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74826A - 지능형 아이콘 인터페이스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장치 - Google Patents

지능형 아이콘 인터페이스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74826A
KR20000074826A KR1019990019038A KR19990019038A KR20000074826A KR 20000074826 A KR20000074826 A KR 20000074826A KR 1019990019038 A KR1019990019038 A KR 1019990019038A KR 19990019038 A KR19990019038 A KR 19990019038A KR 20000074826 A KR20000074826 A KR 200000748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user
functions
communication
termin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9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28860B1 (ko
Inventor
이태규
Original Assignee
이태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태규 filed Critical 이태규
Priority to KR10199900190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8860B1/ko
Publication of KR200000748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48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88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88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2Hotels or restaurants

Abstract

서비스의 종류뿐만 아니라 현재의 서비스의 품질까지도 사용자에게 알려줌으로써 사용자가 서비스의 접속 또는 수행 이전에 자신이 받을 서비스의 상황을 예측하도록 해 주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다수의 기능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와, 사용자가 기능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해주는 입력부와, 외부장치와 통신을 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부와,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통신단말기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수의 기능중에서 선택가능한 기능만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지능형 아이콘 인터페이스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장치{Method of intelligent icon interface and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본 발명은 통신단말기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서비스의 종류뿐만 아니라 현재의 서비스의 품질까지도 사용자에게 알려줌으로써 사용자가 서비스의 접속 또는 수행 이전에 자신이 받을 서비스의 상황을 예측할 수 있도록 해 주는 통신단말기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웹폰이나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고정 및 이동 통신 서비스에서 지원되는 응용 서비스들이 다양화되고 대용량화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이와 같이 서비스 종류의 다양화에 따라, 이들 통신단말기에서는 TFT LCD 등의 대형 화면을 채용하여 사용가능한 서비스를 아이콘으로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편리하게 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전통적인 통신단말기 이외에도 레스토랑 등에는 음식주문을 무선으로 할 수 있는 단말기나, 증권회사 객장에서 주식거래를 무선으로 할 수 있는 단말기와 같이 많은 통신단말기들이 등장하고 있으며, 이들 단말기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도 편리성을 위하여 대형 화면을 이용한 터치스크린 방식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레스토랑의 주문용 단말기의 예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2의 (a)는 초기화면으로서 사용자가 주문할 수 있는 여러가지 메뉴가 디스플레이된다. 사용자가 원하는 메뉴를 누르면 도 2의 (b)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선택한 음식에서 다시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옵션이 디스플레이되고, 사용자가 원하는 사양을 선택하고 "주문" 버튼을 누르면 사용자가 선택한 메뉴가 주방으로 바로 전달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다양한 분야의 기존의 단말기들은 사용자에게 서비스의 제공여부에 상관없이 정적이고 맹목적인 서비스 메뉴 또는 입력버튼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도 1이나 도 2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당해 단말기로 사용할 수 있는 모든 서비스들이 일률적으로 화면에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그렇지만, 스마트폰이나 PDA 등에서의 음성 서비스와 영상 서비스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요구되는 통신 대역폭은 대폭 달라질 수 있으며, 따라서 통신 채널의 상황에 따라서는 음성 서비스는 되지만 영상 서비스는 되지 않는다고 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제까지의 통신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이러한 점을 고려하지 않고 단순히 사용가능한 서비스만을 보여줌으로써, 사용자는 응용서비스의 실제 서비스 제공여부를 알지 못하는 채로 원하는 응용 서비스 버튼을 누르고, 채널이 연결된 다음에야 그 서비스가 실제로 제공되는지를 알 수 있도록 되어 있었다. 이와 같은 방식은 제공되는 서비스의 대역폭 차이가 그다지 크지 않은 경우에는 효율적일 수도 있었다. 그러나, 제공되는 서비스의 대역폭 차이가 커짐에 따라 전체 서비스중 일부만이 제공될 수 있는 경우의 확율이 늘어나게 되면서 이러한 방식은 매우 비효율적인 것이 되고 있다.
