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8963B1 - 기능 모드별 메뉴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기능 모드별 메뉴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598963B1 KR100598963B1 KR1020040012480A KR20040012480A KR100598963B1 KR 100598963 B1 KR100598963 B1 KR 100598963B1 KR 1020040012480 A KR1020040012480 A KR 1020040012480A KR 20040012480 A KR20040012480 A KR 20040012480A KR 100598963 B1 KR100598963 B1 KR 10059896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de
- function
- button
- modes
- inpu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6/00—Stand-alone rests or supports for feet, legs, arms, back or head
- A47C16/04—Prayer-stools; Kneeling stools; Kneeling suppor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16—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of legless type, e.g. with seat directly resting on the floor; Hassocks; Pouff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5/00—Chairs of special material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5/00—Chairs of special materials
- A47C5/12—Chairs of special materials of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
Landscapes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능 모드별 모드 전환 및 메뉴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복수의 기능 모드들을 단말기에 있는 모드 전환 버튼을 이용하여 전환하고 각각의 모드별 메뉴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단말기에서 수행할 기능의 종류와 수를 판단하고 이에 상응하는 기능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기능 모드별로 각각 다른 메뉴들과 버튼의 대응 관계를 저장하고, 메뉴가 표시될 화면 영역을 분할하여 분할된 화면에 메뉴가 표시되는 단계, 상기 기능 모드간에 모드 전환을 수행하는 모드 전환 버튼을 특정하여 모드 전환 버튼의 입력이 검출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기능 모드들을 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능 모드별 모드 전환 및 메뉴 제어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각각의 모드에서 다른 모드로 변경시에는 모드 전환 버튼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전환할 수 있도록 하여, 한정된 단말기의 버튼 자원을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모드별로 다양한 메뉴가 분할된 화면 영역에 표시되어 있어,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손쉽게 메뉴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키패드, 소프트키, 모드 전환, 활성화 모드, 비활성화 모드, 플래시 기본 모드, 플래시 조정 모드.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능 모드별 모드 전환 및 메뉴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 모드별 모드 전환 및 메뉴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5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능 모드별 모드 전환 및 메뉴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5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능 모드별 모드 전환 및 메뉴 제어 방법에서 버튼의 대응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5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능 모드별 모드 전환 및 메뉴 제어 방법에서 서로 다른 모드를 비교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우측 기능키
120 : 좌측 기능키
130 : 확인 버튼
140 : 상하좌우 방향 버튼
150 : 번호 버튼
160 : 상부 표시부
170 : 중부 표시부
180 : 하부 표시부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복수의 기능 모드들을 단말기에 있는 모드 전환 버튼을 이용하여 전환하고 각각의 모드별 메뉴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이동 통신 단말기는 단지 음성통화의 기능만을 하지 않고, 단말기 자체내에서 또는 이동 통신망과 연동되어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예를 들어, 이동 통신 단말기에는 그 자체의 다양한 메뉴뿐만 아니라, 인스턴트 메신저(IM : Instant messenger), 멀티미디어(동영상, 음악 파일 등) 다운로드/재생 서비스, 텍스트 기반 응용 서비스(워드, 엑셀 뷰어, 주소록 등) 등 플랫폼 기반의 다양한 애 플리케이션 등이 탑재되어 있다.
