있다. 또한, 라인 종업원이 음식 조리라인(1) 상에 제품을 조리할 때, 라인 종업원의 손에 묻는 어떤 재료도 신속하게 씻겨질 수 있다. 싱크(45)가 있으므로 라인 종업원이 그들의 손을 편리하고 신속하게 씻을 수 있어서 음식 조리라인(10)을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다.
소독기(45a)는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싱크(45)에 인접하여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독기에는 드레인이 제공되며 싱크와 결합된 수도꼭지(faucet)를 사용하여 채울 수 없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 시에, 소독기는 세제(cleaning solution) 및 수건을 지지한다. 세제는 병으로부터 바로 붓거나 또는 싱크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사용하여 희석시킬 수 있다. 소독기에는 수도꼭지가 제공되지 않아서 세제가 부주의로 인해 희석될 가능성이 없다.
제2 섹션(5)과 제3 섹션(7)에 의하여 형성된 모서리(11)에는 도시되지 않은 금전 등록기가 위치된다. 금전 등록기는 음식 조리라인(1)의 라인 종업원으로부터 떨어져서 드라이브-스루 윈도우를 향하고 있다. 등록기는 통과구역(49)을 통하여 드라이브-스루 윈도우를 담당하는 종업원에게 액세스가능하다. 등록기의 위치는 드라이브-스루 윈도우를 담당하는 종업원이 주문을 편리하게 입력하고 동일 위치에서 준비된 제품을 픽업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서리(11)의 표면 레벨 하측에는 냉장고(38)가 위치된다(도 4 참조). 냉장고(38)는 조리라인(1)의 후측으로부터 액세스가능하다. 냉장고는 후측으로부터 액세스가능함으로 드라이브-스루 윈도우를 담당하는 종업원이 액세스할 수 있다. 따라서, 드라이브-스루 담당 종업원은 조리라인(1)을 돌아 냉장고(38)로 걸어가서 밀크, 쥬스 및 다른 냉장 제품을 꺼낼 필요가 없다. 오히려, 이들 제품을 후측 액세스 냉장고(38)에 보관시켜 제3 섹션(7) 후측으로부터 액세스할 수 있다.
전술한 조리라인(1)은 단지 소수의 종업원이 라인을 취급할 수 있는 크기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라인(1)은 대략 12피트 X 6피트의 발자국(foot-print)을 갖도록 형성되고, 두 명의 라인 종업원이 주문 식사를 효과적으로 준비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리라인의 두 곳의 내측 모서리에 위치되는 종업원의 팔길이가 전체 조리라인을 커버한다. 따라서, 두 명의 종업원이 비교적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여 음식 조리라인을 따라 각각의 작업을 완료할 수 있다. 라인 종업원의 수를 줄임으로써 인건비가 물론 절감된다. 제품 냉장고, 가열 캐비닛 및 포장 보관대 내의 온라인 보관 용량이 증가됨으로써, 예를 들어 3시간의 점심식사 피크 동안 라인 상에 재보충할 필요가 없어진다. 따라서, 풀타임 스톡 또는 프렙 인원(full time stock or prep person)을 채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인건비가 더 절감된다.
인건비가 줄어드는 외에, 라인(1) 배열은 음식 조리흐름을 또한 향상시킨다. 즉, 조리는 라인을 따라 보다 일관성있는 방식으로 처리된다. 레스토랑의 서비스 속도가 바람직하게 빨라진다.
여러 가지 라인 구성품의 모듈식 모양으로 인하여 레스토랑의 음식 메뉴 변경을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다. 신제품의 특정 재료 및 포장이 조리라인의 전체적인 배열에 용이하게 일체로 될 수 있다.
다음에, 전술한 음식 조리라인(1)의 스팀 캐비닛(100), 걸이용 보관시스템(150) 및 재료 분배시스템(120)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 (A)는 스팀 캐비닛(100)을 예시한다. 스팀 체임버(114)는 스팀 캐비닛(100)의 벽에 의하여 일반적으로 형성된다. 팬 유닛(102)이 스팀 체임버(114) 내의 스팀플로우 외측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팬 유닛(102)에 인접하여 가열부재(104)가 위치된다. 공기 층류 통로(106)가 스팀 캐비닛(100)의 바닥을 따라 그 내부에 연장된다. 에어플로우 통로(106)는 스팀 캐비닛(100)의 측면을 따라 부분적으로 더 연장된다. 에어커튼(110)이 스팀 체임버(114)의 측면에 형성된다. 에어커튼(110) 상측 및 이에 인접하여 스팀 캐비닛(100)의 개방된 측면을 따라 부분적으로 아래로 연장되는 자동식 문(112)이 위치된다. 배기시스템(116)이 스팀 체임버(114)의 상측에 위치된다. 배기시스템(116)은 수동 날개(manual vane)(111)를 포함한다(도 2 참조). 배기시스템(116)의 바로 하측에, 가열부재(118)가 스팀 체임버(114)의 상측에 위치된다. 스팀 체임버(114) 내에는 선반 유닛(113)이 위치된다. 스팀 체임버(114)의 후측 패널(115)은 문이다.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잠금장치(latching mechanism)(119)가 후측 액세스 문(115)에 장착된다.