게다가, 최근에는 IMT-2000 표준화 사업과 더불어 기존의 전세계의 유/무선 네트워크 및 위성네트워크 등을 통합하는 '미래 공중 육상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구축이 현실화되고 있다. 이러한 시스템이 구축되면, 개인정보 이용자는 시간과 공간에 제약없이 응용정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이렇게 통합된 정보전송 환경은 사용자에게 시간과 공간에 따라서, 특히, 무선네트워크 환경에서 동적이고 불안정한 연결을 제공한다. 따라서, 기존의 맹목적인 사용자 접속방법은 사용자가 통합네트워크 환경의 구성요소들(예를 들어, 서비스 서버, 무선채널의 여유 수, 버퍼의 여유용량, 캐쉬정보 등)의 상태에 무관하게 응용정보 서비스에 접속하도록 허용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자신이 요구한 정보 서비스가 제대로 제공될 것으로 믿고 서비스에 접속하지만, 이러한 접속은 일부 응용 서비스 구성요소들의 열악성 때문에 실패할 수 있다. 또한, 접속에 성공했다 할지라도 사용자가 고품질의 서비스를 원활하게 제공받지 못할 수도 있다(예를 들어, 사용자가 수용할 수 없는 음성서비스의 잡음, 영상서비스의 왜곡 등). 그리고 서비스의 진행이 빈번하게 단절될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사용자들은 이러한 예기치 못한 불안정한 정보서비스의 접속과 서비스의 실패로 인해서 불쾌감을 갖는다. 또한 제한된 자원 특히, 무선채널을 사용자가 불필요하게 반복적으로 접근함으로써 서비스 자원들을 비효율적으로 이용하게 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음식주문용 단말기와 같은 데이터 통신 전용의 단말기에 있어서도, 도 2의 예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단순히 그 레스토랑에서 주문할 수 있는 메뉴만이 디스플레이될 뿐, 현재 주문가능한 음식이 무엇이며 각 음식이 나오는데까지는 어느 정도의 시간이 걸리는지와 같은 정보는 디스플레이되지 않는다. 따라서, 주문자가 원하는 메뉴를 눌렀을 때, 그 음식이 현재 서빙되지 않고 있거나 시간이 많이 걸리는 경우에는 웨이터가 주문자에게 이러한 사실을 알리고, 주문자가 다시 주문을 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유선 및 무선 네트워크환경에 따른 지원 서비스의 종류뿐만 아니라 서비스의 품질상태까지 나타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반복적이고 불필요한 사용자 접속을 방지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불필요하게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함으로써 불필요하게 서버가 바쁜 대기상태에 놓이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가능한 한 불필요한 사용자의 업링크사용을 최소화함으로써 제한된 무선채널 자원의 사용을 줄임으로써 서비스의 이용률을 극대화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메뉴 상태에서 사용자에게 여러가지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상의 편리성을 높인 아이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통신단말장치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일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음식주문단말기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일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휴대통신단말장치가 연결되는 통신망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도 4는 통상적인 휴대통신단말장치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지능형 아이콘 인터페이스 방법을 채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일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지능형 아이콘 인터페이스 방법을 채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지능형 아이콘 인터페이스 방법을 채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또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입력장치로서 터치스크린 대신에 버튼을 사용한 경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일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휴대형 음식주문단말기가 연결되는 전체 시스템의 구조를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지능형 아이콘 인터페이스 방법을 채용한 음식주문단말기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일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태양에 따르면,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다수의 기능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와, 사용자가 기능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해주는 입력부와, 외부장치와 통신을 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부와,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통신단말기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수의 기능중에서 선택가능한 기능만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태양에 따르면,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메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와, 사용자가 기능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해주는 입력부와, 외부장치와 통신을 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부와,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다수의 단말기와, 상기 다수의 단말기와 무선으로 통신하는 무선인터페이스장치와, 주방에 설치되어 상기 다수의 단말기로부터 들어온 주문을 표시하는 주방단말장치와, 카운터에 설치되어 상기 다수의 단말기로부터 들어온 주문에 따라 식대를 계산하여 출력하는 카운터단말장치와, 상기 무선인터페이스장치를 통해 상기 다수의 단말기와 통신하고, 상기 주단말장치와 상기 카운터단말장치와 상기 다수의 단말기 사이의 통신을 제어하는 중앙제어장치를 구비하는 음식주문 시스템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주방단말장치에서 각 메뉴의 서비스 가능 여부 및 서빙 시간을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중앙제어장치에서 상기 주방단말장치로부터의 상기 서비스 가능 여부 및 서빙 시간 데이터를 받아서 상기 다수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주방단말장치로부터 입력된 서비스 가능 여부 및 서빙 시간 데이터에 따라 상기 다수의 단말기의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각 메뉴의 아이콘을 구분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통신단말장치는 단말기 상에 지능적인 그래픽 사용자 접속으로서 적응적 사용자 접속 기능을 가진 서비스 버튼 및 메뉴를 제공한다(도 5 내지 도 7 참조).
