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73843A - 모티스 록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모티스 록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73843A
KR20000073843A KR1019990017399A KR19990017399A KR20000073843A KR 20000073843 A KR20000073843 A KR 20000073843A KR 1019990017399 A KR1019990017399 A KR 1019990017399A KR 19990017399 A KR19990017399 A KR 19990017399A KR 20000073843 A KR20000073843 A KR 200000738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ch bolt
bolt
door
lock assembly
h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7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02758B1 (ko
Inventor
김갑식
Original Assignee
김갑식
주식회사 유니패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갑식, 주식회사 유니패스 filed Critical 김갑식
Priority to KR10199900173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2758B1/ko
Publication of KR200000738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38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27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27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08Mortise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59/00Locks with latches separate from the lock-bolts or with a plurality of latches or lock-bol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12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with means carried by the bolt for interlocking with the keep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에 장착되는 모티스 록 어셈블리(mortise lock assembly)에 관한 것으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또 내부로부터 외부로 이동가능하며,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위치할 때는 도어가 닫혀지게 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할 때는 도어가 열리게 하는 래치볼트와, 도어가 닫혀진 상태에서, 상기 래치볼트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부터 내부로의 자유로운 이동을 저지하는 트리거 볼트수단과, 도어의 손잡이를 돌리는 회전력에 의해 그 선회반경이 점차 증가하는 허브수단과, 상기 허브수단의 선회반경이 점차 증가함에 따라 선회축을 중심으로 선회운동을 하는 피보트부재와, 상기 래치볼트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이동을 저지하는 상기 트리거 볼트수단의 저지를 해제하고, 상기 래치볼트를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끌어들이며 상기 피보트 부재에 의해 동작되는 래치볼트 구동부재로 구성되어, 래치볼트의 연장부를 충분히 길게 할 수 있어 도어 프레임의 래치볼트 수용홈 깊숙이 들어가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모티스 록 어셈블리{Mortise Lock Assembly}
본 발명은 도어에 장착되는 모티스 록 어셈블리(mortise lock assembly)에 관한 것이다. 모티스 록 어셈블리는 도어를 닫거나 열 때 동작하는 기구이다. 이러한 예들은 미합중국 특허공보 5,820,177호, 5,678,870호 등 수만은 특허공보에 의해 확인된다. 기구는 흔히 빗장이라고 알려진 래치볼트를 갖는데, 래치볼트는 도어가 닫혔을 때, 일정한 길이만큼 도어 프레임으로 들어가 결합되어 도어가 열려지지 않게 하고, 도어를 열기 위해 도어 핸들을 돌리면 도어 프레임으로부터 빠져나와 기구 내부로 들어가면서 결합을 해제하여 도어가 열리게 한다. 래치볼트는 도어 프레임에 형성된 래치볼트 수용홈으로 깊이 들어가면 갈수록 외부에서 쉽게 열지 못하게 되는데, 래치볼트가 들어갈 수 있는 길이는 래치볼트의 이동거리에 좌우된다. 그러나 도어 핸들을 돌릴 수 있는 대략 일정하고 180도 이상을 돌리더라도 래치볼트의 이동거리를 크게 할 수 없다. 따라서, 종래부터 사용해왔던 모티스 록 어셈블리는 래치볼트의 이동거리를 길게 할 수 없었다.