그런데 아무리 이동 통신 단말기의 기능이 향상되더라도 사용자와의 커뮤니케이션은 기본적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입력부인 키패드 버튼를 이용하여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이동 통신 서비스가 다양해짐에 따라 사용자가 조작할 버튼의 기능도 복잡해지고, 버튼의 사용도 많아졌지만, 이러한 버튼의 조작을 하면서 동시에 기존의 음성 통화 기능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아야 한다. 그러나 이동 통신 단말기의 입력부에 있는 키패드 버튼의 수는 물리적으로 한정되어 있다. 또한, 버튼의 크기를 줄이면 그 수는 많아질 수 있으나, 버튼의 크기가 너무 작으면, 사용자가 버튼을 이용하기에 불편하므로 크기를 줄이는 데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기존의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음성 통화와 관련된 번호 버튼 또는 그 상단에 위치한 방향 버튼 등의 OEM메뉴 컨트롤 부분의 버튼이 이동 통신 단말기 자체의 메뉴 또는 이동 통신망과 연계되는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기 위해서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내장된 버튼의 수를 늘리기 보다는 보다 간편한 버튼의 조작이 이루어 질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 단말기에서 복수의 기능 모드들을 단말기에 있는 모드 전환 버튼을 이용하여 전환하는 방법을 제시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 단말기에서 한정된 버튼 자원을 모드별로 이 용하여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현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 단말기에서 복수의 기능 모드를 구현하고 각각의 모드에서 분할된 화면 영역별로 메뉴를 표시하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메뉴 제어 방법을 제시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복수의 기능 모드들이 서로 전환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복수의 입력키를 포함하는 입력부 버튼, 상기 기능 모드 변경을 위한 명령을 입력 받는 모드 전환 버튼, 상기 복수의 기능 모드별로 각각 다른 메뉴들이 분할된 영역에 표시되는 표시부, 상기 복수의 기능 모드별로 각각 다른 메뉴들과 상기 입력부 버튼의 대응 관계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복수의 기능 모드 중 어느 하나의 기능 모드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모드 전환 버튼의 입력이 검출되면 다른 기능 모드로 전환하도록 상기 표시부 및 상기 저장부를 제어하고, 상기 입력부 버튼이 상기 저장부에서 대응되는 메뉴들에 따라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 모드별 모드 전환 및 메뉴 제어 장치가 제시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에 있는 기능 모드별로 메뉴를 제어하고, 복수의 기능 모드들을 서로 전환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수행할 기능의 종류와 수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기능의 종류와 수에 상응하는 기능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기능 모드별로 각각 다른 메 뉴들과 버튼의 대응 관계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기능 모드별로 각각 다른 메뉴들이 표시될 화면의 크기를 판단하여 분할 화면의 수를 결정하고 화면의 영역을 분할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기능 모드별로 분할된 화면의 영역에 각각 다른 메뉴가 표시되는 단계, 상기 기능 모드간에 모드 전환을 수행하는 모드 전환 버튼을 특정하는 단계, 상기 모드 전환 버튼의 입력이 검출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기능 모드들을 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 모드별 모드 전환 및 메뉴 제어 방법이 제시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기능 모드별 모드 전환 및 메뉴 제어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즉, 도 1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다양한 기능 모드가 구현되어 표시되는 표시부와 모드 전환 버튼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는 입력부인 키패드와 표시부를 포함하며, 키패드는 좌우측 기능키(110, 120), 확인 버튼(130), 상하좌우 방향 버튼(140) 및 번호 버튼(150)을 포함하고, 표시부는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세 영역(160, 170, 180)으로 분할된 경우를 가정하여 도시하였다. 각각의 모드에서 수행될 기능 항목들은 미리 판단, 설정되며, 이에 상응하여 기능 모드의 수가 결정한다.
사용자 단말기는 이동 통신이 가능한 장치로서, 예를 들어 이동 통신 단말기, PDA 등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에는 예를 들어, 활성화 모드와 비활성화 모드, 플래시 모드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 모드가 구현되며, 이러한 다양한 기능 모드는 단말기의 버튼을 이용하여 모드 전환이 수행된다. 단말기에 다양한 모드가 있더라도, 기본적인 기능인 음성 통화 및 메시지 전송 등은 각각의 모드에서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사용자 단말기의 기본적인 기능인 음성 통화 및 메시지 전송을 하는데 사용되는 번호 버튼, 통화 버튼, 종료 버튼 등과 같은 버튼의 키이벤트는 모드별로 달라지지 않아야 할 것이다. 따라서 각각의 모드에서 사용자가 입력부의 번호 버튼(150) 등의 메뉴를 이용하여 통화호 또는 문자메시지를 전송하면, 이러한 발신호는 이동 통신 시스템으로 전송된다. 즉, 당해 발신호는 기지국을 거쳐 교환기에 도달하고 교환기는 HLR(홈가입자 위치등록기) 및 메시지 센터와 연동하여 통화호 또는 문자메시지를 수신자 단말기에 전송한다.
또한,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서비스는 매우 다양하며, 이에 대응하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무선 인터넷 기능을 이용하여 콘텐츠 서버에서 다운로드할 수 있도록 한다. 콘텐츠 서버는 단말기에 있는 각각의 모드에서 수행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콘텐츠를 입력, 저장하고 있는 서버이다.