도 3은 휴대통신단말장치가 연결되는 통신망의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3에서 휴대통신단말장치(100)는 기지국(200)을 통하여 통신망(300)에 연결되고, 통신망(300)을 통하여 다른 기지국(400)에 연결된 다른 휴대통신단말장치(500)에 연결되거나, 특정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600)에 연결되거나, 모뎀을 통하여 컴퓨터(700)에 연결되거나 일반적인 전화기(800)에 연결될 수도 있다.
도 4는 이러한 휴대통신단말장치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휴대통신단말장치(100)는 통신인터페이스(140)를 통해서 외부 통신망과 접속되며, 오디오 처리부(150)에서 통화를 위한 음성처리가 이루어진다. 사용자는 입력부(130)를 통해 기능선택, 옵션선택, 기능설정 등의 작업을 하게 되며, 표시부(140)에는 사용자에게 알려줄 여러가지 정보가 디스플레이되게 된다. 또한, 표시부(140)는 정지화상, 동화상 등의 화상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이러한 휴대통신단말장치(100)는 일반적인 전화기(800)와는 단순히 음성 데이터만을 주고받으므로, 단지 음성 데이터를 보낼 수 있을 정도의 대역폭만 확보된다면 통신이 가능하다. 반면, 가령 서버(600)에서 비디오-온-디맨드(Video-On-Demand)와 같은 동영상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면, 동영상 데이터를 보낼 수 있을 정도의 충분한 대역폭이 확보되어야 한다. 그러나, 비록 동영상 데이터를 보낼 수 있을 정도의 대역폭은 아니라고 하더라도, 음성 데이터를 보낼 수 있을 정도의 대역폭이 확보된다고 한다면, 사용자는 아쉬우나마 음성 데이터만이라도 서비스를 받을려고 생각할지도 모른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다양한 환경하에서 각 응용서비스에서 현재 제공 가능한 서비스 수준을 아이콘 상에서 보여줌으로써 사용자가 서비스의 접속 또는 수행 이전에 자신이 받을 서비스의 상황을 예측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불필요한 접속 시도가 방지되고, 쓸데없이 통신비를 낭비하거나 통신망에 로드를 가하는 일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적응적 사용자 접속을 위해서 각 정보서비스 자원의 품질상태를 고려하는데, 각 서비스 자원의 품질상태를 나타내는 변수들의 예로서는 다음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이들 변수에 기초하여 다양한 품질의 정보 서비스들을 제공할 수 있다.