가열될 밀가루 또띠야 또는 다른 음식 재료가 선반 유닛(113) 상의 스팀 체임버(114) 내에 위치된다. 캐비닛은 소정량의 또띠야를 지지하는 구성이다. 또띠야의 양은 사용 시간이 연장되는 동안에도 재보충이 필요하지 않도록 충분한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공급량이 충분하여 3시간의 점심식사 동안 추가 보충이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스팀 웰(108)의 바닥에는 스팀 체임버(114)가 위치되고, 그 내부에는 가열부재(117)가 위치된다. 스팀 웰(108)에는 수조(water bath)가 지지된다.
또 6 (A) 내지 도 7은 스팀 캐비닛(100)의 후측 패널을 포함하고 스팀 체임버(114)에 액세스를 제공하는 후측 액세스 문(115)을 예시한다. 잠금 유닛(119)이 후측 액세스 문(115) 및 스팀 캐비닛(100) 상에 장착된다. 드립 에지 채널(drip edge channel)(101)이 도 6 (B)에 예시된 바와 같이 문의 하측에 제공된다. 드립 에지(101) 및 경사면 채널로 인하여 문의 내면 상에 쌓일 수 있는 임의의 응축물이 떨어진다. 구체적으로, 도 6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문(115)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는 임의의 응축물은 중력에 의하여 하측으로 떨어진다. 응축물은 문의 바닥으로부터 채널(101) 내로 떨어진다. 문(115)의 바닥에 남아있는 임의의 응축물은 에지(101a)에 의하여 채널 내로 쓸려 들어간다. 따라서, 드립 에지 채널(101)이 문(115)의 내부 및 바닥에 형성된 응축물을 가둔다. 채널은 응축물을 스팀 웰(108) 내로 배출하는 구성으로 될 수 있다. 당업자가 잘 알고 있는 바와 같이, 채널은 스팀 캐비닛의 외측 위치으로 또한 배출될 수 있다.
도 6 (A)에 예시된 바와 같이, 가열부재(104)가 에어플로우 통로(106) 내의 공기를 가열한다. 팬 유닛(102)에 의하여 가열된 공기가 에어플로우 통로(106)를 통과한다. 가열된 공기는 스팀 체임버(114)의 개방 측면을 가로질러 자동식 문(112)으로 연장되어 공기층류커튼(110)을 형성한다. 공기층류커튼(110)이 시일(seal)로서 작용하여 스팀 및 열이 스팀 체임버(114)로부터 대기 중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수조가 스팀 웰(108)내에 지지된다. 물이 가열부재(117)에 의하여 소정의 온도로 가열되어 스팀을 형성한다. 스팀이 스팀 체임버(114) 내로 상승하여 스팀 체임버(114)의 내부로 스며든다. 스팀 체임버(114) 내의 선반 유닛(113) 상에 위치된 음식 재료는 상승하는 스팀 및 상측 부재(117)에 의하여 조사된 열에 의하여 따뜻하게 유지된다. 스팀이 스팀 체임버(114) 내로 계속해서 상승하기 때문에, 스팀 체임버(114)의 상측에 도달하여 여기에서 가열부재(118)와 접촉하게 된다. 가열부재(118)가 스팀을 방산시키기에 충분한 소정 온도의 열을 방사하므로 스팀 체임버(114) 내의 상면에 수증기가 축적되어 선반유닛(113) 상에 위치된 음식 재료 상으로 떨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배기시스템(116)이 스팀 체임버(114)로부터 스팀을 배출시킴으로 새로 형성된 스팀이 스팀 체임버(114) 내를 순환할 수 있다. 배기 시스템(116) 내에 포함된 수동 날개는 스팀 체임버(114)의 상측에 공간을 형성시키도록 수동으로 조작가능하다. 넓게 되거나 또는 폐쇄될 수 있는 이 공간으로 인하여 체임버 내의 스팀 및 열이 대기 중으로 배출될 수 있다. 공간은 수동으로 조정되어 소정 폭을 가진 공간이 형성되어 스팀 및 열이 스팀 체임버(114)로부터 배출될 수 있는 한편, 재료를 따뜻하게 유지시키는데 충분한 온도를 스팀 체임버(114) 내에 유지시킨다.
