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73934A - 광기록재생기의 트랙판별 방법 - Google Patents

광기록재생기의 트랙판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73934A
KR20000073934A KR1019990017532A KR19990017532A KR20000073934A KR 20000073934 A KR20000073934 A KR 20000073934A KR 1019990017532 A KR1019990017532 A KR 1019990017532A KR 19990017532 A KR19990017532 A KR 19990017532A KR 20000073934 A KR20000073934 A KR 200000739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ck
head
signal
detected
head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7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69916B1 (ko
Inventor
전형진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900175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9916B1/ko
Publication of KR200000739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39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99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99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009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 G11B20/10305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signal quality assessment
    • G11B20/10398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signal quality assessment jitter, timing deviations or phase and frequency errors
    • G11B20/10407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signal quality assessment jitter, timing deviations or phase and frequency errors by verifying the timing of signal transitions, e.g. rising or falling edges, or by analysing signal slop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7Arrangement of the information on the record carrier, e.g. form of tracks, actual track shape, e.g. wobbled, or cross-section, e.g. v-shaped; Sequential information structures, e.g. sectoring or header formats within a track
    • G11B7/00718Groove and land recording, i.e. user data recorded both in the grooves and on the lan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7Arrangement of the information on the record carrier, e.g. form of tracks, actual track shape, e.g. wobbled, or cross-section, e.g. v-shaped; Sequential information structures, e.g. sectoring or header formats within a track
    • G11B7/0079Zoned data area, e.g. having different data structures or formats for the user data within data layer, Zone Constant Linear Velocity [ZCLV], Zone Constant Angular Velocity [ZCAV], carriers with RAM and ROM area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7Arrangement of the information on the record carrier, e.g. form of tracks, actual track shape, e.g. wobbled, or cross-section, e.g. v-shaped; Sequential information structures, e.g. sectoring or header formats within a track