1. 서비스별 서버의 접속 가능 여부: P1
서버의 상태: idle/on(I), busy/on(B), off(O)
2. 통신채널(특히, 임의 지역의 무선채널)의 사용가능여부:P2
통신채널의 상태: cold(C), warm(W), hot(H)
3. 단말기의 버퍼공간의 여유 여부:P3
단말기의 버퍼 여유도: large(L), medium(M), small(S), null(N)
4. 이동단말기의 전력 여유 여부:P4
단말기 전력 여유도: large(L), medium(M), small(S), null(N)
5. 이동 단말기의 전파 신호 감도:P5
단말기의 전파(신호)강도: large(L), medium(M), small(S), null(N)
이 실시예에서 제시된 다양한 정보서비스들에 대해 적응적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전제된 각각의 매체 서비스들을 지원하는 매체 서비스별 비용함수(cost function)(fc)들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1. 문자서비스 비용함수:fc,text
2. 음성서비스 비용함수:fc,audio
3. 이미지 서비스 비용함수:fc,image
4. 동영상 서비스 비용함수:fc,video
이러한 비용함수 들에서 사용된 기호들 '∧', '∨', '=' 등은 각각 논리 연산 AND, OR, EQUIVALENCE(EQ)를 의미한다. 각 함수의 결과 값이 '0'이면 해당 매체가 적절히 서비스될 수 있음을 나타내고, '1'이면 해당 매체의 서비스가 제공될 수 없음을 의미하며, 'anyvalue'는 그 밖의 경우로서 서비스 제공 여부를 결정하는 각 변수(P,P,P3,P,P5)값이 동적으로 변화하고 있음을 나타냄으로서 서비스 제공 여부가 동적인 서비스 환경의 호전 또는 악화추세에 따라 결정된다. 이와 같이 서비스 환경의 동적 변화에 따라 문자, 음성, 이미지, 영상 등의 매체들의 서비스 사용 여부가 수시로 변화할 수 있다.이들 매체들을 결합한 다양한 멀티미디어 정보 서비스의 구성은 다음 표 1과 같다.
휴대통신장치에 적용할 수 있는 응용정보 서비스들의 예는 다음 표 2와 같고, 이들 각 서비스들은 위에서 기술했던 문자, 음성, 이미지, 동영상 등의 매체 서비스 들에 기초하여 다양한 분류의 매체결합 구성을 보여주게 된다.
결과적으로, 표 2에서 나타내는 응용서비스들은 다양한 매체서비스의 결합에 의존하여 다양한 서비스 형태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각 응용 서비스별로 다양한 형태의 서비스들을 제공하기 위해 필수적인 사용자 접속방법으로 '적응적 사용자 접속' 방법을 채용한다. 이때 채용 가능한 방법으로 매우 다양한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현재의 여러 상황변수를 고려할 때 제공 가능한 기능만이 아이콘화되어 나타나게 하는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이런 경우에는 사용자는 현재 서비스 가능한 기능만을 선택할 수 있으므로 불필요한 통신접속 시도가 대폭 감소된다.
다음으로,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부분적인 서비스만이 가능한 기능도 표시해주는 방법을 채용할 수도 있다. 즉, 도 6의 경우에는 오디오-온-디맨드(AOD) 기능이 일부만 동작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특정 기능이 일부만 동작하는 조건은 매우 다양하게 있을 수 있다. 즉, 해당 기능을 제공하는 서버에서의 일시적인 오버로드나, 해당 서버와의 통신선로에서의 일시적인 트래픽 증가에 의한 대역폭의 감소 등을 예로 들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 사용자는 해당 서비스의 품질이 그다지 좋지 않음을 알 수 있으며, 비록 그렇게 서비스 품질이 좋지 않은 경우라도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
도 7은 서비스 제공이 완전히 불가능한 서비스도 표시해주는 인터페이스의 예이다. 즉, 진한 색으로 되어 있는 비디오-온-디맨드 서비스와 TV 서비스는 현재 서비스가 전혀 제공이 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까지는 휴대통신단말장치에서 입력부와 출력부로서 터치 스크린을 사용한 경우의 예를 들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도 8에 도시한 것처럼 표시부 옆에 버튼을 마련하고 있는 단말장치에서도 적용이 가능하다. 이 경우에도 각 서비스를 나타내는 아이콘의 색이나 색 농도를 구분함으로써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적응적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적응적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음식주문용 단말장치에 적용한 경우의 예를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휴대형 음식주문단말기가 연결되는 전체 시스템의 구조를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도 9에서 다수의 음식주문단말기(100a..100n)들은 무선으로 무선인터페이스 장치(210)에 연결된다. 무선인터페이스 장치(210)는 중앙처리장치(220)와 다수의 음식주문단말기(100a..100n) 사이의 통신을 중재한다.
중앙처리장치(220)에는 또한 카운터에 설치되는 카운터용 단말장치(230)가 연결되어 음식주문단말기로부터의 주문에 따른 음식값을 계산하여 계산서를 발행하거나 디스플레이해주는 역할을 한다.