공기층류커튼(110)으로 인하여 각자가 스팀 체임버(114) 내에 도달하여 문을 열지 않고 음식 재료를 꺼낼 수 있다. 자동식 문(112)이 가열 에어플로우가 반드시 미치는 거리를 저감시켜 효과적인 에어커튼(110)을 형성한다. 스팀 캐비닛(100) 후측에 위치된 액세스 문(115)으로 인하여, 에어커튼(110)을 통하여 각자 음식 재료를 끄집어 내는 것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각자는 조리될 음식 재료를 스팀 체임버(114) 내에 넣을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2는 랩 포장 보관시스템(150)을 예시한다. 시스템은 용기(158, 162)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랩 보관 선반(152)을 포함한다. 고정 슬롯(securing slot)(156)이 랩 보관 선반(152)의 저면(153)의 실질적으로 전체 길이를 따라 연장된다. 저면(153)은 실질적으로 그 전체 길이를 따라 움푹 들어가서 슬롯(156)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랩 보관 선반(152)의 사이드 패널(155)은 랩 보관 선반을 적어도 하나의 로드(157)로부터 걸 수 있는 부착수단(154)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랩 보관 선반(152)의 사이드 패널(155)에 의하여 형성되고 이 사이드 패널에 부착된 훅(154)이 적합한 부착수단이 될 수 있다. 훅(154)은 애퍼춰(159)를 형성하며 로드(157)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랩 보관 선반시스템(150)은 모듈식 형태이고 로드(157)가 장착된 조리라인(1)을 따라서 임의의 포인트에 위치될 수 있다. 랩 보관 선반(152)은 임의 개수의 크기로 제조되어 필요한 경우 조리라인(1) 내에 끼워질 수 있다. 또한, 선반(152)은 각종 형상 및 크기를 가진 랩 용기(162, 158)를 수용하여 상이한 제품에 대응하는 상이한 포장을 수용할 수 있다.
랩 보관 선반(152)은 용기(162, 158)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162)는 두 개의 측면 패널(165, 169), 전면 패널(163) 및 저면 패널(171)에 의하여 형성된다. 전면 패널(163) 상에는 애퍼춰(168)가 구성된다. 플랜지(164, 166)가 용기(162)의 저면(171) 상에 장착된다. 플랜지(164)는 충분한 각도로 전방으로 경사져서 이 플랜지가 랩 보관 선반(152)의 슬롯(156)과 맞물릴 수 있다. 플랜지(164)는 또한 후방으로 경사질 수 있다. 플랜지(166)는 용기(162)의 저면(171)과 대략 직각으로 연장된다. 직각인 플랜지(166), 전면 패널(163) 및 측면 패널(165, 169)에 의하여 구멍(170)이 형성된다.
도 12에 예시된 바와 같이, 랩 용기(158)에는 이 랩 용기(158)의 저면(175)으로부터 대략 직각으로 지지되는 플랜지(160)가 끼워진다. 저면(175)은 랩 용기(158)의 하측 선반을 더 형성한다. 제2 선반은 측면 패널(178, 179) 사이에 위치되고 저면 패널(175)과 평행인 중간 패널(177)에 의하여 형성된다.
랩 보관 선반(152)은 로드(157)로부터 훅(154)를 통하여 매달린다. 로드(157)는 조리라인(1) 상의 필요한 포인트를 따라서 장착된다. 로드(157)를 따라서 소정의 포인트에 서포트가 위치된다. 서포트는 음식 조리라인(1)에 장착되며 로드(157)에 연결된다. 서포트는 로드(157)가 선반(152) 및 용기(162, 158)의 부하로 굽혀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충분한 거리로 이격된다.
랩 용기(162, 158)는 랩 보관 선반(152)에 위치된다. 용기(162)의 저면(171) 하측의 경사진 플랜지(164)는 랩 보관 선반(152)의 내부 저면(153) 상의 슬롯(156) 내로 미끄러진다. 이로써 상자를 용기(162)로부터 제거할 때 용기(162)가 선반(152)으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이 방지된다. 제품 포장은 구멍(170)을 통하여 랩 용기(162)로부터 제거된다. 바람직하게는, 각자는 제품 포장을 애퍼춰(168)에 고정시키고 구멍(170)을 통하여 포장을 끌어낼 수 있다.
직각인 플랜지(166)가 랩 용기(162)가 후방으로 밀려 용기(162) 상의 경사진 플랜지(164)가 랩 보관 선반(152) 상의 슬롯(156)으로부터 변위되는 것을 방지한다. 랩 보관 선반(152)으로부터 용기(162)를 제거하기 위하여, 용기(162)를 직각인 플랜지(166)가 랩 보관 선반(152)의 전면 에지(151)를 방해하지 않는 충분한 높이까지 엄지손가락 구멍(thumb hole)(168)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들어올린다. 다음에, 랩 용기(162)를 후방으로 밀어서 전체 랩 용기(162)가 랩 보관 선반(152)으로부터 들어 올려질 수 있을 때 경사진 플랜지(164)가 슬롯(156)으로부터 떨어질 수 있다.
랩 용기(158)가 랩 보관 선반(152)의 슬롯(156) 내에 끼워지는 경사진 플랜지를 갖지 않는 대신, 랩 용기(158)는 랩 보관 선반(152) 내에 위치된다. 랩 용기(158)는 제품 포장을 선반(175, 177) 상에 보관하고, 제품 포장은 각 선반(175, 177) 상의 포장 더미의 최상부로부터 들어내어 진다.