    • G11B2007/00709Dimensions of grooves or tracks, e.g. groove depth, track pitc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랜드와 그루브(또는 산과골)로 트랙이 구성되고 그 각각의 트랙에서 기록재생을 수행함에 있어서의 트랙 판별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서보가 제대로 동작되지 않는 시점에서 다음에 오는 트랙의 종류를 정확히 판별하지 못해 발생하는 오류를 방지하기 위해 트랙 판별의 신뢰도를 향상시킨 것이다. 이를위해 본발명은 기록가능한 데이타영역이 상이한 트랙구조로 존재하고, 상기 데이타영역의 트랙판별을 위해 위상이 상이한 복수의 구간으로 배치되어 있고 각 구간에는 상기 데이타영역의 디스크내의 위치정보를 가지는 헤드영역이 반복교대되어 연속적으로 존재하는 디스크에서 상기 데이타영역의 트랙종류를 판별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헤드영역에 기록된 위상이 상이한 복수의 구간에 있는 정보를 각각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각각의 신호가 서로다른 레벨을 가지는지를 검증하는 단계와, 상기 검증결과로부터 다음에 오는 데이타영역의 트랙종류를 판별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광기록재생기의 트랙 판별 방법 {Method for determing track of disc}
기록매체의 기술은 디스크에 기록된 데이타를 재생하는 기술에서 현재는 자유롭게 디스크에 데이타를 반복적으로 기록하는 기술로 발전하고 있다. 이를위해 최근에는 다양한 종류의 재기록가능한 디스크가 소개되고 있으며, 이중에는 기록밀도를 높이기 위해 디스크 트랙을 랜드와그루브(Land/Groove 또는 산과골, 이하 랜드와그루브로 칭함)로 구분하고 그 각각의 트랙에 데이타를 기록하는 방식이 있다(예를들어 DVD-RAM등)
도1은 상기와 같은 랜드/그루브 트랙구조를 가지는 디스크의 일예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픽업(미도시)으로부터 광빔의 입사받는 쪽으로 돌출된 트랙을 그루브트랙(2)이라 하고 그루브트랙과 교대로 위치하고 입사 광빔으로부터 함몰된 트랙을 랜드트랙(3)이라 한다. 따라서 그루브트랙과 랜드트랙은 일정 높이차(d)를 가진다. 또한 각 트랙간의 간격(TP)은 디스크 종류마다 상이하며 보통 1um이내의 매우 조밀하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디스크에 기록재생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트랙의 종류를 정확히 판별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는 도1에서 알수 있는 바와 같이 각각의 트랙이 높이차(d)를 가짐은 물론 트랙간의 간격또한 매우 조밀하게 되어 있음에 따라 포커싱 또는 트랙킹 서보(servo)를 수행함에 있어 옵셋(offset)이 차이가 나기 때문이다. 따라서 기록재생하고자 하는 트랙의 종류를 미리 판별하여 그에 맞는 서보로 동작하여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트랙 절환스위칭신호가 필요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종래 일반적인 트랙판별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2를 참조하면, 먼저 각 트랙은 복수개의 데이타영역인 섹터(sector)로 구성되어 있고 각 섹터의 사이에는 섹터 위치정보 및 제어정보를 포함하는 프리포맷된(Pre-format) 헤드영역이 존재한다. 이러한 헤드영역은 데이타를 기록할 수 없는 영역으로서, 기록재생을 수행하기 위한 각종의 정보를 얻는데 이용되며 디스크 제작업자가 미리 설정해두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와 같은 헤드영역은 크게보면 두가지 종류가 존재하는데, 하나는 동일 트랙내의 섹터사이에 위치하는 헤드영역(8)(이하 '트랙내 헤드영역'이라 함)이고 다른하나는 랜드트랙의 마지막 섹터(4)와 그루브트랙의 첫번째 섹터(5)의 사이에 존재하는 헤드영역(9)(이하 '트랙간 헤드영역'이라 함)이다. 광기록재생기의 시스템은 트랙내 헤드영역으로부터 현재 위치의 트랙종류를 판별할 수 있고, 트랙간 헤드영역으로부터 트랙이 절환됨을 알 수 있게 되어. 변경되는 트랙에 맞는 서보를 수행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트랙간 헤드영역으로부터 트랙판별을 수행하는 일반적인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3은 도2의 A,B부분을 상세히 도시한 것이다. 헤드영역은 트랙센타를 중심으로 위상이 반전되어 배치된 제1헤드필드(91)와 제2헤드필드(92)를 가진다. 여기서 랜드트랙에서 그루브트랙으로 절환되는 헤드영역은 제1헤드필드가 트랙센타보다 높은 위치에서 먼저 검출되고 제2헤드필드는 트랙센타보다 낮은 위치에서 뒤에 검출된다.
이와반대로 그루브트랙에서 랜드트랙으로 절환되는 헤드영역은 제1헤드필드가 트랙센타보다 낮은 위치에서 먼저 검출되고 제2헤드필드는 트랙센타보다 높은 위치에서 뒤에 검출된다.
이때 트랙센타보다 높은 위치에서 검출되는 헤드신호를 제1헤드신호(IP1), 트랙센타보다 낮은 위치에서 검출되는 헤드신호를 제2헤드신호(IP2)라 하면, 랜드 트랙에서 그루브트랙으로 절환되는 헤드영역은 도4와 같이 신호검출이 되고, 그루브트랙에서 랜드트랙으로 절환되는 헤드영역은 도5와 같이 신호검출이 되며, 광기록재생기의 시스템은 상기 IP1,IP2신호의 검출순서로부터 트랙을 판별하고 트랙절환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절환되는 트랙에 적합한 서보제어를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트랙판별방법은 서보가 안정적으로 수행되어 헤드영역에서 IP1,IP2가 정확히 검출되는 경우에는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으나, 사실은 상기와 유사한 파형의 신호가 디스크의 어느곳에서든 검출될 가능성이 있으며, 이러한 가능성은 시스템이 불안정한 경우에 더욱 높아지게 된다.