중앙처리장치(220)에는 또한 주방에 설치되는 주방용 단말장치(240)가 연결되어 음식주문단말기로부터의 주문을 표시하고, 각 메뉴를 서비스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입력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입력된 소요시간은 중앙처리장치(220)를 통해 각각의 음식주문단말기에 전달되어 음식주문단말기의 아이콘에 반영되게 된다.
도 10의 (a)는 각 메뉴의 서비스 가능여부 및 서비스에 소요되는 시간을 각 아이콘의 색 농도로서 표시한 경우의 예이다. 즉, 현재 제공되지 않는 메뉴는 디스플레이되지 않고, 시간이 많이 걸리는 메뉴는 진하게 표시되어 있다.
도 10의 (b)는 각 메뉴의 서비스에 소요되는 시간을 아예 아이콘 상에 표시한 경우의 예이다. 즉, 주방용 단말장치(240)에서 입력한 서비스 시간 데이터에 기초하여 중앙처리장치(220)에서 각 음식주문단말기에 서비스 시간 데이터를 보내면, 각 음식주문단말기의 화면에는 도시된 것처럼 각각의 메뉴들이 제공되는데까지 소요되는 시간이 함께 디스플레이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사용자에게 각 메뉴가 제공되는데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보여줌으로써 사용자가 메뉴를 선택할 때 사용자의 시간 여유까지 고려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르면, 현재의 여러 상황변수를 고려할 때 제공 가능한 기능만이 아이콘화되어 나타나게 함으로써, 사용자는 현재 서비스 가능한 기능만을 선택할 수 있어서 불필요한 통신접속 시도가 대폭 감소된다.
또한, 현재 부분적인 서비스만이 가능하거나 현재 제공되는 품질이 본래의 품질보다 떨어지는 서비스를 아이콘상에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서비스의 접속 또는 수행 이전에 자신이 받을 서비스의 상황을 예측할 수 있게 되어, 불필요한 통신접속을 억제함으로써 통신비의 절감, 통신망의 불필요한 혼잡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게 각 메뉴가 제공되는데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보여줌으로써 사용자가 메뉴를 선택하고 나서 서비스 시간이 너무 길어져서 곤란을 겪게 되는 일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메뉴를 신청하고 후에 다시 정정하게 되는 경우를 줄일 수 있다.

Claims (4)

  1.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다수의 기능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와, 사용자가 기능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해주는 입력부와, 외부장치와 통신을 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부와,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통신단말기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수의 기능중에서 선택가능한 기능만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2.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다수의 기능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와, 사용자가 기능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해주는 입력부와, 외부장치와 통신을 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부와,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통신단말기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기능을 문자 서비스, 음성 서비스, 이미지 서비스, 영상 서비스의 결합으로 구분하는 단계와,
    현재의 통신환경에 따라 현재 완전히 서비스할 수 있는 기능과, 일부만 서비스할 수 있는 기능과, 서비스할 수 없는 기능을 아이콘상으로 구분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단계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기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의 통신환경에 따라 아이콘상으로 표시하는 단계는 서비스 서버의 접속 가능 여부와, 통신채널의 사용 가능 여부와, 단말기의 버퍼공간의 여유 여부와, 휴대단말기의 전력여유 여부와, 휴대단말기의 전파신호감도에 의해 서비스 가능성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기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4.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메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와, 사용자가 기능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해주는 입력부와, 외부장치와 통신을 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부와,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다수의 단말기와,
    상기 다수의 단말기와 무선으로 통신하는 무선인터페이스장치와,
    주방에 설치되어 상기 다수의 단말기로부터 들어온 주문을 표시하는 주방단말장치와,
    카운터에 설치되어 상기 다수의 단말기로부터 들어온 주문에 따라 식대를 계산하여 출력하는 카운터단말장치와,
    상기 무선인터페이스장치를 통해 상기 다수의 단말기와 통신하고, 상기 주단말장치와 상기 카운터단말장치와 상기 다수의 단말기 사이의 통신을 제어하는 중앙제어장치를 구비하는 음식주문 시스템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주방단말장치에서 각 메뉴의 서비스 가능 여부 및 서빙 시간을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중앙제어장치에서 상기 주방단말장치로부터의 상기 서비스 가능 여부 및 서빙 시간 데이터를 받아서 상기 다수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주방단말장치로부터 입력된 서비스 가능 여부 및 서빙 시간 데이터에 따라 상기 다수의 단말기의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각 메뉴의 아이콘을 구분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주문 시스템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KR1019990019038A 1999-05-26 1999-05-26 지능형 아이콘 인터페이스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장치 KR1003288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9038A KR100328860B1 (ko) 1999-05-26 1999-05-26 지능형 아이콘 인터페이스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9038A KR100328860B1 (ko) 1999-05-26 1999-05-26 지능형 아이콘 인터페이스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4826A true KR20000074826A (ko) 2000-12-15