도 13 내지 도 14 (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재료 디스펜서(120)는 제품라인(1)의 모서리(9)에 위치된다. 재료 디스펜서(120)는 명백하게 캐비닛(121) 내에 위치된다. 캐비닛(121)은 시스템(120)의 호퍼(124)가 위치된 가열칸을 포함한다. 제1 라인 섹션(3)의 후측 상에 위치된 후측 액세스 문을 통하여 호퍼(124)에 액세스할 수 있다. 컨트롤러(33)(도 3 참조)가 가열칸 내의 내부 센서와 연통하고 대응하는 가열부재를 조절하여 호퍼(124) 내 재료의 온도를 제어한다.
캐비닛(121) 내 및 호퍼(124) 상측에 위치된 믹싱모터(mixing motor)(123)가 믹서(122)를 동작시킨다. 믹서(122)는 호퍼(124) 내의 재료(도시되지 않음) 내로 연장된다. 호퍼(124)는 2위치 밸브(130)와 연통한다. 제1 위치에서, 도 14 (A)에 예시된 바와 같이, 밸브(130)는 피스톤 체임버(144)에 연결된다. 제2 위치에서, 도 14 (B)에 예시된 바와 같이, 밸브(130)는 출구 포트(136)와 연통한다. 출구 포트(136)는 이어서 출구관(125)과 연통한다. 출구관(125)의 말단에는 분배 노즐(126)이 구성된다. 각각의 튜브(125)는, 미주리주 세인트 루이스 소재 와트로우사(Watlow of St. Louis, Missouri)에서 시판 중인 제품과 같은, 종래의 가열 블랭킷(heating blanket)으로 싸서 튜브(125) 내의 재료를 원하는 온도로 유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컨트롤러(33)(도 3 참조)가 가열 블랭킷을 조작한다. 분배 노즐(126)은 머리 위에 위치된 캐비닛(128)으로부터 아래로 매달린다.
본 발명의 재료 디스펜서(120) 구성품으로서 적합한 것으로 판명된 정량 분배 펌프 어셈블리(140) 및 밸브(130)는 일본의 이토 고우키사(Itoh Kouki, Japan)에서 제조, 판매하는 펌프 및 밸브 어셈블리이다.
도 14 (A)는 피스톤 펌프 어셈블리(140)와 연통하는 2위치 밸브(130)를 예시한다. 입구 포트(134)가 호퍼(124)와 2위치 밸브(130) 사이에 끼워진다. 출구 포트(136)가 2위치 밸브(130)와 출구관(125) 사이에 끼워진다. 밸브(130)의 밸브부재(132)는 흡입위치에 있다. 피스톤 체임버(144)가 밸브(130)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다. 피스톤 체임버(144) 내에서, 피스톤(142)이 피스톤 체임버(144)로부터 빠져 나온다.
도 14 (B)에 예시된 바와 같이, 밸브부재(132)는 배출위치에 있다. 또한, 피스톤(142)은 피스톤 체임버(144) 내에 완전하게 삽입된다.
소정량의 재료(127)를 지지하는 호퍼(124)는 높이가 낮아질 때 상측으로부터 공급된다. 각 호퍼(124) 내 재료(127)의 양은 사용시간이 연장되는 동안에 재보충이 필요하지 않도록 충분한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공급량이 충분하여 3시간의 점심식사 동안 어떤 추가적인 보충이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3 및 도 14 (A)에 예시된 바와 같이, 재료 디스펜서(120)를 동작시키기 위하여, 압축공기가 액츄에이터(129)를 구동한 다음, 피스톤(142)을 구동한다. 종래의 컴프레서가 압축공기를 에어실린더에 공급한다.
재료를 분배하기 위하여, 피스톤(142)을 피스톤 체임버(144)로부터 완전하게 끌어 낸다. 이로써 재료(127)가 호퍼(124)로부터 입구 포트(134)를 통하여 밸브 체임버(133) 및 피스톤 체임버(144) 내로 빨려 든다. 피스톤(42)의 백-풀(back-pull)로 정확한 소정량의 재료(127)가 밸브 체임버(133) 및 피스톤 체임버(144) 내로 끌어내어 진다. 이렇게 함으로써, 밸브 체임버(133) 내의 밸브부재(132)가 제2 액츄에이터(138)(도 13 참조)에 의하여 도 14 (B)에 예시된 위치와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 도 13 및 도 14 (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에어실린더(129)가 피스톤(142)을 피스톤 체임버(144) 내의 전방으로 구동한다. 이로써 재료가 피스톤 체임버(144)를 통하여 밸브 체임버(133) 내로 밀어 넣어져서 출구 포트(136)를 통하여 배출된다. 재료(127)가 출구관(125) 내에 계속해서 남기 때문에, 호퍼(124)로부터 피스톤(142)에 의하여 끌어 내어져 출구 포트(136)을 통하여 구동된 재료가 동일 비율로 노즐(126)을 통하여 배출된다.
밸브부재(132)가 도 14 (A)에 예시된 위치로부터 도 14 (B)에 예시된 위치로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입구 포트(134)를 효과적으로 차단한 다음 피스톤(142)이 재료(127)를 출구 포트(136)로 통과시킨다. 이 동작으로 재료(127)가 대략 동일한 비율로 반복해서 분배된다.