일반적으로 모드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특정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상태를 말하며, 한글입력모드, 영어입력모드, 매너모드, 보호모드 등 매우 다양한 모드가 존재한다. 그러나 여기에서의 기능 모드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다 양한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는 상태를 칭하며, 기능 모드의 예를 들면, 화면의 활성에 따라 활성화 모드(Idle 모드, Interactive 모드)와 비활성화 모드(OEM 모드, Non-interactive 모드)가 있고, 모바일 플래시 모드인 경우 플래시 기본 모드와 플래시 조정 모드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활성화 모드는 사용자가 정보와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는 모드이며 단말기의 아이들 모드(Idle mode)가 활성화된 상태를 말하므로 아이들 모드(Idle mode) 또는 인터랙티브 모드(Interactive mode)라고도 한다. 비활성화 모드는 활성화 모드에서의 정보와 서비스를 제외한 기본적인 모든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모드이며, 아이들 어플리케이션(Idle Application)이 비활성화되는 모드이다. 플래시 기본 모드는 모바일 플래시 플레이어 구동 시 최초에 보여지는 화면의 모드이며, 플래시 조정 모드는 플래시 기본 모드에서 모드 전환 버튼을 누른 경우 보여지는 화면의 모드로서 플래시 플레이어의 컨트롤 부분을 제어할 수 있다. 이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는 부분에서 각각의 기능 모드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표시부는 모드에서 수행될 기능에 상응하여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될 수 있으며, 도 1을 참조하면, 세 영역(160, 170, 180)으로 분할되어 있다. 상부 영역(160)은 이미지 등이 보여지는 영역이며, 그 하부 영역들(170, 180)은 입력부의 키패드 버튼의 조작에 따라 텍스트로 표시된 메뉴 또는 바로가기 아이콘를 표시하는 소프트키가 눌러지는 영역이다. 여기서 소프트키는 액정화면상의 소프트키와 키패드상의 소프트키로 구분되는데, 미리 설정된 키패드상의 소프트키를 누름으로써 액정화면상의 소프트키가 눌러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액정화면상의 소프 트키와 상응하는 키패드상의 소프트키는 임의로 특정되어 질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도 1을 참조하면, 입력부의 상단 오른쪽에 있는 버튼(우측 기능키 : 110)은 표시부의 하부 영역(180)내의 우측 아이콘에 상응하여 특정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이동 통신 단말기에는 일반적으로 송수화부, LED 표시부 등이 더 포함될 수 있으나 여기서는 이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의 특징을 나타내는 구성 요소만을 설명하도록 한다.
저장부(250)는 복수의 기능 모드별로 수행하는 각각의 다른 메뉴들과 기능 버튼 또는 방향 버튼의 대응 관계를 저장한다. 여기서 저장부(250)는 상기 대응관계를 저장하는 영역과 제어시 발생하는 임시데이터를 저장하는 영역으로 나뉠 수 있다. 상기 대응관계는 각각의 기능 모드에서 버튼의 입력 신호에 따라 실행되는 메뉴를 달리 지정하는 방식으로 설정된다. 다만, 번호 버튼, 통화 버튼, 종료 버튼 등의 기본적인 음성 통화 및 문자 메시지 전송을 위한 버튼은 그 입력 신호가 언제나 동일한 기능과 대응되어 있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본 발명에 따라 구비되는 특정한 버튼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테이블을 가질 수 있다.
제어부(230)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복수의 기능 모드 중 어느 하나의 기능 모드가 표시부에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모드 전환 버튼의 입력이 검출되는 경우 다른 기능 모드로 전환하도록 제어하고, 상하좌우 방향 버튼(140)과 확인 버튼(130)이 상기 저장부(250)에서 대응되는 메뉴들에 따라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표시부(210)는 복수의 기능 모드들에서 수행되는 각각의 메뉴들이 표시되는 영역으로 도 1을 참조하면, 세 영역(160, 170, 180)으로 분할되어 있다. 무선부(240)는 사용자 단말기와 이동 통신 시스템간에 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하기 위한 부분이다. 예를 들어, 무선부(240)에서는 안테나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신호가 듀플렉서를 거쳐 무선 수신부로 전달되고, 또한, 무선 송신부에서 출력한 신호를 듀플렉서를 거쳐 안테나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무선부(240)를 통해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이동 통신이 가능하고, 무선으로 모드별 콘텐츠를 콘텐츠 서버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입력부(220)인 키패드는 좌우측 기능키(110, 120), 확인 버튼(130), 상하좌우 방향 버튼(140) 및 번호 버튼(15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버튼들 중에서 어느 하나를 모드 전환 버튼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상술한 바에 의하면, 우측 기능키(110)를 모드 전환 버튼으로 설정하였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어, 기존의 번호 버튼 중에서 특정의 버튼을 오래 누르고 있는 경우 모드 전환 신호가 발생하는 등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능 모드별 모드 전환 및 메뉴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단계 S310에서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수행될 서비스(기능)를 판단한다. 사용자 요구 또는 단말기 제조자의 개발에 의하여 다양한 기능이 사용자 단말기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이 수행될 수 있도록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제공하고, 디스플레이의 영역도 적절한 분할을 통해 다양한 메뉴들이 표시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수행될 서비스의 종류 및 수는 단말기의 모드 특성에 맞도록 결정한다.
단계 S320에서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서비스(기능)를 수행할 각각의 모드를 결정한다. 사용자 단말기에 존재할 모드의 수와 종류는 각각의 모드에서 수행될 서비스에 맞고, 사용자 단말기의 특성에 맞도록 결정한다.