서보가 불안정한 시점이란 예를들어 시스템 초기가동시나, 트랙점프, 트랙크로스등을 수행하는 경우가 될 수 있으며, 이경우는 IP1,IP2가 불안정하게 검출될 뿐만 아니라, 검출된 IP1,IP2신호가 헤드영역에서 검출된 신호인지를 장담할 수 없게 된다. 이에 따라 트랙킹 및 포커싱 서보등을 제대로 수행할 수 없어 정상적인 기록재생까지 많은 시간이 요구되거나, 심할경우 기록재생 자체가 불가능하게 될 수도 있다.
본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서보가 불안정한 상태에서도 안정적으로 트랙을 판별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트랙판별의 신뢰성을 높이는 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도1은 일반적인 랜드/그루브 트랙구조를 가지는 디스크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
도2는 종래 트랙내의 데이타영역과 헤드영역을 나타낸 도면
도3은 도2의 'A','B'부분을 동심원의 디스크에서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4는 종래 일반적인 그루브 트랙판별 신호를 나타낸 도면
도5는 종래 일반적인 랜드 트랙판별 신호를 나타낸 도면
도6은 본발명의 그루브 트랙판별 신호를 나타낸 방법
도7은 본발명의 랜드 트랙판별 신호를 나타낸 도면
상기와 같은 목적달성을 위한 본발명의 구성은 기록가능한 데이타영역이 상이한 트랙구조로 존재하고, 상기 데이타영역의 트랙판별을 위해 위상이 상이한 복수의 구간으로 배치되어 있고 각 구간에는 상기 데이타영역의 디스크내의 위치정보를 가지는 헤드영역이 반복교대되어 연속적으로 존재하는 디스크에서 상기 데이타영역의 트랙종류를 판별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헤드영역에 기록된 위상이 상이한 복수의 구간에 있는 정보를 각각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각각의 신호가 서로다른 레벨을 가지는지를 검증하는 단계와, 상기 검증결과로부터 다음에 오는 데이타영역의 트랙종류를 판별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신호 검출단계는 헤드영역구간에서 데이타영역의 트랙센타를 기준으로 높은위치에 있는 헤드영역으로부터 제1헤드신호(IP1)를 낮은위치에 있는 헤드영역으로부터 제2헤드신호(IP2)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신호 검증단계는 검출된 제1,2헤드신호들의 센터지점에서 각각의 헤드신호의 레벨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2 헤드신호의 센타지점에서의 검증을 위해서 검출된 두신호를 논리합(OR)하고, 논리합된 결과를 일정시간 딜레이하며 딜레이된 시점부터 일정클럭을 카운터하여 원하는 검증용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트랙종류를 판별하는 단계는 제1헤드신호가 먼저 검출되고, 제2헤드신호가 뒤에 검출되며, 상기 제1헤드신호가 하이레벨일떼 제2헤드신호가 로우레벨일 경우 그루브트랙으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트랙종류를 판별하는 단계는 제2헤드신호가 먼저 검출되고, 제1헤드신호가 뒤에 검출되며, 상기 제2헤드신호가 하이레벨일떼 제1헤드신호가 로우레벨일 경우 랜드트랙으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발명의 다른 특징 및 잇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확해 질 것이다.
도 6은 본발명의 랜드트랙에서 그루브트랙으로의 트랙절환에 관한 설명을 위한 도면이다. 제1,2 헤드신호(IP1,IP2)의 정의 및 이를 구하는 방법은 종래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따라서 본발명은 트랙판별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검출신호를 검증하는 검증용 신호를 별도로 생성하고, 이로부터 상기 검출된 신호가 원하는 헤드영역에서 검출된 신호인지를 정확하게 판별하고자 하는 것이다.
여기서 원하는 검증용 신호는 제1,2 헤드신호의 센타지점에서 각각의 헤드신호의 레벨을 검증하도록 한다. 즉, 헤드영역에서 정확히 검출된 IP1,IP2 신호라면 상기 검증시점에서 서로다른 레벨을 가지게 될 것이다.