KR100328860B1 KR100328860B1 (ko) 2002-03-20

Family

ID=19587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9038A KR100328860B1 (ko) 1999-05-26 1999-05-26 지능형 아이콘 인터페이스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886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1464B1 (ko) * 2004-09-07 2006-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서비스 지역 알림 방법
US11068085B2 (en) 2012-04-28 2021-07-20 Huawei Device Co., Ltd. Method for processing touch screen terminal object and touch screen terminal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31478A (ja) * 1994-02-18 1995-08-29 Sharp Corp デジタルコードレス電話装置
US5657378A (en) * 1995-04-11 1997-08-12 M Power Corporation Digital screen phone terminal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KR19980025600A (ko) * 1996-10-04 1998-07-15 양승택 웹(Web)기술을 이용한 기술적 여론 관리 장치에서 서비스 품질에 따른 데이터 처리 방법
KR19980030430A (ko) * 1996-10-29 1998-07-25 배순훈 오더링 시스템의 주문 제어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JPH11143943A (ja) * 1997-11-07 1999-05-28 Seiko Instruments Inc 注文データ管理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1464B1 (ko) * 2004-09-07 2006-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서비스 지역 알림 방법
US11068085B2 (en) 2012-04-28 2021-07-20 Huawei Device Co., Ltd. Method for processing touch screen terminal object and touch screen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28860B1 (ko) 2002-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64558C (zh) 在便携终端的视频通话中选择性地传输图像的方法
KR920005907B1 (ko) 코드레스 전화기의 제어방법
US20070229556A1 (en) Display data size adjust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portable terminal
US20040013246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difying display formation of mobile phone
JP2002281558A (ja) 移動通信端末装置及びサーバ装置
US20050148331A1 (en) Presence status update system and method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JP2002335345A (ja) 通信装置
US20030074412A1 (en) Electronic mail communication system and portable terminal for the same
US9185192B2 (en) Method and system of power saving and portable device using the same
KR20010074009A (ko) 톤 데이터와 그래픽 이미지 (캐릭터) 데이터를이동기지국으로 다운로드 시키는 방법과 그를 위한 시스템
WO2002011475A1 (ko) Method and apparatus of intelligent icon interface
KR100640391B1 (ko) 인터넷을 이용한 휴대폰 배경화면 다운로드 시스템 및휴대폰의 배경화면 디스플레이방법
MXPA05002647A (es) Un metodo y un aparato para proveer servicios multimedia en terminal movil.
KR100328860B1 (ko) 지능형 아이콘 인터페이스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장치
JPH11187155A (ja) 情報提供サービスシステムおよび情報提供サービス方法
US7333802B2 (en) Internet access control metho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 built-in web browser
JPS6258583B2 (ko)
KR101312154B1 (ko) 대기화면상에 콘텐츠를 표시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제어방법
JP2002007282A (ja) 電子メールシステム、端末装置、及び記憶媒体
KR100598963B1 (ko) 기능 모드별 메뉴 제어 장치 및 방법
JP4111894B2 (ja) データ提供システム、データ提供方法及び通信装置
KR20020078814A (ko) 이동 단말기의 무선 메뉴 자동 변경 방법
KR100249832B1 (ko) 단문메시지 서비스 기능 제공 방법
KR20020061884A (ko) 일반통신망을 이용한 영상정보단말기
US20030104838A1 (en) Voice call originating method in radio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22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