단계 S330에서는, 사용자 단말기에 있는 복수의 기능 모드별로 각각 다른 메뉴들과 버튼의 대응관계를 정하고 그 결과를 저장한다. 즉, 기능 버튼, 확인 버튼 및 방향 버튼이 각각의 모드에서 어떠한 기능을 하는지 정한다. 다만, 어떠한 기능 모드상에도 문자 메시지의 전송 및 다이얼링이 가능하도록 번호 버튼, 확인 버튼 및 종료 버튼은 각각 다이얼링, 통화호 요청, 통화호 종료 등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
단계 S340에서는, 사용자 단말기에 구현된 복수의 기능 모드에서 각각 다른 메뉴들이 표시되기 위해 화면 구성을 한다. 즉,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의 크기를 고려하여, 메뉴가 위치할 영역을 판단하고, 이에 상응하여 분할 화면의 수를 정한 후 기능 모드별로 다르게 화면의 영역을 분할한다. 단계 S350에서는, 복수의 기능 모드별로 미리 분할된 화면의 영역에 각각 다른 메뉴가 표시된다.
단계 S360에서는, 사용자 단말기에 구현된 복수의 기능 모드들을 서로 전환하는 버튼을 특정한다. 모드 전환 버튼은 입력부의 키패드 버튼 중에서 특정되며, 액정화면상의 소프트키와 연계되어 키패드상의 소프트키와 같이 눌러질 수 있게 구 성된다. 모드 전환 버튼으로 특정된 입력부의 키패드 버튼과 액정 화면상의 소프트키와의 대응관계는 저장부에서 저장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모드 전환 버튼은 단말기에 별도의 하드키를 구비하거나 이와 다른 액정화면상의 소프트키를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단계 S370에서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모드 전환 버튼이 입력되는 경우 기능 모드가 전환된다. 기능 모드가 플래시 기본 모드와 플래시 조정 모드로 구분되는 경우 현재 설정되어 있는 기능 모드가 플래시 기본 모드인 경우 플래시 조정 모드로 전환되고, 플래시 조정 모드인 경우 플래시 기본 모드로 전환되며, 기능 모드가 활성화 모드와 비활성화 모드로 구분되는 경우 현재 설정되어 있는 기능 모드가 활성화 모드인 경우 비활성화 모드로 전환하고, 비활성화 모드인 경우 활성화 모드로 전환된다.
이상에서 단말기의 버튼을 이용한 모드 전환 방법을 일반적으로 도시한 단말기의 구성도와 그 절차상의 흐름도를 설명하였으며,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버튼을 이용한 모드 전환 방법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는 단말기에 구현된 기능 모드가 플래시 기본 모드와 플래시 조정 모드로 구분된 경우 및 활성화 모드와 비활성화 모드로 구분된 경우를 각각 나누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 모드별 모드 전환 및 메뉴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에서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현재의 모드가 플 래시 모드인 경우를 도시하였다. 플래시 모드에는 플래시 기본 모드와 플래시 조정 모드가 있다. 이하에서 각각의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플래시 기본 모드는 모바일 플래시 플레이어 구동 시 최초에 보여지는 화면의 모드이다. 플래시 기본 모드에서는 플래시 콘텐츠의 특성을 살릴 수 있는 다양한 메뉴들이 있는데, 각각의 메뉴는 콘텐츠에 정의된 키 이벤트 액션에 대응된다. 이를 처리하기 위하여 단말기 키패드의 상하좌우 방향 버튼(140)에 의하여 커서의 위치를 옮길 수 있으며, 번호 버튼(또는 문자 버튼)(150)을 통하여 문자 입력을 받을 수도 있도록 되어 있다. 문자의 입력은 예를 들어, 서비스가 퀴즈, 대화형 콘텐츠 등일 경우 콘텐츠를 보면서 문자 입력이 필요한 경우에 필요하다. 또한, 상하좌우 방향 버튼(140)을 이용하여 콘텐츠의 크기를 변경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퍼스널 컴퓨터(PC)의 모니터의 화면 조정시 보여지는 방식처럼 다양한 메뉴를 메뉴 영역(440)에 두어 좌우 방향 버튼(140)을 이용하여 콘텐츠의 크기를 변경할 수도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표시부가 다섯 영역으로 분할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플래시 플레이어 구동 시 보여지는 상부 화면(430), 메뉴 영역(440), 텍스트 표시 화면(450), 음량 조절 화면(460), 모드 표시 화면(470)으로 표시부가 분할되어 있다. 상부 화면(430)에는 단말기에서 플래시가 보여지는 화면이며, 메뉴 영역(440)은 화면 크기 조정, 색상 등과 같은 다양한 메뉴를 보여 주는 화면이고, 텍스트 표시 화면(450)은 현재 구동 중인 플래시의 제목을 나타내는 화면이다. 음량 조절 화면(460)에는 현재의 음량이 수치 또는 모양으로 보여지며, 음량 조절 화면(460)에 표시된 음량의 정도는 음량 조절 버튼(410, 420)을 이용하여 높이거나 낮출 수 있다. 모드 표시 화면(470)에는 모드 전환 버튼이 입력되는 경우에 새롭게 전환되어 표시될 기능 모드를 나타낸다. 현재의 모드가 플래시 기본 모드(또는 조정 모드)이면 모드 표시 화면(470)에는 플래시 조정 모드(또는 기본 모드)라는 텍스트가 표시된다. 플래시 기본 모드에서 모드 전환 버튼을 누르면 단말기의 모드는 플래시 조정 모드로 전환된다.