래치볼트만으로 도어를 잠그더라도 쉽게 열려 외부로부터의 불법적인 침입을 막을 수 없으므로 실내에서 도어를 잠글 수 있는 대드 볼트가 함께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대드볼트의 사용은 기구의 구성을 복잡하게 하고, 또 도어 프레임에 대드볼트용 홈을 형성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 도어가 잠겨져 있는 상태에서 불법적인 침입이 있더라도 이를 알 수가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래치볼트의 이동거리를 길게 하여 래치볼트만으로도 도어를 잠글 수 있는 모티스 록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래치볼트의 이동거리를 크게 해서 대드볼트를 사용할 필요가 없는 모티스 록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도어가 잠겨져 잇는 상태에서 불법적인 출입을 알 수 잇는 모티스 록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티스 록 어셈블리에 대한 실시예로서 측면 커버를 열고 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티스 록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모티스 록 어셈블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로서, 도 3은 도어가 열렸을 때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어가 닫혀있을 때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어가 닫혀있는 상태에서 바깥쪽의 도어 손잡이를 돌려서 도어를 열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도어가 닫혀있는 상태에서 안쪽의 손잡이를 돌려서 도어를 열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또 내부로부터 외부로 이동가능하며,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위치할 때는 도어가 닫혀지게 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할 때는 도어가 열리게 하는 래치볼트와, 도어가 닫혀진 상태에서, 상기 래치볼트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부터 내부로의 자유로운 이동을 저지하는 트리거 볼트수단과, 도어의 손잡이를 돌리는 회전력에 의해 그 선회반경이 점차 증가하는 허브수단과, 상기 허브수단의 선회반경이 점차 증가함에 따라 선회축을 중심으로 선회운동을 하는 피보트부재와, 상기 래치볼트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이동을 저지하는 상기 트리거 볼트수단의 저지를 해제하고, 상기 래치볼트를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끌어들이며 상기 피보트 부재에 의해 동작되는 래치볼트 구동부재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에서, 허브수단은 바깥쪽 도어 손잡이에 의해 동작하는 제1 허브와 안쪽 도어 손잡이에 의해 동작하는 제2 허브로 구성되며 각각의 허브는 허브 날개를 가지고 있다.
또, 본 발명에서, 트리거 볼트 수단은 트리거 볼트와, 상기 래치볼트 구동수단에 동작이 구속되는 래치볼트 저지부재를 포함하여, 래치볼트 구동수단이 래치볼트를 구동케이스 내로 끌어들일 때 래치볼트 저지부재의 동작을 구속하면서 래치볼트를 끌어들이는데, 상기 래치볼트 구동부재는 피보트부재에 의해 눌려지면서 선회축을 중심으로 선회한다.
또, 본 발명에서, 래치볼트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로 포크 형태로 연장된 고정파트와 상기 고정파트의 포크 형상 사이에 위치하며 선회가능한 선회파트로 구성되어 래치볼트가 케이스내로 들어가는 동작을 원활하게 한다.
본 발명에서, 래치볼트는 그 뒤쪽에 연결된 래치볼트 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래치볼트 샤프트에는 코일스프링이 삽입되어 있어 도어손잡이를 놓으면 자동적으로 래치볼트가 케이스 밖으로 나가게 한다. 또, 본 발명에서 피보트부재는 그 가운데에서 피보트 부재의 양쪽으로 두 개의 회전링을 포함하고 허브날개 사이에 상기 회전링이 위치하도록 하여 허브 날개 사이에서 벗어나지 않게 되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트리거 볼트에 의해 동작하는 리미트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구조는 리미트 스위치를 경보장치 또는 그밖의 전자장치들으 스위치로 사용하여 불법적인 침입에 대해 경보를 발생하거나 이를 알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을 도면을 통해서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티스 록 어셈블리에 대한 실시예로서 측면 커버를 열고 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티스 록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모티스 록 어셈블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로서, 도 3은 도어가 열렸을 때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어가 닫혀있을 때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어가 닫혀있는 상태에서 바깥쪽의 도어 손잡이를 돌려서 도어를 열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도어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 안쪽의 손잡이를 돌려서 도어를 열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도어에 설치되는 어셈블리(10)가 도시되어 있다. 어셈블리(10)는 케이스(12), 측면 커버(14) 그리고 정면 플레이트(16)로 구성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케이스(12) 내에는 포스트들(121, 123, 125, 127, 128, 129)이 측면 커버(14)를 향해 돌출된다. 정면 플레이트(16)에는 래치볼트 개방구(161)와 트리거 볼트 개방구(163)가 형성된다. 래치볼트(22)는 연장부가 래치볼트용 개방구(161)를 통해 케이스(12)의 안쪽으로 들어가거나 나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래치볼트(22)는 바디부(221)의 양쪽으로 갈라지며 고정파트(223)와 그 사이에 선회하는 선회파트(225)로 된 연장부를 가지며, 바디부(221)의 뒤쪽은 래치볼트 샤프트(24)가 연결된다. 래치볼트의 연장부를 고정파트와 선회파트로 분리하여 구성한 것은 래치볼트의 연장부가 케이스 내로 들어갈 때 원활하게 동작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래치볼트의 바디부(221)에는 래치볼트 구동부재(42)의 한쪽 끝이 올려놓여져 움직일 수 있는 홈부분(227)이 형성되어 있으며, 아래쪽으로는 규제홈(229)이 형성되어 있다.