또한, 재료 디스펜서(120)는 수중 펌프(submergible pump)가 레드 소스 용기 내에 위치된 레드 소스 분배장치를 포함한다. 용기는 캐비닛(121) 내의 가열칸 내에 위치된다. 공급라인이 펌프로부터 디스펜서 노즐(126)에 인접하여 위치된 배출노즐까지 연장된다.
도 15는 음식 조리라인의 다른 실시예를 예시한다. 도 15의 실시예는 도 1의 실시예에 따라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도 15의 실시예의 제3 섹션은 제1 섹션에 대하여 경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각도는 약 45°가 바람직하지만, 당업자가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광범위한 범위에 걸쳐 변경될 수 있다. 개방 제품통(32)과 포장 용기(150) 사이의 거리가 약 6피트 이하인 것이 중요하다. 이 거리는 종업원의 평균 팔길이에 의하여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열 보관 용기와 스팀 테이블 사이의 거리도 마찬가지로 종업원의 평균 팔길이에 의하여 결정되며 약 6피트 이하이다.
본 발명을 예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당업자는 본 명세서의 설명으로 보아 다른 실시예로 변형가능함을 명백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예시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Claims (48)

  1. 제1 섹션,
    상기 제1 섹션과 일반적으로 직각으로 위치되는 제2 섹션, 및
    상기 제2 섹션에 인접하여 제2 섹션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섹션
    을 포함하고,
    상기 섹션 중 하나에 가열 보관실(heated storage compartment)이 위치되며 상기 섹션 중 다른 하나에 냉장 보관실(cooled storage compartment)이 위치되는
    음식 조리라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섹션에 통과구역(pass-through area)이 추가로 배열되는 음식 조리라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보관실이 두 측면에 액세스 개구를 가지는 음식 조리라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 보관실이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개구를 가지는 음식 조리라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섹션 상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된 음식물을 가열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음식 조리라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3 섹션이 서로 평행으로 위치되어 일반적으로 U자 형상으로 상기 제1, 제2 및 제3 섹션이 배열되는 음식 조리라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섹션의 교차점에 근접하여 위치된 뜨거운 재료 웰(hot ingredient well)―여기서 뜨거운 재료 웰은 라인의 작업 레벨에 위치됨―을 추가로 포함하는 음식 조리라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뜨거운 재료 웰과 상호작용하여 뜨거운 재료 웰의 동작상태를 모니터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 및 상기 뜨거운 재료 웰에 근접하여 위치되고 점검시스템(diagnostic system)과 협동하여 뜨거운 재료 웰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인디케이터(indicator)를 갖는 점검시스템을 추가로 포함하는 음식 조리라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점검시스템이 상기 뜨거운 재료 웰 내의 물 레벨을 모니터하는 복수의 센서, 상기 뜨거운 재료 웰 내의 가열부재 세트, 및 자동 충전밸브(automatic fill valve)를 포함하고, 상기 점검시스템은 점검시스템이 비정상 상태를 감지할 때 상기 인디케이터를 트리거하도록 구성되는 음식 조리라인.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 보관실이 상기 제2 섹션 상에 위치된 개방 제품통(open produce bin)을 포함하는 음식 조리라인.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섹션 상에 위치되며, 상기 제품통의 길이 중 적어도 일부분을 따라 연장되는 타코 레일(taco rail)을 추가로 포함하는 음식 조리라인.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타코 레일 하측에 위치된 쓰레기통(waste receptacle)를 추가로 포함하는 음식 조리라인.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 보관장치가 상기 제품통에 근접하여 위치된 냉장고인 음식 조리라인.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인을 따라서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유닛을 추가로 포함하는 음식 조리라인.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가 상기 제1 및 제3 섹션 중 어느 하나에 근접하여 위치된 음식 조리라인.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섹션의 말단인 상기 제3 섹션의 단부에 일반적으로 근접하여 위치된 포장 보관실을 추가로 포함하는 음식 조리라인.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보관실이 상기 제1 섹션 상에 배열된 스팀 캐비닛(steam cabinet)을 포함하는 음식 조리라인.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 캐비닛 하측에 위치된 랩 보관대(wrap storage station)를 더 포함하는 음식 조리라인.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섹션의 교차점에 근접하여 위치된 뜨거운 재료 웰, 및 상기 스팀 캐비닛과 상기 뜨거운 재료 웰 사이에 배열된 컵 디스펜서를 추가로 포함하는 음식 조리라인.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보관실이 핫 캐비닛(hot cabinet)을 포함하는 음식 조리라인.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섹션 상의 일반적으로 상기 핫 캐비닛 상측에 배열된 스팀 캐비닛을 추가로 포함하는 음식 조리라인.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섹션의 교차점에 근접하여 위치된 재료 디스펜서를 추가로 포함하는 음식 조리라인.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 디스펜서가 펌프기구를 포함하는 음식 조리라인.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 디스펜서가 원하는 양의 재료를 분배하는 계량기구를 포함하는 음식 조리라인.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 디스펜서가 상기 디스펜서의 한쪽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공급노즐 및 상기 디스펜서의 다른쪽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개구를 포함하는 음식 조리라인.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 디스펜서가 분배되기 전의 재료를 보관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열 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액세스 개구가 상기 가열 용기에 액세스를 제공하도록 배열된 음식 조리라인.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보관실이 각종의 음식 재료를 보관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재료 디스펜서에 근접하여 위치된 가열 선반(heated shelf)을 포함하는 음식 조리라인.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 디스펜서의 노즐이 뜨거운 재료 웰 상측에 배열되고, 상기 가열 선반이 상기 재료 디스펜서 노즐 상측에 배열되는 음식 조리라인.