플래시 조정 모드는 플래시 기본 모드에서 모드 전환 버튼을 누른 경우 보여지는 화면의 모드이다. 플래시 조정 모드에서는 플래시 플레이어의 컨트롤 부분을 제어할 수 있다. 플래시 플레이어의 컨트롤 부분은 텍스트 표시 화면(450)에 표시되며, 바람직하게는 되감기(Rewind), 멈춤(Pause), 음량조절, 줌(Zoom)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들은 상하좌우 방향 버튼(140)에 의하여 제어된다. 플래시 조정 모드에서 모드 전환 버튼을 누르면 단말기의 모드는 플래시 기본 모드로 전환된다. 플래시 기본 모드에서와 동일한 기능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화면상의 메뉴와 입력부의 버튼간의 대응관계를 살펴보면,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으나, 도 4를 참조하면, 좌측 기능키(120)와 메뉴 영역(440)이 서로 대응되며, 우측 기능키(110)와 모드 표시 화면(470)이 서로 대응된다. 이러한 대응관계는 단말기에 미리 설정될 수 있으나, 단말기의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변경될 수도 있다.
도 5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능 모드별 모드 전환 및 메뉴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즉, 도 5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 른 단말기에서 활성화 모드와 비활성화 모드가 구현된 경우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활성화 모드는 사용자가 정보와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는 모드이다. 활성화 모드는 단말기의 아이들 모드(Idle mode)가 활성화된 상태를 말하므로 아이들 모드(Idle mode) 또는 인터랙티브 모드(Interactive mode)라고도 한다. 여기서 아이들 모드(Idle mode)란 단말기의 대기화면 상태를 말하며, 아이들 어플리케이션(Idle Application)은 세부적으로 아이들 어플리케이션(Idle Application)과 에이전트 어플리케이션(Agent Application)으로 구분된다. 아이들 어플리케이션(Idle Application)은 단말기의 Idle 유저 인터페이스를 관장하는 플랫폼의 한 부분으로 단말기의 대기화면에 설정되며, 기존 단말기의 배경 설정이 그대로 보여질 수 있다. 아이들 어플리케이션(Idle Application)에서는 서비스 이용에 따른 정보를 입력할 수 있고 핫메뉴(네트워크 이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정보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따로 배치해 둔 메뉴)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설정 해제에 대한 메뉴는 단말기에서 제공된다. 에이전트 어플리케이션(Agent Application)은 플랫폼 서비스(WIPI, BREW 등)내에서 다운로드 받는 어플리케이션으로 그 자체가 하나의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으로 대기화면에 설정할 수 있다.
아이들 어플리케이션(Idle Application)과 에이전트 어플리케이션(Agent Application)(이하 아이들 어플리케이션(Idle Application)으로 통칭한다)은 이미지 영역(510), 정보 선택 영역(520), 바로가기 영역(530)의 세가지 영역으로 구성된다. 이미지 영역(510)은 단말기에서 지정된 이미지(캐릭터, 사진 등)를 배경화면으로 보여주는 영역이며 기본적으로 커서가 이동할 수 없으나, 에이전트 어플리케 이션(Agent Application)에서는 어플리케이션의 지원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이미지 영역에서 보여지는 배경화면은 기존 CP(Contents Provider)들에 의해 제공되는 컨텐츠 서버(510S)에서 제공되어 진다. 정보 선택 영역(520)은 텍스트 정보가 선택되어지는 영역이며, 텍스트 정보는 예를 들어, 뉴스, 증권, 이벤트, 체험 컨텐츠 등의 정보가 있다. 커서가 이 영역으로 이동되었을 때는 좌우 화살표(미도시)가 생성되고, 상하좌우 방향 버튼(140)으로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실시간의 다양한 정보는 정보 제공 서버(520S)에서 제공된다. 바로가기 영역(530)은 바로가기 서비스 아이콘(540)이 보여지는 영역이며, 상하좌우 방향 버튼(140)을 사용하여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다. 바로가기 영역(530)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는 MMS, VOD, AOD와 같은 다양한 서비스이며, 이러한 서비스의 내용물은 별도의 테마 서버(530S)에서 제공된다. 또한, 바로 가기 영역(530)내의 우측에는 액정화면상의 소프트키(550)가 있으며, 이는 키패드상의 소프트키(110)의 입력이 검출되면 눌러지면서 작동된다. 액정화면상의 소프트키(550)에 표시될 텍스트는 모드변경 또는 소프트키를 누르면 전환될 모드명을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컨텐츠 서버(510S), 정보 제공 서버(520S), 테마 서버(530S)들은 컨텐츠 과금 서버(미도시)에 연결되어 가입자별로 과금을 할 수 있으며, 또한 영업 정보 서버(미도시)와 연결하여 서비스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취향 분석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이용하여 타겟마케팅을 할 수도 있다.