래치볼트 샤프트(24)는 케이스(12)에 고정되어 있는 래치볼트 샤프트 지지판(26)에 끼워져 지지되어 있다. 래치볼트 샤프트(24)에는 스프링(28)이 끼워져 있어, 래치볼트(22)가 케이스 내로 들어갈 때는 압축되어 있다.
트리거 볼트(32)는 대략 L자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그 수평부분은 트리거 볼트 개방구(163)를 통해 케이스(12)의 외부로 나오거나, 케이스(12) 내로 들어간다. 트리거 볼트(32)의 수평부분에는 돌출부(321)가 형성되어, 포스트(129)에 끼워지는 스프링(131)의 한쪽 끝과 접촉하고 있다. 스프링(129)은 트리거 볼트(32)가 눌러졌다가 풀릴 때, 케이스 내로 완전히 들어온 트리거 볼트(32)의 수평부분(323)이 자동적으로 케이스 밖으로 나가게 한다. 트리거 볼트(32)의 위쪽에는 포스트(128)에 끼워져 선회 가능한 래치볼트 제어부재(34)가 위치한다. 래치볼트 제후퇴 저지부재(34)의 한쪽 끝은 선회하여 위쪽으로 올라갔을 때는 래치볼트 바디부(221)에 형성된 규제홈(229)에 들어가고, 내려갔을 때, 규제홈(229)으로부터 빠져나온다. 트리거볼트(32)에는 돌출부(321)가 형성되어 있다.
래치 볼트 구동부재(42)는 대략 직각삼각형 형상을 이루는데, 직각을 이루는 부분이라고 할 수 있는 꼭지점은 케이스(12)로부터 돌출된 포스트(127)에 선회 가능하도록 끼워져 있다. 한쪽 래치볼트 구동부재(42)의 한 꼭지점은 래치볼트(22)를 당길 수 있도록 래치볼트 바디부의 홈부분(227)에 들어가 위치하며, 다른 꼭지점은 피보트 부재(44)에 의해 눌러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를 위해 이 꼭지점에는 핀(421)에 의해 회전가능한 부싱(423)이 결합되어 있다. 또, 래치볼트 구동부재(42)의 가운데 부분에는 래치 볼트 제어부재 규제 돌출편(425)가 형성되어 있다.
피보트 부재(44)는 한쪽 끝은 케이스(12)로부터 돌출된 포스트(123)에 끼워져 있으며, 다른 쪽 끝은 래치볼트 구동부재(42)에 끼워져 있는 부싱(423)을 누르고 있으며, 피보트부재(44)의 가운데는 피보트 부재를 사이에 두고 두 개의 회전링(46, 48)이 끼워져 있다. 양쪽으로 벌어진 날개(521, 523; 541, 543)를 갖는 한쌍의 허브(52, 54)는, 케이스 및 측면 커버에 각각 뚫린 허브 개방구(181)에 끼워져 케이스 내에 위치하는데, 각각의 허브의 날개 사이에는 회전링(46, 48)이 위치한다. 허브(52, 54)의 가운데는 정사각형의 구멍이 뚫려져 있어 도어핸들의 샤프트가 끼워진다. 따라서, 도어의 핸들에 의해 어느 하나의 허브가 회전하면 허브의 날개는 회전링을 누르게 되고, 피보트 부재(44)가 선회하여 부싱(423)을 누른다. 스프링(441)은 포스트(121)에 끼워져 허브의 날개가 회전링을 누르는 힘이 없어지게 되며 피보트 부재(44)를 올라가게 한다. 리미트 스위치는 트리거 볼트에 동작하도록 트리거볼트 개방구 근처에 위치하고 전선(56)에 연결되어 있다.