  2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및 제3 섹션의 적어도 하나의 구조로부터 돌출하는 복수의 장착 스터드(mounting stud), 및 상기 장착 스터드와의 협동으로 라인 상의 복수의 위치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펜서 하우징을 추가로 포함하는 음식 조리라인.
  30. 제1항에 있어서, 걸이용 보관시스템(hanging storage system)을 추가로 포함하는 음식 조리라인.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용 보관시스템이 적어도 하나의 용기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용기를 제거가능하게 수용하도록 구성된 선반을 포함하고, 상기 선반이 적어도 두 개의 위치에 애퍼춰를 형성하는 훅(hook)을 포함하며, 상기 애퍼춰가 로드(rod)를 제거가능하게 수용하는 음식 조리라인.
  32. 적어도 세 개의 둘러싸는 측벽, 개구를 가진 하나의 측벽, 천장 패널 및 바닥 패널로 형성된 스팀 체임버, 상기 스팀 체임버 내의 스팀플로우, 상기 스팀플로우 외측에 위치된 팬(fan), 및 상기 개구를 가로질러 연장되는 공기층류(laminar air flow)에 의하여 형성된 에어커튼을 포함하는 스팀 캐비닛.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 내로 부분적으로 연장되며 상기 에어커튼과 접촉되는 자동식 문(swinging door)을 더 포함하는 스팀 캐비닛.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천장에 배열된 히터, 및 상기 히터의 상측 및 상기 천장 패널의 상기 스팀 캐비닛 외측에 위치된 배기시스템을 더 포함하는 스팀 캐비닛.
  35. 정량 분배펌프(positibe displacement pump)에 연결된 호퍼를 포함하고, 상기 정량 분배펌프가 계량된 양의 재료를 공급하는 재료 디스펜서.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정량 분배펌프가 노즐을 통하여 재료를 음식 조리라인 상에 분배시키는 재료 디스펜서.
  37.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정량 분배펌프가 2위치 밸브(two-position valve)로 동작하는 피스톤형 펌프인 재료 디스펜서.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가 상기 호퍼와 연통하는 입구 포트, 상기 노즐과 연통하는 출구 포트, 및 상기 펌프가 연결되는 펌프 포트를 포함하는 재료 디스펜서.
  39.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가 상기 펌프를 상기 호퍼 및 노즐과 선택적으로 연결시키는 게이트를 더 포함하는 재료 디스펜서.
  40. 용기, 및 상기 용기를 제거가능하게 수용하도록 구성된 선반을 포함하고, 상기 선반이 애퍼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애퍼춰가 로드를 제거가능하게 수용하는 걸이용 보관시스템.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애퍼춰가 훅에 의하여 형성되는 걸이용 보관시스템.
  42.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가 실질적으로 수평인 부재 내에 구멍을 포함하여 상기 용기 하측으로부터 용기 내로 액세스될 수 있는 걸이용 보관시스템.
  43. 음식 조리라인을 따라서 음식물을 조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스테이션에서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관찰하고, 가열 보관실로부터 식품(comestible product)을 꺼내고, 상기 가열 보관실의 실질적으로 하측에 위치된 보관대로부터 포장을 꺼내고, 상기 포장을 작업면 상에 위치시키고, 상기 식품을 상기 포장 상에 위치시키고, 상기 식품 상에 상기 가열 보관실에 근접하여 위치된 재료 디스펜서로부터 재료를 분배하고, 상기 식품을 취급하여 제2 스테이션으로 포장하고,
    제2 스테이션에서는,
    냉장 보관실로부터 부재료(accompaniment)를 꺼내고, 상기 부재료를 상기 식품에 가하고, 상기 식품을 종업원의 팔길이에 미칠 수 있도록 상기 냉장 보관실의 약 6피트 거리 내에 위치된 위치에서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식물 조리방법.
  44.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제2 부분과 접하고, 상기 제1 부분은 보온기 및 가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보온기 및 상기 가열장치는 종업원의 팔길이에 미칠 수 있도록 서로 약 6피트 이내에 위치되고,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가열장치에 근접한 부재료 용기 및 포장 디스펜서를 포함하고, 상기 부재료 용기 및 포장 디스펜서는 종업원의 팔길이에 미칠 수 있도록 서로 약 6피트 이내에 위치되는 음식 조리라인.
  45.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보온기가 스팀 캐비닛인 음식 조리라인.
  46.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장치가 뜨거운 재료 웰인 음식 조리라인.
  47.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료 용기가 제품통인 음식 조리라인.