활성화 모드에서 키패드상의 소프트키(110), 상하좌우 방향 버튼(140), 확인 버튼(130)을 제외한 모든 키 즉, 번호 버튼(150), 통화키, 종료키 등은 모두 아 이들 어플리케이션(Idle Application)에 대응되지 않고, 통화 등의 단말기의 기본 기능과 대응된다. 즉, 사용자는 활성화 모드에서도 번호 버튼를 눌러 통화호 또는 문자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활성화 모드에서 소프트키(110, 550)를 누르면 단말기의 모드는 비활성화 모드로 전환된다.
비활성화 모드는 활성화 모드에서의 정보와 서비스를 제외한 기본적인 모든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모드이며, 아이들 어플리케이션(Idle Application)이 비활성화되는 모드이다. 표시부는 활성화 모드와 마찬가지로 이미지 영역(510), 정보 선택 영역(520), 바로가기 영역(530)의 세가지 영역으로 구성되지만, 정보 선택 영역(520)과 바로가기 영역(530)은 비활성화된다. 다만, 바로 가기 영역의 우측에 있는 액정화면상의 소프트키(550)는 활성화되어 소프트키가 눌러지는 경우 단말기의 모드는 활성화 모드로 전환된다. 비활성화 모드에서 키패드상의 소프트키(110)를 제외한 모든 키들은 모두 통화 등의 단말기의 기본 기능과 대응된다. 활성화 모드에서와 동일한 기능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능 모드별 모드 전환 및 메뉴 제어 방법에서 버튼의 대응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에서는 사용자 단말기에 구현된 활성화 모드에서의 화면 구성 및 버튼과 메뉴의 대응관계를 도시하였다.
도 5b를 참조하면, 500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활성화 모드에서 기본 커서가 바로가기 영역(530)에 있는 화면이다. 기본 커서가 바로가기 영역(530)에 있는 경우, 좌우 화살표(560)가 생성되며, 사용자는 좌우 방향 버튼(140)을 사용하여 바로 가기 서비스 아이콘(540)을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기본 커서는 좌우 방향 버튼(140)에 의해 바로가기 서비스 아이콘(540)간에 이동이 가능하고, 좌우 양측의 화살표(560)에 기본 커서가 있는 경우에는 좌우로 숨겨진 아이콘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상하 방향 버튼(140)을 사용하여 기본 커서를 정보 선택 영역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기본 커서가 아이콘에 있는 경우 사용자는 확인 버튼(130)을 클릭하여 해당 아이콘에 연결되어 있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501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활성화 모드에서 기본 커서가 정보 선택 영역(520)에 있는 화면이다. 기본 커서가 정보 선택 영역에 있는 경우에는 바로가기 영역에 있던 좌우 화살표(560)는 사라지고, 대신 정보 선택 영역에 좌우 화살표(570)가 생성된다. 여기서 좌우 방향 버튼(140)에 의해 좌우에 숨어 있는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바로가기 영역(530)내의 우측에는 액정화면상의 소프트키(550)가 있으며, 이는 키패드상의 소프트키(110)의 입력이 검출되면 눌러지면서 작동된다. 액정화면상의 소프트키(550)는 기본 커서가 바로가기 영역(530)에 있든지 또는 정보 선택 영역(520)에 있든지 관계없이 버튼이 활성화되어 있으며, 502에서의 키패드상의 소프트키(110)의 입력 신호와 연결되어 키패드상의 소프트키(110)가 클릭되는 경우 현재 모드가 활성화 모드이면 비활성화 모드로, 역으로 현재 모드가 비활성화 모드이면 활성화 모드로 모든 전환이 가능하다.
도 5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능 모드별 모드 전환 및 메뉴 제어 방법에서 서로 다른 모드를 비교한 도면이다. 여기에서는 사용자 단말기에 구현된 활성화 모드와 비활성화 모드를 서로 비교하였다.