그러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도어가 열려 있을 경우에는 래치 볼트(22)와 트리거 볼트 (32) 모두는 래치 볼트 개방구 및 트리거 볼트 개방구를 통하여 케이스의 내부로부터 케이스 밖으로 나와 있다.
도 4에는 생략되었으나, 도어 프레임에는 래치볼트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고, 트리거 볼트에 대응하는 부분은 막혀있으므로, 도어가 닫혀져 있을 때에는 래치 볼트(22) 래치 볼트 개방구를 통하여 케이스(12)의 내부로부터 케이스 밖으로 도어 프레임의 래치볼트 수용홈으로 들어가 있게 되지만, 트리거 볼트는 도어 프레임에 의해 눌려져 케이스의 내부로 들어가 있다. 이때 스프링(28)은 압축되어 트리거 볼트(32)가 도어 프레임의 눌림으로부터 해방되었을 때, 래치 볼트(22)를 래치 볼트 개방구를 통해 케이스 내부로부터 트리거 볼트 케이스 바깥쪽으로 튀어 나가게 한다. 한편, 래치 볼트 후퇴 저지부재(34)는, 축을 중심으로 앞쪽 부분이 들려지는 것을 방해하고 있던 트리거 볼트(32)의 L자 형상의 수직부분으로부터 해방되므로, 그 앞쪽 부분이 들려져 래치 볼트의 바디부(221)에 형성된 규제홈(229)에 들어가 래치 볼트가 후퇴하여 케이스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저지하고 있다.
도 5와 같이 도어가 닫혀져 있는 상태, 즉, 래치 볼트(22)는 래치 볼트 개방구를 통하여 케이스(12)의 내부로부터 케이스 밖으로 나와 있고, 트리거 볼트는 도어 프레임에 의해 눌려져 케이스의 내부로 들어가 있는 상태에서, 바깥쪽의 핸들을 돌리면 허브(54)가 회전하게 되어 있다. 허브(54)가 회전하는 동안 허브의 날개(541, 543)는 회전 링(48)을 누르게 되고 회전링(48)이 눌러짐에 따라 피보트 부재(44)는 선회축을 중심으로 선회하여, 선회축에 대해 반대쪽은 스프링(444)을 압축하며 아래쪽으로 내려가면서, 래치 볼트 구동부재(42)의 부싱(423)을 누르게 된다. 부싱(423)이 눌러지게 되면, 래치 볼트 구동부재(42)는 선회축을 중심으로 선회하면서 래치 볼트 규제 돌출편(425)은 래치볼트 후퇴 저지부재(34)의 뒤쪽을 눌러서 래치 볼트(22)의 바디부에 형성된 규제홈(229)에 들어가 래치 볼트(22)가 후퇴하는 것을 저지하고 있던 래치볼트 후퇴 저지부재(34)의 앞쪽이 규제홈(229)으로부터 빠져 나오게 하면서, 래치볼트 바디부의 홈부분(227)에 들어가 위치하는 래치볼트 구동부재(42)의 꼭지점 부분 오른쪽으로 선회하여 래치볼트(22)를 당겨 래치볼트(22)의 연장부가 케이스 내부로 들어오게 한다. 래치 볼트(22)가 래치 볼트 개방구를 통하여 케이스의 내부로 들어오게 되면 도어는 열리게 되어 있다. 이때, 래치볼트 샤프트(24)에 끼워져 있는 스프링(28)은 압축되어 있다.