  48.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라인이 세 개의 섹션에 의하여 U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1 섹션 및 제2 섹션 일부가 제1 부분을 형성하며 제2 섹션 일부 및 제3 섹션이 제2 부분을 형성하는 음식 조리라인.
KR1019997007603A 1997-02-21 1998-02-20 레스토랑 음식 조리라인 KR2000007554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865397P 1997-02-21 1997-02-21
US60/038,653 1997-02-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5544A true KR20000075544A (ko) 2000-12-15

Family

ID=21901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7603A KR20000075544A (ko) 1997-02-21 1998-02-20 레스토랑 음식 조리라인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030188929A2 (ko)
EP (1) EP0964632A2 (ko)
JP (1) JP2001513007A (ko)
KR (1) KR20000075544A (ko)
CN (1) CN1250356A (ko)
AU (1) AU738500B2 (ko)
CA (1) CA2282484A1 (ko)
ID (1) ID24518A (ko)
WO (1) WO1998036668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49551B2 (en) * 2004-09-30 2006-05-23 Middleby Marshall, Inc. Natural convection steam cooking device
US7322732B2 (en) * 2004-12-23 2008-01-29 Cree, Inc. Light emitting diode arrays for direct backlighting of liquid crystal displays
US8695489B2 (en) * 2006-04-28 2014-04-15 Restaurant Technology, Inc. Food staging device
US7905173B2 (en) * 2006-04-28 2011-03-15 Restaurant Technology, Inc. Food staging device, method of storing foods, and method of making a sandwich
US20110253482A1 (en) * 2010-04-16 2011-10-20 Purgatorio James C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assembling food orders
US20110256292A1 (en) * 2010-04-16 2011-10-20 Purgatorio James C Device and method for making food items
US8850969B2 (en) 2012-04-20 2014-10-07 Restaurant Technology, Inc. Device and method for melting cheese
US20140122184A1 (en) 2012-10-29 2014-05-01 Elwha Llc Food Supply Chain Automation Grocery Information System And Method
US20140122519A1 (en) * 2012-10-29 2014-05-01 Elwha Llc Food Supply Chain Automation Food Service Information Interface System And Method
US9704122B2 (en) 2012-10-29 2017-07-11 Elwha Llc Food supply chain automation farm tracking system and method
US11918150B2 (en) 2014-09-09 2024-03-05 DoorDash, Inc. Enhanced automated food making apparatus
US11284748B2 (en) 2014-09-09 2022-03-29 Chowbotics Enhanced automated food making apparatus
JP7223361B2 (ja) * 2017-04-04 2023-02-16 チョウボティ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改良された自動化食品作製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883369A (fr) * 1942-06-18 1943-07-02 Nouvelle table de restauration
US3641263A (en) * 1967-08-24 1972-02-08 Lincoln Mfg Co Supervisory and control system for food-handling institutions
US3502020A (en) * 1968-03-04 1970-03-24 Tony J Bressickello Food display and warming device
US3578148A (en) * 1969-01-27 1971-05-11 Charles P Pinckard Tray and conveyor assembly
US3780794A (en) * 1971-12-02 1973-12-25 B Staub Food table
GB1426367A (en) * 1972-06-15 1976-02-25 Burger Eisenwerke Ag Gas-heated oven for heating foodstuffs
US3952609A (en) * 1974-08-05 1976-04-27 Food Warming Equipment Company Food warming cabinet humidifier
US4052589A (en) * 1974-09-23 1977-10-04 Aladdin Industries, Incorporated Heated food service system
US3962962A (en) * 1974-10-03 1976-06-15 Anderson William G System and hot cabinet server
US3999475A (en) * 1974-12-26 1976-12-28 National Equipment Corporation Display apparatus for holding food and the like
AR205934A1 (es) * 1975-01-01 1976-06-15 Guibert R Equipo acondicionador de manjares
US4011805A (en) * 1975-02-19 1977-03-15 Alco Standard Corporation Convection steamer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food items or the like
US4010349A (en) * 1975-02-27 1977-03-01 Lincoln Manufacturing Company, Inc. Proofing cabinet
US3942426A (en) * 1975-04-14 1976-03-09 Restaurant Technology, Inc. Heated sanitary sandwich bin with air curtains
US4038968A (en) * 1975-06-03 1977-08-02 Alfred Rovell Air screen for food warming table
US4039776A (en) * 1975-09-19 1977-08-02 National Equipment Corporation Closed passage heat holding apparatus
US4013869A (en) * 1976-04-12 1977-03-22 Maria Amelia Orts Tortilla warmer and hydrater
US4074108A (en) * 1976-09-13 1978-02-14 Henny Penny Corporation Countertop display warmer
US4147924A (en) * 1977-08-08 1979-04-03 Dewitt Jr Charles M Tortilla warmer
US4154027A (en) * 1977-08-22 1979-05-15 Tyler Refrigerator Corporation Store arrangement