503은 사용자 단말기에 구현된 활성화 모드를 나타낸 화면이며, 여기에서는 기본 커서가 정보 선택 영역(520)에 있는 경우를 도시하였고, 504는 비활성화 모드를 나타낸 화면이다. 비활성화 모드의 특징 중 활성화 모드와의 큰 차이점은 정보 선택 영역(520) 및 바로가기 영역(530) 중 어느 영역에도 좌우 화살표가 표시되지 않으며 기본 커서가 놓여 있지 않다는 점이다. 도 5b를 참조하면, 우측 기능키(110)에 의해 두 모드가 서로 전환되고, 어느 모드에서도 번호 버튼(150)을 이용하여 다이얼링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많은 변형이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능 모드별 모드 전환 및 메뉴 제어 방법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각각의 모드를 단말기에 있는 모드 전환 버튼을 이용하여 전환하고 복수의 모드별 메뉴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이동 통신 단말기의 기능이 향상됨에 따라 사용자가 조작할 버튼의 기능도 복잡해지고, 버튼의 사용도 많아졌으나 단말기의 버튼의 수는 한정되어 있으므로, 버튼의 작동이 점점 더 복잡해지고 있다. 이러한 버튼의 조작을 간편하게 하면서 동시에 기존의 음성 통화 기능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기 위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에 다양한 모드가 존재하도록 하며, 각각의 모드에서는 사용자 어플리케 이션이 구현되는 동시에 기본적인 음성 통화 기능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각각의 모드에서 다른 모드로 변경시에는 모드 전환 버튼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전환할 수 있도록 하여, 한정된 단말기의 버튼 자원을 다양하게 사용함으로써 사용자는 구비된 기능을 편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모드별로 다양한 메뉴가 분할된 화면 영역에 표시되어 있어,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손쉽게 무선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 복수의 기능 모드들이 서로 전환되는 사용자 단말기에 있어서,복수의 입력키를 포함하는 입력부 버튼;상기 기능 모드 변경을 위한 명령을 입력 받는 모드 전환 버튼-상기 모드 전환 버튼은 상기 입력부 버튼 중 하나의 입력키로 특정되며, 표시부 상의 소프트키와 연계되어 입력됨-;상기 복수의 기능 모드별로 각각 다른 메뉴들이 분할된 영역에 표시되는 표시부;상기 복수의 기능 모드별로 각각 다른 메뉴들과 상기 입력부 버튼의 대응 관계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상기 복수의 기능 모드 중 어느 하나의 기능 모드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모드 전환 버튼의 입력이 검출되면 다른 기능 모드로 전환하도록 상기 표시부 및 상기 저장부를 제어하고, 상기 입력부 버튼이 상기 저장부에서 대응되는 메뉴들에 따라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 모드별 메뉴 제어 장치.
- 삭제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복수의 기능 모드들은 플래시 기본 모드와 플래시 조정 모드 및 활성화 모드와 비활성화 모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 모드별 메뉴 제어 장치.
- 사용자 단말기에 있는 기능 모드별로 메뉴를 제어하고, 복수의 기능 모드들을 서로 전환하는 방법에 있어서,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수행할 기능의 종류와 수를 판단하는 단계;상기 기능의 종류와 수에 상응하는 기능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상기 복수의 기능 모드별로 각각 다른 메뉴들과 버튼의 대응 관계를 저장하는 단계;상기 복수의 기능 모드별로 각각 다른 메뉴들이 표시될 화면의 크기를 판단하여 분할 화면의 수를 결정하고 화면의 영역을 분할하는 단계;상기 복수의 기능 모드별로 분할된 화면의 영역에 각각 다른 메뉴가 표시되는 단계;상기 기능 모드간에 모드 전환을 수행하는 모드 전환 버튼을 상기 입력부 버튼 중 하나의 입력키로 특정하는 단계; 및상기 모드 전환 버튼의 입력이 검출되는 경우 화면 상의 소프트키가 연계되어 입력 되며, 상기 복수의 기능 모드들을 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 모드별 메뉴 제어 방법.
- 삭제
- 삭제
- 제 5항에 있어서,상기 복수의 기능 모드들은 플래시 기본 모드와 플래시 조정 모드 및 활성화 모드와 비활성화 모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 모드별 메뉴 제어 방법.
- 제 8항에 있어서,상기 모드 전환 버튼을 누르면,상기 기능 모드가 상기 플래시 기본 모드와 상기 플래시 조정 모드로 구분되는 경우 현재 설정되어 있는 기능 모드가 상기 플래시 기본 모드인 경우 상기 플래시 조정 모드로 전환되고, 상기 플래시 조정 모드인 경우 상기 플래시 기본 모드로 전환되며,상기 기능 모드가 상기 활성화 모드와 상기 비활성화 모드로 구분되는 경우 현재 설정되어 있는 기능 모드가 상기 활성화 모드인 경우 상기 비활성화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비활성화 모드인 경우 상기 활성화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 모드별 메뉴 제어 방법.