이러한 검증용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일실시예로서 IP1,IP2신호를 논리합(OR)하고 논리합된 결과를 일정시간 딜레이하며, 딜레이된 시점부터 라이징 에지(rising edge)을 생성하고 이로부터 일정클럭을 카운터하여 다음 헤드신호의 센타지점에서 폴링에지(falling edge)를 생성하므로서 원하는 검증용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각 헤드신호의 센타지점의 위치는 미리 설정해 둘 수 있으므로 메인 클럭만 가지고도 센타지점을 정확히 찾을 수 있게 된다.
검증용 신호로부터 최종적으로 트랙을 판별하는 방법은 제1,2헤드신호가 검출되고 각 헤드신호의 센타지점에서 헤드신호의 레벨을 확인한 결과 검증용 신호의 라이징에지에서 제1헤드신호가 하이레벨이고, 제2헤드신호가 로우레벨이면 이어지는 데이타영역은 그루브트랙으로 판별하고, 또한 검증용 신호의 폴링에지에서 제1헤드신호가 로우레벨이고, 제2헤드신호가 하이레벨이면 역시 이어지는 데이타영역은 그루브트랙으로 판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라이징에지와 폴링에지에서 두번의 검증을 거칠 수 있어 더욱 안정적으로 트랙종류를 판별할 수도 있으나, 라이징에지 또는 폴링에지의 어느 한 곳에서만 상기의 검증단계를 거쳐도 어느정도의 신뢰성은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최종적으로 판별이 완료되면 트랙절환스위칭신호를 제2헤드신호의 폴링에지에 맞추어 생성하고, 이에따라 광기록재생기는 그루브트랙에 적합한 서보제어를 수행하게 된다.
도 7은 본발명의 그루브트랙에서 랜드트랙으로의 트랙절환에 관한 설명을 위한 도면이다. 검증용 신호를 생성하는 과정은 도6에서와 설명한 부분과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검증용 신호로부터 최종적으로 트랙을 판별하는 방법은 제1,2헤드신호가 검출되고 각 헤드신호의 센타지점에서 헤드신호의 레벨을 확인한 결과 검증용 신호의 라이징에지에서 제2헤드신호가 하이레벨이고, 제1헤드신호가 로우레벨이면 이어지는 데이타영역은 랜드트랙으로 판별하고, 또한 검증용 신호의 폴링에지에서 제2헤드신호가 로우레벨이고, 제1헤드신호가 하이레벨이면 역시 이어지는 데이타영역은 랜드트랙으로 판별하게 된다.
최종적으로 판별이 완료되면 트랙절환스위칭신호를 제1헤드신호의 폴링에지에 맞추어 생성하고, 이에따라 광기록재생기는 랜드트랙에 적합한 서보제어를 수행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발명에 따른 광기록재생기의 트랙종류판별 방법은 시스템이 불안정한 동안에도 안정적으로 트랙종류를 판별할 수 있어 트랙종류에 적합한 서보제어를 적시에 수행할 수 있어 광기록재생기의 안정된 기록재생을 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기록가능한 데이타영역이 상이한 트랙구조로 존재하고, 상기 데이타영역의 트랙판별을 위해 위상이 상이한 복수의 구간으로 배치되어 있고 각 구간에는 상기 데이타영역의 디스크내의 위치정보를 가지는 헤드영역이 반복교대되어 연속적으로 존재하는 디스크에서 상기 데이타영역의 트랙종류를 판별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헤드영역에 기록된 위상이 상이한 복수의 구간에 있는 정보를 각각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각각의 신호가 서로다른 레벨을 가지는지를 검증하는 단계와,
    상기 검증결과로부터 다음에 오는 데이타영역의 트랙종류를 판별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록재생기의 트랙판별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검출단계는
    헤드영역구간에서 데이타영역의 트랙센타를 기준으로 높은위치에 있는 헤드영역으로부터 제1헤드신호(IP1)를 낮은위치에 있는 헤드영역으로부터 제2헤드신호(IP2)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는 광기록재생기의 트랙판별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검증단계는
    검출된 제1,2헤드신호들의 센터지점에서 각각의 헤드신호의 레벨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록재생기의 트랙판별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헤드신호의 센타지점에서의 검증을 위해서 검출된 두신호를 논리합(OR)하고, 논리합된 결과를 일정시간 딜레이하며 딜레이된 시점부터 일정클럭을 카운터하여 원하는 검증용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록재생기의 트랙판별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트랙종류를 판별하는 단계는