도 6과 같이 도어가 닫혀져 있는 상태, 즉, 래치 볼트(22)는 래치 볼트 개방구를 통하여 케이스의 내부로부터 케이스 밖으로 나와 있고, 트리거 볼트(32)는 도어 프레임에 의해 눌려져 케이스의 내부로 들어가 있는 상태에서, 바깥쪽의 핸들을 돌려도 구동되는 실내 쪽 핸들과 대응하는 허브 및 회전링이 동작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작과정은 도5와 마찬가지이다. 래치 볼트는 래치 볼트 개방구를 통하여 케이스의 내부로부터 케이스 밖으로 나와 있고, 트리거 볼트는 도어 프레임에 의해 눌려져 케이스의 내부로 들어가 있는 상태에서, 실내쪽의 핸들을 돌리면 허브가 회전하게 되어 있다. 허브가 회전하는 동안 허브의 날개는 회전 링을 누르게 되고 회전링이 눌러짐에 따라 피보트 부재는 선회축을 중심으로 선회하여, 선회축에 대해 반대쪽는 아래쪽으로 내려가면서, 래치 볼트 구동부재의 부싱(423)을 누르게 되어 있다. 부싱이 눌러지게 되면 래치 볼트 구동부재는 선회축을 중심으로 선회하면서 래치 볼트 규제 돌출편(425)은 래치볼트 후퇴 저지부재(34)의 뒤쪽을 눌러서 래치 볼트의 바디부에 형성된 규제홈에 들어가 래치 볼트(22)가 후퇴하는 것을 저지하고 있던 래치볼트 후퇴 저지부재(34)의 앞쪽이 규제홈(229)으로부터 빠져 나오게 하면서, 래치볼트 바디부의 홈부분(225)에 들어가 위치하는 래치볼트 구동부재(42)의 꼭지점 부분 오른쪽으로 선회하여 래치볼트(22)를 당겨 래치볼트의 연장부가 케이스 내부로 들어오게 한다. 래치 볼트가 래치 볼트 개방구를 통하여 케이스의 내부로 들어오게 되면 도어는 열리게 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에서는 래치볼트는 래치볼트 구동부재의 선회에 의해 동작되므로, 래치볼트 구동부재의 선회반경을 크게 한다면, 래치볼트가 이동할 수 있는 거리도 그만큼 크게 할 수 있어, 래치볼트의 연장부를 충분히 길게 할 수 있어 도어 프레임의 래치볼트 수용홈 깊숙이 들어가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래치볼트와 도어 프레임의 결합을 단단히 할 수 있어 래치볼트가 대드볼트의 역할을 겸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대드볼트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써 도어 록 어셈블리의 구조를 간단히 할 수 있다.

Claims (8)

  1.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또 내부로부터 외부로 이동가능하며,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위치할 때는 도어가 닫혀지게 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할 때는 도어가 열리게 하는 래치볼트와;
    도어가 닫혀진 상태에서, 상기 래치볼트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부터 내부로의 자유로운 이동을 저지하는 트리거 볼트수단과;
    도어의 손잡이를 돌리는 회전력에 의해 그 선회반경이 점차 증가하는 허브수단과;
    상기 허브수단의 선회반경이 점차 증가함에 따라 선회축을 중심으로 선회운동을 하는 피보트부재와;
    상기 래치볼트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이동을 저지하는 상기 트리거 볼트수단의 저지를 해제하고, 상기 래치볼트를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끌어들이며 상기 피보트 부재에 의해 동작되는 래치볼트 구동부재를 포함하는 모티스 도어 록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수단은 바깥쪽 도어 손잡이에 의해 동작하는 제1 허브와 안쪽 도어 손잡이에 의해 동작하는 제2 허브로 구성된 모티스 도어 록 어셈블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볼트 수단은 트리거 볼트와 상기 래치볼트 구동수단에 동작이 구속되는 래치볼트 제어부재를 포함하는 모티스 도어 록 어셈블리.
  4.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볼트 구동부재는 피보트부재에 의해 선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티스 도어록 어셈블리.
  5. 제1항, 제2항,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볼트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로 포크 형태로 연장된 고정파트와 상기 고정파트의 포크 형상 사이에 위치하며 선회가능한 선회파트로 구성되는 모티스 도어 록 어셈블리.