- 단말기에 있는 기능 모드별로 메뉴를 제어하고, 복수의 기능 모드들을 서로 전환하는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유형적으로 구현되어 있으며, 이동통신 시스템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기록매체에 있어서,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수행할 기능의 종류와 수를 판단하는 단계;상기 기능의 종류와 수에 상응하는 기능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상기 복수의 기능 모드별로 각각 다른 메뉴들과 버튼의 대응 관계를 저장하는 단계;상기 복수의 기능 모드별로 각각 다른 메뉴들이 표시될 화면의 크기를 판단하여 분할 화면의 수를 결정하고 화면의 영역을 분할하는 단계;상기 복수의 기능 모드별로 분할된 화면의 영역에 각각 다른 메뉴가 표시되는 단계;상기 기능 모드간에 모드 전환을 수행하는 모드 전환 버튼을 상기 입력부 버튼 중 하나의 입력키로 특정하는 단계; 및상기 모드 전환 버튼의 입력이 검출되는 경우 화면 상의 소프트키가 연계되어 입력 되며, 상기 복수의 기능 모드들을 서로 전환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12480A KR100598963B1 (ko) | 2004-02-25 | 2004-02-25 | 기능 모드별 메뉴 제어 장치 및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12480A KR100598963B1 (ko) | 2004-02-25 | 2004-02-25 | 기능 모드별 메뉴 제어 장치 및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86125A KR20050086125A (ko) | 2005-08-30 |
KR100598963B1 true KR100598963B1 (ko) | 2006-07-12 |
Family
ID=37270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12480A KR100598963B1 (ko) | 2004-02-25 | 2004-02-25 | 기능 모드별 메뉴 제어 장치 및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598963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1078623A3 (ko) * | 2009-12-24 | 2011-11-10 | 삼성전자 주식회사 | 컨텐츠 표시 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32044B1 (ko) * | 2005-11-23 | 2007-06-2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키 버튼 표시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동작방법 |
KR101154996B1 (ko) * | 2006-07-25 | 2012-06-1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메뉴화면 구성 방법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18711B1 (ko) | 1998-06-18 | 2002-02-19 | 윤종용 | 기능모드의문자인식이가능한디지털휴대용전화기및그방법 |
KR100372285B1 (ko) | 2000-06-12 | 2003-02-1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무선단말기에서 매크로 기능을 이용한 명령어 제어방법 |
US20030107500A1 (en) * | 2001-12-12 | 2003-06-12 | Lee Jae Wook | Keypad assembly with supplementary button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
-
2004
- 2004-02-25 KR KR1020040012480A patent/KR10059896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18711B1 (ko) | 1998-06-18 | 2002-02-19 | 윤종용 | 기능모드의문자인식이가능한디지털휴대용전화기및그방법 |
KR100372285B1 (ko) | 2000-06-12 | 2003-02-1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무선단말기에서 매크로 기능을 이용한 명령어 제어방법 |
US20030107500A1 (en) * | 2001-12-12 | 2003-06-12 | Lee Jae Wook | Keypad assembly with supplementary button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1078623A3 (ko) * | 2009-12-24 | 2011-11-10 | 삼성전자 주식회사 | 컨텐츠 표시 장치 |
CN102934070A (zh) * | 2009-12-24 | 2013-02-13 | 三星电子株式会社 | 内容显示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86125A (ko) | 2005-08-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786664B2 (en)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tegrated video communication applications on a mobile computing device | |
JP5356818B2 (ja) | 電子機器用のグラフィカル・ユーザー・インターフェース | |
US7801551B2 (en) | Screen changing method in mobile terminal | |
EP1993269B1 (en) | Bidirectional slide-type mobile communciation terminal and method of providing graphic user interface thereof | |
EP1855452B1 (en) | Multi-tasking apparatus and method in portable terminal | |
US20080176604A1 (en) |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 |
US20030064757A1 (en) | Method of displaying information on a screen | |
US20140087791A1 (en)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rotary key and method of controlling operation thereof | |
EP1802085A1 (en) | Method of displaying at least one function command and mobile terminal implementing the same | |
US20100173677A1 (en) | Mobile terminal apparatus, and television display method and program of the same | |
KR100652626B1 (ko) | 이동통신단말기의 멀티윈도우 전환 방법 | |
CA2673240A1 (en) |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viding a link to contacts on the idle screen | |
CN101346977A (zh) | 在移动设备上显示信息 | |
EP2329633B1 (en) | Slid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optical data connection of housing parts | |
KR100593973B1 (ko) | 원터치 메시지 전송을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방법 | |
US20070077970A1 (en) | Method of displaying information bar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KR100598963B1 (ko) | 기능 모드별 메뉴 제어 장치 및 방법 | |
KR100782075B1 (ko) | 휴대 단말에서 화면 전환 장치 및 방법 | |
KR100677471B1 (ko) | 멀티미디어 단말기의 메뉴 자동 전환 장치 및 방법 | |
KR100678093B1 (ko) | 휴대용 단말기의 즐겨찾기 방법 | |
KR101312154B1 (ko) | 대기화면상에 콘텐츠를 표시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제어방법 | |
JP2006211266A (ja) | 携帯電話機 | |
KR100618772B1 (ko) |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신 모드 운용 방법 | |
KR100664172B1 (ko) | 휴대 단말기의 osd를 이용한 사용자 도움말 제공 방법 | |
KR20060023587A (ko) | 다중 작업 표시 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626 Year of fee payment: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901 Year of fee payment: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