US4343985A (en) * 1977-11-07 1982-08-10 Robert G. Wilson Counter top food warmer and display case
US4373430A (en) * 1978-10-02 1983-02-15 Oscar Lucks Company Humidifier for a proof box
US4245720A (en) * 1979-02-16 1981-01-20 Neill Jr Scott E Fast food restaurant
US4244979A (en) * 1979-05-10 1981-01-13 National Equipment Corporation Oven-type apparatus and method
US4281636A (en) * 1979-06-07 1981-08-04 Vegh Elmer S Steam processor
US4381442A (en) * 1980-12-30 1983-04-26 Sunset Ltd. Counter-top unit for heating packaged food
US4377109B1 (en) * 1981-05-22 1996-08-06 Wolverine Corp Apparatus for baking food products such as pizzas and the like
US4455478A (en) * 1981-11-17 1984-06-19 Sunset Ltd. Portable unit for heating packaged food
US4635540A (en) * 1982-05-25 1987-01-13 Traulsen & Co., Inc. Baker's dough proofing and raising unit
JPS58194747U (ja) * 1982-06-18 1983-12-24 大畠 隆 加工食品保管庫
US4623780A (en) * 1983-08-08 1986-11-18 Properties Leasing Company Inc. Collectramatic food warmer
FR2564308B1 (fr) * 1984-05-17 1987-08-21 Jovanovic Dragomir Appareil de cuisson a injection de vapeur a pression atmospherique
US4617908A (en) * 1985-08-12 1986-10-21 A. J. Antunes & Co. Top-firing food steamer
US4722268A (en) * 1986-01-10 1988-02-02 Properties Leasing Co., Inc. Food warmer cabinet control
US5573082A (en) * 1987-08-20 1996-11-12 Diner-Mite, Inc. Manual food service system
US5039535A (en) * 1988-01-14 1991-08-13 Lang Manufacturing Company Method of cooking food products
US4995313A (en) * 1988-03-15 1991-02-26 Welbilt Corporation Cooking apparatus
US4974500A (en) * 1989-09-29 1990-12-04 Boyd Coffee Company Hot beverage preparation and dispensing cart
US5203258A (en) * 1990-09-12 1993-04-20 Tippmann Vincent P Apparatus for heating food articles
US5163536A (en) * 1990-11-30 1992-11-17 Southern Equipment Company Modular foodservice equipment
DE4116500A1 (de) * 1991-05-21 1992-11-26 Binder Wtb Labortech Gmbh Labor-waermeschrank
US5132520A (en) * 1991-06-13 1992-07-21 Blanton Robert L Cabinet for storage of heated foods
IT1258073B (it) * 1992-04-29 1996-02-20 Zanussi Elettromecc Dispositivo di misura dell'umidita' per forni, in particolare forni dicottura di alimenti
US5241947A (en) * 1992-06-08 1993-09-07 Ralph Sandolo Simulated wood burning oven
FR2718624B1 (fr) * 1994-04-14 1996-05-15 Roger Blanc Installation pour restauration rapide.
US5628245A (en) * 1994-10-11 1997-05-13 Baze; Mark E. Utensil for forming tortillas into baked taco shells
US5532456A (en) * 1995-03-02 1996-07-02 The Delfield Company Temperature and humidity controllable doorless oven
US9209771B1 (en) * 2014-06-17 2015-12-08 Qualcomm Incorporated EM coupling shiel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1513007A (ja) 2001-08-28
US20030188929A2 (en) 2003-10-09
WO1998036668A3 (en) 1998-11-26
CA2282484A1 (en) 1998-08-27
CN1250356A (zh) 2000-04-12
ID24518A (id) 2000-07-20
EP0964632A2 (en) 1999-12-22
US20030034208A1 (en) 2003-02-20
WO1998036668A2 (en) 1998-08-27
AU6328298A (en) 1998-09-09
AU738500B2 (en) 2001-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97759A (en) Sous vide reheating device
US5123337A (en) Sous vide reheating device
US20210047165A1 (e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preparing and dispensing foods
US20200268012A1 (en) Modular blending system
KR20000075544A (ko) 레스토랑 음식 조리라인
US6505547B1 (en) Refrigerated breading and batter table
US20110151074A1 (en) Automated food preparation apparatus and method
JPH031827A (ja) 食品加工装置
US8117961B2 (en) Apparatus for thawing frozen food items
JP2006247151A (ja) 調理装置
EP0380816A1 (en) Process and machine for frying and automatic fried food dispensing
JP4299282B2 (ja) 調理装置および食器収納構造
JP2005327222A (ja) 茹でた麺を調理する保温庫内臓の麺類自動販売機
US8384000B2 (en) Apparatus for providing food service
JPH0198097A (ja) 温かいフレンチ・フライ用の自動販売機
US20060151488A1 (en) Apparatus for providing food service
EP2666396B1 (en) Ward trolley
AU9741001A (en) Restaurant food preparation line
JP3637130B2 (ja) 貯氷式陳列台
EP3528218B1 (en) Vending machine for dispensing edible products in a fluid state
TWI771175B (zh) 餐飲製作設備
US2291090A (en) Refrigerator
EP4010884A1 (en) Vending machine for dispensing edible products in a fluid state
EP1445234A1 (en) An apparatus for dispensing drinks
JPH09296977A (ja) 移動式貯氷型陳列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