  6. 제1항, 제2항, 제3항,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볼트는 그 뒤쪽에 연결된 래치볼트 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래치볼트 샤프트에는 코일스프링이 삽입되어 있는 모티스 도어록 어셈블리.
  7. 제1항, 제2항, 제3항, 제4항,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허브수단은 허부날개를 포함하고 날개에 의해 그 회전반경이 점차 증가하는 모티스 도어록 어셈블리.
  8. 제1항, 제2항, 제3항, 제4항, 제5항,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피보트부재는 그 가운데에서 피보트 부재의 양쪽으로 두 개의 회전링을 포함하고 허브날개 사이에 상기 회전링이 위치하는 모티스 도어록 어셈블리.
KR1019990017399A 1999-05-14 1999-05-14 모티스 록 어셈블리 KR1006027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7399A KR100602758B1 (ko) 1999-05-14 1999-05-14 모티스 록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7399A KR100602758B1 (ko) 1999-05-14 1999-05-14 모티스 록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3843A true KR20000073843A (ko) 2000-12-05
KR100602758B1 KR100602758B1 (ko) 2006-07-20

Family

ID=19585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7399A KR100602758B1 (ko) 1999-05-14 1999-05-14 모티스 록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275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0257A (ko) * 2002-06-24 2004-01-03 서규식 도어록용 상자앗세이
KR100721281B1 (ko) * 2006-06-12 2007-05-25 주식회사 테크업 도어록의 모티스
KR100908685B1 (ko) * 2007-11-19 2009-07-22 (주)베스트메탈라인 이중 구조의 안전 도어록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0978B1 (ko) 2014-12-24 2016-02-11 최명락 도어록용 모티스 및 이를 구비한 도어록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76495U (ko) * 1975-12-02 1977-06-07
US4844522A (en) * 1987-11-02 1989-07-04 Kwikset Corporation Latch assembly
KR950013979B1 (ko) * 1993-07-12 1995-11-18 엘지금속주식회사 희토류-천이금속-붕소계 영구자석의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0257A (ko) * 2002-06-24 2004-01-03 서규식 도어록용 상자앗세이
KR100721281B1 (ko) * 2006-06-12 2007-05-25 주식회사 테크업 도어록의 모티스
KR100908685B1 (ko) * 2007-11-19 2009-07-22 (주)베스트메탈라인 이중 구조의 안전 도어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02758B1 (ko) 2006-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6273B1 (ko) 이중 잠금 기능을 갖는 모티스 락
EP1650381B1 (en) Mortice locking device
US6174004B1 (en) Mortise latch and exit device with concealed vertical rods
US11359408B2 (en) Indicator-type door lock
KR20050036950A (ko) 도어 록킹 메카니즘
CN111357070B (zh) 电动开关的旋转手柄结构
KR20200123755A (ko) 록킹수단을 갖는 푸쉬풀 도어록
KR100602758B1 (ko) 모티스 록 어셈블리
US7405369B2 (en) Interlock apparatus and method for disconnect switches
CA2147306A1 (en) Security grill lock assembly
CN111512405B (zh) 电气开关的旋转手柄结构件
KR200489898Y1 (ko) 방충망용 잠금장치
KR100785705B1 (ko) 슬라이딩 창호의 개폐틸트장치
US20080190155A1 (en) Hub Locking Apparatus For Mortise Lock Assembly
KR102356619B1 (ko) 안티패닉 기능을 갖는 푸쉬풀 도어록
KR20060021646A (ko) 모티스 록 어셈블리의 허브 잠금장치
EP4345234A1 (en) Assembly for security locks and relative lock
KR102455098B1 (ko) 턴/틸트 겸용 창문
CA2299597C (en) Mortise latch and exit device with concealed vertical rods
KR200353556Y1 (ko) 도어용 로킹장치
JP3086148U (ja) 引戸施錠補完装置
JPH0331822Y2 (ko)
KR950000099Y1 (ko) 문 잠금장치
KR100397679B1 (ko) 스토퍼 기능을 갖는 경첩
WO2023227826A1 (en) Swing handle arrangement with a locking fun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7

Year of fee payment: 11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