    제1헤드신호가 먼저 검출되고, 제2헤드신호가 뒤에 검출되며, 상기 제1헤드신호가 하이레벨일때 제2헤드신호가 로우레벨일 경우 그루브트랙으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록재생기의 트랙판별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트랙종류를 판별하는 단계는
    제2헤드신호가 먼저 검출되고, 제1헤드신호가 뒤에 검출되며, 상기 제2헤드신호가 하이레벨일때 제1헤드신호가 로우레벨일 경우 랜드트랙으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록재생기의 트랙판별 방법
KR1019990017532A 1999-05-17 1999-05-17 광기록재생기의 트랙 판별 방법 KR1005699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7532A KR100569916B1 (ko) 1999-05-17 1999-05-17 광기록재생기의 트랙 판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7532A KR100569916B1 (ko) 1999-05-17 1999-05-17 광기록재생기의 트랙 판별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3934A true KR20000073934A (ko) 2000-12-05
KR100569916B1 KR100569916B1 (ko) 2006-04-10

Family

ID=19585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7532A KR100569916B1 (ko) 1999-05-17 1999-05-17 광기록재생기의 트랙 판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99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6441A (ko) * 2000-01-26 2001-08-16 구자홍 광디스크의 트랙판별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05676B2 (ja) * 1995-11-10 1998-01-28 日本電気株式会社 光ディスク装置におけるアドレス検出装置
JP3959147B2 (ja) * 1997-03-31 2007-08-15 株式会社東芝 光ディスク、光ディスク再生装置、光ディスク再生方法、及び光ディスク記録方法
JPH1125475A (ja) * 1997-05-09 1999-01-29 Sony Corp 光ディスク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69916B1 (ko) 2006-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4842B1 (ko) 광디스크매체, 광디스크장치 및 광디스크 트랙킹방법
JP3063596B2 (ja) 光ディスク装置および光ディスク
US20020150017A1 (en) Disc discriminating method and information reproducing apparatus using thereof
JP2762629B2 (ja) 記録媒体及び該記録媒体の再生装置
JPH04184718A (ja) 光ディスクおよび光ディスク装置
JP3560410B2 (ja) 光ディスク装置および光ディスク
KR0176569B1 (ko) 광디스크 시스템에 있어서 두께가 다른 디스크간의 자동판별방법 및 장치
US6747922B2 (en) Track-jump controlling apparatus and method
JPH0744873A (ja) 光情報記録媒体及び光情報記録再生装置
KR100569916B1 (ko) 광기록재생기의 트랙 판별 방법
US6185170B1 (en) Method for tracking an optical disc of a shallow/deep groove type and apparatus adopting the same
KR100544170B1 (ko)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탄젠셜 틸트 검출 방법 및 이에 적합한 장치
KR100281948B1 (ko) 광 디스크 재생 장치 및 방법
US20060002265A1 (en) Optical disc device
JP2578816B2 (ja) 光学的記録再生装置
US7016285B2 (en) Linking gap detecting device and method of optical recording medium
KR20010076441A (ko) 광디스크의 트랙판별 장치 및 방법
KR100188535B1 (ko) 광 디스크 드라이버의 트래킹 제어 시스템
JP3490042B2 (ja) 光ディスク装置
JP3086465B2 (ja) 信号再生方法
KR100656647B1 (ko) 광디스크의 기록가능 영역 판별방법 및 이를 이용한기록재생 제어장치
JP3090925B2 (ja) 光ディスク装置
KR100617208B1 (ko) 광 기록재생기 및 트랙 점프 제어 방법
KR100553874B1 (ko) 광디스크 플레이어의 트랙킹 서보장치
KR100651996B1 (ko) 광 기록 재생기 및 트랙 점프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